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105A -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105A
KR20230033105A KR1020210113766A KR20210113766A KR20230033105A KR 20230033105 A KR20230033105 A KR 20230033105A KR 1020210113766 A KR1020210113766 A KR 1020210113766A KR 20210113766 A KR20210113766 A KR 20210113766A KR 20230033105 A KR20230033105 A KR 20230033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ensor
ultra
flexible gas
sensitive flexible
sen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100B1 (ko
Inventor
하태준
전준영
박상준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13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1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5Composition of the body, e.g. the composition of its sensitive layer
    • G01N27/126Composition of the body, e.g. the composition of its sensitive layer comprising organ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4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vinylidene fluori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9Diode type sensors, e.g. gas sensitive Schottky di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37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for N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2Ionic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기재; 상기 플렉서블 기재 상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전극층; 상기 전극층 상에 구비된 이온성 젤을 포함하는 센싱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온성 젤은, 200,000 g/mol 이상 1,000,000 g/mol 이하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소수성 고분자와 이온성 액체가 복합화된 것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EXTREMELY HIGH SENSITIVE FLEXIBLE GAS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화질소(NO)를 감지하는 화학 센서는 고온 연소, 환경 보호 및 임상 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성이 높으므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중, 호기 내의 산화질소를 바이오마커로 이용한 바이오 가스센서는 천식, 낭포성 섬유증 및 기관지 확장증과 같은 건강 장애를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다만, 호기 가스 내의 산화질소는 ppb 수준의 극도로 낮은 농도로 포함되어 있으며, 나아가 호기 가스는 최대 90 RH%의 상대습도를 가지고 수소(H2), 산소(O2), 이산화탄소(CO2) 등 다양한 가스종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선택적으로 산화질소를 검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는 높은 감지 응답과 재현성으로 인해 NO 가스센서의 감지 물질로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표면적이 큰 2차원(2D) 나노 물질은 화학 반응을 향상 시켜 높은 감지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유형의 센서는 필연적으로 제어된 환경에서 높은 작동 및 처리 온도를 필요로 하므로 웨어러블 센서로의 응용 및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산화질소와 같은 ppb 수준의 타겟 물질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웨어러블 센서로의 적용 또는 신체 부착용 센서로의 적용 등이 가능한 가스센서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8-0124167 호
본 발명은 유연성이 확보되고 ppb 수준의 고감도 검출이 가능한,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피부부착형 선택적 산화질소 검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플렉서블 기재; 상기 플렉서블 기재 상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전극층; 상기 전극층 상에 구비된 이온성 젤을 포함하는 센싱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온성 젤은 200,000 g/mol 이상 1,000,000 g/mol 이하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소수성 고분자와 이온성 액체가 복합화된 것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로부터의 전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감지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A) 유기 용매, 200,000 g/mol 이상 1,000,000 g/mol 이하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소수성 고분자, 및 이온성 액체를 혼합하여 이온성 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이온성 젤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전극층이 구비된 플렉서블 기재 상에 이온성 젤을 포함하는 센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별도의 외부 에너지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ppb 수준의 초고감도 측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고습도에서도 감지 성능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으며, 박막화가 가능하고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웨어러블 센서 또는 신체 부착형 센서 등으로의 적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에 있어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에서의 이온성 액체와 NO 분자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한 감지 매커니즘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NO 가스에 노출되기 전과 후의 이온성 젤 기반 센싱층의 C1s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PVDF-HFP 및 [EMIM][TFSI]로 구성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 표면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PVDF-HFP 및 [EMIM][TFSI]로 구성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 단면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PVDF-HFP 및 [EMIM][TFSI]로 구성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의 EDS 특성화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PVDF-HFP 및 [EMIM][TFSI]로 구성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b 및 도 7c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PVDF-HFP 및 [EMIM][TFSI]로 구성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의 FTIR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이온성 젤 조성물 내의 PVDF-HFP의 함량 변화에 따른 300 ppb의 NO 가스의 평균 감지 응답률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이온성 젤 조성물 내의 [EMIM][TFSI]의 함량 변화에 따른 300 ppb의 NO 가스의 평균 감지 응답률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c는 이온성 젤 조성물 내의 아세톤의 함량 변화에 따른 300 ppb의 NO 가스의 평균 감지 응답률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가스센서의 NO 가스에 노출 시 센싱층의 저항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PVDF-HFP, PEO, PMMA에 대한 TGA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b는 도 10a의 TGA 곡선을 기반으로 PVDF-HFP, PEO, PMMA에 대한 DSC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다양한 농도의 NO 가스 노출에 대한 실시예의 감지 성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12는 도 11의 결과를 통하여 계산된 이론적 검출 한계농도(detection limit, DL)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에 10 ppb 농도의 NO가스를 노출한 경우의 센싱층의 저항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호기 가스 내의 다양한 가스에 대한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응답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온도 및 습도(RH) 조건에서의 NO 가스에 대한 센싱층의 저항 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고온 및 고습도 조건에서의 NO 가스에 대한 저항 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반복적인 굽힘에 따른 NO 가스에 대한 저항 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굽힘 응력 하에서의 실시간 저항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굽힘 응력 하에서의 NO 가스에 대한 저항 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이온성 액체(ionic liquid)"란 양이온과 음이온이 이온 결합된 액체 상태의 염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온성 액체는 100 ℃ 이하의 온도에서 액체 상태인 이온성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고,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이온성 액체는 녹는점이 상온(20 ℃ 내지 25 ℃) 이하인 염(salt)를 지칭할 수 있다.
이온성 액체는 생체 적합성 용매로 간주되며 다른 고분자 화합물과 뛰어난 용해도 및 혼화성을 나타내므로 양이온-음이온 조합 및 작용기와 통합을 통해 물질 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고체화 및 고정화되지 않은 액체 형태의 이온성 액체는 저항변화식 센서에서 전기 신호의 변동 또는 왜곡을 유발할 수 있으며, 물 분자의 존재에 민감하여 높은 상대 습도(RH) 환경에서 낮은 감도와 작동 불안정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온 전도성과 기계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이온성 액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최적의 고분자 매트릭스를 선택하고, 이들 간의 조성 등을 최적화하는 연구를 수행한 결과 하기와 같은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플렉서블 기재; 상기 플렉서블 기재 상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전극층; 상기 전극층 상에 구비된 이온성 젤을 포함하는 센싱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온성 젤은 200,000 g/mol 이상 1,000,000 g/mol 이하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소수성 고분자와 이온성 액체가 복합화된 것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상기 이온성 젤 내의 이온성 액체를 감지 물질로 적용하여 ppb 수준의 초고감도의 감지를 할 수 있다. 상기 센싱층의 소수성 고분자는 상기 이온성 젤 내의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이온 전도성과 기계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이온성 액체를 고정하고, 이온성 액체의 민감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ppb 수준의 감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0 g/mol 이상 1,000,000 g/mol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00,000 g/mol 이상 700,000 g/mol 이하, 또는 350,000 g/mol 이상 60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 범위 내의 소수성 고분자를 이온성 액체와 복합화하는 경우, 상기 이온성 젤의 점도를 최적화하고, 상기 이온성 젤 내의 이온성 액체의 감지 성능을 최대화하여, ppb 수준의 감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단독중합체 또는 불소-함유 에틸렌성 단량체와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불소-함유 에틸렌성 단량체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HFP), 트리플루오로프로필렌,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렌, 펜타플루오로프로필렌, 트리플루오로부텐, 테트라플루오로이소부텐, 및 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PAV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이온성 액체를 구성하는 양이온은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EMIM),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BMIM), 1-메틸-프로필피페리듐(MPP), 부틸 피리디늄(BPi), N,N-디에틸-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DEME), N-에틸-N-메틸피롤리디늄, N-메틸-N-프로필피롤리디늄, N-부틸-N-메틸피롤리디늄, 1-에틸-2,3-디메틸이미다졸륨, 2,3-디메틸-1-프로필이미다졸륨, 1-부틸-2,3-디메틸이미다졸륨, N-메틸-N-프로필 피페리디늄, N-부틸-N-메틸피페리디늄, 트리에틸펜틸포스포늄, 트리에틸옥틸포스포늄, 테트라에틸암모늄(TEA), 트리에틸메틸암모늄(TEMA), 및 스피로비피롤리디늄(SB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이온성 액체를 구성하는 음이온은 비스(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미드(FSA),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미드(TFSA), 비스(펜타플루오로술포닐)아미드(BETA),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트리플레이트, 트리플로오르아세테이트, 알킬술페이트, 토실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TFSI), 및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이온성 액체는 양이온으로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EMIM), 음이온으로서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TFSI)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고분자와 상기 이온성 액체의 중량비는 1:2 내지 1:1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수성 고분자와 상기 이온성 액체의 중량비는 1:2 내지 1:6, 1:3 내지 1:5, 또는 1:3.5 내지 1:4.5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량비 범위 내에서,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초고감도로 산화질소와 같은 타겟 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센싱층의 두께는 15 ㎛ 이상 75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싱층의 두께는 20 ㎛ 이상 50 ㎛ 이하, 20 ㎛ 이상 40 ㎛ 이하, 또는 25 ㎛ 이상 3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센싱층의 두께 범위 내에서, 상기 센싱층은 초고감도로 산화질소와 같은 타겟 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측정 가스 내의 타겟 물질의 검출 한계 농도는 0.17 ppb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이론적 검출 한계 농도는 0.17 ppb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적어도 10 ppb 농도의 타겟 물질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산화질소를 선택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호기 가스 내의 산화질소를 선택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호기 가스 내 ppb 수준으로 존재하는 산화질소를 선택적으로 감지하여, 질병 등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타겟 물질에 노출 시 상기 센싱층의 저항 감소를 이용하여 타겟 물질을 감지하는 저항 변화식 가스센서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에 있어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에서의 이온성 액체와 NO 분자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한 감지 매커니즘을 도시한 것이다. 이온성 액체의 양이온 및 음이온 각각에 대하여 NO 기체 분자의 두 가지 비공유 상호작용이 우세하고, 특히 이미다졸 기반의 이온성 액체, 예를 들어 [EMIM][TFSI]는 NO의 π결합과 EMIM 양이온 사이의 π-π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NO 기체 분자의 흡착에 이상적일 수 있다. 또한, sp2-혼성의 N 원자 위와 아래에 양의 정전기 전위를 가지는 TFSI 음이온의 O 원자와 NO 가스 분자와의 π-홀(hole) 상호작용을 통해 반응할 수 있다. 이온성 액체의 TFSI 음이온의 이러한 반응은 이온성 젤에서의 양이온-음이온 상호작용을 감소시키고 타 기체 분자가 용해될 때 점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온성 젤의 감소된 점도는 이온 확산도와 전도도를 증가시켜 이온성 젤의 저항을 감소시키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NO와 같은 타겟 물질을 매우 높은 민감도로 검출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NO 가스에 노출되기 전과 후의 이온성 젤 기반 센싱층의 C1s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탄소 관련 상호 작용에 관한 피크를 제외하고는 이온성 젤의 스펙트럼에 다른 피크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탄화수소에서 상당한 불순물의 영향이 제외되었음을 나타낸다. 특히, 이온성 젤이 NO 가스와 상호작용할 때 더 낮은 결합 에너지를 향한 C1s 피크의 이동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이온성 젤의 이온 상호작용이 NO 가스 분자와의 화학 반응으로 인해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는 NO 가스에 노출되었을 때 이온성 젤 저항의 감소와 잘 일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타겟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센싱층의 저항이 크게 감소하게 되고, 타겟 물질의 노출이 중단되는 경우 초기의 저항 값으로 복귀하여, 반복성 및 가역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기재는 유연성을 가지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기재일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재는 유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필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고분자의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전극층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박막 금속층일 수 있으며, 이의 두께, 형상 및 배치 등은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용도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25 ℃ 내지 45 ℃의 온도 범위 내에서의 감지 응답률은, 35 ℃에서의 감지 응답률의 ±10 % 이내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0 RH% 내지 90 RH% 범위의 습도 범위 내에서의 감지 응답률은, 30 RH%에서의 감지 응답률의 ±10 % 이내의 범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30 %의 굽힘 응력 하에서의 20,000 회 굽힘 주기 이후의 감지 응답률은, 0 %의 굽힘 응력 하에서의 감지 응답률의 ±10 % 이내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감지 응답률은 싱기 센싱층의 타겟 물질에 대한 감지 정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O 가스 노출 시의 상기 센싱층의 저항 감소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굽힘 응력은 하기 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으며, 시편 두께는 플렉서플 기재 및 상기 센서층을 포함한 전체 두께를 의미한다.
[식 1]
굽힘 응력(%) = 시편 두께/{2×(곡률 반경)}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별도의 패시베이션 층 없이 기계적 안정성이 뛰어난 가스센서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센싱층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열선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에서의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은 굽힘 내구성 및 굽힘 상태에서도 감지 성능의 저하가 거의 없으므로,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웨어러블 가스센서로의 적용이 용이하다. 나아가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에서의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은 고습도의 분위기에서도 감지 성능의 저하가 거의 없으므로,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피부 부착형 가스센서 등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웨어러블 가스 측정 장치, 헬스케어 장치, 호기 가스 측정 장치, 또는 신체 부착형 가스 측정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피부부착형 선택적 산화질소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로부터의 전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감지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 측정 장치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AC/DC 컨버터, 신호 수신부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A) 유기 용매, 200,000 g/mol 이상 1,000,000 g/mol 이하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소수성 고분자, 및 이온성 액체를 혼합하여 이온성 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이온성 젤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전극층이 구비된 플렉서블 기재 상에 이온성 젤을 포함하는 센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에서의 소수성 고분자, 이온성 액체, 센싱층, 전극층, 및 플렉서블 기재 등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온성 젤 조성물을 상기 플렉서블 기재 상에 도포한 후, 어닐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닐링은 60 ℃ 내지 100 ℃의 온도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어닐링은 60 ℃ 내지 100 ℃의 온도에서 5분 내지 20분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B) 단계는 용액 공정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이온성 젤 조성물의 도포는, 예를 들어 바-프린팅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이온성 젤 조성물 내의, 상기 소수성 고분자와 상기 이온성 액체의 중량비는 1:2 내지 1: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센싱층의 두께가 15 ㎛ 이상 75 ㎛ 이하가 되도록, 상기 이온성 젤 조성물 내의 유기 용매의 함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층의 두께 범위 내에서 ppb 수준으로 타겟 물질의 감지가 가능하므로, 상기 이온성 젤 조성물의 도포 방법을 고려하여 유기 용매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온성 젤 조성물에서의 소수성 고분자, 이온성 액체 및 유기 용매의 중량비(소수성 고분자:이온성 액체:유기 용매)는 0.75~1.25 : 3.75~4.25 : 6~7.5, 구체적으로, 1:4:7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은 간단한 용액 공정을 이용하여 센싱층을 형성하므로, 복잡한 공정 장비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나아가, 센싱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100 ℃ 초과의 고온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짧은 시간에 이온성 젤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이온성 젤 조성물의 제조]
PVDF-HFP(Mw ~ 400,000g/mol, Sigma Aldrich)를 아세톤에 투입하여, 1,000 rpm의 교반 속도로 2시간 동안 용해하였다. 교반된 PVDF-HFP 용액에 [EMIM][TFSI](순도 ≥ 98%, Sigma Aldrich)용액을 추가하고, 1,000 rpm의 교반 속도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이온성 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제조]
PET 기재(7 Х 7 mm)을 초음파 발생기에서 아세톤, 메탄올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사용하여 각각 10분 동안 세척하였다. 세척된 PET 기재 상에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한 패터닝 공정 후 50 nm 두께의 금 전극을 증착하여 전극층을 형성하였다.
나아가, 전극층이 형성된 PET 기재 상에 제조된 이온성 젤 조성물을 바-프린팅(bar-printing)으로 도포하고, 70 ℃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어닐링하여 센싱층을 형성하였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PVDF-HFP 및 [EMIM][TFSI]로 구성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 표면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PVDF-HFP 및 [EMIM][TFSI]로 구성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 단면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PVDF-HFP 및 [EMIM][TFSI]로 구성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의 EDS 특성화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관찰된 피크를 통하여 탄소(C), 질소(N), 산소(O), 불소(F) 및 황(S)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PVDF-HFP의 화학 구조와 잘 일치하며, N, O, 및 S는 [EMIM][TFSI]의 이온성 액체에만 존재하므로 이온성 액체가 고분자 매트릭스에 효과적으로 통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a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PVDF-HFP 및 [EMIM][TFSI]로 구성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PVDF-HFP의 XRD 패턴은 각각 α상 PVDF 결정의 (100) 및 (110) 평면에 해당하는 17.9° 및 19.9°에서 대표적인 피크를 나타낸다. 또한, PVDF 결정질에 대해 관찰된 피크의 강도는 이온성 젤의 XRD 패턴에서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고분자 사슬 사이의 수소 결합 약화와 이온성 액체 혼입의 가소화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7b 및 도 7c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PVDF-HFP 및 [EMIM][TFSI]로 구성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의 FTIR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VDF-HFP의 FTIR 스펙트럼은 486, 530, 614, 762, 795 및 976 cm-1 에서 밴드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PVDF 결정의 α-상에 해당한다. 872, 1066, 1178 및 1401 cm-1 의 밴드는 각각 PVDF-HFP, CF3 평면 외 변형(out-of-plane deformation), 반대칭 CF2 신축, 및 CH2 세로 진동(wagging)의 비정질 상에 해당된다. 2984 cm-1 및 3025 cm-1 의 밴드는 C-H 신축 진동에 기인한다. 이온성 젤의 스펙트럼에서 486, 530, 762, 976 cm-1 의 밴드가 억제되어 α-상 PVDF 결정의 결정도가 이온성 젤에서 감소하고 이온성 액체가 이온성 젤에 잘 분산되었음을 나타낸다.
[센싱층의 조성비에 따른 감지 성능 비교]
본 발명자들은 이온성 젤 조성물 내의 조성비의 최적화를 하기 위하여, 소수성 고분자인 PVDF-HFP, 이온성 액체인 [EMIM][TFSI] 및 용매인 아세톤의 중량비의 최적화를 위하여 다양한 조합을 수행한 결과, PVDF-HFP, [EMIM][TFSI] 및 아세톤의 중량비가 1:4:7인 경우, 가장 우수한 감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8a는 이온성 젤 조성물 내의 PVDF-HFP의 함량 변화에 따른 300 ppb의 NO 가스의 평균 감지 응답률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EMIM][TFSI] 및 아세톤을 각각 4 g 및 7 g으로 고정한 후의 PVDF-HFP의 중량 변화에 따른 300 ppb의 NO 가스의 평균 감지 응답률을 측정하였다. 평균 감지 응답률은 PVDF-HFP의 함량이 0.50 g에서 1.00 g으로 증가함에 따라 18.0 %에서 41.0 %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평균 감지 응답률의 증가는 PVDF-HFP의 함량이 1.00 g 미만일 때 이온성 액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불충분한 고분자 매트릭스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PVDF-HFP의 함량이 1.00 g에서 1.25 g으로 증가함에 따라 평균 감지 응답률은 41.0 %에서 33.7 %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감소는 고분자 매트릭스의 과도한 농도에 따른 이온성 젤의 높은 점도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이는 이온성 젤의 이온 전도도를 저하시켜 저항변화식 NO 가스 센서의 감지 응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된다.
도 8b는 이온성 젤 조성물 내의 [EMIM][TFSI]의 함량 변화에 따른 300 ppb의 NO 가스의 평균 감지 응답률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PVDF-HFP 및 아세톤을 각각 1 g 및 7 g으로 고정한 후의 [EMIM][TFSI]의 중량 변화에 따른 300 ppb의 NO 가스의 평균 감지 응답률을 측정하였다. [EMIM][TFSI] 함량이 3.75 g에서 4.00 g으로 증가함에 따라 충분한 이온이 NO 가스 분자와 반응하기 때문에 평균 감지 응답률은 38.6 %에서 41.0 %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온성 액체의 함량이 4.00 g에서 4.50 g으로 증가함에 따라 평균 감지 응답률은 41.0 %에서 36.9 %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온성 젤의 낮은 점도로 인한 억제된 저항 변화 반응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8c는 이온성 젤 조성물 내의 아세톤의 함량 변화에 따른 300 ppb의 NO 가스의 평균 감지 응답률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PVDF-HFP 및 [EMIM][TFSI]를 각각 1 g 및 4 g으로 고정한 후의 아세톤의 중량 변화에 따른 300 ppb의 NO 가스의 평균 감지 응답률을 측정하였다. 아세톤의 함량이 6 g에서 7 g으로 증가함에 따라 평균 감지 응답률은 40.5 %에서 41.0 %로 약간 증가한 반면, 아세톤 함량이 8 g에서 평균 감지 응답률의 상대적으로 큰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는 용매의 과다한 함량으로 인한 이온성 젤 조성물의 점도 감소가 센싱층 두께를 지나치게 감소시켜 평균 감지 응답률을 저하시킨 것으로 파악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에서의 고분자 매트릭스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비교예를 준비하여 실시예와 비교하였다.
[비교예 1]
이온성 젤 조성물을 구성하는 고분자를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Mw ~ 5,000,000 g/mol, Polysciences)으로 변경하고, 용매를 아세토니트릴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온성 액체로서 [EMIM][TFSI]를 이용하여 센싱층을 제조하였다. 이 때, 고분자, 이온성 액체 및 용매의 중량비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1:4:7로 조절하였다.
[비교예 2]
이온성 젤 조성물을 구성하는 고분자를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Mw ~ 120,000 g/mol, Sigma Aldrich)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온성 액체로서 [EMIM][TFSI]를 이용하고, 용매로서 아세톤을 적용하였다. 이 때, 고분자, 이온성 액체 및 용매의 중량비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1:4:7로 조절하였다.
도 9는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가스센서의 NO 가스에 노출 시 센싱층의 저항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가스센서에 300 ppb 농도의 NO 타겟 가스를 60초 동안 노출시킨 경우의 센싱층의 저항 감소 및 이후 N2 가스를 100초 동안 노출시킨 경우의 센싱층의 저항 회복을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센싱층은 타겟 물질 노출 시의 센싱층의 저항 감소를 통하여 고감도로 측정할 수 있으며, 타겟 물질 제거 시 저항이 회복하여 반복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 때, 타겟 물질 노출 시 저항 감소율(%)이 클수록 감지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도 9에 따르면, PEO가 포함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을 포함하는 가스센서인 비교예 1 및 PMMA가 포함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을 포함하는 가스센서인 비교예 2는 각각, 300 ppb 농도의 NO 가스 노출 시 실시예에서의 저항 감소율(41.0 %)에 크게 못미치는 3.1 % 및 3.9 %의 저항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1에서의 PEO는 실시예에서의 PVDF-HFP에 비하여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높고, 비교예 2에서의 PMMA는 실시예에서의 PVDF-HFP에 비하여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낮아, 센싱층을 형성하는 이온성 젤의 점도에 영향을 주어, NO 가스의 감지 성능의 저하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하여, 이온성 젤의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이온성 젤의 점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NO 가스의 감지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이온성 젤 기반의 센싱층의 고분자 매트릭스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 각각에 적용된 PVDF-HFP, PEO, PMMA에 대한 TGA 및 DSC 측정을 하였다.
도 10a는 PVDF-HFP, PEO, PMMA에 대한 TGA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에 따르면, PVDF-HFP의 완전한 분해는 546 ℃에서 발생했으며 이는 PEO(436 ℃) 및 PMMA(473 ℃)의 해당 온도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다른 고분자 매트릭스와 비교하여 PVDF-HFP의 우수한 열 안정성을 나타낸다.
도 10b는 도 10a의 TGA 곡선을 기반으로 PVDF-HFP, PEO, PMMA에 대한 DSC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b에 따르면, PVDF-HFP는 첫 번째 분해의 경우 107 ℃, 두 번째 분해의 경우 141 ℃의 온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온도는 도 10b에 표시된 것처럼 PEO(129 ℃ 및 173 ℃) 및 PMMA(119 ℃ 및 199 ℃)보다 낮다. 이 결과는 고분자 매트릭스인 PVDF-HFP가 비정질상의 지배적인 형성으로 인한 낮은 결정도를 나타내고 고분자 구조에서 분절 운동을 촉진하여 높은 이온 전도도 및 저항 변화에서 향상된 감지 성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NO 가스의 농도에 따른 감지 성능 및 NO 가스 선택도의 평가]
본 발명자들은 최적화된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NO 가스의 감지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ppb에서 ppm까지의 넓은 감지 범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11은 다양한 농도의 NO 가스 노출에 대한 실시예의 감지 성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각각 1분의 노출 시간으로 300 ppb에서 1 ppm 범위로 NO 가스를 노출시킨 경우의 센싱층의 저항 감소율을 통한 감지 성능을 나타내었다. 도 11에 따르면, ppb 수준에서 ppm 수준의 농도에 이르기까지 실시간으로 빠르고 높은 응답률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2는 도 11의 결과를 통하여 계산된 이론적 검출 한계농도(detection limit, DL)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따르면, 이론적 검출 한계농도는 0.17 ppb 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나아가, 호기 가스 중의 NO를 검출하기 위하여는 10 ppb 수준의 감지 성능이 필요하므로, 10 ppb 농도의 NO 가스에 대한 응답성을 확인하였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에 10 ppb 농도의 NO가스를 노출한 경우의 센싱층의 저항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따르면,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8 %의 저항 감소율으로 10 ppb 농도의 NO 가스를 감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저항 변화식 가스 센서는 높은 감지 응답과 완전한 회복을 위해 ppb 수준에서 상대적으로 긴 응답 및 회복 시간(> 200초)을 나타내므로 바이오 센서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 센서는 10 ppb의 NO 농도에서 한 번의 감지 주기에서 빠른 응답(51초) 및 복구(75초) 시간을 충족하였다.
나아가, 호기 가스 내의 NO 외 다른 가스에 의하여, ppb 수준의 NO 가스를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호기 가스 내에 포함된 NO 외 다른 가스에 대한 응답률을 확인하였다.
도 14는 호기 가스 내의 다양한 가스에 대한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응답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에 따르면, 날숨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다른 가스에 대하여, NO 가스에 탁월한 선택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ppb 수준까지 바이오마커로서의 NO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NO 가스 센서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부착형 가스센서로의 적용 가능성 평가]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를 피부부착형 가스센서로의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온도 및 습도(RH) 조건에서의 NO 가스에 대한 센싱층의 저항 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 따르면,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서로 다른 온도 범위(30 ℃ 내지 45 ℃) 및 습도 범위(0 RH% 내지 90 RH%)에서 매우 안정적인 저항 감소율(응답률)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고온 및 고습도 조건에서의 NO 가스에 대한 저항 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에 따르면, 2일 동안의 30 ℃ 및 45 ℃의 온도에서 90 RH%의 습도 조건에서도 NO 가스에 대한 저항 감소율(응답률)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온도 및 상대습도의 환경 조건에서의 우수한 작동 안정성은 [EMIM][TFSI]의 본질적으로 높은 열 안정성과 PVDF-HFP의 높은 소수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통하여, 호기 가스 내의 NO 가스 감지를 위한 피부 부착형 가스센서의 가혹한 조건 하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반복적인 굽힘에 따른 NO 가스에 대한 저항 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7은 30%의 굽힘 변형률에서의 굽힘 주기에 따른 NO 가스에 대한 저항 감소율(응답률)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에 따르면, 20,000번의 기계적 변형 후에도 물리적 외관 및 감지 성능의 현저한 열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굽힘 응력 하에서의 실시간 저항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8은 0 %에서 30 %까지의 변형률로 굽힘을 반복하면서 측정한 실시간 굽힘 응력 하에서 저항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에 따르면, 0 %에서 30 %까지의 변형률의 굽힘 상태에서 센싱층의 저항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센싱층의 전기적 특성이 물리적 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굽힘 응력 하에서의 NO 가스에 대한 저항 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9는 0 %에서 30 %까지의 변형률로 굽힘 응력 하에서의 NO 가스에 대한 저항 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에 따르면, 굽힘 응력이 없는 상태와 굽힘 응력이 있는 상태에서의 NO 가스에 대한 저항 감소율(응답률)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상기와 같은 기계적 안정성은 방출된 이온성 액체의 농도 및 점도에 따라 중합체 매트릭스의 비정질 상이 증가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상기 굽힘 테스트 결과는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버퍼층 없이도 높은 기계적 안정성이 확인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박막화가 필요하고 반복적인 굽힘 내구성이 필요한 피부 부착형 가스센서에 매우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9)

  1. 플렉서블 기재; 상기 플렉서블 기재 상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전극층; 상기 전극층 상에 구비된 이온성 젤을 포함하는 센싱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온성 젤은, 200,000 g/mol 이상 1,000,000 g/mol 이하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소수성 고분자와 이온성 액체가 복합화된 것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와 상기 이온성 액체의 중량비는 1:2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층의 두께는 15 ㎛ 이상 7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단독중합체 또는 불소-함유 에틸렌성 단량체와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불소-함유 에틸렌성 단량체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HFP), 트리플루오로프로필렌,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렌, 펜타플루오로프로필렌, 트리플루오로부텐, 테트라플루오로이소부텐, 및 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PAV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를 구성하는 양이온은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EMIM),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BMIM), 1-메틸-프로필피페리듐(MPP), 부틸 피리디늄(BPi), N,N-디에틸-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DEME), N-에틸-N-메틸피롤리디늄, N-메틸-N-프로필피롤리디늄, N-부틸-N-메틸피롤리디늄, 1-에틸-2,3-디메틸이미다졸륨, 2,3-디메틸-1-프로필이미다졸륨, 1-부틸-2,3-디메틸이미다졸륨, N-메틸-N-프로필 피페리디늄, N-부틸-N-메틸피페리디늄, 트리에틸펜틸포스포늄, 트리에틸옥틸포스포늄, 테트라에틸암모늄(TEA), 트리에틸메틸암모늄(TEMA), 및 스피로비피롤리디늄(SB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성 액체를 구성하는 음이온은 비스(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미드(FSA),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미드(TFSA), 비스(펜타플루오로술포닐)아미드(BETA),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트리플레이트, 트리플로오르아세테이트, 알킬술페이트, 토실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TFSI), 및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측정 가스 내의 타겟 물질의 검출 한계 농도는 0.17 pp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산화질소를 선택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타겟 물질에 노출 시 상기 센싱층의 저항 감소를 이용하여 타겟 물질을 감지하는 저항 변화식 가스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25 ℃ 내지 45 ℃의 온도 범위 내에서의 감지 응답률은, 35 ℃에서의 감지 응답률의 ±10 % 이내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0 RH% 내지 90 RH% 범위의 습도 범위 내에서의 감지 응답률은, 30 RH%에서의 감지 응답률의 ±10 % 이내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30 %의 굽힘 응력 하에서의 20,000 회 굽힘 주기 이후의 감지 응답률은, 0 %의 굽힘 응력 하에서의 감지 응답률의 ±10 % 이내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는, 웨어러블 가스 측정 장치, 헬스케어 장치, 호기 가스 측정 장치, 또는 신체 부착형 가스 측정 장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14. 청구항 1에 따른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상기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로부터의 전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감지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 측정 장치.
  15. (A) 유기 용매, 200,000 g/mol 이상 1,000,000 g/mol 이하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소수성 고분자, 및 이온성 액체를 혼합하여 이온성 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이온성 젤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전극층이 구비된 플렉서블 기재 상에 이온성 젤을 포함하는 센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온성 젤 조성물을 상기 플렉서블 기재 상에 도포한 후, 어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은 60 ℃ 내지 100 ℃의 온도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젤 조성물 내의, 상기 소수성 고분자와 상기 이온성 액체의 중량비는 1:2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센싱층의 두께가 15 ㎛ 이상 75 ㎛ 이하가 되도록, 상기 이온성 젤 조성물 내의 유기 용매의 함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KR1020210113766A 2021-08-27 2021-08-27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4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766A KR102614100B1 (ko) 2021-08-27 2021-08-27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766A KR102614100B1 (ko) 2021-08-27 2021-08-27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105A true KR20230033105A (ko) 2023-03-08
KR102614100B1 KR102614100B1 (ko) 2023-12-15

Family

ID=8550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766A KR102614100B1 (ko) 2021-08-27 2021-08-27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1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495A (ko) * 2016-11-29 2018-06-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4167A (ko) 2017-05-10 2018-11-21 광전자 주식회사 반도체를 이용한 NOx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JP2019184291A (ja) * 2018-04-04 2019-10-24 国立大学法人山形大学 湿度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78481B1 (ko) * 2018-11-27 2020-02-1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변색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9802B1 (ko) * 2019-02-01 2020-07-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pb 레벨의 산화질소를 감지 가능한 고성능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495A (ko) * 2016-11-29 2018-06-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4167A (ko) 2017-05-10 2018-11-21 광전자 주식회사 반도체를 이용한 NOx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JP2019184291A (ja) * 2018-04-04 2019-10-24 国立大学法人山形大学 湿度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78481B1 (ko) * 2018-11-27 2020-02-1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변색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9802B1 (ko) * 2019-02-01 2020-07-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pb 레벨의 산화질소를 감지 가능한 고성능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100B1 (ko)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jumder et al. A highly sensitive non-enzymatic hydrogen peroxide and hydrazine electrochemical sensor based on 3D micro-snowflake architectures of α-Fe 2 O 3
Mousavi et al.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PEDOT) doped with carbon nanotubes as ion-to-electron transducer in polymer membrane-based potassium ion-selective electrodes
Bobacka Potential stability of all-solid-state ion-selective electrodes using conducting polymers as ion-to-electron transducers
Parra et al. An effective nanostructured assembly for ion-selective electrodes. An ionophore covalently linked to carbon nanotubes for Pb 2+ determination
WO2015042971A1 (en) Lead ion sensors, methods of making and uses thereof
Gan et al. Three-Dimensional Porous H x TiS2 Nanosheet–Polyaniline Nanocomposite Electrodes for Directly Detecting Trace Cu (II) Ions
US20180337417A1 (e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ssembly
Parra et al. A potassium sensor based on non-covalent functionaliz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Jeon et al. Wearable nitrogen oxide gas sensors based on hydrophobic polymerized ionogels for the detection of biomarkers in exhaled breath
Zeng et al. Stable Pb2+ ion-selective electrodes based on polyaniline-TiO2 solid contacts
Chen et al. Flexible room temperature ammonia gas sensor based on in suit polymerized PANI/PVDF porous composite film
Aparicio-Martínez et al. Room Temperature Detection of Acetone by a PANI/Cellulose/WO3Electrochemical Sensor
Di Pasquale et al. An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in ionic polymer polymer composites (IP2Cs) manufactured by polymerization in situ of PEDOT/PSS on Nafion® 117
CN113155933B (zh) 一种基于石墨烯-三氧化钼的全固态钾离子选择性电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614100B1 (ko) 초고감도 플렉서블 가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Liu et al. Potential stability improvement in solid-contact Pb2+ ion-selective electrodes by using polyaniline/montmorillonite composites as the ion-to-electron transducer
Liu et al. Ionic liquids combined with Pt-modified ordered mesoporous carbons as electrolytes for the oxygen sensing
CN109752429B (zh) 基于苯胺低聚物/石墨烯复合材料的pH电化学传感器及其制备方法
Liu et al. Effects of water on ionic liquid electrochemical microsensor for oxygen sensing
Zhang et al. Solid-contact polymeric membrane ion-selective electrodes using a covalent organic framework@ reduced graphene oxide composite as ion-to-electron transducer
Deb et al. Polyaniline encapsulated graphite: A sensitive system for resistive detection of methanol
Lee et al. Micropyramidal flexible ion gel sensor for multianalyte discrimination and strain compensation
WO2008031091A2 (en) A surface-based ammonium ion sensor: an electrode derivatized with a self-assembled monolayer
Al-Sodies et al. Recent exploiting of poly (ionic liquid) s in sensing applications
Lenar et al. Carbon Nanomaterials-Poly (3-octylthiophene-2, 5-diyl)–Hydrous Iridium Dioxide Triple Composite Materials as Superhydrophobic Layers for Ion-Selective Electr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