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266A -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266A
KR20230036266A KR1020210118921A KR20210118921A KR20230036266A KR 20230036266 A KR20230036266 A KR 20230036266A KR 1020210118921 A KR1020210118921 A KR 1020210118921A KR 20210118921 A KR20210118921 A KR 20210118921A KR 20230036266 A KR20230036266 A KR 20230036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nnector module
insertion space
steriliz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992B1 (ko
Inventor
홍현철
조완희
Original Assignee
(주)엘이디세이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이디세이버 filed Critical (주)엘이디세이버
Priority to KR1020210118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992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는 살균을 구현하는 발광체, 상기 발광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발광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살균 모듈; 상기 살균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모듈; 및 상기 살균 모듈과 상기 지지 모듈간을 연결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커넥터 모듈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지지 모듈의 내면에서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커넥터 모듈 및 상기 지지 모듈의 외면에서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커넥터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모듈 및 상기 제2 커넥터 모듈은 상기 삽입공간 상에서 상호 결합되어 상기 지지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울특별시 서울산업진흥원 2020년도 기술상용화 지원사업 (크라우드펀딩형) (CF210031) "UV 살균 및 고온풍을 활용한 행주 세균 멸균용 소독 건조대 개발"을 통해 개발되었다.

Description

살균 장치{STERIL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 광을 통해 행주 등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행주는 주방에서 음식물 등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물이나 음식물이 묻은 손을 닦거나,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더러워진 조리대나, 식사 과정에서 음식물 등이 흐른 식탁 등의 물기나 오염물을 닦을 때 사용하는 작은 크기의 천(헝겊)을 말하는데, 이러한 행주는 사용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물에 젖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한 각종 세균이 서식할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특히 행주는 손이나, 조리대, 식탁 등 주방 곳곳을 닦는데 사용하기 때문에 각종 세균으로 오염된 행주를 사용하는 경우에 행주뿐만 아니라, 세균으로 오염된 손을 사용하여 만든 음식물, 오염된 행주를 사용하여 닦은 식기나 도마, 식탁 등에도 세균이 전파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인체로 전파될 가능성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천으로 된 행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행주의 사용 특성상 위생적인 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행주의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행주를 주기적으로 삶아 햇볕에 건조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이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행주를 완전히 건조하는데도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업소에서도 행주를 삶거나 햇볕에 말리지 않고 대충 물로 씻은 후,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예가 비일비재하고 그로 인해 각종 세균 감염 등에 의한 식중독 등의 질병 발생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 일부 가정에서는 행주를 대신하여 펄프 재질의 일회용 키친타월 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회용 키친타월의 사용이 위생적이고 편리한 반면, 사용에 따른 비용 지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적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92884 A (2017.08.14)호에서는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걸이부(101)에 걸리는 행주가 구겨짐에 따라 살균의 효과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서울특별시 서울산업진흥원 2020년도 기술상용화 지원사업 (크라우드펀딩형) (CF210031) "UV 살균 및 고온풍을 활용한 행주 세균 멸균용 소독 건조대 개발"을 통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행주 등을 매우 쉽게 살균할 수 있는 살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는 살균을 구현하는 발광체, 상기 발광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발광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살균 모듈; 상기 살균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모듈; 및 상기 살균 모듈과 상기 지지 모듈간을 연결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커넥터 모듈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지지 모듈의 내면에서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커넥터 모듈 및 상기 지지 모듈의 외면에서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커넥터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모듈 및 상기 제2 커넥터 모듈은 상기 삽입공간 상에서 상호 결합되어 상기 지지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에 의하면 행주 등을 매우 쉽게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살균 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1 커넥터 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2 커넥터 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지지 모듈의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1 커넥터 모듈과 제2 커넥터 모듈이 지지 모듈에 연결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는 살균을 구현하는 발광체, 상기 발광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발광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살균 모듈; 상기 살균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모듈; 및 상기 살균 모듈과 상기 지지 모듈간을 연결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커넥터 모듈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지지 모듈의 내면에서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커넥터 모듈 및 상기 지지 모듈의 외면에서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커넥터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모듈 및 상기 제2 커넥터 모듈은 상기 삽입공간 상에서 상호 결합되어 상기 지지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커넥터 모듈은 상기 프레임과 접촉되며, 상기 프레임 상의 상기 전선이 통과되는 통과홀을 형성하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돌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되 상기 전선이 통과되는 연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전선은 상기 발광체로부터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고, 상기 통과홀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을 통과하며,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상기 절개홈을 통과하여 상기 연통홀로 삽입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연장부는 나사 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모듈은 상기 지지 모듈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돌출 연장되어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와 나사 산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 산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커넥터 모듈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됨에 따라 소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커넥터 모듈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살균 모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1 커넥터 모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2 커넥터 모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지지 모듈의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1 커넥터 모듈과 제2 커넥터 모듈이 지지 모듈에 연결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행주, 수건, 식기 등을 살균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살균 장치(10)는 행주 등이 걸리며, 살균을 구현하는 살균 모듈(100), 상기 살균 모듈(100)을 지지하는 지지 모듈(200), 상기 살균 모듈(100)과 상기 지지 모듈(200)간을 연결하는 커넥터 모듈(300) 및 상기 지지 모듈(200)을 지지하는 베이스 모듈(B)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살균 모듈(100)은 전체적으로 바(bar) 형상일 수 있으며,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살균 모듈(100)은 살균을 구현하는 발광체(110), 상기 발광체(11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프레임(120), 상기 발광체(11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L) 및 상기 발광체(110)가 발광하는 자외선이 외부로 투과되도록 상기 프레임(120)에 연결되는 투과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광체(110)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행주 등은 자외선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수용공간(S2)을 형성하며, 상기 발광체(1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발광체(11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레임(120)은 수분에 의해 녹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스테인리스, 또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
일례로, 투과부(130)는 상기 프레임(120)에 슬라이딩 형식으로 착탈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체(110)가 발광하는 자외선이 외부로 투과되도록 투명 재질의 유리, 합성수지 등일 수 있다.
행주 등은 상기 프레임(120)에 걸려 자외선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20)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 커넥터 모듈(310)과 연결되도록 나사 또는 피스 등의 연결부재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공(H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모듈(200)은 상기 살균 모듈(10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베이스 모듈(B)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 모듈(200)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 모듈(300)이 삽입되는 상기 삽입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도 4,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모듈(300)은 상기 살균 모듈(100)과 상기 지지 모듈(200)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살균 장치(1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 모듈(300)은 상기 지지 모듈(200)의 내면에서 상기 삽입공간(S1)으로 삽입되는 제1 커넥터 모듈(310) 및 상기 지지 모듈(200)의 외면에서 상기 삽입공간(S1)으로 삽입되는 제2 커넥터 모듈(320)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커넥터 모듈(310)은 상기 지지 모듈(200)을 기준으로 상기 살균 모듈(100)이 배치되는 방향인 상기 지지 모듈(200)의 내면에서 상기 삽입공간(S1)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커넥터 모듈(310)은 상기 살균 모듈(100)의 상기 프레임(120)과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지지 모듈(200)에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살균 모듈(100)을 상기 지지 모듈(200)에 연결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커넥터 모듈(310)은 상기 프레임(120)과 접촉되며, 상기 프레임(120) 상의 상기 전선(L)이 통과되는 통과홀(H3)을 형성하는 제1 베이스부(311), 상기 제1 베이스부(311)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돌출 연장되는 제1 연장부(312) 및 상기 제1 연장부(31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홈(S3)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베이스부(311)는 상기 통과홀(H3)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120)의 연결공(H1)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 또는 피스 등의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공(H2)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베이스부(311)와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연결공(H1) 및 상기 관통공(H2)에 삽입되는 나사 또는 피스 등의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장부(312)는 상기 제1 베이스부(311)로부터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직각)로 돌출 연장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나사 산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장부(312)의 나사 산은 상기 제1 연장부(312)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될 제2 연장부(322)의 나사 산과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개홈(S3)은 상기 제1 베이스부(311)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1 연장부(31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절개홈(S3)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상기 전선(L)이 상기 프레임(120)으로부터 상기 제1 베이스부(311)를 통과하여 상기 지지 모듈(200)의 연통홀(S6)로 통과되도록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커넥터 모듈(310)은 상기 제1 연장부(312)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3)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상기 지지 모듈(200)의 삽입홈(S5)에 삽입되어 소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커넥터 모듈(310)이 상기 지지 모듈(200)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커넥터 모듈(320)은 상기 지지 모듈(200)의 내면과 반대 방향인 외면에서 상기 삽입공간(S1)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 모듈(320)은 상기 삽입공간(S1) 상에서 상기 제1 커넥터 모듈(310)과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커넥터 모듈(310)과 협동하여 상기 살균 모듈(100)을 상기 지지 모듈(200)에 고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커넥터 모듈(320)은 상기 지지 모듈(20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2 베이스부(321) 및 상기 제2 베이스부(321)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돌출 연장되어 상기 삽입공간(S1)으로 삽입되는 제2 연장부(322)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베이스부(321)는 상기 삽입공간(S1)으로 삽입되는 구성이 아니라, 상기 지지 모듈(200)의 외면을 커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베이스부(321)는 드라이버 등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는 회전홈(S4)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연장부(322)는 상기 제2 베이스부(321)로부터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직각)로 돌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장부(312)의 나사 산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 산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연장부(322)의 나사 산은 상기 제2 연장부(322)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연장부(322)는 상기 제1 연장부(312)의 내면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연장부(312)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모듈(200)은 상기 제1 커넥터 모듈(310) 및 상기 제2 커넥터 모듈(320)이 삽입되는 상기 삽입공간(S1) 외에도, 상기 삽입공간(S1)과 연통되되 상기 전선(L)이 통과되는 연통홀(S6)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통홀(S6)은 상기 삽입공간(S1)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모듈(B)에 접촉하는 상기 지지 모듈(200)의 일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공간(S1)은 상기 지지 모듈(200)의 내면으로부터 함입되며, 상기 제1 커넥터 모듈(310)이 삽입되는 공간인 제1 삽입공간(S1-1) 및 상기 지지 모듈(200)의 외면으로부터 함입되며, 상기 제2 커넥터 모듈(320)이 삽입되는 공간인 제2 삽입공간(S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공간(S1-1)은 상기 제2 삽입공간(S1-2)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연통홀(S6)은 상기 제1 삽입공간(S1-1)을 규정하는 상기 지지 모듈(2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통홀(S6)은 상기 제1 삽입공간(S1-1)을 규정하는 상기 지지 모듈(200)의 함입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모듈(B)에 접촉하는 면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도 5,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커넥터 모듈(310)과 상기 제2 커넥터 모듈(320) 및 상기 지지 모듈(200)간의 결합관계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제1 커넥터 모듈(3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살균 모듈(100)과 고정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1 커넥터 모듈(310)은 상기 삽입공간(S1) 중 상기 제1-1 삽입공간(S1) 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1 커넥터 모듈(310)의 상기 돌출부(313)는 상기 지지 모듈(200)의 상기 삽입홈(S5)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3)가 상기 삽입홈(S5)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커넥터 모듈(310)의 상기 절개홈(S3)은 상기 지지 모듈(200)의 상기 연통홀(S6)과 연통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2 커넥터 모듈(320)은 상기 삽입공간(S1) 중 상기 제1-2 삽입공간(S1) 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2 연장부(322)와 상기 제1 연장부(312)는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연장부(312)와 상기 제2 연장부(322)의 나사 결합으로 인해, 상기 커넥터 모듈(300)은 상기 삽입공간(S1) 상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연장부(322)가 상기 제1 연장부(312) 상으로 최대한 깊이 나사 결합되어도, 상기 제2 연장부(322)의 끝단은 상기 제1 베이스부(31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절개홈(S3)은 상기 제2 연장부(322)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커버되지 않고, 상기 제1 삽입공간(S1-1)과 상기 연통홀(S6)을 연통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선(L)은 순차적으로 상기 발광체(110)로부터 상기 통과홀(H3)을 통과하고, 상기 통과홀(H3)로부터 상기 삽입공간(S1)을 통과하며, 상기 삽입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절개홈(S3)을 통과하여 상기 연통홀(S6)로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모듈(B)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선(L)은 상기 베이스 모듈(B)을 통과하여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발광체(11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살균 모듈
200: 지지 모듈
300: 커넥터 모듈

Claims (5)

  1. 살균 장치에 있어서,
    살균을 구현하는 발광체, 상기 발광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발광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살균 모듈;
    상기 살균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모듈; 및
    상기 살균 모듈과 상기 지지 모듈간을 연결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커넥터 모듈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지지 모듈의 내면에서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커넥터 모듈 및
    상기 지지 모듈의 외면에서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커넥터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모듈 및 상기 제2 커넥터 모듈은,
    상기 삽입공간 상에서 상호 결합되어 상기 지지 모듈에 연결되는,
    살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모듈은,
    상기 프레임과 접촉되며, 상기 프레임 상의 상기 전선이 통과되는 통과홀을 형성하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돌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홈을 구비하는,
    살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되 상기 전선이 통과되는 연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전선은,
    상기 발광체로부터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고,
    상기 통과홀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을 통과하며,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상기 절개홈을 통과하여 상기 연통홀로 삽입되는,
    살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나사 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모듈은,
    상기 지지 모듈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돌출 연장되어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와 나사 산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 산을 형성하는,
    살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모듈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됨에 따라 소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커넥터 모듈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살균 장치.
KR1020210118921A 2021-09-07 2021-09-07 살균 장치 KR102628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921A KR102628992B1 (ko) 2021-09-07 2021-09-07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921A KR102628992B1 (ko) 2021-09-07 2021-09-07 살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266A true KR20230036266A (ko) 2023-03-14
KR102628992B1 KR102628992B1 (ko) 2024-01-25

Family

ID=8550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921A KR102628992B1 (ko) 2021-09-07 2021-09-07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9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42417A1 (en) * 2020-11-11 2022-05-12 Joseph Schwartz Fabric warming ra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774Y1 (ko) * 2003-11-20 2004-02-18 조길주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수건걸이대
KR100855201B1 (ko) * 2008-04-28 2008-09-01 박세준 자외선살균장치
WO2011049047A1 (ja) * 2009-10-19 2011-04-28 株式会社豊振科学産業所 照明兼空気清浄器
KR102205296B1 (ko) * 2019-12-09 2021-01-20 주식회사 파괴연구소 수건 건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774Y1 (ko) * 2003-11-20 2004-02-18 조길주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수건걸이대
KR100855201B1 (ko) * 2008-04-28 2008-09-01 박세준 자외선살균장치
WO2011049047A1 (ja) * 2009-10-19 2011-04-28 株式会社豊振科学産業所 照明兼空気清浄器
KR102205296B1 (ko) * 2019-12-09 2021-01-20 주식회사 파괴연구소 수건 건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42417A1 (en) * 2020-11-11 2022-05-12 Joseph Schwartz Fabric warming rack
US11944240B2 (en) * 2020-11-11 2024-04-02 Joseph Schwartz Fabric warming r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992B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36266A (ko) 살균 장치
US20130111779A1 (en) Device for drying food containers
KR102245579B1 (ko) 주방용품 살균 건조기
KR101483032B1 (ko)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KR200395086Y1 (ko) 주방용품 살균건조대
CN212880210U (zh) 一种紫外灯消毒机
CN212973597U (zh) 一种便于拆卸清洗的奶瓶消毒烘干器
CN212327014U (zh) 一种可拆卸的消毒器
CN214965263U (zh) 一种餐具厨具消毒烘干装置
CN219558143U (zh) 一种多人聚餐时紫外线筷子消毒器
CN212089351U (zh) 一种非接触式消毒用品安装架
CN211561190U (zh) 一种通用型万向智能led杀菌灯
CN214232155U (zh) 酒具消毒柜
KR200429527Y1 (ko) 주방용 자외선 살균 소독기
KR200178708Y1 (ko) 주방용품 살균건조기의 선반 어셈블리
KR20050033345A (ko) 다기능 손 살균 세척기
CN212880241U (zh) 一种便捷的刀筷消毒机
CN217245700U (zh) 一种用于消毒柜的奶瓶架及消毒柜
KR102331434B1 (ko) 도마의 수납과 위생관리를 편리하게 하는 주방위생 장치
CN215226727U (zh) 餐具
CN217117795U (zh) 一种带有消毒柜的餐桌
CN214388266U (zh) 一种多功能消毒设备
CN215424276U (zh) 餐厨具净化装置
CN212973599U (zh) 一种加热水壶高温消毒的餐具笼子
KR200384540Y1 (ko) 행주 건조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