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130A -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기기 - Google Patents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130A
KR20230035130A KR1020237005078A KR20237005078A KR20230035130A KR 20230035130 A KR20230035130 A KR 20230035130A KR 1020237005078 A KR1020237005078 A KR 1020237005078A KR 20237005078 A KR20237005078 A KR 20237005078A KR 20230035130 A KR20230035130 A KR 20230035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data line
charger
interfa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 류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3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08Three-wire systems; Systems having more than three wires
    • H02J1/084Three-wire systems; Systems having more than three wire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45Details regarding the feeding of energy to the node from the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Abstract

충전기(1), 데이터 라인(2) 및 충전기기를 개시한다. 여기서, 충전기(1)는 제1 Type-A 인터페이스(11), PD 충전 처리 유닛(12), 비PD 충전 처리 유닛(13),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 및 제1 전환 유닛(15)을 포함하고, 제1 Type-A 인터페이스(11)는 제1 통신 핀 및 제2 통신 핀을 포함하고, 충전기(1)가 제1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때, 제1 전환 유닛(15)은 제1 통신 핀을 통해 PD 충전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제1 통신 핀을 PD 충전 처리 유닛(12)과 연통시키고, 제2 통신 핀을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과 연통시키며, 여기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은 제2 통신 핀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라인(2)과 충전기(1)가 제1 데이터 라인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7월 14일자로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출원번호가 No.202010673785.4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그 전부의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청구에 포함되었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고속충전의 응용이 더욱더 광범위해지고 있다.
관련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전력 전송(Power Delivery, PD)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고속충전을 수행하는데, PD 프로토콜 충전을 지원하는 충전기는 구성 채널(Configuration Channel, CC) 신호 라인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해야 하며, 해당 PD 프로토콜 충전을 지원하는 충전기는 일반적으로 제3 표준(Type-C) 인터페이스와 Type-C to Type-C의 데이터 라인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제1 표준(Type-A 또는 Standard-A)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충전기는 D+/D- 신호 라인을 통해 통신하며, PD 프로토콜 충전을 지원할 수 없다. 그러나, 현재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데이터 라인은 Type-A 인터페이스를 갖는 데이터 라인이므로, 일반 데이터 라인의 Type-A 인터페이스는 PD 프로토콜 충전을 지원하는 충전기의 Type-C 인터페이스와 매칭이 안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은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기기를 제공하여 Type-A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데이터 라인과 PD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충전기의 충전 인터페이스가 매칭이 안 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제1 Type-A 인터페이스, PD 충전 처리 유닛, 비PD 충전 처리 유닛,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 및 제1 전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Type-A 인터페이스는 제1 통신 핀 및 제2 통신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상기 제1 통신 핀, 상기 제2 통신 핀,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 및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충전기가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때,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1 데이터 라인이면,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상기 제1 통신 핀을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통신 핀을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1 통신 핀 및 상기 제2 통신 핀을 모두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상기 충전기가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때,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2 데이터 라인이면,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상기 제1 통신 핀 및 상기 제2 통신 핀을 모두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1 통신 핀 및 상기 제2 통신 핀을 모두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 및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여기서,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통신 핀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충전기와 매칭된다고 결정할 때,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1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통신 핀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충전기와 매칭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때,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2 데이터 라인이다.
제2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라인을 제공함에 있어서, 제2 Type-A 인터페이스, Type-C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와 Type-C 인터페이스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라인에는 충전기 매칭 유닛 및 제2 전환 유닛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 및 상기 Type-C 인터페이스는 모두 제3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을 포함하고, 상기 Type-C 인터페이스는 제1 CC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 상기 Type-C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 및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 및 충전 대상 기기와 각각 연결될 때, 상기 충전기가 제1 충전기이면,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을 상기 제1 CC 핀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을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 및 상기 Type-C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을 모두 분리시키며,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 및 충전 대상 기기와 각각 연결될 때, 상기 충전기가 제2 충전기이면,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 및 상기 Type-C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을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결시키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을 상기 제1 CC 핀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을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여기서,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을 통해 전송되는 매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가 상기 데이터 라인과 매칭된다고 결정할 때, 상기 충전기는 제1 충전기이고,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을 통해 전송되는 매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가 상기 데이터 라인과 매칭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때, 상기 충전기는 제2 충전기이다.
제3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충전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충전기 및 상기 충전기와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충전기는 제1 양상에서 제공되는 상기 충전기이고,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2 양상에서 제공되는 상기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충전기가 상기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때, 상기 제1 통신 핀은 상기 제3 통신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 핀은 상기 제4 통신 핀과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은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충전기가 성공적으로 매칭되었다고 결정할 때, 상기 제1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제1 통신 핀을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통신 핀을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1 통신 핀 및 상기 제2 통신 핀을 모두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을 상기 제1 CC 핀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을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 및 상기 Type-C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을 각각 분리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는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을 통해, 제2 통신 핀에서 전송되는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가 상호 매칭되는 제1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었다고 결정할 때,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상기 제1 통신 핀을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통신 핀을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1 통신 핀 및 상기 제2 통신 핀을 모두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여기서, 제1 데이터 라인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와 연결될 때, 제1 통신 핀과 연결되는 제3 통신 핀이 CC 핀과 연통되므로 제1 통신 핀을 통해 CC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 충전기가 Type-A 인터페이스를 통해 PD 충전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충전기기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의 작업 흐름도 1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의 작업 흐름도 2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출원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제1', '제2' 등 용어는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 특정 순서나 선후 순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이렇게 사용된 데이터는 적절한 상황에서 상호 교환되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 외의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및/또는'은 연결된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고,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의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그의 응용 시나리오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기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동시에 참조하면, 여기서,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의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의 회로도이다.
여기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2)과 상호 매칭되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를 공동으로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1)와 데이터 라인(2) 사이는 Type-A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통신 핀은 상기 제3 통신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 핀은 상기 제4 통신 핀과 연결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술된 제1 통신 핀 및 제3 통신 핀은 제1 신호 배선 상의 핀일 수 있고, 제2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은 제2 신호 배선 상의 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제1 통신 핀 및 제3 통신 핀은 도 1에 도시된 D+ 핀이고, 상기 제2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은 도 1에 도시된 D- 핀이다. 이때, 전술된 제1 신호 배선은 D+ 배선이라고 할 수 있고, 전술된 제2 신호 핀은 D- 배선이라고도 할 수 있다. D+ 배선 및 D- 배선이 연통된 경우, 충전기기는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해 비PD 충전을 수행할 수 있고, 해당 비PD 충전은 D+/D- 충전이라고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D+ 핀 및 D- 핀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와 충전 통신을 수행하며, 해당 비PD 충전 처리 유닛(13)은 D+ 핀 및 D- 핀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신호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물론, 전술된 제1 통신 핀은 D- 핀일 수 있고, 제2 통신 핀은 D+ 핀일 수도 있으며, 또는 전술된 제1 통신 핀 및 제2 통신 핀은 기타 신호 전송 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세대 범용 직렬 버스(USB3.0)에서의 RX 핀 및 TX 핀 등으로 여기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통신 핀은 D+ 핀이고, 제2 통신 핀은 D- 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해당 충전기기에 전원이 연결될 때, 충전기(1)와 데이터 라인(2) 사이는 상호 매칭을 수행한다. 또한, 충전기(1)와 데이터 라인(2)이 성공적으로 매칭되면, 충전기(1) 내의 D+ 핀은 PD 충전 처리 유닛(12)과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2) 내의 D+ 핀은 CC 핀과 연결되므로,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D+ 핀을 다중화하여 CC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 PD 충전 기능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충전기(1)과 데이터 라인(2)이 성공적으로 매칭되면, D+ 핀은 PD 충전 처리 유닛(12)과 연통되고, D- 핀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과 연통되고, D+ 핀 및 D- 핀은 모두 비PD 충전 처리 유닛(13)으로부터 분리되며,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은 CC1 핀과 연통되고,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은 충전기 매칭 유닛(24)과 연통되고, 제2 Type-A 인터페이스(21) 및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D+ 핀 및 D- 핀은 각각 분리된다.
응용에서, 데이터 라인(2) 내에는 자성소자(211)가 구비되고, 충전기(1)는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을 통해 해당 자성소자(211)의 감지 신호 강도를 검출하고, 해당 감지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크거나 같을 때, 데이터 라인(2)과 충전기(1) 사이의 매칭 과정을 트리거하고, 해당 매칭 과정에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은 D- 핀을 통해 충전기 매칭 유닛(24)과 연통되고, 데이터 라인(2)과 충전기(1)가 성공적으로 매칭되었다고 결정할 때, 충전기(1) 내의 D+ 핀은 PD 충전 처리 유닛(12)과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2) 내의 D+ 핀은 CC1 핀과 연결된다.
충전기(1)와 데이터 라인(2)을 매칭하는 과정에서, 제4 통신 핀은 충전기 매칭 유닛(24)과 연결되고, D- 핀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과 연결되어 충전기 매칭 유닛(24)과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D- 핀에서 전송되는 매칭 신호에 기초하여 상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D- 핀에서 전송되는 매칭 신호에 기초하여 상호 매칭을 수행하는 것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D- 핀을 통해 충전기 매칭 유닛(24)에 매칭 정보를 송신하는 것일 수 있고, 해당 매칭 정보는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미리 저장된 문자열 등일 수 있다. 충전기 매칭 유닛(24)은 해당 매칭 정보가 수신될 때, 해당 매칭 정보가 충전기 매칭 유닛(24) 내에 미리 저장된 문자열과 매칭된다고 결정되면 데이터 라인과 충전기가 성공적으로 매칭되었다고 결정하고,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매칭 정보를 피드백하여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데이터 라인과 충전기가 성공적으로 매칭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물론,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먼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매칭 신호를 송신하고,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데이터 라인과 충전기의 매칭 성공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 과정은 전술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충전기 매칭 유닛(24)에 매칭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데이터 라인(2) 내에는 자성소자(21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 있고,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를 통해 연결되어 있음이 검출될 때 전술된 데이터 라인과 충전기의 매칭 과정을 트리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검출한 감지 신호 강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작을 때, 전술된 데이터 라인(2)과 충전기(1) 사이의 매칭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1)가 자성소자(211)를 포함하지 않은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때, 제1 전환 유닛(15)은 D- 핀을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또한 D+ 핀 및 D- 핀을 모두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결할 수도 있고, 제2 전환 유닛(25)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을 충전기 매칭 유닛(24)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D- 핀 및 D+ 핀을 통해 비PD 충전 신호를 용이하게 전송하기 위해 제2 Type-A 인터페이스(21) 및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D- 핀 및 D+ 핀을 대응되게 연통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는 제1 충전 대상 기기와 연결될 때, D+ 핀을 CC1 핀과 연통시킴으로써 D+ 배선을 다중화하여 제1 충전 대상 기기와 PD 충전을 수행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전술한 제1 충전 대상 기기는 PD 충전을 지원하는 충전 대상 기기일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비제1 충전 대상 기기는 PD 충전을 지원하지 않는 충전 대상 기기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가 PD 충전을 지원하지 않는 충전 대상 기기와 연결될 때, 충전기(1) 내의 통신 핀은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2) 내의 통신 핀은 대응되는 통신 핀과 연통될 수도 있으므로 통신 핀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와 비PD 충전 신호를 전송하여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해 비PD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방식에서, 비PD 충전 처리 유닛(13) 및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의 표준 충전 대상 기기에는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 및 범용 통신 프로토콜이 구성되어 있을 수 있고, 해당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 및 범용 통신 프로토콜의 통신 신호는 통신 핀(D+ 핀 및 D- 핀)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전술된 제1 충전 대상 기기는 PD 충전을 지원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의 표준 충전 대상 기기가 아닐 수 있고, 즉 해당 제1 충전 대상 기기에는 상기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이 구성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가 비제1 충전 대상 기기와 연결될 때, D+ 핀 및 D- 핀은 모두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통되고, 제2 Type-A 인터페이스(21) 및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D+ 핀 및 D- 핀은 일대일로 대응하여 연통된다.
전술된 비제1 충전 대상 기기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의 표준 충전 대상 기기, 그리고 비표준이고 PD 충전을 지원하지 않는 충전 대상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가 표준 충전 대상 기기와 연결될 때, D+ 핀 및 D- 핀은 모두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통되고, 제2 Type-A 인터페이스(21) 및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D+ 핀 및 D- 핀은 일대일로 대응하여 연통된다.
이와 같이, 통신 핀을 통해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의 충전 신호를 전송하여 표준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해 표준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는 비표준이고 PD 충전을 지원하지 않는 충전 대상 기기와 연결될 때, D+ 핀 및 D- 핀은 모두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통되고, 제2 Type-A 인터페이스(21) 및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D+ 핀 및 D- 핀은 일대일로 대응하여 연통된다.
이와 같이, D+ 핀 및 D- 핀을 통해 범용 통신 프로토콜의 충전 신호를 전송하여 비표준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해 일반 충전을 수행할 수 있고, 해당 일반 충전은 종래의 기술에서 D+/D- 핀을 통해 충전 협상의 충전 방식으로 충전을 수행하는 것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는 비매칭인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어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해 비PD 충전을 수행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2)은 비매칭인 충전기와 연결되어 통신 핀을 통해 비PD 충전을 전송하여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해 비PD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충전기(1)는 제1 Type-A 인터페이스(11), PD 충전 처리 유닛(12), 비PD 충전 처리 유닛(13),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 및 제1 전환 유닛(1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Type-A 인터페이스(11)는 D+ 핀 및 D- 핀을 포함하고, 제1 전환 유닛(15)은 D+ 핀, D- 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 PD 충전 처리 유닛(12) 및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결된다.
충전기(1)가 데이터 라인(2)과 연결될 때, 데이터 라인(2)이 제1 데이터 라인이면 제1 전환 유닛(15)은 D+ 핀을 PD 충전 처리 유닛(12)과 연통시키고, D- 핀을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과 연통시키고, D+ 핀 및 D- 핀을 모두 비PD 충전 처리 유닛(13)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충전기(1)가 데이터 라인(2)과 연결될 때, 데이터 라인(2)이 제2 데이터 라인이면 제1 전환 유닛(15)은 D+ 핀 및 D- 핀을 모두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통시키고, D+ 핀 및 D- 핀을 모두 PD 충전 처리 유닛(12) 및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여기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획득된 자성소자(211)의 감지 신호 강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크거나 같은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라인(2)이 충전기(1)와 매칭된다고 결정할 때, 데이터 라인(2)은 제1 데이터 라인이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상기 획득된 감지 신호 강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라인(2)이 충전기(1)와 매칭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때, 데이터 라인(2)은 제2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은 자성소자(211)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술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은 자성소자(211)의 전자기 감지 신호의 강도를 검출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홀 검출 회로(141)이다.
또한, 전술된 제1 데이터 라인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라인(2)이고, 해당 제1 데이터 라인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와 상호 매칭된다.
실제 응용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와 매칭되는 데이터 라인(2) 내에는 자성소자(211)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자성소자(211)는 구체적으로 자석 또는 전자석 등일 수 있고, 해당 자성소자(211)는 구체적으로 충전기(1)와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2)의 제2 Type-A 인터페이스(2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기(1)의 제1 Type-A 인터페이스(11)는 Type-A 암단자일 수 있고, 데이터 라인(2)의 제2 Type-A 인터페이스(21)는 Type-A 수단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라인(2)의 Type-A 수단자가 충전기(1)의 Type-A 암단자에 삽입될 때, 자성소자(211)는 충전기(1)의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 있어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서 검출된 감지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크거나 같고, 여기서, 전술된 미리 설정된 강도는 자성소자(211)의 자성 강도, Type-A 인터페이스의 구조 및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Type-A 인터페이스(11)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가 연결될 때,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서 검출된 감지 신호 강도가 해당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크거나 같고, 제1 Type-A 인터페이스(11)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가 연결되지 않을 때,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서 검출된 감지 신호 강도가 해당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작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는 PD 충전 및 비PD 충전을 지원한다.
여기서, PD 충전은 구체적으로 CC 핀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와 PD 충전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비PD 충전은 구체적으로 D+ 핀 및 D- 핀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와 충전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제1 전환 유닛(15)은 스위치 그룹일 수 있고, 해당 스위치 그룹은 PD 충전 처리 유닛(12) 및 비PD 충전 처리 유닛(13) 중 하나를 D+ 핀과 연통시킬 수 있고, 해당 스위치 그룹은 비PD 충전 처리 유닛(13) 및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 중 하나를 D- 핀과 연통시킬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는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을 통해 자성소자의 감지 신호 강도를 검출하고, 해당 감지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충전기가 상호 매칭되는 제1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었다고 결정할 때,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D+ 핀을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D- 핀을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과 연통시키고, D+ 핀 및 D- 핀을 모두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여기서, 제1 데이터 라인 내에는 자성소자가 구비되고, 제1 데이터 라인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와 연결될 때, D+ 핀과 CC1 핀을 연통시켜 D+ 핀을 통해 CC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충전기가 Type-A 인터페이스를 통해 PD 충전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선택적인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충전기가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때,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1 데이터 라인이면, 상기 제1 전환 유닛(15)은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을 D- 핀과 연통시키고,
상기 충전기가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때,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2 데이터 라인이면, 상기 제1 전환 유닛(15)은 D- 핀을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여기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은 획득된 상기 감지 신호 강도 및 D- 핀을 통해 전송된 매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충전기의 매칭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은 D+ 핀과 연결되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2 단은 D- 핀과 연결되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3 단은 PD 충전 처리 유닛(12)과 연결되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4 단은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결되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5 단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서 검출된 감지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크거나 같고,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D- 핀을 통해 매칭 신호를 획득할 때, 제1 전환 유닛(15)은 제1 단과 제3 단을 연통시키고, 제2 단과 제5 단을 연통시킨다.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서 검출된 감지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작거나, 또는,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D- 핀을 통해 매칭 신호를 획득하지 못할 때, 제1 전환 유닛(15)은 제1 단과 제4 단을 연통시키고, 제2 단과 제4 단을 연통시킨다.
본 실시방식에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서 검출된 감지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크거나 같을 때,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D- 핀에서 전송되는 매칭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라인(2)이 충전기(1)와 매칭되는 데이터 라인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트리거한다. 이와 같이, 충전기기 외부의 자성소자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서 검출된 감지 신호 강도에 대해 간섭을 일으킬 때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데이터 라인(2)과 충전기(1)의 매칭 결과를 오판단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충전기(1)와 데이터 라인(2) 사이의 매칭 과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선택적인 실시방식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환 유닛(15)은 제1 스위치(K1) 및 제2 스위치(K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위치(K1)는 D+ 핀, PD 충전 처리 유닛(12) 및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K2)는 D- 핀, 비PD 충전 처리 유닛(13) 및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과 각각 연결되며,
여기서, 충전기(1)가 상기 제1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때, 제1 스위치(K1)는 상기 제1 통신 핀을 PD 충전 처리 유닛(12)과 연통시키고, D+ 핀을 비PD 충전 처리 유닛(13)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제2 스위치(K2)는 D- 핀과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과 연통시키고, D- 핀을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13)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술된 제1 스위치(K1) 및 제2 스위치(K2)는 단극쌍투 스위치일 수 있고, 제1 스위치(K1)의 고정단은 D+ 핀과 연결되고, 제1 스위치(K1)의 가동단은 PD 충전 처리 유닛(12) 및 비PD 충전 처리 유닛(13) 중 임의의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스위치(K2)의 고정단은 D- 핀과 연결되고, 제2 스위치(K2)의 가동단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 및 비PD 충전 처리 유닛(13) 중 임의의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실제적인 응용에서, 제1 스위치(K1) 및 제2 스위치(K2)의 제어단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과 연결되어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의 제어하에 스위칭 상태의 전환을 수행한다.
본 실시방식에서, 제1 전환 유닛(15)을 제1 스위치(K1) 및 제2 스위치(K2)로 설정함으로써 제1 전환 유닛(15)의 구조 및 제어논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술된 제1 스위치(K1) 및 제2 스위치(K2)는 아날로그 신호 제어 스위치일 수도 있고,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 또는 충전기(1) 내의 기타 컨트롤러는 제1 스위치(K1) 및 제2 스위치(K2)의 제어단에 각각 아날로그 신호를 송신하여 제1 스위치(K1) 및 제2 스위치(K2)의 스위칭 상태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방식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은 홀 검출 회로(141) 및 홀 검출 회로(141)와 연결된 제1 컨트롤러(142)를 포함하되, 제1 컨트롤러(142)는 제1 스위치(K1)의 제어단 및 제2 스위치(K2)의 제어단과 연결되고, 제1 컨트롤러(142)는 제2 스위치(K2)의 제3 단과 연결되며,
여기서, 충전기(1)가 데이터 라인(2)과 연결될 때, 홀 검출 회로(141)에서 검출된 상기 감지 신호 강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1 컨트롤러(142)는 상기 제2 스위치(K2)를 제어하여 D- 핀을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과 연통시키고, D- 핀을 비PD 충전 처리 유닛(13)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제1 컨트롤러(142)는 D- 핀을 통해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제1 매칭 신호를 송신하고, 제1 컨트롤러(142)는 D- 핀을 통해 제2 매칭 신호를 수신할 때, 데이터 라인(2)이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이라고 결정하고, 상기 제2 매칭 신호는 상기 제1 매칭 신호에 대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의 응답 신호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술된 제1 매칭 신호 및 제2 매칭 신호는 동일하거나 상호 대응하는 매칭 신호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동일한 규칙을 갖는 코딩 정보 또는 동일한 문자열 등일 수 있고, 전술한 제1 컨트롤러(142) 내에는 제1 매칭 신호 및 상기 제2 매칭 신호가 미리 저장되거나, 제1 매칭 신호와 제2 매칭 신호 사이의 대응 관계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방식에서, 홀 검출 회로(141)에서 검출된 감지 신호 강도는 자성소자의 자기장 강도이고, 해당 자기장 강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크거나 같을 때, 제2 스위치(K2)가 D- 핀을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과 연통시키도록 트리거하고, 제1 컨트롤러(142)가 D- 핀에 의해 전송되는 매칭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라인(2)과 매칭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고, 전자기 감지 검측 및 매칭 신호를 통해 이중 매칭을 수행하여 매칭 과정의 신뢰성을 높인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라인(2)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 Type-C 인터페이스(22), 그리고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와 Type-C 인터페이스(22)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23)을 포함하되, 데이터 라인(2)에는 충전기 매칭 유닛(24) 및 제2 전환 유닛(25)이 설치되어 있고,
제2 Type-A 인터페이스(21) 및 상기 Type-C 인터페이스(22)는 모두 제3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을 포함하고, 제2 Type-A 인터페이스(21)는 자성소자(2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Type-C 인터페이스(22)는 CC1을 더 포함하고,
제2 전환 유닛(25)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 및 D- 핀,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D+ 핀 및 D- 핀 및 충전기 매칭 유닛(24)과 각각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2)이 충전기(1) 및 충전 대상 기기와 각각 연결될 때, 충전기(1)가 제1 충전기이면 제2 전환 유닛(25)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을 CC1과 연통시키고,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을 충전기 매칭 유닛(24)과 연통시키고, 제2 Type-A 인터페이스(21) 및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D+ 핀 및 D- 핀을 모두 분리시키며,
데이터 라인(2)이 충전기(1) 및 충전 대상 기기와 각각 연결될 때, 충전기(1)가 제2 충전기이면 제2 전환 유닛(25)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 및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D+ 핀 및 D- 핀을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결시키고,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을 CC1 핀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을 충전기 매칭 유닛(24)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여기서,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을 통해 전송되는 매칭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기(1)가 데이터 라인(2)과 매칭된다고 결정할 때, 충전기(1)는 제1 충전기이고,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을 통해 전송되는 매칭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기(1)가 데이터 라인(2)과 매칭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때, 충전기(1)는 제2 충전기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술된 제1 충전기는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충전기(1)이고, 해당 제1 충전기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2)과 상호 매칭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2)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와 상호 매칭되고, 데이터 라인(2)에서 실행되는 충전기와의 매칭 과정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라인과의 매칭되는 과정과 상호 대응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데이터 라인(2)이 매칭되는 충전기(1)와 성공적으로 매칭되기 전에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제4 통신 핀을 충전기 매칭 유닛(24)과 연통시켜, D- 핀을 통해 충전기(1) 내의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매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매칭 과정을 실행한다.
또한, 데이터 라인(2)이 매칭되는 충전기(1)와 성공적으로 매칭될 때,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을 CC1 핀과 연통시키고, 충전기 내의 PD 충전 처리 유닛(12)을 CC1 핀과 연통시킴으로써, PD 충전 처리 유닛(12)이 CC1 핀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와 PD 충전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2)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 및 충전기기와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2 Type-A 인터페이스(21)가 제1 Type-A 인터페이스(11)와 연결될 때, 자성소자(211)는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의 충전기(1)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방식에서, 제2 Type-A 인터페이스(21)가 제1 Type-A 인터페이스(11)와 연결될 때, 자성소자(211)가 충전기(1)의 하우징 내에 더욱 깊게 들어가 충전기(1) 하우징 내의 자기장 강도를 더욱 높여 홀 검출 회로(141)에서 검출되는 자기장 강도를 높일 수 있어, 홀 검출 회로(141)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자성소자(211)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의 제1 측변에 위치하면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의 핀(통신 핀, VBUS 핀 및 GND 핀 등을 포함함)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의 제2 측변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측변 및 제2 측변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의 대향하는 양측변일 수 있다.
본 실시방식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핀에 대한 자성소자(211)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일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ype-C 인터페이스(22)는 CC2 핀을 더 포함하고, 데이터 라인(2)에는 제1 저항(Rp)이 더 설치되어 있고, 제2 전환 유닛(25)은 상기 제1 저항(Rp) 및 CC2 핀과 각각 연결되며,
여기서, 데이터 라인(2)이 상기 제1 충전기와 연결될 때, 제2 전환 유닛(25)은 CC2 핀을 제1 저항(Rp)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데이터 라인(2)이 상기 제2 충전기와 연결될 때, 제2 전환 유닛(25)은 제1 저항(Rp)을 통해 CC2 핀을 케이블의 VBUS 배선과 연결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데이터 라인(2)이 그와 연결된 충전기(1)와 성공적으로 매칭될 때, 상기 충전기(1)는 전술된 제1 충전기이고, 제2 전환 유닛(25)을 제어하여 CC2 핀을 제1 저항(Rp)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CC2는 고저항 상태(분리 상태라고도 할 수 있음)가 될 수 있고, CC1 핀은 제3 통신 핀(D+ 핀)과 연결된다.
또한, 데이터 라인(2)이 일반 충전기와 연결될 때, 해당 충전기는 일반 Type-A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해당 일반 Type-A 인터페이스는 종래 기술의 Type-A 인터페이스의 구조와 동일하여, D+ 핀을 PD 충전 처리 유닛(12)과 연결할 수 없어, 충전기 매칭 유닛(24)에 매칭 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2)은 해당 일반 충전기와 연결될 때, 데이터 라인(2) 내의 D+ 배선 및 D- 배선은 연통되고, CC1 핀은 고저항 상태(분리 상태라고도 할 수 있음)에 있고,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CC2 핀을 VBUS 핀에까지 당겨 충전기기가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한 충전을 허용한다.
이때,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2)의 역할은 종래 기술의 일반 Type-A to Type-C 데이터 라인과 동일하고, 충전기는 D+ 핀 및 D- 핀을 통해서만 충전 대상 기기와 충전 파라미터를 협상할 수 있고, 즉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해 비PD 충전만 수행할 수 있다.
일 선택적인 실시방식으로서, 제2 전환 유닛(25)은 제3 스위치(SW1), 제4 스위치(SW3) 및 제5 스위치(SW2)를 포함하되,
제3 스위치(SW1)의 제1 단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과 연결되고, 제3 스위치(SW1)의 제2 단은 CC1 핀과 연결되고, 제3 스위치(SW1)의 제3 단은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D+ 핀과 연결되며, 여기서, 제3 스위치(SW1)는 CC1 핀 및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D+ 핀 중 하나를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과 연통시키며,
제4 스위치(SW3)의 제1 단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과 연결되고, 제4 스위치(SW3)의 제2 단은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D- 핀과 연결되고, 제4 스위치(SW3)의 제3 단은 충전기 매칭 유닛(24)과 연결되며, 여기서, 제4 스위치(SW3)는 충전기 매칭 유닛(24) 및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D- 핀 중 하나를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과 연통시키며,
제5 스위치(SW2)의 제1 단은 제1 저항(Rp)과 연결되고, 제5 스위치(SW2)의 제2 단은 CC2 핀과 연결되며,
여기서, 데이터 라인(2)이 상기 제1 충전기와 연결될 때, 제3 스위치(SW1)는 CC1 핀을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과 연통시키고, 제4 스위치(SW3)는 충전기 매칭 유닛(24)을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과 연통시키고, 제5 스위치(SW2)는 분리되며,
데이터 라인(2)이 상기 제2 충전기와 연결될 때, 제3 스위치(SW1)는 Type-C 인터페이스(22) 및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을 연통시키고, 제4 스위치(SW3)는 Type-C 인터페이스(22) 및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을 연통시키고, 제5 스위치(SW2)는 닫힌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술된 제3 스위치(SW1), 제4 스위치(SW3) 및 제5 스위치(SW2)는 디지털 신호 제어 스위치일 수 있고, 이때 충전기 매칭 유닛(24)은 제3 스위치(SW1), 제4 스위치(SW3) 및 제5 스위치(SW2)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각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전술된 제3 스위치(SW1) 및 제4 스위치(SW3)는 단극쌍투 스위치일 수 있고, 제3 스위치(SW1)의 고정단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의 D+ 핀과 연결되고, 제3 스위치(SW1)의 두 개의 가동단은 CC1 핀 및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D+ 핀과 각각 연결되고, 제4 스위치(SW3)의 고정단은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의 D- 핀과 연결되고, 제3 스위치(SW1)의 두 개의 가동단은 충전기 매칭 유닛(24) 및 Type-C 인터페이스(22)에서의 D- 핀과 각각 연결되고, 전술된 제5 스위치(SW2)는 단극단투 스위치일 수 있다.
물론, 전술된 제3 스위치(SW1), 제4 스위치(SW3) 및 제5 스위치(SW2)는 아날로그 신호 제어 스위치(예: 트랜지스터, MOS 트랜지스터 등)일 수 있고, 이때 충전기 매칭 유닛(24)은 제3 스위치(SW1), 제4 스위치(SW3) 및 제5 스위치(SW2)로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여 각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조정하며, 여기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방식에서, 제2 전환 유닛(25)을 제3 스위치(SW1) 및 제4 스위치(SW3) 및 제5 스위치(SW2)로 설정함으로써 제2 전환 유닛(25)의 구조 및 제어논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일 선택적인 실시방식으로서, 충전기 매칭 유닛(24)은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제3 스위치(SW1)의 제어단, 제4 스위치(SW3)의 제어단 및 제5 스위치(SW2)의 제어단과 각각 연결되고, 제2 컨트롤러는 제4 스위치(SW3)의 제3 단과 연결되며,
여기서, 데이터 라인(2)이 충전기(1)와 연결될 때, 제2 컨트롤러는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을 통해 제1 매칭 신호가 획득될 때 충전기(2)가 제1 충전기라고 결정하고, 제2 컨트롤러는 또한 상기 제1 매칭 신호에 응답하여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에서의 D- 핀을 통해 상기 제1 충전기로 제2 매칭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술된 제2 컨트롤러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Microcontroller Unit, MCU) 등일 수 있고, 여기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방식에서, 제2 컨트롤러에는 상기 제1 매칭 신호 및 상기 제2 매칭 신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제1 매칭 신호와 상기 제2 매칭 신호 사이의 대응 관계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1 매칭 신호가 수신될 때, 데이터 라인(2)이 매칭되는 제1 충전기와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제2 Type-A 인터페이스(21)의 D- 핀을 통해 상기 제1 충전기로 대응되는 제2 매칭 신호를 송신할 수 있어 충전기 매칭 유닛(24)의 구조 및 충전기의 매칭을 위한 제어논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2)은 일반 충전기(즉,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2)의 비표준 충전기)와 연결되어,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해 비PD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2)이 일반 충전기와 연결될 때, 구제적인 작업 흐름은 다음과 같다.
단계 501: 비표준 충전기의 전원 접속 여부를 판단한다.
본 단계의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502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표준 충전기가 전원에 접속될 때 다시 후속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502: 충전기에 표준 데이터 라인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전술된 표준 데이터 라인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2)이다.
본 단계의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503을 실행하고, 본 단계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 504를 실행한다. 또한, 충전기에 데이터 라인이 미삽입된 경우, 충전기에 데이터 라인이 삽입될 때 다시 후속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503: 충전기 매칭 유닛은 D- 핀을 통해 충전기로 매칭 신호를 송신한다.
표준 데이터 라인이 전원에 미연결된 초기 상태에서 SW2는 닫히고, SW3은 D- 핀과 충전기 매칭 유닛을 연통시켜 충전기 매칭 유닛이 전원 연통 시 D- 핀을 통해 충전기로 매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505: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와 매칭에 실패하면, SW2는 닫히고, SW1은 D+ 배선을 연통시키고, SW3은 D- 배선을 연통시킨다.
본 단계에서, 충전기가 비표준이므로 데이터 라인이 D- 핀을 통해 송신하는 매칭 신호에 응답하여 D- 핀을 통해 데이터 라인으로 대응되는 매칭 신호를 피드백하지 않으므로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와 매칭에 실패하게 된다.
또한, 본 단계 이후에, 데이터 라인과 충전기는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해 비PD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504: 데이터 라인과 충전기는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해 비PD 충전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2)은 일반 충전기와 연결될 때, 전술된 작업 흐름을 통해 D+ 배선 및 D- 배선을 연통시킬 수 있으므로 D+ 배선 및 D- 배선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와 비PD 충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는 일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어,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해 비PD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1)가 일반 데이터 라인 또는 표준 데이터 라인(2)과 연결될 때, 구제적인 작업 흐름은 다음과 같다.
단계 601: 표준 충전기의 전원 접속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전술된 표준 충전기는 즉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이다.
본 단계의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602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표준 충전기가 전원에 접속될 때 다시 후속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602: 충전기에 표준 데이터 라인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전술된 표준 데이터 라인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2)이다.
본 단계의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603을 실행하고, 본 단계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 604를 실행한다. 또한, 충전기에 데이터 라인이 미삽입된 경우, 충전기에 데이터 라인이 삽입될 때 다시 후속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603: 충전기 매칭 유닛은 D- 핀을 통해 충전기로 매칭 신호를 송신한다.
표준 데이터 라인이 전원에 미연결된 초기 상태에서 SW2는 닫히고, SW3은 D- 핀과 충전기 매칭 유닛을 연통시켜 충전기 매칭 유닛이 전원 연통 시 D- 핀을 통해 충전기로 매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605: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은 D- 핀을 통해 데이터 라인에 매칭 신호를 피드백하고, K2는 D- 핀을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K1은 분리된다.
표준 충전기가 전원에 미연결된 초기 상태에서 K1은 분리되고, K2는 D- 핀과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을 연통시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전원 연통 시 D- 핀을 통해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송신되는 매칭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라인으로 대응되는 매칭 신호를 피드백하고, 통신이 성공된 후, K2는 D- 핀을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K1은 계속하여 분리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606: 표준 데이터 라인의 SW2는 닫히고, SW1은 D+ 배선을 연통시키고, SW3은 D- 배선을 도통시킨다.
단계 607: 충전 대상 기기의 접속 여부를 판단한다.
본 단계의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608을 실행하고, 본 단계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충전 대상 기기에 접속될 때 다시 후속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608: 충전 대상 기기가 표준 고속충전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전술된 표준 고속충전을 지원하는 기기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와 표준화된 충전 대상 기기이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기 및 해당 표준 충전 대상 기기 내에는 미리 설정된 충전 프로토콜이 미리 구성되어 있고, 해당 미리 설정된 충전 프로토콜의 통신 신호는 D+ 배선 및 D- 배선을 통해 전송된다.
본 단계의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609를 실행하고, 본 단계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 610를 실행한다.
단계 609: D+ 배선 및 D- 배선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해 표준 고속충전을 수행한다.
단계 610: SW1은 D+ 핀과 CC1 핀을 연통시키고, SW2는 분리되고, SW3은 분리되고, K1은 D+ 핀과 PD 충전 처리 유닛을 연통시키고, K2는 분리된다.
여기서, 전술된 SW3 분리는 SW3이 D- 배선을 분리시키거나, D- 배선 및 D- 핀을 충전기 매칭 유닛으로부터 모두 분리시키는 것일 수 있고, 전술된 K2 분리는 K2가 D- 핀을 비PD 충전 처리 유닛 및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으로부터 모두 분리시키는 것일 수 있다.
단계 611: PD 통신을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 PD 충전 처리 유닛은 D+ 배선 및 CC1 핀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와 PD 충전 통신을 수행한다.
단계 612: PD 통신의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본 단계의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613을 실행하고, 본 단계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 614를 실행한다.
단계 613: PD 충전을 수행한다.
단계 614: SW2는 닫히고, SW1은 D+ 배선을 연통시키고, SW3은 D- 배선을 도통시키고, K1은 D+ 핀과 비PD 충전 처리 유닛을 연통시키고, K2는 D- 핀과 비PD 충전 처리 유닛을 연통시키고, 충전 프로토콜 협상을 다시 수행한다.
단계 604: 충전 대상 기기의 접속 여부를 판단한다.
본 단계의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615를 실행하고, 본 단계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충전 대상 기기에 접속될 때 다시 후속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표준 충전기가 전원에 미연결된 초기 상태에서 K1은 분리되고, K2는 D- 핀과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을 연통시키므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전원 연통 시 D- 핀을 통해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송신되는 매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615: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은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송신되는 매칭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K1은 D+ 핀을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K2는 D- 핀을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킨다.
단계 616: D+ 핀 및 D- 핀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와 비PD 충전 통신을 수행한다.
D+ 핀 및 D- 핀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와 비PD 충전 통신을 수행한 후, 통신 결과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충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하나의 ~을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 방법에서의 방법 및 전자기기의 범위는 도시되거나 논의된 순상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관련된 기능에 따라 기본적으로 동시적인 방식 또는 역순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설명된 방법은 설명된 것과 다른 순상호 수행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다른 예시에서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적 부분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한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시디롬)에 저장되고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전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특정 실시예들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본 출원의 주지 및 청구범위에 따른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충전기에 있어서, 제1 Type-A 인터페이스, PD 충전 처리 유닛, 비PD 충전 처리 유닛,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 및 제1 전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Type-A 인터페이스는 제1 통신 핀 및 제2 통신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상기 제1 통신 핀, 상기 제2 통신 핀,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 및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충전기가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때,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1 데이터 라인이면,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상기 제1 통신 핀을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통신 핀을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1 통신 핀 및 상기 제2 통신 핀을 모두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상기 충전기가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때,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2 데이터 라인이면,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상기 제1 통신 핀 및 상기 제2 통신 핀을 모두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1 통신 핀 및 상기 제2 통신 핀을 모두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 및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통신 핀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충전기와 매칭된다고 결정할 때,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1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통신 핀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충전기와 매칭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때,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2 데이터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은 자성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은 상기 자성소자의 감지 신호 강도를 검출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에서 검출된 상기 자성소자의 감지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은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통신 핀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과 매칭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을 상기 제2 통신 핀과 연통시키며,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에서 검출된 상기 자성소자의 감지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작을 때,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은 상기 제1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제2 통신 핀을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통신 핀,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 및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통신 핀,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 및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충전기가 상기 제1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때,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통신 핀을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1 통신 핀을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통신 핀을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통신 핀을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은 D+ 핀 및 D- 핀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신호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상기 제1 통신 핀은 D+ 핀 및 D- 핀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통신 핀은 상기 D+ 핀 및 D- 핀 중 다른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은 홀 검출 회로 및 상기 홀 검출 회로와 연결된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제어단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제어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스위치의 제3 단과 연결되며,
    상기 충전기가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때, 상기 홀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감지 신호 강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강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통신 핀을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통신 핀을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제2 통신 핀을 통해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제1 매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제2 통신 핀을 통해 제2 매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 매칭 신호는 상기 제1 매칭 신호에 대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의 응답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6. 데이터 라인에 있어서, 제2 Type-A 인터페이스, Type-C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와 Type-C 인터페이스 사이의 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라인에는 충전기 매칭 유닛 및 제2 전환 유닛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 및 상기 Type-C 인터페이스는 모두 제3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을 포함하고, 상기 Type-C 인터페이스는 제1 CC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 상기 Type-C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 및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 및 충전 대상 기기와 각각 연결될 때, 상기 충전기가 제1 충전기이면,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을 상기 제1 CC 핀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을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 및 상기 Type-C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을 모두 분리시키며,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 및 충전 대상 기기와 각각 연결될 때, 상기 충전기가 제2 충전기이면,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 및 상기 Type-C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을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결시키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을 상기 제1 CC 핀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을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을 통해 전송되는 매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가 상기 데이터 라인과 매칭된다고 결정할 때, 상기 충전기는 제1 충전기이고,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을 통해 전송되는 매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가 상기 데이터 라인과 매칭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때, 상기 충전기는 제2 충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라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Type-C 인터페이스는 제2 CC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에는 제1 저항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제1 충전기와 연결될 때,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제2 CC 핀을 제1 저항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제2 충전기와 연결될 때,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제1 저항을 통해 제2 CC 핀을 케이블의 VBUS 배선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라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제3 스위치, 제4 스위치 및 제5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3 스위치의 제1 단은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치의 제2 단은 상기 제1 CC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치의 제3 단은 상기 Type-C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제1 CC 핀 및 상기 Type-C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 중 하나를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과 연통시키며,
    상기 제4 스위치의 제1 단은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4 스위치의 제2 단은 상기 Type-C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4 스위치의 제3 단은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제4 스위치는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 및 상기 Type-C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 중 하나를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과 연통시키며,
    상기 제5 스위치의 제1 단은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되고, 상기 제5 스위치의 제2 단은 상기 제2 CC 핀과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제1 충전기와 연결될 때,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제1 CC 핀을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4 스위치는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을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5 스위치는 분리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제2 충전기와 연결될 때,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Type-C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4 스위치는 상기 Type-C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5 스위치는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라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은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제3 스위치의 제어단, 상기 제4 스위치의 제어단 및 상기 제5 스위치의 제어단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제4 스위치의 제3 단과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와 연결될 때,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을 통해 제1 매칭 신호가 획득될 때 상기 충전기가 제1 충전기라고 결정하고,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매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을 통해 상기 제1 충전기로 제2 매칭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라인.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 및 상기 Type-C 인터페이스는 모두 D+ 핀 및 D-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통신 핀은 D+ 핀 및 D- 핀 중 하나이고, 상기 제4 통신 핀은 상기 D+ 핀 및 D- 핀 중 다른 하나이며,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에 삽입된 경우, 상기 D+ 핀은 상기 충전기에서의 D+ 핀과 대응 연결되고, D- 핀은 상기 충전기에서의 D- 핀과 대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라인.
  11. 제6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는 자성소자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라인.
  12. 충전기기에 있어서, 충전기 및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충전기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상기 충전기이고,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상기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충전기가 상기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때, 상기 제1 통신 핀은 상기 제3 통신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 핀은 상기 제4 통신 핀과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은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충전기가 성공적으로 매칭되었다고 결정할 때, 상기 제1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제1 통신 핀을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통신 핀을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1 통신 핀 및 상기 제2 통신 핀을 모두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을 상기 제1 CC 핀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을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 및 상기 Type-C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을 각각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 대상 기기와 연결될 때, 상기 충전 대상 기기가 비제1 충전 대상 기기이면, 상기 제1 통신 핀 및 상기 제2 통신 핀은 모두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되고, 상기 제1 통신 핀 및 상기 제2 통신 핀은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 및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으로부터 모두 분리되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 및 상기 Type-C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 및 제4 통신 핀은 일대일로 대응 연결되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3 통신 핀은 상기 제1 CC 핀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2 Type-A 인터페이스에서의 제4 통신 핀은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충전기기가 상기 제1 CC 핀에서 전송되는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기와 상기 충전 대상 기기가 매칭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상기 충전 대상 기기가 PD 충전을 지원할 때, 상기 충전 대상 기기는 제1 충전 대상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기.
KR1020237005078A 2020-07-14 2021-07-14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기기 KR202300351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73785.4A CN111817382B (zh) 2020-07-14 2020-07-14 充电器、数据线和充电设备
CN202010673785.4 2020-07-14
PCT/CN2021/106212 WO2022012577A1 (zh) 2020-07-14 2021-07-14 充电器、数据线和充电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130A true KR20230035130A (ko) 2023-03-10

Family

ID=7284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5078A KR20230035130A (ko) 2020-07-14 2021-07-14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70709A1 (ko)
EP (1) EP4184746A4 (ko)
JP (1) JP7445821B2 (ko)
KR (1) KR20230035130A (ko)
CN (1) CN111817382B (ko)
WO (1) WO2022012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7382B (zh) * 2020-07-14 2022-02-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器、数据线和充电设备
CN114498784A (zh) * 2020-10-26 2022-05-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充电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952485B (zh) * 2021-01-28 2021-12-07 深圳慧能泰半导体科技有限公司 兼容式的充电线缆及其控制方法
TWI811058B (zh) * 2022-08-12 2023-08-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1543B (zh) * 2011-06-28 2014-09-1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可识别充电器充电能力的系统
US9588560B2 (en) 2014-05-28 2017-03-07 Nokia Technologies Oy Baseband PD communication over USB standard a connector
US20160283423A1 (en) * 2015-03-25 2016-09-29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enable closed chassis debug control interface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type-c connector
JP6550296B2 (ja) 2015-08-07 2019-07-2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
KR102468187B1 (ko) 2016-03-04 2022-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충전 방법
CN105872900A (zh) * 2016-04-20 2016-08-1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切换装置
EP3543827A1 (en) 2016-11-21 2019-09-25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evice, charger,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CN108270253A (zh) * 2016-12-30 2018-07-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充电方法及移动终端
JP2018113612A (ja) 2017-01-12 2018-07-19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
CN106874233B (zh) * 2017-02-16 2018-10-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Type-C接口控制电路、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7181145A (zh) * 2017-05-31 2017-09-19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线以及usb数据线接口
CN107277416A (zh) * 2017-07-20 2017-10-20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电视终端及控制方法
CN108233130B (zh) * 2017-08-01 2019-11-15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Usb线缆、usb接口以及适配器
JP2019121268A (ja) 2018-01-10 201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210327098U (zh) * 2019-09-16 2020-04-14 上海爻火微电子有限公司 采用usb pd的充电设备与充电组件
CN111817382B (zh) * 2020-07-14 2022-02-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器、数据线和充电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45821B2 (ja) 2024-03-07
CN111817382A (zh) 2020-10-23
US20230170709A1 (en) 2023-06-01
EP4184746A1 (en) 2023-05-24
JP2023534680A (ja) 2023-08-10
WO2022012577A1 (zh) 2022-01-20
CN111817382B (zh) 2022-02-08
EP4184746A4 (en)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35130A (ko)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기기
CN108666826B (zh) 一种转接头、终端设备和转接头系统
CN101583935B (zh) 经由串行接口的增强通信的方法和装置
WO2021135687A1 (zh) 电子设备与兼具快充与音频传输功能的配件
EP2863652B1 (en) Audio interface self-adaptation device
CN111817380B (zh) 充电器、数据线、充电设备和电子设备
US20230082918A1 (en) Charger, data cable, and charging device
CN111817378B (zh) 充电器、数据线和充电设备
US20230085923A1 (en) Charger, data cable and charging device
CN111509817B (zh) 数据线和充电设备
CN111509814B (zh) 数据线和充电设备
CN111509815B (zh) 数据线和充电设备
WO2022012578A1 (zh) 数据线和充电设备
CN111817384B (zh) 数据线和充电设备
CN111817383A (zh) 适配器、充电器和充电设备
CN107706977B (zh) 一种充电电流的检测方法以及充电装置
CN111817381B (zh) 充电器、数据线和充电设备
CN111987752A (zh) 一种转接设备
CN111817379A (zh) 充电器、数据线和充电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