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752A -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 - Google Patents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752A
KR20230035752A KR1020210118129A KR20210118129A KR20230035752A KR 20230035752 A KR20230035752 A KR 20230035752A KR 1020210118129 A KR1020210118129 A KR 1020210118129A KR 20210118129 A KR20210118129 A KR 20210118129A KR 20230035752 A KR20230035752 A KR 20230035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paper
fixing tool
inner diameter
polishing
inci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식
박성훈
정병국
Original Assignee
이우식
박성훈
정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식, 박성훈, 정병국 filed Critical 이우식
Priority to KR1020210118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5752A/ko
Publication of KR20230035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00Wheels or drums supporting in exchangeable arrangement a layer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 e.g. sandpaper
    • B24D9/006Tools consisting of a rolled strip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inter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그라인더에 척킹되는 고정단부; 상기 고정단부와 대응되는 단부로부터 중앙에서 일정 폭이 양측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하면서 축방향으로 사포의 길이보다는 길게 절개되도록 하여 절개홈을 형성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일측 외주면에서 사포의 폭보다 긴 일정 길이가 이격되도록 하여 절개홈을 관통해서 타측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나사 조임부로서 이루어지게 하여 나사 조임부 사이에서 나사를 체결시켜 홀더부의 절개홈에서 사포가 압착 고정되도록 하여 내경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Fixing tool sander for grinding inside diameter}
본 발명은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마 그라인더에 간단히 척킹되도록 하면서 선단으로부터 일정 길이에 형성한 사포 삽입홈에서 사포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사포 고정력으로 한층 정밀한 내경 연마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내경 또는 금속 표면을 연마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그라인더는 샌드 페이퍼가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연마휠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파이프는 통상 일정 폭의 판재를 둥글게 말아 이음새 부분을 알곤용접에 의해 접합되도록 하며,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파이프는 용접부위의 내,외면으로 반드시 용접비드가 돌출 형성된다.
파이프에 형성되는 용접비드는 비드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절삭 또는 압착하는 가공방법에 의해서 제거할 수가 있으며, 이외에도 파이프의 외경은 외경연마장치를 이용하여 연마가공할 수는 있으나 이 외경연마장치에 의해서는 파이프의 내경연 연마가공을 할 수가 없다.
이를 위해서 파이프의 내경 연마를 위한 다양한 연마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등록특허 제1871923호(2018.06.21.)의 연마휠은 연마장치에 고정되는 허브와 이 허브의 둘레방향으로 외면에 고정되게 샌드페이프가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의 허브는 연마장치에 고정되는 바디부와 이 바디부의 외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샌드페이퍼가 삽입되는 슬롯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샌드페이퍼의 슬롯부에는 2장 이상의 샌드페이퍼가 삽입되어 허브의 외면에 일방향으로 감기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의해서는 파이프의 내경 뿐만 표면 연마가 가능하기는 하나 복수의 샌드페이퍼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허브의 외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제작이 난해할 뿐만 아니라 이 고정홈에 샌드페이퍼의 일단이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연마하는 과정에 고정홈으로부터 샌드페이퍼가 이탈되면서 공정 에러와 가공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특허 제1871923호(2018.06.2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홀더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압착 고정되게 함으로써 사포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된 연마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가공에 의해 제작이 가능하므로 저렴하면서도 사용이 용이한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는, 그라인더에 척킹되는 고정단부; 상기 고정단부와 대응되는 단부로부터 중앙에서 일정 폭이 양측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하면서 축방향으로 사포의 길이보다는 길게 절개되도록 하여 절개홈을 형성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일측 외주면에서 사포의 폭보다 긴 일정 길이가 이격되도록 하여 절개홈을 관통해서 타측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나사 조임부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고정단부와 상기 홀더부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홀더부의 절개 폭은 삽입하고자 하는 사포의 두께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홀더부는 절개홈의 길이가 사포의 폭보다 긴 길이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나사 조임부의 나선홀은 상기 홀더부에서 일정 길이가 이격되도록 한 양측에서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이격되도록 하여 복수 개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나사 조임부의 나사는 상기 홀더부의 직경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하면서 절개홈에서 사포를 압착 고정하게 되더라고 홀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에 의해 홀더부의 절개홈으로 사포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하면서 양측의 나사 조임부 사이에서 나사 조임에 의하여 절개홈간 이격되도록 한 절개홈의 폭이 좁아지게 함으로써 홀더부 양측면간 압착에 의해 그 사이의 사포가 밀착 고정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된 내경 연마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금속봉에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절개홈을 형성하고, 이 절개홈을 형성하는 외주면에는 일정 길이를 이격하여 나선홀을 형성하기만 하면 되므로 제작 공정이 매우 단순하고 저렴한 제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를 예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경 언마용 사포 고정공구의 나사 조임부를 확대 예시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에 나사 조임부를 복수로 형성되도록 하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에 사포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의 사용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는 크게 고정단부(10)와 홀더부(20)와 나사 조임부(3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일정 길이로 이루어지는 금속재 봉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그중 고정단부(10)는 연마장치인 그라인더에 척킹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고정단부(10)와 대응되는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에는 일정 폭의 절개홈(21)을 형성하는 홀더부(20)를 형성한다.
홀더부(20)는 단부로부터 중앙에서 일정 폭이 양측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하여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절개되도록 하는 형상이다.
즉, 홀더부(20)는 단부로부터 일정 폭이 양측 외주면간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고정할 사포의 폭보다 긴 길이로서 절개홈(21)이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고정단부(10)와 홀더부(20)는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홀더부(2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타측으로 절개홈(21)을 관통하여 나선홀(31)을 형성하는 나사 조임부(30)가 형성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나사 조임부(30)는 절개홈(21)을 기준으로 양측의 바디에 동일 수직선상에 나선홀(31)이 형성되도록 하여 나사(32)가 체결되도록 하는 구성이고, 나사(32)의 체결력에 의해서 점차 절개홈(21)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일측의 나선홀(31)은 외주면측으로 나사머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머리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나사머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사머리홈이 형성되는 단부와 반대측의 나선홀(31) 단부는 홀더부(20)를 관통하여 형성되게 할 수도 있지만 나사(32)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홀더부(20)의 절개홈(21)에 사포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나사(32)를 체결시켜 체결력을 높여 사포를 압착 고정시키게 되더라도 나사(32)는 홀더부(2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나선홀(31)은 도 4에서와 같이 홀더부(20)에서 일정 길이가 이격되도록 한 양측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이격되도록 하여 복수 개로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홀더부(20)의 단부로부터 절개홈(21)에는 사포(40)의 일측이 삽입되게 한다.
사포(40)는 일측의 단부를 절개홈(21)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홀더부(20)에서 양측으로 형성한 나사 조임부(30) 사이에 사포(40)가 위치되도록 한 후 나사 조임부(30)의 나선홈(31)에 나사(32)를 체결시키게 되면 나사(32)의 조임에 의해 홀더부(20)의 절개홈(21) 간격이 축소되면서 절개홈(21)에 삽입되어 있는 사포(40)를 견고하게 압착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사포(40)의 고정된 단부 이외의 부분은 공구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둥글게 말리도록 하며, 외측으로 연마면이 위치되도록 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내경을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 소재(50)의 내부로 사포(40)를 결합한 본 발명의 공구를 삽입되게 하면 홀더부(20)에 일단이 고정된 사포(40)의 타측은 회전 방향과는 반대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가공 소재(50)의 내주면에 연마면(41)이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의 연마면(41)은 가공 소재(50)의 내주면 전체에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아니라 연마하고자 하는 부분만 접촉되도록 하여 부분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따라서 부분적인 미세 또는 정밀한 연마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사포(40)의 일단을 홀더부(20)의 절개홈(21)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한 후 간단히 나사(32)를 체결하여 절개홈(21)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면서 사포(40)가 압착 고정되도록 하면 연마 중 사포(40)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안정된 공정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사포(40)를 이용하여 연마를 하게 되면 연마봉을 사용할 때에 비해 미세하고 정밀한 연마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다 쉬운 제작이 가능하므로 제작비와 함께 저렴한 사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고정단부
20 : 홀더부
21 : 절개홈
30 : 나사 조임부
31 : 나선홀 32 : 나사
40 : 사포
41 : 연마면
50 : 가공 소재

Claims (6)

  1. 그라인더에 척킹되는 고정단부;
    상기 고정단부와 대응되는 단부로부터 중앙에서 일정 폭이 양측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하면서 축방향으로 사포의 길이보다는 길게 절개되도록 하여 절개홈을 형성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일측 외주면에서 사포의 폭보다 긴 일정 길이가 이격되도록 하여 절개홈을 관통해서 타측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나사 조임부;
    로서 이루어지는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부와 상기 홀더부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절개홈은 삽입하고자 하는 사포의 두께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절개홈의 길이가 사포의 폭보다 긴 길이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사 조임부의 나선홀은 상기 홀더부에서 일정 길이가 이격되도록 한 양측에서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이격되도록 하여 복수 개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사 조임부의 나사는 상기 홀더부의 직경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하면서 절개홈에서 사포를 압착 고정하게 되더라고 홀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
KR1020210118129A 2021-09-06 2021-09-06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 KR20230035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129A KR20230035752A (ko) 2021-09-06 2021-09-06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129A KR20230035752A (ko) 2021-09-06 2021-09-06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752A true KR20230035752A (ko) 2023-03-14

Family

ID=8550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129A KR20230035752A (ko) 2021-09-06 2021-09-06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57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923B1 (ko) 2016-08-16 2018-06-27 (주)유영기업 연마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923B1 (ko) 2016-08-16 2018-06-27 (주)유영기업 연마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627B2 (ja) 切屑除去自由端に交換可能なチップを有した回転可能な工具
RU212190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режущей пластины в держателях при обработке резанием
KR102227667B1 (ko) 스틱 블레이드를 이용한 외주 절삭 공구
CN101267905A (zh) 低振动工具架
JP6737904B2 (ja) 切削インサートと機械加工用工具
JP2016529114A (ja) バリ取り工具
JP6423080B2 (ja) タンジェンシャル型フライスインサート及びマルチ刃フライス
JP2009255287A (ja) インサートクランプ用クサビおよびインサート着脱式カッタ
JP2009050967A (ja) 研磨機用ブラシ
KR20230035752A (ko) 내경 연마용 사포 고정공구
JP2004510593A (ja) 複数のマージンを有する切削工具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EP3300824B1 (en) Cutting tool replacement member and cutting tool body
JP2009172739A (ja) 研磨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研磨ホイール
JP2003145320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そのクランプ機構
JPS6236827B2 (ko)
JP2007021587A (ja) ワークの溝の研磨方法
KR20040080512A (ko) 절삭공구 체결 정밀도가 향상된 밀링척
US6884007B2 (en) Tool for material-removing machining of workpieces
TWI779991B (zh) 具置換刀座的倒角器
JPS634569Y2 (ko)
JP4698891B2 (ja) 穴明け工具
KR101920419B1 (ko) 홀더와 공구의 척킹 구조 및 방법
CN217596847U (zh) 易修正磨削砂轮
JP2005205527A (ja) 切削工具
JP2018148181A (ja) ブレード固定装置及びダイシ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