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077A -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글래스를 카세트에 적재하는 방법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글래스를 카세트에 적재하는 방법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077A
KR20230033077A KR1020210113396A KR20210113396A KR20230033077A KR 20230033077 A KR20230033077 A KR 20230033077A KR 1020210113396 A KR1020210113396 A KR 1020210113396A KR 20210113396 A KR20210113396 A KR 20210113396A KR 20230033077 A KR20230033077 A KR 20230033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ssette
glass
housing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3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077A/ko
Priority to US17/735,372 priority patent/US20230062692A1/en
Priority to CN202211013496.7A priority patent/CN115724076A/zh
Publication of KR2023003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8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65D90/0086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rotating or wound around a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73Storage r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54Gates or closures
    • B65D2590/547Gates or closures in multipl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54Gates or closures
    • B65D2590/66Operating devices therefor
    • B65D2590/664Operating devices therefor actuating mechanism other than manual, e.g. pneumatic, electropneumatic, hydraulic, electro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글래스를 수용하는 카세트 본체, 상기 카세트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 개의 개구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복수 개의 도어를 포함하는,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글래스를 카세트에 적재하는 방법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CASSETTE FOR ACCOMMODATING GLASS, METHOD FOR LOADING GLASS INTO CASSET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VER WINDOW}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글래스를 카세트에 적재하는 방법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이를 이용하여 글래스를 카세트에 적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Flat display device), 또는 굴곡을 갖는 표시 장치는 제조 공정상 대형의 마더 글래스(mother glass)를 이용하여 제조하게 된다.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경우, 다수 장의 마더 글래스를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로부터 반송하거나, 보관하기 위하여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를 이용하게 된다.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는 제조 공정 중 다수 장의 마더 글래스와 같은 글래스를 적층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평판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클린 룸은 공기 청정을 위한 시설이 확보되어 있지만,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의 반송 및 보관 시에 작업자나 클린 룸 내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개방된 카세트 내부 공간으로 침투하여 마더 글래스 표면에 부착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평판 표시 장치의 품질의 열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내부를 밀폐시킬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내부를 밀폐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세트에 탈부착되는 도어는 도어의 개폐에 어려움이 있으며, 도어의 탈부착 시에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세트의 도어를 탈부착하지 않고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글래스를 수용하는 카세트 본체, 상기 카세트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 개의 개구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복수 개의 도어를 포함하는,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어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글래스 각각이 출입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개구 각각을 선택적으로 외부에 개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카세트 본체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곡면의 일부에 대응하는 오목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접촉면은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카세트 본체의 내부를 향하는 면보다 상기 카세트 본체의 외부를 향하는 면이 더 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정 범위의 각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도어 각각의 개방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어는 일측에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홈부와 결합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회전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카세트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하우징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도어를 각각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단계, 상기 개방된 도어를 통해 카세트의 내부로 글래스를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글래스가 적재된 후 개방된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세트에 글래스를 적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어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경사면이 상기 하우징의 경사면과 접촉함으로써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구동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도어 각각의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카세트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하우징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도어를 통해 복수 개의 글래스를 카세트에 수납하는 단계, 상기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카세트를 커버 윈도우 제조 스테이지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글래스를 이용하여 커버 윈도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글래스를 카세트에 수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글래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도어 각각을 통해 상기 글래스 각각을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의 경사진 면과 접촉하여 상기 도어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구동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도어 각각의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카세트는 내부를 밀폐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용이하게 개폐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글래스를 카세트에 적재하는 방법은 외부의 이물질이 카세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용이하게 글래스를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은 상기의 카세트를 이용하여 품질이 우수한 커버 윈도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가 분리된 상태에서 카세트 본체를 반대측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어 및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도어 및 하우징을 Ⅴ-Ⅴ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및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및 하우징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6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도어 및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ⅩⅢ-ⅩⅢ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 및 가이드 레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에서 ⅩⅤ-ⅩⅤ 선을 따라 취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ⅩⅦ-ⅩⅦ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가 분리된 상태에서 카세트 본체를 반대측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10)는 카세트 본체(110), 하우징(200) 및 도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 본체(110)는 다수의 프레임(111)이 서로 연결되어서 상자형의 골조체를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카세트 본체(110)의 적어도 일면은 마더 글래스와 같은 글래스(400)가 다수 장 수납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방구(11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11)은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1)의 외부에는 커버 플레이트(113)가 결합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113)는 골조체를 이루는 각 면마다 1장씩 설치되거나, 프레임(111)이 서로 연결된 각 영역을 커버하도록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13)는 프레임(111)에 홈을 내어서 삽입하여 결합시키거나, 프레임(111)의 전면 또는 배면에서 나사 결합 등에 의하여 결합하는 등 어느 하나의 결합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플레이트(113)는 개방구(112)를 제외한 프레임(111)의 외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한다. 즉 커버 플레이트(113)는 개방구(112)를 제외한 카세트 본체(110)의 각 면을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13)는 폴리 카보네이트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13)는 일 실시예에서 투명하여 내부를 시인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카세트 본체(110)의 내부에는 수직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z 방향)으로 적층되는 각각의 글래스(400)을 지지하는 서포트부(114)가 설치되어 있다. 서포트부(114)는 대형 크기의 글래스(150)가 중력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복수 장의 글래스(400)가 서로 구분되어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서포트부(114)는 카세트 본체(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예를 들어 카세트 본체(110)의 개방구(112)에서 마주보는 면을 향해 공간을 가로질러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다. 서포트부(114)는 별도로 마련된 지지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상기 카세트 본체(110)의 프레임(111)에 결합될 수 있다. 서포트부(114)는 글래스(400)의 하면(예를 들어, 도 1의 -z 방향 면)을 지지할 수 있는 스트립이다. 서포트부(114)는 카세트 본체(110)의 수직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z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부(114)는 카세트 본체(110)의 수평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x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수직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z 방향) 및 수평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x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카세트 본체(110)의 대향되는 양 측부에는 안착부(115)가 설치될 수 있다. 안착부(115)는 카세트 본체(110)의 마주보는 면에서 대향되게 배치된 프레임(111)으로부터 카세트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돌출된 걸림턱 형상이다. 안착부(115)는 글래스(400)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안착부(115)는 서포트부(114)에 대하여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글래스(400)가 카세트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글래스(400)의 일면, 예를 들어 하면은 서포트부(114)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 동시에, 글래스(400)의 양 가장자리는 안착부(115)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각 글래스(400)는 카세트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안전하게 위치하게 된다.
카세트 본체(110)의 개방구(112)와 마주보는 면에는 백 스토퍼(116)가 설치될 수 있다. 백 스토퍼(116)는 예를 들어 수직 방향(예를 들어, 도 2의 z 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다. 백 스토퍼(116)는 카세트 본체(110)의 일면에서 프레임(111)에 연결되어 있다. 백 스토퍼(116)는 글래스(400)의 일측(예를 들어, 도 1의 y 방향 측)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백 스토퍼(116)는 상기 카세트 본체(110)의 개방구(112)를 통하여 수납되는 글래스(400)가 카세트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서 카세트 본체(110)의 일면, 예를 들어 개방구(112)와 마주보는 면을 넘어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11)의 하면(예를 들어, 도 1의 -z 방향 면)에는 카세트 본체(110)를 이동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력을 가지는 패드(117)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레임(111)의 하면(예를 들어, 도 1의 -z 방향 면)에는 패드(117)와 함께, 또는 패드(117)를 대신하여 바퀴와 같은 이동부재가 설치되어, 카세트 본체(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도어 및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세트 본체(110)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우징(2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00)은 개방구(112)에 대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개방구(112)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우징(200)은 카세트 본체(110)에 래치 핀(도면 미도시)으로 고정되거나, 나사 결합과 같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00)과 카세트 본체(110) 사이의 접촉 영역은 밀폐되도록 밀봉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일방향(예를 들어, 도 3의 z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개구(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210)는 하우징(2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예를 들어 수평 방향(도 3의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개구(210)는 카세트 본체(110)에 적재되는 글래스(400)의 배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400)가 수평하게 적재되는 경우 개구(210)는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고, 글래스(400)가 수직하게 적재되는 경우 개구(210)는 수직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글래스(400)가 수평하게 적재되고, 개구(210)는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개구(210)는 글래스(400)의 너비(도 3의 x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글래스(400)가 카세트 본체(110)로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개구(210)의 세로폭(예를 들어, 도 3의 z 방향으로의 길이)은 글래스(400)의 두께(도 3의 z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210)는 카세트 본체(110)에 적재될 글래스(4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글래스(400) 각각은, 각각의 개구(210)를 통해 카세트 본체(110)로 장입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구(210)는 각각의 서포트부(114)의 수직 방향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글래스(400)는 개구(210)를 통해 수평하게 장입되어 서포트부(114)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0)는 상기 개구(210)를 차폐하기 위해 개구(210)에 배치되어 하우징(2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어(300)는 개구(21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도어(300)는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되어, 복수 개의 글래스(400)가 출입하는 개구(210)가 개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글래스(400)가 출입할 때 개방되는 영역을 감소시켜 외부의 환경성 파티클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300)는 하우징(200)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어(300)는 수평 방향(예를 들어, 도 3의 x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어(300)는 수직 방향(예를 들어, 도 3의 z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300)가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300)는 로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310)는 도어(300)의 회전축으로서,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어(300)를 관통할 수 있다. 이때 로드(310)는 도어(300)의 상부(예를 들어, 도 3의 z 방향 측)에서 수평하게 관통할 수 있다. 도어(300)는 상부에서 관통한 로드(310)를 회전축으로 하여 위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로드(310)는 도어(300)의 양측에서 하우징(200)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로드(310)는 도어(300)와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로드(310)가 회전함으로써 도어(300)를 동일한 회전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로드(310)는 하우징(200)에 대해서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로드(310)가 삽입된 하우징(200)의 구멍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로드(310)는 홈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310)는 양측 단부 또는 일측 단부에 홈부(311)를 가질 수 있다. 홈부(311)는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후술할 구동부(500)에 끼워질 수 있다. 홈부(311)의 형상은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구동부(500)와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별모양 등의 각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와 같이 홈부(311)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도어 및 하우징을 Ⅴ-Ⅴ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어(300)는 일방향(예를 들어, 도 5의 z 방향)에서 양측이 하우징(200)과 접촉할 수 있다. 즉, 도어(300)는 개구(210)를 차폐하므로, 개구(210)의 양측, 예를 들어 개구(210)의 상부 및 하부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측(321)은 도어(300)에서 로드(310)와 인접한 일측을 지칭하고, 제2 측(322)은 도어(300)에서 제1 측(321)과 대향하는, 즉 도어(300)의 높이 방향(예를 들어, 도 5의 z 방향)으로 이격된 타측을 지칭한다.
일 실시예로 도어(300)의 제1 측(321)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321)의 측단면은 도 6과 같이 회전축, 또는 로드(310)를 중심으로 하는 볼록한 반원호를 가질 수 있다. 제1 측(321)의 측단면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측(321)의 측단면이 반원호를 가지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측(321)과 접촉하는 하우징(200), 즉 개구(210) 내부면은 곡면부(211) 및 평면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211)는 제1 측(321)의 곡면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부(211)는 도 6과 같이, 측단면이 4분원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곡면부(211)는 개구(210)에서 카세트 본체(110) 내부를 향하는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212)는 곡면부(211)와 연결되어 개구(210)에서 카세트 본체(110) 외부를 향하는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면부(211)는 도어(300)가 회전함에 따라 도어(300)의 곡면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도어(300)의 곡면의 곡률과 곡면부(211)의 곡률이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도어(300)는 개구(210)에서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평면부(211)는 도어(300)의 회전을 한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0)는 회전하여 개방되고 도어(300)의 일면이 평면부(211)와 접촉되어 걸림으로써 회전이 정지된다. 평면부(211)는 이와 같이 도어(300)가 과도하게 개방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카세트 본체(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일 실시예로 평면부(211)가 수평 방향(예를 들어, 도 7의 -y 방향)의 평면을 가지는 것을 도시한다. 이 경우, 도어(300)는 90도만큼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평면부(211)는 도어(300)가 90도보다 더 회전하여 개방되도록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예를 들어, 도 7의 z 방향) 사이의 어느 한 방향의 평면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간단한 방법으로, 도어(300)의 회전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한편, 도어(300)는 제1 측(321)을 중심으로 도어(300)가 회전하여 개방된 후, 제2 측(322)이 하우징(200), 구체적으로 개구(210)의 일측과 접촉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측(322)은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개구(210)의 내부면 또한 제2 측(322)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측(322)의 경사면은 개구(210)의 내부면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도어(300)를 폐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측(322)의 경사면은 도 6과 같이, 도어(300)의 외측면(카세트 본체(110)의 외부를 향하는 측면)에서 내측면(카세트 본체(110)의 내부를 향하는 측면)으로 소정 각도(θ)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도어(300)는 카세트 본체(110)의 내부를 향하는 면보다 카세트 본체(110)의 외부를 향하는 면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도어(300)가 상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어(300)의 경사면은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갈수록 상향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210)의 내부면의 경사가 걸림턱의 역할을 하여 도어(300)는 카세트 본체(110)의 내부를 향해서는 회전할 수 없고, 카세트 본체(110)의 외부를 향해서만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이는 도어(300)가 카세트 본체(110)의 내부로 진입하여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10) 주위의 기류가 일반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므로, 이와 같이 도어(300)의 경사면이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갈수록 상향하는 경사를 가짐으로써 이물 유입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측(322)과 개구(210)의 내부면의 접촉면에는 보다 효과적인 밀폐를 위하여 실링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는 예를 들어, 고무를 포함하는 실런트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및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카세트(10)는 구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00)는 전술한 도어(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500)는 하우징(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어 도어(300)와 결합할 수 있다. 카세트(10)의 크기가 커서 도어(300)의 하중이 큰 경우에는 하우징(200)의 일측에 배치된 구동부(500)가 전달하는 토크만으로 도어(300)를 회전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즉, 도어(300)가 요구하는 토크에 따라 구동부(500)는 하우징(200)의 일측에만 배치되거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200)의 일측에 배치된 구동부(5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500)는 회전핀(51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핀(510)은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회전기구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부재이다.
회전핀(510)은 전술한 로드(310)의 홈부(311)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핀(510)의 형상은 홈부(311)에 끼움 결합되도록 홈부(311)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핀(510)이 회전함으로써 로드(31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로드(310)와 고정적으로 결합된 도어(300)가 로드(31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핀(510)은 각각의 도어(300)의 개방을 제어하도록, 복수 개의 도어(30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회전핀(510)은 각각 회전되어 도어(300) 각각을 개폐하거나, 또는 일체로 회전하여 모든 도어(30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500)에는 조작버튼(520)이 구비될 수 있다. 조작버튼(520)이 온/오프됨으로써, 회전핀(510)은 회전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이는 도어(30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는 항시 도어(300)와 결합한 상태로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동부(500)는 도어(300)와 분리된 상태로 있다가 도어(300)의 개폐가 필요한 경우에 도어(300)와 결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및 하우징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6과 유사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고,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300)는 개구(210)를 차폐하기 위해 개구(210)에 배치되어 하우징(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로드(310)는 도어(300)의 하부(예를 들어, 도 10의 -z 방향 측)에서 수평하게 관통할 수 있다. 도어(300)는 하부에서 관통한 로드(310)를 회전축으로 하여 아래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321)은 도어(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측(322)은 도어(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0과 같이 도어(300) 및 개구(210)는 도 6의 도어(300) 및 개구(210)를 상하 반전시킨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측(322)의 경사면은 도 10과 같이, 도어(300)의 외측면(카세트 본체(110)의 외부를 향하는 측면)에서 내측면(카세트 본체(110)의 내부를 향하는 측면)으로 소정 각도(θ)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도어(300)는 카세트 본체(110)의 내부를 향하는 면보다 카세트 본체(110)의 외부를 향하는 면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도어(300)가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어(300)의 경사면은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210)의 내부면의 경사가 걸림턱의 역할을 하고 도어(300)는 카세트 본체(110)의 내부를 향해서는 회전할 수 없으며, 카세트 본체(110)의 외부를 향해서만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210)의 하부에 인접하게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하여 개구(210)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글래스(400)는 개방된 도어(300)의 상부에서 개구(210)를 통해 카세트 본체(110)로 장입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도어 및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ⅩⅢ-ⅩⅢ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카세트 본체(110)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우징(2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00)은 개방구(112)에 대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외부 둘레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중앙에 개구(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210)는 카세트 본체(110)에 적재되는 복수 개의 글래스(400)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나의 개구일 수 있다.
도어(300)는 상기 개구(210)를 차폐하기 위해 하우징(2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300)는 복수 개의 바디(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바디(350)는 일방향, 예를 들어 카세트 본체(110)에 적재되는 글래스(400)의 적층 방향(즉, 도 12의 z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바디(350)는 인접한 바디(350)와 서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바디(350)는, 하우징(200) 상부에 고정되는 바디(350)를 시작으로, 다른 바디(350)가 차례로 끼워지며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각각의 바디(350)는 너비가 일방향(예를 들어, 도 12의 -z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끼워지는 바디(350)는 끼워진 바디(35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각각의 바디(350)는 테이퍼진 형상이 아닌 너비가 일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끼워지는 바디(350)가 끼워진 바디(3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끼워지는 바디(350)의 상부에는 스토퍼와 같은 걸림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바디(350)의 너비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 및 가이드 레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돌출부(220) 및 가이드 레일(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0)는 하우징(200)의 양측에서 도어(300)를 향해 돌출된다. 이때, 돌출부(220)는 도어(300),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바디(350) 중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바디(350) 중 최하부의 바디(350)와 결합된 돌출부(220)를 도시한다.
돌출부(220)는 후술할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복수 개의 바디(350)가 배치된 방향, 예를 들어 도 12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00)에는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가 구비되어 돌출부(2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구동부(500)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도어(300)의 개방이 필요한 경우에만 하우징(200) 하부에서 결합되어 돌출부(22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5는 도 12에서 ⅩⅤ-ⅩⅤ 선을 따라 취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230)은 하우징(200)의 양측(도 12의 x 방향 및 -x 방향 측)에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30)은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에 도어(300)가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300) 및 이에 연결된 돌출부(220)가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 동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2의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ⅩⅦ-ⅩⅦ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돌출부(220)가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수직으로 상승함에 따라 도어(300)는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20)가 상승함에 따라 돌출부(220)와 결합된 최하부의 바디(350)는 인접한 바디(350)의 내부로 끼워지고, 돌출부(220)는 계속하여 다음 바디(350)를 수직 방향으로 푸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바디(350)는 계속하여 인접한 바디(350)의 내부로 끼워지고, 이에 따라 도어(300)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바디(350)에는 각각 돌출부(220)가 상승할 때 돌출부(220)를 수용하는 수용홈(35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10)에 글래스(400)를 적재할 수 있다. 이때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1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10)일 수 있다. 글래스(400)는 예를 들면, 1 mm 이하의 두께를 가진 초박형 유리(ultra thin glass)일 수 있다. 글래스(400)는 카세트(10)의 도어(300)를 통해 카세트(10) 내부로 장입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도어(300)는 하나씩 개방되어 글래스(400) 또한 하나씩 장입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도어(300)는 구동부(500)가 일시적으로 결합하여 토크를 전달함으로써 개방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글래스(400)는 로봇암에 의해 카세트(10) 내부로 장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300)의 개방 면적을 최소화하여 외부에서의 이물질 삽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어(300)는 외부를 향하여 회전하여 개방됨으로써 도어(300)의 이물질이 카세트(10)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글래스(400)가 모두 적재된 후, 카세트(10)는 이동수단을 통해 커버 윈도우 제조 스테이지(4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카세트(10)는 도어(300)가 모두 폐쇄된 상태로 카세트(10)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조 스테이지(40)는 클린한 환경을 유지하는 클린 룸일 수 있다.
제조 스테이지(40)로 이동된 카세트(10)는 일 실시예로 제조 스테이지(40)와 도킹될 수 있다. 다음, 전술한 바에 따라 도어(300)가 개방되고 내부에 적재된 글래스(400)가 제조 스테이지(4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글래스(400)가 적재될 때와 마찬가지로 도어(300)는 하나씩 개방되고 적재된 글래스(400)도 하나씩 제조 스테이지(40)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 도어(300)는 복수 개가 함께 개방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조 스테이지(40)로 이동된 글래스(400)는 일 실시예에서 보호 코팅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코팅은 UV 경화형 잉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후 글래스(400)는 표시 장치에 적합한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 또한 글래스(400)는 연마되고 글래스(400)를 충격 또는 스크래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화학적 강화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화학적 강화 작업은 글래스(400)를 화학용액에 담구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글래스(400) 표면의 나트륨 이온을 용액 속의 칼륨 이온으로 치환하여 보다 충격에 강한 물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글래스(400)를 이용하여 커버 윈도우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유연한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의 경우에는 열성형 가공 공정을 통해 글래스(400)의 일부를 만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10: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110: 카세트 본체
200: 하우징
300: 도어
400: 글래스
500: 구동부

Claims (20)

  1. 복수 개의 글래스를 수용하는 카세트 본체;
    상기 카세트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 개의 개구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복수 개의 도어;를 포함하는,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어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글래스 각각이 출입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개구 각각을 선택적으로 외부에 개방하는,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 또는 폐쇄되는,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카세트 본체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곡면의 일부에 대응하는 오목한 곡면을 포함하는,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접촉면은 경사를 갖는,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카세트 본체의 내부를 향하는 면보다 상기 카세트 본체의 외부를 향하는 면이 더 긴,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정 범위의 각도 내에서 회전하는,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도어 각각의 개방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어는 일측에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홈부와 결합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회전핀을 포함하는,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11. 카세트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하우징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도어를 각각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단계;
    상기 개방된 도어를 통해 카세트의 내부로 글래스를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글래스가 적재된 후 개방된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세트에 글래스를 적재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 또는 폐쇄되는, 카세트에 글래스를 적재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어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카세트에 글래스를 적재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경사면이 상기 하우징의 경사면과 접촉함으로써 회전이 정지되는, 카세트에 글래스를 적재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구동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도어 각각의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세트에 글래스를 적재하는 방법.
  16. 카세트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하우징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도어를 통해 복수 개의 글래스를 카세트에 수납하는 단계;
    상기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카세트를 커버 윈도우 제조 스테이지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글래스를 이용하여 커버 윈도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글래스를 카세트에 수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글래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도어 각각을 통해 상기 글래스 각각을 수납하는,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 또는 폐쇄되는,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의 경사진 면과 접촉하여 상기 도어의 회전이 정지되는,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구동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도어 각각의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KR1020210113396A 2021-08-26 2021-08-26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글래스를 카세트에 적재하는 방법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20230033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396A KR20230033077A (ko) 2021-08-26 2021-08-26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글래스를 카세트에 적재하는 방법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US17/735,372 US20230062692A1 (en) 2021-08-26 2022-05-03 Cassette for accommodating glass, method for loading glass into casset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ver window
CN202211013496.7A CN115724076A (zh) 2021-08-26 2022-08-23 容纳玻璃的盒子、装载玻璃的方法及制造盖窗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396A KR20230033077A (ko) 2021-08-26 2021-08-26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글래스를 카세트에 적재하는 방법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077A true KR20230033077A (ko) 2023-03-08

Family

ID=8528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396A KR20230033077A (ko) 2021-08-26 2021-08-26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글래스를 카세트에 적재하는 방법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62692A1 (ko)
KR (1) KR20230033077A (ko)
CN (1) CN1157240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5020A1 (ko) * 2019-03-12 2020-09-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리를 포함하는 기판의 적재 카세트 및 이를 적용한 기판의 적재방법
WO2020185021A1 (ko) 2019-03-12 2020-09-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638495A (en) * 1994-09-28 1996-04-19 Kvm Technologies, Inc. Secure medicatio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20080047917A1 (en) * 2006-08-24 2008-02-28 Bradford Company Side Loading Rack and Protective Curtain
US9566128B2 (en) * 2009-09-30 2017-02-14 Ultimed Inc. Shipping and aggregation system for medical sharps
US20150214084A1 (en) * 2014-01-30 2015-07-30 Infineon Technologies Ag Frame cass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24076A (zh) 2023-03-03
US20230062692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33077A (ko) 글래스 수납용 카세트, 글래스를 카세트에 적재하는 방법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CN107850614B (zh) 自动化储库模块
US5895191A (en) Sealable, transportable container adapted for horizontal loading and unloading
US20120000816A1 (en) Port Door Position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9990071648A (ko) 기판 캐리어용 정렬기
US10138547B2 (en) Substrate carrying apparatus and sputter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096132B1 (ko) 진공 챔버의 도어 장치 및 그것을 갖는 기판 처리 장치
KR20080071504A (ko) 종형 열처리 장치 및 그 종형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열처리방법
KR101641877B1 (ko) 곡면 커버에 필름을 부착하는 장치
JP2003092339A (ja) ウエハマッピ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ロードポート
US7042553B2 (en) Apparatus for conveying substrates
KR101610168B1 (ko) 웨이퍼 카세트
US20120063869A1 (en) Load port apparatus
JP2008085025A (ja) 基板の取り扱い装置及び基板の取り扱い方法
US8562273B2 (en) Load port apparatus
US20130008820A1 (en) Cassette for accommodating substrates
JP4352063B2 (ja) 液晶パネル検査装置
KR20180130388A (ko) Smif 장치
US9401295B2 (en) Load port apparatus and clamping device to be used for the same
JP2008110284A (ja) 物品保持装置及び物品搬送装置
JP7443916B2 (ja) ホルダ付きウインドウ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ホルダ付きウインドウガラスの製造装置
JP4364001B2 (ja) 搬送ロボット
US11987445B2 (en) Lid opening-and-closing device
JP2009170726A (ja) ロードポートおよびカセット位置調整方法
KR100914522B1 (ko) 다방향 동력전달부 및 이를 이용한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이송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