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508A - 냉장고 및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508A
KR20230034508A KR1020210117327A KR20210117327A KR20230034508A KR 20230034508 A KR20230034508 A KR 20230034508A KR 1020210117327 A KR1020210117327 A KR 1020210117327A KR 20210117327 A KR20210117327 A KR 20210117327A KR 20230034508 A KR20230034508 A KR 20230034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abinet
refrigerator
interference protrus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용우
박호상
김태균
박완수
신연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7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4508A/ko
Priority to EP22864814.3A priority patent/EP4283225A1/en
Priority to CN202280021950.5A priority patent/CN117083496A/zh
Priority to PCT/KR2022/007107 priority patent/WO2023033305A1/ko
Priority to US17/826,795 priority patent/US11885554B2/en
Publication of KR20230034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4Refrigerator multi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냉장고 및 가전기기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마련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전기기를 개시한다. 냉장고는, 제1캐비닛을 포함하는 제1냉장고와, 제2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냉장고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제2냉장고와, 상기 제1캐비닛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2캐비닛에 설치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캐비닛의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한 제1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제1캐비닛의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가전기기{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냉장고 및 가전기기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시스템을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기기이다. 저장실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0 ~ 영하 30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저장실은 식품 출납을 위해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前面)은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냉장고는 저장실과 도어의 형태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될 수 있으며, 저장실이 수평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상측에 냉동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는 TMF(Top Mounted Freezer)형 냉장고와,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는 BMF(Bottom Mounted Freezer)형 냉장고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저장실이 수직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고 일 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며 타 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는 SBS(Side by Side)형 냉장고가 있으며, 저장실이 수평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며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되 냉장실은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FDR(French Door Refrigerator)형 냉장고가 있다.
최근에는 냉장고를 포함한 다양한 가전기기들의 외관이 서로 일체감을 갖도록 마련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가전기기들을 각각 이격되게 배치하기 보다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일체감 및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가전기기들 사이의 간격이 수시로 변하면, 상기한 일체감과 심미감 향상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가전기기들을 서로 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냉장고 및 가전기기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마련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냉장고 및 가전기기 중 어느 하나를 전방으로 인출할 때, 후방으로의 접근을 필요로 하지 않는 냉장고 및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냉장고 및 가전기기 중 어느 하나의 나머지 하나에 대한 전후방 이동을 허용하고, 측방 이동을 제한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한 쌍의 냉장고 및 가전기기의 후단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제1캐비닛을 포함하는 제1냉장고와, 제2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냉장고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제2냉장고와, 상기 제1캐비닛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2캐비닛에 설치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캐비닛의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한 제1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제1캐비닛의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이 좌우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제1캐비닛과 제2캐비닛을 결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 사이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를 유지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은 전후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방향은 좌우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1캐비닛의 후단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2캐비닛의 후단 타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과 분리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해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3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2캐비닛이 상기 제1캐비닛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과 분리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캐비닛이 상기 제1캐비닛에 대해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3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1캐비닛에 대한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 리브와 제2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1캐비닛의 후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1캐비닛에 대한 상기 제1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1캐비닛의 일 측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1캐비닛에 대한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한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제3가이드 리브와 제4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2캐비닛의 후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한 상기 제1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4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1캐비닛의 상기 일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2캐비닛의 일 측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한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은 제1간섭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간섭 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간섭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간섭 돌기와 상기 제2간섭 돌기는, 상기 제1브라켓 또는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제2브라켓 또는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2간섭 돌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간섭 돌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간섭 돌기가 상기 제2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간섭 돌기가 상기 제1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간섭 돌기가 상기 제2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한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이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간섭 돌기가 상기 제2홈으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한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상기 제2간섭 돌기가 상기 제1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한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간섭 돌기가 상기 제1홈으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한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간섭 돌기와 상기 제2간섭 돌기가 서로 간섭되었을 때, 상기 제1간섭 돌기와 상기 제2간섭 돌기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캐비닛의 측면과 상기 제2캐비닛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가전기기는, 제1캐비닛을 포함하는 제1가전기기와, 제2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전기기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제2가전기기와, 상기 제1캐비닛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캐비닛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으로서, 상기 제1브라켓과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한 제1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 사이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를 유지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은 제1간섭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간섭 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간섭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간섭 돌기와 상기 제2간섭 돌기는, 상기 제1브라켓 또는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제2브라켓 또는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2간섭 돌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간섭 돌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간섭 돌기가 상기 제2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간섭 돌기가 상기 제1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냉장고 및 가전기기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마련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전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냉장고 및 가전기기 중 어느 하나를 전방으로 인출할 때, 후방으로의 접근을 필요로 하지 않는 냉장고 및 가전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냉장고 및 가전기기 중 어느 하나의 나머지 하나에 대한 전후방 이동을 허용하고, 측방 이동을 제한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전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한 쌍의 냉장고 및 가전기기의 후단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전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가전기기가 나란하게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제1브라켓이 전방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서 제2브라켓이 전방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1브라켓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2브라켓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가전기기에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서 제1브라켓이 전방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 방향은 각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가전기기가 나란하게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가전기기는 동일한 구조의 냉장고(1, 2)로서, 하나의 도어(30, 40)를 포함하는 냉장고(1, 2)일 수 있다. 이와 달리, 한 쌍의 가전기기는 냉장고와 의류 관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전기기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제1냉장고와 제2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전기기는 냉장고 및 의류 관리기가 아닌 다른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가전기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가전기기의 일 예로서, 한 쌍의 냉장고(1, 2)에 대해 설명한다. 한 쌍의 냉장고(1, 2)는 제1냉장고(1)와 제2냉장고(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냉장고(1)와 제2냉장고(2)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냉장고(1)는 제1캐비닛(10)과, 제1캐비닛(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도어(3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냉장고(2)는 제2캐비닛(20)과, 제2캐비닛(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냉장고(1)와 제2냉장고(2)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냉장고(1)와 제2냉장고(2)를 단순히 나란히 배치하면, 제1냉장고(1)와 제2냉장고(2) 사이의 간격(g, 도 2 참조)이 변할 수 있다. 제1냉장고(1)와 제2냉장고(2)가 구조적으로 구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제1냉장고(1)와 제2냉장고(2)가 구조적으로 결합되지 않아 제1냉장고(1)와 제2냉장고(2) 사이의 간격이 변하면, 한 쌍의 냉장고(1, 2)가 일체감을 주지 못해 심미감과 사용자의 만족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1냉장고(1)는 제1브라켓(100)을 포함하고, 제2냉장고(2)는 제2브라켓(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이 결합됨으로써 제1냉장고(1)와 제2냉장고(2)가 구조적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냉장고(1)와 제2냉장고(2) 사이의 간격(g)이 유지될 수 있다. 제1냉장고(1)와 제2냉장고(2)가 구조적으로 페어링됨으로써 제1냉장고(1)와 제2냉ㅈ아고(2) 사이의 간격(g)이 유지되면, 한 쌍의 냉장고(1, 2)가 외관상 일체감을 줄 수 있고, 나아가,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이 분리됨으로써 제1냉장고(1)와 제2냉장고(2)의 페어링이 해제될 수 있다. 즉, 제1냉장고(1)와 제2냉장고(2)가 서로 간섭 없이 이동할 수 있다.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이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분리될 수 있어, 제1냉장고(1)만 수리를 위해 전방으로 인출하거나 제2냉장고(2)만 수리를 위해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품 수리 시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은 서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은, 서로 결합되었을 때, 서로에 대한 제1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방향은 전후 방향을 가리킬 수 있고, 제2방향은 좌우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이 결합되었을 때, 제1브라켓(100)의 제2브라켓(200)에 대한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제1브라켓(100)은 제2브라켓(200)과 좌우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제1간섭 돌기(140)와 제2간섭 돌기(240)가 서로 접촉하여 걸리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이 결합되었을 때, 제2브라켓(200)의 제1브라켓(100)에 대한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이 서로 결합하면,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제1캐비닛(10)과 제2캐비닛(20)이 서로 구속될 수 있다. 제1브라켓(100)이 제1캐비닛(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제2브라켓(200)이 제2캐비닛(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므로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의 구속으로 인해 제1캐비닛(10)과 제2캐비닛(20)이 구속될 수 있다. 이 때, 제1캐비닛(10)과 제2캐비닛(20)은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지 않는다.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이 결합되었을 때, 제1브라켓(100)의 제2브라켓(200)에 대한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지 않는다. 달리 표현하면, 제1브라켓(100)의 제2브라켓(200)에 대한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된다. 제1간섭 돌기(140)와 제2간섭 돌기(24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시 서로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에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이 결합되었을 때, 제2브라켓(200)의 제1브라켓(100)에 대한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도 2에서 제1브라켓이 전방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서 제2브라켓이 전방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이 결합되었을 때에도 제1브라켓(100)은 제2브라켓(20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브라켓(100)의 제2브라켓(200)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이 결합되었을 때에도 제2브라켓(200)은 제1브라켓(10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브라켓(200)의 제1브라켓(100)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는다.
종래에는 한 쌍의 가전기기를 구조적으로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스크류 체결 및 분리와 같은 별도의 과정을 필요로 하였다. 예를 들면, 제1가전기기의 후측과 제2가전기기의 후측을 연결하기 위해, 브라켓의 일 측을 제1가전기기의 후면에 결합하고, 브라켓의 타 측을 제2가전기기의 후면에 결합하였다. 이 때, 브라켓과 제1가전기기의 후면 및 브라켓과 제2가전기기의 후면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었다.
상기한 구조로 인해, 종래에는 구조적으로 결합된 제1가전기기와 제2가전기기 중 어느 하나를 전방으로 인출할 때, 제1가전기기와 제2가전기기의 후방으로 접근하여 상기 체결부재를 분리해야 했다. 일반적으로, 한 쌍의 가전기기가 구조적으로 결합된 이후에는 후방이 폐쇄된 소정의 공간에 삽입되기 때문에 한 쌍의 가전기기에 대한 후방으로의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 이로 인해, 제1가전기기와 제2가전기기를 전부 전방으로 인출한 이후, 상기 체결부재를 분리하고, 제1가전기기를 교체 또는 수리하거나 제2가전기기를 교체 또는 수리해야 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1가전기기인 제1냉장고(1)와 제2가전기기인 제2냉장고(2)를 결합 및 분리함에 있어 별도의 체결부재를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1브라켓(100)을 제1캐비닛(10)에 설치할 때와, 제2브라켓(200)을 제2캐비닛(20)에 설치할 때에는 체결부재를 이용한 결합이 필요하지만,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 사이의 결합 및 분리에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제1냉장고(1) 옆에 제2냉장고(2)를 인입하거나, 제2냉장고(2) 옆에 제1냉장고(1)를 인입시킴으로써 제1냉장고(1)의 후측과 제2냉장고(2)의 후측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가전기기와 제2가전기기를 나란히 배치 및 결합할 때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결합된 제1가전기기와 제2가전기기 중 어느 하나를 전방으로 인출할 때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1브라켓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2브라켓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브라켓(100)은 제1캐비닛(10)의 상면(11, 도 3 참조)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바디(110)와, 제1바디(110)의 제1캐비닛(10)에 대한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 리브(130) 및 제2가이드 리브(120)와, 제1간섭 돌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브라켓(100)은 제1간섭 돌기(140)와 제1바디(110)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141)와, 제1간섭 돌기(140)와 제1연결부(141) 및 제1바디(110)에 의해 형성되는 제1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10)는 제1캐비닛(10)의 상면(11)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바디(110)는 제1바디(11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제1체결홀 내지 제3체결홀(111, 112,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홀 내지 제3체결홀(111, 112, 113)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미도시)는 제1체결홀 내지 제3체결홀(111, 112, 113)을 관통하여 제1캐비닛(10)의 상면(11)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가 제1체결홀 내지 제3체결홀(111, 112, 113)을 관통하여 제1캐비닛(10)의 상면(11)에 결합됨으로써 제1브라켓(100)이 제1캐비닛(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캐비닛(10)의 상면(11)에는 별도의 체결홀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1가이드 리브(130) 및 제2가이드 리브(120)를 이용해 제1브라켓(100)을 소정의 결합 위치에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가 제1체결홀 내지 제3체결홀(111, 112, 113)을 관통하여 제1캐비닛(10)에 결합됨으로써 제1브라켓(100)이 제1캐비닛(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브라켓(100)은 제1가이드 리브(130)와 제2가이드 리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리브(130)는 제1브라켓(100)의 제1캐비닛(10)에 대한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리브(130)는 제1캐비닛(10)의 후면(13, 도 3 참조)과 접촉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리브(130)가 제1캐비닛(10)의 후면(13)과 접촉함으로써 제1브라켓(100)의 전후 방향으로의 결합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이드 리브(130)는 제1바디(110)의 일 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리브(120)는 제1브라켓(100)의 제1캐비닛(10)에 대한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리브(120)는 제1캐비닛(10)의 측면(12, 도 3 참조)과 접촉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리브(120)가 제1캐비닛(10)의 측면(12)과 접촉함으로써 제1브라켓(100)의 좌우 방향으로의 결합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가이드 리브(120)는 제1바디(110)의 타 측면으로부터 연장 및 절곡되는 리브 연결부(121)의 일 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리브(130)와 제2가이드 리브(120)가 각각 제1캐비닛(10)의 후면(13)과 측면(12)에 접촉되었을 때, 제1브라켓(100)이 결합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제1브라켓(100)이 결합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를 이용해 제1브라켓(100)을 제1캐비닛(10)에 설치할 수 있다.
제1브라켓(100)은 제1간섭 돌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간섭 돌기(140)는 제1바디(110)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결부(141)의 단 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간섭 돌기(140)와 제2가이드 리브(120)는 평행한 두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간섭 돌기(140)와 제1연결부(141) 및 제1바디(110)는 제1홈(15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홈(150)은 제1브라켓(100)이 제1캐비닛(10)에 설치되었을 때,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홈(150)은 제1브라켓(100)이 제1캐비닛(10)에 설치되었을 때, 좌우 방향으로 제1바디(110)와 제1간섭 돌기(140)가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홈(150)에는 후술할 제2간섭 돌기(240)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홈(150)은 하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홈(150)과 제1간섭 돌기(140)는 제1연결부(141)의 하면의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브라켓(200)은 제2캐비닛(20)의 상면(21, 도 3 참조)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바디(210)와, 제2바디(210)의 제2캐비닛(20)에 대한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제3가이드 리브(230) 및 제4가이드 리브(220)와, 제2간섭 돌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브라켓(200)은 제2간섭 돌기(240)와 제2바디(210)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241)와, 제2간섭 돌기(240)와 제2연결부(241) 및 제2바디(210)에 의해 형성되는 제2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10)는 제2캐비닛(20)의 상면(21)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210)는 제4체결홀(214)을 포함하는 제1바디부(211)와, 제5체결홀(215)과 제6체결홀(216)을 포함하는 제2바디부(212)와, 제1바디부(211)와 제2바디부(212)를 연결하는 제3바디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부(211)와 제2바디부(212)는 제2캐비닛(20)의 상면(21)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3바디부(213)는 제2캐비닛(20)의 상면(2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체결홀 내지 제6체결홀(214, 215, 216)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미도시)는 제4체결홀 내지 제6체결홀(214, 215, 216)을 관통하여 제2캐비닛(20)의 상면(21)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가 제4체결홀 내지 제6체결홀(214, 215, 216)을 관통하여 제2캐비닛(20)의 상면(21)에 결합됨으로써 제2브라켓(200)이 제2캐비닛(2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캐비닛(20)의 상면(21)에는 별도의 체결홀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3가이드 리브(230) 및 제4가이드 리브(220)를 이용해 제2브라켓(200)을 소정의 결합 위치에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가 제4체결홀 내지 제6체결홀(214, 215, 216)을 관통하여 제2캐비닛(20)에 결합됨으로써 제2브라켓(200)이 제2캐비닛(2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브라켓(200)은 제3가이드 리브(230)와 제4가이드 리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가이드 리브(230)는 제2브라켓(200)의 제2캐비닛(20)에 대한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가이드 리브(230)는 제2캐비닛(20)의 후면(23, 도 3 참조)과 접촉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가이드 리브(230)가 제2캐비닛(20)의 후면(23)과 접촉함으로써 제2브라켓(200)의 전후 방향으로의 결합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가이드 리브(230)는 제1바디부(211)의 일 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231)과, 제2바디부(212)의 일 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부분(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가이드 리브(220)는 제2브라켓(200)의 제2캐비닛(20)에 대한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가이드 리브(220)는 제2캐비닛(20)의 측면(22, 도 3 참조)과 접촉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가이드 리브(220)가 제2캐비닛(20)의 측면(22)과 접촉함으로써 제2브라켓(200)의 좌우 방향으로의 결합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가이드 리브(220)는 제1바디부(211)의 일 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가이드 리브(220)는 제3가이드 리브(230)의 제1부분(231)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가이드 리브(230)와 제4가이드 리브(220)가 각각 제2캐비닛(20)의 후면(23)과 측면(22)에 접촉되었을 때, 제2브라켓(200)이 결합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제2브라켓(200)이 결합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를 이용해 제2브라켓(200)을 제1캐비닛(20)에 설치할 수 있다.
제2브라켓(200)은 제2간섭 돌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간섭 돌기(240)는 제2바디(210)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결부(241)의 단 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간섭 돌기(240)와 제4가이드 리브(220)는 평행한 두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간섭 돌기(240)와 제2연결부(241) 및 제2바디(210)는 제2홈(250)을 형성할 수 있다. 제2홈(150)은 제2브라켓(200)이 제2캐비닛(20)에 설치되었을 때,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홈(250)은 제2브라켓(200)이 제2캐비닛(20)에 설치되었을 때, 좌우 방향으로 제2바디(210)와 제2간섭 돌기(240)가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홈(250)에는 상기한 제1간섭 돌기(140)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홈(250)은 상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홈(250)과 제2간섭 돌기(240)는 제2연결부(241)의 상면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은 제1간섭 돌기(140)와 제2간섭 돌기(240)가 제1캐비닛(10)의 측면(22)과 제2캐비닛(20)의 측면(22)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간섭 돌기(140)와 제2간섭 돌기(240)가 서로 간섭되었을 때, 제1간섭 돌기(140)와 제2간섭 돌기(240)는 서로 마주보는 제1캐비닛(10)의 측면(12)과 제2캐비닛(20)의 측면(22) 사이(도 6의 점선과 점선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1브라켓(100) 및 제1캐비닛(10)이 제2브라켓(200) 및 제2캐비닛(20)의 전방으로 인출될 때, 제1브라켓(100)의 제1간섭 돌기(140) 및 제1연결부(141)가 제2캐비닛(20)의 상면(21)에 위치하는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브라켓(200) 및 제2캐비닛(20)이 제1브라켓(100) 및 제1캐비닛(10)의 전방으로 인출될 때, 제2브라켓(200)의 제2간섭 돌기(240) 및 제2연결부(241)가 제1캐비닛(10)의 상면(21)에 위치하는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가전기기에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서 제1브라켓이 전방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브라켓(300)과 제2브라켓(4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브라켓(100) 및 제2브라켓(200)과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브라켓(30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1브라켓(100)의 제1바디(110), 제1가이드 리브(130), 제2가이드 리브(120), 리브 연결부(121) 및 제1연결부(141)와 동일한 제1바디(310), 제1가이드 리브(330), 제2가이드 리브(320), 리브 연결부(321) 및 제1연결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브라켓(40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2브라켓(200)의 제2바디(220), 제3가이드 리브(230), 제4가이드 리브(220) 및 제2연결부(241)와 동일한 제2바디(420), 제3가이드 리브(430), 제4가이드 리브(420) 및 제2연결부(4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브라켓(300)은 제1간섭 돌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간섭 돌기(340)는 제2간섭 돌기(440)와 간섭되었을 때, 적어도 일부분(도 12의 오른쪽 점선의 우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제2캐비닛(20)의 상면(2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브라켓(400)은 원기둥 형상의 제2간섭 돌기(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간섭 돌기(440)는 제1간섭 돌기(340)와 간섭되었을 때, 적어도 일부분(도 12의 왼쪽 점선의 좌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제1캐비닛(10)의 상면(1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간섭 돌기(440)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1간섭 돌기(340)는 제2간섭 돌기(440)와 대응되도록 호 형상으로 함몰된 함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에는 제2간섭 돌기(4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1간섭 돌기(340)와 제2간섭 돌기(44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캐비닛(10)을 우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제2캐비닛(20)이 안정적으로 제1캐비닛(10)과 함께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캐비닛(20)을 좌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제1캐비닛(10)이 안정적으로 제2캐비닛(20)과 함께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1브라켓(100, 300)은 제1캐비닛(10)의 후단 일 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2브라켓(200, 400)은 제2캐비닛(20)의 후단 타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브라켓(100, 300)과 제2브라켓(200, 400)은 서로 결합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지 않도록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반면, 제1브라켓(100, 300)과 제2브라켓(200, 400)은 서로 결합되더라도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제1브라켓(100, 300)과 제2브라켓(200, 400)은 제1캐비닛(10)의 후측과 제2캐비닛(20)의 후측 사이의 좌우 방향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1캐비닛(10)의 전측과 제2캐비닛(20)의 전측을 결합하기 위해, 제1브라켓(100, 300) 및 제2브라켓(200, 400)과 상이한 별도의 브라켓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캐비닛(10)의 전면과 제2캐비닛(20)의 전면을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브라켓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들은 제1캐비닛(10)과 제2캐비닛(20)의 전방에서 접근이 용이하므로 체결부재에 의해 제1캐비닛(10)과 제2캐비닛(20)에 체결되더라도 이를 결합 또는 분리할 때 많은 시간과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2: 냉장고
10, 20: 본체
30, 40: 도어
100, 300: 제1브라켓
110, 310: 제1바디
130, 330: 제1가이드 리브
120, 320: 제2가이드 리브
140, 340: 제1간섭 돌기
150, 350: 제1홈
200, 400: 제2브라켓
210, 410: 제2바디
230, 430: 제3가이드 리브
220, 420: 제4가이드 리브
240, 440: 제2간섭 돌기
250, 450: 제2홈

Claims (20)

  1. 제1캐비닛을 포함하는 제1냉장고;
    제2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냉장고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제2냉장고;
    상기 제1캐비닛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2캐비닛에 설치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캐비닛의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한 제1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제1캐비닛의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이 좌우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제1캐비닛과 제2캐비닛을 결합시키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 사이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를 유지시키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전후 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좌우 방향인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1캐비닛의 후단 일 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2캐비닛의 후단 타 측에 결합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과 분리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해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3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과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2캐비닛이 상기 제1캐비닛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과 분리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캐비닛이 상기 제1캐비닛에 대해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3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1캐비닛에 대한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 리브와 제2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1캐비닛의 후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1캐비닛에 대한 상기 제1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제2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1캐비닛의 일 측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1캐비닛에 대한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한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제3가이드 리브와 제4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3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2캐비닛의 후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한 상기 제1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제4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1캐비닛의 상기 일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2캐비닛의 일 측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2캐비닛에 대한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제1간섭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간섭 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간섭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섭 돌기와 상기 제2간섭 돌기는, 상기 제1브라켓 또는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제2브라켓 또는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2간섭 돌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간섭 돌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간섭 돌기가 상기 제2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간섭 돌기가 상기 제1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섭 돌기가 상기 제2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한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브라켓이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간섭 돌기가 상기 제2홈으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한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냉장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섭 돌기가 상기 제1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한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간섭 돌기가 상기 제1홈으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한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냉장고.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섭 돌기와 상기 제2간섭 돌기가 서로 간섭되었을 때,
    상기 제1간섭 돌기와 상기 제2간섭 돌기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캐비닛의 측면과 상기 제2캐비닛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16. 제1캐비닛을 포함하는 제1가전기기;
    제2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전기기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제2가전기기;
    상기 제1캐비닛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캐비닛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으로서, 상기 제1브라켓과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한 제1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가전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 사이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를 유지시키도록 마련되는 가전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제1간섭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간섭 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간섭 돌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섭 돌기와 상기 제2간섭 돌기는, 상기 제1브라켓 또는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제2브라켓 또는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가전기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2간섭 돌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간섭 돌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간섭 돌기가 상기 제2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간섭 돌기가 상기 제1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가전기기.
KR1020210117327A 2021-09-03 2021-09-03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34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327A KR20230034508A (ko) 2021-09-03 2021-09-03 냉장고 및 가전기기
EP22864814.3A EP4283225A1 (en) 2021-09-03 2022-05-18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CN202280021950.5A CN117083496A (zh) 2021-09-03 2022-05-18 冰箱和家用电器
PCT/KR2022/007107 WO2023033305A1 (ko) 2021-09-03 2022-05-18 냉장고 및 가전기기
US17/826,795 US11885554B2 (en) 2021-09-03 2022-05-27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327A KR20230034508A (ko) 2021-09-03 2021-09-03 냉장고 및 가전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508A true KR20230034508A (ko) 2023-03-10

Family

ID=8541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327A KR20230034508A (ko) 2021-09-03 2021-09-03 냉장고 및 가전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4508A (ko)
WO (1) WO202303330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7060U (ko) * 1974-10-04 1976-04-07
KR850002181Y1 (ko) * 1983-04-30 1985-10-07 주식회사금성사 냉장고 횡방향 결합장치
KR100202605B1 (ko) * 1996-12-11 1999-06-15 구자홍 업소용 주문형 냉장고
JP2005042937A (ja) * 2003-07-22 2005-02-17 Sharp Corp セパレート型冷却庫
DE102005021608A1 (de) * 2005-05-10 2006-11-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Mehrteiliges Haushalts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3305A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9286B2 (en) Refrigerator
US10619911B2 (en) Refrigerator
US20200326119A1 (en) Refrigerator
US9709316B2 (en) Spring loaded mullion for french door refrigerator
US9568239B2 (en) Refrigerator
US8721014B2 (en) Refrigerator
CN112304007A (zh) 带有开门止挡结构的冰箱
US20220290913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storage box
AU2018206195A1 (en) Refrigerator
AU2021215170B2 (en) Refrigerator
KR20230034508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EP4283225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20220034577A1 (en) Multi-joint link hing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1717525B1 (ko) 냉장고
US11732956B2 (en) Refrigerator having wiring mechanism
US20150145400A1 (en) Refrigerator
KR20210075783A (ko) 냉장고
KR20060086587A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CN105276901A (zh) 家用电器
US20240077247A1 (en) Refrigerator
US20230204282A1 (en) Refrigerator
EP4283228A1 (en) Refrigerator
KR20210156160A (ko) 도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30101423A (ko) 냉장고
KR20240052562A (ko)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