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842A - 비대면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대면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842A
KR20230033842A KR1020210116742A KR20210116742A KR20230033842A KR 20230033842 A KR20230033842 A KR 20230033842A KR 1020210116742 A KR1020210116742 A KR 1020210116742A KR 20210116742 A KR20210116742 A KR 20210116742A KR 20230033842 A KR20230033842 A KR 20230033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rance
interface
user
video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랑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루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루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루미
Priority to KR1020210116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842A/ko
Publication of KR20230033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8Image mosaicing, e.g. composing plane images from plane sub-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4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05Language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rket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는 통신 모듈; 화상 상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화상 상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보험 계약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은 접근 권한을 가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화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과 사용자와 매칭된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되, 화상 인터페이스는 보험 상담을 지원하는 복수의 정보공유도구를 선택하는 제1인터페이스, 제1 인터페이스와 인접한 영역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2인터페이스,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3인터페이스, 제1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정보공유도구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보험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제4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대면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시스템{SYSTEM FOR WEB CONFERENCE SUPPORTING UNTACT-INSURANCE CON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단말의 보급으로 다양한 기술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으나, 보험 계약을 할 때에는 여전히 자필 서명을 받기 위하여 보험 설계사와 계약 당사자가 만나 계약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및 공간적인 제약에도 불구하고 보험 계약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온라인상에서의 보험계약 방법도 약관의 명시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지만, 계약의 체결은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보험 설계사와 보험 계약자가 대면하여 서명날인을 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보험사는 보험 청약서에 기록한 내용과 1회 보험료의 납입을 확인한 후 계약 처리를 하며, 문서로 된 보험 증권을 보험 계약자에게 우편으로 발송하여 보험 계약을 완료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보험을 계약하려는 보험 계약자들은 계약을 하기로 결정한 후 계약서 작성을 위해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보험 계약이 완료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계약 의사를 번복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125748 호는 휴대용 컴퓨터를 이용한 보험계약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의 영상과 보험 계약 서류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는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는 통신 모듈; 화상 상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화상 상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보험 계약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은 접근 권한을 가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화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과 사용자와 매칭된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되, 화상 인터페이스는 보험 상담을 지원하는 복수의 정보공유도구를 선택하는 제1인터페이스, 제1 인터페이스와 인접한 영역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2인터페이스,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3인터페이스, 제1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정보공유도구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보험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제4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면, 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자가 기등록한 얼굴이미지, 지문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로 구성된다.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영상을 제2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보험설계사 단말로부터 수신한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제3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되, 화상 인터페이스는, 제2 및 제3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의 영상과 제4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보험 상품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한다.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영상 내에서 사용자 얼굴을 식별하고, 식별된 얼굴을 분석하여 화남, 경멸, 역겨움, 공포, 행복, 놀람, 즐거움 및 무표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분석하고, 얼굴 이미지와 해당 표정을 매칭하여, 표정데이터를 수집한다.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성데이터 내에서 언어를 식별하고, 해당 언어를 텍스트로 변환한 후, 긍정단어 또는 부정단어를 추출하고, 수신한 음성데이터 대비 긍정단어 및 부정단어의 비율을 산출하여, 보험 상담 시간 동안 해당 사용자가 긍정적인 태도 또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는지 분석 및 저장한다.
정보공유도구는 영상미팅, 화면공유, 문서공유, 영상공유 및 이미지공유를 포함하고, 프로그램은, 보험설계사의 문서공유 입력에 의해, 보험설계사 단말로부터 보험 관련 문서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보험 관련 문서 내에 타인의 개인정보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타인의 개인정보라고 판단되면, 보험 관련 문서 중에서 타인의 개인정보가 있는 부분을 모자이크 또는 블러 처리하고 제4인터페이스에 표시하며, 개인정보는 주민번호 13자리 패턴, 얼굴이미지, 및 전화번호 11자리 패턴을 포함한다.
프로그램은, 보험설계사 단말로부터 전자 계약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및 제3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의 영상과 제4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보험 계약 페이지를 하나의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하되, 사용자 단말에게 사용자 본인인증요청을 화면 상에 팝업창 형태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본인인증 입력이 완료되면, 보험 계약 서류의 각 항목별 서명을 위한 서명란을 화면 상에 팝업 형태로 제공한다.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험 계약 서류의 각 항목별 서명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가 해당 보험 상품의 가입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를 이용한 화상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접근 권한을 가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화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과 사용자와 매칭된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화상 인터페이스는 보험 상담을 지원하는 복수의 정보공유도구를 선택하는 제1인터페이스, 제1 인터페이스와 인접한 영역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2인터페이스,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3인터페이스, 제1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정보공유도구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보험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제4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정보공유도구는 영상미팅, 화면공유, 문서공유, 영상공유 및 이미지공유를 포함하고, (c) 보험설계사의 문서공유 입력에 의해, 보험설계사 단말로부터 보험 관련 문서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보험 관련 문서 내에 타인의 개인정보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타인의 개인정보라고 판단되면, 보험 관련 문서 중에서 타인의 개인정보가 있는 부분을 모자이크 또는 블러 처리하고 제4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개인정보는 주민번호 13자리 패턴, 얼굴이미지, 및 전화번호 11자리 패턴을 포함한다.
(d) 보험설계사 단말로부터 전자 계약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및 제3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의 영상과 제4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보험 계약 페이지를 하나의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d) 단계는 사용자 단말에게 사용자 본인인증요청을 화면 상에 팝업창 형태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본인인증 입력이 완료되면, 보험 계약 서류의 각 항목별 서명을 위한 서명란을 화면 상에 팝업 형태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화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계하여 서로의 얼굴을 보면서 보험 상품 설명 및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의 영상과 인접한 영역에 보험 계약 관련 정보(보험 상품 정보 및 보험 계약 서류)를 표시하되, 하나의 화면 상에서 서로의 영상과 보험 계약 관련 정보를 분할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오프라인 대면과 유사하게, 보험 상담 및 보험 계약을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를 이용한 화상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하며, 하나의 유닛이 둘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각종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20), 복수의 보험설계사 단말(30) 및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100)를 포함한다.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 상에서 구동되는 화상 상담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화상 상담 서비스를 위한 동작들을 처리한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20)은 통신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각 단말의 통신모듈은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서버(100)와 각각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100)는 통신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통신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0)과 각각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 통신모듈(1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서버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서버일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해 화상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화상 상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 상담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30)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휘발성 저장 매체(volatile storage media)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non-volatile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운영 체제 등 별도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되, 이하에서 설명할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세서를 통해 처리되는 화상 상담 프로그램의 각 동작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화상 상담 프로그램을 실행하되, 화상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CPU, micro-processor, DSP 등),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으로 독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통해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 라는 용어는 ‘컨트롤러’, ‘연산 서버’, ‘제어부’ 등의 용어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화상 상담 서비스 제공의 개략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은 접근 권한을 가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에 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화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과 사용자와 매칭된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되, 화상 인터페이스는 보험 상담을 지원하는 복수의 정보공유도구를 선택하는 제1인터페이스, 제1 인터페이스와 인접한 영역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2인터페이스,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3인터페이스, 제1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정보공유도구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보험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제4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화상 상담 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누적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140)에는 보험 계약 정보가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제, 프로세서(130)에서 수행하는 화상 상담 서비스 제공 방식에 대해서 아래의 도 3 내지 도 5를 통해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은 접근 권한을 가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에 화상 인터페이스(2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 인터페이스(200)는 보험 상담을 지원하는 복수의 정보공유도구를 선택하는 제1인터페이스(210), 제1 인터페이스(210)와 인접한 영역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2인터페이스(220),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3인터페이스(230), 제1 인터페이스(210) 상에 표시된 정보공유도구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보험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제4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한다.
이때, 정보공유도구는 영상미팅, 화면공유, 문서공유, 영상공유 및 이미지공유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보험 웹사이트 또는 APP에 접속하거나, 보험설계사가 보내준 보험 전용 URL을 클릭하여 특정 웹브라우저에 접속할 수 있다. 이어서, 해당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화상 상담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화상 상담 프로그램이 상호간의 영상과 보험설명/보험계약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상 인터페이스(200)를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상 상담 프로그램 내에서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가 화상 상담을 하면서 다른 웹브라우저나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할 필요없이 그 화상프로그램 내에서 보험설명 및 보험계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면, 화상 인터페이스(200)를 제공하되,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자가 기등록한 얼굴이미지, 지문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로 구성된다.
일 예로, 신규 고객의 경우, 아이디 등이 없기 때문에, 자신의 개인정보만 간단히 입력하면, 화상상담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전에 화상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상담받아본 이력이 있는 기존 고객의 경우, 기 등록한 식별정보(페이스아이디(얼굴), 지문, 비밀번호 등)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즉, 기존 고객의 경우, 기 등록한 식별정보를 입력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로그인 완료된 것으로 처리하여 화상상담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가 화상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1대1 화상 상담을 시작하기 위해서,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 및 보험설계사 단말(30)로부터 상담 수락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개인정보의 입력에 따른 개인 메일 또는 개인 SNS로 수신한 접속번호를 입력하여 상담 수락 신호를 서버(100)로 전송하고, 보험설계사는 사용자(고객)의 접속 시간 및 이름이 표시된 고객 확인 페이지 정보를 확인한 후, 고객 확인 및 상담룸 입장 수락 신호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화상 상담 진행시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영상 정보를 암호화하여 사용자 단말(20) 및 보험설계사 단말(30)에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통신 암호화 방법으로, DTLS(Datagram Transmission Layer Security) 및 SRTP(Secure Real-time Transport Protocol)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른 암호화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보험 웹사이트(또는 APP) 및 보험설계사가 보내준 보험 전용 URL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접속 이력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관리자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 관리자는 별도의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접속 이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이력 정보는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 접속시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와 매칭하여 기록되며, 접속 일시, 사용자 이름, 사용자의 본인 인증 여부, 및 기기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그램은 접속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설계사가 특정 사용자에게 전송한 보험 전용 URL을 통해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본인인증여부를 확인하고, 미인증된 사용자로 판단되면, 화상 인터페이스(200)의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영상을 제2인터페이스(220)에 표시하고, 보험설계사 단말(30)로부터 수신한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제3 인터페이스(230)에 표시하되, 화상 인터페이스(200)는, 제2 및 제3인터페이스(220, 230)에 표시되는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의 영상과 제4인터페이스(240)에 표시되는 보험 상품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지 제4인터페이스(240)의 크기와 배열 상태는 예시적인 화상 인터페이스(200)의 레이아웃이며, 사용자의 디바이스 환경에 따라 각 인터페이스의 화면 크기와 배열 상태가 유연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및 제3인터페이스(220, 230)를 통해 보험설계사와 사용자가 상호 영상을 바라보며, 보험설계사가 제1인터페이스(210)의 정보공유도구 중 화면 공유(M포털)를 입력하면, 보험 상품 웹페이지(212)와 같은 보험 상품 정보가 제4인터페이스(24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보험설계사가 제1인터페이스(210)의 정보공유도구 중 영상공유를 입력하면, 상품교육동영상과 같은 보험 상품 정보가 제4인터페이스(24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보험설계사와 사용자가 상호간의 영상을 바라보며, 보험설계사가 보험상품/보험계약에 관한 설명을 사용자(보험가입자)에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험설계사 및 사용자에게 대면 상담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보험설계사와 사용자가 제4인터페이스(240)를 통해 보험 상품에 대한 상담을 진행하는 중에 제1인터페이스(210)에 표시된 화면 필기 버튼을 이용하여, 중요하거나, 궁금한 상품 정보에 대한 내용을 강조하며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프로그램은 제1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재생되는 보험 상품 관련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넘기지 못하도록 사용자의 영상 기록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사용자(고객)의 영상 시청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 보험설계사 단말(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험설계사는 전자 계약 진행 전에 사용자의 상품 설명 시청 완료여부를 다시 한번 확인한 후 전자 계약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품 설명 영상 시청이 완료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보험설계사가 사용자에 대한 영상 재 시청 안내 메시지를 서버(100)로 요청하고,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0)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그램은, 보험설계사 단말(30)로부터 전자 계약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및 제3인터페이스(220, 230)에 표시되는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의 영상과 제4인터페이스(240)에 표시되는 보험 계약 페이지를 하나의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하되, 사용자 단말(20)에게 사용자 본인인증요청을 화면 상에 팝업창 형태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사용자 본인인증 입력이 완료되면, 보험 계약 서류의 각 항목별 서명을 위한 서명란(241)을 화면 상에 팝업 형태로 제공한다.
예시적으로, 보험설계사 단말(30)이 제1인터페이스(210) 상에 표시된 전자계약 버튼을 클릭할 경우, 프로그램은 보험설계사 단말(30)과 사용자 단말(20)로 전자계약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계약페이지는 화상 인터페이스(200)의 제4인터페이스(24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인터페이스(200)는 제2 및 제3 인터페이스(220, 230)를 통해, 일 영역에 상호간의 영상을 표시하고, 다른 한쪽에서 제4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전자계약서가 보여지도록 UI가 분할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제4인터페이스(240)가 팝업창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보험설계사의 요청에 의한 전자계약 과정이 진행되면,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로 본인인증을 요청하되, 화상 인터페이스(200) 상에 본인인증요청 팝업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폰/신용카드/신분등 등을 통해 본인인증을 완료할 경우, 프로그램은 제4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전자계약페이지를 표시하고, 전자계약페이지 마다 기재된 보험계약을 위한 서명을 받기 위해, 서명란(241)을 팝업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계약을 위한 서명란(241) 팝업은 공동인증서 인증 방식 또는 사용자 단말(20)에서 직접 마우스커서로 사인하는 방식 등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본인인증 및 서명을 위해서, 별도의 다른 브라우저 창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다른 TAP이 실행될 필요없이, 현재 화상상담하고 있는 브라우저인 화상 인터페이스(200) 내에서 팝업이 제공되므로, 고객(사용자)이 다른 영역으로 이탈할 필요가 없다.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보험 계약 서류의 각 항목별 서명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가 해당 보험 상품의 가입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계약을 위한 서명란(241) 팝업을 통해, 보험 계약 서류의 각 항목별 서명을 완료하면, 프로그램이 보험 전자계약시 상품 설명 확인 팝업(250)을 사용자 단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품 설명 확인 팝업(250)을 통해 설명을 들었다고 체크하면, 프로그램이 사용자가 해당 보험 상품에 가입을 완료한 것으로 최종 판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가 화상 상담을 종료한 경우, 보험설계사는 화상상담 종료 메시지와 상담 계약 내용에 대한 요약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영상 내에서 사용자 얼굴을 식별하고, 식별된 얼굴을 분석하여 화남, 경멸, 역겨움, 공포, 행복, 놀람, 즐거움 및 무표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분석하고, 얼굴 이미지와 해당 표정을 매칭하여, 표정데이터를 수집한다.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음성데이터 내에서 언어를 식별하고, 해당 언어를 텍스트로 변환한 후, 긍정단어 또는 부정단어를 추출하고, 수신한 음성데이터 대비 긍정단어 및 부정단어의 비율을 산출하여, 보험 상담 시간 동안 해당 사용자가 긍정적인 태도 또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는지 분석 및 저장한다.
즉,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표정데이터와 텍스트의 긍정/부정에 관한 태도데이터를 함께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별 표정데이터 및 태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추후에 해당 고객(사용자)에 대한 보험 상담 반응을 분석하거나, 해당 고객에게 적합한 상품을 추천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보험설계사의 문서공유 입력에 의해, 보험설계사 단말(30)로부터 보험 관련 문서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보험 관련 문서 내에 타인의 개인정보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타인의 개인정보라고 판단되면, 보험 관련 문서 중에서 타인의 개인정보가 있는 부분을 모자이크 또는 블러 처리하고 제4인터페이스(240)에 표시하며, 개인정보는 주민번호 13자리 패턴, 얼굴이미지, 및 전화번호 11자리 패턴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보험설계사 단말(30)이 자신이 보유한 파일을 화상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공유함으로써,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0)로 공유될 파일을 수신한 후, 해당 파일 내에 타인의 개인정보에 관한 것이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은 주민번호 13자리 패턴, 얼굴이미지, 전화번호 11자리 패턴 등이 해당 파일 내에서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즉, 식별된 정보가 사용자의 기 등록된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개인정보인 것으로 확인되면, 타인의 개인정보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가 타인의 개인정보라 판단한 경우, 해당 개인정보가 있는 부분만을 모자이크 또는 블러 처리하여, 화상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로 해당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에서는 타인의 개인정보가 모자이크되거나 블러처리된 이미지만이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상 인터페이스(200)를 이용하여 보험 상담 및 보험 계약을 수행하는 보험설계사는 보험 상품 설명을 위해 자신이 보유한 기존의 다른 고객에 대한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에도 타인의 개인정보 노출의 위험이 없이, 보험 설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 상술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구성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를 이용한 화상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를 이용한 화상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접근 권한을 가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에 화상 인터페이스(200)를 제공하는 단계(S110) 및 화상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과 사용자와 매칭된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되, 화상 인터페이스(200)는 보험 상담을 지원하는 복수의 정보공유도구를 선택하는 제1인터페이스(210), 제1 인터페이스(210)와 인접한 영역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2인터페이스(220),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3인터페이스(230), 제1 인터페이스(210) 상에 표시된 정보공유도구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보험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제4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한다.
이때, 정보공유도구는 영상미팅, 화면공유, 문서공유, 영상공유 및 이미지공유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를 이용한 화상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보험설계사의 문서공유 입력에 의해, 보험설계사 단말(30)로부터 보험 관련 문서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보험 관련 문서 내에 타인의 개인정보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타인의 개인정보라고 판단되면, 보험 관련 문서 중에서 타인의 개인정보가 있는 부분을 모자이크 또는 블러 처리하고 제4인터페이스(240)에 표시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한다. 이때, 개인정보는 주민번호 13자리 패턴, 얼굴이미지, 및 전화번호 11자리 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를 이용한 화상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보험설계사 단말(30)로부터 전자 계약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및 제3인터페이스(220, 230)에 표시되는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의 영상과 제4인터페이스(240)에 표시되는 보험 계약 페이지를 하나의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S140)를 더 포함한다. S140단계는 사용자 단말(20)에게 사용자 본인인증요청을 화면 상에 팝업창 형태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사용자 본인인증 입력이 완료되면, 보험 계약 서류의 각 항목별 서명을 위한 서명란(241)을 화면 상에 팝업 형태로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
110: 통신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40: 저장서버
20: 사용자 단말
30: 보험설계사 단말
200: 화상 인터페이스
210: 제1인터페이스
220: 제2인터페이스
230: 제3인터페이스
240: 제4인터페이스

Claims (11)

  1.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에 있어서,
    통신 모듈;
    화상 상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화상 상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보험 계약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접근 권한을 가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화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영상과 상기 사용자와 매칭된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되,
    상기 화상 인터페이스는 보험 상담을 지원하는 복수의 정보공유도구를 선택하는 제1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인터페이스와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2인터페이스, 상기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3인터페이스,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정보공유도구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보험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제4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상기 사용자가 기등록한 얼굴이미지, 지문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로 구성되는 것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영상을 상기 제2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보험설계사 단말로부터 수신한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상기 제3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되,
    상기 화상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및 제3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상기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의 영상과 상기 제4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보험 상품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영상 내에서 사용자 얼굴을 식별하고, 식별된 얼굴을 분석하여 화남, 경멸, 역겨움, 공포, 행복, 놀람, 즐거움 및 무표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분석하고, 얼굴 이미지와 해당 표정을 매칭하여, 표정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성데이터 내에서 언어를 식별하고, 해당 언어를 텍스트로 변환한 후, 긍정단어 또는 부정단어를 추출하고, 수신한 음성데이터 대비 상기 긍정단어 및 부정단어의 비율을 산출하여, 보험 상담 시간 동안 해당 사용자가 긍정적인 태도 또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는지 분석 및 저장하는 것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공유도구는 영상미팅, 화면공유, 문서공유, 영상공유 및 이미지공유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보험설계사의 상기 문서공유 입력에 의해, 보험설계사 단말로부터 보험 관련 문서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보험 관련 문서 내에 타인의 개인정보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상기 타인의 개인정보라고 판단되면, 상기 보험 관련 문서 중에서 타인의 개인정보가 있는 부분을 모자이크 또는 블러 처리하고 상기 제4인터페이스에 표시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주민번호 13자리 패턴, 얼굴이미지, 및 전화번호 11자리 패턴을 포함하는 것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보험설계사 단말로부터 전자 계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및 제3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상기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의 영상과 상기 제4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보험 계약 페이지를 하나의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사용자 본인인증요청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창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본인인증 입력이 완료되면, 보험 계약 서류의 각 항목별 서명을 위한 서명란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 형태로 제공하는 것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보험 계약 서류의 각 항목별 서명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해당 보험 상품의 가입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
  9.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를 이용한 화상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접근 권한을 가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화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영상과 상기 사용자와 매칭된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화상 인터페이스는 보험 상담을 지원하는 복수의 정보공유도구를 선택하는 제1인터페이스, 상기 제1 인터페이스와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2인터페이스, 상기 보험설계사의 영상을 출력하는 제3인터페이스,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정보공유도구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보험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제4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를 이용한 화상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공유도구는 영상미팅, 화면공유, 문서공유, 영상공유 및 이미지공유를 포함하고,
    (c) 상기 보험설계사의 상기 문서공유 입력에 의해, 보험설계사 단말로부터 보험 관련 문서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보험 관련 문서 내에 타인의 개인정보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상기 타인의 개인정보라고 판단되면, 상기 보험 관련 문서 중에서 타인의 개인정보가 있는 부분을 모자이크 또는 블러 처리하고 상기 제4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주민번호 13자리 패턴, 얼굴이미지, 및 전화번호 11자리 패턴을 포함하는 것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를 이용한 화상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d) 상기 보험설계사 단말로부터 전자 계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및 제3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상기 사용자 및 보험설계사의 영상과 상기 제4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보험 계약 페이지를 하나의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사용자 본인인증요청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창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본인인증 입력이 완료되면, 보험 계약 서류의 각 항목별 서명을 위한 서명란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 형태로 제공하는 것인,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서버를 이용한 화상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116742A 2021-09-02 2021-09-02 비대면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시스템 KR20230033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742A KR20230033842A (ko) 2021-09-02 2021-09-02 비대면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742A KR20230033842A (ko) 2021-09-02 2021-09-02 비대면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842A true KR20230033842A (ko) 2023-03-09

Family

ID=8551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742A KR20230033842A (ko) 2021-09-02 2021-09-02 비대면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38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91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 electronic signature on a first device and incorporating the signature into a document on a second device
US20210042804A1 (en) Data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201603285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ing patient information
CN105893812A (zh) 使用快速响应码的安全认证机制
US11281887B2 (en) Multiple electronic signature method
US201503176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ing electronic documents
JP6828936B1 (ja) マッチングシステム、専門家マッチング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5046540A (zh) 自动远程交易协助
JP2012098823A (ja) サーバ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KR20140038205A (ko) 원격 계좌 개설 시스템
WO2022201411A1 (ja) 準同型暗号を用いた顔認証のアプリケーション
WO20182324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TY CONFIRMATION
TWM569875U (zh) 具有整合介面裝置的影音記錄裝置
JP6871296B2 (ja) 仲介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50067347A1 (en) Signature system portal for signing electronic documents
JP6118128B2 (ja) 認証システム
KR101635176B1 (ko) 본인 대면 확인 검증 시스템 장치
KR20230033842A (ko) 비대면 보험 계약을 지원하는 화상 상담 시스템
US894432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using machine-readable codes
CN113362184B (zh) 基于签署用印的面签验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US10187791B2 (en) Workstation and client device pairing
CN115917537A (zh) 使用短程收发器对个人用户数据进行数据访问控制的系统和方法
KR20090084787A (ko) 화상 통화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 방법
KR102478967B1 (ko) 메타버스 연동 블록체인 기반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7328728B1 (ja) 重要事項説明個人情報保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