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268A -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 - Google Patents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268A
KR20230035268A KR1020230006801A KR20230006801A KR20230035268A KR 20230035268 A KR20230035268 A KR 20230035268A KR 1020230006801 A KR1020230006801 A KR 1020230006801A KR 20230006801 A KR20230006801 A KR 20230006801A KR 20230035268 A KR20230035268 A KR 20230035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clip
strap
contamin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김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민 filed Critical 김성민
Priority to KR102023000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5268A/ko
Publication of KR2023003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6/00Retainers or tethers for neckties, cravats, neckerchiefs, or the like, e.g. tie-clips, spring clips with attached tie-tethers, woggles, pins with associated sheathing members tetherable to cloth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은, 마스크의 끈이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마스크 걸이부; 마스크 스트랩의 끝단이 체결되는 스트랩 걸이부; 및 상기 마스크의 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혀 끝단이 클리핑되는 마스크 클립부;를 가지고 상기 마스크의 끈과 상기 마스크 스트랩을 체결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Pollution Preventing Coupling Clip for Mask}
본 발명(Disclosure)은,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마스크 스트랩을 이용할 때, 마스크 내면을 보호할 수 있는,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서, 의료용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 되었다.
중국발 황사 유입으로 인해서, 노약자들의 황사마스크 착용이 권장되었던 시기에는 그 대상자가 일부였기도 하였으며, 가시적인 확인이 가능하였고, 기계적 계측으로 예측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황사 발생으로 인한 마스크 착용은, 시기적으로 일시적이며, 특정 연령층이나, 호흡기 질환자에 한하는 제한적 권장사항의 일종이었다.
그러나, 최근의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성 전염병은, 장시간의 정밀 검사를 통하지 아니하고는, 노출 여부를 사전에 확인할 수 없다.
또한, 기저질환 병력을 가지거나, 고령의 노인들에게는, 높은 치사율까지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연령층, 기저 질환 또는 병력 여부와 상관없이, 마스크 착용이 일상적 생활습관화 되고 있다.
그러나 마스크를 착용하고 일상생활을 지속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것이며, 일상생활동안 지속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하기 어렵다.
식사나 음료수를 마시는 취식 행위 위해서는 마스크를 벗어야 한다.
산책이나 조깅과 같은 야외 활동은, 사람과의 밀접 접촉 빈도가 극히 낮은 지역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인적이 없거나 매우 드문 상황에서 계속 마스크 착용을 기대하기 어렵다.
심지어, 흡연자의 경우에는, 하루에도 수차례 마스크를 벗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 마스크 스트랩 사용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마스크 스트랩은, 마스크의 양쪽 끈을 체결할 수 있는 끈으로써, 착용자가 마스크를 일시적으로 벗을 때, 손으로 들고 있거나, 또는 다른 임의의 위치에 놓을 필요 없이, 항상 목에 걸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마스크 스트랩으로 목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마스크의 내면, 즉, 입과 코가 닫는 면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다.
특히, 마스크 내면이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타인의 비말에 의한 오염이 가능하다.
또한, 마스크 내면에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취식 행위 과정에서 음료나 음식물이 뭍어 다시 착용했을 때 불쾌감을 일으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즉시 폐기해야하는 상황 발생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 스트랩을 이용하여 마스크 목에 거치한 상태에서, 마스크 내면의 오염 방지를 유지할 수 있는 마스크 스트랩의 악세서리 장치가 필요하다.
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1013호
본 발명(Disclosure)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착용자가 마스크 스트랩을 이용하여 벗은 마스크를 목에 걸어 착용할 때, 마스크의 내면을 외부 오염 및 병원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은, 마스크의 끈이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마스크 걸이부; 마스크 스트랩의 끝단이 체결되는 스트랩 걸이부; 및 상기 마스크의 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혀 끝단이 클리핑되는 마스크 클립부;를 가지고 상기 마스크의 끈과 상기 마스크 스트랩을 체결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은, 상측을 향하는 상측 끝단부와 하측으로 만곡지는 하측 굴곡부와 상측으로 만곡지는 상측 굴곡부 및 하측을 향하는 하측 끝단부를 가지는 S자 형상이고, 상기 마스크 걸이부는, 상기 하측 굴곡부로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 클립부는, 개방부가 하측을 향하는 ∩형상으로 상기 상측 굴곡부와 상기 하측 만곡부 및 상기 하측 끝단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에서, 상기 스트랩 걸이부는, 상기 상측 끝단부와 상기 하측 굴곡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은, 상기 상측 끝단부와 상기 하측 굴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서로 분리되는 제1 클립 및 제2 클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클립과 상기 제2 클립은, 상기 제1 클립에 형성되는 길이 조절부인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2 클립에 형성되는 길이조절부인 제2 길이조절부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마스크의 끈 길이가 길 때,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상기 마스크를 더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에서, 상기 제1 길이 조절부 및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중 어느 하나는, 상기 상측 끝단부와 상기 하측 굴곡부 사이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길이 조절부 및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중 다른 하나는, 상기 돌출부와 감합되는 복수의 관통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S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스크 걸이부와 마스크 클립부를 가짐으로써, 마스크를 접은 상태로 마스크 스트랩을 이용하여 목에 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조절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할 대, 고정된 끈 길이를 가지는 마스크를 다양한 안면 크기를 가지는 착용자가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측면도를 보인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사용 예를 보인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에서 제1 클립 및 제2 클립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7의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사용 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제3 실시형태의 사시도도를 보인 도면.
도 11은 도 9의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측면도를 보인 도면.
도 12는 도 9에서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에 마스크의 끈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9의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또 다른 사시도에서 마스크 끈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측면도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사용 예를 보인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100)은, 마스크(1)의 끈과 마스크 스트랩(10)을 연결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은, 마스크 걸이부(110), 스트랩 걸이부(130) 및 마스크 클립부(120)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은 S자 형상이며, 바람직하게는 띠 형상의 부재를 2회 만곡시켜 형성할 수 있다.
띠 형상의 일측 끝단이 상측을 향하여 상측 끝단부를 형성하고, 타측 끝단이 하측을 향하여 하측 끝단부를 형성한다.
상측 끝단부와 하측 끝단부 사이에 하측으로 만곡지는 ∪ 형상의 하측 굴곡부와 상측으로 만곡지는 ∩형상의 상측 굴곡부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에서, 상술한 S자 형상의 하측 굴곡부로 형성되는 마스크 걸이부(110)는, 마스크의 끈이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상술한 상측 끝단부와 하측 굴곡부 사이에 관통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스트랩 걸이부(130)는, 마스크 스트랩의 끝단이 체결된다.
또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스크 클립부(120)는, 상측 굴곡부와 하측 만곡부 및 하측 끝단부로 이루어짐으로써, 마스크의 상측 및 하측 끝단선을 마주하도록 마스크(1)를 접어 클리핑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크 착용 여부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착용자가 마스크 스트랩(10)을 마스크 끝에 연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을 매개로 하여 연결한다.
도 4는, 착용자가 마스크를 벗어 마스크 스트랩의 양 끝단에 마스크가 걸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착용자가 마스크(1)를 벗으면, 스트랩 걸이부(130)가 상측에 배치되고 마스크 걸이부(110)는 상측으로 개방되는 ∪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마스크(1)의 끈은 마스크 걸이부(110)에 걸리고 쉽게 탈거되지 않는다.
또한, 마스크 클립부(120)는 상측으로 만곡지는 ∩형상의 상측 굴곡부를 중심으로 하여 하측 끝단부 및 하측 굴곡부로 구성된다.
마스크는 내면이 상측을 향하며, 특히 착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했을 때의 형상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하측으로 굴곡지는 형태로 착용자의 목 아래 걸린다.
도 5 내지 도6은 마스크의 상측 끝단과 하측 끝단을 서로 마주보게 접어 마스크 클립부(120)에 클리핑하여 마스크 스트랩(10)으로 착용자의 목에 걸려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크 착용자는 마스크를 벗어 마스크의 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어 목에 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을 이용하면, 마스크 착용자가 마스크 스트랩(10)을 이용하여 마스크(1)를 벗어 목에 걸 때, 마스크(1)의 내면을 외부 환경의 다양한 오염 요소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착용자가 마스크(1)를 벗어 마스크 스트랩(10)으로 목에 걸어 둔 상태를 유지하면, 다양한 오염원에 노출될 수 있다.
마스크 착용자가 말을 할 때, 자신의 비말이 그대로 마스크 내면에 쌓일 수 있다. 이는 마스크를 장시간 사용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에 하나이다.
특히 마스크 착용자가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할 경우에는, 대화 상대의 비말이 그대로 마스크 착용자의 마스크 내면에 쌓일 수 있다.
마스크의 사용 목적이, 타인으로의 오염이나 전념 및 타인으로부터의 오염이나 전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4와 같이 마스크 스트랩을 이용한 상태로 마스크를 목에 걸면, 마스크 내면이 많은 오염원으로부터 노출되기 때문에, 오히려 마스크 사용 목적에 반하는 역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마스크를 벗고 대화를 하는 경우는, 식사나 커피와 같은 취식을 함께 하는 경우도 많다.
이때, 음식물이 마스크 내면에 떨어질 수도 있다. 이는 마스크를 빈번하게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을 이용하면, 다양한 장소에서 마스크의 내면 오염을 방지하면서, 마스크 착용자가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에서 제1 클립 및 제2 클립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도 7의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사용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은, 제1 클립(100a) 및 제2 클립(10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클립(100a) 및 제2 클립(100b)은, 서로 분리되고 마스크(1)의 양쪽 끈과 마스크 스트랩(10)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은, 상측 끝단부와 하측 굴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길이조절부(14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1 클립(100a)에 형성되는 길이 조절부인 제1 길이조절부(140a)와 제2 클립(100b)에 형성되는 길이조절부인 제2 길이조절부(140b)는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은, 마스크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할 때, 마스크의 끈 길이가 길 때, 착용자의 안면에 마스크(1)를 더 밀착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마스크는, 소형과 대형으로 나누어지며, 소형은 주로 소아 또는 어린이용이며, 대형은 성인용이다.
대형의 경우에는, 다양한 얼굴 형상과 크기의 착용자에게 사용될 때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스크의 끈이 길다.
이에 따라, 많은 착용자들, 특히 성인 여성이나, 얼굴크기가 작은 착용자들은, 구입한 마스크 끈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서, 짧게 묶어 사용하거나, 마스크 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악세서리를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은, 이러한 경우에 마스크의 끈을 착용자의 후두부로 당김으로써, 착용자의 안면에 마스크가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에서, 제1 길이조절부(140a) 및 제2 길이조절부(140b)중 어느 하나는,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되고, 제1 길이조절부(140a) 및 제2 길이조절부(140b)중 다른 하나는, 돌출부와 감합되는 복수의 관통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은, 마스크의 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제3 실시형태의 정면도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측면도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서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에 마스크의 끈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3은 도 9의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의 또 다른 사시도에서 마스크 끈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은, 상술한 하측 끝단부 및 하측 굴곡부 양측에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휘어지는 안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의 권장 사용방법에는 마스크 착용 후, 만지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 특히 마스크의 외면은, 어떠한 병원체로부터 오염된 상황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착용한 마스크를 착용자가 손으로 접어 마스크 클립부로 클립핑할 경우에, 오히려 감염가능성을 높이는 부작용을 동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을 착용한 착용자는, 우선 마스크 걸이부에 마스크의 끈을 걸어 착용한다.
이때 마스크 착용자는, 도 12와 같이 마스크 걸이부(110)에 걸린 마스크 끈을 마스크 걸이부(110)를 중심으로 접어 상측 굴곡부에 삽입한다.
이렇게 되면, 마스크 끈이 접힌 부분(A)을 마스크 착용자가 당기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접힌 마스크의 상측 및 하측 끝단부가 안내부(150)를 따라 마스크 클립부에 자동으로 클립핑 된다.
또한, 마스크 클립부에 클리핑 된 마스크를 뺄 때는, 한 쌍으로 마스크의 끈에 연결된 마스크 연결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은 방법으로 마스크의 양 쪽 끈에 결합된 한 쌍의 연결클립중, 어느 하나인 제1 클립의 하측 끝단부와 하측 굴곡부를 대향하도록 눌러 마스크를 고정한 상태로, 제2 클립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제1 클립의 클립부에서 마스크가 쉽게 빠질 수 있다.
또한 제2 클립의 클립부에 클립핑된 마스크는, 제1 클립에 연결된 마스크 끈을 당겨, 또한 쉽게 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은, 착용자로 하여금, 마스크 클립부에 마스크를 클리핑 할 때, 착용자가 마스크의 필터를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마스크 본래의 기능을 충실히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

  1. 마스크의 끈이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마스크 걸이부;
    마스크 스트랩의 끝단이 체결되는 스트랩 걸이부; 및
    상기 마스크의 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혀 끝단이 클리핑되는 마스크 클립부;를 가지고
    상기 마스크의 끈과 상기 마스크 스트랩을 체결하는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
KR1020230006801A 2020-10-06 2023-01-17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 KR20230035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801A KR20230035268A (ko) 2020-10-06 2023-01-17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596A KR20220045689A (ko) 2020-10-06 2020-10-06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
KR1020230006801A KR20230035268A (ko) 2020-10-06 2023-01-17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596A Division KR20220045689A (ko) 2020-10-06 2020-10-06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268A true KR20230035268A (ko) 2023-03-13

Family

ID=812150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596A KR20220045689A (ko) 2020-10-06 2020-10-06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
KR1020230006801A KR20230035268A (ko) 2020-10-06 2023-01-17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596A KR20220045689A (ko) 2020-10-06 2020-10-06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456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13U (ko) 2020-04-22 2020-05-20 김민정 마스크끈 걸이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13U (ko) 2020-04-22 2020-05-20 김민정 마스크끈 걸이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689A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859B1 (ko) 안경 착용자용 마스크
US6851591B2 (en) Hang tag having an adjustable push pad
CN115379880B (zh) 可开闭的口罩
KR20230035268A (ko) 마스크 오염방지 연결클립
JP3230681U (ja) マスク保持具およびマスクセット
JP3233002U (ja) マスク
KR102209970B1 (ko) 마스크
KR102240573B1 (ko) 취식가능한 구조의 위생마스크
KR20220036726A (ko) 마스크를 걸기 위한 마스크 걸이
KR20220039130A (ko) 마스크용 넥 스트랩
KR20220076000A (ko) 마스크의 걸이끈 길이 조절용 홀더
KR20200002732U (ko) 마스크끈 고정용 헤어밴드
JP2022034631A (ja) マスク
KR102521358B1 (ko) 목걸이 줄이 구비된 마스크
KR102428600B1 (ko) 자성을 이용한 마스크 걸이용 스트랩 장치
JP6912783B1 (ja) 衛生マスク
JP3233457U (ja) マスク
CN218303547U (zh) 一种医用防护服
JP3234652U (ja) マスク
CN213128109U (zh) 一种便于口罩佩戴的挂钩
JP2022032905A (ja) 外し易いマスク
EP4238439A2 (en) Surgical mask having sliding-down and fogging preventing function
KR102396474B1 (ko) 마스크용 귀 보호링
KR200496815Y1 (ko) 휴대가 용이한 마스크
JP7162823B2 (ja) 飲食可能な開閉可動式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