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628A - 접지패드 - Google Patents

접지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628A
KR20230034628A KR1020210117617A KR20210117617A KR20230034628A KR 20230034628 A KR20230034628 A KR 20230034628A KR 1020210117617 A KR1020210117617 A KR 1020210117617A KR 20210117617 A KR20210117617 A KR 20210117617A KR 20230034628 A KR20230034628 A KR 20230034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ember
mesh
heating
groun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920B1 (ko
Inventor
민윤식
Original Assignee
민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윤식 filed Critical 민윤식
Priority to KR102021011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920B1/ko
Publication of KR20230034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6Use of three-dimensional fabr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콘센트에 결합되어 접지기능을 제공하는 접지수단과 연결되고,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금속부재; 및 상기 금속부재의 상기 일면에 배치되고, 다수의 메쉬(mesh)를 포함하는 그물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볼록부는, 사용자의 피부와 맞닿아 상기 사용자를 접지시키는 접지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지패드{EARTHING PAD}
본 발명은 사람을 접지시키는 접지패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신발-대부분 전기가 통하지 않는 고무 밑창-을 신기 시작하면서부터 현대인의 질병-고혈압, 당뇨, 암, 관절염, 불면증, 우울증 및 정신병 등-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과거의 연구 결과는 대다수의 현대인의 질병이 인간이 땅과의 접촉을 단절하고 생활하는 것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인간은 신발을 신고 야생동물처럼 땅을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야생동물은 없지만 인간만이 가지는 질병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인간이 땅과 접촉하는 것을 접지라 한다. 상술한 이유로 인해 접지하는 인간은 그렇지 않은 인간보다 매우 건강하다. 접지의 기본은 맨발로 걷는 것이다. 맨발로 해변 백사장을 걷거나 등산을 하면 건강해진다는 것이 과학적으로나 체험적으로 이미 증명이 되었다. 맨발로 장시간 걷는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하지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 방법 중 하나가 땅에 연결된 접지선을 실내로 끌어들이는 것이다. 공장에는 땅에 연결된 정전기방지매트가 화재예방을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는 건물 실내의 벽에는 접지와 연결된 접지선을 포함하는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접지선이 활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구체적인 종래의 접지방법이 도시될 수 있다. 종래에는 콘센트(4)에 포함된 접지단자와 연결된 접지선(3)은 침대(2)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지선(3)은 전기가 통하는 매트(2-1)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매트(2-1)는 전기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선-예를 들어 은선(Ag wire) 또는 구리선(Cu wire)-을 포함하는 천(fabri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침대(2)에 누워있는 사용자(1)는 접지되고, 접지선(3)을 통해서 자유전자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하지만 종래와 같은 금속선을 포함하는 매트(2-1)는 몇몇의 단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2-1)는 천(fabric)을 포함하기 때문에 관리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매트(2-1)를 세탁하는 경우 내부의 금속선이 손상될 수 있다. 금속선은 매우 얇기 때문에 세탁 과정에서 접히는 경우 끊어질 수 있다. 금속선의 일부가 끊어지면, 인간의 접지와의 연결도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매트(2-1)는 금속선을 포함하는 천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피부에 닿았을 때 매우 거친 느낌을 사용자(1)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1)는 접지기능을 제공하는 매트(2-1)의 사용을 꺼려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관리가 용이하고 부드러운 피부 접촉감을 제공하는 접지패드를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접지기능, 파동공급기능 및/또는 온열기능을 제공하는 접지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센트에 결합되어 접지기능을 제공하는 접지수단과 연결되고,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금속부재; 및 상기 금속부재의 상기 일면에 배치되고, 다수의 메쉬(mesh)를 포함하는 그물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볼록부는, 사용자의 피부와 맞닿아 상기 사용자를 접지시키는 접지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접지패드에서, 상기 그물망부재는, 상기 다수의 메쉬가 형성된 메쉬영역과 상기 다수의 메쉬가 형성되지 않은 비메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쉬영역이 상기 다수의 볼록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금속부재의 상기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비메쉬영역이 상기 다수의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금속부재와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패드에서, 상기 금속부재의 타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포함된 열선을 통해 열을 방출하고, 상기 열을 상기 금속부재의 다수의 볼록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하는 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선은, 상기 온열부재가 상기 금속부재에 배치 및 결합되면 상기 다수의 볼록부를 따라 위치하도록 상기 온열부재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패드에서, 상기 다수의 메쉬는, 상기 다수의 볼록부가 상기 다수의 메쉬에 포함되도록 상기 다수의 볼록부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다수의 볼록부는, 상기 그물망부재가 상기 금속판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다수의 볼록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그물망부재의 두께보다 큰 높이를 가지며, 상기 열선은, 상기 열이 상기 다수의 볼록부로 직접 전달되도록 상기 열선에 따라 위치한 볼록부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지패드에서, 상기 금속부재는, 파동을 생성하는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파동을 공급받고, 상기 다수의 볼록부를 통해 상기 파동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부재를 접지패드의 주요 구성품으로 이용함으로써 관리가 용이-예를 들어 세탁 및 세정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한 규격으로 제조되고 친환경 재질을 포함하는 그물망부재 및 금속부재의 결합을 통해 접지패드가 사용자의 피부에 닿았을 때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종래의 접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패드의 분리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패드의 결합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부재의 메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패드의 온열기능 및 접지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패드의 온열기능 및 파동공급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부재의 볼록부, 그물망부재의 메쉬 및 온열부재의 열선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부재의 볼록부, 그물망부재의 메쉬 및 온열부재의 열선에 대한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패드의 온열기능 및 파동공급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패드의 분리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지패드(100)는 금속부재(110), 그물망부재(120), 및 온열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금속부재(110)의 일면에는 그물망부재(120)가 배치되고, 금속부재(110)의 타면에는 온열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물망부재(120)는 금속부재(1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온열부재(130)는 금속부재(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하좌우의 방향은 본 도면의 화살표의 방향에 따를 수 있다.
금속부재(110)는 전기도전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금속부재(110)의 재질은 구리(Cu), 은(Ag) 또는 철(Fe)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은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부재(110)는 콘센트(300)에 결합되어 접지기능을 제공하는 접지수단(111-1, 111-2, 111-3)과 연결될 수 있다. 접지수단(111-1, 111-2, 111-3)은 접지패드(100)에 접촉하는 사용자를 접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지수단(111-1, 111-2, 111-3)은 접지커넥터(111-1), 접지선(111-2) 및 접지플러그(111-3)로 구성될 수 있다. 접지커넥터(111-1)는 금속부재(110)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지커넥터(111-1)는 접지암커넥터와 접지수커넥터의 결합을 통해 금속부재(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접지암커넥터가 금속부재(110)에 형성되면, 접지선(111-2)과 연결된 접지수커넥터가 접지암커넥터와 끼움결합할 수 있다. 접지수커넥터가 금속부재(110)에 형성되면, 접지선(111-2)과 연결된 접지암커넥터가 접지수커넥터와 끼움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접지암커넥터와 접지수커넥터는 전기도전성을 가지는 단자를 내부에 구비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접지플러그(111-3)는 콘센트(300)에 형성된 접지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또는 산업용 콘센트(300)에는 외부의 접지와 연결된 접지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접지플러그(111-3)는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 또는 결합할 수 있다. 그러면 접지단자는 접지플러그(111-3), 접지선(111-2) 및 접지커넥터(111-1)를 거쳐서 금속부재(110)를 외부의 접지와 연결할 수 있고, 금속부재(110)는 접지될 수 있다. 금속부재(110)에 접촉한 사용자 역시 금속부재(110)를 통해 접지될 수 있다.
또한 금속부재(110)는 다수의 볼록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볼록부(113)는 금속부재(110)에 형성된 볼록한 형상일 수 있고, 금속부재(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금속부재(110)가 엠보싱(embossing)처리되면, 볼록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113)의 크기가 크거나 볼록부(113)가 성글게 형성되면, 접지패드(100)에 앉거나 누워있는 사용자는 피부로 볼록부(113)의 형상을 그대로 느껴서 불편을 느끼게 될 수 있다. 하지만 볼록부(113)가 촘촘하게 형성될수록 또는 볼록부(113)의 크기가 작게 형성될수록,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은 적어지고 오히려 접지패드(100)가 편평하다고 느껴서 그 불편함은 훨씬 적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볼록부(113)에 의한 불편은 금속부재(110)와 결합되는 그물망부재(120)의 메쉬(121)에 의하여 더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수의 볼록부(113)는 접지패드(100)에 닿아있는 사용자의 피부에 맞닿아서 사용자를 접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접지패드(100)에 누워있는 경우, 금속부재(110)가 접지수단(111-1, 111-2, 111-3)을 통해 접지되면, 다수의 볼록부(113)는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맞닿고 사용자는 접지될 수 있다.
그물망부재(120)는 금속부재(1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물망부재(120)는 금속부재(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물망부재(120)는 금속부재(110)와 나란히 포개어질 수 있다. 그래서 그물망부재(120)의 면적은 금속부재(110)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그물망부재(120)의 메쉬(121)가 금속부재(110)의 볼록부(113)를 인입하도록 그물망부재(120)는 금속부재(110)에 접촉 및 결합할 수 있다. 그물망부재(120)가 금속부재(110)에 결합하면, 각 메쉬(121)는 볼록부(113)를 하나씩 포함하게 될 수 있다.
또한 그물망부재(120)는 다수의 메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쉬(121)는 그물망부재(120)의 구멍을 지칭할 수 있다. 그물망부재(120)의 크기는 1평방인치(25.4mm2)당 메쉬(121)(구멍; hole)의 수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물망부재(120)의 크기가 300메쉬(mesh)라는 것은 1평방인치(25.4mm2)에 300개의 메쉬(121)(또는 구멍)가 포함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온열부재(130)는 금속부재(11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타면은 그물망부재(120)가 배치되는 금속부재(110)의 일면에 대한 반대편의 일면일 수 있다. 그물망부재(120)가 금속부재(110)의 상면에 배치되면, 온열부재(130)는 금속부재(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온열부재(130)는 열을 생성 및 방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본 도면의 HEAT 참조). 예를 들어 온열부재(130)는 외부 장치로부터 열을 공급받는 열선(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열부재(130)는 열선(미도시)을 내부에 포함하여 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열을 금속부재(110)의 다수의 볼록부(113)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온열부재(130)가 금속부재(110)에 배치 및 결합될 때 열선(미도시)이 다수의 볼록부(113)를 따라 위치하도록, 열선(미도시)이 온열부재(13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금속부재(110)는 열을 공급하는 제어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예를 들어 버튼 또는 스위치- 및 열의 공급상태를 나타내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값을 입력받으면 그에 따라 열을 생성하고, 온열커넥터(131)와 연결된 온열선(132)을 따라 온열부재(13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온열수단(131, 132)은 온열커넥터(131) 및 온열선(1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온열커넥터(131)는 금속부재(110)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열커넥터(131)는 온열암커넥터와 온열수커넥터의 결합을 통해 금속부재(110)에 연결될 수 있다. 온열암커넥터가 금속부재(110)에 형성되면, 온열선(132)과 연결된 온열수커넥터가 온열암커넥터와 끼움결합할 수 있다. 온열수커넥터가 금속부재(110)에 형성되면, 온열선(132)과 연결된 온열암커넥터가 온열수커넥터와 끼움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온열암커넥터와 온열수커넥터는 전기도전성을 가지는 단자를 내부에 구비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장치(200)는 온열커넥터(131)와 연결된 열선(미도시)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열의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200)는 파동(wave)을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열 및 파동을 함께 생성 및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제어장치가 열과 파동을 개별적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패드 시스템(10)에서 제어장치(200)는 열 및 파동을 함께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하나의 장치에서 온도 및 주파수를 조정하는 것이 더 편리하기 때문이다.
금속부재(110)는 제어장치(200)로부터 파동을 공급받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본 도면의 WAVE 참조). 예를 들어 파동커넥터(112-1)는 제어장치(200)로부터 파동을 공급받을 수 있다. 파동선(112-2)을 따라 이동한 파동은 파동커넥터(112-1)를 거쳐서 금속부재(1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금속부재(110)를 이동하는 파동의 일부는 다수의 볼록부(113)를 거쳐서 접지패드(100)에 있는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접지커넥터(111-1), 파동커넥터(112-1) 및 온열커넥터(131)는 서로 다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열과 파동을 모두 제어하는 경우, 온열선(132) 및 파동선(112-2)은 모두 제어장치(200)로부터 비롯할 수 있다. 따라서 파동커넥터(112-1) 및 온열커넥터(131)는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지커넥터(111-1)는 파동커넥터(112-1) 및 온열커넥터(131)와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파동커넥터(112-1)는 금속부재(110)의 좌측단에, 온열커넥터(131)는 온열부재(130)의 좌측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접지커넥터(111-1)는 금속부재(110)의 우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패드의 결합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금속부재(110), 그물망부재(120) 및 온열부재(130)가 일체로 결합된 접지패드(100)가 도시될 수 있다.
금속부재(110)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그물망부재(120)가 결합되고 하측으로 온열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다. 금속부재(110)의 볼록부가 그물망부재(120)의 메쉬에 인입되도록 그물망부재(120)가 금속부재(110)에 끼워지면서 결합될 수 있다. 금속부재(110), 그물망부재(120) 및 온열부재(130)의 크기 및 면적은 서로 동일하여, 전부가 결합되었을 때 접지패드(100)가 정방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지패드(100)의 일측-예를 들어 좌측-에는 온열수단(131, 132) 및 파동수단(112-1, 112-2)이 위치하고, 접지패드(100)의 타측-예를 들어 우측-에는 접지수단(111-1, 111-2, 111-3)이 위치할 수 있다. 접지커넥터(111-1), 파동커넥터(112-1) 및 온열커넥터(131)는 부분적으로 외부로 도출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부재의 메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물망부재(120)는 다수의 메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쉬(121)의 크기는 1평방인치(25.4mm2)당 메쉬(121)(구멍; hole)의 수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1평방인치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25.4mm인 정방형의 면적과 같을 수 있다. 그래서 본 도면과 같이 메쉬(121)의 크기가 100mesh라면, 1평방인치에 100개의 메쉬(121)가 형성될 수 있다. 25.4mm의 가로 및 세로에 각각 10개의 메쉬(121)가 형성되어 1평방인치에는 100개의 메쉬(121)가 들어갈 수 있다.
그물망부재(120)가 금속부재(110)에 결합할 때, 그물망부재(120)의 메쉬(121)는 금속부재(110)의 볼록부(113)를 인입할 수 있다. 본 도면의 하단에서 그물망부재(120)의 각 메쉬(121)는 가로(L1) 및 세로(L2)를 가지고, 금속부재(110)의 볼록부(113)는 제1 지름(R1) 및 제2 지름(R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볼록부(113)가 타원형으로 될 수 있는데, 제1 지름(R1)이 제2 지름(R2) 보다 클 수 있다.
그물망부재(120)가 금속부재(110)에 결합되면, 볼록부(113)가 메쉬(121)에 인입하도록 놓여질 수 있다. 메쉬(121)의 가로(L1)는 볼록부(113)의 제1 지름(R1) 보다 크고, 메쉬(121)의 세로(L2)는 볼록부(113)의 제2 지름(R2) 보다 클 수 있다. 그러면 본 도면과 같이 메쉬(121)는 볼록부(113) 사이사이에 놓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쉬(121)의 가로줄 및 세로줄은 볼록부(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다수의 볼록부(113) 사이에 놓여진 메쉬(121)의 가로줄 및 세로줄은 메쉬(121)의 움직임(MH, MV)을 제한할 수 있어서, 메쉬(121)와 금속부재(11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메쉬(121)가 움직여도 가로줄 및 세로줄이 금속부재(110)의 볼록부(113)에 막혀서, 메쉬(121)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메쉬(121)의 가로줄 및 세로줄의 폭은 본 도면과 다르게 더 넓을 수 있다. 그 폭이 넓어질수록 메쉬(121)의 움직임은 적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패드의 온열기능 및 접지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금속부재(110), 그물망부재(120) 및 온열부재(130)가 일체로 결합된 접지패드(100)는 온열기능 및 접지기능을 사용자(1)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도면은 접지패드(100)의 단면을 나타내되, 접지패드(100)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을 부각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1)는 외부와 접지되는 동시에 온열부재(130)를 통해서 온열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금속부재(110)의 일단에는 접지-콘센트의 접지단자-와 연결된 접지커넥터(111-1)가 설치되고, 금속부재(110)의 타단에는 파동을 전달하는 파동커넥터(112-1)가 설치될 수 있다. 접지커넥터(111-1)는 접지선(111-2)과 연결된 접지수커넥터(111-1a) 및 금속부재(110)와 연결된 접지암커넥터(111-1b)를 포함할 수 있다. 파동커넥터(112-1)는 파동선(112-2)과 연결된 파동수커넥터(112-1a) 및 금속부재(110)와 연결된 파동암커넥터(1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1)는 접지수단(111-1, 111-2, 111-3)을 통해서 접지될 수 있다. 사용자(1)가 접지되면, 자유전자는 접지선(111-2)을 통해 금속부재(110)로 이동하고 볼록부(113)를 통해 사용자(1)에게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1)의 몸속에 들어간 자유전자는 몸속의 잉여 활성산소를 중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볼록부(113)는 사용자(1)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어서 자유전자는 주로 볼록부(113)를 통해서 사용자(1)의 몸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물망부재(120)는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서 자유전자가 그물망부재(120)를 통해서는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자유전자는 금속부재(110) 중 볼록부(113)를 중심으로 사용자(1)에게 이동할 뿐 금속부재(110) 중 그물망부재(120)가 놓여진 영역으로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그물망부재(120)는 인공소재 대신에 천연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천연소재는 소위 친환경소재로서 목화, 대나무 또는 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물망부재(120)가 천연소재로 형성됨으로써 금속부재(110)에 대한 사용자(1)의 접촉감을 부드럽게 하고 비도전성 때문에 자유전자를 볼록부(113)로만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활성산소(free radical)는 생존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체내에서 끊임없이 만들어진다. 몸의 건강 밸런스가 깨져 활성산소가 과잉으로 생성되면 잉여 활성산소가 정상세포를 파괴하면서 염증을 유발하고 궁극적으로는 암을 유발시킬 수 있다. 잉여 활성산소는 양전하인데 반해 자유전자는 음전하이기 때문에 중화가 되어 염증이 완화될 수 있다.
한편 금속부재(110)의 하면에 형성된 온열부재(130)의 일단에는 온열커넥터(131)가 설치될 수 있다. 온열커넥터(131)는 온열선(132)과 연결된 온열수커넥터(131a) 및 온열부재(130)와 연결된 온열암커넥터(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온열커넥터(131)는 열선(133)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전류가 온열커넥터(131)를 통해서 열선(133)을 통해 흐르면, 열선(133)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HEAT).
열선(133)에서 발생한 열은 금속부재(110)의 볼록부(113)를 거쳐서 사용자(1)에게 전달될 수 있다. 열이 곧장 볼록부(113)를 통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볼록부(113)와 열선(133)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열선(133)은 볼록부(113)를 따라서 위치하도록 온열부재(13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열선(133)은 볼록부(113)의 바로 밑에 오도록 형성될 수 있다(본 도면의 1점 쇄선 참고). 그러면 열선(133)에서 나오는 열이 비도전 영역인 그물망부재(120)쪽이 아니라 도전 영역인 금속부재(110)의 볼록부(113)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열선(133)에서 방출된 열의 전도율이 더 높아질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패드의 온열기능 및 파동공급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1)는 파동수단(112-1, 112-2)을 통해서 파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파동이 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면, 파동은 금속부재(110)의 일단의 파동커넥터(112-1)에서 진행하여 금속부재(110)의 타단까지 이동할 수 있다. 금속부재(110)에는 자유전자가 흐르는 있는 상태에서 파동이 전달되어 이동할 수 있다. 파동의 방향과 자유전의 방향은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접지커넥터(111-1) 및 파동커넥터(112-1)가 대향하여 양단에 각각 위치하므로, 파동의 방향과 자유전자의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금속부재(110)를 이동하는 파동은 볼록부(113)를 따라 사용자(1)로 전달될 수 있다. 자유전자가 볼록부(113)를 통해 사용자(1)에게 들어가는 동시에 파동도 볼록부(113)를 통해 사용자(1)에게 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패드(100)는 접지기능, 온열기능 및 파동공급기능을 이시 또는 동시에 사용자(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접지기능을 통해 사용자(1)는 외부와 접지되어 자유전자를 받을 수 있어서,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온열기능을 통해 사용자(1)는 통증 부위에 온열치료를 하거나 체온을 유지할 수 있다. 파동공급기능을 통해 사용자(1)는 체내에 유익한 파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파동은 주파수에 따라 인체에 다른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1)는 제어장치(미도시)를 통해서 원하는 주파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주파수에 따른 파동을 금속부재(110)를 통해 사용자(1)에게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는 제1 주파수-40Hz-를 가지는 파동을 생성하도록 제어장치(미도시)를 설정하여 제1 주파수의 파동을 금속부재(110)로 전달할 수 있다. 40Hz의 주파수는 알츠하이머 질환에 유익한데, 신경반응을 자극하고 치매의 대항력을 높일 수 있다. 40Hz의 주파수는 감마뇌파랑 연결되어 기억력을 자극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는 제2 주파수-174Hz-를 가지는 파동을 생성하도록 제어장치(미도시)를 설정하여 제2 주파수의 파동을 금속부재(110)로 전달할 수 있다. 174Hz의 주파수는 고통과 스트레스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는 제3 주파수-285Hz-를 가지는 파동을 생성하도록 제어장치(미도시)를 설정하여 제3 주파수의 파동을 금속부재(110)로 전달할 수 있다. 285Hz의 주파수는 세포 재생에 기여함으로써 인체의 정신적 또는 육체적 치유를 도울 수 있다. 또한 사용자(1)는 제4 주파수-396Hz, 417Hz 또는 852Hz-를 가지는 파동을 생성하도록 제어장치(미도시)를 설정하여 제4 주파수의 파동을 금속부재(110)로 전달할 수 있다. 396Hz, 417Hz 또는 852Hz의 주파수는 부정적인 감정-우울 또는 좌절-을 긍정적인 감정-기쁨, 즐거움 또는 행복-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긍정적인 에너지를 인체에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는 제5 주파수-432Hz 또는 963Hz-를 가지는 파동을 생성하도록 제어장치(미도시)를 설정하여 제5 주파수의 파동을 금속부재(110)로 전달할 수 있다. 432Hz 또는 963Hz의 주파수는 인체의 정신적 및 감정적 명료함을 더 높은 단계까지 끌어올림으로써 정신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부재의 볼록부, 그물망부재의 메쉬 및 온열부재의 열선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금속부재(110)의 볼록부(113), 그물망부재(120)의 메쉬(121) 및 온열부재(130)의 열선(133)은 일정 조건을 만족하도록 정렬 및 배치될 수 있다.
먼저 금속부재(110) 및 그물망부재(120)는 각각의 메쉬(121)가 볼록부(113)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그물망부재(120)가 금속부재(110)의 상면에 포개어지면, 그물망부재(120)가 이동하더라도 메쉬(121)가 볼록부(113)에 걸려서 그물망부재(120)의 흐트러짐이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금속부재(110) 및 온열부재(130)는 볼록부(113) 및 열선(133)이 나란히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배치될 수 있다(도 4 및 5 참조). 예를 들어 열선(133)이 S자 형상으로 온열부재(130)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 열선(133)의 S자 경로가 볼록부(113)의 중심을 지나갈 수 있다. 이렇게 볼록부(113) 바로 밑에 위치한 열선(133)은 열을 방출하여 바로 볼록부(113)로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금속부재(110), 그물망부재(120) 및 온열부재(130)가 결합되면, 본 도면의 하단과 같이 하나의 패드가 완성된다. 온열부재(130)의 열선은 볼록부(113)를 따라 S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본 도면의 점선 참조).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부재의 볼록부, 그물망부재의 메쉬 및 온열부재의 열선에 대한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금속부재(110), 그물망부재(120) 및 온열부재(130)가 결합된 접지패드(100)는 일정한 규격을 만족할 수 있다. 그물망부재(120)의 메쉬는 볼록부(113)가 메쉬에 포함되도록 볼록부(113)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볼록부(113)의 높이(h)는 금속부재(110)의 상면에 배치되는 그물망부재(120)의 두께(t)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그물망부재(120)는 금속부재(110)와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물망부재(12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해도 볼록부(113)에 닿기 때문에, 그물망부재(120)가 벗겨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열선(133)의 폭(Y)은 볼록부(113)의 폭(X)과 동일할 수 있다. 볼록부(113) 이외의 영역은 그물망부재(120) 때문에 열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열선(133)은 볼록부(113)의 바로 밑에 형성되어야만 열전달 효율이 극대화할 수 있다. 열선(133)의 열이 그물망부재(120)가 덮은 영역으로 가지 않고 볼록부(113)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패드의 온열기능 및 파동공급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패드(900)는 영역별로 서로 다른 파동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지패드(100)는 제1 영역(Ⅰ제2 영역(Ⅱ및 제3 영역(Ⅲ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접지패드(100)는 제1 영역(Ⅰ에는 제1 파동을, 제2 영역(Ⅱ에는 제2 파동을, 제3 영역(Ⅲ에는 제3 파동을 각각 공급할 수 있다. 금속부재(910)에 연결된 파동커넥터(912-1)는 제1 내지 3 영역(ⅠⅢ과 연결된 각 단자에서 제1 내지 3 파동을 내보낼 수 있다. 제1 파동은 가장 높은 주파수를 가지고, 제3 파동은 가장 낮은 주파수를 가지며, 제2 파동은 제1 및 3 파동 사이의 중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하므로, 사용자는 영역에 따라 선호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파동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동시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패드(900)는 영역별로 서로 다른 열선(9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열선(133)이 형성되는 영역은 파동이 공급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부재(910)의 제1 내지 3 영역(ⅠⅢ은 온열부재(930)의 제1 내지 3 영역(ⅠⅢ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1 영역(Ⅰ에서 금속부재(910)에서는 제1 파동이 흐르고 제1 파동을 따라서 제1 열선이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Ⅱ에서 금속부재(910)에서는 제2 파동이 흐르고 제2 파동을 따라서 제2 열선이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제3 영역(Ⅲ에서 금속부재(910)에서는 제3 파동이 흐르고 제3 파동을 따라서 제3 열선이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부재(910)에 연결된 온열커넥터(131)는 제1 내지 3 영역(ⅠⅢ과 연결된 각 단자에서 제1 내지 3 전류를 내보낼 수 있다. 제1 전류는 제1 온도-가장 높은 온도-의 열로 변환되고, 제3 전류는 제3 온도-가장 낮은 온도-의 열로 변환되며, 제2 전류는 제2 온도-제1 및 3 온도 사이의 중간-의 열로 변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역에 따라 선호하는 온도를 설정하여 열을 공급받을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각 영역마다 주파수 및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각 영역에 제공되는 파장 및 열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접지패드 200: 제어장치 300: 콘센트
110,910: 금속부재 120: 그물망부재 130,930: 온열부재
111-1,911-1: 접지커넥터 111-2: 접지선
111-3: 접지플러그 112-1,912-1: 파동커넥터
112-2: 파동선 113: 볼록부 121: 메쉬
131: 온열커넥터 132: 온열선 133,933: 열선

Claims (5)

  1. 콘센트에 결합되어 접지기능을 제공하는 접지수단과 연결되고,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금속부재; 및
    상기 금속부재의 상기 일면에 배치되고, 다수의 메쉬(mesh)를 포함하는 그물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볼록부는, 사용자의 피부와 맞닿아 상기 사용자를 접지시키는 접지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부재는, 상기 다수의 메쉬가 형성된 메쉬영역과 상기 다수의 메쉬가 형성되지 않은 비메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쉬영역이 상기 다수의 볼록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금속부재의 상기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비메쉬영역이 상기 다수의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금속부재와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접지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의 타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포함된 열선을 통해 열을 방출하고, 상기 열을 상기 금속부재의 다수의 볼록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하는 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선은, 상기 온열부재가 상기 금속부재에 배치 및 결합되면 상기 다수의 볼록부를 따라 위치하도록 상기 온열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접지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메쉬는, 상기 다수의 볼록부가 상기 다수의 메쉬에 포함되도록 상기 다수의 볼록부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다수의 볼록부는, 상기 그물망부재가 상기 금속판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다수의 볼록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그물망부재의 두께보다 큰 높이를 가지며,
    상기 열선은, 상기 열이 상기 다수의 볼록부로 직접 전달되도록 상기 열선에 따라 위치한 볼록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접지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파동을 생성하는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파동을 공급받고, 상기 다수의 볼록부를 통해 상기 파동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접지패드.
KR1020210117617A 2021-09-03 2021-09-03 접지패드 KR102594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617A KR102594920B1 (ko) 2021-09-03 2021-09-03 접지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617A KR102594920B1 (ko) 2021-09-03 2021-09-03 접지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628A true KR20230034628A (ko) 2023-03-10
KR102594920B1 KR102594920B1 (ko) 2023-10-27

Family

ID=8551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617A KR102594920B1 (ko) 2021-09-03 2021-09-03 접지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9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071A (ko) * 2010-11-30 2012-06-08 한미테크원 주식회사 온수매트용 보일러의 전자파 자동 소멸장치
KR102002085B1 (ko) * 2018-05-08 2019-07-19 이다혜 한지를 이용한 어싱 매트
KR102220224B1 (ko) * 2019-07-26 2021-02-24 이미옥 인체 접지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071A (ko) * 2010-11-30 2012-06-08 한미테크원 주식회사 온수매트용 보일러의 전자파 자동 소멸장치
KR102002085B1 (ko) * 2018-05-08 2019-07-19 이다혜 한지를 이용한 어싱 매트
KR102220224B1 (ko) * 2019-07-26 2021-02-24 이미옥 인체 접지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920B1 (ko)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200B1 (ko) 미세전류 자극 속옷
US9037270B2 (en) Electronic stimulation textile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erapy
US20140257449A1 (en) Conductive garment
US20150202429A1 (en) Device for Muscle Stimulation
KR102118205B1 (ko) 저주파 마사지기
KR102160299B1 (ko) Ems와 led의 혼합된 분사기능을 갖는 복부 벨트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37859A (ko) 골반저근 강화연습용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484977Y1 (ko) 어싱용 매트
CN205307610U (zh) 遥控式可穿戴功能性电刺激控制装置
CN107019845A (zh) 一种中频干扰复合作用区电刺激系统
CN213407473U (zh) 一种微电流理疗智能背心
KR20230034628A (ko) 접지패드
KR102499611B1 (ko) 탈부착이 가능한 ems 패치가 적용된 스포츠웨어
CN209771106U (zh) 一种医学治疗装置
KR20130075948A (ko) 미세전류을 이용한 관절보호대
KR101299151B1 (ko) 전원공급으로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마스크
CN206473663U (zh) 一种电疗系统可嫁接电疗设备的电疗床
JP2020116151A (ja) アーシング装置及びアーシング装置用のアタッチメント
TWM501264U (zh) 保健穿戴物
CN210445727U (zh) 一种具有低频电疗功能的针织服装
US20070089323A1 (en) Electrothermal massage shoes
CN209123176U (zh) 一种低频按摩器
CN215025252U (zh) 一种智能微电子穴位按摩仪
US114200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neurostimulation using exogenous electrodes
KR101375312B1 (ko) 미세전류 및 온열을 이용한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