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698A -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698A
KR20230036698A KR1020210119532A KR20210119532A KR20230036698A KR 20230036698 A KR20230036698 A KR 20230036698A KR 1020210119532 A KR1020210119532 A KR 1020210119532A KR 20210119532 A KR20210119532 A KR 20210119532A KR 20230036698 A KR20230036698 A KR 20230036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gypsy moth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2216B1 (ko
Inventor
이영수
김소희
최종윤
이현주
이상우
Original Assignee
경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filed Critical 경기도
Priority to KR1020210119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216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7/00Arthropodicides
    • A01P7/04Insectic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은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 추출물 및 시트러스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혼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ONTROLLING GYPSY MOTH EGG MASS}
본 발명은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후 변화에 따라 돌발성 해충으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매미나방은 나비목 독나방과의 곤충으로 집시나방이라 불리기도 한다. 매미나방은 나무의 줄기에 덩어리 형태로 알을 낳으며, 알덩어리인 난괴는 월동한 후 이듬해 4월경에 유충으로 부화되고, 7~8월경에 성충이 된다. 매미나방의 유충은 사과나무, 배나무 등의 각종 과수류와 상수리나무, 느릅나무, 자작나무 등 식물의 잎을 가해한다. 이에 따라, 매미나방은 대표적인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매미나방의 유충을 방제할 경우, 매미나방의 천적도 함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자연환경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월동기에 매미나방의 난괴를 방제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다만, 난괴는 왁스성분의 분비물로 덮여 있으므로, 화학농약을 이용한 방제에도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은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 추출물 및 시트러스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혼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 혼합물은 님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 혼합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는 2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님 추출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데리스 추출물 8 내지 12 중량부, 상기 시트로넬라 오일 4 내지 6 중량부, 상기 계피 추출물 12 내지 18 중량부, 상기 시트러스 오일 24 내지 3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 혼합물은 고삼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 혼합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는 2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삼 추출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데리스 추출물 8 내지 12 중량부, 상기 시트로넬라 오일 4 내지 6 중량부, 상기 계피 추출물 12 내지 18 중량부, 상기 시트러스 오일 24 내지 3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은 유화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안정제는 상기 식물 추출물 혼합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미나방 난괴에 대하여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매미나방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자연환경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a)는 실시예 1을 이용한 실내검정 후 사진이고, 도 1(b)는 비교예 5를 이용한 실내검정 후 사진이다.
도 2(a) 및(b)는 실시예 2를 이용한 야외검정 후 사진이고, 도 2(c) 및 (d)는 비교예 10을 이용한 야외검정 후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은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 추출물 및 시트러스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혼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데리스(derris)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덩굴성 관목으로, 주로 동남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다. 데리스 내에 함유된 로테논(rotenone)은 살충활성을 가지지만, 사람이나 가축에는 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시트로넬라(citronella)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원산지는 스리랑카이다. 시트로넬라 오일은 시트로넬라의 생잎보다는 건조시킨 잎을 수증기 증류하는 방식으로 추출될 수 있다. 시트로넬라 오일은 향수 또는 화장품 원료로 주로 쓰이며, 벌레와 모기의 접근을 차단해 주어 해충 방지제로도 사용될 수 있고, 살균 및 방부 효과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피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생달나무의 나무껍질로 만든 약재이다. 계피의 휘발성 정유 성분은 펠란드렌(Phellandrene), 유게놀(Eugenal), 메틸유게놀(Methyleugu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피의 시나몬 알데히드 성분과 살리실 알데히드 성분은 천연 벌레기피제로 이용되기도 한다.
시트러스(Citrus)는 감귤, 오렌지, 레몬, 유자, 라임, 자몽 등의 귤속을 포괄하는 명칭으로, 시트러스 오일은 감귤류 열매의 정유이다. 시트러스 오일은 D-리모넨을 포함한다. D-리모넨은 매미나방 난괴의 표피층을 용해하고, 산란기간을 줄이며, 난자 수 및 고환세포의 합성을 저해하고, 성체의 수명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러스 오일이 님추출물,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및 계피 추출물과 함께 사용되면, 살충기작이 증폭될 수 있다. 특히, 시트러스 오일에 포함된 D-리모넨과 침투기능성 계면활성제의 합제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추출물 혼합물이 매미나방 난괴 내부로 깊이 침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타겟 해충인 매미나방의 알들의 탈피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는 침투기능성 계면활성제로, 실리콘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혼합된 물질의 경계면에 흡착하여 경계면의 자유에너지를 작게 하여 물질의 혼합 상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소수성 실리콘 그룹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친수성 극성 그룹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다.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낮은 계면장력, 윤활성, 퍼짐성, 발수성, 열적 안정성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친수부가 비전해질, 즉 이온화하지 않는 친수성 부분이 있는 것으로, 알킬글리콜, 폴리에텔렌글리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등을 친수기로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생분해성이 우수하다. 계면활성제가 실리콘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경우, 식물 추출물 혼합물을 분산시킬뿐만 아니라, 매미나방 난괴의 왁스층에 대한 유동성을 증가시켜 왁스층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에톡시레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ethoxylated polydimethylsiloxane)일 수 있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모노에테르와 캐스터오일(PolyOxyethylen dodecyl mono ether + Castor oil)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러스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혼합물은 계면활성제와 함께 매미나방 난괴의 왁스층 내로 효과적으로 침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은 님 추출물,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 추출물 및 시트러스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혼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 추출물, 시트러스 오일 및 계면활성제에 관하여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님 나무(Neem Tree, Azadirchta indica A.Juss)는 멀구슬나무과의 반 상록교목이며, 미얀마, 방글라데시, 인도 등이 원산지이다. 님 나무의 열매인 님(Neem)과 그 씨(seed) 님 오일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님 오일의 주요 약효 성분은 아자디라크틴(azadirachtin)과 살라닌(salannin)일 수 있다. 아자디라크틴은 곤충의 생육과 탈피 억제, 섭식 및 번식활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살라닌은 곤충의 탈피를 지연시키거나 섭식활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님 오일의 아자디라크틴과 살라닌의 합제에 의하여 매미나방 난괴 내 유충에 대한 살충 활성이 증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님 오일, 시트러스 오일 및 침투기능성 계면활성제가 함께 사용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매미나방 난괴 내로 용이하게 침투하여 살충 효과가 증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님 추출물,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 추출물 및 시트러스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혼합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는 2 내지 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식물 추출물 혼합물과 계면활성제가 이와 같은 수치범위의 비를 가질 경우, 계면활성제는 매미나방 난괴의 왁스층에 대한 유동성을 증가시키며, 식물 추출물 혼합물이 계면활성제와 함께 매미나방 난괴 내부로 침투하기 용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 추출물 혼합물은 님 추출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데리스 추출물 8 내지 12 중량부, 상기 시트로넬라 오일 4 내지 6 중량부, 상기 계피 추출물 12 내지 18 중량부, 상기 시트러스 오일 24 내지 3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식물 추출물 혼합물이 이와 같은 수치 범위로 포함될 경우, 매미나방 난괴에 대한 높은 방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님추출물,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및 계피 추출물의 복합 작용 기작에 의하여 매미나방 난괴 내 유충에 대한 높은 살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님추출물,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및 계피 추출물과 함께 시트러스 오일 및 침투기능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면, 살충 성분이 매미나방 난괴 내 유충에 효율적으로 침투한 후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방제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은 고삼 추출물,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 추출물 및 시트러스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혼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 추출물, 시트러스 오일 및 계면활성제에 관하여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고삼(Sophora flavescens)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맛이 쓰고 인삼의 효능이 있어 약재로 사용되기도 하고, 민간에서는 줄기나 잎을 달여서 살충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고삼 뿌리를 포함한 전초의 추출 농축액은 천연 알칼로이드인 마트린(Matrin), 옥시마트린(Oxymatrin)을 포함하며, 매트린 및 옥시매트린은 응애 (살비제)와 나방류에 살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천연 알칼로이드 마트린에서 추출한 N-(p-에틸)페닐설포닐마트린산은 응애의 성체 암컷에 대해 1보다 약 5.9배 더 뚜렷한 살비 활성을 가지며, 온실에서 우수한 방제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고삼 추출물이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 추출물, 시트러스 오일 및 침투기능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사용되면, 살충 성분이 매미나방 난괴 내 유충에 효율적으로 침투한 후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방제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삼 추출물,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 추출물 및 시트러스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혼합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는 2 내지 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식물 추출물 혼합물과 계면활성제가 이와 같은 수치범위의 비를 가질 경우, 계면활성제는 매미나방 난괴의 왁스층에 대한 유동성을 증가시키며, 식물 추출물 혼합물이 계면활성제와 함께 매미나방 난괴 내부로 침투하기 용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 추출물 혼합물은 고삼 추출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데리스 추출물 8 내지 12 중량부, 상기 시트로넬라 오일 4 내지 6 중량부, 상기 계피 추출물 12 내지 18 중량부, 상기 시트러스 오일 24 내지 3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식물 추출물 혼합물이 이와 같은 수치 범위로 포함될 경우, 매미나방 난괴에 대한 높은 방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은 유화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화안정제는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의 식물 추출물 혼합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이 매미나방 난괴의 왁스층 내로 침투할 때까지 난괴의 표면에서 적절한 점도를 유지하며, 쉽게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조성물의 분사량에 비하여 높은 방제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은 100 내지 2000배,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50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배로 물에 희석된 후 매미나방 난괴에 직접 분사될 수 있다.
이하, 비교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의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데리스 추출물 20wt%, 시트로넬라 오일 10wt%, 계피 추출물 10wt% 및 시트러스 오일 30wt%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혼합물,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25wt% 및 유화안정제 5wt%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후 실내 환경에서 매미나방 난괴에 분사하였다.
<비교예 1>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 추출물, 계면활성제 및 유화안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후 실내 환경에서 매미나방 난괴에 분사하였다.
<비교예 2>
카란자 추출물, 계면활성제 및 유화안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후 실내 환경에서 매미나방 난괴에 분사하였다.
<비교예 3>
님 추출물, 계면활성제 및 유화안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후 실내 환경에서 매미나방 난괴에 분사하였다.
<비교예 4>
화학농약인 클로르피리포스를 물로 희석한 후 실내 환경에서 매미나방 난괴에 분사하였다.
<비교예 5>
실내 환경에서 매미나방 난괴를 무처리하였다.
표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에서 부화율 및 방제율을 검정한 결과이고, 도 1(a)는 실시예 1을 이용한 실내검정 후 사진이고, 도 1(b)는 비교예 5를 이용한 실내검정 후 사진이다.
실험번호 부화율(%) 방제율(%) 비고
실시예 1 0.2±0.39 99.8 부화유충 치사
비교예 1 9.4±2.59 90.2 시제품, 부화유충 치사
비교예 2 8.1±5.71 91.5 시제품
비교예 3 17.2±10.58 82.0
비교예 4 17.7±8.61 81.5 화학농약, 부화유충 치사
비교예 5 95.8±1.68 무처리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은 실내 환경에서 99.8%의 방제효과를 가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상이한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하여 높은 방제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 1과 실시예 1을 비교하면, 시트러스 오일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방제효과가 시트러스 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방제효과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데리스 추출물 20wt%, 시트로넬라 오일 10wt%, 계피 추출물 10wt% 및 시트러스 오일 30wt%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혼합물,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25wt% 및 유화안정제 5wt%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후 야외 환경에서 매미나방 난괴에 분사하였다.
<실시예 3>
님 추출물 10wt%, 데리스 추출물 10wt%, 시트로넬라 오일 5wt%, 계피 추출물 15wt% 및 시트러스 오일 30wt%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혼합물,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25wt% 및 유화안정제 5wt%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후 야외 환경에서 매미나방 난괴에 분사하였다.
<실시예 4>
고삼 추출물 10wt%, 데리스 추출물 10wt%, 시트로넬라 오일 5wt%, 계피 추출물 15wt% 및 시트러스 오일 30wt%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혼합물,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25wt% 및 유화안정제 5wt%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후 야외 환경에서 매미나방 난괴에 분사하였다.
<비교예 6>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 추출물, 계면활성제 및 유화안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후 야외 환경에서 매미나방 난괴에 분사하였다.
<비교예 7>
카란자 추출물, 계면활성제 및 유화안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후 야외 환경에서 매미나방 난괴에 분사하였다.
<비교예 8>
님 추출물, 계면활성제 및 유화안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후 야외 환경에서 매미나방 난괴에 분사하였다.
<비교예 9>
화학농약인 클로르피리포스를 물로 희석한 후 야외 환경에서 매미나방 난괴에 분사하였다.
<비교예 10>
야외 환경에서 매미나방 난괴를 무처리하였다.
표 2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6 내지 비교예 10에서 부화율 및 방제율을 검정한 결과이고, 도 2(a) 및(b)는 실시예 2를 이용한 야외검정 후 사진이고, 도 2(c) 및 (d)는 비교예 10을 이용한 야외검정 후 사진이다.
실험번호 부화율(%) 방제율(%) 비고
실시예 2 42.3±12.03 52.7
실시예 3 0.4±0.06 99.6 부화유충 치사
실시예 4 0 100 부화유충 치사
비교예 6 70.2±3.15 21.4 시제품
비교예 7 69±6.34 22.8 시제품
비교예 8 69.5±8.79 22.1
비교예 9 68.7±3.14 23.1 화학농약
비교예 10 89.3±2.38 무처리
표 2 및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이 실제로 적용되는 야외 환경에서도, 실시예 2는 비교예 6 내지 10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방제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님 추출물 또는 고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4에서는 조성물이 실제로 적용되는 야외 환경에서 99% 이상의 방제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데리스 추출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 추출물 및 시트러스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혼합물; 및
    계면활성제
    를 포함하는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 혼합물은 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 혼합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는 2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되는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님 추출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데리스 추출물 8 내지 12 중량부, 상기 시트로넬라 오일 4 내지 6 중량부, 상기 계피 추출물 12 내지 18 중량부, 상기 시트러스 오일 24 내지 38 중량부로 포함되는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 혼합물은 고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 혼합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는 2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되는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삼 추출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데리스 추출물 8 내지 12 중량부, 상기 시트로넬라 오일 4 내지 6 중량부, 상기 계피 추출물 12 내지 18 중량부, 상기 시트러스 오일 24 내지 38 중량부로 포함되는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유화안정제를 더 포함하는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안정제는 상기 식물 추출물 혼합물 1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되는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KR1020210119532A 2021-09-08 2021-09-08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KR10259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532A KR102592216B1 (ko) 2021-09-08 2021-09-08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532A KR102592216B1 (ko) 2021-09-08 2021-09-08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698A true KR20230036698A (ko) 2023-03-15
KR102592216B1 KR102592216B1 (ko) 2023-10-23

Family

ID=85512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532A KR102592216B1 (ko) 2021-09-08 2021-09-08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21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1661A1 (en) * 2003-10-21 2005-05-12 Caltex Australia Petroleum Pty Ltd Composition for use as an adjuva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US20150140136A1 (en) * 1998-07-28 2015-05-21 Ecosmart Technologies, Inc. Pest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20190052979A (ko) * 2017-11-09 2019-05-17 (주)오더스 4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KR20190052978A (ko) * 2017-11-09 2019-05-17 (주)오더스 3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KR20190064995A (ko) * 2017-12-01 2019-06-11 경기도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즙성 해충 제거 제품
KR102123580B1 (ko) * 2018-11-29 2020-06-16 주식회사 바이오포스 식물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40136A1 (en) * 1998-07-28 2015-05-21 Ecosmart Technologies, Inc. Pest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WO2005041661A1 (en) * 2003-10-21 2005-05-12 Caltex Australia Petroleum Pty Ltd Composition for use as an adjuva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KR20190052979A (ko) * 2017-11-09 2019-05-17 (주)오더스 4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KR20190052978A (ko) * 2017-11-09 2019-05-17 (주)오더스 3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KR20190064995A (ko) * 2017-12-01 2019-06-11 경기도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즙성 해충 제거 제품
KR102123580B1 (ko) * 2018-11-29 2020-06-16 주식회사 바이오포스 식물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Economic Entomology. Vol.96. No.3. pp.990-995 *
Orient J Chem 2019;35(4). 1420-142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216B1 (ko) 202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5098B2 (ja) 有害生物防除配合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Shadia et al. Chemical composition of Ocimum americanum essential oil and its biological effects against, Agrotis ipsilon,(Lepidoptera: Noctuidae)
US20080300225A1 (en) Pesticidal formulation containing oxymatrine or matrine
MX2011010032A (es) Plaguicida a base de alcaloides isoquinolicos, flavonoides, aceites vegetales y/o esenciales.
KR101813078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제 조성물
KR20190052979A (ko) 4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US2017029578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selectively control species
Soto et al. Phagodeterrence by Quassia amara (Simaroubaceae) wood extract fractions on Hypsipyla grandella (Lepidoptera: Pyralidae) larvae
Singh et al. Mosquito repellent and oviposition deterrent activities of Solanum nigrum seed extract against malaria vector Anopheles stephensi
KR101773442B1 (ko) 흡혈성 절지동물 기피제 조성물
KR102592216B1 (ko) 매미나방 난괴 방제용 조성물
Adesina et al. Efficacy of some aqueous plant extracts against cotton stainers, Dysdercus superstitious (Herrich Schaffer)(Hemiptera: Pyrrhocoridae)
KR102323497B1 (ko) 해충 기피제 조성물
Nzelu et al. Insecticidal activity of Piper guineense (Schumach and Thonn) seed oil against Callosobruchus maculatus (F.)(Coleoptera: Chrysomelidae) in stored cowpea seeds
Habbachi et al. Toxicity of aqueous extracts from Mediterranean plants on Culex pipiens (Mosquitoes), Case of Daphne gnidium (Thymelaeaceae) and Peganum harmala (Zygophyllaceae)
Arutselvi et al. Formulation of natural insecticides against Panchaetothrips indicus Bagnall in Curcuma longa L. leaves of PTS and Erode varieties
Nunes et al. Control of the South American fruit fly in pear with natural-based products
KR20130080667A (ko) 후추 속 식물과 라반듈라 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살충용 조성물
US20200281194A1 (en) A Novel Green Micro-Emulsion for Controlling Fungal Wilt Diseases
KR20150126575A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및 그 제조방법
Sarapothong et al. Acaricidal toxicity of nano essential oil of black pepper against African red mite (Eutetranychus africanus (Tucker)).
Guevara et al. Extracts of Schinus molle and Artemisia absinthium against Helicoverpa zea on fresh ear corn in Ecuador.
Akbar et al. Comparative toxicity of methanolic extracts of some indigenous and exotic flowers against subterranean termites Odontotermes obesus (Isoptera: Termitidae).
Uniyal et al. Larvicidal and oviposition deterrent activity of twenty three essential oils against Aedes aegypti
KR102601133B1 (ko)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닭진드기 방제용 연막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의 방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