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760A -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760A
KR20230036760A KR1020210119618A KR20210119618A KR20230036760A KR 20230036760 A KR20230036760 A KR 20230036760A KR 1020210119618 A KR1020210119618 A KR 1020210119618A KR 20210119618 A KR20210119618 A KR 20210119618A KR 20230036760 A KR20230036760 A KR 20230036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g
nozzle
pressure air
cleaning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714B1 (ko
Inventor
김계홍
Original Assignee
에이에프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에프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에프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71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진기용 필터백의 내부로 분사노즐을 삽입한 상태에서 고압 공기로 오염물질에 의해 폐색된 필터백을 클리닝하는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FILTER BAG}
본 발명은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진기용 필터백의 내부로 분사노즐을 삽입한 상태에서 고압 공기로 오염물질에 의해 폐색된 필터백을 클리닝하는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집진기의 내부에는 공기중 미세한 오염물질이나 분진 등을 흡착 제거하기 위해 공기 순환 경로나 배출 경로에 필터백(filter bag)을 설치하여 공기를 정화하고 있다.
이러한 필터백은 공장 등의 설치 환경에 따라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필터 백(혹은 여과포)의 표면에 분진과 오염물질이 쌓여 폐색되며, 이로 인해 집진기의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
따라서, 소정 주기로 필터백을 클리닝하여 재생시켜야 하는데, 종래에는 필터백 내부에 다량의 고압 공기를 공급하여 필터백이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분진과 오염물질 등을 탈리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필터백의 변형(팽창/수축)을 통한 탈리 방식은 필터백에 작용되는 힘이 작아서 분진과 오염물질을 탈리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이에 의해 클리닝 이후에도 필터가 충분한 수준까지 재생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도 1과 같이, 최근에는 필터백(FB)에 분사노즐(NZ)을 투입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필터백(FB)의 표면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고, 그 충격으로 필터백(FB)에 부착된 분진이나 오염물질을 탈리시키는 분사식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분사식 클리닝 장치는 고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NZ)로 클리닝을 진행하므로, 그 과정에서 분진 등 각종 오염물질이 비산하여 확산되므로 작업 환경이 열악하고,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국부적이면서 지향성을 갖도록 분출되는 고압 공기로 필터백(FB) 전체를 클리닝하기 위해, 큰 하중과 진동이 전달되는 분사노즐(NZ)을 작업자가 직접 잡고 필터백(FB)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더욱이, 종래의 분사식 클리닝 장치는 오직 하나의 분사노즐(NZ)만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클리닝용 고압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작업자는 한번에 하나의 필터백(FB)을 클리닝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14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020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사노즐에서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필터백을 클리닝 중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비산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 호스가 감겨 있는 공급릴을 감거나 푸는 방식에 의해, 상기 노즐 호스의 단부에 결합된 분사노즐을 필터백 내부에서 승하강시킴으로써 작업자의 관여 없이 자동으로 클리닝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공급릴을 이용하여 필터백에 각각 분사노즐을 투입한 상태에서 동시에 다수의 필터백을 클리닝함으로써 클리닝 작업 시간 및 가동 중단 시간을 월등히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은 집진기용 필터백의 내부에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백을 클리닝하는 것으로, 고압 공기를 생성하는 에어 컴프레서와; 상기 에어 컴프레서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노즐 호스와; 상기 노즐 호스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백 내부로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백을 향해 고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필터백의 설치 장소에서 상기 필터백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며, 일측에는 상기 분사노즐이 필터백 내부까지 투입되도록 안내하는 투입구가 구비된 밀폐 커버; 및 상기 밀폐 커버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고압 공기를 필터백에 분사하여 클리닝시 발생한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노즐 호스를 감거나 풀어 인출시키는 공급릴과;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릴을 정역 회전시키는 릴 구동기; 및 상기 필터백 내부에서 상기 분사노즐이 위치하는 높이에 따라 상기 릴 구동기를 구동시키는 원격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릴은 다수개이고, 상기 공급릴에 감겨져 있는 노즐 호스에 각각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통해 동시에 여러개의 집진기용 필터백을 클리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식으로 상기 밀폐 커버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밀폐 커버의 상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노즐 호스를 잡아주는 호스 가이드를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백 클리닝 방법은 필터백이 설치된 장소에서 밀폐 커버로 상기 필터백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밀폐 단계와; 노즐 호스의 단부에 연결된 분사노즐을 상기 밀폐 커버의 일측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필터백 내부까지 투입시키는 노즐 투입 단계와; 고압 공기를 생성하는 에어 컴프레서를 작동시켜, 상기 노즐 호스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로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단계와; 상기 분사노즐에서 필터백을 향해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백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단계; 및 상기 밀폐 커버에 연결된 흡입장치를 통해, 상기 고압 공기를 필터백에 분사시 비산된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정화하는 정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노즐 투입 단계는 이동식으로 상기 밀폐 커버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밀폐 커버의 상측까지 연장된 호스 가이드에 상기 노즐 호스를 걸친 후 상기 분사노즐을 필터백 내부로 투입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리닝 단계는 상기 노즐 호스를 감거나 풀어 인출시키는 공급릴; 및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릴을 정역 회전시키는 릴 구동기;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백 내부에서 상기 분사노즐이 위치하는 높이에 따라 상기 릴 구동기를 구동시켜 상기 분사노즐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클리닝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릴은 다수개이고, 상기 공급릴에 감겨져 있는 노즐 호스에 각각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통해 동시에 여러개의 집진기용 필터백을 클리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노즐 호스를 통해 유입된 고압 공기를 공급하며, 측부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공급 샤프트와; 상기 공급 샤프트와 일정 간극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공급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형성되되, 축심을 기준으로 법선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유입된 고압 공기를 분출시키는 고압 토출공; 및 상기 회전자에 형성되되, 상기 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유입된 고압 공기를 분출시키는 회전 토출공;을 포함하여, 상기 고압 공기가 상기 회전 토출공을 통해 분출됨에 따라 상기 회전자가 자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고압 토출공을 통해 분출된 고압 공기로 상기 필터백을 클리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분사노즐에서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필터백을 클리닝 하는 중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비산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환경 오염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 호스가 감겨 있는 공급릴을 감거나 푸는 방식에 의해, 상기 노즐 호스의 단부에 결합된 분사노즐을 필터백 내부에서 승하강시킴으로써 작업자의 관여 없이 자동으로 클리닝이 진행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공급릴을 이용하여 필터백에 각각 분사노즐을 투입한 상태에서 동시에 다수의 필터백을 클리닝함으로써 클리닝 작업 시간 및 가동 중단 시간을 월등히 단축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사노즐을 이용한 고압 분사식 필터백 클리닝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노즐을 이용한 고압 분사식 필터백 클리닝 방법을 나타낸 개략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흡입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 공급릴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백 클리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분사노즐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분사노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공급 샤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공급 샤프트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상부 커버를 구성하는 풀림방지 너트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상부 커버를 구성하는 체결 커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부 커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회전자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클리닝 시스템을 이용한 필터백 클리닝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사노즐(300)을 집진기용 필터백(filter bag, FB)의 내부에 투입 후, 필터백(FB)을 향해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해당 필터백(FB)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나 오염물질 등을 탈리시켜 클리닝을 진행한다.
일 예로, 필터백(FB)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단면이 원형인 포켓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분사노즐(300)에 의해 먼지나 오염물질 등을 탈리시키면 필터백(FB)이 재생되어 계속해서 필터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필터백(FB)은 분진 등을 흡착, 포집하도록 여과포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형상과 필터 기능의 유지를 위해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케이지(CG)에 씌워진 상태로 집진용 필터로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은 분사노즐(300)이 노즐 호스(200)에 장착되어 고압 공기를 공급받고, 노즐 호스(200)를 감거나 푸는 방식으로, 필터백(FB) 내에서 상하 왕복이동하며 필터백(FB) 전체에 대한 클리닝을 진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 공기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필터백(FB) 클리닝(재생) 중 발생하는 먼지나 각종 오염물질이 작업자에게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 커버(400)를 덮은 상태에서 클리닝을 진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 커버(400)에 흡입구를 구비하고, 밀폐 커버(400)의 내측에서 비산중인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흡입구에 흡입장치(500)를 설치하여, 작업 중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은 집진기용 필터백(FB)에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필터백(FB)을 클리닝하도록, 에어 컴프레서(100), 노즐 호스(200), 분사노즐(300), 밀폐 커버(400), 및 흡입장치(5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공급릴(210), 릴 구동기(220) 및 원격 구동기(230)를 더 포함하여 노즐 호스(200)에 장착된 분사노즐(300)을 필터백(FB) 내에서 승하강시킨다. 또한, 호스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노즐 호스(200)의 권취 혹은 권출을 안내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에어 컴프레서(100)는 고압 공기를 생성하는 것으로, 모터 등에 의해 주변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한다. 생성된 압축 공기는 노즐 호스(200)를 통해 분사노즐(300)까지 공급된다.
이러한 에어 컴프레서(100)는 필터백(FB)의 클리닝에 필요한 고압 공기의 세기나 양에 따라 그 용량이 결정될 수 있으며, 지상에 별도로 설치되어 연결 호스를 통해 공급하거나 공장 천정 등 클리닝 장소에 다른 장치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노즐 호스(200)는 상기 에어 컴프레서(100)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길이 부재인 노즐 호스(200)의 입력측은 에어 컴프레서(100)로부터 생성된 고압 공기를 입력받고, 출력측은 분사노즐(300)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노즐 호스(200)는 커넥팅 로드(CR)를 통해 분사노즐(300)의 상단에 연결되며, 또한 공급릴(210)에 감겨 권취되거나 권출된다. 공급릴(210)에 의한 노즐 호스(200)이 권취나 권출되면 분사노즐(300)은 필터백(FB) 내에서 승하강된다.
분사노즐(300)은 상기 노즐 호스(200)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클리닝 작업시 필터백(FB) 내부로 투입된 상태에서 필터백(FB)을 향해 고압 공기를 분사한다.
특히, 분사노즐(300)은 그 축심을 기준으로 자전하며 필터백(FB)에 고압 공기를 분사하는 '자전(self-rotation) 방출식 필터백 클리닝 분사노즐'에 해당하는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부가 개방되며 집진기용 필터백(FB)이 씌워져 있는 케이지(CG) 내부로 삽입되어 필터백(FB)을 클리닝한다.
일 예로 필터백(FB)의 클리닝은 케이지(CG) 내에 삽입된 분사노즐(300)의 회전자(340)가 360°회전하면서 전방향으로 고압 공기를 분사하고, 그 상태에서 분사노즐(300)이 상하로 이동되어 필터백(FB) 전체에 대한 클리닝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분사노즐(3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밀폐 커버(400)는 필터백(FB)의 설치 장소에서 상기 필터백(FB)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는 것으로, 일측에는 분사노즐(300)이 필터백(FB) 내부까지 투입되도록 안내(통과)하는 투입구(420)가 구비된다.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필터백(FB)이 공정 천정의 매입 홀에 내에 메달려 설치되는 경우, 밀폐 커버(400)는 커버 몸체(410)가 매입 홀을 덮도록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속이 반 구(hemisphere) 형상의 덮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 커버(400)는 필터백(FB)의 상단 개구측을 덮도록 설치된 이후 고정될 수 있도록, 밀폐 커버(400)의 하단 테두리(411) 부분에 각종 지그나 혹은 마그네틱을 구비하여 설치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300)이 투입되도록 안내하는 투입구(420)는 일 예로 밀폐 커버(400)의 상단부 중심에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인입 통로 역할을 하는 투입구(420)에는 실링 수단(sealing, 43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 수단(430)은 일 예로 투입구(420)를 막는 탄성 재질의 박판편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절개된 상태의 다수의 박판편은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투입구(420)를 막아 먼지 등의 비산을 방지한다. 반면, 분사노즐(300)을 투입시에는 구부러져 분사노즐(300)이 통과되게 한다.
흡입장치(500)는 필터백(FB)으로부터 밀폐 커버(400)까지 상승한 먼지 등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쾌적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밀폐 커버(400)의 타측에 연결되며, 고압 공기를 필터백(FB)에 분사시 발생한 오염물질을 흡입한다.
이러한 흡입장치(500)는 분사노즐(300)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밀폐 커버(400)의 타측에 연결 설치된다. 예컨대, 밀폐 커버(400)의 상단 중심부에 투입구(420)가 구비된 경우 그 측부에 흡입장치(500)가 연결 설치된다.
도 4와 같이, 흡입장치(500)로는 밀폐 커버(400)에 연결된 커넥터(510)와, 상기 커넥터(510)에 연결된 배기 호스(520)와, 상기 배기 호스(520)의 배출단에 연결된 정화 필터(530) 및 상기 정화 필터(530)의 배출단에 연결된 배기구(540)를 포함한다.
따라서, 분사노즐(300)을 필터백(FB) 내에 투입하여 고압 공기를 분사시 발생한 오염물질이 비산하여 밀폐 커버(400)까지 상승하면, 흡입장치(500)로 이를 흡입하여 정화 필터로 정화 후 깨끗한 공기만을 배출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은 노즐 호스(200)를 감거나 풀어 인출시키는 공급릴(210)과,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공급릴(210)을 정역 회전시키는 릴 구동기(220) 및 필터백(FB) 내부에서 분사노즐(300)이 위치하는 높이에 따라 릴 구동기(220)를 구동시키는 원격 구동기(230)를 더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성들은 필터백(FB)이 설치된 작업 현장에 이동식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240)에 설치된다. 베이스 프레임(240)은 고압 공기의 공급을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동 수단(211)을 구비한다. 이동 수단(211)은 바퀴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손잡이(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공급릴(210)은 베이스 프레임(240) 상에서 회전판(25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판(250)은 상면에 공급릴(210)이 설치되는 것으로, 스톱퍼(251)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설정된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된다. 이를 통해 공급릴(210)의 자세(방위각)를 조절하여 필터백(FB)이 있는 작업 위치를 향해 노즐 호스(200)가 인출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릴(210)은 노즐 호스(200)를 감거나 풀어 인출시키는 것으로, 중심부에는 권취부가 구비되고 그 양측에는 회전축이 결합된 플랜지를 구비한다. 공급릴(210)에 감긴 노즐 호스(200)는 커넥팅 로드(CR)를 통해 분사노즐(300)의 상단에 연결된다.
릴 구동기(220)는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공급릴(210)을 정역 회전시키는 것으로, 구동모터 및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한다. 동력전달기어는 구동모터의 축과 공급릴(210)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구동모터의 작동시 공급릴(210)을 회전시킨다.
일 예로 공급릴(21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노즐 호스(200)를 풀어주면 분사노즐(300)이 필터백(FB) 내부로 인입 후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와 반대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노즐 호스(200)가 감겨 분사노즐(300)이 상측으로 인출된다.
이때, 공급릴(210)의 전방측에는 공급중인 노즐 호스(200)의 꼬임을 방지하면서도 클리닝 작업 중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다단에 걸쳐 설치된 수평 안내롤(211)과 수직 안내롤(2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노즐 호스(200)를 집진기용 필터백(FB)(혹은 케이지) 내부로 분사노즐(300)을 직접 투입하고, 또한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힘든 작업을 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클리닝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도 5와 같이, 상기 공급릴(210)은 다수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개의 공급릴(210: 210-1, 210-2, 210-3)은 베이스 프레임(240) 위에 함께 설치되며, 공급릴(210)에 감겨져 있는 노즐 호스(200: 200-1, 200-2, 200-3)에는 각각 분사노즐(300)이 연결되어 다수개의 분사노즐(300)이 구비된다.
다수개의 공급릴(210)에 감겨져 있는 노즐 호스(200)에 각각 연결되도록 분사노즐(300) 역시 다수개 구비하면 동시에 여러개의 필터백(FB)을 클리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시간을 월등히 단축시키게 된다.
일 예로,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240) 위에 3개의 공급릴(210)을 일렬로 나란히 설치하고, 공급릴(210)에서 인출된 노즐 호스(200)에 각각 분사노즐(300)을 장착하면, 다수개의 분사노즐(300)을 통해 동시에 여러개의 집진기용 필터백(FB)을 클리닝하게 된다.
위와 같은 노즐 호스(200)는 호스 가이드(6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스 가이드(600)는 노즐 호스(200)를 잡아주는 것으로, 이동식으로 밀폐 커버(400)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일단부가 밀폐 커버(400)의 상측까지 연장되어 노즐 호스(20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2로 다시 돌아가, 실시예로 호스 가이드(600)는 설치면 상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대(610) 및 상기 지지대(6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거치대(620)를 포함한다. 거치대(620)의 종단부는 밀폐 커버(400)의 상부 중심측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지지대(610)의 하단부에는 설치면 바닥에 지지되는 설치대(611)를 포함하여 호스 가이드(600)가 안정적으로 세워져 설치되게 한다. 이러한 취지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설치대(611)에는 지그나 볼트와 같은 조립구를 통해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620)의 단부에는 노즐 호스(200)가 끼워지도록 중공부를 갖는 베어링 그립부(621)를 포함한다. 따라서, 베어링 그립부(621)의 중공부에 노즐 호스(200)가 끼워져 지지되며 베어링에 의해 승하강을 안내한다.
또한, 지지대(610)와 거치대(620)의 연결 지점에는 힌지(630)를 구비하여, 힌지(630)를 중심으로 거치대(620)를 상하로 회동시켜 그 자세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같은 취지로 거치대(620)와 베어링 그립부(621) 사이에는 회동축 모듈(622)을 구비하여 거치대(620)를 축심으로 베어링 그립부(621)를 회전시켜 그 자세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사노즐(300)이 투입되는 밀폐 커버(400)의 직상부에 베어링 그립부(621)가 위치하도록 호스 가이드(600)를 설치하면, 노즐 호스(200)가 수직하게 지지되고, 그 하단에 연결된 분사노즐(300)이 수직하게 세워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백 클리닝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필터백 클리닝 방법은 밀폐 단계(S110), 노즐 투입 단계(S120), 공기 공급 단계(S130), 클리닝 단계(S140) 및 정화 단계(S150)를 포함하며, 실시예로 각 단계는 본 발명의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에 의해 실행된다.
이때, 상기 밀폐 단계(S110)에서는 필터백(FB) 설치 장소에서 밀폐 커버(400)로 필터백(FB)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킨다. 필터백(FB)은 일 예로 공장의 천정에 거치되어 사용되며, 분사노즐(300)이 필터백(FB) 내부까지 투입될 수 있도록 밀폐 커버(400)에는 투입구(420)가 구비된다.
필터백(FB)이 공정 천정의 매입 홀에 내에 메달려 설치되는 경우, 밀폐 커버(400)는 필터백(FB)에 연결된 매입 홀을 덮도록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속이 반 구(hemisphere) 형상의 덮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 커버(400)는 필터백(FB)의 상단 개구측을 덮도록 설치 후 고정될 수 있도록, 밀폐 커버(400)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 각종 지그나 혹은 마그네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300)이 투입되는 투입구(420)가 밀폐 커버(400)의 상단부 중심에 관통 형성되어 있으면, 인입 통로 역할을 하는 투입구(420)에는 실링 수단(430)을 추가하여 필터백(FB) 클리닝 중 먼지 등의 유출을 방지한다.
다음, 노즐 투입 단계(S120)는 분사노즐(300)을 클리닝 대상인 필터백(FB) 내부로 투입하여 해당 필터백(FB)의 클리닝을 준비하는 단계로, 노즐 호스(200)에 연결된 분사노즐(300)을 밀폐 커버(400)의 투입구(420)를 통해 필터백(FB) 내부까지 투입한다.
노즐 호스(200)는 에어 컴프레서(100)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길이 부재인 노즐 호스(200)의 입력측은 에어 컴프레서(100)에 연결되고, 출력측은 분사노즐(300)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노즐 호스(200)는 후술하는 커넥팅 로드(CR)를 통해 분사노즐(300)의 상단에 연결되며, 공급릴(210)에 감겨 권취되거나 권출된다. 공급릴(210)에 의한 노즐 호스(200)의 권취나 권출에 의해 분사노즐(300)은 필터백(FB) 내에서 승하강된다.
다만, 분사노즐(300)을 필터백(FB) 내부로 투입시, 분사노즐(300)에 연결된 노즐 호스(200)를 호스 가이드(600)에 장착한 상태에서 투입하는 것이 바람한데, 노즐 호스(200)가 호스 가이드(600)에 장착되면 그 하단의 분사노즐(300)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호스 가이드(600)는 이동식으로 밀폐 커버(400)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일단부가 밀폐 커버(400)의 상측까지 연장된 호스 가이드(600)에 노즐 호스(200)를 걸친 후 분사노즐(300)을 필터백(FB)에 투입한다.
실시예로 호스 가이드(600)는 설치면 상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대(610) 및 상기 지지대(6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거치대(620)를 포함하며, 거치대(620)의 단부는 밀폐 커버(400)의 상부 중심측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노즐 호스(200)가 호스 가이드(600)에 장치된 상태에서 밀폐 커버(400)의 상단 중심부를 통해 분사노즐(300)이 수직 하강하여 필터백(FB) 내부로 투입되며, 투입 후에는 수직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공기 공급 단계(S130)에서는 고압 공기를 생성하는 에어 컴프레서(100)를 작동시켜, 상기 노즐 호스(200)를 통해 분사노즐(300)로 고압 공기를 공급한다. 분사노즐(300)로 공급된 고압 공기는 그 외측에 둘러싸인 필터백(FB)을 향해 분사된다.
이를 위해 에어 컴프레서(100)는 고압 공기를 생성한다. 에어 컴프레서(100)는 모터 등에 의해 주변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생성된 압축 공기는 노즐 호스(200)를 통해 분사노즐(300)까지 공급된다.
또한, 에어 컴프레서(100)는 필터백(FB)의 클리닝에 필요한 고압 공기의 세기나 양에 따라 그 용량이 결정될 수 있으며, 지상에 별도로 설치되어 연결 호스를 통해 공급하거나 공장 천정 등 클리닝 장소에 다른 장치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다음, 클리닝 단계(S140)에서는 분사노즐(300)에서 필터백(FB)을 향해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필터백(FB)을 클리닝한다. 클리닝은 필터백(FB)의 재생을 위한 것으로 분사노즐(300)을 필터백(FB) 내부로 투입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본 발명에서 분사노즐(300)은 그 축심을 기준으로 자전하며 필터백(FB)에 고압 공기를 분사하는 '자전 방출식 필터백 클리닝 분사노즐'로, 정확히는 집진기용 필터백(FB)이 씌워져 있는 케이지(CG) 내부로 투입되어 클리닝한다.
일 예로 필터백(FB)의 클리닝은 케이지(CG) 내에 삽입된 분사노즐(300)의 회전자(340)가 360°회전하면서 전방향으로 고압 공기를 분사하고, 그 상태에서 분사노즐(300)이 상하로 이동되어 필터백(FB) 전체에 대한 클리닝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클리닝 단계(S140)에서는 분사노즐(300)로 고압 공기를 분사하면서 필터백(FB)을 따라 상하로 승하강시킨다. 따라서, 일정 높이를 갖는 형상의 필터백(FB) 전체가 클리닝된다.
이를 위해, 노즐 호스(200)를 감거나 풀어 인출시키는 공급릴(210) 및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릴(210)을 정역 회전시키는 릴 구동기(220)를 포함하여, 필터백(FB) 내부에서 분사노즐(300)이 위치하는 높이에 따라 릴 구동기(220)를 구동시켜 분사노즐(300)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클리닝이 진행된다.
이때, 공급릴(210)이 다수개이고, 상기 공급릴(210)에 감겨져 있는 노즐 호스(200)에 각각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300)을 구비하면, 다수개의 분사노즐(300)을 통해 동시에 여러개의 집진기용 필터백(FB)을 클리닝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한다.
다음, 정화 단계(S150)에서는 밀폐 커버(400)에 연결된 흡입장치(500)를 통해, 고압 공기를 필터백(FB)에 분사시 비산된 오염물질을 흡입한다. 이러한 정화 단계(S150)는 크리닝 단계가 진행 중에 계속해서 실행(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화를 위해 흡입장치(500)는 고압 공기를 필터백(FB)에 분사시 발생된 오염물질을 흡입한다. 즉, 필터백(FB)으로부터 밀폐 커버(400)까지 상승한 먼지 등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쾌적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흡입장치(500)는 분사노즐(300)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밀폐 커버(400)의 타측에 연결 설치된다. 예컨대, 밀폐 커버(400)의 상단 중심부에 투입구(420)가 구비된 경우 그 측부에 흡입장치(500)가 설치된다.
흡입장치(500)로는 밀폐 커버(400)에 형성된 커넥터(510)와, 상기 커넥터(510)에 연결된 배기 호스(520)와, 상기 배기 호스(520)의 배출단에 연결된 정화 필터(530) 및 상기 정화 필터(530)의 배출단에 연결된 배기구(540)를 포함한다.
따라서, 분사노즐(300)을 필터백(FB) 내에 투입하여 고압 공기를 분사시 발생한 먼지 등 오염물질이 비산하여 밀폐 커버(400)까지 상승하면, 흡입장치(500)로 이를 흡입하여 정화 필터로 정화 후 깨끗한 공기만을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에 적용되는 분사노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분사노즐(300) 및 그 부품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분사노즐(300)은 공급 샤프트(310), 상부 커버(320), 하부 커버(330), 회전자(340), 상부 베어링(350) 및 하부 베어링(360)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사노즐(300)은 집진기용 필터백(FB)의 내부에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해당 필터백(FB)을 클리닝하는 것으로, 일 예로 필터백(FB)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단면이 원형인 포켓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필터백(FB)은 분진등을 흡착, 포집하도록 여과포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형상 및 필터 기능의 유지를 위해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케이지(CG)에 씌워진 상태로 집진용 필터로 사용된다.
따라서, 분사노즐(300)을 케이스 내부로 삽입하면, 고압 공기를 전달하는 공급 샤프트(310)를 축심으로 회전자(340)가 회전되고, 회전자(340)는 전달된 고압 공기를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케이지(CG)를 통과하여 필터백(FB)에 분사한다.
또한, 상기 회전자(340)는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그 상하부가 상부 커버(320)와 하부 커버(330)의 수용홈 내에 삽입된다. 동시에 회전자(340)와 상부 커버(320) 사이에는 상부 베어링(350)이 삽입되고, 회전자(340)와 하부 커버(330) 사이에는 하부 베어링(360)이 삽입되어 회전을 안내한다.
특히, 회전자(340)에는 필터백(FB)에 고압 공기를 분사시키기 위한 고압 토출공과 함께 회전자(340) 스스로 자전(self-rotation)할 수 있도록 회전 토출공을 구비하여, 균일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고압 공기를 분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회전자(340)가 안착되어 있는 하부 커버(3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회전자(340)로 고압 공기를 공급하도록 공급 샤프트(3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공의 개구(opening) 면적을 조절하여 분사속도 및 분사량을 조절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공급 샤프트(310)는 고압 공기 공급장치로부터 고압 공기(크리닝용 유체)를 전달받아 회전자(340)에 공급하는 것으로, 공급 샤프트(310)에서 회전자(340)로 공급된 고압 공기는 필터백(FB)에 분사된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공급 샤프트(310)에는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유로(3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하단부(311b)는 막혀 있고, 측부에는 유로(311a)에 연결된 배출공(314)이 형성되어 있다.
유로(311a)는 공급 샤프트(310)의 중공부에 형성되며, 회전자(340)가 끼워지는 외측방향(축의 외주면 방향)을 통해서만 고압 공기가 안내되도록 하단부(311b)는 막혀있으며, 배출공(314)은 그보다 상류측에 관통 형성된다.
실시예로, 공급 샤프트(3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샤프트 몸체(311),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312), 상부 커버(320)의 조립을 위한 커버 조립용 나사산(313) 및 공급된 고압 공기가 분출되는 다수의 배출공(314)을 포함한다.
이때, 샤프트 몸체(311)는 개방된 상단부에서 중공부까지 고압 공기가 공급되는 유로(311a)가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몸체(311)의 개방된 상단부에는 커넥터(312)가 구비되어 장치가 연결되고, 그 반대측의 하단부(311b)는 막혀 있다.
커넥터(312)는 샤프트 몸체(311)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고압 공기 공급장치에 연결된다. 연결을 위해 커넥터(312)는 샤프트 몸체(311)보다 직경이 크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체결 타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커넥터(312)의 바닥면 중심부는 상기 샤프트 몸체(311)의 중공부에 연결된다.
커버 조립용 나사산(313)은 상기 커넥터(312)로부터 일정 거리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샤프트 몸체(31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샤프트 몸체(311)의 외주면에 돌출된 상태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 조립용 나사산(313)에는 상부 커버(320)가 나사결합된다.
배출공(314)은 상기 커버 조립용 나사산(313)으로부터 일정 거리 하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개(예: 90°간격으로 4개)로 구비되어 각각 샤프트 몸체(311) 중공부의 유로에 연결된다.
상부 커버(320)는 공급 샤프트(310)에 끼워져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아래에 조립되는 회전자(340)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으로, 하단부에는 제1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자(340)의 상단측 일부가 제1 수용홈 내에 안착된다.
실시예로, 상부 커버(320)는 공급 샤프트(310)의 상부에서 커버 조립용 나사산(313) 중 일부분에 나사 체결되는 풀림방지 너트(321) 및 상기 풀림방지 너트(321)의 하측에서 커버 조립용 나사산(313) 중 나머지 부분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 커버(322)를 포함한다.
도 11과 같이, 풀림방지 너트(321)는 상기 체결 커버(322)와 함께 더블 너트(double nut)를 구성하는 것으로, 중심을 관통하여 그 전체에 나사산(32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외측면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원형으로 이루지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원형 고리 형상이 된다. 이 경우 일측부에는 나사 조임이나 풀림을 위한 공구 끼움홈(321b)을 일정 깊이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체결 커버(322)는 상기 풀림방지 너트(321)와 회전자(340) 사이에 개제되는 중앙 체결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체결 커버(322)의 하단부에는 설정 깊이로 제1 수용홈(32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 커버(322)의 제1 수용홈(322a) 내에 회전자(340)의 상단측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자(340)의 회전을 안내한다.
실시예로, 체결 커버(322)는 공급 샤프트(310)가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상단부 중심부터 하단까지 관통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제1 수용홈(32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내측벽에는 커버 조립용 나사산(313)의 하부에 체결되는 나사산(322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용홈(322a)은 회전자(34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일정 깊이 형성된다. 예컨대, 회전자(340)는 원통 형상이므로 원형의 홈을 일정 깊이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제1 수용홈(322a)의 직경은 회전자(340)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약간의 슬립 간격을 준다.
이때, 상술한 풀림방지 너트(321)와 체결 커버(32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 회전하여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조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커버 조립용 나사산(313)의 상하부에서 동시에 나사체결되는 풀림방지 너트(321)와 체결 커버(322)가 더블 너트(double nut)를 구성하여, 진동 등으로 인한 체결 커버(322)의 나사 풀림(도면기준 상측 이동)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사용 중 그 하측에 배치된 회전자(340)의 위치를 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커버(330)는 상기 공급 샤프트(310)에 끼워져 하부에 배치되며, 상단부에 제2 수용홈(33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커버(320), 회전자(340) 및 하부 커버(330)가 공급 샤프트(310) 상에서 순차로 조립되며, 회전자(340)의 상하부는 각각 상부 커버(320)와 하부 커버(330)의 수용홈(322a, 331)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하부 커버(330)는 실시예로 상기 제2 수용홈(331) 이외에 볼트 이동홈(332), 샤프트 끼움홀(333) 및 커버 조절 볼트(3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하부 커버(330)를 구성하는 몸체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도 13과 같이, 제2 수용홈(331)은 하부 커버(33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부 커버(320)와 유사하게 회전자(340)의 하단측 일부가 끼워져 회전이 안내되도록 슬립 간극을 갖는다.
볼트 이동홈(332)은 하부 커버(33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볼트 이동홈(332)에는 커버 조절 볼트(도 8의 '334 참조)가 삽입되며, 삽입된 커버 조절 볼트(334)는 하부 커버(330)에 끼워진 공급 샤프트(310)의 단부에 나사 체결된다.
샤프트 끼움홀(333)은 공급 샤프트(310)가 삽입되도록, 상단부의 제2 수용홈(331)부터 하단부의 볼트 이동홈(332)까지 관통 형성된다.
커버 조절 볼트(334)는 볼트 이동홈(332)을 통해 삽입 후, 상기 샤프트 끼움홀(333)에 조립된 공급 샤프트(310)에 체결되는 것으로, 커버 조절 볼트(334)의 나사 체결을 위해 공급 샤프트(310)의 하단부에는 나사공(도 9의 '315'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 조절 볼트(334)는 볼트 머리에 다각형의 공구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렌치 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 조절 볼트(334)는 육각 렌치를 끼워 조절하는 렌치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회전자(340)는 공급 샤프트(310)로부터 공급된 고압 공기를 자전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분사하는 것으로, 분사노즐(300)이 필터백(FB) 내부에 삽입되면 회전자(340)에서 필터백(FB)으로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필터백(FB)을 클리닝한다.
회전자(340)는 공급 샤프트(310)와 일정 간극을 가진 상태에서 공급 샤프트(31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며, 상하단은 각각 상부 커버(320) 하측의 제1 수용홈(322a)과 하부 커버(330) 상측의 제2 수용홈(331)에 삽입 지지된다.
또한, 회전자(340)를 통해 고압 공기가 토출(분출)되도록 2종류의 토출공(341, 342)을 구비한다. 그 중 하나는 필터백(FB)을 클리닝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회전자(340)를 회전(즉, 자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4와 같이, 회전자(340)는 필터백(FB)의 클리닝을 위해 축심을 기준으로 법선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 고압 토출공(341) 및 회전자(340)의 자전을 위해 상기 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회전 토출공(342)을 포함한다.
회전자(340)의 상단부 내주면과 하단부 내주면에는 각각 상단측 조립단턱(343)과 하단측 조립단턱(344)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상부 베어링(350)과 하부 베어링(360)이 안착 조립된다.
또한, 회전자(340)의 중심부는 상단부터 하단까지 끼움공(345)이 관통 형성되어 공급 샤프트(310)가 삽입 조립되며, 상기 고압 토출공(341)과 회전 토출공(342)은 끼움공(345)에 연결되어 분출 공기가 유입되게 한다.
이때, 회전자(340)에 형성된 고압 토출공(341)의 크기(단면적)는 회전 토출공(342)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 토출공(341)의 크기가 크면 단위 시간당 분사량이 더 커서 충분한 클리닝 성능을 제공하고, 이보다 작은 회전 토출공(342)의 공기 분출을 통해서는 적절한 속도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위와 같은 고압 토출공(341)과 회전 토출공(342)은 각각 2개씩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고압 토출공(341)은 공급 샤프트(310)에 서로 마주보도록 2개 형성되고, 회전 토출공(342)은 고압 토출공(341) 사이에 배치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2개 형성된다.
고압 토출공(341)이 2개이면 클리닝 시간을 2배 단출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회전 토출공(342)이 2개이면 원주 방향으로 180°이격 형성되어 있는 회전 토출공(342)들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균등하게 힘이 작용하므로 안정적인 회전의 시작이 가능하면서도 회전 중 흔들림이 최소화된다.
나아가, 회전자(340)는 공급 샤프트(310)에 조립시의 상대 위치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 위치는 공급 샤프트(310) 상에서 회전자(340)의 설치 높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대 위치에 따라 배출공(314)과 고압 토출공(341)이 겹치는 면적이 조절된다.
이를 위해, 회전자(340)는 공급 샤프트(310)의 배출공(314)을 덮는 높이에 조립된다. 또한, 상기 커버 조절 볼트(334)를 조이거나 풀어 하부 커버(3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한다.
커버 조절 볼트(334)를 조이면 그에 밀착되어 있는 하부 커버(330)를 밀어올리게 되므로 하부 커버(330)의 높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회전자(340)의 고압 토출공(341)과 공급 샤프트(310)의 배출공(314)이 겹치는 면적을 조절하여, 공기 분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부 베어링(350)은 상부 커버(320)의 제1 수용홈(322a) 내에서 회전자(340)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하부 베어링(360)은 하부 커버(330)의 제2 수용홈(331) 내에서 회전자(340)의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부 베어링(350)과 하부 베어링(360)은 볼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커버와 회전자(340)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들과 접하는 베어링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조립공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도넛 형상의 베어링 프레임(F)에 볼(ball, B)을 끼운 후, 베어링 프레임(F)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베어링 커버(C1, C2)를 조립하여 볼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 베어링 커버(C1)와 하부 베어링 커버(C2)는 각각 볼(B)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베어링 커버(C1, C2)에 면접하여 지지되어 있는 회전자(340)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에어 컴프레서
200: 노즐 호스
300: 분사노즐
310: 공급 샤프트
320: 상부 커버
330: 하부 커버
340: 회전자
341: 고압 토출공
342: 회전 토출공
350: 상부 베어링
360: 하부 베어링
400: 밀폐 커버
500: 흡입장치
600: 호스 가이드

Claims (9)

  1. 집진기용 필터백(FB)의 내부에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백(FB)을 클리닝하는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에 있어서,
    고압 공기를 생성하는 에어 컴프레서(100)와;
    상기 에어 컴프레서(100)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노즐 호스(200)와;
    상기 노즐 호스(200)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백(FB) 내부로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백(FB)을 향해 고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00)과;
    상기 필터백(FB)의 설치 장소에서 상기 필터백(FB)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며, 일측에는 상기 분사노즐(300)이 필터백(FB) 내부까지 투입되도록 안내하는 투입구(420)가 구비된 밀폐 커버(400); 및
    상기 밀폐 커버(40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고압 공기를 필터백(FB)에 분사하여 클리닝시 발생한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호스(200)를 감거나 풀어 인출시키는 공급릴(210)과;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릴(210)을 정역 회전시키는 릴 구동기(220); 및
    상기 필터백(FB) 내부에서 상기 분사노즐(300)이 위치하는 높이에 따라 상기 릴 구동기(220)를 구동시키는 원격 구동기(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릴(210)은 다수개이고,
    상기 공급릴(210)에 감겨져 있는 노즐 호스(200)에 각각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300)을 구비하여,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300)을 통해 동시에 여러개의 집진기용 필터백(FB)을 클리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이동식으로 상기 밀폐 커버(400)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밀폐 커버의 상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노즐 호스(200)를 잡아주는 호스 가이드(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5. 집진기용 필터백(FB)의 내부에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백(FB)을 클리닝하는 필터백 클리닝 방법에 있어서,
    필터백(FB)이 설치된 장소에서 밀폐 커버(400)로 상기 필터백(FB)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밀폐 단계(S110)와;
    노즐 호스(200)의 단부에 연결된 분사노즐(300)을 상기 밀폐 커버(400)의 일측에 구비된 투입구(420)를 통해 필터백(FB) 내부까지 투입시키는 노즐 투입 단계(S120)와;
    고압 공기를 생성하는 에어 컴프레서(100)를 작동시켜, 상기 노즐 호스(200)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300)로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단계(S130)와;
    상기 분사노즐(300)에서 필터백(FB)을 향해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백(FB)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단계(S140); 및
    상기 밀폐 커버(400)에 연결된 흡입장치(500)를 통해, 상기 고압 공기를 필터백(FB)에 분사시 비산된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정화하는 정화 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클리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투입 단계(S120)는,
    이동식으로 상기 밀폐 커버(400)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밀폐 커버의 상측까지 연장된 호스 가이드(600)에 상기 노즐 호스(200)를 걸친 후 상기 분사노즐(300)을 필터백(FB) 내부로 투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클리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단계(S140)는,
    상기 노즐 호스(200)를 감거나 풀어 인출시키는 공급릴(210); 및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릴(210)을 정역 회전시키는 릴 구동기(220);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백(FB) 내부에서 상기 분사노즐(300)이 위치하는 높이에 따라 상기 릴 구동기(220)를 구동시켜 상기 분사노즐(300)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클리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클리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릴(210)은 다수개이고,
    상기 공급릴(210)에 감겨져 있는 노즐 호스(200)에 각각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300)을 구비하여,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300)을 통해 동시에 여러개의 집진기용 필터백(FB)을 클리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클리닝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300)은,
    상기 노즐 호스(200)를 통해 유입된 고압 공기를 공급하며, 측부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공급 샤프트와;
    상기 공급 샤프트와 일정 간극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공급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형성되되, 축심을 기준으로 법선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유입된 고압 공기를 분출시키는 고압 토출공; 및
    상기 회전자에 형성되되, 상기 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유입된 고압 공기를 분출시키는 회전 토출공;을 포함하여,
    상기 고압 공기가 상기 회전 토출공을 통해 분출됨에 따라 상기 회전자가 자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고압 토출공을 통해 분출된 고압 공기로 상기 필터백(FB)을 클리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클리닝 방법.
KR1020210119618A 2021-09-08 2021-09-08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KR102650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618A KR102650714B1 (ko) 2021-09-08 2021-09-08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618A KR102650714B1 (ko) 2021-09-08 2021-09-08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760A true KR20230036760A (ko) 2023-03-15
KR102650714B1 KR102650714B1 (ko) 2024-03-25

Family

ID=8564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618A KR102650714B1 (ko) 2021-09-08 2021-09-08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7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0534A (ja) * 1998-11-04 2000-05-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バグフィルターの濾布交換用ダスト払い落し装置
JP4300559B2 (ja) * 2007-12-25 2009-07-22 裕仁 伊藤 フィルタ清掃用ノズルおよびフィルタ清掃用具
JP2010221172A (ja) * 2009-03-25 2010-10-07 Toyama Chem Co Ltd 逆洗装置
KR101377268B1 (ko) * 2012-05-08 2014-03-21 주식회사 동화에프엔이 필터 청소가 용이한 집진 장치
KR101951465B1 (ko) 2018-11-23 2019-02-22 케이씨에어필터텍 주식회사 집진기용 필터백 조립체
KR102020201B1 (ko) 2019-06-28 2019-09-10 케이씨에어필터텍 주식회사 집진기용 필터 백 여과포 클리닝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0534A (ja) * 1998-11-04 2000-05-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バグフィルターの濾布交換用ダスト払い落し装置
JP4300559B2 (ja) * 2007-12-25 2009-07-22 裕仁 伊藤 フィルタ清掃用ノズルおよびフィルタ清掃用具
JP2010221172A (ja) * 2009-03-25 2010-10-07 Toyama Chem Co Ltd 逆洗装置
KR101377268B1 (ko) * 2012-05-08 2014-03-21 주식회사 동화에프엔이 필터 청소가 용이한 집진 장치
KR101951465B1 (ko) 2018-11-23 2019-02-22 케이씨에어필터텍 주식회사 집진기용 필터백 조립체
KR102020201B1 (ko) 2019-06-28 2019-09-10 케이씨에어필터텍 주식회사 집진기용 필터 백 여과포 클리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714B1 (ko) 202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487B1 (ko) 이동로봇의 흡입헤드
JPWO2019077757A1 (ja) 非接触壁面洗浄装置
CN215408743U (zh) 一种可调式隧道施工降尘装置
KR20230036760A (ko) 필터백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CN116833910A (zh) 一种金属件喷砂装置及喷砂方法
KR20170025522A (ko) 제진 장치
WO2010119899A1 (ja) フィルタ清掃用ノズルシステム
EP1186356A2 (en) Cleaning apparatus
JP2015226894A (ja) 枠組足場洗浄用回転ノズルヘッド
KR20230036759A (ko) 자전 방출식 필터백 클리닝 분사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필터백 클리닝 장치
CN112277893B (zh) 运输车清洁装置
CN213725513U (zh) 一种建筑施工用降尘装置
KR102174502B1 (ko) 석면 분리 장치
CN108185971B (zh) 一种吊灯的吹气式清洁设备
JP2590554Y2 (ja) 集塵機に於けるフイルタ用プリコート装置
JP2021062321A (ja) エアフィルタ清掃装置
CN213610433U (zh) 一种降尘装置
CN216280120U (zh) 一种高压洗消机
CN212983142U (zh) 一种用于纺纱机上的除尘设备
CN220574226U (zh) 智能移动型清灰一体化设备
KR102685896B1 (ko) 분진 제거와 비산을 차단할 수 있는 작업테이블
CN215276202U (zh) 一种折叠式空气滤芯除尘装置
CN216237444U (zh) 一种纺纱机用的清洁装置
CN218014562U (zh) 一种曲臂升降喷气式清扫装置
CN220633625U (zh) 一种建设工程用抑尘清洁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