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645A - engine start control - Google Patents

engine start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645A
KR20230035645A KR1020237004747A KR20237004747A KR20230035645A KR 20230035645 A KR20230035645 A KR 20230035645A KR 1020237004747 A KR1020237004747 A KR 1020237004747A KR 20237004747 A KR20237004747 A KR 20237004747A KR 20230035645 A KR20230035645 A KR 20230035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witch
power generation
start op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3585B1 (en
Inventor
아키히로 이시야마
히로유키 나리타
겐타로 마키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3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6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5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4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with means for detecting successful engine start, e.g. to stop starter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1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엔진 제어 장치는,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해 시동 조작되어, 배터리로부터 셀 모터에 전기가 공급된 경우에, 미리 정해진 인터벌 기간 내의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하는 인터벌 제어부와, 인터벌 기간 내에 엔진에 의한 발전 입력의 검지를 개시하고, 당해 발전 입력의 전압 및 전류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엔진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하는 운전 상태 판정부와, 운전 상태 판정부가 운전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에,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하는 오조작 방지부와, 제어 ECU가 기동된 상태에서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된 경우에, 엔진이 정지 상태라고 판정하고,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계속하는 안전 제어부를 구비한다.The engine control device includes: an interval control unit for invalidating a start operation by an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period when a start operation is performed by an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and electricity is supplied from a battery to a cell motor; A driving state judging unit which determines that the engine is in an operating state when the detection of the power generation input by the engine is started and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generation input exceed a predetermined threshold; In one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engine is in a stopped state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while the control ECU and the erroneous operation prevention unit for invalidating the start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are started, A safety control unit for continuing invalidation of a start operation by an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is provided.

Description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engine start control

본 개시는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engine start control device.

본원은 2020년 12월 25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20-216454 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20-216454 for which it applied to the Japan Patent Office on December 25, 2020, and uses the content here.

특허문헌 1에는, 엔진을 시동하는 스타터 모터의 보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스타터 모터의 보호 장치는, 엔진의 작동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검지 수단에 의해 작동 중이 검지된 경우, 스타터 모터를 작동시키는 스타트 신호의 공급을 컷하는 컷 수단과, 컷 수단에 의해 스타트 신호의 공급이 컷되어 있는 동안에 검지 수단에 의해 비작동 중이 검지된 경우, 컷 수단에 의한 컷 동작을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한다.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starter motor protection device for starting an engine. Such a starter motor protection device includes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ngine, cut means for cutting the supply of a start signal for operating the starter motor when the detection means detects that the engine is operating, and start by the cut means. A release means for canceling the cut operation by the cut means, when inactive state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while the signal supply is being cut.

일본 특허 공개 제 평8-35471 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8-35471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나타난 종래의 구성에서는, 이그니션 전원을 통전 시키는 신호선의 전압이 소정의 값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에 엔진의 작동 중을 검지하고, 소정의 값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 엔진의 비작동 중을 검지하므로, 이러한 스타터 모터의 보호 장치를 염가의 범용 엔진에 채용하는 것은 어렵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shown in Patent Literature 1, the operation of the engine is detected when the voltage of the signal line through which the ignition power supply is energized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and when the voltage does not reach the predetermined value, the engine ratio is detected. Since operation is detected, it is difficult to employ such a starter motor protection device in an inexpensive general-purpose engine.

본 개시는 상술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엔진 운전 중의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할 수 있는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engine start control device capable of invalidating a start operation by an engine start control switch during engine ope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에 따른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ngine star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제어 ECU를 기동하기 위한 엔진 스위치와,An engine switch for starting the control ECU;

상기 엔진 스위치의 온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 ECU가 기동된 상태에서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해 시동 조작되어, 배터리로부터 셀 모터에 전기가 공급된 경우에, 미리 정해진 인터벌 기간 내의 상기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하는 인터벌 제어부와,In a state where the control ECU is activated by the on operation of the engine switch and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is operated to start the engine, and electricity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cell motor,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period an interval control unit for invalidating a starting operation;

상기 인터벌 기간 내에 엔진에 의한 발전 입력의 검지를 개시하고, 당해 발전 입력의 전압 및 전류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엔진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하는 운전 상태 판정부와,an operating state judging unit that starts detecting a power generation input by an engine within the interval period and determines that the engine is in an operating state when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generation input exceed a predetermined threshold;

상기 운전 상태 판정부가 운전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하는 오조작 방지부와,a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on unit for invalidating a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when the driving state judging unit determines that the driving state is in the running state;

상기 제어 ECU가 기동된 상태에서 상기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된 경우에, 상기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계속하는 안전 제어부를 구비한다.and a safety control unit for continuing invalidation of a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ing operation switch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while the control ECU is activated.

본 개시의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에 의하면, 안전 제어부는, 제어 ECU가 기동된 상태에서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된 경우에,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계속하므로, 엔진 운전 중의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ngine start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afety control unit continues to invalidate the start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while the control ECU is started. A start operation by an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during engine operation can be invalidated.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가 채용된 엔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엔진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엔진에 탑재되는 배터리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배터리 유닛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배터리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배터리 유닛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의 탑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의 제어 내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gine to which an engine star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employed.
2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engine shown in FIG. 1;
3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unit mounted on the engine shown in FIG. 1;
4 is a left side view of the battery unit shown in FIG. 3;
FIG. 5 is a right side view of the battery unit shown in FIG. 3 .
FIG. 6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unit shown in FIG. 3 .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batt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is separated.
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engine startup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control contents of the engine star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로서 기재되어 있는 또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Hereinafter, an engine star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dimensions, materials, shapes, relative arrangements, and the like of constituent parts described as embodiments or shown in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to, and are merely explanatory examples.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가 채용된 엔진(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엔진(1)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회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gine 1 to which a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employed, and FIG. 2 shows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engine 1 shown in FIG. 1 It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는, 엔진(1) 또는 엔진(1)이 탑재된 작업 기계(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서는, 엔진(1)에 탑재된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에는 엔진(1)이 탑재된 작업 기계에 탑재된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도 포함된다.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mounted on the engine 1 or a working machine (not shown) on which the engine 1 is moun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arting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mounted in the engine 1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the engine (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mounted on the working machine on which 1) is mounted is also included.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은 단기통 또는 2기통으로 배기량이 80cc 내지 800cc 클래스의 공냉의 가솔린 엔진이며, 예를 들면 이양기, 관리기, 경운기, 펌프, 발전기 등의 작업 기계에 탑재된다.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single-cylinder or two-cylinder air-cooled gasoline engine with a displacement of 80 cc to 800 cc class, and is mounted on working machines such as a transfer machine, a manager, a tiller, a pump, and a generator.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은 리코일 스타터(12) 외에 셀 모터(3)(도 2 참조)를 구비한다. 리코일 스타터(12)는, 엔진(1)을 시동하려고 하는 사람이 스타터 그립(121)을 잡고 풀리에 감긴 로프를 당기는 것에 의해 엔진(1)의 크랭크 샤프트에 회전을 부여하여, 엔진(1)을 시동하는 장치이다. 셀 모터(3)는 리코일 스타터(12)를 대신하여 엔진(1)의 크랭크 샤프트에 회전을 부여하는 모터이며,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에서는 배터리 유닛(6)(도 2 참조)이 셀 모터(3)를 포함하는 보조 기계류의 전기 공급원이다.As shown in FIG. 1 , an eng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recoil starter 12 and a cell motor 3 (see FIG. 2 ). In the recoil starter 12, a person trying to start the engine 1 holds the starter grip 121 and pulls a rope wound around a pulley to give rotation to the crankshaft of the engine 1 to start the engine 1. It is a starting device. The cell motor 3 is a motor that applies rotation to the crankshaft of the engine 1 instead of the recoil starter 12, and in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attery unit 6 (see FIG. 2 ) is the source of electricity for auxiliary machinery including the cell motor 3.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은 엔진 스위치(21) 및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를 구비한다. 엔진 스위치(21)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에서는 엔진(1)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스위치(21)는, 예를 들면 로커 스위치(시소 스위치라고도 함)로 구성되며, 엔진(1)을 시동할 때에 온이 되고, 엔진(1)의 운전을 정지할 때에 오프가 된다.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는 엔진(1)을 시동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에서는 엔진(1)의 측면에 엔진 스위치(21)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는, 예를 들면 모멘터리 푸쉬 스위치로 구성되며, 셀 모터(3)에 의해 엔진(1)을 시동할 때에 압하 조작된다.In addition,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engine switch 21 and an engine start control switch 22 . The engine switch 21 is a switch for turning on/off power, and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engine 1 in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ngine switch 21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rocker switch (also referred to as a seesaw switch), and is turned on when the engine 1 is started and turned off when the operation of the engine 1 is stopped.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is a switch for starting the engine 1, and in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engine switch 21 on the side of the engine 1.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is constituted by a momentary push switch, for example, and is operated by pressing down when the engine 1 is started by the cell motor 3 .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은, 추가로 외부 기기용의 스위치(23)를 구비한다. 외부 기기용의 스위치(23)는, 예를 들면 초크 전환 스위치(231)이며,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에서는 엔진(1)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초크 전환 스위치(231)는, 예를 들면 로커 스위치로 구성되며, 오토 초크/메뉴얼 초크의 전환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switch 23 for external devices. The switch 23 for external devices is, for example, a choke changeover switch 231, and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engine 1 in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hoke changeover switch 231 is configured as, for example, a rocker switch, and can switch between auto choke and manual choke.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은, 또한 셀 모터 릴레이(4) 외에 차지 코일(13) 및 점화 코일(15)을 구비한다. 셀 모터 릴레이(4)는 배터리 유닛(6)과 셀 모터(3) 사이에 마련된 접점(41)을 개폐하는 릴레이(마그네틱 릴레이 스위치)이며, 접점(41)이 폐쇄된 경우에 배터리 유닛(6)으로부터 셀 모터(3)에 전기가 공급된다. 차지 코일(13)은 플라이 휠의 내측에 마련되며, 플라이 휠의 회전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용의 코일이며, 차지 코일(13)에서 발전된 전기는 레귤레이터(14)를 거쳐서 배터리 유닛(6)에 공급되고 충전된다. 차지 코일(13)은 엔진(1)이 회전하고 있을 때, 반드시 발전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배터리 유닛(6)에 있어서, 발전의 유무를 감시하는 것에 의해, 엔진(1)의 운전 상태를 파악하는 기능을 갖게 하여도 좋다. 이 기능에 의해, 엔진(1)의 시동을 안전하게 실행하는 등이 가능해진다. 점화 코일(15)은 플라이 휠의 외측에 마련되며, 플라이 휠의 회전에 의해 점화 코일(15)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고 전압의 전기로 변환하는 발전기·변압기 일체 장치이며, 점화 코일(15)에서 변환된 고 전압의 전기는 점화 플러그(16)에서 방전된다.As shown in FIG. 2 ,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charge coil 13 and an ignition coil 15 in addition to the cell motor relay 4 . The cell motor relay 4 is a relay (magnetic relay switch) that opens and closes the contact 41 provided between the battery unit 6 and the cell motor 3, and when the contact 41 is closed, the battery unit 6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cell motor 3 from The charge coil 13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flywheel and is a coil for power generation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flywheel, and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charge coil 13 is supplied to the battery unit 6 via the regulator 14. and is charged Since the charge coil 13 always generates power when the engine 1 is rot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ngine 1 is grasped by monitoring whether or not power is generated in the battery unit 6, for example. It may be possible to have a function to This function makes it possible to safely start the engine 1 and the like. The ignition coil 15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lywheel, and is a generator/transformer integrated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ity generated inside the ignition coil 15 by rotation of the flywheel into high voltage electricity, and the ignition coil 15 The high voltage electricity converted in ) is discharged from the spark plug 16.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셀 모터(3)를 포함하는 보조 기계류의 전기 공급원이며, 엔진(1)의 시동시에 셀 모터(3)에 전기를 공급하는 한편, 엔진(1)(차지 코일(13))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source of electricity for auxiliary machinery including the cell motor 3, and supplies electricity to the cell motor 3 when the engine 1 is started. On the other hand,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engine 1 (charge coil 13) is charged.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엔진(1)에 탑재되는 배터리 유닛(6)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배터리 유닛(6)의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배터리 유닛(6)의 우측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배터리 유닛(6)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FIG. 3 is a front view of the battery unit 6 mounted on the engine 1 shown in FIG. 1 . 4 is a left side view of the battery unit 6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right side view of the battery unit 6 shown in FIG.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unit 6 shown in FIG. 3 .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은, 가로로 긴 대략 직방체형상이며,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6a)를 갖는다. 배터리 유닛(6)은, 예를 들면 돌기부(6a)를 제외하면, 길이 220㎜, 높이 75㎜, 폭 45㎜의 대략 직방체형상이며, 그 중량은 800g 이하로 억제되어, 휴대성이 뛰어나다.As shown in FIG. 3 ,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horizontally long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s a projection 6a protruding upward. The battery unit 6 has, for exampl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a length of 220 mm, a height of 75 mm, and a width of 45 mm, excluding the protruding portion 6a, and its weight is suppressed to 800 g or less, and is excellent in portability.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은 배터리 팩(61) 및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도 6 참조)를 구비하고, 이들은 가로로 긴 대략 직방체형상이며,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62a)를 갖는 하우징(62)에 수용되어 있다.A battery unit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battery pack 61 and a start control device 7 (see FIG. 6 ) of an engine 1, which are shaped like a horizontally long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extend upward. It is housed in a housing 62 having a projecting protrusion 62a.

배터리 팩(61)은, 예를 들면 리튬 이온 배터리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배터리 팩(61)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배터리 셀(611)로 구성된다. 배터리 셀(611)의 단체 전압은 3.0V 내지 4.2V이며, 총 용량은 배터리 유닛(6)으로서 휴대성이 확보되는 6000mAH 내지 20000mAH이며,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예를 들면 4개의 배터리 셀(611)로 구성된다.The battery pack 61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lithium ion battery. As shown in FIG. 6 , in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attery pack 61 is composed of one or two or more battery cells 611 . The single voltage of the battery cell 611 is 3.0V to 4.2V, and the total capacity is 6000mAH to 20000mAH ensuring portability as the battery unit 6. In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yes For example, it is composed of four battery cells 611.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는 배터리 팩(61)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ECU(Electronic Control Unit)(71)로 구성된다. 제어 ECU(71)는, 예를 들면 제어 장치 및 연산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sess Memory) 등의 메모리가 탑재된 제어 기판으로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에서는, 제어 ECU(71)에 있어서, 배터리 팩(61)의 온도(배터리 온도), 배터리 팩(61)의 전압(전체 전압) 및 배터리 셀마다의 전압(셀 전압)이 관리된다. 또한, 제어 ECU(71)에는 배터리 셀(611)마다 보호 회로(711)에 의해, 배터리 셀(611)의 과방전으로부터 배터리 셀(611)을 보호하고 있다. 보호 회로(711)는, 예를 들면 보호 IC(집적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is composed of a control ECU (Electronic Control Unit) 71 that controls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pack 61 . The control ECU 71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control board on which a processor including a control unit and an arithmetic unit, and a memory such as ROM (Read Only Memory) or RAM (Random Access Memory) are mounted. In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control ECU 71,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61 (battery temperature), the voltage of the battery pack 61 (total voltage ) and the voltage (cell voltage) of each battery cell are managed. Further, in the control ECU 71, the battery cell 611 is protected from overdischarge of the battery cell 611 by a protection circuit 711 for each battery cell 611. The protection circuit 711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protection IC (integrated circuit).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배터리 유닛(6)에 배선 커플러(63)가 접속된다. 배선 커플러(63)에는, 쌍이 되는 배선 커플러(24)(도 2 참조)가 착탈 가능하며, 쌍이 되는 배선 커플러(24)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 유닛(6)과 배터리 유닛(6)의 외부에 마련된 입출력 기기가 접속된다. 배터리 유닛(6)의 외부에 마련된 입출력 기기는, 예를 들면 상술한 엔진 스위치(21)나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 셀 모터 릴레이(4) 등이며, 컨트롤 하네스(25)에 포함되는 2개 이상의 와이어 하네스를 거쳐서 상술한 쌍이 되는 배선 커플러(24)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술한 배선 커플러(63)에 당해 배선 커플러(63)와 쌍이 되는 배선 커플러(24)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엔진 스위치(21)나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 셀 모터 릴레이(4) 등의 복수의 입출력 기기가 배터리 유닛(6)에 한번에 접속된다.In addition, in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wire coupler 63 is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6 . A pair of wire couplers 24 (see Fig. 2) is detachable from the wire coupler 63, and by attaching the pair of wire couplers 24, the battery unit 6 and the outside of the battery unit 6 are connected. Input/output devices provided in are connected. The input/output devices provided outside the battery unit 6 are,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engine switch 21,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cell motor relay 4, and the like, and 2 included in the control harness 25 Through two or more wire harnesses, they are connected to the paired wiring couplers 24 described above. Then, by attaching the wiring coupler 24 paired with the wiring coupler 63 to the wiring coupler 63 described above, the engine switch 21,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and the cell motor relay 4 A plurality of input/output devices such as and the like are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6 at once.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엔진 충전 입력 단자(712), 전원 검지 단자(713), 엔진 시동 조작 검지 단자(714), 셀 모터 릴레이 제어 단자(715), 외부 기기 출력 단자(716) 및 상시 전압 출력 단자(717)가 배터리 유닛(6)에 마련된다. 엔진 충전 입력 단자(712), 전원 검지 단자(713), 엔진 시동 조작 검지 단자(714), 셀 모터 릴레이 제어 단자(715) 및 외부 기기 출력 단자(716)는 제어 ECU(71)에 접속되며, 이들 단자로부터의 충방전 전류는 제어 ECU(71)에서 관리된다. 상시 전압 출력 단자(717)는 배터리 팩(61)에 직접 접속되며, 상시 전압 출력 단자(717)에는 배터리 팩(61)의 배터리 전압(전체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이들 단자가 각각 접속된 배선 커플러(63)가 하우징(62)의 방수/방진 구조가 채용된 돌기부(62a)(도 3 참조)에 설치된다.In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engine charging input terminal 712, a power source detection terminal 713, an engine start operation detection terminal 714, a cell motor relay control terminal 715, and an external device output A terminal 716 and a constant voltage output terminal 717 are provided in the battery unit 6 . The engine charging input terminal 712, power detection terminal 713, engine start operation detection terminal 714, cell motor relay control terminal 715, and external device output terminal 716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ECU 71, The charge/discharge current from these terminals is managed in the control ECU 71. The regular voltage output terminal 717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61, and the battery voltage (total voltage) of the battery pack 61 is applied to the regular voltage output terminal 717. Then, the wire coupler 63 to which these terminals are respectively connected is installed on the protrusion 62a (see Fig. 3) of the housing 62 having a waterproof/dustproof structure.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 유닛(6)에 접속되는 입출력 기기는, 차지 코일(13)에 접속된 레귤레이터(14), 엔진 스위치(21),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 셀 모터 릴레이(4), 밸브 컨트롤 유닛(51) 및 초크 밸브(52) 등의 외부 기기(5), 및 엔진 스위치(21)(배터리 전압 상시 인가)이며, 이들은 엔진 충전 입력선(251), 엔진 스위치 조작 검지선(252), 엔진 시동 조작 검지선(253), 셀 모터 릴레이 제어선(254), 밸브 기기 출력선(255) 및 배터리 전압 상시 인가선(256)을 거쳐서 각각 쌍이 되는 배선 커플러(24)에 접속된다.As shown in FIG. 2 , the input/output devices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6 include a regulator 14 connected to a charge coil 13, an engine switch 21, an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and a cell motor relay. (4), external devices 5 such as valve control unit 51 and choke valve 52, and engine switch 21 (battery voltage always applied), which are engine charging input line 251, engine switch operation Connect to paired wire couplers 24 via detection line 252, engine start operation detection line 253, cell motor relay control line 254, valve device output line 255, and battery voltage constantly applied line 256 do.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차지 코일(13)에 접속된 레귤레이터(14)로부터 엔진 충전 입력선(251)을 통하여 제어 ECU(71)에 전기가 공급되며, 제어 ECU(71)는 배터리 팩(61)의 온도 및 전압, 및 배터리 셀(611)마다의 전압을 관리하면서 배터리 셀(611)에 균등하게 전기가 충전된다.And, in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lectricity is supplied from the regulator 14 connected to the charge coil 13 to the control ECU 71 through the engine charging input line 251, and the control The ECU 71 evenly charges the battery cells 611 with electricity while managing the temperature and voltage of the battery pack 61 and the voltage of each battery cell 611 .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배터리 유닛(6)의 하우징(62)에 셀 모터 급전 단자(64)가 마련되어 있다. 셀 모터 급전 단자(64)는, 배터리 팩(61)으로부터 셀 모터(3)(셀 모터 릴레이(4))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제 1 전력선)(641)의 착탈이 가능한 단자이며, 예를 들면 배터리 유닛(6)의 하우징(62)의 좌측면에 설치되고(도 5 참조), 고무제의 커버에 의해 방수/방진 대책이 실시되어 있다.In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ell motor power supply terminal 64 is provided in the housing 62 of the battery unit 6 . The cell motor power supply terminal 64 is a terminal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power line (first power line) 641 for supplying electricity from the battery pack 61 to the cell motor 3 (cell motor relay 4), For example, it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62 of the battery unit 6 (see FIG. 5), and measures against water/dust are provided by a rubber cover.

셀 모터 급전 단자(64)와 셀 모터 릴레이(4)를 연결하는 전력선(641)에는 휴즈(642)가 마련되어 있다. 휴즈(642)는 배터리 팩(61)의 과방전에 의해 전력선(641)에 정격 이상의 과전류가 흐른 경우에, 용단되는 것에 의해, 셀 모터 릴레이(4) 및 셀 모터(3)를 보호한다. 이에 의해, 휴즈(642)가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어도 전력선(641)을 교환하는 것에 의해, 셀 모터 릴레이(4) 및 셀 모터(3)를 간단히 복구할 수 있다.A fuse 642 is provided in the power line 641 connecting the cell motor power supply terminal 64 and the cell motor relay 4. The fuse 642 protects the cell motor relay 4 and the cell motor 3 by blowing out when an overcurrent of a rating or higher flows through the power line 641 due to overdischarge of the battery pack 61 . Thus, even if the fuse 642 is blown due to overcurrent, the cell motor relay 4 and the cell motor 3 can be easily restored by replacing the power line 641 .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 모터 급전 단자(64)와 배터리 팩(61) 사이에는 배터리 보호 릴레이(65)가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 보호 릴레이(65)는, 배터리 팩(61)과 셀 모터 급전 단자(64) 사이에 접점이 마련되며, 제어 ECU(71)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배터리 팩(61)과 셀 모터 급전 단자(64) 사이에 마련된 접점이 폐쇄 작동된다.As shown in FIG. 6 , a battery protection relay 65 is provided between the cell motor power supply terminal 64 and the battery pack 61 . In the battery protection relay 65, a contact is provided between the battery pack 61 and the cell motor power supply terminal 64, and in response to a command from the control ECU 71, the battery pack 61 and the cell motor power supply terminal ( 64) is closed.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배터리 유닛(6)의 하우징(62)에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가 마련된다.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배터리 유닛(6)에 충전용의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제 2 전력선)(도시하지 않음)의 착탈이 가능한 단자이며, 예를 들면 배터리 유닛(6)의 하우징(62)의 우측면에 설치되며(도 4 참조), 고무제의 커버에 의해 방수/방진 대책이 실시되어 있다.In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external charging input terminal 66 is provided in the housing 62 of the battery unit 6 . The external charging input terminal 66 is a terminal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power line (second power line) (not shown) for supplying electricity for charging to the battery unit 6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for example, the battery unit ( It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62 of 6) (see FIG. 4), and measures against water/dust are implemented by a rubber cover.

외부 전원은, 예를 들면 가정용 전원이나 자동차의 배터리이다. 예를 들면, 외부 전원이 가정용 전원의 경우에는 전용의 충전기의 전력선이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가정용 전원으로부터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에 충전용의 전기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제어 ECU(71)가 대기 상태로부터 기동하고, 배터리 팩(61)의 온도 및 전압, 및 배터리 셀(611)마다의 전압을 관리하면서 배터리 셀(611)에 균등하게 전기가 충전된다. 또한, 예를 들면 외부 전원이 자동차의 배터리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시가 소켓에 접속된 전력선이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자동차의 배터리로부터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에 충전용의 전기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제어 ECU(71)가 대기 상태로부터 기동되고, 배터리 팩(61)의 온도 및 전압, 및 배터리 셀(611)마다의 전압을 관리하면서 배터리 셀(611)에 균등하게 전기가 충전된다.The external power source is, for example, a household power source or an automobile battery.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power supply is household power supply, electricity for charging is supplied from the household power supply to the external charging input terminal 66 by attaching a power line of a dedicated charger to the external charging input terminal 66. As a result, the control ECU 71 is started from the standby state, and the battery cells 611 are evenly charged with electricity while managing the temperature and voltage of the battery pack 61 and the voltage of each battery cell 611 .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a battery of a vehicle, a power line connected to a cigarette lighter of the vehicle is attached to the external charging input terminal 66 to charge the external charging input terminal 66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of electricity is supplied. As a result, the control ECU 71 is activated from the standby state, and the battery cells 611 are equally charged with electricity while managing the temperature and voltage of the battery pack 61 and the voltage of each battery cell 611 .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는 제어 ECU(71)에 접속되며,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에 공급된 충전용의 전기는 제어 ECU(71)로 충전 제어되며, 배터리 팩(61)을 구성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배터리 셀(611)이 균등하게 충전된다.In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xternal charging input terminal 66 is connected to the control ECU 71, and electricity for charging supplied to the external charging input terminal 66 is the control ECU 71 ), and one or two or more battery cells 611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61 are equally charged.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제어 ECU(71)에 충전 출력 단자(67)가 접속된다. 충전 출력 단자(67)는 휴대 기기에 마련된 충전 입력 단자의 착탈이 가능한 단자이며, 휴대 기기에 마련된 충전 입력 단자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 유닛(6)의 내부에 마련된 제어 ECU(71)와 하우징 외부에 마련된 휴대 기기가 접속되며, 제어 ECU(71)를 거쳐서 배터리 팩(61)으로부터 휴대 기기에 전기가 공급된다. 휴대 기기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의 휴대전화이며, 충전 출력 단자(67)는, 예를 들면 USB 출력 단자(671)이며, TYPE A, B 또는 C 중 어느 하나의 메스 단자이며, 최대 2A의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이용된다.In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harge output terminal 67 is connected to the control ECU 71 . The charging output terminal 67 is a terminal capable of attaching or detaching the charging input terminal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and by attaching the charging input terminal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the control ECU 71 provided inside the battery unit 6 and the housing A portable device provided outside is connected, and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from the battery pack 61 via the control ECU 71 . The portable device is, for example, a mobile phone such as a smartphone, and the charging output terminal 67 is, for example, a USB output terminal 671, and is a female terminal of any one of TYPE A, B or C, and a maximum of 2A The one that can obtain the output of is used.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충전 출력 단자(67)는, 배터리 유닛(6)의 하우징(62)에 마련된 돌기부(62a)로부터 배터리 유닛(6)의 외부에 연장되도록 마련되며, 방수/방진 대책이 실시되어 있다.In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harging output terminal 67 is provided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unit 6 from a protrusion 62a provided on the housing 62 of the battery unit 6. and waterproof/dustproof measures are implemented.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배터리 유닛(6)의 하우징 전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인디케이터(68)와, 충전 잔량 확인 버튼(69)을 구비하고 있다. 1개 또는 2개 이상의 인디케이터(68)와 충전 잔량 확인 버튼(69)은 제어 ECU(71)에 접속되어 있다. 1개 또는 2개 이상의 인디케이터(68)는, 예를 들면 잔충전량 표시등 및 제어 ECU(71)의 상태 표시등을 구성한다.As shown in FIG. 3 , in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battery unit 6, one or two or more indicators 68 and a charge remaining amount confirmation button 69 ) is provided. One or two or more indicators 68 and a charge remaining amount check button 69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ECU 71. One or two or more indicators 68 constitute, for example, a remaining charge level indicator light and a status indicator light of the control ECU 71.

잔충전량 표시등은, 예를 들면 3개 내지 5개의 LED 램프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3개 내지 5개의 LED 램프는, 2개 내지 4개의 동색계의 LED 램프와 1개가 상이한 색의 LED 램프로 구성되며, 배터리 팩(61)의 잔충전량이 줄어듬에 따라서 동색계의 LED 램프의 점등수가 줄어듬에 따라서, 최후에 상이한 색의 LED 램프가 점등되도록 제어되며, 제어 ECU(71)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충전 잔량 확인 버튼(69)이 압하된 경우에, 제어 ECU(71)가 대기 상태로부터 기동되며, 1개 또는 2개 이상의 인디케이터(68)에 그 때의 배터리 팩(61)의 충전 잔량을 표시하도록 제어된다.The remaining charge indicator lamp is composed of, for example, 3 to 5 LED lamps. For example, 3 to 5 LED lamps are composed of 2 to 4 LED lamps of the same color and 1 LED lamp of a different color, and as the remaining charge of the battery pack 61 decreases, the number of LED lamps of the same color is reduced. As the number of LED lamps lit decreases, the LED lamps of different colors are finally controlled to be lit, and in the case where the control ECU 71 is in a stopped state and the remaining charge amount confirmation button 69 is pressed down, the control ECU 71 is activated from the standby state, and one or two or more indicators 68 are controlled to display the remaining charge amount of battery pack 61 at that time.

또한, 제어 ECU(71)의 상태 표시등은 1개 내지 3개가 상이한 색의 LED 램프로 구성되며, 제어 ECU(71)의 상태에 기초하여 임의의 LED 램프를 점등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면, 엔진 스위치(21)가 온이 되고, 엔진(1)의 시동 조작이 가능한 상태의 경우에는 시동 조작 가능을 통지하는 LED 램프가 점등되고, 엔진(1)의 시동 후는 엔진(1)이 운전 중인 것을 통지하는 LED 램프가 점등된다.Further, the status indicators of the control ECU 71 are composed of 1 to 3 LED lamps of different colors, and are controlled to light any LED lamp based on the state of the control ECU 71. For example, when the engine switch 21 is turned on and the engine 1 can be operated, an LED lamp notifying that the engine 1 can be operated is turned on, and after the engine 1 is started, the engine 1 ) turns on the LED lamp notifying that it is in operation.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의 탑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커버(9)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of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9 is removed.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의 탑재 구조에서는, 배터리 유닛(6)은 엔진(1)의 측면에 탑재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엔진(1)이 탑재된 작업 기계의 임의의 위치에 탑재되는 것이 포함된다.As shown in Fig. 7, in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attery unit 6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engine 1,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is. It is not intended, and the engine 1 is included in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mounted working machine.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가 채용되는 엔진(1)에 탑재되는 배터리 유닛(6)의 탑재 구조는, 상술한 배터리 유닛(6) 외에, 케이스(8) 및 커버(9)를 구비하고 있다.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battery unit 6 mounted on the engine 1 to which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employed is, in addition to the battery unit 6 described above, a case 8 ) and a cover 9.

케이스(8)는 엔진(1) 또는 엔진(1)이 탑재된 작업 기계에 장착된다. 케이스(8)는, 예를 들면 엔진(1)의 전면에 장착된다. 케이스(8)는 전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이며, 배터리 유닛(6)이 수용된다. 케이스(8)는, 예를 들면 전면이 개구된 가로로 긴 대략 직방체형상의 상자형상이며, 그 하방역(下方域)에 배터리 유닛(6)이 수용되는 수용 영역이 마련되며, 그 상방역(上方域)에 배선 커플러(24, 63)의 접속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수용 영역은 배터리 유닛(6)의 체적보다 약간 큰 용적을 가지며, 배터리 유닛(6)은 수용 영역에 끼워지도록 수용된다. 접속 공간은 배선 커플러(63)와 당해 배선 커플러(63)와 쌍이 되는 배선 커플러(24)를 접속하는데 충분한 용적을 가지며, 접속 공간의 우측에는 상술한 엔진 스위치(21) 및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가 설치되며, 접속 공간의 좌측에는 상술한 외부 기기용의 스위치(23), 예를 들면 초크 전환 스위치(231)가 설치되어 있다.The case 8 is mounted on the engine 1 or a working machine on which the engine 1 is mounted. Case 8 is attached to the front of engine 1, for example. The case 8 has a box shape with an open front, and the battery unit 6 is accommodated therein. The case 8 is,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 horizontally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with an open front surface, and an accommodation area in which the battery unit 6 is accommodated is provided in the lower area thereof, and in the upper area ( A connection space for the wiring couplers 24 and 63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The accommodating area has a volume slightly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battery unit 6, and the battery unit 6 is accommodated to fit into the accommodating area. The connection space has a volume sufficient to connect the wire coupler 63 and the wire coupler 24 paired with the wire coupler 63, and on the right side of the connection space, the above-described engine switch 21 and engine start control switch 22 ) is installed, and on the left side of the connection space, a switch 23 for external device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choke changeover switch 231 is installed.

커버(9)는 케이스(8)에 장착되며 배터리 유닛(6)이 수용된 케이스(8)의 개구를 폐색한다. 커버(9)는, 예를 들면 후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이며, 배터리 유닛(6)이 수용된 케이스(8)와 조립되어 케이스(8)의 전면 개구를 폐색한다. 커버(9)는, 예를 들면 케이스(8)보다 케이스(8)의 길이방향으로 한 사이즈 크고, 케이스(8)의 우측 영역에 배터리 유닛(6)(셀 모터 급전 단자(64))과 셀 모터 릴레이(4)를 접속하는 전력선(641)(도 2 참조)의 배선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The cover 9 is attached to the case 8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case 8 in which the battery unit 6 is accommodated. The cover 9 is,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 box with an open rear surface, and is assembled with the case 8 in which the battery unit 6 is accommodated to block the front opening of the case 8 . The cover 9 is, for example, larger than the case 8 by one siz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8, and the battery unit 6 (cell motor power supply terminal 64) and the cell ar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se 8. The wiring space of the power line 641 (refer to FIG. 2) which connects the motor relay 4 is secured.

또한, 커버(9)는, 예를 들면 상술한 엔진 스위치(21) 및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대응하는 영역이 노치되어 있으며, 커버(9)를 케이스(8)에 장착한 상태에서 엔진 스위치(21) 및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가 커버(9)의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커버(9)는, 예를 들면 외부 기기용의 스위치(23)에 대응하는 영역에 직사각형의 창(9a)이 마련되어 있으며, 커버(9)를 케이스(8)에 장착한 상태로 외부 기기용의 스위치(23)가 커버(9)의 외부에 노출된다.Further, the cover 9 has notches in areas corresponding to, for example, the engine switch 21 and the engine start control switch 22 described above, and the cover 9 is attached to the case 8, the engine The switch 21 and the engine start control switch 22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9 . In addition, the cover 9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window 9a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witch 23 for, for example, external devices, and the cover 9 is attached to the case 8 for external devices. The dragon switch 23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9 .

또한, 커버(9)는, 예를 들면 1개 또는 2개 이상의 인디케이터(68)와 충전 잔량 확인 버튼(69)에 대응하는 영역에 직사각형의 창(9b)이 마련되어 있으며, 커버(9)를 케이스(8)에 장착한 상태에서 1개 또는 2개 이상의 인디케이터(68)와 충전 잔량 확인 버튼(69)이 커버(9)의 외부에 노출된다.Further, the cover 9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window 9b in an area corresponding to, for example, one or two or more indicators 68 and the remaining charge amount confirmation button 69, and the cover 9 is placed in a case.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8), one or two or more indicators 68 and a charge remaining amount check button 69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9.

또한, 커버(9)는 길이방향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당해 관통 구멍을 삽통한 볼트(91)가 케이스(8)에 마련된 나사 구멍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케이스(8)에 커버(9)가 장착된다. 관통 구멍을 삽통한 볼트(91)는, 예를 들면 코인이 끼워지는 슬롯 홈이 마련된 볼트 또는 나비 볼트가 채용되어 있다.Further, the cover 9 is provided with through-holes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case 8 ) to which the cover 9 is mounted. As the bolt 91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 example, a bolt having a slot groove into which a coin is inserted or a butterfly bolt is employed.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의 탑재 구조에서는, 상술한 배터리 유닛(6)은, 커버(9)에 대향하는 전면에 완충재(6b)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엔진(1)이나 작업 기계로부터 배터리 유닛(6)에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해, 배터리 유닛(6)을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attery unit 6 described above has a shock absorbing material 6b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facing the cover 9 . Thereby,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engine 1 or work machine to the battery unit 6 can be suppressed, and the battery unit 6 can be protected.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에서는, 제어 ECU(71)에, 인터벌 제어부(731), 운전 상태 판정부(732), 오조작 방지부(733) 및 안전 제어부(734)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8 , in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ECU 71 includes an interval control unit 731, an operat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an A manipulation prevention unit 733 and a safety control unit 734 are provided.

인터벌 제어부(731)는 제어 ECU(71)가 기동된 상태에서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해 시동 조작되어, 배터리 팩(배터리)(61)으로부터 셀 모터(3)에 전기가 공급된 경우에, 미리 정해진 인터벌 기간 내의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한다. 이에 의해,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해 시동 조작되어 배터리 팩(61)으로부터 셀 모터(3)에 전기가 공급되면, 인터벌 기간 내에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해 시동 조작이 실행되어도 셀 모터(3)에 의한 엔진(1)의 크랭킹이 실행되는 일은 없다. 인터벌 기간은, 예를 들면 5초 내지 30초의 사이에서 임의로 설정된다.The interval control unit 731 is operated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ECU 71 is activated, and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pack (battery) 61 to the cell motor 3 , invalidates the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ing operation switch 22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period. As a result, if a start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engine start switch 22 and electricity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pack 61 to the cell motor 3, even if the start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engine start switch 22 within the interval period, the cell start operation is performed. Cranking of the engine 1 by the motor 3 is not performed. The interval period is arbitrarily set between 5 seconds and 30 seconds, for example.

또한, 인터벌 기간 중에 엔진 스위치(21)가 오프 조작되어도 인터벌 기간 중의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은 무효화되고, 인터벌 기간의 종료후에 제어 ECU(71)는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Further, even if the engine switch 21 is operated off during the interval period, the start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during the interval period is invalidated, and the control ECU 71 shifts to the standby state after the interval period ends.

운전 상태 판정부(732)는, 인터벌 기간 내에 엔진(1)(차지 코일(13))에 의한 발전 입력을 검지하고, 당해 발전 입력의 전압 및 전류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운전 상태 판정부(732)에 의하면, 엔진(1)이 운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판정할 수 있다.The operat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detects power generation input by the engine 1 (charge coil 13) within an interval period, and when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generation input exceed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engine It is determined that (1) is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ngine 1 is in an operating state with a simple and easy configuration.

오조작 방지부(733)는, 운전 상태 판정부(732)가 운전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에,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오조작 방지부(733)에 의하면, 엔진(1)의 운전 중의 셀 모터(3)에 의한 엔진(1)의 크랭킹을 방지할 수 있다.The erroneous operation prevention unit 733 invalidates the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ing operation switch 22 when the driving state determining unit 732 determines that the driving state is in the running state. According to the erroneous operation prevention unit 73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ranking of the engine 1 by the cell motor 3 during engine 1 operation can be prevented.

안전 제어부(734)는, 제어 ECU(71)가 기동된 상태에서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된 경우에,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계속한다.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되는 경우란, 예를 들면 엔진(1)이 과부하에 의해 정지된 경우, 또는, 엔진(1)이 연료 부족에 의해 정지한 경우 외, 엔진 충전 입력선(251)의 단선이 상정된다. 이 경우에 안전 제어부(734)는, 제어 ECU(71)를 기동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이행시킨다. 미리 정한 기간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10초 내지 30초의 사이에서 임의로 설정된다.The safety control unit 734 continues to invalidate the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ing operation switch 22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while the control ECU 71 is activated.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when the engine 1 is stopped due to overload or when the engine 1 is stopped due to lack of fuel, the engine charging input line ( 251) is assumed. In this case, the safety control unit 734 shifts the control ECU 71 from the starting state to the standby state. Although the predetermined period can be arbitrarily set, it is arbitrarily set, for example, between 10 seconds and 30 seconds.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에서는, 운전 상태 판정부(732)는,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된 경우에 엔진(1)이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는 한편, 당해 판정 후에, 발전 입력을 검지하고, 당해 발전 입력의 전압 및 전류가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한다. 엔진(1)이 정지 상태라고 판정한 후에, 발전 입력을 검지하는 경우란, 예를 들면 엔진(1)의 정지 후에, 리코일 스타터(12)에 의해 엔진(1)을 재시동하는 것에 의해 엔진(1)(차지 코일(13))으로부터 입력된 발전 입력을 검지하는 경우이다.In addition, in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stops the engine 1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state, while after the determination, power generation input is detected, and when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generation input exceed threshold values, it is determined that the engine 1 is in an operating state.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detected after determining that the engine 1 is stopped, for example, the engine 1 is restarted by the recoil starter 12 after the engine 1 is stopped. ) (this is a case of detecting power generation input from the charging coil 13).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에서는, 안전 제어부(734)는, 엔진 스위치(21)의 오프 조작에 의해,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해소한다. 이와 같이, 엔진 스위치(21)를 일단 오프 조작하면,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가 해소되므로, 엔진 스위치(21)를 온 조작한 후,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의 시동 조작에 의해 셀 모터(3)에 엔진(1)의 크랭킹을 실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afety control unit 734 starts the engine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by turning off the engine switch 21. Cancel invalidation of operation. In this way, once the engine switch 21 is turned off, the invalidation of the start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switch 22 is eliminated. It is possible to cause the cell motor 3 to crank the engine 1 by the starting operation.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의 제어 내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control contents of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에서는, 엔진 스위치(21)가 온 조작되면(단계 S41: 예), 전원이 온이 되어 제어 ECU(71)가 대기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된다(단계 S42). 그리고,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해 시동 조작되면(단계 S43: 예), 제어 ECU(71)가 배터리 팩(61)으로부터 셀 모터(3)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셀 모터(3)가 엔진(1)의 크랭킹을 실행한다(단계 S44). 그리고, 엔진(1)의 크랭킹에 의해 엔진(1)이 시동되면, 인터벌 제어부(731)가 인터벌 기간 내의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한다(단계 S45). 이에 의해, 인터벌 기간 내(엔진(1)의 시동 후)에 셀 모터(3)가 엔진(1)의 크랭킹을 실행하는 일이 없이, 셀 모터 릴레이(4) 및 셀 모터(3)를 보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in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engine switch 21 is turned on (step S41: YES), the power is turned on and controlled. The ECU 71 is switched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activation state (step S42). Then, when a start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step S43: YES), the control ECU 71 supplies electricity from the battery pack 61 to the cell motor 3, so that the cell motor 3 ) performs cranking of the engine 1 (step S44). Then, when the engine 1 is started by cranking the engine 1, the interval controller 731 invalidates the start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within the interval period (step S45). Thus, the cell motor relay 4 and the cell motor 3 are protected without the cell motor 3 cranking the engine 1 within the interval period (after starting the engine 1). can do.

그리고, 인터벌 기간 내에 엔진(1)에 의한 발전 입력을 검지하고, 당해 발전 입력의 전압 및 전류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을 초과하면(단계 S46: 예), 운전 상태 판정부(732)는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한다(단계 S47).Then, when power generation input by the engine 1 is detected within the interval period, and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generation input exceed a predetermined threshold (step S46: YES), the operat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determines that the engine 1 ) is determined to be an operating state (step S47).

그리고, 운전 상태 판정부(732)가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하면, 오조작 방지부(733)가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한다(단계 S48). 이에 의해, 인터벌 기간을 지나도 운전 상태 판정부(732)가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하는 한, 오조작 방지부(733)가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계속한다. 이에 의해, 인터벌 기간을 지나도 운전 상태 판정부(732)가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하는 한, 셀 모터(3)가 엔진(1)의 크랭킹을 실행하는 일이 없이, 셀 모터 릴레이(4) 및 셀 모터(3)를 보호할 수 있다.Then, when the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determines that the engine 1 is in the running state, the erroneous operation prevention unit 733 invalidates the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ing operation switch 22 (step S48). In this way, even after the interval period has elapsed, as long as the operating state determining unit 732 determines that the engine 1 is in the running state, the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unit 733 continues invalidating the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ing operating switch 22. do. As a result, as long as the operat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determines that the engine 1 is in an operating state even after the interval period has elapsed, the cell motor 3 does not crank the engine 1 and the cell motor relay (4) and the cell motor 3 can be protected.

그리고,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된 경우에(단계 S49: 예), 안전 제어부(734)가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계속한다. 이에 의해, 인터벌 기간의 경과 후에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되어도, 셀 모터(3)가 엔진(1)의 크랭킹을 실행하는 일이 없이, 발전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엔진(1)이 운전되고 있는 경우에도 셀 모터 릴레이(4) 및 셀 모터(3)를 보호할 수 있다.Then,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tep S49: YES), the safety control unit 734 continues invalidating the start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Thereby, even if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interrupt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after the interval period has elapsed, the cell motor 3 does not crank the engine 1, and the engine 1 operates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power generation input. The cell motor relay 4 and the cell motor 3 can be protected even when the relay is in operation.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에서는,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된 경우에(단계 S49: 예), 운전 상태 판정부(732)가 엔진(1)이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단계 S50). 한편, 당해 판정 후에, 발전 입력을 검지하고, 당해 발전 입력의 전압 및 전류가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단계 S51: 예),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한다(단계 S52). 이에 의해, 엔진(1)이 과부하에 의해 정지한 경우, 또는, 엔진(1)이 연료 부족에 의해 정지한 경우에, 리코일 스타터(12)에 의해 엔진(1)을 재시동시킨 경우에도 운전 상태 판정부(732)가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step S49: YES), the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It is determined that the engine 1 is in a stopped state (step S50). On the other hand, after the determinatio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detected, and when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generation input exceed threshold values (step S51: YES), it is determined that the engine 1 is in an operating state (step S52). As a result, even when the engine 1 is stopped due to overload, or when the engine 1 is stopped due to lack of fuel, and the engine 1 is restarted by the recoil starter 12, the operating state plate Government 732 may determine that engine 1 is in an operating state.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에서는, 엔진 스위치(21)의 오프 조작에 의해 엔진(1)이 정지하고(단계 S54, S55), 안전 제어부(734)가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해소한다(단계 (S56)). 이에 의해, 엔진(1)이 확실히 정지하고 나서,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해소하므로, 엔진(1)의 운전 중에 셀 모터(3)가 엔진(1)의 크랭킹을 실행하는 일이 없이, 셀 모터 릴레이(4) 및 셀 모터(3)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ngine 1 is stopped by an off operation of the engine switch 21 (steps S54 and S55), and the safety control unit 734 ) cancels invalidation of the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ing operation switch 22 (step S56). In this way, after the engine 1 has stopped reliably, the invalidation of the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ing operation switch 22 is canceled, so that the cell motor 3 cranks the engine 1 while the engine 1 is running. The cell motor relay 4 and the cell motor 3 can be protected without executing.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에 의하면, 제어 ECU(71)가 배터리 팩(61)으로부터 셀 모터(3)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셀 모터(3)가 엔진(1)의 크랭킹을 실행하고, 엔진(1)이 시동되면, 인터벌 제어부(731)가 인터벌 기간 내의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한다. 이에 의해, 인터벌 기간 내(엔진(1)의 시동 후)에 셀 모터(3)가 엔진(1)의 크랭킹을 실행하는 일이 없이, 셀 모터 릴레이(4) 및 셀 모터(3)를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the control ECU 71 supplies electricity from the battery pack 61 to the cell motor 3, so that the cell motor (3) performs cranking of the engine 1, and when the engine 1 is started, the interval control section 731 invalidates the start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within the interval period. Thus, the cell motor relay 4 and the cell motor 3 are protected without the cell motor 3 cranking the engine 1 within the interval period (after starting the engine 1). can do.

또한, 운전 상태 판정부(732)가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하면, 오조작 방지부(733)가 엔진 시동 조작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하므로, 인터벌 기간을 지나도 운전 상태 판정부(732)가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하는 한, 오조작 방지부(733)가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계속한다. 이에 의해, 인터벌 기간을 지나도 운전 상태 판정부(732)가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하는 한, 셀 모터(3)가 엔진(1)의 크랭킹을 실행하는 일이 없이, 셀 모터 릴레이(4) 및 셀 모터(3)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determines that the engine 1 is in the running state, the erroneous operation prevention unit 733 invalidates the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ing operation, so that the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 determines that the engine 1 is in an operating state, the erroneous operation prevention unit 733 continues invalidating the start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 As a result, as long as the operat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determines that the engine 1 is in an operating state even after the interval period has elapsed, the cell motor 3 does not crank the engine 1 and the cell motor relay (4) and the cell motor 3 can be protected.

또한,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된 경우에, 안전 제어부(734)가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계속한다. 이에 의해, 인터벌 기간의 경과 후에 발전 입력이 중단되어도 셀 모터(3)가 엔진(1)의 크랭킹을 실행하는 일이 없이, 발전 입력이 없는 상태(예를 들면, 엔진 충전 입력선(251)의 단선한 상태)에서 엔진(1)이 운전되고 있는 경우에서도 셀 모터 릴레이(4) 및 셀 모터(3)를 보호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interrupt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the safety control unit 734 continues invalidating the start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 As a result, the cell motor 3 does not crank the engine 1 even if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after the interval period has elapsed, and there is no power generation input (for example, engine charging input line 251). The cell motor relay 4 and the cell motor 3 can be protected even when the engine 1 is operating in the disconnected state of .

또한,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된 경우에 운전 상태 판정부(732)가 엔진(1)이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는 한편, 당해 판정 후에, 발전 입력을 검지하고, 당해 발전 입력의 전압 및 전신주가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한다. 이에 의해, 엔진(1)이 과부하에 의해 정지한 경우, 또는, 엔진(1)이 연료 부족에 의해 정지한 경우에, 리코일 스타터(12)에 의해 엔진(1)을 재시동시킨 경우에도 운전 상태 판정부(732)가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the operation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determines that the engine 1 is in a stopped state, and after the determinatio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detected, and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When the voltage and utility poles exceed the threshold values, it is determined that the engine 1 is in an operating state. As a result, even when the engine 1 is stopped due to overload, or when the engine 1 is stopped due to lack of fuel, and the engine 1 is restarted by the recoil starter 12, the operating state plate Government 732 may determine that engine 1 is in an operating state.

또한, 안전 제어부(734)는, 엔진 스위치(21)의 오프 조작에 의해 엔진(1)이 확실히 정지하고 나서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해소하므로, 엔진(1)의 운전 중에 셀 모터(3)에 의한 엔진(1)의 크랭킹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셀 모터 릴레이(4) 및 셀 모터(3)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afety control unit 734 cancels the invalidation of the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ing operation switch 22 after the engine 1 is reliably stopped by the off operation of the engine switch 21, Cranking of the engine 1 by the cell motor 3 during operation can be prevented. Thus, the cell motor relay 4 and the cell motor 3 can be protect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상술한 실시형태에 변형을 더한 형태나, 이들 형태를 적절히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nd also includes a form in which a modification is add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form in which these forms are appropriately combined.

상기 각 실시형태에 기재된 내용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The contents described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are grasped as follows, for example.

[1]의 태양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는,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aspect of [1],

제어 ECU(71)를 기동하기 위한 엔진 스위치(21)와,an engine switch 21 for activating the control ECU 71;

상기 엔진 스위치(21)의 온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 ECU(71)가 기동된 상태에서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해 시동 조작되어, 배터리(배터리 팩(61))로부터 셀 모터(3)에 전기가 공급된 경우에, 미리 정해진 인터벌 기간 내의 상기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하는 인터벌 제어부(731)와,In a state where the control ECU 71 is activated by the ON operation of the engine switch 21,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operates to start the battery (battery pack 61) to the cell motor 3. an interval control unit 731 that invalidates a start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period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상기 인터벌 기간 내에 엔진(1)에 의한 발전 입력의 검지를 개시하고, 당해 발전 입력의 전압 및 전류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하는 운전 상태 판정부(732)와,An operating state plate for determining that the engine 1 is in an operating state when detection of the power generation input by the engine 1 is started within the interval period and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generation input exceed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with the government (732);

상기 운전 상태 판정부(732)가 운전 상태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하는 오조작 방지부(733)와,a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unit 733 invalidating a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ing operation switch 22 when the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determines that the driving state is in the driving state;

상기 제어 ECU(71)가 기동된 상태에서 상기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된 경우에, 상기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계속하는 안전 제어부(734)를 구비한다.and a safety control unit 734 that continues to invalidate the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ing operation switch 22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while the control ECU 71 is started. do.

본 개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에 의하면, 안전 제어부(734)는, 제어 ECU(71)가 기동된 상태에서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된 경우에,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계속한다. 이에 의해, 인터벌 기간의 경과 후에 발전 입력이 중단되어도 셀 모터(3)가 엔진(1)의 크랭킹을 실행하는 일이 없이, 발전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엔진(1)이 운전되고 있는 경우에서도 셀 모터 릴레이(4) 및 셀 모터(3)를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safety control unit 734,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while the control ECU 71 is started, the engine Invalidation of the starting operation by the starting operation switch 22 continues. As a result, the cell motor 3 does not crank the engine 1 even if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after the interval period elapses, and the cell motor 3 does not crank the engine 1 even when the engine 1 is operating in the absence of power generation input. The motor relay 4 and the cell motor 3 can be protected.

[2] 다른 태양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는, [1]에 기재된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에 있어서,[2] In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described in [1],

상기 운전 상태 판정부(732)는, 상기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된 경우에 상기 엔진(1)이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는 한편, 당해 판정 후에, 상기 발전 입력을 검지하고, 당해 발전 입력의 전압 및 전류가 상기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한다.The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determines that the engine 1 is in a stopped state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and after the determination, detects the power generation input, and When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generation input exceed the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engine 1 is in an operating stat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리코일 스타터(12)에 의해 엔진(1)을 재시동시킨 경우에도 운전 상태 판정부(732)가 엔진(1)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engine 1 is restarted by the recoil starter 12, the runn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2 can determine that the engine 1 is in the running state.

[3] 다른 태양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는, [1] 또는 [2]에 기재된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에 있어서,[3] In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 the start control device 7 of the engine 1 described in [1] or [2],

상기 안전 제어부(734)는,The safety control unit 734,

상기 엔진 스위치(21)의 오프 조작에 의해, 상기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해소한다.By the off operation of the engine switch 21, invalidation of the start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22 is eliminat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안전 제어부(734)는, 엔진 스위치(21)의 오프 조작에 의해, 엔진(1)이 확실히 정지하고 나서,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해소하므로, 엔진(1)의 운전 중에 셀 모터(3)에 의한 엔진(1)의 크랭킹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afety control unit 734 cancels the invalidation of the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ing operation switch 22 after the engine 1 is reliably stopped by the off operation of the engine switch 21. , Cranking of the engine 1 by the cell motor 3 during operation of the engine 1 can be prevented.

1: 엔진 12: 리코일 스타터
121: 스타터 그립 13: 차지 코일
14: 레귤레이터 15: 점화 코일
16: 점화 플러그 21: 엔진 스위치
22: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 23: 외부 기기용의 스위치
231: 초크 전환 스위치 24: 배선 커플러
25: 컨트롤 하네스 251: 엔진 충전 입력선
252: 엔진 스위치 조작 검지선 254: 셀 모터 릴레이 제어선
255: 밸브 기기 출력선 256: 배터리 전압 상시 인가선
3: 셀 모터 4: 셀 모터 릴레이
41: 접점 5: 외부 기기
51: 밸브 컨트롤 유닛 52: 초크 밸브
6: 배터리 유닛 6a: 돌기부
6b: 완충재 61: 배터리 팩
611: 배터리 셀 612: 온도 센서
62: 하우징 62a: 돌기부
63: 배선 커플러 64: 셀 모터 급전 단자
641: 전력선(제 1 전력선) 642: 휴즈
65: 배터리 보호 릴레이 66: 외부 충전 입력 단자
67: 충전 출력 단자 671: USB 출력 단자
68: 인디케이터 69: 충전 잔량 확인 버튼
7: 시동 제어 장치 71: 제어 ECU
711: 보호 회로 712: 엔진 충전 입력 단자
713: 전원 검지 단자 714: 엔진 시동 조작 검지 단자
715: 셀 모터 릴레이 제어 단자 716: 외부 기기 출력 단자
717: 상시 전압 출력 단자 731: 인터벌 제어부
732: 운전 상태 판정부 733: 오조작 방지부
734: 안전 제어부 8: 케이스
9: 커버 9a, 9b: 창
91: 볼트
1: engine 12: recoil starter
121: starter grip 13: charge coil
14: regulator 15: ignition coil
16: spark plug 21: engine switch
22: engine start control switch 23: switch for external devices
231: choke changeover switch 24: wiring coupler
25: control harness 251: engine charging input line
252: engine switch operation detection line 254: cell motor relay control line
255 Valve device output line 256 Battery voltage always applied line
3: cell motor 4: cell motor relay
41: contact 5: external device
51: valve control unit 52: choke valve
6: battery unit 6a: protrusion
6b: cushioning material 61: battery pack
611: battery cell 612: temperature sensor
62: housing 62a: protrusion
63: wiring coupler 64: cell motor power supply terminal
641: power line (first power line) 642: fuse
65: battery protection relay 66: external charging input terminal
67: charging output terminal 671: USB output terminal
68: indicator 69: remaining charge check button
7: starting control unit 71: control ECU
711: protection circuit 712: engine charging input terminal
713: power detection terminal 714: engine start operation detection terminal
715: cell motor relay control terminal 716: external device output terminal
717: constant voltage output terminal 731: interval controller
732: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733: erroneous operation prevention unit
734: safety control unit 8: case
9: cover 9a, 9b: window
91: bolt

Claims (3)

제어 ECU를 기동하기 위한 엔진 스위치와,
상기 엔진 스위치의 온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 ECU가 기동된 상태에서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해 시동 조작되어, 배터리로부터 셀 모터에 전기가 공급된 경우에, 미리 정해진 인터벌 기간 내의 상기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하는 인터벌 제어부와,
상기 인터벌 기간 내에 엔진에 의한 발전 입력의 검지를 개시하고, 상기 발전 입력의 전압 및 전류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엔진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하는 운전 상태 판정부와,
상기 운전 상태 판정부가 운전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한 시동 조작을 무효화하는 오조작 방지부와,
상기 제어 ECU가 기동된 상태에서 상기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된 경우에, 상기 엔진이 정지 상태라고 판정하고, 상기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계속하는 안전 제어부를 구비한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
An engine switch for starting the control ECU;
In a state where the control ECU is activated by the on operation of the engine switch and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is operated to start the engine, and electricity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cell motor,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period an interval control unit for invalidating a starting operation;
an operating state judging unit that starts detecting a power generation input by an engine within the interval period and determines that the engine is in an operating state when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generation input exceed a predetermined threshold;
a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on unit for invalidating a starting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when the driving state judging unit determines that the driving state is in the running state;
and a safety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at the engine is in a stopped state and continuing to invalidate a start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operation switch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while the control ECU is activated. one
Engine start contro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상태 판정부는, 상기 발전 입력이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중단된 경우에 상기 엔진이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는 한편, 상기 판정 후에, 상기 발전 입력을 검지하고, 상기 발전 입력의 전압 및 전류가 상기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엔진이 운전 상태라고 판정하는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state judging section judges that the engine is in a stopped state when the power generation input is stopped beyond a predetermined period, and after the determination, detects the power generation input, and determines that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generation input are When exceeding the threshold value, determining that the engine is in an operating state
Engine start control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제어부는,
상기 엔진 스위치의 오프 조작에 의해, 상기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에 의한 시동 조작의 무효화를 해소하는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afety control unit,
By turning off the engine switch, invalidation of the start operation by the engine start switch is eliminated.
Engine start control device.
KR1020237004747A 2020-12-25 2021-12-16 engine starting control device KR10265358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6454A JP2022102005A (en) 2020-12-25 2020-12-25 Start control device for engine
JPJP-P-2020-216454 2020-12-25
PCT/JP2021/046408 WO2022138413A1 (en) 2020-12-25 2021-12-16 Start control device for eng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645A true KR20230035645A (en) 2023-03-14
KR102653585B1 KR102653585B1 (en) 2024-04-01

Family

ID=8215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747A KR102653585B1 (en) 2020-12-25 2021-12-16 engine starting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102005A (en)
KR (1) KR102653585B1 (en)
WO (1) WO2022138413A1 (en)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471A (en) 1994-07-26 1996-02-06 Eikou Business Kk Protection device for starter motor
JPH10318106A (en) * 1997-05-20 1998-12-02 Honda Motor Co Ltd Starter protective device
KR19990012039A (en) * 1997-07-26 1999-02-25 양재신 Starting limiter of car
JPH11107893A (en) * 1997-09-30 1999-04-20 Sawafuji Electric Co Ltd Starter protection relay
JP2002195138A (en) * 2000-12-25 2002-07-10 Nissan Motor Co Ltd Starting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engine
JP2008128137A (en) * 2006-11-22 2008-06-05 Mitsubishi Electric Corp Engine control device
JP2011157840A (en) * 2010-01-29 2011-08-18 Nissan Motor Light Truck Co Ltd Vehicle starter
US20170338678A1 (en) * 2016-05-20 2017-11-23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electrical power system for jumpstarting
JP2019036507A (en) * 2017-08-22 2019-03-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Battery pack
JP2019041486A (en) * 2017-08-25 2019-03-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Battery pack
JP2020067054A (en) * 2018-10-26 2020-04-30 三菱重工メイキエンジン株式会社 Engine start device and battery
JP2020114079A (en) * 2019-01-09 2020-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Charg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662U (en) * 1992-08-07 1994-03-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Starter synchronous switch
JP3022232U (en) * 1995-08-31 1996-03-22 澤藤電機株式会社 Starter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471A (en) 1994-07-26 1996-02-06 Eikou Business Kk Protection device for starter motor
JPH10318106A (en) * 1997-05-20 1998-12-02 Honda Motor Co Ltd Starter protective device
KR19990012039A (en) * 1997-07-26 1999-02-25 양재신 Starting limiter of car
JPH11107893A (en) * 1997-09-30 1999-04-20 Sawafuji Electric Co Ltd Starter protection relay
JP2002195138A (en) * 2000-12-25 2002-07-10 Nissan Motor Co Ltd Starting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engine
JP2008128137A (en) * 2006-11-22 2008-06-05 Mitsubishi Electric Corp Engine control device
JP2011157840A (en) * 2010-01-29 2011-08-18 Nissan Motor Light Truck Co Ltd Vehicle starter
US20170338678A1 (en) * 2016-05-20 2017-11-23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electrical power system for jumpstarting
JP2019036507A (en) * 2017-08-22 2019-03-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Battery pack
JP2019041486A (en) * 2017-08-25 2019-03-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Battery pack
JP2020067054A (en) * 2018-10-26 2020-04-30 三菱重工メイキエンジン株式会社 Engine start device and battery
JP2020114079A (en) * 2019-01-09 2020-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Charg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02005A (en) 2022-07-07
KR102653585B1 (en) 2024-04-01
WO2022138413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93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iably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an electrical system
US7567057B2 (en) Multiple battery management system, auxiliary battery attachment system, and network controlled multiple battery system
US20200370527A1 (en) Electrically cranked engine systems
JP2009012728A (en) Capacitor device, and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KR102653585B1 (en) engine starting control device
KR20230035647A (en) engine start control
US7770553B2 (en) Manual working machine
KR20230035648A (en) engine start control
KR102661183B1 (en) engine starting control device
KR102653586B1 (en) Protection device for engine starting battery
KR20230035644A (en) Protection control device for engine starting battery
AU2004302507A1 (en) Multiple battery system, multiple battery management system, auxiliary battery attachment system, and network controlled multiple battery system
KR20230037630A (en) engine start control
KR20230035649A (en) Mounting structure of battery unit and battery unit
EP1528252A2 (en) Control apparatus of engine operated machine
KR200360746Y1 (en) Double battery system
JP2007100565A (en) Engine starting control device
KR200178370Y1 (en) Apparatus for power supply of a vehicle
KR200343342Y1 (en) The device of preventing battery from electric discharge
JPS5834297Y2 (en) Engine starting lock device
KR960013837A (en) Over-discharge prevention device of car
JPH0880151A (en) Battery housing structure in knapsack type pest control machine
JP2006152940A (en) Power supply of vehicle
KR19980047679U (en)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JPH03277138A (en)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