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442A -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 Google Patents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442A
KR20230036442A KR1020210119299A KR20210119299A KR20230036442A KR 20230036442 A KR20230036442 A KR 20230036442A KR 1020210119299 A KR1020210119299 A KR 1020210119299A KR 20210119299 A KR20210119299 A KR 20210119299A KR 20230036442 A KR20230036442 A KR 20230036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able
guard
cookware
deformation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예
Original Assignee
조정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예 filed Critical 조정예
Priority to KR102021011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442A/ko
Publication of KR20230036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442A/ko
Priority to KR1020230109211A priority patent/KR20230124881A/ko
Priority to KR2020230001755U priority patent/KR202300018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가 제공된다.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는, 접을 수 있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원뿔 형상으로 접어 조리용기를 덮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에 있어서, 중심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원반, 또는 부채꼴 형상의 시트(sheet)로 형성되어 양 말단을 교차시켜 원뿔 형상으로 접을 수 있게 된 몸체, 및 몸체의 둘레에 연결되어 몸체의 외측으로 확장된 절개된 원, 또는 원호 형상의 띠(strap)로 형성되되, 몸체를 접을 때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 접이선의 위쪽으로 접혀, 양 말단이 교차된 상태로 몸체의 둘레를 압박할 수 있게 형성된 변형방지용 림(rim)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Foldable cooking vessel guard}
본 발명은 조리용기를 덮어 내용물의 튐 등을 방지하는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의 열이나 수분 및 유분 등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시킨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조리할 때 다양한 조리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조리용기는 용도에 따라 구조나 형상, 크기 등이 다르며 덮개가 형성되어 있거나 덮개가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팬과 같이 넓고 낮은 형상의 조리용기는 대부분 덮개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음식물을 조리하다 보면 덮개가 없는 조리용기도 덮개를 덮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시간 조리 시 증기가 새지 않도록 하거나, 내용물을 고온에서 기름에 튀기는 경우 비산물이 밖으로 튀는 것을 막기 위해 덮개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전용 덮개가 아닌 경우 크기 등이 맞지 않아 다른 덮개를 사용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종래 종이 등으로 만들어진 일회용 덮개나 가림판 등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한 경우 고깔 형상 등으로 접어서 사용하면 편리하였다. 대한민국 특허 10-1424993 등에 관련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이와 같은 재질은 수분이나 유분 등에 매우 취약하고 열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기술의 경우 조리용기나 내용물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수분 및 유분 등에 영향을 받아 부분 또는 전체가 뒤틀리거나 찌그러지는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제품의 기능을 저하시켜 실질적인 사용이 어렵게 만들게 되므로 그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24993호, (2014. 08. 0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용기의 열이나 수분 및 유분 등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시킨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는, 접을 수 있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원뿔 형상으로 접어 조리용기를 덮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에 있어서, 중심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원반, 또는 부채꼴 형상의 시트(sheet)로 형성되어 양 말단을 교차시켜 원뿔 형상으로 접을 수 있게 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둘레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확장된 절개된 원, 또는 원호 형상의 띠(strap)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를 접을 때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 접이선의 위쪽으로 접혀, 양 말단이 교차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둘레를 압박할 수 있게 형성된 변형방지용 림(rim)을 포함한다.
상기 변형방지용 림은 양 말단이 교차된 상태로 상기 몸체가 형성하는 원뿔에 대해 역방향으로 뒤집힌 원뿔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변형방지용 림과 바닥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몸체와 바닥이 이루는 각도에 비례하여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변형방지용 림은,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 및 상기 변형방지용 림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양측 말단부에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몸체의 양 말단 교차 시 상기 몸체의 서로 다른 지점에 동시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상기 걸림돌기 사이에 등간격으로 절개된 복수 개의 걸림돌기 삽입용 슬릿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중심부가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 말단이 교차된 폭에 따라 크기가 증감되는 공기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가 절개되고 남은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구의 일 측에 연결되어 개폐되는 뚜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는, 종이와 같이 접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도, 형상 변형은 최소화된다.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강성을 강화시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이와 같은 접기 쉬운 재질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조리 시 발생하는 증기나 음식물에서 나오는 수분 및 유분 등에 의한 영향, 열에 의한 영향 등에도 버티면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실질적인 기능저하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재사용 시에도 매우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의 변형방지용 림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의 변형방지용 림의 작용효과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의 변형례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는 조리용기(A) 위에 덮어서 사용할 수 있다. 조리용기(A)는 덮개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일 수도 있으며 덮개가 없는 조리용기(A)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덮개처럼 사용할 수 있다. 조리용기(A)에는 다양한 형태의 내용물(B)이 담길 수 있는데, 내용물(B)에는 수분, 유분 및 그 외 음식물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조리용기(A)가 열(C)에 의해 가열되면 내용물(B)이 조리되면서 증기가 발생하고, 끓거나 튀겨지면서 각종 비산물들이 생겨날 수 있다.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를 이용하여 조리 시 발생하는 증기나 각종 비산물 등이 외부로 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는 수분이나 유분, 증기 열 등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뒤틀림 등 변형은 최소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는 몸체(100)의 둘레에 형성된 변형방지용 림(200)으로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둘레를 압박하여 모서리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고 몸체(100)도 상호작용을 통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튼튼하며 따라서 수분이나 유분 등에 강인하고, 수분이나 유분이 열과 함께 제공되는 조건에서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용기(A)가 낮고 넓은 경우(예를 들어, 프라이팬 등)에는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를 조리용기(A) 내부에 지지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는, 접을 수 있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원뿔 형상으로 접어 조리용기를 덮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에 있어서, 중심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원반, 또는 부채꼴 형상의 시트(sheet)로 형성되어 양 말단을 교차시켜 원뿔 형상으로 접을 수 있게 된 몸체(100), 및 몸체(100)의 둘레에 연결되어 몸체(100)의 외측으로 확장된 절개된 원, 또는 원호 형상의 띠(strap)로 형성되되, 몸체(100)를 접을 때 몸체(10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 접이선(103)의 위쪽으로 접혀, 양 말단이 교차된 상태로 몸체(100)의 둘레를 압박할 수 있게 형성된 변형방지용 림(rim)(200)을 포함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형방지용 림(200)은 양 말단이 교차된 상태로 몸체(100)가 형성하는 원뿔에 대해 역방향으로 뒤집힌 원뿔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도 3참조), 변형방지용 림(200)과 바닥이 이루는 각도가, 몸체(100)와 바닥이 이루는 각도에 비례하여 증가될 수 있다(도 4 및 도 5참조). 즉 변형방지용 림(200)은 원뿔 형상으로 접힌 몸체(100)에 대해, 각도가 변경되며 입체적으로 배치되며 그러한 상태로 몸체(100) 둘레를 감싸 압박하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서 이러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원뿔 형상으로 접어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몸체(100)의 양 말단을 교차시켜 원뿔 형상으로 접은 상태로서 접기 전 몸체(100)는 평면 상에 놓인 절개된 원반, 또는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도 7의 전개도 참조). 변형방지용 림(200)은 몸체(100)에 연결되어 있으며, 몸체(100)가 접힐 때 함께 접힐 수 있다. 그러나 변형방지용 림(200)은 이를 테면 몸체(100)와 반대로 뒤집힌 상태로 접히게 되며 그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인 구조가 형성된다. 접기 전 변형방지용 림(200)은 평면 상에 놓인 절개된 원, 또는 원호 형상의 띠(strap)일 수 있다(도 7의 전개도 참조).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은 걸림돌기(110)와 걸림돌기 삽입용 슬릿(120)의 결합에 의해 접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걸림돌기(110)와 걸림돌기 삽입용 슬릿(120)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서 몸체(100)의 각도, 높이, 및 직경 등을 바꿀 수 있고, 변형방지용 림(200)의 각도, 높이, 및 직경도 바꿀 수 있다. 그를 통해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적인 상태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를 접을 수 있다. 접기 전 평면 상태에 대한 설명과, 양 말단을 교차하여 접는 방식에 대한 설명, 걸림돌기(110)와 슬릿에 의한 결합구조 등에 대한 설명 등은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하도록 한다.
몸체(100)는 중심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원반, 또는 부채꼴 형상의 시트(sheet)로 형성되며 양 말단을 교차시켜 오므리면 원뿔 형상으로 접을 수 있다. 절개된 원반은 중심각이 증가된 확장된 부채꼴과도 동등하므로, 그러한 점을 고려하면 몸체(100)는 접기 전에는 중심각을 한정하지 않은 부채꼴 형상으로도 볼 수 있다. 몸체(100)는 두께가 얇은 시트로 이루어져 유연하게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어서 입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므로 전체가 접을 수 있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변형방지용 림(200)은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00) 및 변형방지용 림(200)은 예를 들어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을 이루는 종이 재질은 두께나 강도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탄성이 보다 강하거나 상대적으로 두꺼운 재질의 종이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종이 내 외면에 코팅 층을 형성하여 수분이나 유분 등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고 탄성을 강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양한 형태의 종이를 이용하여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이 포함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종이재질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접을 수 있고 탄성이 있는 얇은 시트 형태의 또 다른 재질을 활용 가능한 경우에는 그러한 재질로 본 발명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방지용 림(200)은 몸체(100)의 둘레에 연결되어 몸체(100)의 외측으로 확장된 절개된 원, 또는 원호 형상의 띠(strap)로 형성된다. 띠는 두께가 있는 선으로도 볼 수 있으므로 원,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절개된 원은 중심각이 확장된 원호와도 동등하므로, 그러한 점을 고려하면 변형방지용 림(200)은 접기 전에는 중심각을 한정하지 않은 원호 형상의 띠로도 볼 수 있다. 변형방지용 림(200)은 몸체(100)를 접을 때 함께 접어 양 말단을 교차시킬 수 있다. 몸체(100)는 변형방지용 림(200)과 일체로 형성되고 둘을 한꺼번에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몸체(100)의 양 말단은 변형방지용 림(200)의 양 말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제1말단(101)은 변형방지용 림(200) 측으로 연장되어 변형방지용 림(200)의 제1말단을 형성할 수 있고, 안쪽으로 교차된 몸체(100)의 제2말단(도 6의 102참조)은 변형방지용 림(200) 측으로 연장되어 변형방지용 림(200)의 제2말단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변형방지용 림(200)은 몸체(100)를 접을 때 몸체(10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 접이선(103)의 위쪽으로 접히게 된다. 따라서 몸체(100)의 면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면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몸체(100)가 형성하는 곡면과는 반전된 다른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일체로 이루어진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이 접히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절된 다른 곡면을 형성하므로, 곡면이 만나는 부분 주변으로 일종의 증가된 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 그러한 압력은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휜 곡면이 탄성력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펼쳐지려고 하면서 만들어 내는 것일 수 있으며, 따라서 굽어있는 몸체(100) 및 변형방지용 림(200) 전체에도 작용할 수 있다.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이 만나는 모서리(도 4 및 도 5의 201참조)부분에는 서로 다른 곡면이 만나면서 그러한 가압력(D)이 보다 강하게 작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의 변형방지용 림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의 변형방지용 림의 작용효과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변형방지용 림(200)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변형방지용 림(200)은 양 말단이 교차된 상태로 몸체(100)가 형성하는 원뿔에 대해 역방향으로 뒤집힌 원뿔면(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테면, 몸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좁아지는 원뿔을 형성하고, 몸체(100) 전체는 그러한 원뿔면 상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변형방지용 림(200)은 몸체(100) 둘레의 접이선(도 2의 103참조) 위쪽으로 접히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좁아지는 완전히 뒤집힌 원뿔면(E) 상에 배치되고, 따라서 뒤집힌 원뿔면(E) 상의 완전히 다른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는 몸체(100)가 형성하는 원뿔의 곡면과, 변형방지용 림(200)이 형성하는 뒤집힌 원뿔면(E)의 곡면이 모서리(201) 부분에서 서로 만나는 특별한 형상으로 접이게 된다. 본 발명은 몸체(100) 둘레에 상면 쪽을 눌러 형성한 접이선(도 2의 103참조)으로 이러한 접힘을 유도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몸체(100) 양 말단을 교차시켜 걸림돌기(110)로 고정시키면 해당 형상은 그대로 유지된다. 형상의 유지는 펼쳐지려는 탄성력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휜 몸체(100) 및 변형방지용 림(200) 각각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이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종이의 탄성이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 각각에 다르게 작용할 수 있으며 그러한 차이가 모서리 부분에 일종의 가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변형방지용 림(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둘레를 완전히 둘러싼 상태로 그러한 가압력(D)을 몸체(100) 둘레 전방위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적인 형상을 매우 튼튼하게 유지하게 된다.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이 만나는 모서리(201)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증가된 가압력(D)이 작용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뒤틀림 등의 변형은 더욱 크게 줄어들 수 있다. 가압력(D)은 예를 들어, 변형방지용 림(200)의 외곽부(202)로부터 모서리(201) 방향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원뿔면 상에 있는 몸체(100)의 곡면과, 그에 대해 뒤집힌 원뿔면(도 3의 E참조) 상에 있는 변형방지용 림(200)의 곡면이, 교차되는 형태로 만나 일정각도 이격된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므로, 단순히 이중으로 접혀 밀착되는 통상의 보강구조와는 완전히 다른 것임을 알 수 있다.
변형방지용 림(200)에 의한 가압력(D)의 작용효과는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이 형성하는 둘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방지용 림(200)과 바닥이 이루는 각도는 몸체(100)와 바닥이 이루는 각도에 비례하여 증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의 사이각의 크기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예시된 몸체(100)와 바닥 사이의 각도(a1)와, 변형방지용 림(200)과 바닥 사이의 각도(a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양 말단의 교차된 정도(또는 양 말단의 중첩된 정도)를 증가시켜 직경을 줄이는 경우 증가될 수 있다. 직경이 감소된 후 변형방지용 림(200)과 바닥이 이루는 각도(a2')는 몸체(100)와 바닥이 이루는 각도(a1')에 비례하여 크기가 증가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 간 사이각의 크기는 대응하여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의 사이각의 크기를 둔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몸체(100)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도 사이각은 90도보다는 작지 않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 사이가 이격되어 각각의 곡면에 차이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가압력(D)도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몸체(100)의 직경을 줄여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의 사이각을 예각인 상태로 사용하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다. 다만, 형상 유지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를 90도 이상으로, 특히 둔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의 강성을 증가시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의 전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의 변형례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의 결합구조, 평면구조, 접이방식 등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원뿔 형상으로 접기 전에는 도 7과 같은 형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몸체(100)는 중심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원반, 또는 부채꼴 형상의 시트(sheet)로 형성되고, 양 말단[즉 제1말단(101) 및 제2말단(102)]을 교차시켜 오므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뿔 형상으로 접을 수 있다. 절개된 원반은 중심각이 증가된 확장된 부채꼴과도 동등하므로, 그러한 점을 고려하면 몸체(100)는 접기 전에는 중심각을 한정하지 않은 부채꼴 형상으로도 볼 수 있다.
변형방지용 림(200)은 몸체(100)의 둘레에 연결되어 몸체(100)의 외측으로 확장된 절개된 원, 또는 원호 형상의 띠(strap)로 형성된다. 역시 전술한 것처럼, 띠는 두께가 있는 선으로도 볼 수 있으므로 원,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개된 원은 중심각이 확장된 원호와도 동등하므로, 그러한 점을 고려하면 변형방지용 림(200)은 접기 전에는 중심각을 한정하지 않은 원호 형상의 띠(strap)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형방지용 림(200)은 몸체(100)를 접을 때 함께 접어 양 말단을 교차시킬 수 있다. 몸체(100)는 변형방지용 림(200)과 일체로 형성되고 둘을 한꺼번에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몸체(100)의 양 말단은 변형방지용 림(200)의 양 말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몸체(100)의 제1말단(101)은 변형방지용 림(200) 측으로 연장되어 변형방지용 림(200)의 제1말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말단(102)은 변형방지용 림(200) 측으로 연장되어 변형방지용 림(200)의 제2말단을 형성할 수 있다. 몸체(100)의 양 말단을 교차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말단(101)과 제2말단(102) 사이에 중첩된 부분이 생기며 교차된 정도를 증가시킬수록 중첩된 부분의 크기가 증가된다. 따라서 제1말단(101)과 제2말단(102)의 교차된 정도를 조절하여, 원뿔 형상 몸체(100) 전체의 직경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양측 말단부에는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몸체(100)의 양 말단 교차 시 몸체(100)의 서로 다른 지점에 동시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돌기(110)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10) 사이에는 등간격으로 절개된 복수 개의 걸림돌기 삽입용 슬릿(120)이 형성되어 양 측의 결합으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결합방식을 예시하면, 제1말단(101)을 제2말단(102)의 상부로 교차시켜 중첩된 부분을 형성하고, 제1말단(101)쪽에 위치한 걸림돌기(110)를 중첩된 지점에서 걸림돌기 삽입용 슬릿(120)의 하부로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제2말단(102)쪽에 위치한 걸림돌기(110)는 중첩된 지점에서 걸림돌기 삽입용 슬릿(120)의 상부로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그와 같이 결합하여,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를 원뿔 형상으로 접을 수 있다.
몸체(100)의 중심부에는 절개되어 형성된 공기배출구(140a)도 형성될 수 있다. 공기배출구(140a)는 절개되고 남은 부분으로 이루어진 뚜껑부(1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즉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중심부가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몸체(100)의 양 말단이 교차된 폭에 따라 크기가 증감되는 공기배출구(140a)를 포함할 수 있고, 몸체(100) 중심부가 절개되고 남은 부분으로 형성되며 공기배출구(140a)의 일 측에 연결되어 개폐되는 뚜껑부(140)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뚜껑부(140)는 몸체(100)가 전개된 상태에서 중심부를 대략 원형으로 절개하고 남은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부(140)와 몸체(100) 사이는 절개되지 않고 남은 부분으로 연결하여 몸체(100)와 뚜껑부(140)를 연결하는 연결부(141)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41) 중앙에는 뚜껑부(140)를 개폐하기 쉽게 접철선 등을 형성해 줄 수 있다.
이러한 몸체(100)는 도 8과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각 걸림돌기 삽입용 슬릿(120)에 걸림돌기(110) 결합 시 몸체(100)의 직경(또는 반경일 수도 있다)을 알려주는 규격지시부(130)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규격지시부(130)는 숫자 등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걸림돌기 삽입용 슬릿(120) 중 어느 슬릿에 걸림돌기(110)를 결합해야 접힌 상태에서 몸체(100)가 원하는 직경을 갖는 지를 알려줄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다양한 직경을 갖는 조리용기(A)에 맞춤형태로 더욱 편리하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규격지시부(130)는 숫자 이외에 문자나 도형, 기호 등을 복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를 몸체(100)의 양 말단을 교차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으면 도 1의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100)는 위로 뾰족한 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변형방지용 림(200)은 접는 방향이 반전되어 몸체(100)의 원뿔에 대해 역방향으로 뒤집힌 원뿔면(도 3의 E참조)상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은 서로 일정각도로 벌어진 채 서로 다른 곡면 상에 놓이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의 차이로 인한 가압력, 탄성의 상호작용 등으로 몸체(100)와 변형방지용 림(200)이 만나는 모서리와 그 주변 및 몸체(100) 전체가 긴장되어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모서리 주변에서는 증가된 가압력에 의해 구조적으로 더욱 튼튼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수분이나 유분, 열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상태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를 사용하더라도 자체적인 구조적 강성으로 튀틀림 등의 변형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1)는 몸체(100) 양 말단의 교차된 정도를 바꾸어 직경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A)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고 아울러,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140)를 열어 공기배출구(140a)를 개방하면 차폐상태를 유지하면서 증기 등은 배출이 가능하므로, 보다 편리하게 음식물 등을 조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100: 몸체
101: 제1말단 102: 제2말단
103: 접이선 110: 걸림돌기
120: 걸림돌기 삽입용 슬릿 130: 규격지시부
140a: 공기배출구 140: 뚜껑부
141: 연결부 200: 변형방지용 림
201: 모서리 202: 외곽부
A: 조리용기 B: 내용물
C: 열 D: 가압력
E: 뒤집힌 원뿔면

Claims (9)

  1. 접을 수 있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원뿔 형상으로 접어 조리용기를 덮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에 있어서,
    중심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원반, 또는 부채꼴 형상의 시트(sheet)로 형성되어 양 말단을 교차시켜 원뿔 형상으로 접을 수 있게 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둘레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확장된 절개된 원, 또는 원호 형상의 띠(strap)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를 접을 때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 접이선의 위쪽으로 접혀, 양 말단이 교차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둘레를 압박할 수 있게 형성된 변형방지용 림(rim)을 포함하는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용 림은 양 말단이 교차된 상태로 상기 몸체가 형성하는 원뿔에 대해 역방향으로 뒤집힌 원뿔면 상에 배치되는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용 림과 바닥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몸체와 바닥이 이루는 각도에 비례하여 증가되는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용 림은,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상기 변형방지용 림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 말단부에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몸체의 양 말단 교차 시 상기 몸체의 서로 다른 지점에 동시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걸림돌기 사이에 등간격으로 절개된 복수 개의 걸림돌기 삽입용 슬릿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심부가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 말단이 교차된 폭에 따라 크기가 증감되는 공기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가 절개되고 남은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구의 일 측에 연결되어 개폐되는 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KR1020210119299A 2021-09-07 2021-09-07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KR20230036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99A KR20230036442A (ko) 2021-09-07 2021-09-07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KR1020230109211A KR20230124881A (ko) 2021-09-07 2023-08-21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KR2020230001755U KR20230001834U (ko) 2021-09-07 2023-08-21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99A KR20230036442A (ko) 2021-09-07 2021-09-07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755U Division KR20230001834U (ko) 2021-09-07 2023-08-21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KR1020230109211A Division KR20230124881A (ko) 2021-09-07 2023-08-21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442A true KR20230036442A (ko) 2023-03-14

Family

ID=8550257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299A KR20230036442A (ko) 2021-09-07 2021-09-07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KR1020230109211A KR20230124881A (ko) 2021-09-07 2023-08-21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KR2020230001755U KR20230001834U (ko) 2021-09-07 2023-08-21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9211A KR20230124881A (ko) 2021-09-07 2023-08-21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KR2020230001755U KR20230001834U (ko) 2021-09-07 2023-08-21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300364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993B1 (ko) 2013-11-19 2014-08-01 김병걸 원뿔형 키친타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993B1 (ko) 2013-11-19 2014-08-01 김병걸 원뿔형 키친타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881A (ko) 2023-08-28
KR20230001834U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5810A (en) Cookware lid and handle assemblies
US5931333A (en) Container system including a colander
US2760672A (en) Vented covers for cooking vessels
US7617948B2 (en) Cookware with multiple component lid
US2643024A (en) Vented cover for cooking vessels
US5145107A (en) Insulated paper cup
US5053594A (en) Cook and serve food package for the storing and heating by microwave energy of a food item
US5615607A (en) Cookware
US7586068B2 (en) Disposable microwave food shield
US5377859A (en) Cover for pan having variable conventional widths
US20140193560A1 (en) Overboil ring apparatus and cooking and heating system
KR20230036442A (ko) 접이식 조리용기 가드
US4736867A (en) Container lid
JP2013543817A (ja) 実質的に円形のトレイ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CN113348136A (zh) 一种用于软罐头食品的容器
GB2409964A (en) A cover for a circular rimmed vessel
JP5143150B2 (ja) 容器
KR20230000914U (ko) 조리기구용 덮개
KR20220119997A (ko) 프라이팬 덮개 및 이에 사용되는 손잡이 홀더
KR102378736B1 (ko) 조리물 비산 방지용 커버
KR102649388B1 (ko) 누름 뚜껑구조 용기
JP6362881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蓋、電子レンジ調理器及び電子レンジ調理器一体型食品
CN218355776U (zh) 一种不易变形和着火的空气炸锅用纸盘
KR102461004B1 (ko) 가변형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