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864A - 재밍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밍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864A
KR20230035864A KR1020210118391A KR20210118391A KR20230035864A KR 20230035864 A KR20230035864 A KR 20230035864A KR 1020210118391 A KR1020210118391 A KR 1020210118391A KR 20210118391 A KR20210118391 A KR 20210118391A KR 20230035864 A KR20230035864 A KR 20230035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solation
degree
threshold valu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344B1 (ko
Inventor
김동문
강성룡
김동희
최남우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34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3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the control of the jamming power, signal-to-noise ratio or geographic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2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the control of the jamming frequency or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5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including monitoring of the target or target signal, e.g. in reactive jammers or follower jammers for example by means of an alternation of jamming phases and monitoring phases, called "look-through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220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2203/3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the infrastructure components
    • H04K2203/3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the infrastructure components including a particular configuration of antennas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변경된 임무 및 환경변화 등에 따라 실시간으로 플랫폼 격리도를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임계값를 조정하거나 재밍 신호의 출력을 제어한 후 전자공격을 수행하여 재밍 신호의 공격 효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재밍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JAMMING SIGNAL}
본 발명은 재밍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재밍 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송신출력 시 수신 안테나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세기에 대한 임계값을 변경하거나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알고리즘 없이 고정된 하나의 값을 설정하여 사용 하였다.
전자공격을 수행함에 있어서 송신 안테나로부터 출력되는 재밍 신호가 다시 수신 안테나로 입력되었을 때, 임계값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수신 안테나가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보다 높게 들어오게 되면, 송신 안테나로부터 출력되는 재밍 신호와 외부신호를 구별하기 어려워 위협 식별이 불분명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변경된 임무 및 환경변화 등에 따라 실시간으로 플랫폼 격리도를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임계값를 조정하거나 재밍 신호의 출력의 세기를 제어한 후 전자공격을 수행하여 재밍 신호의 공격 효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 신호 제어 장치는, 송신 안테나가 송신하는 송신 신호와 수신 안테나가 수신하는 제1 수신 신호를 기반으로 격리도를 산출하는 격리도 산출부, 상기 격리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산출하는 격리도 비교부 및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송신 안테나의 재밍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임계값을 조정하는 임계값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격리도 산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신호와 상기 제1 수신 신호가 유사 재밍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신 신호와 상기 제1 수신 신호가 유사 재밍 신호인 경우, 상기 격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주파수, 펄스 반복 주기(PRI; Pulse Repetition Interval), 펄스 폭(PW; Pulse Width) 및 신호의 세기(PA; Pulse Amplitud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격리도가 상기 임계값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송신 신호와 세기가 같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안테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격리도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송신 신호보다 세기가 더 작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안테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신호보다 상기 격리도와 상기 임계값의 차만큼 세기가 더 작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안테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임계값 조정부는, 상기 격리도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의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임계값을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임계값 조정부는, 상기 임계값을 상기 격리도와 상기 임계값의 차만큼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격리도는, 상기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이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신 안테나의 재밍 신호 송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격리도는, 상기 제1 수신 신호와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 차이이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신 신호와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 차이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신 안테나의 재밍 신호 송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격리도는, 상기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에서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를 뺀 값을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로 나눈 값이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신 신호의 세기에서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를 뺀 값을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로 나눈 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신 안테나의 재밍 신호 송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 신호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재밍 신호 제어 방법은, 송신 안테나가 송신하는 송신 신호와 수신 안테나가 수신하는 제1 수신 신호를 기반으로 격리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격리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 안테나가 수신하는 제2 수신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안테나의 재밍 신호 송신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임계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변경된 임무 및 환경변화 등에 따라 실시간으로 플랫폼 격리도를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임계값를 조정하거나 재밍 신호의 출력의 세기를 제어한 후 전자공격을 수행하여 재밍 신호의 공격 효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가 격리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가 격리도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재밍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가 격리도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임계값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과 종래의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구조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전 수신기, 레이다 경보 수신기, 전자 공격 신호 발생기 등 전자공격이 필요한 전자전분야의 송신기 및 수신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시스템(10)은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 송신 안테나(200) 및 수신 안테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 표적 탐지 시스템(10)와 연결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격리도 산출부(110), 격리도 비교부(120), 송신 제어부(130) 및 임계값 조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격리도 산출부(110)는 송신 안테나(200)가 송신하는 송신 신호와 수신 안테나(300)가 수신하는 제1 수신 신호를 기반으로 격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격리도 산출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송신 신호와 제1 수신 신호가 송신 안테나(200)에 의하여 송신된 송신 신호와 대응되는 유사 재밍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격리도 산출부(110)는 송신 신호와 제1 수신 신호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의 차이값을 기반으로 유사 재밍 신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송신 신호와 제1 수신 신호가 유사 재밍 신호라고 판단된 경우, 격리도 산출부(110)는 격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격리도는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격리도 산출부(110)는 주파수, 펄스 반복 주기(PRI; Pulse Repetition Interval), 펄스 폭(PW; Pulse Width) 및 신호의 세기(PA; Pulse Amplitude) 등의 신호 파라미터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유사 재밍 신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리도 산출부(110)는 송신 신호와 제1 수신 신호의 주파수 차이값이 미리 결정된 기준 범위(예를 들어, 0 ~ 50Hz) 이내이고, 송신 신호와 제1 수신 신호의 펄스 반복 주기 차이값이 미리 결정된 기준 범위(예를 들어, 0 ~ 3us) 이내이며, 송신 신호와 제1 수신 신호의 펄스 폭 차이값이 미리 결정된 기준 범위(예를 들어, 0 ~ 5us)이내인 경우, 송신 신호와 제1 수신 신호가 유사 재밍 신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격리도 산출부(110)는 송신 신호와 제1 수신 신호가 유사 재밍 신호라고 판단한 경우 송신 안테나(200)가 송신한 송신 신호를 수신 안테나(300)가 제1 수신 신호로써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 산출부(110)에 의해 산출되는 격리도는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와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PA; Pulse Amplitude)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리도 = 제1 수신 신호(dBM) - 송신 신호(dB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 산출부(110)에 의해 산출되는 격리도는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에서 송신 신호의 세기를 뺀 값을 송신 신호의 세기로 나눈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리도 = (제1 수신 신호(dBM) - 송신 신호(dBM))/ 송신 신호(dBM)일 수 있다.
격리도 비교부(120)는 격리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결과는 격리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이 다른 경우 격리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 둘 중에서 어느 값이 더 큰지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비교결과는 격리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이 같은 경우 비교결과는 격리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의 크기가 같다고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비교결과는 격리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이 다른 경우 격리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의 차이값을 나타낼 수 있다.
송신 제어부(130)는 격리도 비교부(120)가 산출하는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송신 안테나(200)의 재밍 신호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송신 제어부(130)는 격리도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송신 신호와 세기가 같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신 안테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송신 제어부(130)는 격리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송신 신호보다 세기가 더 작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신 안테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송신 제어부(130)는 송신 신호보다 격리도와 임계값의 차만큼 세기가 더 작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신 안테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임계값 조정부(140)는 격리도 비교부(120)가 산출하는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임계값을 조정할 수 있다. 임계값 조정부(140)는 격리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임계값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임계값 조정부는(140) 임계값을 격리도와 임계값의 차만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송신 제어부(130)가 신호의 세기를 낮춰서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신 안테나(200)를 제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임계값 조정부(140)는 송신 제어부(130)가 신호의 세기를 낮춰서 재밍 신호를 송신하는 대신, 임계값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의 임계값 조정 및 재밍 신호 출력 세기 조정을 수치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임계값, 송신 안테나(200)가 송신한 송신 신호 세기 및 수신 안테나(300)가 수신한 수신 신호 세기가 임계값 = -50 dBm(deciBel milliwatte; 데시벨 밀리와트, 디비엠), 송신 신호 세기 = -10 dBm, 수신 신호 세기 = -65 dBm인 경우, 격리도 = 수신 안테나(300)가 수신한 수신 신호 세기 - 송신 안테나(200)가 송신한 송신 신호 세기인 경우 -65 - (-10)이므로 -55 dBm이된다.
이 경우 임계값(-50dBm) > 격리도(-55dBm)이므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을 조정하거나 재밍 신호 출력 세기를 조정하지 않고, 송신 안테나가 송신 신호 세기가 -10 dBm인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값, 송신 안테나(200)가 송신한 송신 신호 세기 및 수신 안테나(300)가 수신한 수신 신호 세기가 임계값 = -50 dBm(deciBel milliwatte; 데시벨 밀리와트, 디비엠), 송신 신호 세기 = -10 dBm, 수신 신호 세기 = -55 dBm인 경우, 격리도 = 수신 안테나(300)가 수신한 수신 신호 세기 - 송신 안테나(200)가 송신한 송신 신호 세기인 경우 -55 - (-10) = -45 dBm이된다.
이 경우 임계값(-50dBm) < 격리도(-45dBm)이므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임무 환경에 따라 임계값을 상향 조정하거나 및 재밍 신호 출력 세기를 하향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과 격리도의 차이(-45-(-50)=5dBm) 만큼 임계값을 상향 조정하거나 재밍 신호의 출력 세기를 하향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을 -50 dBm에서 5dBm만큼 상향 조정한 -45dBm으로 새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송신 안테나(200)가 송신하던 재밍 신호의 출력 세기를 -10 dBm에서 5dBm만큼 하향 조정한 -15dBm으로 새로 조정할 수 있다.
송신 안테나(200)는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의 재밍 신호 출력 명령에 대응하여 재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 안테나(200)는 송신 증폭기를 이용하여 재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 증폭기(미도시)는 재밍 신호가 왜곡되지 않도록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 증폭기는 입력 임피던스가 높은 이미터 폴로어(emitter follower) 구조의 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수신 안테나(300)는 송신 안테나(200)가 송신한 재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안테나(300)는 수신한 재밍 신호를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 안테나(200)는 수신 증폭기를 이용하여 재밍 신호를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 증폭기(미도시)는 수신 안테나(300)가 수신한 제1 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증폭기 및 송신 증폭기의 증폭 기능은, 예컨대 모놀리식 마이크로파 집적회로(MMIC) 모듈 등과 같은 모듈 내에 집적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종래의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은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제1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 안테나(300)는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하여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로 송신하고,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수신한 제1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제1 수신 신호에 따른 격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는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에 의해 산출되는 격리도는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와 송신 신호의 세기(PA; Pulse Amplitude)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리도 = 제1 수신 신호(dBM) - 송신 신호(dB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에 의해 산출되는 격리도는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에서 송신 신호의 세기를 뺀 값을 송신 신호의 세기로 나눈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리도 = (제1 수신 신호(dBM) - 송신 신호(dBM))/ 송신 신호(dBM)일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산출된 격리도에 따라 임계값을 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산출된 격리도와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임계값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을 조정하는 대신 송신 안테나(300)가 송신하는 재밍 신호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조정된 임계값을 기준으로 제2 수신 신호에 대응하여 재밍 신호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 안테나(300)가 제1 수신 신호와 다른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 또는 제2 수신 신호와 제1 수신 신호를 함께 수신한 경우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조정된 임계값을 기준으로 제2 수신 신호에 대응하여 송신 안테나(200)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수신 신호와 제1 수신 신호가 서로 다른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수신 신호와 제1 수신 신호가 서로 다른 신호라고 판단된 경우, 제2 수신 신호에 대응하여 송신 안테나(200)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수신 신호는 제1 수신 신호와 유사한 신호일 수 있고, 제1 수신 신호와 상기 제1 수신 신호와는 다른 신호가 합쳐진 신호일 수 있고, 제1 수신 신호와는 다른 신호만일 수도 있다.
여기서, 신호 파라미터는 주파수, 펄스 반복 주기(PRI; Pulse Repetition Interval) 및 펄스 폭(PW; Pulse Width)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에 의해 산출되는 격리도가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와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PA; Pulse Amplitude) 차이인 경우,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제2 수신 신호에서 송신 신호를 뺀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2 수신 신호에 대응하여 송신 안테나(200)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에 의해 산출되는 격리도가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에서 송신 신호의 세기를 뺀 값을 송신 신호의 세기로 나눈 값인 경우,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제2 수신 신호에서 송신 신호를 뺀 값을 제2 수신 신호로 나눈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2 수신 신호에 대응하여 송신 안테나(200)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가 격리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210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송신 안테나(200)로 재밍 신호 출력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송신 안테나(200)는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가 송신한 재밍 신호 출력 명령에 대응하여 재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 안테나(200)는 송신 증폭기를 이용하여 재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수신 안테나(300)는 송신 안테나(200)가 송신한 재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수신 안테나(300)는 수신한 재밍 신호를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 안테나(200)는 수신 증폭기를 이용하여 재밍 신호를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S250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신호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수신 안테나(300)가 수신한 재밍 신호와 송신 안테나(200)가 송신한 재밍 신호의 유사성을 판단할 수 있다. 유사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S260단계를 이어서 수행할 수 있다.
S260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격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가 격리도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재밍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301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격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격리도는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 산출부(110)에 의해 산출되는 격리도는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와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PA; Pulse Amplitude)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리도 = 제1 수신 신호(dBM) - 송신 신호(dB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 산출부(110)에 의해 산출되는 격리도는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에서 송신 신호의 세기를 뺀 값을 송신 신호의 세기로 나눈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리도 = (제1 수신 신호(dBM) - 송신 신호(dBM))/(송신 신호(dBM))일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격리도와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격리도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S303 단계가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격리도가 임계값보다 작다면 S307단계가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신호가 수신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가진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S304 단계가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송신 안테나(200)가 기존에 송신하던 재밍 신호보다 세기가 작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신호가 수신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된 경우, 즉각적으로 송신 안테나(200)가 기존에 송신하던 재밍 신호보다 세기가 작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신호가 수신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된 경우, 임계값 이상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수신된 경우에 송신 안테나(200)가 기존에 송신하던 재밍 신호보다 세기가 작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신호가 수신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된 경우, 송신 안테나(200)가 점진적으로(예를 들어, 3회에 걸쳐서) 기존에 송신하던 재밍 신호보다 세기가 작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수신 안테나(300)가 수신한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가진 신호가 수신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가진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S304 단계가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가진 신호가 수신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가진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S308 단계가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송신 안테나(200)가 기존에 송신하던 재밍 신호와 세기가 같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9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수신 안테나(300)가 수신한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가진 신호가 수신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가진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S308 단계가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가 격리도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임계값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401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격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격리도는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 산출부(110)에 의해 산출되는 격리도는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와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PA; Pulse Amplitude)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리도 = 제1 수신 신호(dBM) - 송신 신호(dB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 산출부(110)에 의해 산출되는 격리도는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에서 송신 신호의 세기를 뺀 값을 송신 신호의 세기로 나눈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리도 = (제1 수신 신호(dBM) - 송신 신호(dBM))/(송신 신호(dBM))일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격리도와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격리도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S403 단계가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격리도가 임계값보다 작다면 S404단계가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신호가 수신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된 경우, 즉각적으로 임계값을 상향 조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신호가 수신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된 경우, 임계값 이상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수신된 경우에 임계값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신호가 수신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된 경우, 임계값을 점진적으로(예를 들어, 3회에 걸쳐서) 상향 조정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가진 신호가 수신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가진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S405 단계가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송신 안테나(200)가 기존에 송신하던 재밍 신호와 세기가 같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수신 안테나(300)가 수신한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가진 신호가 수신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가진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S405 단계가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과 종래의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종래의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위협신호에 대한 전자공격은 전장에서 조종사의 생존율의 향상을 위한 요소 중 하나이다. 수신 안테나(300)로 유입되는 재밍 신호의 세기는 위협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전자공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재밍 송신 장치 개발 시 수신 안테나(300)로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하고 임계값을 기준으로 위협신호를 수신한다. 전자공격시 재밍 신호 송신을 위해 격리도 값이 중요한 요소로 적용된다. 종래에는 격리도는 단순한 고정값으로 적용되어 왔다. 종래기술은 재밍 신호 발생 시 수신 안테나(300)로 재밍 신호가 다시 입력되어 위협식별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계값을 고정하여 사용하였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임계값을 고정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지역, 날씨 등 환경변화 및 임무변경에 따라 실시간으로 혹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주기에 맞춰 격리도를 측정하여 임계값 또는 송신되는 재밍 신호 출력 세기를 적응적으로 변경한 후 전자공격을 수행함으로써 전장 공격 장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로서는 자기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시스템
100: 격리도를 이용한 재밍 신호 제어 장치
110: 격리도 산출부
120: 격리도 비교부
130: 송신 제어부
140: 임계값 조정부
200: 송신 안테나
300: 수신 안테나

Claims (13)

  1. 송신 안테나가 송신하는 송신 신호와 수신 안테나가 수신하는 제1 수신 신호를 기반으로 격리도를 산출하는 격리도 산출부;
    상기 격리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산출하는 격리도 비교부; 및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송신 안테나의 재밍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밍 신호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임계값을 조정하는 임계값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도 산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신호와 상기 제1 수신 신호가 유사 재밍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신 신호와 상기 제1 수신 신호가 유사 재밍 신호인 경우, 상기 격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주파수, 펄스 반복 주기(PRI; Pulse Repetition Interval), 펄스 폭(PW; Pulse Width) 및 신호의 세기(PA; Pulse Amplitu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격리도가 상기 임계값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송신 신호와 세기가 같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안테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격리도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송신 신호보다 세기가 더 작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안테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신호보다 상기 격리도와 상기 임계값의 차만큼 세기가 더 작은 재밍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안테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제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 조정부는,
    상기 격리도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의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임계값을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 조정부는,
    상기 임계값을 상기 격리도와 상기 임계값의 차만큼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제어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도는,
    상기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이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신 안테나의 재밍 신호 송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제어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도는,
    상기 제1 수신 신호와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 차이이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신 신호와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 차이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신 안테나의 재밍 신호 송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제어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도는,
    상기 제1 수신 신호의 세기에서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를 뺀 값을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로 나눈 값이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신 신호의 세기에서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를 뺀 값을 상기 송신 신호의 세기로 나눈 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신 안테나의 재밍 신호 송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제어 장치.
  13. 재밍 신호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재밍 신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송신 안테나가 송신하는 송신 신호와 수신 안테나가 수신하는 제1 수신 신호를 기반으로 격리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격리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 안테나가 수신하는 제2 수신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안테나의 재밍 신호 송신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임계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밍 신호 제어 방법.
KR1020210118391A 2021-09-06 2021-09-06 재밍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12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391A KR102512344B1 (ko) 2021-09-06 2021-09-06 재밍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391A KR102512344B1 (ko) 2021-09-06 2021-09-06 재밍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864A true KR20230035864A (ko) 2023-03-14
KR102512344B1 KR102512344B1 (ko) 2023-03-22

Family

ID=8550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391A KR102512344B1 (ko) 2021-09-06 2021-09-06 재밍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31035A (zh) * 2023-12-01 2024-01-02 江西红声技术有限公司 一种反空间电子侦查干扰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491B1 (ko) * 2003-06-17 2006-01-11 (주)하이게인텔레콤 이동통신용 양방향 무선 중계기의 송수신 격리도감시장치
KR20110056747A (ko) * 2009-11-23 2011-05-31 국방과학연구소 재밍 신호의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재밍 신호의 간섭 제거 장치를 이용한 재밍 신호 발생 시스템
KR102095391B1 (ko) * 2018-12-31 2020-03-31 국방과학연구소 보정기능을 갖는 크로스아이 재밍발생장치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491B1 (ko) * 2003-06-17 2006-01-11 (주)하이게인텔레콤 이동통신용 양방향 무선 중계기의 송수신 격리도감시장치
KR20110056747A (ko) * 2009-11-23 2011-05-31 국방과학연구소 재밍 신호의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재밍 신호의 간섭 제거 장치를 이용한 재밍 신호 발생 시스템
KR102095391B1 (ko) * 2018-12-31 2020-03-31 국방과학연구소 보정기능을 갖는 크로스아이 재밍발생장치 및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31035A (zh) * 2023-12-01 2024-01-02 江西红声技术有限公司 一种反空间电子侦查干扰方法及系统
CN117331035B (zh) * 2023-12-01 2024-04-09 江西红声技术有限公司 一种反空间电子侦查干扰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344B1 (ko)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4026B2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attenuation compensation in an antenna signal link
US7459916B2 (en) Electromagnetic shielding defec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2512344B1 (ko) 재밍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US8909155B2 (en) Method of analyzing interference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180112748A (ko) 전파 환경을 고려하여 레이더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2395B1 (ko) 광대역 능동형 재밍 장치
US6748351B1 (en) Modular covert remote electronic warfare simulator
EP325307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verifying amplitude and temperature parameters of electroacoustic conversion apparatus
US105743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jamming signal
RU2124809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слеживания мощности передач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ообщения о рабочей нагрузке
CN112740739B (zh) 干扰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20163711A (ko) 전자방해 장치 및 방법
JPH09270772A (ja) 受信妨害装置
KR100248064B1 (ko) 안테나 빔 패턴이 고려된 시험장치를 구비한 레이다 시스템
US71936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light signal reception
KR102293420B1 (ko) 주파수 분할 방식의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JP2000098022A (ja) レーダ装置
CN111064482A (zh) 一种抑制干扰的设备及方法
JPS6336176A (ja) レ−ダ目標検出装置
KR102473459B1 (ko) 신호발생기를 구비한 신호제어장치
KR102234419B1 (ko) 레이더 기만장치 및 레이더 기만방법
KR102532984B1 (ko) 안테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41471B1 (ko) 홉별 snr이 반영된 주파수 도약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473457B1 (ko) 신호분석기를 구비한 신호제어장치
KR20180032041A (ko) 전파 환경을 고려하여 레이더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