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487A -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487A
KR20230033487A KR1020210116510A KR20210116510A KR20230033487A KR 20230033487 A KR20230033487 A KR 20230033487A KR 1020210116510 A KR1020210116510 A KR 1020210116510A KR 20210116510 A KR20210116510 A KR 20210116510A KR 20230033487 A KR20230033487 A KR 20230033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ata
zone
control serve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094B1 (ko
Inventor
홍지연
엄태석
강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엔엑스정보통신
홍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엔엑스정보통신, 홍지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엔엑스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21011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09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건물의 구역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상기 구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제공한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구역에 진입한 진입자와 상기 구역으로부터 나온 진출자를 식별하며, 상기 진입자의 수와 상기 진출자의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구역의 잔류인원수를 산출하는 영상분석장치, 상기 화재감지신호 및 상기 잔류인원수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 라우터 및 상기 통신 라우터를 통해 상기 화재감지신호 및 상기 잔류인원수를 수신하고, 화재 발생 위치 및 구역별 잔류인원수를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구조도에 표출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Emergency response system}
본 발명은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층 건물은 그 높이에 비례하여 복잡성이 증가하므로, 소방 측면에서도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건물이용자의 인원수, 재산가치, 사고 시 사회에 미칠 파장 등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종합 방재관리가 요구된다. 재난안전에 관련해서, 빅데이터, 인공지능, 가상증강현실 등 새로운 신기술들을 기반으로 기술의 혁신과 발전, 현장의 수요 니즈 속에서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들이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기술동향 및 산업동향의 면면을 살펴보면 화재감지/신고, 대피로 확보, 대응 등 특정 목적에 한정된 제품 및 서비스만 개발되어 있다. 사용자가 화재사고에 대한 대비/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제품 및 서비스들을 개별적으로 도입해야 하며, 상호간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현재의 다원화 되어있는 기술 및 서비스가 생성하는 재난안전 관련 데이터는 데이터 간 연계성이 부족하여 통합관리가 어렵고, 가치 있는 형태로 가공되지 않은 채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6357호
본 발명은, 인공지능, 영상분석, 음원분석, IoT 센서, 데이터 통신과 같은 이종 기술을 융합함으로써, 공간과 거리의 제약이 없는 연결을 기반으로 재난관리에서 요구되는 '예방-대비-대응-복구' 중 '대비-대응'에 대한 정보를 수집/분석할 수 있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이 제공된다.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건물의 구역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상기 구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제공한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구역에 진입한 진입자와 상기 구역으로부터 나온 진출자를 식별하며, 상기 진입자의 수와 상기 진출자의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구역의 잔류인원수를 산출하는 영상분석장치, 상기 화재감지신호 및 상기 잔류인원수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 라우터 및 상기 통신 라우터를 통해 상기 화재감지신호 및 상기 잔류인원수를 수신하고, 화재 발생 위치 및 구역별 잔류인원수를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구조도에 표출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화재 발생시 발생시 상기 구역에 위치한 대피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이상음원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이상음원 감지장치, 화재 안전구역 또는 옥상으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비상문의 개폐를 관리하는 출입통제장치 및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로 비상문 개방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잔류인원수, 상기 이상음원 감지신호 및 상기 개폐상태를 상기 통신 라우터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신호가 생성된 구역 근처에 위치한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비상문이 폐쇄상태이면 비상문 개방 신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통해 상기 잠금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화재감지신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영상분석장치가 비상 모드로 동작하게 하되, 상기 영상분석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구역에서 발생한 변화를 감지하면 스냅샷을 생성하여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이 제공된다.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건물의 구역별로 설치되어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 상기 건물의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조화된 UI를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 및 상기 건물에서 수집된 화재 데이터와 현장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구조화된 UI에 표시하는 관제 서버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구조화된 UI를 화면에 표출하는 웹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화재 데이터는 화재 발생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현장 데이터는 구역별 잔류인원수를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공간 데이터는 상기 건물의 층별 구조,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의 위치 및 상기 건물 내 주요 구역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는 상기 구역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상기 구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제공한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구역에 진입한 진입자와 상기 구역으로부터 나온 진출자를 식별하며, 상기 진입자의 수와 상기 진출자의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구역의 잔류인원수를 산출하는 영상분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영상분석장치는 화재 발생시 상기 카메라가 제공한 영상에서 스냅샷을 추출하여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영상분석장치는 상기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요구조자를 검출하며, 검출된 요구조자 위치는 상기 구조화된 UI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화재 발생시 상기 구역에 위치한 대피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이상음원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이상음원 감지장치 및 화재 안전구역 또는 옥상으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비상문의 개폐를 관리하는 출입통제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신호가 생성된 구역에 위치한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비상문이 폐쇄상태이면 비상문 개방 신호를 상기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이상음원 감지장치는 다중 마이크로 수집한 음성을 통해 요구조자를 검출하며, 검출된 요구조자 위치는 상기 구조화된 UI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 개시된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건물 화재발생 시 화재의 조기감지 및 신고와 화재진압을 위한 화재진행현황 정보, 현장 대응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인명피해 최소화 및 구조를 위한 대피자 대피로 확보 및 대피현황 정보 등의 현장 상황정보를 종합적으로 획득하여 종합방재센터 및 관할 소방서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전체 도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할당되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구현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화재 발생시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에 의해 단말에 표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영상분석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이상음원 감지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관제 서버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화재 발생시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에 의해 단말에 표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한 공간 데이터,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관제센터, 종합방재센터, 소방서, 건물시설 관리자(이하 관련 기관)의 단말(예를 들어, 통신 가능한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 등)에 제공할 수 있다.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는 화재 발생 이후에도 건물 전체가 단/정전되거나 화재로 인해 파손 또는 기능 상실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공간 데이터는 건물의 층별 구조, 건물에 설치된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의 위치(및 종류), 건물 내 주요 구역(또는 시설)에 대한 정보(이하 POI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POI 데이터는 위험물(예를 들어, 인화성 물질)이 적치된 창고, 가스설비, 전기시설, 소방시설(예를 들어, 소화전, 비상문, 방화셔터 등) 및 승강장치의 위치(및 상태)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는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카메라,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한 IoT 센서, 영상분석장치, 이상음원 감지장치, 출입통제장치, 데이터 송수신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 데이터는 화재감지신호로부터 획득하는 화재 발생 위치 및 화재 진행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데이터는 스냅샷, 비상문 개폐상태, 이상음원 감지신호, 잔류인원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집된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관련 기관에 설치된 단말에 시각적으로 표출함으로써,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해당 건물 또는 화재 진압에 관련된 관계자가 화재 현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3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관제센터의 관제 단말 또는 웹 플랫폼에 표출되는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공간 데이터는 건물 내부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구조도, 예를 들어, 층별 평면도를 표출하는데 이용된다. 공간 데이터에 의해 생성된 구조도는 화재 발생시뿐 아니라 정상 상황에서도 표출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 및 POI 데이터는 위치 및 종류별로 구분되어 건물의 층별 평면도에 표시될 수 있다. 구조도에 표시된 데이터 수집 장치 및 POI 데이터는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조작하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데이터 수집 장치 및 POI 데이터가 표시된 구조도를 구조화된 UI(User interface)라고 지칭한다.
한편, 화재 데이터도 구조화된 UI에 표시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센서는 예를 들어 점멸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계자는 화재 발생 위치 및 화재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11a, 11b, 11c)는 불꽃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불꽃/연기 복합 센서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화재를 최초로 감지한 센서(11a)의 종류 및 위치가 화면에 표시되며, 이후 화재를 신규로 감지한 센서(11b, 11c)의 종류 및 위치도 화면에 표시되어 불꽃 및/또는 연기가 계단을 통해 2층에서 3층으로 확산하고 있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현장 데이터도 구조화된 UI에 표시될 수 있다. 재난대응시 인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건물 내에 있는 사람의 수와 위치를 우선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카메라(10) 및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장치는 예를 들어 층별 및 건물 전체에 남아 있는 사람(이하 잔류인원)을 카운팅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피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화재 진화, 대피 및/또는 구조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요구조자의 위치(14)가 각 층의 평면도에 표시될 수 있다. 요구조자의 위치(14)는 영상분석장치 또는 이상음원 감지장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영상분석장치는 카메라(10)가 촬영한 영상에서 사람 객체가 검출되면 요구조자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다중 마이크(12a, 12b)를 통해 수집한 음성 또는 비명은 이상음원 감지장치에 의해 식별되어 요구조자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도 2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센서(11)는 화재감지신호를 통신 라우터(500)를 통해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 관제 서버(600)는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을 통해 관련 기관에 건물 관련 데이터,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후로도 관제 서버(600)는 구역별로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1)로부터 수집한 화재감지신호를 통하여 화재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갱신하여 관련 기관에 전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카메라(10a, 10b, 10c; 이하 10), 화재감지센서(11), 영상분석장치(100a, 100b, 100c; 이하 100),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 200b, 200c; 이하 200), 이상음원 감지장치(300), 출입통제장치(400), 통신 라우터(500) 및 관제 서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구역(예를 들어, 층)별로 설치되며, 해당 구역을 출입하는 사람을 촬영한다. 복수의 카메라(10)가 동일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정상 모드에서, 영상분석장치(100)는 카메라(10)가 제공한 영상을 분석하여 특정 구역의 잔류인원을 카운트한다. 여기서, 영상분석장치(100)는 동일 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0) 또는 복수의 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0)로부터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영상분석장치(100)는 잔류인원수를 관제 서버(600)로 전송하며, 관제 서버(600)는 구역별 잔류인원수를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을 통해 관련 기관에 전달하여 화면에 표출되도록 한다. 비상 모드로 동작시, 영상분석장치(100)는 스냅샷을 생성하여 관제 서버(600)로 전송하며, 관제 서버(600)는 구역별 스냅샷을 관련 기관에 전달하여 화면에 표출되도록 한다. 스냅샷을 통해 화재 현장 상황이 파악될 수 있다. 한편, 영상분석장치(100)는 요구조자를 영상에서 검출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11)는 불꽃 및 연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1)가 동일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11)는 화재감지신호를 직접 또는 데이터 송수신장치(200)를 통해 통신 라우터(500)에 전달할 수 있다. 화재감지신호는 화재감지센서(11)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경도 좌표) 또는 화재감지센서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화재감지센서의 위치를 특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관제 서버(600)는 특정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음을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을 통해 관련 기관에 전달하여 화면에 표출되도록 한다.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관제 서버(600)는 건물에 설치된 영상분석장치(100) 및 이상음원 감지장치(300) 및 출입통제장치(400)가 비상 모드로 동작하게 한다.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관제 서버(600)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마스터 모드와 슬레이브 모드 중 어느 하나로도 동작할 수 있다.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는, 통신 라우터(500)에 연결되어 관제 서버(600)와 직접 통신하는 반면,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는,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를 통해 관제 서버(600)와 통신한다. 다시 말해, 복수의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는, 하나의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RS-485, UWB(Ultra-wideband), Wi-Sun, Zigbee, LoRa 등일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c)는 통신 라우터에 연결되지만 다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통신을 중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데이터 수집 장치의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와 통신 정보를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 수집 정보는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화재감지신호, 스냅샷, 비상문 개폐상태, 이상음원 감지신호, 잔류인원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관제 서버(600)에 의해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로 활용된다. 상태 정보는 데이터 수집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는, 통신 라우터(500)에 직접 연결되며,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로부터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다시 말해,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는 자신에게 직접 연결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뿐 아니라,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에 연결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도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
한편,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는 통신 정보를 관제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정보는 마스터-슬레이브간 통신 상태를 나타낸다.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는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를 통해서만 관제 서버(600)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터-슬레이브간 무선 통신이 정상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통신 정보를 통해,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에 연결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이상음원 감지장치(300)는 건물내 특정 구역에 설치된 다중 마이크(12a, 12b)를 통해 수집한 음성 또는 비명을 분석하며, 분석 결과를 관제 서버(600)에 전달하여 비상문 또는 방화셔터(이하 비상문으로 총칭)를 원격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출입통제장치(400)는 화재 안전구역 또는 옥상으로의 진입을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해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410)에 연결된다. 즉, 출입통제장치(400)는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비상문의 개폐를 관리한다.
통신 라우터(500)는 마스터 무선 중계 장치(200a)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수집정보, 상태 정보 및/또는 통신 정보를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통신 라우터(500)는, 영상분석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카메라 동영상을 단말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화재, 정전, 천재지변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통신 회선을 확보하기 위해서, 통신 라우터(500)는 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LTE 망을 통해 관제 서버(600)와 통신할 수 있다.
관제 서버(600)는 구조화된 UI를 제공한다. 관제 서버(600)는 데이터 수집 장치 및 POI 데이터가 표시된 구조도가 표시된 구조화된 UI를 모바일 앱(700) 및/또는 웹 플랫폼(800)에 표출한다. 현장 데이터의 일부, 예를 들어, 층별 잔류인원수는 정상 상황에서도 구조화된 UI에 표시될 수 있다. 화재 발생시 관제 서버(600)는 구조화된 UI에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가 표시된 구조화된 UI를 통해서, 해당 건물 또는 화재 진압에 관련된 관계자는 화재 현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관제 서버(600)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원격에서 관제한다. 관제 서버(600)는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무선 중계 장치(200a, 200b)로부터 통신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한 수집 정보, 상태 정보 및/또는 통신 정보는 로그 파일에 기록 및 축적된다. 관제 서버(600)는 수집 정보, 상태 정보 및/또는 통신 정보를 모바일 앱(700) 및/또는 웹 플랫폼(800)에 표출한다. 추가적으로, 관제 서버(600)는 수집 정보, 상태 정보 및/또는 통신 정보를 분석하며, 분석 결과를 모바일 앱(700) 및/또는 웹 플랫폼(700)에 표출한다.
모바일 앱(700) 및 웹 플랫폼(800)은 건물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 장치를 원격에서 관제하기 위해 단말에서 실행되는 관리자용 프로그램이다. 모바일 앱(700) 및 웹 플랫폼(8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의 관제 서버(600)에 접속하여, 수집 정보, 상태 정보 및/또는 통신 정보를 조회한다. 또한, 모바일 앱(700) 및 웹 플랫폼(800)은 구조화된 UI상에 표시될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관제 서버(500)로부터 수신한다.
도 3은 영상분석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영상분석장치(300)는 스트리밍 모듈(110), 지능형 분석 모듈(120), 카메라 I/O 모듈(130) 및 지능형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스트리밍 모듈(110)은 카메라(1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카메라 영상은 카메라(10)에 의해 생성되며, 스트리밍 모듈(310)에 저장된다.
지능형 분석 모듈(120)은 카메라 동영상을 분석하여, 건물 내 구역별 출입자를 카운팅한다. 지능형 분석 모듈(120)은 룰셋 기반 분석을 이용하여, 특정 구역에 진입한 사람(이하, 진입자)과 특정 구역에서 나온 사람(이하, 진출자)을 식별할 수 있다. 진입자와 진출자 수를 이용하면, 특정 구역에 남아있는 사람 수, 즉, 구역별 잔류인원수가 산출될 수 있다.
비상 모드로 동작시, 지능형 분석 모듈(120)은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요구조자를 검출할 수 있다. 화재 발생 위치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10)는 화재로 인해 동작이 정지될 때까지 화재 현장을 촬영할 수 있다. 요구조자를 검출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요구조자의 위치가 특정될 수 있다.
카메라 I/O 모듈(130)은 카메라 카메라(10) 및 단말간 연결을 위한 모듈이다. 카메라 I/O 모듈(130)은 카메라 카메라(10)로부터 수신한 카메라 동영상을 스트리밍 모듈(110) 및 지능형 분석 모듈(12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전달한다. 한편, 카메라 I/O 모듈(130)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카메라 동영상 제공 요청에 따라, 스트리밍 모듈(110)에 저장된 카메라 동영상 또는 카메라 카메라(10)로부터 수신한 카메라 동영상을 단말로 전송한다.
지능형 프로세서(140)는 영상분석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지능형 프로세서(140)는 진입자 수와 진출자 수 또는 이로부터 산출된 잔류인원수(이하, 잔류인원수로 총칭함)를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 한편, 비상 모드로 동작시, 지능형 프로세서(140)는 카메라 동영상에서 스냅샷을 추출하여 잔류인원수와 함께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 지능형 분석 모듈(120)의 분석 결과 특정 구역에 변화가 발생하면, 지능형 프로세서(140)가 스냅샷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감지된 구역에서 진출자를 검출하여 잔류인원수가 감소하거나, 화재가 번져서 카메라 영상에서 불꽃이 검출되면, 스냅샷이 관제 서버(600)로 전송될 수 있다.
정상 모드로 동작시, 관제 서버(600)는 구역별 잔류인원수 및 이를 통계처리한 결과(예를 들어, 건물 전체의 잔류인원수)를 모바일 앱(700) 및/또는 웹 플랫폼(800)에 표출한다. 비상 모드로 동작시, 관제 서버(600)는 구역별 잔류인원수, 건물 전체 잔류인원수 및 스냅샷을 모바일 앱(700) 및/또는 웹 플랫폼(800)에 표출하여 관계자로 하여금, 화재 현장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육안으로 스냅샷을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관련 기관은 영상분석장치(100)에 접속하여 녹화된 카메라 동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지능형 프로세서(140)는, 스트리밍 모듈(110)로부터 카메라 동영상을 단말로 전송한다.
도 4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모드 설정 버튼(210), 무선 통신 모듈(220), IP 통신 모듈(230), 작동 상태 표시부(240), 전원(250), DI/DO 인터페이스(260, 270), 출입통제장치 인터페이스(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의 작동은 제어부(290)에 의해 제어된다.
모드 설정 버튼(210)은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의 작동 모드를 설정한다.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20)은 다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이다. 무선 통신 모듈(22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동작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RS-485, UWB(Ultra-wideband), Wi-Sun, Zigbee, LoRa 등일 수 있다. RS-485 무선 방식 사용시, 통신 주파수는 920.9~922.7MHz이고, 주파수 채널은 Ch20~29일 수 있다. 마스터 모드로 동작시, 무선 통신 모듈(220)은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의 무선 통신 모듈(220)은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의 무선 통신 모듈(220)과의 통신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통신 정보를 생성한다.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22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의 무선 통신 모듈(220)은 관제 서버(600)로부터 수신한 비상문 개방 신호를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의 무선 통신 모듈(220)로 전달한다.
IP 통신 모듈(230)은 통신 라우터(500)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이다. IP 통신 모듈(230)은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TCP/IP 방식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통신 라우터(500)로 전송한다. IP 통신 모듈(230)은 통신 라우터(5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작동 상태 표시부(240)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작동 상태 표시부(240)는, 예를 들어, 발신, 수신, 통신 불량 및 IP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발신 및 수신 LED는, 마스터-슬레이브간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통신 불량 LED는 마스터-슬레이브간 또는 마스터-관제 서버간 통신이 불량한 상태를 나타내며, IP 통신 LED는 마스터-통신 라우터간 통신 상태를 나타낸다.
전원(250)은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250)은, 상용 AC 또는 DC 전력일 수 있다.
DI/DO 인터페이스(260)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모듈이다. 화재감지센서(11) 이외에 카운터 센서, 모션 감지 센서 등 다양한 용도의 센서가 DI/DO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출입통제장치 인터페이스(270)는 출입통제장치(400)와 연결하기 위한 모듈이다. 출입통제장치(400)는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비상문의 개폐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출입통제장치(400)는 화재 발생시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410)를 해제하여 비상문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일 수 있다.
잠금장치 인터페이스(280)는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410)와 연결하기 위한 모듈이다. 잠금장치 인터페이스(280)는 비상문 개방 신호를 잠금장치(410)로 전달하며, 비상문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제 서버(6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최초로 수신하면, 출입통제장치 인터페이스(280)는 비상문 개방 신호를 비상문 잠금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이후 비상 모드로 동작시에는, 이상음원 감지장치(300)가 비명 또는 음성을 감지한 경우에 비상문 개방 신호가 잠금장치(41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모드 설정 버튼(210)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90)는, 마스터-슬레이브간 통신 채널, 주파수, 수신 주기, 그룹, IP 주소 및 도메인 네임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발생시마다,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 이벤트 발생은,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가 생성하는 통신 정보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뿐 아니라, 정상 모드로 동작 중에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비상 모드 동작 중에 잔류인원수 또는 스냅샷을 수신한 경우도 포함한다.
도 5는 이상음원 감지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화재 발생시, 옥외 시설로 진출할 수 있는 비상문은 자동으로 개방되어야 하며,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화셔터는 자동으로 동작해야 한다. 그러나 출입통제장치(400)의 안전기능에 의하여 비상문이 폐쇄 상태로 전환하거나 반대로 방화셔터가 잔류인원의 대피로를 차단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대피자의 비명음 또는 음성을 감지하면, 이상음원 감지장치(300)는 대피자의 위치를 특정하여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를 통해 관제 서버(600)로 전송하며, 이를 통해 대피자 위치에서 가까운 비상문 또는 방화셔터의 개폐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확인 결과 비상문 또는 방화셔터가 폐쇄 상태이면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를 통해 비상문 개방 신호를 잠금장치(410)에 전달하여 원격으로 개방함으로써, 대피자가 안전하게 화재 안전구역 또는 옥상으로 대피할 수 있다.
한편, 비상 모드로 동작시, 이상음원 감지장치(300)는 다중 마이크(12)를 통해 대피자의 비명음 및 음성을 감지하여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서 이상음원이 감지되면, 요구조자로 분류하며 특정된 위치를 관련 기관의 단말에 표출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상음원 감지장치(300)는 음성 전처리 모듈(310), 특징점 추출 모듈(320), 특징점 분석 모듈(330) 및 언어유추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전처리 모듈(310)은 다중 마이크(12)를 통해 수집된 음성을 처리한다. 즉, 음성 전처리 모듈(310)은 빔포밍(Beamforming) 기반으로 음성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며 노이즈를 감소시켜서 특징점 추출 모듈(320)로 전달한다.
특징점 추출 모듈(320)은 음성 전처리 모듈(310)로부터 전달된 음성 데이터에 FFT를 적용하여 음성 데이터에 대한 스펙트럼을 생성하고 Mel Filter를 적용하여 주파수를 증폭한 뒤 Cepstral 분석을 적용해 MFCC(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값을 추출한다. 즉 특징첨 추출 모듈(320)은 음성 데이터의 특징 벡터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한다. 사람의 음성 및 비명은 사용 상황과 표현 방식에 따라 고유한 대역폭을 갖는다. 특징점 추출은 수집된 음성 또는 비명이 비상 상황에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과정이다.
특징점 분석 모듈(330)은 추출된 음성 데이터를 1:1 및 1:N 방식으로 음원에 대한 이벤트 별 클래스를 분류한다.
언어유추 모듈(340)은 최종 데이터 이벤트 여부를 확정하여 해당 데이터를 관제 서버(600)로 송신하기 위하여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로 전달한다. 즉, 수집된 음성 또는 비명이 비상 상황에 직면한 사람이 낸 것으로 확정되면, 화재 안전구역 또는 옥상으로 대피할 수 있는 대피로 확보가 필요하거나, 특정 구역에 요구조자가 위치하였음을 관제 서버(600)에 전달한다.
도 6은 관제 서버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화재 감지 전 관제 서버(600)는 건물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10), 화재감지센서(11), 영상분석장치(100),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 이상음원 감지장치(300), 출입통제장치(400)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 모니터링을 통해 관제 서버(600)는 데이터 수집 장치들의 고장 또는 이상 상태를 원격으로 확인하여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모니터링 정보와 함께, 실시간으로 집계되는 구역별 잔류인원수는 구조화된 UI에 표시되어 모바일 앱(700) 및 웹 플랫폼(800)에 표출될 수 있다. 한편, 화재 감지 후 관제 서버(600)는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구조화된 UI에 표출하여 화재 현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관제 서버(600)는, 로그 파일 저장소(610), 우선순위분류 모듈(620), 정상 보고 모듈(630), 비상 보고 모듈(635), 위치 모듈(640), 정보 관리 모듈(645), 장치 정보 모듈(650), 센서정보분석 모듈(660), 자동제어 모듈(665)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670)을 포함한다.
로그 파일 저장소(610)는 통신 라우터(500)를 통해 수신한 모든 정보를 시간별로 기록한다. 로그 파일 저장소(610)에 저장되는 정보는 데이터 수집 장치의 수집 정보, 상태 정보 및 통신 정보일 수 있다.
우선순위분류 모듈(620)은 로그 파일 저장소(610)에 기록된 정보의 처리 순서 및/또는 처리 모듈을 결정한다. 정상 모드로 동작시, 우선순위분류 모듈(620)은 미리 결정된 전송 주기, 예를 들어, 10분 단위로 전송된 상태 정보, 통신 정보 및/또는 잔류인원수를 정상 보고 모듈(630)에 할당하고, 전송 주기가 아닌 시점에 전송된 상태 정보, 통신 정보를 비상 보고 모듈(635)에 할당한다. 정상 모드로 동작시 수신한 화재감지신호, 및 비상 모드로 동작시 수신한 화재감지신호, 잔류인원수 및/또는 스냅샷은 비상 보고 모듈(635)에만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우선순위분류 모듈(620)은 상태 정보, 통신 정보 모두 정상값을 가지면, 정상 보고 모듈(630)에 할당하며, 상태 정보, 통신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비정상값을 가지면, 비상보고 모듈(635)에 할당할 수 있다.
정상 보고 모듈(630)은 우선순위분류 모듈(620)에 의해 할당된 상태 정보, 통신 정보 및/또는 잔류인원수를 구조화된 UI에 표시하여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에 주기적으로 표출한다.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은 관제 서버(600)에 접속하여, 건물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상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정상 보고 모듈(630)은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며, 데이터 수집 장치의 위치 및 종류를 건물의 층별 구조에 표시할 수 있다.
비상 보고 모듈(635)은 우선순위분류 모듈(620)에 의해 할당된 화재감지신호 및 스냅샷을 구조화된 UI에 표시하여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에 즉시 표출한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를 관제 서버(600)에 접속한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에 표출하는 정상 보고 모듈(630)과 비교할 때, 비상 보고 모듈(635)은 관제 서버(600)에 접속하지 않은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에도 화재감지신호 및 스냅샷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냅샷이 할당되면, 비상 보고 모듈(635)은 스냅샷이 생성된 건물의 시설관리자 단말로 스냅샷을 전송한다.
화재 발생시, 비상 보고 모듈(635)은 화재감지신호 및 화재 발생 위치를 구조화된 UI에 표시하여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을 통해 관련 기관에 전달할 수 있다. 화재 발생 위치는 화재가 발생한 건물을 식별할 수 있는 건물 식별자(예를 들어, 건물명, 주소 등) 및 화재가 발생한 구역 식별자(예를 들어, 10층)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상 보고 모듈(635)은 구역별 잔류인원수를 구조화된 UI에 표시하여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을 통해 관련 기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비상 보고 모듈(635)은 화재감지신호를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로도 전달한다.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화재감지신호를 영상분석장치(200) 및 이상음원 감지장치(300)에 전달하여 비상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특히, 이상음원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비상 보고 모듈(635)은 이상음원이 감지된 위치에 가까운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확인결과 폐쇄상태이면 비상문 개방 신호를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를 통해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410)로 전달하여 대피자에게 안전한 대피로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 모듈(640)은 데이터 수집 장치의 설치 위치를 건물의 층별 구조와 함께 모바일 앱(700) 및 웹 플랫폼(800)에 표출할 수 있다. 위치 모듈(640)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위치측위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 장치의 설치 위치의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저장 및 관리한다.
정보 관리 모듈(645)은 데이터 수집 장치별 이력을 관리한다. 정보 관리 모듈(645)은, 상태 정보 및/또는 통신 정보에 대한 이력을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에 표출한다.
장치 정보 모듈(650)은 데이터 수집 장치에 연관된 정보를 관리한다. 장치 정보 모듈(650)은,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 장치의 장치 정보, 위치 정보, 알림 수신 선택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한다. 추가적으로, 장치 정보 모듈(650)은 데이터 수집 장치별 이력을 표출할 수 있다.
센서정보분석 모듈(660)은 데이터 수집 장치에 연결된 센서가 생성한 센싱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한다. 센서정보분석 모듈(660)은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비상 상황 발생, 고장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자동제어 모듈(665)은, 센서정보분석 모듈(660)의 분석 결과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이 비정상 값을 가지면, 비정상 값을 기반으로 비상 알림 수행 여부를 판단하며, 건물의 시설관리자 단말로 비상 알림을 전송한다. 비상 알림 수행은, 상태 정보의 종류에 따라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감지신호 또는 인가된 출입에 의해 비상문이 개방된 경우, 비상 알림을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되며, 비인가 출입에 의해 비상문이 개방되거나 화재감지신호에도 비상문이 개방되지 않은 경우, 비상 알림을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670)은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의 운영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건물 내 구역마다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상기 구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제공한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구역에 진입한 진입자와 상기 구역으로부터 나온 진출자를 식별하며, 상기 진입자의 수와 상기 진출자의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구역의 잔류인원수를 산출하는 영상분석장치;
    상기 화재감지신호 및 상기 잔류인원수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 라우터; 및
    상기 통신 라우터를 통해 상기 화재감지신호 및 상기 잔류인원수를 수신하고, 화재 발생 위치 및 구역별 잔류인원수를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구조도에 표출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재 발생시 발생시 상기 구역에 위치한 대피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이상음원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이상음원 감지장치;
    화재 안전구역 또는 옥상으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비상문의 개폐를 관리하는 출입통제장치; 및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로 비상문 개방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잔류인원수, 상기 이상음원 감지신호 및 상기 개폐상태를 상기 통신 라우터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더 포함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신호가 생성된 구역 근처에 위치한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비상문이 폐쇄상태이면 비상문 개방 신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통해 상기 잠금장치로 전송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화재감지신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영상분석장치가 비상 모드로 동작하게 하되,
    상기 영상분석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구역에서 발생한 변화를 감지하면 스냅샷을 생성하여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5. 건물의 구역별로 설치되어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
    상기 건물의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조화된 UI를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 및 상기 건물에서 수집된 화재 데이터와 현장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구조화된 UI에 표시하는 관제 서버;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구조화된 UI를 화면에 표출하는 웹 플랫폼을 포함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재 데이터는 화재 발생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현장 데이터는 구역별 잔류인원수를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공간 데이터는 상기 건물의 층별 구조,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의 위치 및 상기 건물 내 주요 구역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는
    상기 구역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상기 구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제공한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구역에 진입한 진입자와 상기 구역으로부터 나온 진출자를 식별하며, 상기 진입자의 수와 상기 진출자의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구역의 잔류인원수를 산출하는 영상분석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석장치는 화재 발생시 상기 카메라가 제공한 영상에서 스냅샷을 추출하여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석장치는 상기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요구조자를 검출하며, 검출된 요구조자 위치는 상기 구조화된 UI에 표시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화재 발생시 상기 구역에 위치한 대피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이상음원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이상음원 감지장치; 및
    화재 안전구역 또는 옥상으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비상문의 개폐를 관리하는 출입통제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신호가 생성된 구역에 위치한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비상문이 폐쇄상태이면 비상문 개방 신호를 상기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로 전송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상음원 감지장치는 다중 마이크로 수집한 음성을 통해 요구조자를 검출하며, 검출된 요구조자 위치는 상기 구조화된 UI에 표시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KR1020210116510A 2021-09-01 2021-09-01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KR102563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10A KR102563094B1 (ko) 2021-09-01 2021-09-01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10A KR102563094B1 (ko) 2021-09-01 2021-09-01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487A true KR20230033487A (ko) 2023-03-08
KR102563094B1 KR102563094B1 (ko) 2023-08-03

Family

ID=8550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510A KR102563094B1 (ko) 2021-09-01 2021-09-01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0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787B1 (ko) * 2008-03-31 2008-10-16 주식회사 마이다스엔지니어링 비상문 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06665A (ko) * 2016-03-14 2017-09-22 이현기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86357Y1 (ko) 2017-09-29 2018-05-08 윤은상 카메라 일체형 화재 감지 장치
KR101895843B1 (ko) * 2017-04-13 2018-09-07 첵트 엘엘씨 알람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2285A (ko) * 2019-12-09 202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자 인원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cctv 영상정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787B1 (ko) * 2008-03-31 2008-10-16 주식회사 마이다스엔지니어링 비상문 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06665A (ko) * 2016-03-14 2017-09-22 이현기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95843B1 (ko) * 2017-04-13 2018-09-07 첵트 엘엘씨 알람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86357Y1 (ko) 2017-09-29 2018-05-08 윤은상 카메라 일체형 화재 감지 장치
KR20210072285A (ko) * 2019-12-09 202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자 인원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cctv 영상정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094B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463B1 (ko)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CN105561492B (zh) 人的行为统计信息动态获取终端、疏散系统和方法
EP36353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responses to an event detected by a monitoring system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KR102322427B1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CN110021132A (zh) 一种物联网防火大数据平台
JP5534973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101403465B1 (ko)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37708B1 (ko) 실시간 소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소방 정보 제공 단말장치
US11580843B2 (en) Intelligent emergency response for multi-tenant dwelling units
KR101352488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식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
CN112044006A (zh) 一种楼宇用监控消防系统
CN105516659A (zh) 一种基于脸部情绪识别的智能安防系统及方法
KR20100116465A (ko) 금연구역의 원격 감시 및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N11221605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消防信息管理平台设备
CN112288320A (zh) 一种地铁运行风险监控和管理系统
KR20220071880A (ko) 지하공동구 맞춤형 디지털트윈 재난 관리 시스템
KR20160109516A (ko) 구조 대상 파악 시스템 및 방법
JP2019219844A (ja) 無線による防災システムおよび防災方法
CN111915823A (zh) 消防系统、服务器及移动终端设备
KR20040088873A (ko) 건물 화재 예방을 위한 원격 통합 자동 감시 시스템
CN111080957A (zh) 一种基于窄带物联网的火灾防控方法
KR102563094B1 (ko)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