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741A -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741A
KR20230035741A KR1020210118095A KR20210118095A KR20230035741A KR 20230035741 A KR20230035741 A KR 20230035741A KR 1020210118095 A KR1020210118095 A KR 1020210118095A KR 20210118095 A KR20210118095 A KR 20210118095A KR 20230035741 A KR20230035741 A KR 20230035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synthetic resin
resin pipe
pai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7675B1 (ko
Inventor
정기
Original Assignee
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 filed Critical 정기
Priority to KR102021011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67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을 융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하기 위한 제1클램프 ; 상기 제1클램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회전 결합대 ; 제2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하기 위한 제2클램프 ; 스크류 결합용 너트가 마련되며 상기 제2클램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회전 결합대 ; 상기 제1클램프에 대한 상기 제2클램프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1회전 결합대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회전 결합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선 형태의 가이드봉 ; 상기 제1클램프에 대하여 상기 제2클램프가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제1회전 결합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회전 결합대의 너트부재에 나사 결합되며, 일단에 회전 조작부가 마련되는 스크류봉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PIPE CLAMPING DEVICE FOR FUSION WELDING}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하게 배치된 합성수지관을 융착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하고 이들을 압착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합성수지관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PE관을 예시로 설명한다.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은, 세계에서 가장 널리 보급된 합성 고분자 물질 중 하나로서, 산, 알칼리, 및 각종 화학물질에 침해를 받지 않아 부식되지 않는 특성이 있고, 내한성, 내후성, 유연성, 내마모성에 있어 탁월한 특성을 가지므로, 꾸준히 그 수요가 증가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관은 중량이 가벼워 운반, 취급, 시공이 용이하므로, 아파트, 주택 등 도시 시가지 하수, 오수, 및 우수관, 지중전선관 보호 및 각종 CABLE의 DUCT용 관, 관개수로, 간척지, 개간지 농업용수용(농지정리)관, 공장 및 양축장 등의 오,폐수관, 및 하수종말처리장, 분뇨처리장, 쓰레기 매립장 등의 차집관거(유공관)관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쓰레기 매립장에 있어서, 쓰레기 매립 전에 매설되어 침출수 이송관, 가스 이송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PE관은 용도의 특성상 다수의 관을 연결하여야 하며, 수밀소켓(이음관) 이용법, 열 융착법, 전기 융착법 등의 연결 방법이 있으며, 열융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열 융착이란, 합성수지관을 가열하여 용융(Fusion)시켜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열 융착(Fusion Welding)이란 모재 자체를 용융(Fusion)시켜서 용융상태에서 접합하는 것을 말하고, 타재질을 사용하지 않고 모재를 직접 용융 접합한다는 면에서 타재질을 사용하는 일반 용접과는 구별된다.
열 융착은 합성수지관의 단부 면을 용융시켜 접합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합성수지관 사이에 열판(히터)을 삽입하고, 합성수지관의 단부 면을 열판에 접촉시켜 합성수지관의 단부 면이 가열 및 용융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열판를 제거한 후 합성수지관의 단부 면을 서로 압착하여 접합한다.
한편 이와 같은 열 융착은 서로 동축으로 배치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서로 동축으로 배치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하고 이들이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융착용 클램핑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융착용 클램핑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시판되는 융착용 클램핑 장치는 바닥 프레임을 따라 적어도 2개의 클램프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전체적인 장치가 거대화되어 수평면에서만 사용할 수 있을 뿐이며 수직으로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는 불가능하다.
또한 시판되는 융착용 클램핑 장치는 서로 동축으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을 융착할 수 있을 뿐이며, 만일 두 개의 합성수지관이 다소 비스듬하게 배치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융착용 클램핑 장치를 적용할 수 없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235648호 "파이프 융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융착기 세트" (2021. 3. 29.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56613호 "파이프 융착기의 파이프 클램핑 장치"(2004.11. 1.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평으로 연결되거나 수직으로 연결되는 모든 합성수지관을 융착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동축으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은 물론이며 다소 비스듬하게 배치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는 합성수지관도 융착시킬 수 있는 융착용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하기 위한 제1클램프 ; 상기 제1클램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회전 결합대 ; 제2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하기 위한 제2클램프 ; 스크류 결합용 너트가 마련되며 상기 제2클램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회전 결합대 ; 상기 제1클램프에 대한 상기 제2클램프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1회전 결합대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회전 결합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선 형태의 가이드봉 ; 상기 제1클램프에 대하여 상기 제2클램프가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제1회전 결합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회전 결합대의 너트부재에 나사 결합되며, 일단에 회전 조작부가 마련되는 스크류봉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는, 반원링 형태의 제1-1클램프와 반원링 형태의 제1-2클램프가 서로 결합되어 링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제1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1클램프의 반원링 형태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에 지지축 결합판과 이에 결합된 제2지지축이 마련되며, 상기 제1회전 결합대는 상기 제2지지축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회전 결합대용 축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1클램프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반원링 형태의 클램프 몸체판과,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클램프 몸체판 결합 볼트와, 상기 클램프 몸체판 결합 볼트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이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프 몸체판 결합 너트와,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 사이에서 상기 클램프 몸체판 결합 볼트를 감싸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을 서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이며 수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도 융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동축으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은 물론이며 다소 비스듬하게 배치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는 합성수지관도 융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A-A 기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 기준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가 서로 동축으로 배치된 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한 상태의 평면 개념도,
도 9는 도 1의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가 서로 경사지게 배치된 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한 상태의 평면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B-B 기준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1의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가 서로 동축으로 배치된 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한 상태의 평면 개념도이며, 도 9는 도 1의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가 서로 경사지게 배치된 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한 상태의 평면 개념도이다.
본 장치는 크게 제1회전 결합대(130)가 결합된 제1클램프(100), 제2회전 결합대(230)가 결합된 제2클램프(200), 제1회전 결합대(130)와 제2회전 결합대(230)에 장착되는 가이드봉(140)과 스크류봉(150) 등으로 이루어지며, 제1합성수지관(10)과 제2합성수지관(20)을 융착하기 위하여 본 장치가 이용된다.
제1클램프(100)는 제1합성수지관(10)을 클램핑하여 제1합성수지관(10)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클램프(100)는, 반원링 형태의 제1-1클램프(110)와, 반원링 형태의 제1-2클램프(120)가 서로 결합되어 링 형태를 이루면서 제1합성수지관(10)을 클램핑하게 된다.
제1-1클램프(110)의 반원링 형태의 양측 가장자리 단부에는 제1합성수지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지지축(111)이 각각 마련되며, 제1지지축(111)에 클램핑용 볼트(112)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지지축(111)은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115)에 결합된 볼트부재이다.
클램핑용 볼트(112)는 제1지지축(111)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112a)와 고리형 몸체(112a)로부터 연장되며 수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형 몸체(112b)로 이루어진다.
클램핑용 볼트(112)의 수나사형 몸체(112b)에는 클램핑용 너트(114)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클램핑용 볼트(112)에는 클램핑용 너트(114)의 내측에 와셔(113)가 장착되어 있다.
클램핑용 볼트(112)는 제1지지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한편 제1-2클램프(120)의 반원링 형태의 양측 가장자리 단부에는 너트 안착대(1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합성수지관(10)을 사이에 두고 제1-1클램프(110)와 제1-2클램프(120)를 링 형태로 제1합성수지관(10)의 외주면에 장착한 후, 클램핑용 너트(114)가 너트 안착대(121) 부근에 위치하도록 클램핑용 볼트(112)를 회전시키고, 와셔(113) 및 클램핑용 너트(114)를 제1-2클램프(120)의 너트 안착대(121)에 안착시키면(즉 클램핑용 너트(114)를 조이면), 제1-1클램프(110)와 제1-2클램프(120)가 제1합성수지관(10)을 클램핑하면서 제1합성수지관(1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1클램프(11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반원링 형태의 클램프 몸체판(115)과,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115)을 관통하는 복수의 클램프 몸체판 결합 볼트(116)와, 클램프 몸체판 결합 볼트(116)에 나사 결합되면서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115)이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프 몸체판 결합 너트(117)와,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115) 사이에서 클램프 몸체판 결합 볼트(116)를 감싸면서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115)을 서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118)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클램프 몸체판(115)은 경량화를 위하여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1클램프(110)의 구조는, 제1-2클램프(120) 및 후술하는 제2-1클램프(210)와 제2-2클램프(220)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제1-1클램프(110)의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115)의 반원링 형태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115)에 동시에 결합되는 지지축 결합판(119a)이 마련되며, 지지축 결합판(119a)에는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축(119b)이 마련된다.
한편 제2지지축(119b)은 그 길이방향 중앙부에 이탈방지 홈(119b-1)이 형성되어 있다.
제1-1클램프(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2개의 제2지지축(119b)은 제1합성수지관(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2개의 제2지지축(119b)을 각각 연장할 경우 그 연장선은 서로 일치하며, 아울러 제1합성수지관(10)의 중심을 지난다.
제1-1클램프(110), 구체적으로는 제2지지축(119b)에 제1회전 결합대(130)가 결합된다.
제1회전 결합대(130)는, 서로 마주보며 각각 2개의 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회전 결합대 몸체판(131)과, 한 쌍의 회전 결합대 몸체판(131)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 결합대 몸체판(131)의 어느 하나의 구멍과 연통되는 제1관통 파이프(132)와, 한 쌍의 회전 결합대 몸체판(131)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 결합대 몸체판(131)의 다른 하나의 구멍과 연통되며 상기 제1관통 파이프(132)와 나란히 배치되는 제2관통 파이프(133)와, 파이프 형태로서 한 쌍의 회전 결합대 몸체판(131)에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측면에 이탈방지용 암나사공(134a)이 형성된 회전 결합대용 축(134)과, 이탈방지용 암나사공(134a)에 체결되는 이탈방지용 볼트(135)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 결합대용 축(134)의 중공에 제2지지축(119b)이 삽입되도록 제1회전 결합대(130)를 제2지지축(119b)에 결합시키고, 이탈방지용 볼트(135)를 전진시켜 이탈방지용 볼트(135)가 제2지지축(119b)의 이탈방지 홈(119b-1)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1회전 결합대(1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제2지지축(119b)과 회전 결합대용 축(134)이 동축으로 연결되며, 제1회전 결합대(130)는 제1-1클램프(110)에 회전 가능한 구조가 된다.
제2클램프(200)는 제2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하여 제2합성수지관(20)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며, 제2클램프(200)는 제1클램프(100)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2클램프(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 결합대(230) 또한 제1회전 결합대(130)와 극히 유사한 구조이다.
즉 제2회전 결합대(230)는 회전 결합대 몸체판(231), 제1관통 파이프(232), 회전 결합대용 축(234), 이탈방지용 볼트(235)를 포함한다.
다만 제2회전 결합대(230)에는 제2관통 파이프(133) 대신에 스크류 결합용 너트(233)가 마련된다. 스크류 결합용 너트(233)는 회전 결합대 몸체판(231)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크류 결합용 너트(233)를 제외하고는, 제2회전 결합대(230)는 제1회전 결합대(130)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회전 결합대(130)와 제2회전 결합대(230)에 가이드봉(140) 및 스크류봉(150)이 각각 결합된다.
가이드봉(140)과 스크류봉(15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가이드봉(140)은 제1회전 결합대(130)의 제1관통 파이프(132) 및 제2회전 결합대(230)의 제1관통 파이프(232)를 따라 마련된다.
가이드봉(140)은 제1클램프(100)에 대한 제2클램프(20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봉(140)의 일단부는 제1회전 결합대(130)의 제1관통 파이프(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봉(140)의 타단부는 제2회전 결합대(230)의 제1관통 파이프(2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 가이드봉(140)의 일단부는 제1회전 결합대(130)에 고정되도록 구성하여도 무관하다.
즉 가이드봉(140)은 제1클램프(100)에 대한 제2클램프(20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한편 가이드봉(140)의 양단에는 이탈방지구(141)가 결합되어 있다.
스크류봉(150)은 제1클램프(100)에 대하여 제2클램프(200)가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스크류봉(150)은 제1회전 결합대(130)의 제2관통 파이프(133) 및 제2회전 결합대(230)의 스크류 결합용 너트(233)를 따라 마련된다.
스크류봉(150)의 일단부는 제1회전 결합대(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스크류봉(150)의 일단에는 스크류봉(150)을 회전 조작하기 위한 너트 형태의 회전 조작부(15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크류봉(150)에는 위치 고정용 너트(152)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 고정용 너트(152)는 이중 너트 장착 방식에 의하여 스크류봉(150)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스크류봉(150)은 회전 조작부(151)와 위치 고정용 너트(152)에 의하여 제1회전 결합대(130)에서의 위치(자세)가 고정되며, 제2관통 파이프(133)의 안내에 따라 제1회전 결합대(130)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아울러 스크류봉(150)의 타단부는 제2회전 결합대(230)의 스크류 결합용 너트(233)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류봉(150)의 회전 조작부(151)를 회전 조작하여 스크류봉(150)을 회전시키면, 스크류 결합용 너트(233)에 의하여 스크류봉(150)의 회전 운동은 제2회전 결합대(23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제2회전 결합대(230)와 함께 제2클램프(200)가 직선 운동하여 제1클램프(100)에 대하여 제2클램프(200)가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클램프(100)로 제1합성수지관(10)을 클램핑하며, 제2클램프(200)로 제2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한다.
이는 도 8과 같이 한 쌍의 합성수지관(10, 20)이 서로 동축으로 배치된 상태이거나, 혹은 도 9와 같이 한 쌍의 합성수지관(10, 20)이 서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제1클램프(100)와 제2클램프(200)의 대략적인 클램핑 상태와, 스크류봉(150)의 대략적인 배치 상태만을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특히 도 9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장치가 한 쌍의 합성수지관(10, 20)을 클램핑하면, 제1클램프(100)와 제2클램프(200)는 서로 평행하지 않은 배치 상태를 가지지만(도 9 기준), 제1회전 결합대(130) 및 제2회전 결합대(23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제1회전 결합대(130)가 제1클램프(100)에 대하여 회전되며, 제2회전 결합대(230)가 제2클램프(200)에 대하여 회전되어 도 9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봉(140)의 회전 조작부(151)를 조작하여 가이드봉(140)을 회전시키면 한 쌍의 합성수지관(10, 20)을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작에 의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10, 20)이 열판과 접촉되어 용융되도록 하고, 또한 용융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10, 20)을 서로 압착하여 융착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도 9와 같이 수평으로 경사진 한 쌍의 합성수지관(10, 20)을 융착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합성수지관(10, 20)도 융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합성수지관 20 : 제2합성수지관
100 : 제1클램프
110 : 제1-1클램프
111 : 제1지지축
112 : 클램핑용 볼트
112a : 고리형 몸체 112b : 수나사형 몸체
113 : 와셔 114 : 클램핑용 너트
115 : 클램프 몸체판 116 : 클램프 몸체판 결합 볼트
117 : 클램프 몸체판 결합 너트 118 : 스페이서
119a : 지지축 결합판 119b : 제2지지축
119b-1 : 이탈방지 홈
120 : 제1-2클램프 121 : 너트 안착대
130 : 제1회전 결합대
131 : 회전 결합대 몸체판 132 : 제1관통 파이프
133 : 제2관통 파이프 134 : 회전 결합대용 축
134a :이탈방지용 암나사공 135 : 이탈방지용 볼트
140 : 가이드봉 141 : 이탈방지구
150 : 스크류봉 151 : 회전 조작부
152 : 위치 고정용 너트
200 : 제2클램프
230 : 제2회전 결합대
231 : 회전 결합대 몸체판 232 : 제1관통 파이프
233 : 스크류 결합용 너트 234 : 회전 결합대용 축
235 : 이탈방지용 볼트

Claims (4)

  1. 제1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하기 위한 제1클램프 ;
    상기 제1클램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회전 결합대 ;
    제2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하기 위한 제2클램프 ;
    스크류 결합용 너트가 마련되며 상기 제2클램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회전 결합대 ;
    상기 제1클램프에 대한 상기 제2클램프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1회전 결합대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회전 결합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선 형태의 가이드봉 ;
    상기 제1클램프에 대하여 상기 제2클램프가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제1회전 결합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회전 결합대의 너트부재에 나사 결합되며, 일단에 회전 조작부가 마련되는 스크류봉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는, 반원링 형태의 제1-1클램프와 반원링 형태의 제1-2클램프가 서로 결합되어 링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제1합성수지관을 클램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클램프의 반원링 형태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에 지지축 결합판과 이에 결합된 제2지지축이 마련되며, 상기 제1회전 결합대는 상기 제2지지축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회전 결합대용 축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클램프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반원링 형태의 클램프 몸체판과,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클램프 몸체판 결합 볼트와, 상기 클램프 몸체판 결합 볼트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이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프 몸체판 결합 너트와,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 사이에서 상기 클램프 몸체판 결합 볼트를 감싸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몸체판을 서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
KR1020210118095A 2021-09-06 2021-09-06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 KR10257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095A KR102577675B1 (ko) 2021-09-06 2021-09-06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095A KR102577675B1 (ko) 2021-09-06 2021-09-06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741A true KR20230035741A (ko) 2023-03-14
KR102577675B1 KR102577675B1 (ko) 2023-09-11

Family

ID=8550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095A KR102577675B1 (ko) 2021-09-06 2021-09-06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6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5015A (zh) * 2023-09-27 2023-11-03 江苏德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现场施工用预制桩桩尖除锈焊接设备
CN117301540A (zh) * 2023-11-27 2023-12-29 通号工程局集团有限公司天津分公司 一种轨道交通塑料管件熔融连接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613B1 (ko) 2002-03-06 2004-11-16 이남훈 파이프 융착기의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20100056623A (ko) * 2008-11-20 2010-05-28 이남훈 곡관 융착장치
KR101801382B1 (ko) * 2017-08-09 2017-11-24 박재갑 금속부품 접합용 길이조절장치
KR102213293B1 (ko) * 2020-10-25 2021-02-04 홍중철 플랜지관 용접용 지그 장치
KR102235648B1 (ko) 2020-10-16 2021-04-05 현대파이프(주) 파이프 융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융착기 세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613B1 (ko) 2002-03-06 2004-11-16 이남훈 파이프 융착기의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20100056623A (ko) * 2008-11-20 2010-05-28 이남훈 곡관 융착장치
KR101801382B1 (ko) * 2017-08-09 2017-11-24 박재갑 금속부품 접합용 길이조절장치
KR102235648B1 (ko) 2020-10-16 2021-04-05 현대파이프(주) 파이프 융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융착기 세트
KR102213293B1 (ko) * 2020-10-25 2021-02-04 홍중철 플랜지관 용접용 지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5015A (zh) * 2023-09-27 2023-11-03 江苏德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现场施工用预制桩桩尖除锈焊接设备
CN116985015B (zh) * 2023-09-27 2023-11-28 江苏德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现场施工用预制桩桩尖除锈焊接设备
CN117301540A (zh) * 2023-11-27 2023-12-29 通号工程局集团有限公司天津分公司 一种轨道交通塑料管件熔融连接设备
CN117301540B (zh) * 2023-11-27 2024-02-06 通号工程局集团有限公司天津分公司 一种轨道交通塑料管件熔融连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675B1 (ko)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35741A (ko) 합성수지관 융착을 위한 수작업용 합성수지관 클램핑 장치
JP5710450B2 (ja) 樹脂製端面突合せ継手とその継手の溶着方法並びに配管器材
CN101712093B (zh) 一种开口齿圈式全位置自动焊接装置
US7926534B2 (en) Pipe welder for simultaneously fusing a plurality of polyethylene pipes
KR20120081476A (ko) 용접용 지그장치
CN107031057A (zh) 一种复合材料管焊接机构
ES2106952T3 (es) Union de tubos asi como manguito de soldar para una union de tubos de este tipo.
KR20170091255A (ko) 수평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
KR102389635B1 (ko) 합성수지관 이음매의 내부 융착비드 제거 장치
EP0116019A1 (en) A method of joining preferably tubular bodies end-to-end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CN220749401U (zh) 一种市政供水管道用连接结构
CN108859144B (zh) 工程用ppr给水管热熔工作台
CN207139186U (zh) 一种喷管焊接工装夹具
CN215546392U (zh) 直缝焊接设备
CN209304716U (zh) 一种pe管道用接线机架
CN210978748U (zh) 一种给排水管道安装用的铺设固定装置
CN112008306B (zh) 一种焊接精度高的焊接机器人
CN213224839U (zh) 一种便于进行定位的异形件焊接装置
CN219388908U (zh) 一种塑套钢保温管卡接结构
KR102627163B1 (ko) 열수축 케이싱 자동 시공 장치
CN218985736U (zh) 管材端口增厚装置
KR102574202B1 (ko) 파이프 변경조절이 가능한 배관의 용접 캐리지
CN217891928U (zh) 一种多角度可调节pe管电熔焊接固定装置
CN107775208A (zh) 一种管材合缝焊接一体机
CN220049595U (zh) 一种管路焊接拉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