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042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042A
KR20230036042A KR1020220104743A KR20220104743A KR20230036042A KR 20230036042 A KR20230036042 A KR 20230036042A KR 1020220104743 A KR1020220104743 A KR 1020220104743A KR 20220104743 A KR20220104743 A KR 20220104743A KR 20230036042 A KR20230036042 A KR 2023003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base
hole
protrusion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야 이시노
요헤이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3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60R21/131Protective devices for drivers in case of overturning of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7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satellite positioning signals, e.g. G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과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논툴로), 작업 차량에 대해 측위 장치를 간단하게 탈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작업 차량은, 차체와, 측위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측위 장치와, 차체에 장착되는 지지 구조부와, 측위 장치가 고정되는 장착 스테이와, 지지 구조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스테이를 구비한다. 장착 스테이 및 베이스 스테이의 일방은, 돌기부를 갖는다. 장착 스테이 및 베이스 스테이 타방은, 돌기부가 삽입되어 록킹되는 구멍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 발명은,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랙터의 캐빈의 상방에, 차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측위 장치를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측위 장치를 장착한 장착 스테이를, 차체측에 형성된 베이스 스테이에, 볼트에 의해 고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1-041745호
특허문헌 1 의 구성에서는, 차체에 대해 측위 장치를 탈착할 때에, 공구를 사용하여 볼트를 풀거나, 조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측위 장치의 탈착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논툴로), 측위 장치를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련된 작업 차량은, 차체와, 측위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측위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차체에 장착되는 지지 구조부와, 상기 측위 장치가 고정되는 장착 스테이와, 상기 지지 구조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스테이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스테이 및 상기 베이스 스테이의 일방은, 돌기부를 갖고, 상기 장착 스테이 및 상기 베이스 스테이의 타방은,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록킹되는 구멍부를 갖는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논툴로), 작업 차량에 대해 측위 장치를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관련된 작업 차량의 일례인 트랙터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트랙터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 은, 캐빈의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안테나 유닛을 장착하기 전의 장착 스테이의 하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상기 안테나 유닛을 장착한 후의 상기 장착 스테이의 하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베이스 스테이의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상기 안테나 유닛이 고정된 상기 장착 스테이를 상기 베이스 스테이에 고정할 때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상기 장착 스테이의 파지를 해제한 상태에서의, 상기 장착 스테이 및 상기 베이스 스테이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상기 장착 스테이와 상기 베이스 스테이의 다른 고정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상기 장착 스테이 및 상기 베이스 스테이의 다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하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3 은, 고정 부재를 비스듬하게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상기 장착 스테이의 제 2 돌기부를 상기 고정 부재로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는, 상기 제 2 돌기부를 상기 고정 부재로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은, 상기 트랙터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차량으로서 트랙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작업 차량으로는, 트랙터 외에, 이앙기, 콤바인, 토목·건축 작업 장치, 제설차 등의 승용형 작업 차량을 생각할 수도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방향을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먼저, 작업 차량으로서의 트랙터가 작업 시에 진행하는 방향을 「전」으로 하고, 그 역방향을 「후」로 한다. 또, 트랙터의 진행 방향을 향해 우측을 우로 하고, 좌측을 좌로 한다. 그리고, 트랙터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이때, 중력 방향을 하로 하고, 그 반대측을 상으로 한다. 도면에서는, 적절히, 전 방향을 F 로 나타내고, 후 방향을 B 로 나타내고, 좌 방향을 L 로 나타내고, 우 향을 R 로 나타내고, 상 방향을 U 로 나타내고, 하 방향을 D 로 나타낸다.
〔1. 차량 주행 시스템의 개요〕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작업 차량의 일례인 트랙터 (1) 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트랙터 (1) 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차량 주행 시스템은, 트랙터 (1) 와, 무선 통신 단말 (30) 과, 기준국 (40) 을 갖고 구성된다. 트랙터 (1) 는, 운전자의 조종에 따라서 주행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 단말 (30) 로부터의 지시 등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단말 (30) 은, 트랙터 (1) 에 대해 각종의 지시 등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이다. 기준국 (40) 은, 트랙터 (1) 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 (1) 는, 차체 (2) 를 구비한다. 차체 (2) 의 후방측에는, 대지 작업기 (도시 생략) 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지 작업기로는, 예를 들어 경운 장치, 플라우, 시비 장치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체 (2) 의 전방부는, 좌우 1 쌍의 전륜 (3) 으로 지지된다. 차체 (2) 의 후방부는, 좌우 1 쌍의 후륜 (4) 으로 지지된다. 차체 (2) 의 전방부에는, 보닛 (5) 이 배치된다. 보닛 (5) 의 하방에는, 구동원으로서의 엔진 (6) 이 배치된다. 엔진 (6) 은, 예를 들어 디젤 엔진으로 구성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솔린 엔진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 엔진 (6) 에 부가하여, 혹은 엔진 (6) 대신에, 전동 모터가 구동원으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보닛 (5) 의 후방의 차체 (2) 의 상부에는, 조종자 (운전자) 가 탑승하기 위한 캐빈 (7) 이 형성된다. 캐빈 (7) 의 좌측에는, 전방 개방으로 회동하는 도어 (7a) 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 (7a) 를 개폐함으로써, 운전자는 캐빈 (7) 에 대해 승강할 수 있다. 또한, 도어 (7a) 는, 캐빈 (7) 의 우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캐빈 (7) 내에는, 운전자가 조향 조작하기 위한 스티어링 핸들 (8) 과, 운전자의 운전 좌석 (9) 이 형성되어 있다. 캐빈 (7) 은, 운전 좌석 (9) 의 전방에, 프론트 유리 (FG) (도 3, 도 4 참조) 를 갖는다. 또한, 프론트 유리 (FG) 및 도어 (7a) 의 설치를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차체 (2) 의 후방측에는, 3 점 링크 기구가 형성된다. 3 점 링크 기구는, 좌우 1 쌍의 로어 링크 (10) 와, 어퍼 링크 (11)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대지 작업기는, 3 점 링크 기구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차체 (2) 의 후방측에는, 승강 실린더 등의 유압 장치를 갖는 승강 장치 (도시 생략) 가 형성된다. 승강 장치가 3 점 링크 기구를 승강시킴으로써, 대지 작업기를 승강시킬 수 있다.
트랙터 (1) 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6) 의 회전 속도를 조정 가능한 거버너 장치 (21) 와, 엔진 (6) 으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변속하여 구동륜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 (22) 가 형성된다. 거버너 장치 (21) 및 변속 장치 (22) 는, 제어부 (23) 에 의해 제어된다.
트랙터 (1) 는, 조타 장치 (24) 를 구비한다. 조타 장치 (24) 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 핸들 (8) 의 회전축의 도중부에 형성되고, 스티어링 핸들 (8) 의 회전 각도 (조타각) 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 (23) 가 조타 장치 (24) 를 제어함으로써, 트랙터 (1) 는, 직진 주행뿐만 아니라, 스티어링 핸들 (8) 의 회전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여, 원하는 선회 반경으로 선회 주행을 실시할 수 있다.
트랙터 (1) 는, 안테나 유닛 (50) 을 추가로 구비한다. 안테나 유닛 (50) 은, 도 1 에 나타내는 측위 위성 (항법 위성) (45) 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체 (2) 의 위치를 검출하는 측위 장치이다.
안테나 유닛 (50) 과 제어부 (23) 는, 하니스 (WH)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안테나 유닛 (50) 과 제어부 (23) 사이에서, 하니스 (WH) 를 개재하여 각종의 정보 또는 지시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안테나 유닛 (50) 에서 검출된 차체 (2) 의 위치 정보는, 하니스 (WH) 를 개재하여 제어부 (23) 에 입력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안테나 유닛 (50) 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테나 유닛 (50) 은, 관성 계측 장치 (IMU : Inertial Measurement Unit) (25) 와,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안테나 (26) 와, 무선 통신 유닛 (27) 과, 무선 통신용 안테나 (28) 와, 기지국 안테나 (29) 를 갖는다.
관성 계측 장치 (25) 는, 3 축의 자이로 센서 및 3 방향의 가속도계를 구비하고, 이로써, 3 차원의 각속도 및 가속도를 검출한다. 관성 계측 장치 (25) 의 검출값은, 제어부 (23) 에 입력된다. 제어부 (23) 는, 상기 검출값에 기초하여, 트랙터 (1) 의 자세 정보를 구할 수 있다. 상기 자세 정보에는, 예를 들어, 기체의 방위각 (요각), 기체의 좌우의 경사각 (롤각), 기체의 진행 방향으로의 전후의 경사각 (피치각) 의 각 정보가 포함된다.
GNSS 안테나 (26) 는, 위성 측위 시스템 (GNSS) 을 구성하는 측위 위성 (45) 으로부터 송신되는 전파 신호를 수신한다. 위성 측위 시스템에서는, 측위 위성으로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미국) 에 부가하여, 준천정위성 (일본), 글로나스 위성 (러시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유닛 (27) 은, 무선 통신 단말 (30) 등과의 사이에서 구축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종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선 통신 유닛 (27) 은, 주파수 대역이 2.4 GHz 인 와이파이 (Wifi (등록상표))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 통신 단말 (30) 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무선 통신용 안테나 (28) 에서 수신되고, 무선 통신 유닛 (27) 을 통하여 제어부 (23) 에 입력된다. 또, 제어부 (23) 로부터의 신호는, 무선 통신 유닛 (27) 및 무선 통신용 안테나 (28) 를 통하여, 무선 통신 단말 (30) 의 무선 통신 장치 (31) 등으로 송신된다.
여기서, 위성 측위 시스템을 사용한 측위 방법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RTK (Real Time Kinematic) 측위를 사용한다. RTK 측위에서는, 기준점에 설치된 기준국 (40) 의 기준국 측위용 안테나 (42) 와, 위치 정보를 구하는 대상의 이동국측이 되는 트랙터 (1) 의 GNSS 안테나 (26) 의 양방에서, 측위 위성 (45) 으로부터의 반송파 위상 (위성 측위 정보) 을 측정한다. 기준국 (40) 에서는, 측위 위성 (45) 으로부터 위성 측위 정보를 측정할 때마다, 또는 설정 주기가 경과할 때마다, 보정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보정 정보는, 기준국 무선 통신 장치 (41) 로부터 트랙터 (1) 의 기지국 안테나 (29) 로 송신된다. 트랙터 (1) 의 제어부 (23) 는, GNSS 안테나 (26) 에서 측정한 위성 측위 정보를, 기준국 (40) 으로부터 송신된 보정 정보를 사용하여 보정해,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정보를 구한다. 제어부 (23) 는,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정보로서, 예를 들어, 위도 정보·경도 정보를 구한다.
또한, 사용하는 측위 방법은, 상기의 RTK 측위에는 한정되지 않고, DGPS (디퍼런셜 GPS 측위) 등의 다른 측위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또, 기준국 (40) 은, 트랙터 (1) 간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단말 (30) 간에서도, 각종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이다.
무선 통신 단말 (30) 은,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을 갖는 태블릿형의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성된다. 무선 통신 단말 (30) 에는, 무선 통신 장치 (31) 와, 목표 주행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32) 가 형성된다. 경로 생성부 (32) 는, 터치 패널에 의해 입력되는 각종의 정보에 기초하여, 트랙터 (1) 를 자율 주행시키는 목표 주행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경로 생성부 (32) 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가 갖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중앙 연산 처리 장치) 로 구성된다.
무선 통신 단말 (30) 은, 목표 주행 경로 등, 트랙터 (1) 를 자율 주행시키기 위한 각종의 정보를 트랙터 (1) 로 송신한다. 트랙터 (1) 의 제어부 (23) 는, GNSS 안테나 (26) 의 수신 신호로부터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정보를 구함과 함께, 관성 계측 장치 (25) 에서의 검출값으로부터 차체 (2) 의 변위 정보 및 방위 정보를 구하고,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변속 장치 (22) 및 조타 장치 (24) 등을 제어한다. 이로써, 경로 생성부 (32) 에서 생성된 목표 주행 경로를 따라 트랙터 (1) 를 자율 주행시킬 수 있다.
〔2. 안테나 유닛의 장착 구조에 대해〕
다음으로, 상기한 안테나 유닛 (50) 을 트랙터 (1) 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트랙터 (1) 의 캐빈 (7) 의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트랙터 (1) 는, 지지 구조부 (100) 를 구비한다. 지지 구조부 (100) 는, 차체 (2) 에 장착된다.
(2-1. 지지 구조부)
지지 구조부 (100) 는, 차체 (2) 에 형성되는 상기 서술한 캐빈 (7) 과, 캐빈 (7) 에 장착되는 지지부 (101)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빈 (7) 은, 루프 (70) 와, 복수의 필러를 포함한다. 루프 (70) 는, 운전 좌석 (9) (도 1 참조) 의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복수의 필러는, 차체 (2) 상에 루프 (70) 를 지지하는 다리이다. 상기 복수의 필러는, 적어도 루프 (70) 의 4 모서리를 지지하는 필러를 포함한다. 도 3 에서는, 상기 복수의 필러 중, 루프 (70) 의 우측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우측 전방 필러 (71R) 와, 루프 (70) 의 좌측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좌측 전방 필러 (71L) 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부 (101) 는, 지지 파이프 (102) 와, 우측 스테이 (103R) 및 좌측 스테이 (103L) 를 포함한다. 지지 파이프 (102) 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 단부 (端部) 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우측 스테이 (103R) 는, 캐빈 (7) 의 우측 전방 필러 (71R) 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된다. 좌측 스테이 (103L) 는, 캐빈 (7) 의 좌측 전방 필러 (71L) 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 파이프 (102) 의 우단 및 좌단은 각각, 우측 스테이 (103R) 및 좌측 스테이 (103L) 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써, 우측 스테이 (103R) 및 좌측 스테이 (103L) 를 개재하여, 지지 파이프 (102) 가 우측 전방 필러 (71R) 및 좌측 전방 필러 (71L) 에 고정된다. 즉, 지지부 (101) 가 캐빈 (7) 에 장착된다.
우측 스테이 (103R) 는, 우측 미러 지지봉 (104R) 을 개재하여 백미러 (도시 생략) 를 지지한다. 좌측 스테이 (103L) 는, 워크 램프 (WL) 를 지지함과 함께, 좌측 미러 지지봉 (104L) 을 개재하여 백미러 (도시 생략) 를 지지한다. 또한, 우측 스테이 (103R) 는, 좌측 스테이 (103L) 와 마찬가지로 워크 램프를 지지해도 된다.
도 4 는, 지지부 (101) 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지지부 (101) 는, 지지 스테이 (105) 로 구성되어도 된다. 지지 스테이 (105) 는, 좌우 방향으로 장척상으로 형성되고, 캐빈 (7) 의 루프 (70) 상에 볼트 등에 의해 직접 고정된다. 이로써, 지지부 (101) 가 캐빈 (7) 에 장착된다.
(2-2. 장착 스테이)
도 5 및 도 6 은, 장착 스테이 (200) 의 하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트랙터 (1) 는, 장착 스테이 (200) 를 구비한다. 장착 스테이 (200) 에는, 안테나 유닛 (50) 이 고정된다. 또한, 도 5 는, 안테나 유닛 (50) 을 장착하기 전의 장착 스테이 (200) 를 나타내고, 도 6 은, 안테나 유닛 (50) 을 장착한 후의 장착 스테이 (200) 를 나타내고 있다. 장착 스테이 (200) 는, 본체부 (201) 와, 제 1 돌기부 (202) 와, 제 2 돌기부 (203) 를 갖는다.
본체부 (201) 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 (예를 들어 상하 방향) 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201a) 을 갖는다. 즉, 장착 스테이 (200) 는, 관통공 (201a) 을 갖는다. 관통공 (201a) 은, 도 5 에서는, 본체부 (201) 의 후방부 좌우에 2 지점, 전방부 중앙에 1 지점의 합계 3 지점에 형성되어 있지만, 관통공 (201a) 의 수는 1 개여도 되고, 2 개여도 되고, 4 개 이상이어도 된다.
장착 스테이 (200) 상에 안테나 유닛 (50) 을 위치시키고, 도 6 에 나타내는 볼트 (204) (체결 부재) 를 장착 스테이 (200) 의 관통공 (201a) 에 하방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안테나 유닛 (50) 의 케이싱측에 형성된 너트에 볼트 (204) 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로써, 볼트 (204) 와 안테나 유닛 (50) 이 고정되고, 안테나 유닛 (50) 이 장착 스테이 (200) 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의 나사 결합이란, 볼트를 회전시켜 너트와 결합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장착 스테이 (200) 는, 안테나 유닛 (50) 이 장착되는 본체부 (201) 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트랙터 (1) 는, 안테나 유닛 (50) 을 장착 스테이 (200) 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 (예를 들어 볼트 (204)) 를 구비한다고도 할 수 있다. 상기의 볼트 (204) 는, 관통공 (201a) 에 삽입되어 안테나 유닛 (50) 과 고정된다.
또한, 장착 스테이 (200) 의 본체부 (201) 의 중앙에는, 장착 스테이 (200) 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여, 대략 삼각형상의 구멍 (201b) 이 형성되어 있지만, 구멍 (201b) 은 없어도 된다.
제 1 돌기부 (202) 는, 본체부 (201) 의 후방부에 연결되고, 후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예각으로) 경사져 있다. 즉, 제 1 돌기부 (202) 는, 중력 방향인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져 본체부 (201) 에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력 방향에 대한 제 1 돌기부 (202) 의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45°이지만, 이 각도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0°보다 크고, 또한, 90°보다 작은 각도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제 2 돌기부 (203) 는, 본체부 (201) 의 전방부에 연결되고, 전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예각으로) 경사져 있다. 즉, 장착 스테이 (200) 는, 본체부 (201) 에 대해 제 1 돌기부 (202) 와의 연결측과는 반대측으로 연결되는 제 2 돌기부 (203) 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력 방향에 대한 제 2 돌기부 (203) 의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45°이지만, 이 각도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0°보다 크고, 또한, 90°보다 작은 각도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2-3. 베이스 스테이)
도 7 은,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트랙터 (1) 는, 베이스 스테이 (300) 를 구비한다. 베이스 스테이 (300) 는, 용접 등에 의해 지지 파이프 (102) 에 고정된다. 즉, 베이스 스테이 (300) 는, 지지 구조부 (100) 에 고정된다. 따라서, 베이스 스테이 (300) 는, 지지 구조부 (100) 를 개재하여 차체 (2) 에 장착된다.
베이스 스테이 (300) 는, 베이스부 (301) 를 갖는다. 베이스부 (301) 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평판의 좌우의 에지 근방을 하방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 (301) 는, 하방으로 절곡된 좌우의 에지 부분에서 지지 파이프 (102) 와 접촉하고 있다. 베이스부 (301) 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오각형의 형상이지만, 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베이스부 (301) 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 (302) 를 갖는다. 즉, 구멍부 (302) 는, 베이스 스테이 (300) (베이스부 (301)) 의 상면 (301Su) 및 하면 (301Sd) (도 9 참조) 을 관통하여 위치한다. 구멍부 (302) 는, 베이스 스테이 (300) 의 후방부에 위치한다. 구멍부 (302) 는, 좌우 방향으로 장척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장착 스테이 (200) (도 5 등 참조) 의 제 1 돌기부 (202) 의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 (301) 는, 개구부 (303) 를 추가로 갖는다. 개구부 (303) 는, 장착 스테이 (200) 의 제 2 돌기부 (203) 가 들어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베이스 스테이 (300) 는, 제 2 돌기부 (203) 가 들어가는 개구부 (303) 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 (303) 는,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전방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개구부 (303) 는, 전방이 개구된 절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 (303) 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어도 된다.
베이스부 (301) 는, 수용부 (304) 를 추가로 갖는다. 수용부 (304) 는, 장착 스테이 (200) 의 제 1 돌기부 (202) 가 베이스 스테이 (300) 의 구멍부 (302) 에 삽입되고, 이로써 장착 스테이 (200) 가 베이스 스테이 (300) 에 고정될 때, 상방으로부터 보아, 장착 스테이 (200) 의 관통공 (201a) (도 5 참조) 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부 (304) 는, 관통공 (201a) 으로부터 베이스 스테이 (300) 측으로 돌출되는 볼트 (204) (도 6 참조) 의 일부 (예를 들어 헤드부 (204a) (도 9 참조)) 를 수용한다. 즉, 베이스 스테이 (300) 는, 관통공 (201a) 으로부터 베이스 스테이 (300) 측으로 돌출되는 체결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304) 를 갖는다.
이와 같은 수용부 (304) 는, 장착 스테이 (200) 의 후방부 좌우의 2 지점의 관통공 (201a) 의 위치에 대응하여, 베이스부 (301) 의 좌우의 2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각 수용부 (304) 는, 베이스부 (301) 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에서 형성되어 있지만, 하방이 폐쇄된 오목부로 형성되어도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 (304) 는,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전후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구멍부 (302) 및 개구부 (303) 는,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구멍부 (302) 는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전방측에, 개구부 (303) 는 베이스 스테이 (300) 의 후방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장착 스테이 (200) 의 전방부의 1 지점의 관통공 (201a) 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개구부 (303)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부 (303) 에는, 장착 스테이 (200) 의 제 2 돌기부 (203) 뿐만 아니라, 상기 관통공 (201a) 에 삽입된 볼트 (204) 의 일부도 들어간다. 요컨대, 개구부 (303) 는, 상기 볼트 (204) 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의 기능도 겸한다.
〔3. 안테나 유닛의 장착 방법〕
다음으로, 안테나 유닛을 트랙터 (1) 에 장착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볼트 (204) 에 의해, 안테나 유닛 (50) 이 장착 스테이 (200) 에 이미 고정되어 있다고 한다. 또, 베이스 스테이 (300) 가 지지 파이프 (102) 에 고정되고, 지지 파이프 (102) 가 우측 스테이 (103R) 및 좌측 스테이 (103L) 를 개재하여, 우측 전방 필러 (71R) 및 좌측 전방 필러 (71L) 에 고정되어 있다고 한다. 또한, 베이스 스테이 (300) 가 지지 스테이 (105) (도 4 참조) 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여도,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을 적용하여, 장착 스테이 (200) 를 베이스 스테이 (300) 에 장착할 수 있다.
도 8 은, 안테나 유닛 (50) 이 고정된 장착 스테이 (200) 를 베이스 스테이 (300) 에 고정할 때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사용자 (예를 들어 운전자) 는, 장착 스테이 (200) 를 파지하면서, 장착 스테이 (200) 의 후방부를 내림으로써, 장착 스테이 (200) 의 제 1 돌기부 (202) 를, 베이스 스테이 (300) 의 구멍부 (302) 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제 1 돌기부 (202) 를 구멍부 (302) 에 삽입한 상태에서, 장착 스테이 (200) 의 전방부를 내린다. 이로써, 장착 스테이 (200) 의 제 2 돌기부 (203) 를, 베이스 스테이 (300) 의 개구부 (303) 에 들어가게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장착 스테이 (200) 의 파지를 해제한다.
도 9 는, 장착 스테이 (200) 의 파지를 해제한 상태에서의, 장착 스테이 (200) 및 베이스 스테이 (300) 의 단면도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돌기부 (202) 는,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본체부 (201) 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돌기부 (203) 가 개구부 (303) 에 들어간 상태에 있어서, 장착 스테이 (200) 의 파지를 해제하면, 장착 스테이 (200) 의 자중에 의해, 장착 스테이 (200) 의 전방부는 더욱 내려가려고 하고, 그 결과, 제 1 돌기부 (202) 가 구멍부 (302) 의 가장자리에 걸려, 록킹된다. 이로써, 장착 스테이 (200) 가 베이스 스테이 (300) 에 고정된다. 요컨대, 장착 스테이 (200) 에 고정된 안테나 유닛 (50) 이 트랙터 (1) 에 고정된다.
한편, 안테나 유닛 (50) 을 트랙터 (1) 로부터 분리할 때, 장착 스테이 (200) 의 전방을 들어올린다. 이로써, 제 2 돌기부 (203) 가 개구부 (303) 로부터 이탈함과 함께, 장착 스테이 (200) 의 후방부의 제 1 돌기부 (202) 가 내려간다. 이로써, 제 1 돌기부 (202) 와 구멍부 (302) 의 록킹이 해제된다. 그리고, 장착 스테이 (200) 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제 1 돌기부 (202) 를 구멍부 (302) 로부터 발출함으로써, 장착 스테이 (200) 와 베이스 스테이 (300) 의 고정이 해제된다. 요컨대, 장착 스테이 (200) 에 고정된 안테나 유닛 (50) 이 트랙터 (1) 로부터 분리된다.
도 9 에서는, 제 1 돌기부 (202) 가 구멍부 (302) 에서 록킹되었을 때, 장착 스테이 (200) (특히 본체부 (201)) 의 하면 (201Sd) 과 베이스 스테이 (300) (특히 베이스부 (301)) 의 상면 (301Su) 이 이간되어 있지만, 장착 스테이 (200) 와 베이스 스테이 (300) 의 고정 시의 위치 관계는, 도 9 의 상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0 은, 장착 스테이 (200) 와 베이스 스테이 (300) 의 다른 고정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돌기부 (202) 가 구멍부 (302) 에서 록킹되었을 때, 장착 스테이 (200) 의 본체부 (201) 의 하면 (201Sd) 은, 베이스 스테이 (301) 의 상면 (301Su) 과 밀착하여 위치해도 된다.
도 11 은, 장착 스테이 (200) 및 베이스 스테이 (300) 의 다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장착 스테이 (200) 및 베이스 스테이 (300) 의 구성은, 도 9 등에서 나타낸 구성과 반대여도 된다. 도 11 의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베이스 스테이 (300) 는, 제 1 돌기부 (305) 및 제 2 돌기부 (306) 를 갖는다. 제 1 돌기부 (305)는 , 베이스부 (301) 의 후방부에 연결되고, 후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예각으로) 경사져 있다. 제 2 돌기부 (306) 는, 베이스부 (301) 의 전방부에 연결되고, 전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예각으로) 경사져 있다.
장착 스테이 (200) 는, 구멍부 (205) 및 개구부 (206) 를 갖는다. 구멍부 (205) 는, 장착 스테이 (200) 의 후방부에 위치한다. 구멍부 (205) 는, 좌우 방향으로 장척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제 1 돌기부 (305) 의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개구부 (206) 는,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제 2 돌기부 (306) 가 들어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개구부 (206) 는, 장착 스테이 (200) 의 전방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개구부 (206) 는, 전방이 개구된 절결로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 (206) 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장착 스테이 (200) 및 베이스 스테이 (300) 의 구성이어도,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제 1 돌기부 (305) 에 대해 상대적으로, 장착 스테이 (200) 의 구멍부 (206) 를 삽입함으로써, 장착 스테이 (200) 의 자중을 이용하여, 구멍부 (206) 와 제 1 돌기부 (305) 를 록킹시킬 수 있다. 또, 장착 스테이 (200) 의 전방부를 들어올려, 제 2 돌기부 (306) 로부터 개구부 (206) 를 상대적으로 이탈시킴과 함께, 제 1 돌기부 (305) 와 구멍부 (206) 의 록킹을 해제함으로써, 장착 스테이 (200) 와 베이스 스테이 (300) 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4.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 스테이 (200) 및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일방은, 돌기부 (제 1 돌기부 (202) 또는 제 1 돌기부 (305)) 를 갖는다. 또, 장착 스테이 (200) 및 베이스 스테이 (300) 의 타방은,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록킹되는 구멍부 (구멍부 (302) 또는 구멍부 (205)) 를 갖는다.
예를 들어, 장착 스테이 (200) 의 돌기부 (제 1 돌기부 (202)) 를 베이스 스테이 (300) 의 구멍부 (구멍부 (302)) 에 삽입하고, 돌기부가 구멍부에 록킹되면, 장착 스테이 (200) 가 베이스 스테이 (300) 에 고정된다. 장착 스테이 (200) 에는, 안테나 유닛 (50) 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스테이 (300) 는, 지지 구조부 (100) 를 개재하여 차체 (2) 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스테이 (200) 가 베이스 스테이 (300) 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안테나 유닛 (50) 이 트랙터 (1) 에 장착된다. 또, 상기 구멍부에 대한 상기 돌기부의 록킹을 해제하고, 돌기부를 구멍부로부터 인발함으로써, 베이스 스테이 (300) 에 대한 장착 스테이 (200) 의 고정이 해제된다. 요컨대, 장착 스테이 (200) 에 고정된 안테나 유닛 (50) 이 트랙터 (1) 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멍부에 대한 상기 돌기부의 삽입 발출에 의해, 안테나 유닛 (50) 을 트랙터 (1) 에 대해 탈착할 수 있다. 이로써,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논 툴로), 안테나 유닛 (50) 을 트랙터 (1) 에 대해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다.
도 5 ∼ 도 10 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장착 스테이 (200) 가 상기 돌기부 (제 1 돌기부 (202)) 를 갖고, 베이스 스테이 (300) 가 상기 구멍부 (구멍부 (302)) 를 갖는다. 이 구성에서는, 장착 스테이 (200) 의 제 1 돌기부 (202) 를, 베이스 스테이 (300) 의 구멍부 (302) 에 삽입 발출하는 것에 의해, 안테나 유닛 (50) 을 트랙터 (1) 에 대해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 (제 1 돌기부 (202)) 는, 장착 스테이 (200) 의 자중에 의해, 상기 구멍부 (구멍부 (302)) 에 록킹된다. 이 경우, 제 1 돌기부 (202) 를 구멍부 (302) 에 고정하는 전용의 부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제 1 돌기부 (202) 를 구멍부 (302) 에 간단하게 록킹시켜, 고정할 수 있다. 또, 장착 스테이 (200) 의 자중에 의해, 구멍부 (302) 에 대한 제 1 돌기부 (202) 의 록킹이 안정된다. 이로써, 베이스 스테이 (300) 에 대한 장착 스테이 (200) 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도 있다.
장착 스테이 (200) 의 상기 돌기부 (제 1 돌기부 (202)) 는 본체부 (201) 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상기 구멍부 (구멍부 (302)) 는,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위치한다. 이 구성에서는, 사용자가 장착 스테이 (200) 를 파지하여 제 1 돌기부 (202) 를 베이스 스테이 (300) 의 구멍부 (302) 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삽입하고, 파지를 해제했을 때, 장착 스테이 (200) 가 자중에 의해 쓰러지려고 해도, 제 1 돌기부 (202) 가 구멍부 (302) 에 걸려, 록킹된다. 요컨대, 장착 스테이 (200) 의 자중을 이용하여, 제 1 돌기부 (202) 를 구멍부 (302) 에 확실하게 록킹시킬 수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제 1 돌기부 (202) 가 구멍부 (302) 에서 록킹되었을 때에, 장착 스테이 (200) 의 하면 (201Sd) 과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상면 (301Su) 이 밀착된다. 이 경우, 하면 (201Sd) 과 상면 (301Su) 의 면접촉에 의해, 베이스 스테이 (300) 에 대한 장착 스테이 (200) 의 고정을 안정시킬 수 있다.
장착 스테이 (200) 는, 상기 돌기부로서의 제 1 돌기부 (202) 에 부가하여, 제 2 돌기부 (203) 를 추가로 갖는다. 그리고, 베이스 스테이 (300) 는, 개구부 (303) 를 갖는다. 장착 스테이 (200) 의 제 2 돌기부 (203) 가 베이스 스테이 (300) 의 개구부 (303) 에 들어감으로써, 베이스 스테이 (300) 에 대해 제 2 돌기부 (203) 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 스테이 (300) 에 대해 장착 스테이 (200) 를 고정할 때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 (303) 는 절결이다. 이 구성에서는, 개구부 (303) 의 절결된 부분을 횡단하도록 하여, 제 2 돌기부 (203) 를 개구부 (303) 에 용이하게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전방이 절결되어 개구부 (303) 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 1 돌기부 (202) 를 구멍부 (302) 에 삽입한 후, 장착 스테이 (200) 의 전방부 내려 (장착 스테이 (200) 를 회동시켜), 제 2 돌기부 (203) 를 개구부 (303) 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용이하게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 스테이 (300) 에 대한 장착 스테이 (200) 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스테이 (300) 는, 체결 부재로서의 볼트 (204) 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304) 를 갖는다. 이 구성에서는, 안테나 유닛 (50) (도 6, 도 8 참조) 과 고정되는 볼트 (204) 의 일부 (예를 들어 헤드부 (204a)) 가,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스테이 (200) 로부터 베이스 스테이 (300) 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그 돌출된 헤드부 (204a) 가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수용부 (304) 에 들어간다. 이로써, 헤드부 (204a) 가 베이스 스테이 (300) 와 간섭하는 경우가 없다. 상기 간섭이 일어나면, 구멍부 (302) 의 가장자리에 제 1 돌기부 (202) 가 접촉하지 않게 되어, 구멍부 (302) 에서의 제 1 돌기부 (202) 의 록킹이 저해될 우려가 생긴다. 헤드부 (204a) 를 수용부 (304) 에 들어가게 하여 상기 간섭을 회피함으로써, 상기 간섭에서 기인하여 상기 록킹이 저해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제 1 돌기부 (202) 의 구멍부 (302) 에서의 록킹 시에, 장착 스테이 (200) 로부터 돌출된 볼트 (204) 의 일부 (예를 들어 헤드부 (204a)) 가 수용부 (304) 에 들어감으로써,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 (201Sd) 과 상면 (301Su) 을 면접촉시킬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 스테이 (300) 에 대한 장착 스테이 (200) 의 고정을 안정시키는 상기 서술한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 도 7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 (304) 는, 전후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스테이 (200) 의 제 1 돌기부 (202) 를 구멍부 (302) 에 삽입하면서, 베이스 스테이 (300) 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2 돌기부 (203) 를 회동시켰을 때에 (베이스 스테이 (300) 의 전방부를 내렸을 때에), 장착 스테이 (200) 로부터 베이스 스테이 (300) 측으로 돌출된 볼트 (204) 의 일부 (예를 들어 헤드부 (204a)) 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수용부 (304) 에 들어간다. 그 결과, 베이스 스테이 (300) 와 볼트 (204) 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베이스 스테이 (300) 에 대해 장착 스테이 (200) 를 원활하게 회동시켜, 제 1 돌기부 (202) 를 구멍부 (302) 에 록킹시킬 수 있다.
또, 도 3 및 도 4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구조부 (100) 는, 차체 (2) 에 장착되는 캐빈 (7) 과, 캐빈 (7) 의 필러 (우측 전방 필러 (71R), 좌측 전방 필러 (71L)) 또는 루프 (70) 에 장착되는 지지부 (101) 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서는, 캐빈 (7) 을 갖는 트랙터 (1) 에 대해, 안테나 유닛 (50) 을 (예를 들어 루프 (70) 의 상방으로)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 (101)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스테이 (103R), 좌측 스테이 (103L) 및 지지 파이프 (102) 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 지지부 (101)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 (70) 에 직접 장착되는 지지 스테이 (105) 로 구성되어도 된다.
〔5. 고정 부재에 대해〕
도 12 는, 베이스 스테이 (300) 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하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베이스 스테이 (300) 에는, 고정 부재 (310) 가 형성되어도 된다. 고정 부재 (310) 는, 장착 스테이 (200) 의 제 2 돌기부 (203) 를 거는 것에 의해, 장착 스테이 (200) 를 베이스 스테이 (300) 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고정 부재 (310) 는, 예를 들어 드로우 래치 (draw latch) 로 구성된다. 이하, 고정 부재 (310) 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3 은, 고정 부재 (310) 를 비스듬하게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에서 나타내는 고정 부재 (310) 의 구성은 예시이다. 따라서, 고정 부재 (310) 는, 도 12 및 도 13 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고정 부재 (310) 는, 록킹봉 (311) 과, 좌우 1 쌍의 지지 부재 (312, 312) 와, 회동 부재 (313) 를 구비한다. 록킹봉 (311) 은, 좌우 방향으로 장척상의 소직경의 봉 또는 중공의 파이프로 구성된다.
각 지지 부재 (312) 는, 록킹봉 (311) 을 지지한다. 즉, 일방의 지지 부재 (312) 는, 록킹봉 (311) 의 우측에 위치하여, 록킹봉 (311) 의 우단을 지지한다. 또, 타방의 지지 부재 (312) 는, 록킹봉 (311) 의 좌측에 위치하여, 록킹봉 (311) 의 좌단을 지지한다. 각 지지 부재 (312) 는,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록킹봉 (311) 을 좌우 방향에서 사이에 둔다.
각 지지 부재 (312) 의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2 개의 아암 부재 (도시 생략) 로 구성된다. 2 개의 아암 부재는, 각각 장척상이며,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2 개의 아암 부재의 주위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 지지 부재 (314) 가 위치한다. 탄성 지지 부재 (314) 는, 2 개의 아암 부재의 장척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그 일단은 일방의 아암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타방의 아암 부재에 연결된다. 이 구성에서는, 일방의 아암부가 장척 방향의 일방측으로 이동하면, 그것에 연동하여 탄성 지지 부재 (314) 가 신장 또는 수축한다. 그리고, 이 탄성 지지 부재 (314) 의 신장 또는 수축의 반력 (반작용) 에 의해, 타방의 아암 부재도 일방의 아암 부재와 동방향으로 (장척 방향의 일방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지지 부재 (312) 전체에 탄성 지지 부재 (314) 에 의한 장척 방향의 신축성 (유연성) 을 갖게 하면서, 2 개의 아암 부재를 동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회동 부재 (313) 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 (P) (도 14 참조) 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회동 부재 (313) 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 (313a) (도 14 참조) 을 가지고 있고, 구멍 (313a) 에 고정축 (P) 이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회동 부재 (313) 는, 고정축 (P) 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고정축 (P) 은, 베이스 스테이 (300) 의 하면 (301Sd) 에, 연결 부재 (도시 생략) 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회동 부재 (313) 에 있어서, 구멍 (313a) 의 형성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파지부 (315) 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지부 (315) 를 파지하여 회동 부재 (313) 를 수동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회동 부재 (313) 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 (313b) 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축부 (313b) 에는, 각 지지 부재 (312) 에 있어서의 록킹봉 (311) 의 지지측과는 반대측의 단부 (일방의 아암 부재의 단부) 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4 는, 장착 스테이 (200) 의 제 2 돌기부 (203) 를 고정 부재 (310) 로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는, 제 2 돌기부 (203) 를 고정 부재 (310) 로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에 나타내는 고정 부재 (310) 의 위치에서는, 고정 부재 (310) 의 록킹봉 (311) 을, 장착 스테이 (200) 의 제 2 돌기부 (203) 에 걸 수 있다.
록킹봉 (311) 을 제 2 돌기부 (203) 에 건 후, 사용자는 고정 부재 (310) 의 파지부 (315) 를 파지하여, 후방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회동 부재 (313) 가 고정축 (P) 을 중심으로 하여, 도 14 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의해, 회동 부재 (313) 에 축부 (313b) 를 개재하여 연결된 각 지지 부재 (312) 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진다. 이로써, 각 지지 부재 (312) 로 지지된 록킹봉 (311) 이 제 2 돌기부 (203) 를 후방으로 끌어당긴다.
그리고,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부재 (313) 가 도 14 의 상태로부터 고정축 (P) 을 중심으로 90°회전한 상태에서는, 록킹봉 (311) 에 의한 제 2 돌기부 (203) 의 후방으로의 끌어당김이 완료된다. 이로써, 제 2 돌기부 (203) 가 고정 부재 (310) (특히 록킹봉 (311)) 에 의해 록킹되고, 고정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 (300) 에는, 장착 스테이 (200) 의 제 2 돌기부 (203) 를 걸어 고정하는 고정 부재 (310) 가 형성된다. 장착 스테이 (200) 의 베이스 스테이 (300) 에의 고정 시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돌기부 (202) 가 구멍부 (302) 에 록킹될 뿐만 아니라, 제 2 돌기부 (203) 가 고정 부재 (310) 에 의해 고정된다. 이 때문에, 베이스 스테이 (300) 에 대한 장착 스테이 (200) 의 고정이 더욱 안정된다. 또, 제 1 돌기부 (202) 및 제 2 돌기부 (203) 의 2 지점의 고정에 의해, 장착 스테이 (200) 를 베이스 스테이 (300) 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트랙터 (1) 의 주행 시의 진동 등에 의해, 장착 스테이 (200) 가 베이스 스테이 (300) 로부터 안이하게 빠지는 사태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6. 트랙터의 다른 구성〕
도 16 은, 트랙터 (1) 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동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 (1) 는, 롭스 (Roll-Over Protection Structure) 프레임 (60) 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롭스 프레임 (60) 은, 상기 서술한 루프 (70) 및 루프 (70) 를 지지하는 필러가 없는 타입의 트랙터 (1) 의 전도 시에, 운전자를 보호할 목적으로 형성되는 안전 프레임 (가드) 이다. 롭스 프레임 (60) 은, 예를 들어 중공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롭스 프레임 (60) 은, 차체 (2) 에 있어서 운전 좌석 (9) 의 후방에 역 U 자상으로 세워 형성된다. 이때, 차체 (2) 에 장착되는 지지 구조부 (100) 는, 롭스 프레임 (60) 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동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 (300) 를 롭스 프레임 (60) 의 최상부에 고정하면, 안테나 유닛 (50) 이 고정된 장착 스테이 (200) 를, 상기와 동일한 수법으로 베이스 스테이 (300) 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루프 (70) 및 필러를 가지지 않는 트랙터 (1) 에 대해서도, 안테나 유닛 (50) 을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확장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에 이용 가능하다.
1 : 트랙터 (작업 차량)
2 : 차체
7 : 캐빈
45 : 측위 위성
70 : 루프
71R : 우측 전방 필러
71L : 좌측 전방 필러
45 : 측위 위성
50 : 안테나 유닛 (측위 장치)
60 : 롭스 프레임
100 : 지지 구조부
101 : 지지부
200 : 장착 스테이
201 : 본체부
201a : 관통공
201Sd : 하면
202 : 제 1 돌기부 (돌기부)
203 : 제 2 돌기부
204 : 볼트 (체결 부재)
300 : 베이스 스테이
301Su : 상면
301Sd : 하면
302 : 구멍부
303 : 개구부
304 : 수용부
310 : 고정 부재

Claims (12)

  1. 차체와,
    측위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측위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차체에 장착되는 지지 구조부와,
    상기 측위 장치가 고정되는 장착 스테이와,
    상기 지지 구조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스테이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스테이 및 상기 베이스 스테이의 일방은, 돌기부를 갖고,
    상기 장착 스테이 및 상기 베이스 스테이의 타방은,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록킹되는 구멍부를 갖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스테이가 상기 돌기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스테이가 상기 구멍부를 갖는, 작업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장착 스테이의 자중에 의해, 상기 구멍부에 록킹되는, 작업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스테이는, 상기 측위 장치가 장착되는 본체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돌기부는,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져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작업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구멍부에서 록킹되었을 때, 상기 본체부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 스테이의 상면과 밀착하여 위치하는, 작업 차량.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제 1 돌기부로 했을 때,
    상기 장착 스테이는, 제 2 돌기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2 돌기부는, 상기 장착 스테이의 상기 본체부에 대해, 제 1 돌기부와의 연결측과는 반대측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스테이는, 상기 제 2 돌기부가 들어가는 개구부를 갖는, 작업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절결인, 작업 차량.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에는, 상기 제 2 돌기부를 걸어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형성되는, 작업 차량.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장치를 상기 장착 스테이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장착 스테이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장착 스테이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측위 장치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스테이는,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스테이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체결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작업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의 후방부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의 전후 방향으로 긴 장공인, 작업 차량.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부는,
    상기 차체에 형성되는 캐빈과,
    상기 캐빈의 필러 또는 루프에 장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부는, 상기 차체에 있어서 운전 좌석의 후방에 세워 형성되는 롭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작업 차량.
KR1020220104743A 2021-09-06 2022-08-22 작업 차량 KR202300360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44660A JP2023037858A (ja) 2021-09-06 2021-09-06 作業車両
JPJP-P-2021-144660 2021-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042A true KR20230036042A (ko) 2023-03-14

Family

ID=8315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743A KR20230036042A (ko) 2021-09-06 2022-08-22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77096A1 (ko)
EP (1) EP4144591A1 (ko)
JP (1) JP2023037858A (ko)
KR (1) KR20230036042A (ko)
CN (1) CN1157715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38158A (ja) * 2021-09-06 2023-03-16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作業車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41745A (ja) 2019-09-06 2021-03-1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0293B2 (en) * 2017-12-18 2023-09-19 Kubota Corporation Tractor and working vehicle
JP7074657B2 (ja) * 2018-12-20 2022-05-2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7074656B2 (ja) * 2018-12-20 2022-05-2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6716762B1 (ja) * 2019-09-06 2020-07-0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
JP2023034968A (ja) * 2021-08-31 2023-03-13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41745A (ja) 2019-09-06 2021-03-1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77096A1 (en) 2023-03-09
JP2023037858A (ja) 2023-03-16
CN115771584A (zh) 2023-03-10
EP4144591A1 (en)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32286B2 (ja) トラクタ
EP3741623A1 (en) Work vehicle
EP4140821A1 (en) Work vehicle
US11569569B2 (en) Antenna unit for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JP7147007B2 (ja) トラクタ
US11465501B2 (en) Work vehicle
KR20230036042A (ko) 작업 차량
KR102420670B1 (ko) 작업 차량용 안테나 유닛, 및 작업 차량
US11904777B2 (en) Work vehicle
JP2019108002A (ja) トラクタ
KR102688700B1 (ko) 작업 차량용 안테나 유닛, 및 작업 차량
KR20240006460A (ko) 작업 차량
JP7311684B2 (ja) 作業車両
KR20240116581A (ko) 작업 차량용 안테나 유닛, 및 작업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