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392A -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무단 설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무단 설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392A
KR20230035392A KR1020237004512A KR20237004512A KR20230035392A KR 20230035392 A KR20230035392 A KR 20230035392A KR 1020237004512 A KR1020237004512 A KR 1020237004512A KR 20237004512 A KR20237004512 A KR 20237004512A KR 20230035392 A KR20230035392 A KR 20230035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k
component
state
ignit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넬스
Original Assignee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3003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 B60R21/0173Diagnostic or record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122Prevention of mal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122Prevention of malfunction
    • B60R2021/01184Fault detection or diagnostic circuits
    • B60R2021/0119Plausibility ch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1Aggregate identification or specification, e.g. usin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100)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어 장치(101)가 설명된다. 제어 장치(101)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트리거 상태(103)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저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 경우 트리거 상태(103)는 트리거링된 상태 또는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를 갖는다. 제어 장치(101)는 또한,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를 갖는 경우에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해제 없이 차량(100) 내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로써 제어 장치(101)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더욱이, 제어 장치(101)는,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된 상태를 갖는 경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해제되었다면, 트리거 상태(103)를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Description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무단 설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운전자-에어백-모듈 또는 벨트 텐셔너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무단 설치를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저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상응하는 제어 장치와 관련이 있다.
차량은, 예를 들어 에어백-모듈 또는 벨트 텐셔너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모듈은, 예를 들어 에어백이 통합되어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부분일 수 있다. 에어백이 트리거링되면, 에어백-모듈 내의 추진제가 전기적으로 점화되고, 가스로 채워진 주머니가 자체 보호 효과를 발휘한다.
트리거링 후에는, 에어백-모듈은 완전히 교체되어야만 하며, 모듈의 선택적 수리는 통상적으로 불가능하다. 에어백-모듈의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기 때문에, 에어백-모듈을 다른 차량으로부터 해체하는 그리고/또는 탈취하는 조달 범죄(procurement criminal)가 발생하였다. 추후, 이와 같은 에어백-모듈은, 이미 트리거링되어 교체되어야만 하는 에어백-모듈을 갖는 차량에 허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내장된다.
에어백-모듈의 도난은 차량 사용자와 보험사의 피해로 이어진다. 본 문서는, 특히 이와 관련된 조달 범죄를 제거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 특히 에어백-모듈의 불법 설치를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방지하는 기술적 과제를 다루고 있다.
상기 과제는 각각의 독립 청구항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른 무엇보다 종속 청구항들에서 설명된다. 언급해야만 할 사실은, 일 독립 특허 청구항에 종속되는 일 특허 청구항의 추가 특징부들은, 그 독립 특허 청구항의 특징부들이 없는 상태로 또는 다만 그 독립 특허 청구항의 특징부들의 일 부분 집합과 조합된 상태로만, 그 독립 특허 청구항의 전체 특징부의 조합으로부터 독립된 그리고 일 독립 청구항의, 일 분할 출원의 또는 후속 출원의 대상이 될 수 있는 하나의 고유한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은, 독립 특허 청구항들의 특징부들로부터 독립된 하나의 발명을 형성할 수 있는, 명세서 내에 기술된 기술적 교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자동-)차량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특히 에어백-모듈 또는 벨트 텐셔너)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어 장치가 설명된다. 이 제어 장치는, 차량의 전기 시스템 내에 설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저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트리거 상태는 예를 들어 제어 장치의 메모리 유닛 내에 예컨대 플래그로서 저장될 수 있다. 트리거 상태는 예를 들어 트리거링된 상태 또는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트리거 상태가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를 갖는 경우에는, 필요 시(예컨대 사고의 경우) 제어 장치에 연결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트리거링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어 장치는, 트리거 상태가 트리거링된 상태를 갖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에 연결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트리거링을 저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 상태가 트리거링된 상태를 갖는 경우에는, 트리거링의 차단이 선택적으로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사용자에게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링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차량의 디스플레이 요소가 활성화될 수 있거나 활성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 상태가 트리거링된 상태를 갖는 경우에는, 차량의 디스플레이 요소(예컨대 경고등)의 리셋이 방지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트리거 상태가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를 갖는 경우에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해제 없이 차량 내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로써 제어 장치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로써,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차량 내에 그리고/또는 제어 장치와 관련하여 효율적으로 처음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트리거 상태는 표준에 따르면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로써, 해제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차량 제조 동안 차량 내에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더욱이, 제어 장치는, 트리거 상태가 트리거링된 상태를 갖는 경우(그리고 이로써 최초에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트리거링이 이미 이루어진 경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가 해제되었다면, 트리거 상태를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특히, (차량 내에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가 해제된 경우에만, 트리거 상태를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제어 장치는, 차량 내에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가 해제되지 않은 경우에는, 트리거 상태를 트리거링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는, 특히 트리거 상태가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된 경우에만, 트리거링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표시하기 위한 차량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리셋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제어 장치는, 특히 트리거 상태가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된 경우에만, 필요 시(예컨대 차량 사고의 경우) 차량 내에 (상황에 따라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트리거링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해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 내에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작동을 저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로써, (경우에 따라 도난당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가 차량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상황이 확실하게 피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특히 이와 관련된 조달 범죄를 제거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 예를 들어 에어백-모듈이 불법적으로 설치되는 상황을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는, 복수의 상이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및 상응하는 복수의 식별 수단)로부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식별하도록 설계된 식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체 부품으로서 허용되었거나 승인된 복수의 상이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복수의 식별 수단은 백엔드-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식별 수단은, 효율적인 방식으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일련번호를 갖는 기계 판독 가능한 코드, 특히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식별 수단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일련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내에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해제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식별 수단을 토대로 하여 신뢰할 수 있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예를 들어, 대체 부품으로서 허용되었거나 승인된 복수의 상이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복수의 식별 수단과 식별 수단을 비교함으로써). 특히, 제어 장치는, 차량 내에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식별 수단을 토대로 하여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로써, 차량 내에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해제가 실행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트리거 상태가 트리거링된 상태를 갖는 경우에는, 차량 내에 새로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가 설치되었다는 것을 검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예를 들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전기 저항을 토대로 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 트리거링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 및 아직 트리거링되지 않은 (새로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는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이 제어 장치에 연결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저항 값을 수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더욱이, 제어 장치는, 새로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가 특히 전기 저항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기술적 조건, 즉 트리거 상태를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그리고/또는 순전히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조건을 충족한다는 것을 식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가, 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작동시킬 수 있는, 다시 말해 필요 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트리거링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술적 조건을 갖는다는 것이 식별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가 차량 내에서의 작동을 하나 이상의 기술적 조건을 충족하더라도, 새로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해제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가 먼저 제어 장치에 의해서 체크될 수 있다. 그 후에 비로소, 특히 새로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해제가 이루어진 경우에만, 트리거 상태가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될 수 있다. 이로써, 차량 내에 새로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불법으로 설치하는 상황이 특히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저지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차량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또는 유지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해제를 위해 유효한 해제 코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해제 코드는, 예를 들어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식별 수단을 토대로 하여 작업장 내에서 서비스 담당자에 의해 결정되어 입력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트리거 상태는, 특히 다만 유효한 릴리스 코드가 입력된 경우에만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될 수 있다. 이로써, 차량 내에 새로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불법으로 설치하는 상황이 특히 효율적인 방식으로 저지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차량의 복수의 상이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에 대한 복수의 상이한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도록, 이와 같은 상태를 저장하도록 그리고 각각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에 대한 해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태를 리셋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제어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상이한 기능을 위해, 예컨대 상이한 에어백-모듈 또는 벨트 텐셔너를 위해) 작동하도록 그리고 허용되지 않는 교환과 관련하여 모니터링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상이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는 제어 장치의 상이한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서두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트리거 상태가 표준에 따라 차량 제조 동안에는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는 차량 제조 동안 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해제 없이 차량에 내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어서 (차량 작동 동안) 필요 시에는 제어 장치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이로써, 차량의 효율적인 제조가 지속적으로 가능해질 수 있다(전용 해제 프로세스 없이).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문서에 기술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도로-)자동차(특히 승용차 또는 트럭 또는 버스 또는 모터사이클)가 기술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차량 내에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무단 설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이 방법은,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경우 트리거 상태는 트리거링된 상태 또는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를 갖는다. 또한, 이 방법은, 트리거 상태가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를 갖는 경우에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해제 없이 차량 내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로써 제어 장치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트리거 상태가 트리거링된 상태를 갖는 경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가 해제되었다면, 트리거 상태를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방법은, 차량 내에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해제하기 위해,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가 대체 부품으로서 해제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식별 수단을 특히 차량 제조자의 백엔드-서버상에서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차량의 제어 장치로 해제 또는 비-해제를 역으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수단의 생성 및 검증은 하나의 블록-체인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차량 내에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가 불법으로 설치되는 상황이 특히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저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소프트웨어(SW) 프로그램이 설명된다. 이 SW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상에서 (예컨대 차량의 제어 장치상에서) 실행되도록 그리고 이로 인해 본 문서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저장 매체가 설명된다. 이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도록 그리고 이로 인해 본 문서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SW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설명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는 본 문서에 설명된 다른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조합된 상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설명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의 각각의 양태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특히, 청구범위의 특징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부에서:
도 1a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갖는 예시적인 차량을 도시하고,
도 1b는 예시적인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2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무단 설치를 방지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서두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문서는 예를 들어 에어백-모듈과 같은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무단 설치에 대하여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보호를 제공하는 것을 다루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a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갖는 차량(100)을 보여준다.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는, 예를 들어 차량(100)의 충돌이 감지될 때에 차량(100)의 제어 장치(101)에 의해서 트리거링될 수 있다.
도 1b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 및 제어 장치(101)의 또 다른 세부사항을 보여준다. 제어 장치(101)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점화 유닛(112)에 점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점화 유닛(112)을 점화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는, 특정 기능(예를 들어 에어백의 팽창)을 제공하기 위해 트리거링된다. 트리거링 후에,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는 통상적으로 더 이상 사용될 수 없으며, 반드시 교체되어야만 한다.
제어 장치(101)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트리거 상태(103)를 (예를 들어 상태-비트 내에) 저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트리거 상태(103)는, 차량(100) 내에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이미 트리거링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트리거 상태(103)가 이미 트리거링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나타내면, 경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새로운 트리거링이 저지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제어 장치(101)에 의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트리거링은,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아직 트리거링되지 않았다는 것을 트리거 상태(103)가 나타내는 경우에만(예를 들어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를 갖는 경우에만)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1)는, 차량(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02)에 의해, 예를 들어 차량(100)의 대시보드 상에,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이미 트리거링되었다는 상황이 (트리거 상태(103)가 이미 트리거링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나타내는 경우 또는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된 상태를 갖는 경우가) 나타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어 장치(101)는, 다만 권한을 부여받은 서비스 요원에 의해서만 트리거 상태(103)의 리셋이 수행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차량(100) 제조의 범위 안에서, 트리거 상태(103)는 표준에 따라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저장소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차량(100) 내에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한 편으로, 제어 장치(101)는, 트리거 상태(103)가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트리거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설치를 위한 승인을 받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된 상태를 갖는 경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설치 및/또는 후속 작동은,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성공적인 승인 후에만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로써, 도난당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다른 차량(100)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상황이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피해질 수 있다.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는 예를 들어 하우징 상에 식별 수단(111)을 구비할 수 있다. 식별 수단(111)은,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명확하게 식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효율적인 식별 수단(111)은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 상에 제공된, 예를 들어 엠보싱 처리된 일련번호이다.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설치 프로세스의 범위 안에서는, 서비스 직원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일련번호를 서비스 컴퓨터 내로 그리고/또는 차량(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유지 관리 인터페이스에 입력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차량(100) 내에 설치하기 위한 대체 부품으로서 승인되었는지의 여부가 (예를 들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 및/또는 차량(100) 제조자의 백엔드-서버와 비교함으로써) 체크될 수 있다.
내장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성공적인 승인 후에는,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되는 상황이 야기될 수 있다. 그 결과로, 디스플레이 유닛(102)도 리셋될 수 있다(결과적으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교체되어야만 한다는 내용은 더 이상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 장치(101)는, (예를 들어 사고의 경우에) 새로이 내장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트리거링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무단 설치를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피할 수 있는 방법이 설명된다. 이 방법은,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용 제어 장치(101)가 통상적으로는 차량의 전기 시스템(100) 내에 영구적으로 통합되어 있고, 복잡한 인증 조치 없이는 교체될 수 없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이로써, 트리거 상태(103)의 허용되지 않는 조작이 신뢰할 만하게 피해질 수 있다. 차량(100)을 제조할 때에는, 제어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전기식 점화 회로 출력부와 하나 이상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예를 들어 운전자 에어백, 사이드 에어백, 운전자 벨트 텐셔너 등) 사이의 할당 상황이 제어 장치(101) 내에서 확정된다. 사고 발생 시의 트리거링 프로세스 동안에는, 하나 이상의 점화 회로 출력부(및 이로써 그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정의된 순서로 활성화되어 트리거링된다. 이때, 모든 시퀀스는 제어 장치(101) 내에서 "이벤트-데이터-레코더"(Event-Data-Recorder: EDR) 내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특정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용의) 점화 회로의 활성화는 필연적으로 상응하는 액추에이터(즉,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파괴를 초래한다. 상응하는 활성화 또는 트리거링 후에 액추에이터(110)의 고장은 제어 장치(101)에 의해서 식별되고 내부 오류 메모리 내에 (예컨대 트리거 상태(103)로서) 저장된다.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110)의 고장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경고등(102)을 통해) 차량(100)의 사용자에게 영구적으로 표시된다.
액추에이터(다시 말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교체 후에는, 전기식 점화 회로가 재차 수리되었는지의 여부, 예를 들어 전기식 점화 회로가 재차 사전 설정된 전기 저항을 갖는지의 여부를 제어 장치(101)가 체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해당하면, 필요한 경우 내부 오류 상태, 특히 트리거 상태(103)가 리셋될 수 있다. 하지만, 내장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해제가 모니터링 엔티티에 의해 (예를 들어 구성요소(110)의 제조자에 의해 그리고/또는 차량 제조자에 의해) 사전에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트리거 상태(103)의 리셋이 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101) 내에 저장된 오류의 철회, 다시 말해 트리거 상태(103)의 리셋은, 새로이 설치된 액추에이터(110)가 승인된 엔티티에 의해 해제 권한을 획득한 경우에 비로소 가능해질 수 있다. 액추에이터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입력된 오류 메모리가 리셋될 수 없다. 그 결과, 새로운 액추에이터(110)를 설치한 후에도 오류 메시지는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해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액추에이터(110)는 개별 구성요소(110) 상에 가시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개별 일련번호(111)를 갖는다. 일련번호(111)는 예를 들어 바코드, QR-코드 및/또는 판독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10)의 제조자는 제조 중에 차량(100)의 제조자에게 개별 액추에이터(110)의 일련번호(111)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일련번호(111)의 전송 및 저장은 IT-보호 조치를 사용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리거링된 액추에이터(110)의 수리를 수행하는 서비스 직원은 액추에이터(110)의 일련번호(111)를 읽거나 스캔하여 차량(100)의 제조자에게 (예컨대 백엔드-서버에) 전자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작업장 컴퓨터와 제조자 서버 간의 통신 링크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수리 과정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저장된 오류 코드 및 교체 부품(110)의 일련번호(111))도 전송될 수 있다.
제조자의 서버는, 대체 부품으로서 허용되는 액추에이터(110)의 저장된 일련번호와 일련번호(111)를 비교할 수 있다. 할당이 올바른 경우에는, 오류 삭제를 위한 해제가 부여될 수 있다. 다른 한 편으로, 해제는 저지될 수 있다.
일련번호(111)의 생성 과정, 차량(100) 제조자에게 문의하는 과정 그리고 오류 철회를 위한 해제 과정을 포함하는 전체 과정은 하나의 블록-체인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조작은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제될 수 있다. 블록-체인은, 차량(100)의 제조 프로세스에서 데이터가 수집되는 방식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액추에이터(110)의 제조자에 의해서 미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0)의 제조 프로세스에서는 추가적인 데이터 수집이 생략될 수 있다.
설명된 프로세스는 범위가 조정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설명된 프로세스는 다만 일 차량(100)의 하나 이상의 위험 구성요소(110)에 대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제어 장치(101) 내에서의 상응하는 구성을 통해 중요하지 않은 부품이 모니터링(및 이와 관련된 해제 프로세스)로부터 배제될 수 있다.
본 문서에 설명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는 추가적인 안전 조치 없이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식별 수단(111), 특히 일련번호는 일반적으로 오늘날에도 이미 존재함). 도난 방지 조치는, (이미 트리거링되었거나 결함이 있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교체 또는 대체가 실행되는 경우에 비로소 활성화된다. 이 경우에는, 저장된 정보, 특히 제어 장치(101)의 트리거 상태(103)가 도난 방지 조치를 실현하기 위해 이용된다.
위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트리거링될 때에는, 트리거링 과정이 제어 장치(101) 내에 트리거 상태(103)로서 저장된다. 그와 동시에, 차량(100) 내에서는 일반적으로 상응하는 디스플레이(102)가 영구적으로 활성화된다. 디스플레이(102)는, 차량(100)의 보안 시스템이 망가졌거나 완전히 제 기능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저장된 트리거링의 리셋 및 이와 관련된 디스플레이(102)는 다만 승인된 대체 부품이 설치되었다는 증명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설명된 프로세스에 의해서는 차량 생산 중에 추가 비용이 피해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제어 장치(101)가 아직 어떤 트리거링도 저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트리거 상태(103)는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에 있음). 이 경우, 각각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는 제어 장치(101)에 의해 (해제 프로세스 없이) 승인된다.
다른 한 편으로, (저장된 트리거링 후의) 수리의 경우, 제어 장치(101)는 (해제 프로세스의 범위 안에서) 대체 부품(110)의 출처가 확인된 후에 비로소 재차 결함이 없는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도 2는, 차량(100) 내에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무단 설치를 방지하기 위한 예시적인 (필요한 경우에는 컴퓨터 구현된) 방법(200)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방법(2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량(100)의 제어 장치(101)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방법(200)은,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트리거 상태(103)를 결정하고 저장하는 단계(201), 특히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트리거 상태(103)는 트리거링된 상태(지금까지 차량(100) 내에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트리거링되었기 때문에, 재차 트리거링될 수 없는 경우) 또는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트리거링이 계속 가능한 경우)를 갖는다. 따라서, 트리거 상태(103)는 이진 변수로서 트리거링된 상태(예컨대 "1") 또는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예컨대 "0")를 가질 수 있다.
방법(200)은,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를 갖는 경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사전에) 해제하지 않고서 차량(100) 내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로써 제어 장치(101)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202)를 더 포함한다. 트리거 상태(103)는 표준에 따라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차량(100)의 제조 동안 해제 절차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100) 내에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설치하는 것 그리고 이어서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차량(100)의 효율적인 제조 프로세스가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방법(200)은,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된 상태를 갖는 경우에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해제가 존재하는 경우에 (필요한 경우에는 다만 이 경우에만)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트리거 상태(103)를 리셋하는 단계(203)를 포함한다. 따라서,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차량(100) 내에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후속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새로이 내장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해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로써,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무단 설치 및 이와 관련된 조달 범죄가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피해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설명된 조치에 의해서는, 트리거링되지 않은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난당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사용이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피해질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위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차량(100) 내에 설치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위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는, 트리거 상태(103)를 트리거링된 상태에서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하기 위해서 필요한, 특히 전기 저항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기술적 조건을 충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예를 들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추진 장약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위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제 기능을 할 수 없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 설명된 조치에 의해서는, 위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설치가 확실하게 식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피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인터넷에서는 사고 차량 또는 침수 피해를 입은 차량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자주 제공된다. 이들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정확한 출처 및/또는 기능 상태는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예를 들어 범람으로 인해) 침수 피해를 입은 차량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건조 후에는 재차 제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보장될 수 없다. 본 문서에 설명된 조치에 의해서는, 이미 사용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설치가 확실하게 식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피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유의해야 할 사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다만 제안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Claims (12)

  1. 차량(100)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어 장치(101)로서, 상기 제어 장치(101)는,
    - 상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트리거 상태(103)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저장하도록 설계되어 있되, 상기 트리거 상태(103)는 트리거링된 상태 또는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를 갖고;
    - 상기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해제 없이 차량(100) 내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로써 제어 장치(101)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그리고
    - 상기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된 상태를 갖는 경우, 상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해제되었다면, 트리거 상태(103)를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어 장치(10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01)는,
    - 상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해제된 경우에만, 상기 트리거 상태(103)를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하도록; 그리고/또는
    - 차량(100) 내에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해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트리거 상태(103)를 트리거링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어 장치(10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는 복수의 상이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로부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명확하게 식별하도록 설계된 식별 수단(111)을 포함하며; 그리고
    - 차량(100) 내에 설치된 상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해제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식별 수단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지며; 그리고
    - 상기 제어 장치(101)는 특히, 차량(100) 내에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를 상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식별 수단(111)을 토대로 하여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어 장치(10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111)은,
    - 상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일련번호를 갖는 기계 판독 가능한 코드, 특히 바코드 또는 QR-코드; 및/또는
    -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일련번호
    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10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01)는, 상기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된 상태를 갖는 경우에는,
    - 차량(100) 내에 새로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설치되었다는 것을 검출하도록;
    - 상기 새로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특히 전기 저항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기술적 조건, 즉 트리거 상태(103)를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조건을 충족한다는 것을 식별하도록;
    - 상기 새로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해제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도록; 그리고
    - 특히 상기 새로운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해제가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기 트리거 상태(103)를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어 장치(10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01)는,
    - 차량(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또는 유지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해제를 위해 유효한 해제 코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도록; 그리고
    - 특히 다만 유효한 릴리스 코드가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트리거 상태(103)를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어 장치(10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01)는,
    - 특히 상기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된 경우에만, 트리거링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요소(102)를 리셋하도록; 그리고/또는
    - 특히 상기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된 경우에만, 필요 시 차량(100) 내에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트리거링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어 장치(10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01)는, 차량(100)의 복수의 상이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에 대한 복수의 상이한 트리거 상태(103)를 결정하도록, 이와 같은 상태를 저장하도록 그리고 각각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에 대한 해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태를 리셋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어 장치(10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상태(103)가 표준에 따라 차량(100) 제조 동안에는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에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하나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는 차량(100) 제조 동안 상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해제 없이 차량(110)에 내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어서 필요 시에는 제어 장치(101)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는, 제어 장치(101).
  10. 차량(100) 내에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무단 설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200)으로서,
    - 상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트리거 상태(103)를 결정하고 저장하는 단계(201)로서; 상기 트리거 상태(103)는 트리거링된 상태 또는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를 갖는, 상기 단계(201);
    - 상기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를 갖는 경우에는,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해제 없이 차량(100) 내의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로써 제어 장치(101)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202); 및
    - 상기 트리거 상태(103)가 트리거링된 상태를 갖는 경우, 상기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해제되었다면, 상기 트리거 상태(103)를 트리거링된 상태로부터 트리거링되지 않은 상태로 리셋하는 단계(203)
    를 포함하는, 방법(2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0) 내에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해제하기 위한 방법(200)은,
    -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가 대체 부품으로서 해제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상기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의 식별 수단(111)을 특히 차량(100) 제조자의 백엔드-서버상에서 체크하는 단계; 및
    - 상기 새로이 설치된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110)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차량(100)의 제어 장치(101)로 해제 또는 비-해제를 역으로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20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111)의 생성 및 검증은 하나의 블록-체인 내에서 수행되는, 방법(200).
KR1020237004512A 2020-09-15 2021-07-30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무단 설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장치 KR202300353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24056.2 2020-09-15
DE102020124056.2A DE102020124056A1 (de) 2020-09-15 2020-09-15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Schutz vor unautorisiertem Verbau einer pyrotechnischen Komponente
PCT/EP2021/071455 WO2022058080A1 (de) 2020-09-15 2021-07-30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schutz vor unautorisiertem verbau einer pyrotechnischen komponen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392A true KR20230035392A (ko) 2023-03-13

Family

ID=7759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512A KR20230035392A (ko) 2020-09-15 2021-07-30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무단 설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31181A1 (ko)
EP (1) EP4214096A1 (ko)
JP (1) JP2023541539A (ko)
KR (1) KR20230035392A (ko)
CN (1) CN116056959A (ko)
DE (1) DE102020124056A1 (ko)
WO (1) WO20220580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6019C1 (de) 1995-05-02 1996-09-05 Daimler Benz Ag Fahrzeug mit einer abnehmbaren, diebstahlgesicherten Funktionseinheit
DE10260475B4 (de) * 2002-12-21 2011-12-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Verfahren zur Entsorgung von Kraftfahrzeug-Insassenschutzeinrichtungen sowie Vorrichtung hierfür
DE102007023322B4 (de) 2007-05-16 2017-05-18 Volkswagen Ag Personenschutzsystem für ein Fahrzeug und zugehöriges Verfahren
DE102007035351A1 (de) 2007-07-27 2009-01-29 Daimler Ag Verfahren zur Authentifizierung von Fahrzeugteilen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08017134A1 (de) * 2008-04-03 2009-10-08 Iac Group Gmbh Airbag-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3000116B4 (de) * 2013-01-05 2022-04-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Identifikation von pyrotechnischen Einheiten in einem Kraftfahrzeug
US10752207B2 (en) 2018-09-07 2020-08-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factor authentication of a hardwar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56959A (zh) 2023-05-02
EP4214096A1 (de) 2023-07-26
US20230331181A1 (en) 2023-10-19
JP2023541539A (ja) 2023-10-03
WO2022058080A1 (de) 2022-03-24
DE102020124056A1 (de)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7026B1 (en) Vehicle part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EP0372741B1 (en)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US589290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computer devices
US9002534B2 (en) System for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a vehicle
US62328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ling theft for a motor vehicle
US5991673A (en) Vehicle anti-theft system including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s programmed into on-board computers
US20070299567A1 (en) Loan repay enforcement system
CN103338985B (zh) 用于车辆安全的方法和设备
KR20050073405A (ko) 차량 부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차량 부품 관리 데이터갱신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차량 부품 관리 센터
Brown Reviewing the effectiveness of electronic vehicle immobilisation: Evidence from four countries
CN110890964A (zh) 硬件总成的多因素认证
CN112740619A (zh) 用于对车辆部件进行安全保护的方法和相应的车辆部件
JP3692593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4449854B2 (ja) 内燃機関の始動異常診断装置
KR20230035392A (ko) 불꽃 점화식 구성요소의 무단 설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장치
JP4921947B2 (ja) 車両用盗難防止システム
JP2007245985A (ja) 車両ナンバープレート偽造・付け替え防止装置
JP3756772B2 (ja) 車両の監視方法およびその監視システム
WO1996040538A1 (en) Authorization system for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s
CN106314358A (zh) 发动机防盗锁止系统和方法、汽车防盗报警系统
CN103640550A (zh) 一种基于身份信息识别的防盗系统
KR101872921B1 (ko) Rfid를 이용한 차량의 뺑소니 방지장치 및 그 식별방법
USH2094H1 (en) Diagnostic circuit for vehicle device control module
Aleksandrowicz Verification of airbag activation during collision of vehicles with the use of SDC method
KR101725146B1 (ko) 이모빌라이저 타입 검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