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724A -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 - Google Patents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724A
KR20230034724A KR1020210117825A KR20210117825A KR20230034724A KR 20230034724 A KR20230034724 A KR 20230034724A KR 1020210117825 A KR1020210117825 A KR 1020210117825A KR 20210117825 A KR20210117825 A KR 20210117825A KR 20230034724 A KR20230034724 A KR 20230034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ates
support
coupling piece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318B1 (ko
Inventor
권태국
Original Assignee
권태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국 filed Critical 권태국
Priority to KR102021011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318B1/ko
Publication of KR2023003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6Connecting; Fastening by closing the space between the slabs or sheets by gutters, bulges, or bridging elements, e.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02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of plane slabs, slates, or sheets, or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unimportant
    • E04D3/16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of plane slabs, slates, or sheets, or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unimportant of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용접없이 한 쌍의 철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는 한 쌍의 플레이트와, 지지수단과, 결합편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마주보는 한 변이 서로 맞닿는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로 누수되는 빗물을 수용하여 길이방향으로 안내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빗물통로부와, 서로 맞닿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각각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빗물통로부의 양측에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끼움공이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편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가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끼움공에 착탈할 수 있게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부와 맞닿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어 돌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가 결합편이 지지수단의 끼움공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래서 용접 결합 없이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를 조립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용접 결합을 하지 아니하므로 한 쌍의 플레이트가 열팽창을 하더라도 결합 부위에서 균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수단은 빗물통로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서로 맞닿는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의 결합부위 사이의 틈으로 빗물이 누수되면, 빗물통로부가 빗물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래서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의 결합부위의 틈 사이로 빗물이 누수되더라도 빗물이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Steel plate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은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용접없이 한 쌍의 철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이른 시간 내에 건축하고자 하는 경우, 주로 조립식 건축공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조립식 건축공법으로 만들어지는 건축물은 대개 표면 처리된 강철로 제조된 외장용 금속 패널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고 있다.
금속 패널을 이용하여 조립하면, 공사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나아가 시공된 건축물의 외관을 더욱 아름답게 부각시킬 수 있다는 점으로 인하여 조립식 건축물 뿐만 아니라 각종 건축물의 지붕 등의 시공에도 이러한 금속 패널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조립식 건축 공법의 경우, 용접 또는 고정 볼트를 이용하여 금속 패널을 마감하였다.
용접 마감의 경우, 금속 패널의 맞닿는 부위를 용접하여 마감 처리하는 방법으로, 금속 패널의 열팽창에 의하여 연결 부위에 균열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 볼트로 금속 패널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고정 볼트의 체결공을 통하여 빗물이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298271호 (등록일 2013.08.12) 국내 등록특허 제10-1193114호 (등록일 2012.10.1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빗물의 누수 및 열팽창에 의한 결합 부위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는 한 쌍의 플레이트와, 지지수단과, 결합편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마주보는 한 변이 서로 맞닿는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로 누수되는 빗물을 수용하여 길이방향으로 안내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빗물통로부와, 서로 맞닿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각각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빗물통로부의 양측에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끼움공이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편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가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끼움공에 착탈할 수 있게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부와 맞닿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어 돌기된다.
또한, 상기의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편이 상기 끼움공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공에 유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합편은 상기 끼움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면 상기 지지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상기 지지부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끼움공에 삽입된 상기 결합편의 걸림턱을 상기 수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돌기된 걸림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가 결합편이 지지수단의 끼움공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래서 용접 결합 없이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를 조립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용접 결합을 하지 아니하므로 한 쌍의 플레이트가 열팽창을 하더라도 결합 부위에서 균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수단은 빗물통로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서로 맞닿는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의 결합부위 사이의 틈으로 빗물이 누수되면, 빗물통로부가 빗물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래서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의 결합부위의 틈 사이로 빗물이 누수되더라도 빗물이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부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철판 플레이트에 결합편이 용접결합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지지수단의 개념도이고,
도 5의 (a)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지지수단과 결합편의 결합 전 개념도이고,
도 5의 (b)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지지수단과 결합편의 결합 후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는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10)와, 결합편(20)과, 지지수단(30))을 포함한다.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10)는 한 변이 서로 맞닿는다.
결합편(20)은 서로 맞닿는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10-1, 10-2)가 결합되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결합편(20)은 철판 플레이트(10)의 하면(10a)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이때, 결합편(20)은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10-1, 10-2)가 지지수단(30)에 고정되어 이격되지 않도록 다음에 설명되는 지지수단(30)의 끼움공(34)에 삽입될 수 있게 서로 맞닿는 철판 플레이트(10)의 한 변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편(20)이 끼움공(34)에 삽입되었을 때, 화살표 Y방향으로 지지수단(30)에서 이탈되지 않게 걸리도록 걸림턱(2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편(2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수단(30)은 결합편(20)과 결합하여 서로 맞닿는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10-1, 10-2)가 이격되지 않게 결합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10-1, 10-2)의 서로 맞닿는 틈(C)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지지수단(30)은 빗물통로부(31)와 지지부(33)를 구비한다.
빗물통로부(31)는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10-1, 10-2)의 서로 맞닿는 변의 틈(C)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10-1, 10-2)의 사이에서 서로 맞닿는 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부(33)는 철판 플레이트(10)의 하면(10a)을 지지하여 결합편(20)과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지지부(33)는 빗물통로부(31)의 양측에서 철판 플레이트(10)의 하면(10a)을 지지할 수 있게 연장되며, 끼움공(34)과 걸림부재(36)가 형성된다.
끼움공(34)은 결합편(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끼움공(34)은 결합편(30)이 삽입되면 유격(G)이 형성되어 화살표 X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편(20)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걸림부재(36)는 끼움공(34)에 삽입되어 지지부(33)의 길이방향을 따라 화살표 X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결합편(20)이 화살표 Y방향으로 지지부(3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편(20)의 걸림턱(2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걸림부재(36)는 직각으로 절곡된 지지부(33)의 단부가 빗물통로부(31)를 향해 돌기되어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재(36)는 결합편(20)이 복수개 구비되므로 지지부(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돌기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결합편(20)이 끼움공(34)에 삽입되어 지지부(33)의 길이방향을 따라 화살표 X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걸림턱(21)이 걸림부재(36)에 걸려 화살표 Y방향으로 걸림턱(21)이 구속된다. 그리고 철판 플레이트(10)를 교체해야 할 경우, 결합편(20)을 화살표 X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걸림턱(21)이 걸림부재(36)에서 분리되므로 철판 플레이트(10)를 지지수단(3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면, 결합편(20)이 지지부(33)의 끼움공(34)에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10-1, 10-2)가 지지수단(3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10-1, 10-2)는 결합편(20)이 끼움공(34)에서 삽입되어 서로 이격되지 않게 구속될 뿐만 아니라 결합편(20)의 걸림턱(21)이 걸림부재(36)에 구속되어 화살표 Y방향으로 이탈되지 아니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용접 결합 없이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10-1, 10-2)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용접 결합을 하지 아니하므로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10-1, 10-2)가 열팽창을 하더라도 결합부위에서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경우, 용접이나 고정 볼트를 사용하여 금속 패널을 연결하였다. 용접의 경우, 금속 패널의 열팽창에 의하여 연결부위에 균일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 볼트로 금속 패널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고정 볼트의 체결공을 통하여 빗물이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수단(30)은 빗물통로부(31)를 구비한다. 이 경우,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10-1, 10-2)의 서로 맞닿는 변의 틈(C) 사이로 빗물이 누수되면, 빗물통로부(31)가 빗물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래서 서로 맞닿는 한 쌍의 철판 플레이트(10)의 틈(C) 사이로 빗물이 누수되더라도 빗물이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10-1,10-2) : 철판 플레이트 10a : 하면
20 : 결합편 21 : 걸림턱
30 : 지지수단 31 : 빗물통로부
33 : 지지부 34 : 끼움공
36 : 걸림부재 C : 틈
G : 유격

Claims (3)

  1. 마주보는 한 변이 서로 맞닿는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로 누수되는 빗물을 수용하여 길이방향으로 안내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빗물통로부와, 서로 맞닿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각각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빗물통로부의 양측에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끼움공이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한 지지수단과,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가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끼움공에 착탈할 수 있게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부와 맞닿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어 돌기된 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편이 상기 끼움공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공에 유격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은 상기 끼움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면 상기 지지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상기 지지부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끼움공에 삽입된 상기 결합편의 걸림턱을 상기 수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돌기된 걸림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
KR1020210117825A 2021-09-03 2021-09-03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 KR102621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825A KR102621318B1 (ko) 2021-09-03 2021-09-03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825A KR102621318B1 (ko) 2021-09-03 2021-09-03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724A true KR20230034724A (ko) 2023-03-10
KR102621318B1 KR102621318B1 (ko) 2024-01-04

Family

ID=8551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825A KR102621318B1 (ko) 2021-09-03 2021-09-03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3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573A (ja) * 1996-12-24 1998-07-14 Achilles Corp 構造壁の意匠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93114B1 (ko) 2012-07-13 2012-10-19 (주)에이비엠그린텍 금속 패널 지붕의 시공방법
KR20120124543A (ko) * 2011-05-04 2012-11-14 이영우 패널 조립구조
KR101298271B1 (ko) 2013-05-30 2013-08-19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금속 패널 지붕의 연결 구조 및 금속 패널 지붕의 시공방법
KR101365665B1 (ko) * 2013-01-04 2014-02-21 유영흥 건축 내외장용 금속 패널의 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573A (ja) * 1996-12-24 1998-07-14 Achilles Corp 構造壁の意匠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20124543A (ko) * 2011-05-04 2012-11-14 이영우 패널 조립구조
KR101193114B1 (ko) 2012-07-13 2012-10-19 (주)에이비엠그린텍 금속 패널 지붕의 시공방법
KR101365665B1 (ko) * 2013-01-04 2014-02-21 유영흥 건축 내외장용 금속 패널의 설치장치
KR101298271B1 (ko) 2013-05-30 2013-08-19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금속 패널 지붕의 연결 구조 및 금속 패널 지붕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318B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7186C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JP4795971B2 (ja) 金属構造物のための剛性ネジ止めユニット
KR101445639B1 (ko)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설치방법
KR20230034724A (ko) 철판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체
KR101656273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배열 설치시 인접부 간의 밀착결합유지용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패널 간의 결합구조
JP4883692B2 (ja)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および防音パネルの取付方法
KR102039324B1 (ko) 내화 칸막이 보강벽체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10115227A (ko) 지수판 고정구조가 일체화된 다이아프램 월의 스탑엔드
KR101509885B1 (ko) 오픈조인트 방식의 마감판넬 설치구조
KR100615037B1 (ko) 건축용 구조부재의 제작방법
JP6957394B2 (ja) 連窓構造
KR102007937B1 (ko) 영구거푸집 패널이 구비된 선조립 철골조립체
JP5516843B2 (ja) 3ウェイ方式のパネル連結構造及び連結金具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KR102007936B1 (ko) 선조립 철골조립체와 영구거푸집 패널의 고정 구조
KR20130088463A (ko) 현장조립형 방음패널 조립체
KR20200123345A (ko) 외벽마감용 불연외장패널 및 그 시공방법
RU229243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анелей
KR100636430B1 (ko) 채널수단과 내화보드를 이용한 강재보 시공방법
KR102405036B1 (ko) 패널지지장치
KR20180079748A (ko)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KR100837786B1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SU949094A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теновых панелей с колонной
JP2005155141A (ja) 間仕切りパネルの組立体及び、間仕切りパネルの組立体の施工方法
RU46778U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ригеля с колонной 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каркас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