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964A -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설정 유지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설정 유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964A
KR20230033964A KR1020210116979A KR20210116979A KR20230033964A KR 20230033964 A KR20230033964 A KR 20230033964A KR 1020210116979 A KR1020210116979 A KR 1020210116979A KR 20210116979 A KR20210116979 A KR 20210116979A KR 20230033964 A KR20230033964 A KR 20230033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sharer
information
sharing device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석
이지영
김규헌
정희원
노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116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964A/ko
Publication of KR2023003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Leader-follow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2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with access to wired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설정 유지 방법이 개시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은 광역 통신망, 상기 광역 통신망에 연결되는 제1 컨트롤러 공유기, 및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와 연동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제어를 받는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는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가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변경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는 상기 저장된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를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에서 전송되는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로 재설정된다.

Description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설정 유지 방법{MESH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MAINTAING SETTING THEREOF}
본 명세서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억세스 포인트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설정을 자동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이 겪는 스트레스 중 하나는 불안정한 와이파이이다. 특히, 와이파이를 이용 중인 사용자가 댁 내 음영 지역에 있거나 음영 지역을 지나가게 되면 와이파이 신호가 뚝 떨어지고, 웹 페이지 링크를 누르면 반응이 없다가 찾을 수 없는 페이지를 만난 경험은 누구나 가지고 있다. 한참 게임을 즐기고 있는데 인터넷 연결이 끊겼다는 메시지라도 나오면 스트레스가 높아진다. 이처럼 일상의 대부분을 스마트 폰에 의지하는 요즘 느리거나 끊기는 와이파이는 사용자의 불만과 불편함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또한, 커넥티드 기기가 급증하면서 사용자들은 IoT (Internet Of Things) 기기와 스마트홈 제품을 비롯해 여러 대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효과적인 방식으로 집 안팎에서 안정적인 와이파이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들 중 하나가 와이파이 이지메시(easymesh)(또는 이지메시 와이파이 또는 이지메시 네트워크라고도 함)이다.
와이파이 이지메시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에서 관리하는 인증 규격 중 하나이며, 이 규격에서는 억세스 포인트(AP)간의 메시지 프로토콜에 대한 정의를 하고 있다. 즉, 이것은 와이파이의 메시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이지메시(Easymesh) 규격(즉, 멀티 억세스 포인트 네트워크를 설정 및 관리하는 규격) 기술이다. 억세스 포인트(AP)는 라우터 또는 공유기라 칭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이지메시 규격은 여러 대의 AP들을 하나의 AP처럼 연결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메인 인터넷 회선에 연결되는 메시(mesh) AP(이를 컨트롤러 또는 컨트롤러 AP라 칭함)를 설치하고, 와이파이 신호가 떨어지는 곳에 추가로 메시 AP(이를 에이전트 또는 에이전트 AP라 칭함)를 설치하면 두 AP들이 서로 무선 통신을 하며 와이파이를 공유한다. 이때, 추가 설치한 메시 AP(즉, 에이전트 AP)가 와이파이 증폭기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와이파이 확장이 필요한 곳에 메시 AP(에이전트 AP)를 추가로 설치해 와이파이 신호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즉, 메시 AP를 이용하여 메시 네트워크를 구성하면 메시 AP를 추가 설치하더라도 원래 속도를 최대한 유지한 채 와이파이 신호를 확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시 네트워크에서 메시 AP와 메시 AP는 전용 데이터 스트림, 즉 백홀(backhaul)로 연결되므로 AP가 늘어나도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와이파이를 이용 중인 사용자가 이동시 연결된 AP(핫스팟)가 바뀌더라도 끊김이 없으며, SSID(Service Set Identifier, 와이파이 고유 식별 이름 또는 무선랜 연결 이름이라 함)도 하나로 공유되므로 이용이 편리하다. 즉, 와이파이 익스텐더는 와이파이 고유 식별 이름인 SSID가 AP마다 달라서 사용자가 한 AP의 범위를 넘어서 이동하게 된다면 다른 AP의 SSID를 선택하여 다시 네트워크에 접속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반해, 와이파이 이지메시에서 여러 대의 메시 AP들이 메시 네트워크로 묶이면 SSID가 1개로 통합되어, 사용자가 어디를 이동해도 동일한 SSID로 와이파이 접속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댁내의 넓은 공간에서 메시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해 3대의 AP들(예, AP1, AP2, AP3)을 설치한 경우, 사용자가 이동 할 때 AP1, AP2, AP3에 무선 접속을 매번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같은 무선 접속 SSID를 사용하여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지메시의 기술이 적용된 AP는 댁내에서 편안하게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초기 설정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 와이파이 IoT, 와이파이 가전 등의 클라이언트 등록 과정은 여전히 번거로움으로 남아 있다.
한편, 와이파이 이지메시를 사용하는 중에 컨트롤러 AP(또는 메인 AP라 함)를 변경(즉, 교체)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AP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등이 해당된다.
그런데, 컨트롤러 AP가 변경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던 무선 접속 정보(예, SSID와 패스워드)가 모두 변경되게 된다. 그리고, 기존에 사용하던 무선 접속 정보가 변경되게 되면, 사용하고 있던 에이전트 AP들과 디바이스들(또는 클라이언트들이라 함)의 설정을 새로 하여 재등록/접속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즉, 이지메시 기술이 적용된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무선 접속 정보는 컨트롤러 AP(즉, 마스터 또는 메인 AP라 함)에서 에이전트 AP라고 불리는 하위 AP(또는 슬레이브 AP라고 함)로 설정 방향이 정해져 있다. 그로 인해, 컨트롤러 AP가 변경될 경우 하위의 모든 에이전트 AP들과 네트워크에 접속된 클라이언트들(즉, 디바이스들)의 설정을 새로 해주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에이전트 AP 개수가 많을수록, 또는 클라이언트 개수가 많을수록 설정 과정이 반복되므로, 설정 시간이 길어지고 사용자의 불편함도 커지게 된다.
본 명세서는 전술한 문제점 및 이와 연관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컨트롤러 AP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메시 네트워크 내의 모든 클라이언트들의 설정을 바꾸지 않고 자동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컨트롤러 AP가 변경되는 경우에 에이전트 AP로부터 받은 기존의 컨트롤러 AP 정보를 변경된 컨트롤러 AP에 설정시킴으로써, 컨트롤러 AP가 변경되더라도 메시 네트워크 내의 모든 클라이언트들의 설정을 바꾸지 않고도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전술한 기술적 과제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문서 전체 내용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유추할 수 있는 다른 기술적 과제로 실시예들의 권리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다른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컨트롤러 공유기와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를 포함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정 유지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에서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가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변경되는지를 인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가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변경되었다고 인지되면 상기 저장된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를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는 기존 백홀 정보로 재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는 M1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전송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저장된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는 M1 메시지의 벤더 특정 필드(vendor specific field)에 포함되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전송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에서 전송한 AP-autoconfiguration 응답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가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변경되는지를 인지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컨트롤러 공유기와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를 포함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정 유지 방법은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가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변경된 후,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로부터 M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M1 메시지에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M1 메시지에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는 상기 제2 컨트롤러 정보로 재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M1 메시지에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는 초기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는 상기 M1 메시지의 벤더 특정 필드(vendor specific field)에 포함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정 유지 방법은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가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로 재설정되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를 재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는 M2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은 광역 통신망, 상기 광역 통신망에 연결되는 제1 컨트롤러 공유기, 및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와 연동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제어를 받는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는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가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변경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는 상기 저장된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를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에서 전송되는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로 재설정된다.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가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변경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는 기존 백홀 정보로 재설정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저장된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는 M1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전송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저장된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는 M1 메시지의 벤더 특정 필드(vendor specific field)에 포함되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전송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가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로 재설정되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는 재시작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는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로 전송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는 M2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변형 실시예들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전반적인 취지를 통해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추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트롤러 AP가 변경되는 경우에 에이전트 AP로부터 받은 기존의 컨트롤러 AP 정보를 변경된 컨트롤러 AP에 설정시킴으로써, 컨트롤러 AP가 변경되더라도 메시 네트워크 내의 모든 클라이언트들의 설정을 바꾸지 않고도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트롤러 AP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최초 1회에 설정한 메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서 AP 하드웨어 변경만 하고 와이파이 접속 통신을 유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네트워크, AP 설정 기술이 없더라도 간편하게 하드웨어(HW)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명시적으로 언급한 기술적 효과 이외에, 본 명세서 전체 기재를 통해 당업자에게 자명한 효과도 추론할 수 있다.
도면은 실시예들을 더욱 이해하기 위해서 포함되며, 도면은 실시예들에 관련된 설명과 함께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와이파이 이지메시가 적용된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예시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공유기의 예시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이지메시 초기 연결 설정 방법의 예시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컨트롤러 AP에서 온보딩을 수행하는 방법의 예시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에이전트 AP에서 온보딩을 수행하는 방법의 예시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컨트롤러 AP 변경 후 컨트롤러 AP와 에이전트 AP의 동작 방법의 예시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그 예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구현될 수 있는 실시예들만을 나타내기보다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세부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세부 사항 없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용어는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것들에서 선택되지만, 일부 용어는 출원인에 의해 임의로 선택되며 그 의미는 필요에 따라 다음 설명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어의 단순한 명칭이나 의미가 아닌 용어의 의도된 의미에 근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은 구체적으로 기술된 실시예들에만 국한되어 해석되지 않고,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들과 균등하거나, 대체 가능한 것들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와이파이 이지메시가 적용된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예시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은 게이트웨이(100), 하나 이상의 멀티 AP들(110-130), 및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111-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이 홈에 구성될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100)는 홈 게이트웨이(HGW)일 수 있다.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WAN(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와 홈 네트워크 사이의 브리지이다.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외부 망과 내부 망 사이에 위치하여 가입자 회선(local loop)을 가정 내의 망과 연결한다.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가입자 망의 종단역할을 수행하는 AGM(Access Gateway Module)과 홈 네트워킹의 종단 역할을 수행하는 PNM(Premise Network Module), AGM과 PNM과 기타 내부장치 또는 스위치(S/W) 사이의 중재역할을 수행하는 IDI(Internal Digital Interface), 전체 시스템을 관리하는 운영체제, 그리고 기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SM(Service Module)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가입자별 구성에 따라 유선 홈게이트웨이 유/무가 다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멀티 AP들(110-130)은 유/무선이 가능하며, 제1 AP(110), 제2 AP(120), 제3 AP(130)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은 제1 AP(110)가 컨트롤러 AP(또는 컨트롤러라 칭함)이고, 제2 AP(120)와 제3 AP(130)가 에이전트 AP들(또는 에이전트들이라 칭함)인 예시이다. 즉, 제1 AP(110)는 게이트웨이(100)를 통해 WAN에 연결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트롤러 AP는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AP들을 컨트롤한다. 이때, AP는 컨트롤러 AP가 될 수 있는 AP가 있고, 또는 컨트롤러 AP의 제어를 받는 에이전트 AP만 되는 AP가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 AP가 될 수 있는 AP는 에이전트 AP도 가능하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AP(110)와 제3 AP(130)는 컨트롤러 AP와 에이전트 AP 모두 가능한 메시 AP라고 가정한다.
도 1에서는 2개의 에이전트 AP들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개수의 에이전트 AP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110-130)은 인터넷 TV, 스마트 TV, 냉장고, 세탁기, 식기세척기, 개인 컴퓨터, 전화, 이동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개인 정보 단말기(PDA), 스마트 폰,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110-130)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들 또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기기들이라 칭하기로 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트롤러 AP(110)는 에이전트 AP들이 연결된 네트워크를 관리한다. 상기 컨트롤러 AP(110)는 상기 게이트웨이(100)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네트워크 어디에든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트롤러 AP(110)는 에이전트 AP들(120, 130)을 네트워크에 온보딩(onboarding)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트롤러 AP(110)는 네트워크 내의 에이전트 AP들(120, 130)로부터 메트릭과 성능 데이터를 수신하고 운영 채널, 데이터 플로우 토폴로지, 에이전트 AP들 간 클라이언트 로밍과 같은 에이전트 AP들의 운영 조건을 컨트롤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이전트 AP들(120, 130)은 각 공간에 배치되어 컨트롤러 AP(110)로부터 받은 명령을 실행하고, 컨트롤러 AP(110)와 메시 네트워크 내의 다른 에이전트 AP들에게 측정 및 기능을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에이전트 AP들(120, 130)은 클라이언트들(111-131)에 와이파이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111-131)은 메시 네트워크에서 프론트홀(fronthaul)이라 부르는 표준 와이파이 연결을 통해 AP로 연결된다. 그런 다음 해당 AP는 백홀(backhaul) 링크를 통해 해당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프론트홀 및 백홀 링크는 성능 향상을 위해 각 AP가 제공하는 기능에 따라 별도의 라디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제1 디바이스(111)는 제1 AP(110)로, 제2 디바이스(121)는 제2 AP(120)로, 제3 디바이스(131)는 제3 AP(130)로 연결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AP의 예시를 보인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AP 내지 제3 AP (110-130) 각각은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AP는 입력부, 프로세서, 통신부, 메모리 및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AP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서는 통신부 및 메모리를 제어한다.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모듈(예컨대 WiFi)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다른 AP 및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SSID와 패스워드를 저장할 수 있으며, AP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WPS(WiFi Protected Setup) 푸시 버튼(push butt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AP간 연결을 위해 WPS 푸시 버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AP의 동작 상태나 수행하고 있는 프로세스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각 AP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AP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더 포함되거나 또는 일부가 도 2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이지메시 초기 연결 설정(onboarding) 방법의 예시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의 이지메시 초기 연결 설정(onboarding) 과정은 각 AP의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온보딩은 AP 및/또는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조인하여 네트워크에 안전한 데이터 링크 연결을 생성하는 프로세스이다.
본 명세서에서 컨트롤러 AP와 에이전트 AP는 WPS 푸시 버튼을 이용하여 온보딩을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다시 말해, 온보딩은 컨트롤러 AP에 에이전트 AP를 추가하기 위한 과정이다. 그리고, 에이전트 AP를 추가할 때마다 온보딩 과정(즉, 초기 연결 과정)은 반복 수행된다.
즉, 도 3은 WPS 푸시 버튼을 이용하여 AP간의 와이파이 연결을 수행하는 예시를 보인다. WPS 연결 방식은 와이파이 연결을 시도하는 장치가 PBC (Push Button Configuration) 방식을 이용한 버튼의 입력 또는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방식을 이용한 PIN 정보의 입력을 통해서, 손쉽게 와이파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AP에 해당하는 제1 AP(110)에 에이전트 AP에 해당하는 제2 AP(120)를 무선 연결하여 제2 AP(120)를 제1 AP(110)에 등록한다고 가정한다. 이를 위해 먼저, WPS 푸시 버튼을 입력하여(S301), 제1 AP(110)와 제2 AP(120)를 무선 연결한다(S302).
단계(S302)에서 제1 AP(110)와 제2 AP(120)간에 무선 연결이 이루어지면, 프론트홀 연결을 위해 제2 AP(120)는 association 요청을 제1 AP(110)에 전송한다(S303). 이때, 상기 association 요청에 백홀 STA(station)을 표시하여 서브엘레먼트로서 전송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제1 AP(110)에서 association 요청에 따른 association 응답(response)을 전송하면(S304), 제1 AP(110)와 제2 AP(120) 간에 프런트홀 연결이 이루어진다(S305).
단계(S305)에서 프론트홀 연결이 이루어지면, 제1 AP(110)는 백홀 접속 정보를 제2 AP(120)로 전송한다(S306). 상기 백홀 접속 정보는 프론트홀/백홀 BSS(Basic Service Set) 접속 정보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단계(S306)에서 백홀 접속 정보가 전송되면, 백홀 접속을 위해 제1 AP(110)는 제2 AP(120)와 무선 연결을 해제한 후(S307), 다시 무선 연결한다(S308).
단계(S308)에서 제1 AP(110)와 제2 AP(120)간에 무선 연결이 다시 이루어지면, 백홀 연결을 위해 제2 AP(120)는 association 요청을 제1 AP(110)로 전송한다(S309). 그리고 제1 AP(110)에서 association 요청에 따른 association 응답(response)을 전송하면(S310), 제1 AP(110)와 제2 AP(120) 간에 백홀 연결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추가 AP의 무선 접속 및 백홀 접속 정보 전달 과정이 수행되면(단계 S301 내지 단계 S310), 컨트롤러 AP와 추가 AP(즉, 에이전트 AP) 컨피규레이션 설정을 위해 제2 AP(120)는 AP-autoconfiguration 탐색 메시지를 제1 AP(110)로 전송한다(S311). 제1 AP(110)는 상기 AP-autoconfiguration 탐색 메시지에 따른 AP-autoconfiguration 응답 메시지를 제2 AP(120)로 전송한다(S312).
단계(S312)에서 AP-autoconfiguration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2 AP(120)는 AP autoconfiguration WSC(Wi-Fi Simple Configuration) M1 메시지를 제1 AP(110)로 전송하고(S313), 제1 AP(110)는 AP autoconfiguration WSC M2 메시지를 제2 AP(120)로 전송한다(S314).
상기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는 제2 AP(120) 즉, 에이전트 AP의 컨피규레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AP autoconfiguration WSC M2 메시지는 제1 AP(110)의 정보 즉, 컨트롤러 AP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는 제1 AP(110)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AP autoconfiguration WSC M2 메시지는 제2 AP(120)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보딩이 완료되면 제1 AP(110)와 제2 AP(120)는 각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에이전트 AP의 추가를 원하면 예를 들어, 제3 AP(130)의 추가를 원하면, 전술한 단계 S310 내지 단계 S314를 반복 수행한다. 즉, 에이전트 AP 추가시마다 초기 연결 과정(즉, 온보딩)을 반복 수행한다.
실시예들에 따라 제2 AP(120)와 제3 AP(130)에 대해 초기 연결 과정이 수행되면, 도 1과 같이 제1 AP(110)와 제2 AP(120) 간에 그리고 제1 AP(110)와 제3 AP(130) 간에 유/무선 통신이 가능해진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AP(110)는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하고 필요에 따라 에이전트 AP들(120,130)들의 라디오를 재구성하여 네트워크 운영을 최적화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AP(110) 내지 제3 AP(130)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메시 네트워크에 온보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연결 설정이 완료되어 메시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는 AP간 메시지 통신으로 변경 사항이 적용된다.
즉, 초기 연결 설정이 된 이후에 제1 AP(110)에서 설정을 변경하면 메시지 통신을 통해 제2 AP(120)와 제3 AP(130)에 설정 내용이 적용된다.
다음은 고장 등의 사유로 컨트롤러 AP를 변경(즉, 교체)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하위의 모든 에이전트 AP들과 여기에 접속된 디바이스들(즉, 클라이언트들)의 설정을 새로 해주는 대신, 변경된 컨트롤러 AP의 설정을 기존 컨트롤러 AP의 정보로 변경하도록 한다. 따라서, 컨트롤러 AP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하위의 모든 에이전트 AP들과 접속된 디바이스들(즉, 클라이언트들)의 설정을 변경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구성에서 컨트롤러 AP를 제1 AP(110)에서 제3 AP(130)로 변경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3 AP(130)의 설정은 기존의 컨트롤러 AP였던 제1 AP(110)의 정보로 변경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이전트 AP는 컨트롤러 AP가 전송하는 AP-autoconfiguration 응답 메시지를 통해 컨트롤러 AP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컨트롤러 AP가 변경되었다고 확인되면, 에이전트 AP는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에 변경 전 컨트롤러 AP 정보 즉, 기존 컨트롤러 AP 정보를 포함하여 변경된 컨트롤러 AP로 전송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 컨트롤러 AP 정보는 벤더 특정 필드(vendor specific field)에 시그널링된 후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변경된 컨트롤러 AP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vendor specific field에 시그널링되는 기존 컨트롤러 AP 정보는 도 3의 단계(S314)에서 받은 AP autoconfiguration WSC M2 메시지 전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필요한 기본 정보만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경된 컨트롤러 AP는 에이전트 AP로부터 전송된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에 기존 컨트롤러 AP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기존 컨트롤러 AP 정보로 재설정을 수행한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컨트롤러 AP에서 온보딩을 수행하는 방법의 예시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4의 컨트롤러 AP는 새로 변경된 컨트롤러 AP(예, 제3 AP(130))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도 4의 온보딩 과정은 새로 변경된 컨트롤러 AP의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컨트롤러 AP의 프로세서는 에이전트 AP로부터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가 수신되면(S401), 상기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에 기존 컨트롤러 AP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402).
단계(S402)에서 상기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에 기존 컨트롤러 AP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확인되면, 컨트롤러 AP의 프로세서는 기존 컨트롤러 AP의 정보로 변경된 컨트롤러 AP를 재설정한다(S403). 즉, 에이전트 AP의 컨피규레이션을 사용하여 컨트롤러 AP의 재설정을 수행한다. 이는 기존 연결 설정으로 컨트롤러 AP 설정을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S405)로 진행하여 온보딩을 완료한다.
한편, 단계(S402)에서 상기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에 기존 컨트롤러 AP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면, 도 3과 같은 온보딩 절차를 수행하여(S404), 온보딩을 완료한다(S405). 즉, 기존 컨트롤러 AP 정보가 없으면 초기 연결 설정 과정으로 컨트롤러 AP를 설정한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에이전트 AP에서 온보딩을 수행하는 방법의 예시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5의 에이전트 AP는 제2 AP(120)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도 5의 에이전트 AP의 온보딩 과정은 에이전트 AP의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에이전트 AP의 프로세서는 컨트롤러 AP로부터 AP-autoconfiguration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S501), 상기 AP-autoconfiguration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컨트롤러 AP가 기존에 사용하던 컨트롤러 AP인지를 확인한다(S502).
단계(S502)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컨트롤러 AP가 아니라고 즉, 컨트롤러 AP가 변경되었다고 확인되면, 에이전트 AP의 프로세서는 변경 전 컨트롤러 AP 정보 즉, 기존 컨트롤러 AP 정보를 포함하는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를 변경된 컨트롤러 AP로 전송한다(S503). 기존 컨트롤러 AP 정보는 에이전트 AP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 컨트롤러 AP 정보는 vendor specific field에 시그널링된 후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변경된 컨트롤러 AP로 전송된다.
그리고, 해당 에이전트 AP는 기존 백홀 정보로 재설정한 후(S504), 온보딩 절차를 완료한다(S506).
단계(S502)에서 상기 AP-autoconfiguration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컨트롤러 AP가 기존에 사용하던 컨트롤러 AP라고 확인되면, 도 3과 같은 온보딩 절차를 수행하여(S505), 에이전트 AP의 온보딩 절차를 완료한다(S506). 즉, 기존에 사용하던 컨트롤러 AP이면, 초기 연결 설정 과정으로 해당 에이전트 AP를 설정한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컨트롤러 AP 변경 후 컨트롤러 AP와 에이전트 AP의 동작 방법의 예시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의 컨트롤러 AP 변경 후 컨트롤러 AP와 에이전트 AP의 동작 방법은 각 AP의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AP인 제1 AP(110)와 에이전트 AP인 제2 AP(120)가 연동 중에 컨트롤러 AP를 제1 AP(110)에서 제3 AP(130)로 교체하였다고 가정한다(S601). 이때, 에이전트 AP 즉, 제2 AP(120)는 기존 컨트롤러 AP의 컨피규레이션 저장 공간 백업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도 WPS 푸시 버튼을 입력하여, 제3 AP(130)와 제2 AP(120)를 무선 연결한다(S602).
단계(S602)에서 제3 AP(130)와 제2 AP(120)간에 무선 연결이 이루어지면, 프론트홀 연결을 위해 제2 AP(120)는 association 요청을 제3 AP(130)로 전송한다(S603). 이때, 상기 association 요청에 백홀 STA(station)을 표시하여 서브엘레먼트로서 전송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제3 AP(130)에서 association 요청에 따른 association 응답(response)을 전송하면(S604), 제3 AP(130)와 제2 AP(120) 간에 프런트홀 연결이 이루어진다(S605).
단계(S605)에서 프론트홀 연결이 이루어지면, 제3 AP(130)는 백홀 접속 정보를 제2 AP(120)로 전송한다(S606). 상기 백홀 접속 정보는 프론트홀/백홀 BSS(Basic Service Set) 접속 정보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단계(S606)에서 백홀 접속 정보가 전송되면, 백홀 접속을 위해 제3 AP(130)는 제2 AP(120)와 무선 연결을 해제한 후(S607), 다시 무선 연결한다.
제3 AP(130)와 제2 AP(120)간에 무선 연결이 다시 이루어지면, 백홀 연결을 위해 제2 AP(120)는 association 요청을 제3 AP(130)로 전송한다(S608). 그리고, 제2 AP(120)는 AP-autoconfiguration 탐색 메시지를 제3 AP(130)로 전송한다(S609). 제3 AP(130)는 상기 AP-autoconfiguration 탐색 메시지에 따른 AP-autoconfiguration 응답 메시지를 제2 AP(120)로 전달한다(S610).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AP(120)는 단계(S610)에서 AP-autoconfiguration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컨트롤러 AP가 기존에 사용하던 컨트롤러 AP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2 AP(120)는 AP-autoconfiguration 응답 메시지를 기반으로 컨트롤러 AP의 교체를 인지할 수 있다.
위에서, 컨트롤러 AP가 제1 AP(110)에서 제3 AP(130)로 교체되었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제2 AP(120)는 변경 전 컨트롤러 AP 정보 즉, 제1 AP(110)의 정보를 포함하는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를 제3 AP(130)로 전송한다(S611).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 컨트롤러 AP 정보(즉, 제1 AP(110)의 정보)는 vendor specific field에 시그널링된 후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변경된 컨트롤러 AP(즉, 제3 AP(130))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vendor specific field에 시그널링되는 기존 컨트롤러 AP 정보는 도 3의 단계(S314)에서 받은 AP autoconfiguration WSC M2 메시지 전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필요한 기본 정보만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S610)는 도 5의 단계(S501)에 대응하고, 단계(S611)는 도 5의 단계(S503)에 대응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제2 AP(120)는 백홀 정보를 기존 백홀 정보(즉, 컨트롤러 AP로 전달한 정보)로 변경(즉, 재설정)하고 재시작한다.
한편, 컨트롤러 AP(즉, 제3 AP(130))는 컨트롤러 AP 정보를 제2 AP(120)에서 전송한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에 포함된 기존 컨트롤러 AP 정보로 변경(즉, 재설정)하고 재시작한다.
제3 AP(130)와 제2 AP(120)가 재시작된 후, 제2 AP(120)는 백홀 연결을 위해 association 요청을 제3 AP(130)로 전송한다(S612). 그리고 제2 AP(120)는 AP-autoconfiguration 탐색 메시지를 제3 AP(130)로 전송한다(S613). 제3 AP(130)는 상기 AP-autoconfiguration 탐색 메시지에 따른 AP-autoconfiguration 응답 메시지를 제2 AP(120)로 전달한다(S614).
단계(S614)에서 AP-autoconfiguration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2 AP(120)는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를 제3 AP(130)로 전송하고(S615), 제3 AP(130)는 AP autoconfiguration WSC M2 메시지를 제2 AP(120)로 전송한다(S616).
상기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는 제2 AP(120) 즉, 에이전트 AP의 컨피규레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AP autoconfiguration WSC M2 메시지는 제3 AP(130)의 정보 즉, 변경된 컨트롤러 AP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AP autoconfiguration WSC M1 메시지는 제3 AP(130)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AP autoconfiguration WSC M2 메시지는 제2 AP(120)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또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aspect)로서, 앞서 설명한 제안 또는 발명의 동작이 "컴퓨터"(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에 의해 구현, 실시 또는 실행될 수 있는 코드 또는 상기 코드를 저장 또는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얩, Application),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product) 등으로도 제공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상기 코드 또는 상기 코드를 저장 또는 포함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확장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술된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술된 각 모듈/블락/유닛들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이 제시하는 방법들은 코드로서 실행될 수 있다. 이 코드는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쓰여질 수 있고, 따라서 장치(apparatus)가 제공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부"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실시예들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실시예들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실시예들의 장치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것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칩, 예를 들면 하나의 하드웨어 서킷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요소들은 각각 별도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 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방법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작/방법들을 수행시키거나, 수행시키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의 방법/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구성된 일시적이지 않은 CRM 또는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에 저장될 수 있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구성된 일시적인 CRM 또는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RAM 등)뿐 만 아니라 비휘발성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PROM등을 전부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반송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다양한 엘리먼트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것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다양한 엘리먼트는 하드웨어 회로와 같은 싱글 칩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실시예들은 선택적으로 개별적인 칩들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실시예들의 엘리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을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처리/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본 문서에서 설명한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컨트롤러 AP 등으로 지칭 가능하다. 실시예들에 동작들은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조합은 프로세서에 저장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위 용어들에 의해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에 불과하다. 것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인풋 시그널은 제2사용자 인풋 시그널로 지칭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사용자 인풋 시그널은 제1사용자 인풋 시그널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의 사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제1사용자 인풋 시그널 및 제2사용자 인풋 시그널은 모두 사용자 인풋 시그널들이지만, 문맥 상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동일한 사용자 인풋 시그널들을 의미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실시예들을 제한하기 위해서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설명 및 청구항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 상 명확하게 지칭하지 않는 한 단수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및/또는 표현은 용어 간의 모든 가능한 결합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포함한다" 표현은 특징들, 수들, 단계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이 존재하는 것을 설명하고, 추가적인 특징들, 수들, 단계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 경우, ~때 등의 조건 표현은 선택적인 경우로만 제한 해석되지 않는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때, 특정 조건에 대응하여 관련 동작을 수행하거나, 관련 정의가 해석되도록 의도되었다.
100: 게이트웨이
110, 120, 130: AP
111, 121, 131: 디바이스

Claims (15)

  1. 제1 컨트롤러 공유기와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를 포함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정 유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에서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가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변경되는지를 인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가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변경되었다고 인지되면 상기 저장된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를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는 기존 백홀 정보로 재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정 유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는 M1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전송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정 유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는 M1 메시지의 벤더 특정 필드(vendor specific field)에 포함되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전송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정 유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에서 전송한 AP-autoconfiguration 응답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가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변경되는지를 인지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정 유지 방법.
  5. 제1 컨트롤러 공유기와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를 포함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정 유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가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변경된 후,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로부터 M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M1 메시지에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M1 메시지에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는 상기 제2 컨트롤러 정보로 재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M1 메시지에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는 초기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정 유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는 상기 M1 메시지의 벤더 특정 필드(vendor specific field)에 포함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정 유지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가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로 재설정되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를 재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정 유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는 M2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정 유지 방법.
  9. 광역 통신망;
    상기 광역 통신망에 연결되는 제1 컨트롤러 공유기; 및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와 연동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제어를 받는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는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가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변경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는 상기 저장된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를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에서 전송되는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로 재설정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가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변경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는 기존 백홀 정보로 재설정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는 M1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전송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는 M1 메시지의 벤더 특정 필드(vendor specific field)에 포함되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로 전송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가 상기 제1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로 재설정되면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는 재시작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는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공유기로 전송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트롤러 공유기의 정보는 M2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210116979A 2021-09-02 2021-09-02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설정 유지 방법 KR20230033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979A KR20230033964A (ko) 2021-09-02 2021-09-02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설정 유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979A KR20230033964A (ko) 2021-09-02 2021-09-02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설정 유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964A true KR20230033964A (ko) 2023-03-09

Family

ID=8551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979A KR20230033964A (ko) 2021-09-02 2021-09-02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설정 유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39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7150B2 (en) Coordinating spectrum authorization for backhaul connections
EP3499963B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supporting wireless roaming
US11689972B2 (en) Handover method, information exchange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93804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curity keys for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with mobil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26179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2149205B (zh) 一种中继节点的状态管理方法及系统
US10588163B2 (en) Wireless backhaul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and apparatus
EP378073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0250713A1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90278B2 (en) Method for automatic switching between access points, and wireless routing device
CN109922506A (zh) Ap间的切换方法、ap及ap协同工作控制器
US201600663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mulative Beacons
US970647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multi-band based link in wireless LAN system
KR101590018B1 (ko) SDN에서의 펨토 기지국과 WiFi AP 연동 방법
KR100756039B1 (ko)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 설정장치 및 방법
KR20230033964A (ko) 메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설정 유지 방법
US10009347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8660090B2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identifier allocation method for the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528544B1 (ko) SDN을 이용한 WiFi 서비스 영역 사이의 핸드오버 방법
JP2020036157A (ja) 基地局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85584B1 (ko) 무선랜 트래픽 분산 시스템 및 방법
WO2020020273A1 (zh) 天线设备与基站的连接方法、天线设备和基站
JP2021118442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557004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JP614216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無線基地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