KR20230036816A - 온도 센서를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도 센서를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816A
KR20230036816A KR1020210119760A KR20210119760A KR20230036816A KR 20230036816 A KR20230036816 A KR 20230036816A KR 1020210119760 A KR1020210119760 A KR 1020210119760A KR 20210119760 A KR20210119760 A KR 20210119760A KR 20230036816 A KR20230036816 A KR 20230036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tion
temperature
level
signal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범
Original Assignee
김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범 filed Critical 김승범
Priority to KR1020210119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816A/ko
Publication of KR20230036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1Determining signal validity, reliability or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4Acoust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Abstract

온도 센서를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르면, 속옷에 장착되는 측정기로부터 획득되는 입력 온도 신호의 변화에 따라 남성/여성 불문 높은 정확도로 배뇨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온도 센서를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Urin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System Using Temperature Sensor}
본 출원은 온도 센서를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뇨와 관련된 장애들로서, 배뇨곤란, 요폐, 지연뇨, 빈뇨, 야간뇨, 배뇨후 점적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지연뇨 증상과 배뇨후 점적 증상은 노인층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그 원인은 방광염일 수도 있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 급성 요폐 등일 수 있어서 다양하다.
그러나,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은 환자가 스스로 밝히지 않으면 확인하기 어렵다. 보통 기존 환자와의 문진을 통해 확인하거나, 또는 환자가 직접 작성한 소변 체크 리스트인 배뇨일지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배뇨일지를 작성하는 것은 환자 입장에서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으며, 체크가 정확히 되어 있는지 확인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신체에 항상 장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배뇨 패턴을 감지함으로써, 배뇨 정보와 이를 이용한 배뇨 장애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자에 의한 특허로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뇨 감지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는 다른 센서들에 비해 가격이 높고, 이들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센서 데이터는 복잡한 양상을 띄기 때문에 높은 처리량을 갖는 프로세서가 요구된다. 자연히,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확도 측면에서도 종래 기술과 거의 차이가 없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1-0041531호는 기저귀에 설치되는 배변량 측정 시스템으로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가스센서 및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하는 변량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자기장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착용 및 자세 센싱부를 포함하여, 변량측정센서에서 생성된 제1 센싱정보와 착용 및 자세 센싱부에서 생성된 제2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배변의 종류를 구별하고, 배변의 양을 판단하는 내용을 개시한다. 특히, 온도센서에서 출력되는 온도 데이터의 값과, 습도센서에서 출력되는 습도 데이터의 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시점을 배뇨/배변 시작 시점으로 감지하는 내용을 제안하나, 기저귀를 착용하는 영유아 및 노약자에게만 적용이 가능한 기술로 일반인들의 배뇨/배변을 감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247730호는 음향 신호 획득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의 장치를 구비하며, 음향 신호 획득부에서 획득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배뇨 속도/배뇨량/배뇨 시점 등의 배뇨 정보를 연산하는 내용을 제안한다. 소변이 변기에 부딪히거나, 변기의 물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리를 배뇨 관련 음향 신호로 추정하여 획득하는 내용을 제시하나, 배뇨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의 연산은 소정의 트리거(예를 들어, 음성 트리거, 버튼 누름에 의한 트리거 등)가 요구되며, 음향 신호만을 이용하여 배뇨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1-0041531호 (2021.04.15.)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247730호 (2021.05.04.)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속옷에 장착되는 측정기로부터 획득되는 입력 온도 신호의 변화에 따라 남성/여성 불문 높은 정확도로 배뇨를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입력 온도 신호뿐만 아니라, 측정기의 위치 정보와 추가 입력 온도 신호까지 이용하여 배뇨를 감지함으로써, 저비용의 측정기로도 정확도 높은 배뇨 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인 형태로 획득되는 신호들 중 배뇨와 관련된 유효 데이터만을 필터링하고, 유효 데이터로부터 배뇨 정보 및 배뇨 장애 여부를 판단하기에, 연산된 배뇨 정보와 배뇨 장애 여부 판단의 신뢰도가 높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과도하게 불편하거나 번잡한 절차를 강요받지 않으면서 자신의 배뇨 데이터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진단 증상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의료진 입장에서도 환자의 일상 배뇨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전달받은 데이터를 보편적인 기준에 의하여 지연뇨 증상 등을 판단할 수 있어, 숙련도와 무관하게 정확한 판단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는 병원의 EMR 서버에도 기록될 수 있어서, 환자가 편하게 집에서 거주하면서도 모든 데이터들을 병원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들이 누적되고 공유되어 의학 기술에 유용한 빅 데이터(Big Data)가 확보될 수도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분석 대상 개체의 속옷에 부착되는 측정기(10)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 대상 개체의 배뇨 정보를 연산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측정기(10)는, 상기 분석 대상 개체의 피부와 대면하는 일면에 설치되고 온도 센서(111)로서, 상기 온도 센서(111)와 접촉하는 부분의 온도를 감지하여 입력 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111),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향을 감지하여 입력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센서(121),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제1 온도 레벨 범위로부터 상기 제1 온도 레벨보다 낮은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하는 제1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하는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 및 연산된 상기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와 상기 음향 센서(121)에서 출력되는 입력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 대상 개체의 배뇨 시간 및 배뇨량을 포함하는 배뇨 정보를 연산하는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을 포함하는,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10)는, 외부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기(131) 및 상기 신호 수신기(131)에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기(10)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는 위치 정보 연산 모듈(14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상기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고, 연산된 상기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상기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고, 연산된 상기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가 소정의 제1 높이 레벨 범위로부터 상기 제1 높이 레벨보다 낮은 제2 높이 레벨로 하강하는 제2 데이터 패턴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상기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고, 연산된 상기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가 소정의 제1 높이 레벨 범위로부터 상기 제1 높이 레벨보다 낮은 제2 높이 레벨로 하강하는 제2 데이터 패턴을 모두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한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상기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고, 연산된 상기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가 소정의 제1 높이 레벨 범위로부터 상기 제1 높이 레벨보다 낮은 제2 높이 레벨로 하강하는 제2 데이터 패턴 및 상기 제2 데이터 패턴 획득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제2 높이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높이 레벨 범위로 상승하는 제3 데이터 패턴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한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상기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턴 및 상기 제1 데이터 패턴 획득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상기 제2 온도 레벨로부터 상기 제1 온도 레벨 범위로 상승하는 제4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고, 연산된 상기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가 소정의 제1 높이 레벨 범위로부터 상기 제1 높이 레벨보다 낮은 제2 높이 레벨로 하강하는 제2 데이터 패턴 및 상기 제2 데이터 패턴 획득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 중 상기 제2 높이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높이 레벨 범위로 상승하는 제3 데이터 패턴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한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1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입력 음향 신호 중, 상기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가 획득된 시간 동안의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음향 저장 모듈(14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은, 상기 음향 저장 모듈(143)에 저장된 음향 신호의 지속기간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 및 배뇨량을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10)는, 상기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를, 상기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가 획득된 시간 정보와 동기화하는 타임 싱크 모듈(14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은, 시간 정보와 동기화된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뇨 횟수 및 야간뇨 횟수를 더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10)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에 의해 연산된 배뇨 정보를 이용하여 배뇨 장애를 판단하는 배뇨 장애 판단 모듈(152) 및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152)에 의해 배뇨 장애라고 판단된 경우, 알림 신호를 출력하거나 외부 컴퓨터(30)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알림 모듈(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10)는, 상기 분석 대상 개체의 피부와 대면하는 일면과 반대되는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속옷 탈의 시 상기 분석 대상 개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추가 온도 센서(112)로서, 상기 추가 온도 센서(112)와 접촉하는 부분의 온도를 감지하여 추가 입력 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추가 온도 센서(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제1 온도 레벨 범위로부터 상기 제1 온도 레벨보다 낮은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하는 제1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턴 획득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추가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상기 제1 온도 레벨 범위보다 낮고 상기 제2 온도 레벨보다 높은 제3 온도 레벨 범위로부터 상기 제1 온도 레벨 범위로 상승하는 제5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공간은 화장실이고, 상기 화장실에는 외부를 향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신기(20)가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신호 수신기(131)는 상기 복수개의 신호 발신기(20)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신호 발신기(20)는 적어도 3개 구비되어 상기 위치 정보 연산 모듈(141)이 적어도 3개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기(10)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전술한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을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전술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속옷에 장착되는 측정기로부터 획득되는 입력 온도 신호의 변화에 따라 남성/여성 불문 높은 정확도로 배뇨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입력 온도 신호뿐만 아니라, 측정기의 위치 정보와 추가 입력 온도 신호까지 이용하여 배뇨를 감지함으로써, 저비용의 측정기로도 정확도 높은 배뇨 감지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인 형태로 획득되는 신호들 중 배뇨와 관련된 유효 데이터만을 필터링하고, 유효 데이터로부터 배뇨 정보 및 배뇨 장애 여부를 판단하기에, 연산된 배뇨 정보와 배뇨 장애 여부 판단의 신뢰도가 높다.
넷째, 사용자는 과도하게 불편하거나 번잡한 절차를 강요받지 않으면서 자신의 배뇨 데이터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진단 증상 및 치료에 도움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째, 의료진 입장에서도 환자의 일상 배뇨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전달받은 데이터를 보편적인 기준에 의하여 지연뇨 증상 등을 판단할 수 있어, 숙련도와 무관하게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다.
여섯째, 이러한 데이터는 병원의 EMR 서버에도 기록될 수 있어서, 환자가 편하게 집에서 거주하면서도 모든 데이터들을 병원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들이 누적되고 공유되어 의학 기술에 유용한 빅 데이터(Big Data)가 확보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가 설치된 속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3은 도 1의 측정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측정기가 좌변기가 구비된 소정 공간 내에 위치되어, 소정 공간 내에 구비된 신호 발신기와의 신호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시스템"은 본 출원에 따라 구축되는 물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방법이 아님에 주의한다.
여기에서 "EMR"은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을 의미하며, 이와 관련된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부재를 "EMR 서버"로 지칭한다.
여기에서 "데이터", "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인 신호의 형태로 출력되거나 획득된다.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을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은 분석 대상 개체의 속옷(1, 2)에 부착되는 측정기(1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속옷(1, 2)은 겉옷 내부에서 분석 대상 개체의 신체에 직접 닿게 입는 옷으로, 분석 대상 개체의 성기(남성의 경우 음경, 여성의 경우 음부)의 보호를 위해 착용되는 의류를 칭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측정기(10)는 속옷(1, 2)에 설치되었을 때 분석 대상 개체의 신체와 접촉하도록, 속옷(1, 2)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한편, 측정기(10)는 제1 면(11)과 제2 면(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1)과 제2 면(12)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2 면(12)이 속옷(1, 2) 내측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분석 대상 개체가 속옷(1, 2)를 착용하였을 때 제1 면(11)은 분석 대상 개체의 신체와 맞닿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속옷(1, 2) 내측면에 부착되는 제2 면(12)에는 벨크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벨크로와 속옷(1, 2)의 원단 간의 접착에 의해 측정기(10)가 속옷(1, 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분석 대상 개체의 신체와 접촉하는 제1 면(11)에는 온도 센서(111)가 구비되고, 제2 면(12)에는 음향 센서(121)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센서(111)는 반드시 제1 면(11)에 구비되어야 하나, 음향 센서(121)가 반드시 제2 면(12)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면(11)에 음향 센서(121)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추가 온도 센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속옷(1, 2) 내측면에 설치되는 측정기(10)에 구비된 온도 센서(111)와는 다르게, 추가 온도 센서(40)는 예를 들어 속옷(1, 2) 외측면(즉, 속옷을 착용하였을 때 외부에서 관찰되는 면)에 설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뇨를 위해 분석 대상 개체가 속옷(1, 2)을 뒤집어 내렸을 때 추가 온도 센서(40)는 분석 대상 개체의 신체와 접촉하는 속옷(1, 2)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온도 센서(111)가 구비된 측정기(10)가 속옷(1, 2)의 내측면 상단부 중앙에 위치하는 반면, 추가 온도 센서(40)는 속옷(1, 2)의 외측면 상단부 측부(속옷의 전면과 후면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배뇨 시,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와, 추가 온도 센서(40)에서 출력되는 추가 입력 온도 신호의 패턴은 서로 반대일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는 이러한 데이터의 반대되는 경향을 이용하여 분석 대상 개체의 배뇨 행위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측정기(10)는 신호 수신기(131), 위치 정보 연산 모듈(141),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 음향 저장 모듈(143), 타임 싱크 모듈(144),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 배뇨 장애 판단 모듈(152), 알림 모듈(153), 통신 모듈(161) 및 배터리(171)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기(131)는 외부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배뇨는 소변기나 좌변기가 구비된 화장실에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배뇨를 행하기 위해서는 측정기(10)가 설치된 속옷(1, 2)을 착용한 분석 대상 개체가 화장실로 먼저 이동하는 것이 선제적으로 요구된다. 본 출원에서는, 신호 수신기(131)에 수신된 신호들의 세기를 이용하여 측정기(10)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며, 연산된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화장실)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배뇨를 행하기 위해 분석 대상 개체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미리 결정된 공간(화장실)에는 복수의 신호 발신기(20a, 20b, 20c, 20d … , 20n)이 설치된다. 신호 발신기(20)는 외부를 향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신호 발신기(20)에서 발생된 신호는 특정 형태를 가지며, 신호 수신기(131)는 상기 특정 형태의 신호를 인식 가능하다. 신호 발신기(20)와 신호 수신기(131)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신호 수신기(131)에 도달하는 신호의 세기가 약해질 것이며,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신호 수신기(131)에 도달하는 신호의 세기가 강해질 것이다. 위치 정보 연산 모듈(141)은 신호 수신기(131)에 도달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측정기(10)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게 된다.
여기서, 신호 발신기(20)는 미리 결정된 공간에 복수개 설치되되,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수신기(131)에 도달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면 신호 발신기(20)와 신호 수신기(131) 사이의 거리가 연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3개의 거리를 이용하면 신호 수신기(131)의 3차원 좌표 형태의 위치 정보가 연산될 수 있으며, 이렇게 연산된 측정기(10)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뇨와 관련된 유효 데이터를 높은 정확도로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 위치 정보 연산 모듈(141)에 의해 연산된 측정기(1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기(10)가 설치된 속옷(1, 2)을 착용하고 있는 분석 대상 개체의 배뇨 행위와 관련된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와, 음향 센서(121)에서 출력되는 입력 음향 신호는 온도 센서(111)와 접촉하는 구성의 온도에 따른, 그리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향 신호에 따른 연속적인 신호의 형태를 갖는다(즉,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속적인 신호의 형태를 가짐). 측정기(10)에 구비된 배터리(171)의 전력이 소진될 때까지 24시간 내내 지속적인 신호가 획득되기에, 이 중 배뇨와 관련된 신호만을 선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획득되는 신호(데이터)들 중 배뇨와 관련된 유효 데이터만을 선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이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와, 위치 정보 연산 모듈(141)에 의해 연산된 위치 정보가 어떠한 데이터 패턴을 가졌을 때 유효 데이터로 연산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온도 센서(111)로부터 획득되는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제1 온도 레벨 범위로부터, 제1 온도 레벨보다 낮은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하는 제1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제1 온도 레벨 범위란 섭씨 35도 내지 37도와 같이 정상적인 인간의 신체 온도 범위일 수 있으며, 제2 온도 레벨은 제1 온도 레벨보다 낮은 범위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섭씨 0도 내지 30도 범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 센서(111)는 평시에 분석 대상 개체의 신체와 접촉되어 있으며, 이 때에는 제1 온도 레벨 범위에 해당하는 입력 온도 신호가 관찰될 것이다. 분석 대상 개체가 배뇨를 위해 좌변기에 착좌한 후, 속옷(1, 2)을 내리면 신체와 접촉되어 있는 온도 센서(111)가 신체로부터 이탈된다. 이 때, 온도 센서(111)는 주변 공기와 접촉될 것이며, 일반적으로 배뇨를 행하는 장소의 온도는 신체 온도보다 낮기에 제1 온도 레벨 범위보다 낮은 제2 온도 레벨에 해당하는 입력 온도 신호가 관찰될 것이다.
배뇨를 위해 분석 대상 개체는 하의와 속옷을 내려입어 각 성별의 성기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온도 센서(111)의 신체 접촉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전술한 제1 데이터 패턴이 관찰되면서도, 위치 정보 연산 모듈(141)에 의해 연산된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배뇨와 관련된 유효 데이터로 연산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공간이란 화장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측정기(10)의 메모리(미도시)에는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배뇨를 위해 분석 대상 개체는 좌변기가 마련된 화장실에 입장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배뇨와 관련된 유효 데이터로 연산하기 위해 측정기(10)가 화장실에 위치해있는지 먼저 판단하는 것이 선결 조건이다. 측정기(10)가 화장실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제1 데이터 패턴이 관찰되더라도 분석 대상 개체가 단순히 속옷(1, 2)을 탈의하는 과정에 있는 등 배뇨와 무관한 행위를 수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제1 데이터 패턴이 관찰되고, 연산된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위치 정보가 소정의 제1 높이 레벨 범위로부터 제1 높이 레벨보다 낮은 제2 높이 레벨로 하강하는 제2 데이터 패턴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제1 높이 레벨 범위란 분석 대상 개체의 골반 높이 레벨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높이 레벨은 분석 대상 개체의 무릎 높이 내지 정강이 높이 레벨 사이의 레벨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분석 대상 개체의 신장 및 체중이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입력된 신장 및 체중을 이용하여 분석 대상 개체의 골반 높이 레벨 및 무릎 높이 내지 정강이 높이 레벨이 미리 연산되어 측정기(10)에 저장될 수 있다.
좌변기에서의 배뇨를 위해, 분석 대상 개체는 기립 자세에서 착좌 자세로 자세를 변경하게 된다. 기립 자세에서는 측정기(10)가 속옷(1, 2) 착용 위치인 골반 위치에 위치될 것이고, 착좌 자세에서는 속옷(1, 2)이 무릎이나 정강이로 위치될 것이기 때문에 측정기(10)의 높이 변화를 통해 분석 대상 개체가 배뇨를 위해 속옷을 내려 입고 착좌하는 행위가 감지되는 경우 배뇨 행위가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제1 데이터 패턴이 관찰되고, 연산된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며, 제2 데이터 패턴이 관찰되며,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한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될 수 있다.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제1 온도 레벨 범위에서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한 경우, 배뇨를 위해 속옷(1, 2)을 내려입은 과정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음은 전술한바 있다. 배뇨 행위는 일반적으로 수초 이상 지속된다. 만일, 0.1초 등과 같이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제2 온도 레벨이 유지되는 경우, 배뇨 행위를 수행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한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 시간 이상(예를 들어, 5초 이상, 구체적으로 10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초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이를 배뇨 행위가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제1 데이터 패턴이 관찰되고, 연산된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며, 제2 데이터 패턴이 관찰되고, 제2 데이터 패턴 획득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위치 정보가 제2 높이 레벨로부터 제1 높이 레벨 범위로 상승하는 제3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고,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한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할 수 있다.
제3 데이터 패턴은, 제2 데이터 패턴과 반대되는 데이터 패턴으로서, 배뇨를 마친 분석 대상 개체는 속옷을 올려 입고, 좌변기에서의 착좌 자세에서 기립 자세로 자세를 변경하게 된다. 측정기(10)의 위치 정보 관점에서 살펴보면, 측정기(10)는 제2 높이 레벨에서 제1 높이 레벨 범위로 상승하게 될 것이며, 이를 배뇨 행위를 마치고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는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제1 데이터 패턴이 관찰되고, 제1 데이터 패턴 획득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제2 온도 레벨로부터 제1 온도 레벨 범위로 상승하는 제4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고, 연산된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며, 제2 데이터 패턴이 관찰되고, 제2 데이터 패턴 획득 이후 제3 데이터 패턴이 관찰되고,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한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할 수 있다.
제4 데이터 패턴은, 제1 데이터 패턴과 반대되는 데이터 패턴으로서, 배뇨를 마친 부넉 대상 개체는 속옷을 올려 입고, 따라서 온도 센서(111)는 다시 분석 대상 개체의 신체와 접촉하게 된다. 온도 센서(111) 관점에서 살펴보면, 대기에 노출되어 있다가 대기의 온도보다 높은 분석 대상 개체의 신체와 접촉하기 때문에,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제2 온도 레벨로부터 제1 온도 레벨 범위로 상승하는 패턴을 보일 것이며, 이를 배뇨 행위를 마치고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는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제1 데이터 패턴 획득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추가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제1 온도 레벨보다는 낮으면서 제2 온도 레벨보다는 높은 제3 온도 레벨로부터 제1 온도 레벨 범위로 상승하는 제5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할 수 있다.
추가 온도 센서(40)는, 측정기(10)에 구비된 온도 센서(111)와는 다르게, 속옷(1, 2)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평시에 분석 대상 개체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온도 센서(111)에서 획득되는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보다는 낮은 레벨의 추가 입력 온도 신호가 관찰될 수 있다. 한편, 배뇨를 위해 속옷(1, 2)을 내리는 경우 추가 온도 센서(40)가 분석 대상 개체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추가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제1 온도 레벨 범위로 상승할 수 있으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할 수 있다.
음향 저장 모듈(143)은 음향 센서(121)에서 출력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입력 음향 신호 중,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가 획득된 시간 동안의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온도 센서(111)와 마찬가지로, 음향 센서(121) 역시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향에 따른 입력 음향 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입력 음향 신호의 대부분의 경우 배뇨와 무관하다. 이를 모두 저장한다면, 많은 양의 메모리가 요구되며, 따라서 본 출원에서는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에 해당하는 입력 음향 신호만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타임 싱크 모듈(144)은,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를, 상기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가 획득된 시간 정보와 동기화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2021년 8월 23일 오전 11시 37분 30초에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가 획득되었음이 가정된 경우, 해당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는 "2021년 8월 23일 오전 11시 37분 30초"라는 시간 정보와 함께 동기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타임 싱크 모듈(144)에 의한 시간 정보 동기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추후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에 의한 배뇨 정보가 손쉽게 연산될 수 있다.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은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뇨량, 배뇨 시간, 배뇨 횟수 및 야간뇨 횟수를 포함하는 배뇨 정보를 연산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에 의한 배뇨 정보 연산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은,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된 시간 동안 획득된 입력 음향 신호 중 소변이 좌변기와 부딪힐 때 발생하는 음향 신호가 획득된 시점 또는 소변이 좌변기에 수용된 물과 부딪힐 때 발생하는 음향 신호가 획득된 시점을 배뇨 시작 시점으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은 상기 배뇨 시작 시점 연산 이후,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된 시간 동안 획득된 입력 음향 신호 중 소변이 좌변기와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은 시점 또는 소변이 좌변기에 수용된 물과 부딪힐 때 발생하는 음향 신호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은 시점을 배뇨 종료 시점으로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배뇨 시작 시점과 배뇨 종료 시점의 차이에 해당하는 시간을 배뇨 시간으로 연산할 수 있다.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에 의한 배뇨량 연산은, 연산된 배뇨 시간에 연령에 따른 남성/여성의 시간당 평균 배뇨량 정보를 곱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뇨량은 배뇨 시간에 요속을 곱하여 연산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배뇨 시간에 25 내지 30의 숫자를 곱하여 연산될 수 있다. 이는, 정상 여성의 경우 25~30ml/sec의 속도로 배뇨한다는 통계치에 근거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연산되는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는 시간 정보와 함께 동기화되기 때문에, 하루 동안의 배뇨 횟수, 그리고 야간뇨 횟수(일반적으로, 오전 12시 ~ 오전 7시 사이의 배뇨 횟수)를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뇨 장애 판단 모듈(152)은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에 의해 연산된 배뇨 시간과 배뇨량, 배뇨 횟수 및 야간뇨 횟수 등을 이용하여, 배뇨 장애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배뇨 장애 판단 모듈(152)은 배뇨 시간이 기 설정된 제1 시간보다 큰 경우 지연뇨 증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제1 시간은 30초일 수 있다.
또한, 배뇨 장애 판단 모듈(152)은 하루 동안의 배뇨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빈뇨 증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야간뇨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야간뇨 증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에 의해 연산된 배뇨 정보와, 배뇨 장애 판단 모듈(152)에 의해 판단된 배뇨 장애 여부는 측정기(10)에 구비된 통신 모듈(161)을 통해 외부 컴퓨터(30)에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며, 외부 컴퓨터(30)는 별도의 EMR 서버와 연동되어 의료진에게 즉각적으로 분석 대상 개체의 배뇨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뇨 장애 판단 모듈(152)에 의해 배뇨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측정기(10)에 구비된 알림 모듈(153)이 깜빡임, 경고 신호 출력 등의 형태를 통해 분석 대상 개체에 알리도록 구성되어, 분석 대상 개체가 병원에 내원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를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의 구성 전체 내지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온도 센서를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시스템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위 설명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출원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속옷
10: 측정기
11: 제1 면
12: 제2 면
20: 신호 발신기
30: 외부 컴퓨터
40: 추가 온도 센서
111: 온도 센서
121: 음향 센서
131: 신호 수신기
141: 위치 정보 연산 모듈
142: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
143: 음향 저장 모듈
144: 타임 싱크 모듈
151: 배뇨 정보 연산 모듈
152: 배뇨 장애 판단 모듈
153: 알림 모듈
161: 통신 모듈
171: 배터리

Claims (13)

  1. 분석 대상 개체의 속옷에 부착되는 측정기(10)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 대상 개체의 배뇨 정보를 연산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측정기(10)는,
    상기 분석 대상 개체의 피부와 대면하는 일면에 설치되고 온도 센서(111)로서, 상기 온도 센서(111)와 접촉하는 부분의 온도를 감지하여 입력 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111);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향을 감지하여 입력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센서(121);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제1 온도 레벨 범위로부터 상기 제1 온도 레벨보다 낮은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하는 제1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하는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 및
    연산된 상기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와 상기 음향 센서(121)에서 출력되는 입력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 대상 개체의 배뇨 시간 및 배뇨량을 포함하는 배뇨 정보를 연산하는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을 포함하는,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10)는,
    외부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기(131); 및
    상기 신호 수신기(131)에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기(10)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는 위치 정보 연산 모듈(14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상기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고, 연산된 상기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하는,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상기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고, 연산된 상기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가 소정의 제1 높이 레벨 범위로부터 상기 제1 높이 레벨보다 낮은 제2 높이 레벨로 하강하는 제2 데이터 패턴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하는,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상기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고, 연산된 상기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가 소정의 제1 높이 레벨 범위로부터 상기 제1 높이 레벨보다 낮은 제2 높이 레벨로 하강하는 제2 데이터 패턴을 모두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한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하는,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상기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고, 연산된 상기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가 소정의 제1 높이 레벨 범위로부터 상기 제1 높이 레벨보다 낮은 제2 높이 레벨로 하강하는 제2 데이터 패턴 및 상기 제2 데이터 패턴 획득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제2 높이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높이 레벨 범위로 상승하는 제3 데이터 패턴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한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하는,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상기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온도 신호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턴 및 상기 제1 데이터 패턴 획득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상기 제2 온도 레벨로부터 상기 제1 온도 레벨 범위로 상승하는 제4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고, 연산된 상기 위치 정보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가 소정의 제1 높이 레벨 범위로부터 상기 제1 높이 레벨보다 낮은 제2 높이 레벨로 하강하는 제2 데이터 패턴 및 상기 제2 데이터 패턴 획득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 중 상기 제2 높이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높이 레벨 범위로 상승하는 제3 데이터 패턴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한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하는,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1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입력 음향 신호 중, 상기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가 획득된 시간 동안의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음향 저장 모듈(14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은,
    상기 음향 저장 모듈(143)에 저장된 음향 신호의 지속기간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 및 배뇨량을 연산하는,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10)는,
    상기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를, 상기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가 획득된 시간 정보와 동기화하는 타임 싱크 모듈(14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은,
    시간 정보와 동기화된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뇨 횟수 및 야간뇨 횟수를 더 연산하는,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10)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151)에 의해 연산된 배뇨 정보를 이용하여 배뇨 장애를 판단하는 배뇨 장애 판단 모듈(152); 및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152)에 의해 배뇨 장애라고 판단된 경우, 알림 신호를 출력하거나 외부 컴퓨터(30)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알림 모듈(153);을 더 포함하는,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10)는,
    상기 분석 대상 개체의 피부와 대면하는 일면과 반대되는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속옷 탈의 시 상기 분석 대상 개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추가 온도 센서(112)로서, 상기 추가 온도 센서(112)와 접촉하는 부분의 온도를 감지하여 추가 입력 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추가 온도 센서(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 데이터 연산 모듈(142)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제1 온도 레벨 범위로부터 상기 제1 온도 레벨보다 낮은 제2 온도 레벨로 하강하는 제1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턴 획득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추가 입력 온도 신호의 레벨이 상기 제1 온도 레벨 범위보다 낮고 상기 제2 온도 레벨보다 높은 제3 온도 레벨 범위로부터 상기 제1 온도 레벨 범위로 상승하는 제5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이를 배뇨 관련 유효 데이터로 연산하는,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공간은 화장실이고, 상기 화장실에는 외부를 향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신기(20)가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신호 수신기(131)는 상기 복수개의 신호 발신기(20)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신호 발신기(20)는 적어도 3개 구비되어 상기 위치 정보 연산 모듈(141)이 적어도 3개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기(10)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연산하는,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6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을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 방법.
  13. 제12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19760A 2021-09-08 2021-09-08 온도 센서를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KR20230036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760A KR20230036816A (ko) 2021-09-08 2021-09-08 온도 센서를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760A KR20230036816A (ko) 2021-09-08 2021-09-08 온도 센서를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816A true KR20230036816A (ko) 2023-03-15

Family

ID=8564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760A KR20230036816A (ko) 2021-09-08 2021-09-08 온도 센서를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81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531A (ko) 2019-10-04 2021-04-15 주식회사 모닛 스마트 기저귀를 포함한 배변량 측정 시스템
KR102247730B1 (ko) 2018-06-29 2021-05-04 다인기술 주식회사 배뇨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730B1 (ko) 2018-06-29 2021-05-04 다인기술 주식회사 배뇨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10041531A (ko) 2019-10-04 2021-04-15 주식회사 모닛 스마트 기저귀를 포함한 배변량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2200B2 (en) Method for monitoring incontinence
US20190350553A1 (en) System for monitoring incontinence
ES2747261T3 (es) Sensores de impedancia para detectar y supervisar humedad en artículos absorbentes
EP3644839A1 (en) Operation-verifying wearable vapor sensor
Park et al. Gait phase detection using force sensing resistors
CN102843962A (zh) 脉搏波传播速度测定装置、脉搏波传播速度的测定方法以及脉搏波传播速度的测定程序
JP6339480B2 (ja) 失禁を監視する方法
US11944438B2 (en) System for detecting female urination by using wearable devic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US10709372B2 (en) System for monitoring incontinence
KR20230036816A (ko) 온도 센서를 이용한 배뇨 정보 연산 시스템
JP2003190168A (ja) 尿失禁予防システム並びにセンサーパッド設計装置及び尿失禁予防機器
KR20210035698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Saidani et al. A prototype design of a smart shoe insole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of patients
US20120184877A1 (en) Signal transmission through a medium
EP35495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subject
NL2013740B1 (en) A system for monitoring incontinence.
JP2020124497A (ja) 排尿管理装置、排尿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712273B1 (ko) 밸브를 구비한 요속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요속 측정 방법
AU2014259487B2 (en) A Method For Monitoring Incontinence
NL2013738B1 (en) A method for monitoring incontinence.
KR101718192B1 (ko)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NL2013734B1 (en) A system for monitoring incontinence
AU2018229541A1 (en) System For Monitoring Incontinence
JP2019072499A (ja) 失禁を監視するシステム
US20150099988A1 (en) Blood viscosity measuring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