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759A -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759A
KR20230032759A KR1020210115931A KR20210115931A KR20230032759A KR 20230032759 A KR20230032759 A KR 20230032759A KR 1020210115931 A KR1020210115931 A KR 1020210115931A KR 20210115931 A KR20210115931 A KR 20210115931A KR 20230032759 A KR20230032759 A KR 20230032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ervice
information
exper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연
최보람
유재연
윤지현
유현선
손대호
김민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2759A/ko
Publication of KR2023003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서버에 의해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사항에 대한 전문가 채널 목록이 자동으로 추출되어 제공되도록 한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이로써 자동 추천에 따른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service system for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s and servi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컨텐츠의 제공시 서비스 이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가전제품을 고려한 컨텐츠가 추천될 수 있도록 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전기 제품을 의미한다.
상기 가전제품은 다양한 사용 매뉴얼(manual)을 제공하고 있다. 즉, 최근의 가전제품은 매우 다양한 기능과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기능들을 일일이 설명하기 보다는 사용자가 필요로 할 경우 직접 찾아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매뉴얼은 책자 등으로 제본되어 제품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종래에는 해당 가전제품의 판매 업체가 운영하는 온라인 상의 사이트에 각 제품별 디지털 매뉴얼을 업로드해 놓음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해당 제품의 기능이나 사용 방법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매뉴얼은 처음 작성된 내용으로만 제공될 뿐 해당 가전제품의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된 기능까지는 안내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해당 가전제품의 특정 기능이나 사용 방법에 관련한 정보를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검색하여 취득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관심 사항에 대한 입력 정보를 토대로 관련 컨텐츠 정보를 추천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13-0014581호(선행기술 1), 공개특허 제10-2016-0075126호(선행기술 2), 공개특허 제10-2019-0092997호(선행기술 3)에 제공되는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각 선행기술들은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사항을 분류하고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예컨대, 상기한 선행기술 1은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사항은 매우 다양하고 지속적으로 변동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사항을 특정하여 분류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 이에 따라 상기 선행기술 1은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사항을 분류하는 기준이 서비스 이용자가 지정하는 정보에만 의존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선행기술 2의 경우 서비스 이용자가 컨텐츠를 취득하지 않거나 취득한 컨텐츠 수가 적을 경우 실질적인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 3은 서비스 이용자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추천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저장하여, 차후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재접속시 상기 저장된 입력 정보를 고려한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거나 혹은, 최근 등록된 컨텐츠 순으로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사항이 변경되었을 경우를 고려하지 않음에 따라 간헐적으로 접속하는 서비스 이용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았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한 가전제품의 특정 기능이나 사용 방법에 관련하여 전문 지식을 가진 컨텐츠 제공자(채널 운영자)가 관련 정보를 컨텐츠화하여 제공하고 있다. 즉, 온라인 상에 생성한 특정 채널에 관련 컨텐츠(방송컨텐츠)들을 등록하고 지속적으로 관리(업데이트) 하여 많은 구독을 유도함으로써 수익을 얻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문가 채널은 해당 채널에 등록된 특정 컨텐츠에 관련한 검색이 발생될 경우 해당 전문가 채널 혹은, 유사 전문가 채널이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다.
만일, 서비스 이용자에 의한 검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이거나 서비스 이용자의 최초 접속시 전문가 채널은 서비스 제공자(웹사이트 운영자)가 설정한 순서대로 모든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에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의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컨텐츠 혹은, 전문가 채널도 함께 제공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은 해당 전문가 채널에 등록된 다양한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이용자가 각각의 전문가 채널을 방문하여 각각의 컨텐츠를 확인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확인한 컨텐츠가 해당 서비스 이용자가 원치않은 컨텐츠일 경우 불필요한 접속에 따른 서비스 이용자 불만이 야기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의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정보를 이용하여 전문가 채널을 검색한 후 그의 목록을 제공하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자의 정보 입력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함께 서비스 이용자가 접속과 동시에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3-0014581호 공개특허 제10-2016-0075126호 공개특허 제10-2019-0092997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서비스 서버에 의한 자동 추천에 따른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사항에 대한 제품의 정보를 정확히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제공되는 각 전문가 채널들의 목록 순서가 달리 이루어지도록 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문가 채널에 대한 우선 순위가 미리 결정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온라인 접속시 빠르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에 관련한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이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 순위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보유 제품의 활용도를 늘릴 수 있도록 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는 제품의 정보 및 해당 제품의 사용 정보를 토대로 관련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을 검색하여 정해진 우선 순위별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검색된 컨텐츠와 서비스 이용자의 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사항에 관련한 컨텐츠가 등록된 전문가 채널의 노출 우선 순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른 순서대로 채널 목록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서비스 이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는 제품별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제품별 정보에는 각 제품의 기능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제품별 정보에는 신규로 등록되는 제품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제품별 정보에는 제품의 사용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정보에는 해당 제품으로 사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코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정보에는 해당 제품의 사용 횟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정보에는 해당 제품의 사용 날짜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제품에 관련된 컨텐츠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가 채널을 제품별로 분류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별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별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가 채널에 대한 노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결정된 노출 우선순위에 따라 각 전문가 채널을 순서대로 노출하여 제공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관심 제품에 관련된 컨텐츠는 각 제품에 관련한 소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관심 제품에 관련된 컨텐츠는 각 제품의 각 운전코스에 관련한 소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관심 제품에 관련된 컨텐츠는 각 제품의 고장 또는, 이상 상황시의 대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관심 제품에 관련된 컨텐츠는 각 제품과 연관된 다른 종류의 제품에 관련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과 동일한 제품을 소개하는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각 제품 중 어느 한 제품의 기능 업데이트가 발생되었을 경우 이 기능을 소개하는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각 제품 중 신규로 등록된 제품을 소개하는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각 제품 중 가장 사용량이 많은 제품을 소개하는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각 제품 중 가장 최근에 사용된 제품을 소개하는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온라인으로 서비스 이용자의 접속시 등록 주소지의 날씨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취득된 날씨 정보에 관련한 제품의 정보를 소개하는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노출 우선순위의 결정을 위한 각 요인들이 서로 다른 가중치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별 관심사항에 따라 각 전문가 채널의 노출 순서가 서로 달리 결정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각 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미리 등록되어 있던 서비스 이용자의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자의 온라인 접속(로그인)이 이루어질 경우 전문가 채널의 목록을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전제품에 관련한 전문가 채널부터 우선적으로 노출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각 보유 가전제품에 대한 다양한 추가 사용 및 활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는 제품에 관련한 정보를 자동으로 취득하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자가 접속시마다 수동으로 입력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는 제품의 사용 정보를 토대로 각 전문가 채널의 노출 우선순위가 결정되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사항을 더욱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각 전문가 채널의 정보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제품별로 분류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서비스 요청시 빠른 정보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에 관련한 전문가 채널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보유 제품에 대한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관련 제품의 컨텐츠 수가 많을 수록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자는 하나의 전문가 채널에서도 다양한 제품을 소개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어느 한 제품의 업데이트된 기능을 소개하는 전문가 채널이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기 때문에 해당 기능의 사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신규 보유로 등록된 제품을 소개하는 전문가 채널이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기 때문에 신규 구매 제품에 대한 다양한 활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가장 사용량이 많은 제품을 소개하는 전문가 채널이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기 때문에 빈번히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더욱 다양한 활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가장 최근에 사용된 제품을 소개하는 전문가 채널이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기 때문에 최근 사용된 제품의 관심으로 재사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노출 우선순위의 결정을 위한 각 요인들이 서로 다른 가중치를 포함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정확한 노출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 중 정보 분류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 중 노출순위 결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과정 중 일반 서비스 이용자에게 디폴트값으로 제공되는 채널의 목록에 대한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과정 중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이용자별 채널의 목록에 대한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 중 정보 제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이하, “서비스 시스템”이라 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의 정보 및 해당 제품의 사용 정보를 토대로 관련 컨텐츠가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가 채널을 검색하고, 이렇게 검색된 전문가 채널들을 정해진 우선 순위별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각 제품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도록 관련 컨텐츠가 등록된 전문가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제품에 대한 관심과 서비스 사이트로의 지속적인 접속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서비스 이용자의 보유 제품은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가정에 보유중인 가전제품임을 예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정보 데이터베이스(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00)는 온라인 상에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혹은, 메모리이다. 물론,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310)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되는 메모리의 일부가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00)로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각 서비스 이용자별 정보(1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각 서비스 이용자별 정보(110)는 각 서비스 이용자의 ID를 기준으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각 서비스 이용자별 정보(110)는 연락처, 메일 주소, IP주소, 이름 등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각 서비스 이용자별 정보(110)에는 해당 서비스 이용자를 위한 전문가 채널의 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즉,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 사항에 따라 여타 서비스 이용자와는 다르게 설정된 전문가 채널(500)의 목록이 서비스 이용자별 정보(1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전문가 채널(500)의 목록은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접속이 발생될 경우 서비스 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노출 순서대로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300)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각 가전제품별 정보(1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별 정보(120)에는 해당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제품(400)의 종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가전제품(400)은 세탁기, 의류건조기, 의류관리기, 신발관리기, 공기청정기, 냉장고, 티비, 에어컨, 청소기, 오븐레인지 등과 같이 가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별 정보(120)에는 해당 가전제품(400)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각 가전제품의 모델명, 각 가전제품별 운전코스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별 정보(120)에는 각 가전제품(400)의 기능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전제품별 정보(120)를 통해 특정 가전제품(400)의 새로운 운전코스에 대한 업데이트나 여타 기능에 대한 업데이트의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전제품별 정보(120)에는 신규로 등록되는 가전제품(400)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전제품별 정보(120)를 통해 새로운 가전제품(400)의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전제품별 정보(120)에는 가전제품(400)의 사용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용 정보에는 해당 가전제품(400)으로 사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코스 정보와, 해당 가전제품(400)의 사용 횟수, 해당 가전제품(400)의 사용 날짜 혹은, 사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전제품별 정보(120)를 통해 가전제품이 수행한 운전코스, 수행한 운전의 일자나 사용 횟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각 가전제품(400)에 관련한 가전제품별 정보(120)를 취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의 접속을 통해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가전제품별 정보(120)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서비스 이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310)과 온라인으로 테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10)은 해당 가정에 보유하고 있는 가전제품(400)을 관리하거나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300)에서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10)은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전제품(400)의 종류와 해당 가전제품(400)이 수행한 운전코스의 정보를 취득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10)은 각 가전제품(400)과 무선 데이터 통신(예컨대, 와이파이나 적외선 통신 등)을 수행하면서 전술된 각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는 각 가전제품(400)의 종류와 해당 가전제품(400)이 운전을 수행한 사용 정보를 조회, 취득, 삭제, 저장 등의 온라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각 가전제품(400)의 기능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온라인을 통해 가전제품별 컨텐츠(510)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운용 채널(전문가 채널)(500)을 분류하고 리스트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별 컨텐츠(510)는 각 가전제품별 기본 기능, 운전코스, 이상 발생, 연관 가전제품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소개하는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가전제품별 기본 기능은 가전제품의 특징이나 기본적인 사용 용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각 가전제품별 운전코스는 해당 가전제품이 수행할 수 있는 운전코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각 가전제품별 이상 발생은 각 가전제품별로 발생될 수 있는 고장 또는, 이상 상황이나 그의 대처 방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관 가전제품에 관련된 정보는 각 가전제품(예컨대, 세탁기)과 연관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가전제품(예컨대, 의류건조기 혹은, 의류관리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컨텐츠 제공자의 운용 채널(전문가 채널)(500)은 해당 서비스 서버(200)가 운용하는 온라인 상의 서비스 사이트에 구축된 채널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서비스 이용자가 온라인 상의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시 해당 전문가 채널을 리스트화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스트화되는 전문가 채널(500)은 링크를 통해 해당 채널에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검색된 컨텐츠(510)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보유 가전제품별 정보(120)를 비교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사항에 관련한 전문가 채널(500)의 노출 우선 순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이 높은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500)일수록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적으로 해당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른 순서대로 전문가 채널(500)의 목록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검색된 컨텐츠(510)와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는 가전제품별 정보(120)를 비교하여 결정된 우순 순위에 따라 전문가 채널(500)의 노출 순서를 재설정한 후 해당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서비스 이용자가 등록한 등록 주소지의 날씨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특정 서비스 이용자의 로그인시 해당 서비스 이용자가 등록한 등록 주소지의 날씨 정보를 확인하여 이 날씨 정보를 기초로 한 전문가 채널(500)의 노출 우선 순위가 달리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0)는 상기 가전제품별로 분류되는 전문가 채널(500)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러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0)는 전술된 정보 데이터베이스(100)와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0)는 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마련되는 일부의 저장 영역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은,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은 채널 분류단계(S1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채널 분류단계(S100)는 전문가 채널(500)을 각 가전제품별로 분류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채널 분류단계(S100)에서는 온라인 상의 서비스 사이트에 등록된 전문가 채널(500)에 업로드되는 컨텐츠(510)를 검색하여 가전제품별로 분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510)에 관련된 가전제품(400)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컨텐츠(510)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500)이 가전제품별로 분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컨텐츠(510)는 각 가전제품별 기본 기능, 운전코스 정보, 고장 및 이상 상황시의 대처 정보, 연관 가전제품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소개하는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전제품별로 분류되는 전문가 채널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 또는, 등록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정보 취득단계(S20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이용자정보 취득단계(S200)는 서비스 이용자가 온라인 사이트에의 접속시 정보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해당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전제품(400)에 관련한 가전제품별 정보(120)를 취득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상기 온라인 사이트는 서비스 이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310)과 웹 상에 구축된 서비스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10)은 서비스 이용자 단말기(300)가 상기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해당 서비스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300)가 제공하는 환경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상기 가전제품별 정보(120)는 각 가전제품(400)의 종류, 기능,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별 정보(11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즉, 전용 어플리케이션(310)이 각 가전제품(400)과 무선 통신하면서 해당 가전제품(400)의 운전에 관련된 정보를 취득한 후 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10)은 해당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어느 한 가전제품(400)과 직접 무선 통신하면서 해당 가전제품(400)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데이터를 취득하여 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업데이트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각 가전제품(400)의 사용 정보에 대한 데이터로써 해당 가전제품(400)의 동작에 따른 사용 시간, 사용 횟수, 사용된 운전코스 등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만일, 특정 가전제품(400)을 위한 새로운 기능(예컨대, 신규 운전코스)이 온라인 사이트에 등록될 경우 해당 가전제품(400)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상기 등록된 기능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은 노출순위 결정단계(S30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노출순위 결정단계(S300)는 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각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전제품별 정보(120)를 기초로 전문가 채널(500)의 노출 우선순위를 결정(S310)한다.
이러한 노출순위 결정단계(S300)에서는, 미리 설정된 각 요인별로 우선순위가 결정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전제품(400)을 소개하는 컨텐츠(510)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500)이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전제품(400) 중 어느 한 가전제품(400)의 신규로 업데이트된 기능을 소개하는 전문가 채널(500)이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전용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어느 한 보유 가전제품(400)으로 기능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경우 해당 기능을 소개하는 컨텐츠(510)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500)이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서비스 이용자의 보유 가전제품(400)으로 신규 등록된 제품을 소개하는 컨텐츠(510)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500)이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신규 등록된 가전제품(400)의 경우 새로운 구입으로 인해 사용상의 궁금증이 많을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써,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전제품(400)들의 사용량을 확인하여 가장 사용량이 많은 가전제품(400)에 관련한 컨텐츠(510)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500)이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사용량이 많을 수록 해당 가전제품(400)에 대한 관심이나 궁금증이 많을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써,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전제품(400)들의 사용 시간을 확인하여 가장 최근에 사용된 가전제품을 소개하는 컨텐츠(510)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500)이 다른 전문가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는, 가장 최근에 사용한 가전제품(400)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관심을 느끼게끔 함으로써 계속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써,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전제품(400)들에 대하여 전문가 채널(500)이 가지는 관련 제품의 컨텐츠 수가 많을 수록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로써, 서비스 이용자가 하나의 전문가 채널(500)에서 다양한 가전제품을 소개받도록 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써, 당일 날씨에 관련된 가전제품(400)의 정보를 소개하는 콘텐츠(510)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500)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즉, 온라인으로 서비스 이용자의 접속시 등록 주소지의 날씨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날씨 정보에 관련한 가전제품(400)의 정보를 소개하는 컨텐츠(510)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500)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렇듯, 노출순위 결정단계에서는, 미리 설정된 각 요인별로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은 정보 제공단계(S4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단계(S400)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문가 채널(5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정보 제공단계(S400)에서는 결정된 노출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3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가 채널(500)의 목록을 순서대로 노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이용자가 접속한 전용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상기 전문가 채널(500)에 대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단계별 서비스 방법에 의해 서비스가 수행되는 과정의 일 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서비스 서버(200)는 검색엔진(210)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의 서비스 사이트에서 전문가 채널(500)에 업로드되는 각 가전제품(400)에 관련한 컨텐츠(510)를 지속적으로 검색(S110)한다. 이때 상기 온라인 상의 서비스 사이트는 해당 서비스 서버(200)가 제공하는 온라인 사이트가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컨텐츠(510)(혹은, 전문가 채널)는 타 온라인 사이트에서 운영되는 채널도 검색 대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의 과정에서, 어느 한 전문가 채널(500)에 컨텐츠(510)의 신규 업로드가 발생되면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업로드된 컨텐츠(510)에 관련한 가전제품(400)을 확인(S120)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의한 가전제품(400)의 확인은 예컨대, 해시태그나 컨텐츠 제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컨텐츠 제공자(혹은, 채널 운영자)에 의한 컨텐츠(510)의 업로드시 해당 컨텐츠(510)에 관련된 가전제품(400)의 종류와 컨텐츠 소개를 입력하도록 요구함으로써 해당 컨텐츠(510)가 속하는 가전제품(400)을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가전제품(400)에 따라 해당 전문가 채널(500)을 가전제품별로 분류(S130)하게 된다. 즉, 해당 전문가 채널(500)이 어느 한 가전제품에 관련이 있음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물론, 해당 전문가 채널(500)에 등록된 컨텐츠(510)가 복수일 경우 해당 전문가 채널(500)은 둘 이상의 가전제품(400)에 관련된 채널로 분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전제품별로 분류된 전문가 채널(500)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0)에 등록(S140)된다. 즉,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0)의 가전제품별 전문가 채널(500)로 업데이트되는 것이다.
예컨대, 어느 한 전문가 채널(500)에서 컨텐츠(510)의 업로드가 발생되면 이 컨텐츠(510)이 속하는 가전제품(400)을 확인한 후 해당 전문가 채널(500)을 가전제품별로 분류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0)에 업데이트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각 전문가 채널(500)의 업데이트를 위한 과정은 컨텐츠(510)의 신규 등록이나, 추가 등록 혹은, 정정 등의 요청이 발생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된 바와 같은 신규 컨텐츠(510)의 업로드에 의해 가전제품별로 전문가 채널(500)이 분류되면, 해당 전문가 채널(500)의 각 서비스 이용자별 노출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과정이 수행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200)는 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서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정보를 취득(S200)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이용자에 관련된 정보는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가전제품별 정보(12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정보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해당 서비스 이용자가 가지는 가전제품의 종류, 각 가전제품(500)의 기능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정보, 신규로 등록되는 가전제품의 정보, 가전제품(400)의 사용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취득한 가전제품별 정보(120)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가전제품별 컨텐츠 정보(가전제품별 전문가 채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전문가 채널(500)의 노출 우선순위를 결정(S310)한다.
물론, 기본적인 각 전문가 채널(500)의 노출 우선순위는 디폴트값(Default)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업로드 일자, 추천 순위, 조회 순위 등에 따라 기본적인 각 전문가 채널(500)의 노출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디폴트값으로 설정되는 노출 우선순위는 비등록 서비스 이용자 혹은,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를 동의하지 않은 서비스 이용자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첨부된 도 5와 같이 정해진 순서대로 전문가 채널의 목록이 제공된다.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라 하더라도 해당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전제품(400)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폴트값으로 정해진 순서대로 전문가 채널(500)들이 노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반면,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를 동의한 등록 서비스 이용자의 경우는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사항에 따라 상기 디폴트값으로부터 변경된 노출 우선순위가 적용된다.
즉, 서비스 이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컨텐츠(510)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500)이 상기 디폴트값에 설정된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재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전제품(400)의 종류나 사용 날짜, 사용 횟수, 사용된 운전코스, 새로운 정보(기능 업데이트)나 신규 등록된 가전제품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이용하여 노출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노출 우선순위의 결정을 위한 각 요인들은 서로 다른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이용자가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가전제품에 관련한 컨텐츠보다 신규로 등록된 가전제품에 관련한 콘텐츠가 더욱 앞서 노출되도록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요인들에 대한 가중치값은 제품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 전문가 채널(500)의 노출 우선순위가 결정되면 이렇게 결정된 노출 우선순위에 따라 재배치된 전문가 채널(500)의 목록(111)을 정보 데이터베이스(100)의 서비스 이용자별 정보(110)에 업데이트(S320)된다.
상기한 노출 우선순위에 따른 전문가 채널(500)의 목록(111)은 서비스 사이트에 컨텐츠(510)가 등록될 때마다 업데이트될 수도 있고, 지정된 기간마다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한편, 가전제품별로 컨텐츠 및 전문가 채널(500)이 분류되는 과정이나 서비스 이용자별로 전문가 채널(500)의 노출 우선순위가 결정되어 업데이트되는 과정과는 별도로 서비스 서버(200)는 서비스 이용자의 접속을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즉, 첨부된 도 7의 순서도와 같이 서비스 서버(200)는 서비스 이용자 단말기(30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310)이 활성화되거나 혹은, 전용 어플리케이션(310) 외의 방법으로 서비스 사이트에의 접속(로그인 혹은, 인증)이 이루어짐을 확인(S410)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정보 데이터베이스(100)의 서비스 이용자별 정보(110)에 저장된 해당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각 전문가 채널(500)의 목록(111)을 취득(S420)한다.
계속해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취득한 각 전문가 채널(500)의 목록을 해당 서비스 사이트(혹은, 전용 어플리케이션)를 통해 제공(S430)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에 의한 어느 한 전문가 채널(500)로의 접속 요구가 발생될 경우 서비스 이용자 단말기(300)를 해당 전문가 채널(500)로 링크(S440)시킨다.
이로써, 서비스 이용자는 실제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혹은, 관심을 가질만한 컨텐츠(510)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500)부터 순서대로 소개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지 않아서 관심이 없는 가전제품(400)에 관련한 전문가 채널(500)은 후순위에 노출되는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별 관심사항에 따라 각 전문가 채널(500)의 노출 순서가 서로 달리 결정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각 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미리 등록되어 있던 서비스 이용자의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자의 온라인 접속(로그인 혹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의 접속)이 이루어질 경우 서비스 이용자가 관심사항을 별도로 입력하지 않고도 전문가 채널(500)의 목록을 빠르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전제품(400)에 관련한 전문가 채널(500)부터 우선적으로 노출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각 보유 가전제품(400)에 대한 추가 사용 및 다양한 기능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전술된 실시 형태만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써,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이용자별로 분류되는 전문가 채널의 목록(111)이 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면서 서비스 이용자의 접속이 발생될 경우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된다.
하지만, 서비스 이용자별로 분류되는 전문가 채널의 목록(111)은 서비스 이용자의 접속이 발생될 경우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서비스 이용자 보유의 가전제품별 정보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각 가전제품별 컨텐츠(혹은, 전문가 채널)을 서로 비교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서버(200)가 온라인 상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사이트에 등록된 전문가 채널(500)을 대상으로 서비스가 제공됨을 그 예로 하고 있다.
하지만, 첨부된 도 8과 같이 각 가전제품(400)에 관련한 컨텐츠(510)가 등록된 전문가 채널(500)은 다른 서버(예컨대, 채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운용하는 온라인 상의 여타 서비스 사이트(예컨대, YouTube 등)에 구축될 수가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00. 정보 데이터베이스 110. 서비스 이용자별 정보
111. 전문가 채널 목록 120. 가전제품별 정보
200. 서비스 서버 210. 검색엔진
220.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300. 서비스 이용자 단말기
310. 전용 어플리케이션 400. 가전제품
500. 전문가 채널 510. 컨텐츠

Claims (17)

  1. 각 서비스 이용자별로 해당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한 제품별 정보를 가지는 정보 데이터베이스;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서비스 이용자의 제품별 정보를 취득하고, 각 제품에 관련한 적어도 둘 이상의 전문가 채널의 목록을 웹페이지 혹은,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검색된 전문가 채널에 관련된 제품과 해당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별 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관심사항에 관련한 적어도 둘 이상의 전문가 채널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전문가 채널의 목록을 순서대로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는 제품에 관련한 제품별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별 정보에는 각 제품의 기능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별 정보에는 신규로 등록되는 제품의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별 정보에는 제품의 사용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정보에는
    해당 제품으로 사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코스 정보, 해당 제품의 사용 횟수, 해당 제품의 사용 날짜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제품에 관련한 컨텐츠를 가지는 각 전문가 채널의 정보가 제품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8.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별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서비스 이용자정보 취득단계;
    제품에 관련된 컨텐츠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가 채널에 대한 노출 우선순위를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별 정보를 기초로 결정하는 노출순위 결정단계;
    서비스 이용자의 온라인 접속 발생시 상기 결정된 노출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가 채널을 순서대로 노출하여 제공하는 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제품에 관련된 컨텐츠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가 채널을 제품별로 분류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채널 분류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에 관련된 컨텐츠는,
    각 제품의 기본 정보에 관련한 소개 정보, 각 제품의 각 운전코스에 관련한 소개 정보, 각 제품의 고장 또는, 이상 상황시의 대처 정보, 각 제품과 연관된 다른 종류의 제품에 관련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순위 결정단계에서는,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을 소개하는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순위 결정단계에서는,
    전문가 채널이 가지는 관련 제품의 컨텐츠 수가 많을 수록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순위 결정단계에서는,
    서비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어느 한 제품의 기능 업데이트가 발생되었을 경우 이 기능을 소개하는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순위 결정단계에서는,
    신규로 해당 서비스 이용자 보유의 제품으로 등록된 제품을 소개하는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순위 결정단계에서는,
    서비스 이용자정보 취득단계에서 취득된 각 제품 중 가장 사용량이 많은 제품을 소개하는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순위 결정단계에서는,
    서비스 이용자정보 취득단계에서 취득된 각 제품 중 가장 최근에 사용된 제품을 소개하는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
  17. 제 8 항에 있어서,
    온라인으로 서비스 이용자의 접속시 등록 주소지의 날씨 정보를 취득하는 날씨정보 취득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노출순위 결정단계에서는,
    상기 취득된 날씨 정보에 관련한 제품의 정보를 소개하는 컨텐츠를 가지는 전문가 채널을 다른 전문가 채널보다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방법.
KR1020210115931A 2021-08-31 2021-08-31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230032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931A KR20230032759A (ko) 2021-08-31 2021-08-31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931A KR20230032759A (ko) 2021-08-31 2021-08-31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759A true KR20230032759A (ko) 2023-03-07

Family

ID=8551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931A KR20230032759A (ko) 2021-08-31 2021-08-31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275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581A (ko) 2010-05-05 2013-02-07 야후! 인크. 관심사항 클라우드에 포함된 관심사항 태그에 기초한 콘텐츠 선택
KR20160075126A (ko) 2014-12-19 2016-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90092997A (ko) 2018-01-31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581A (ko) 2010-05-05 2013-02-07 야후! 인크. 관심사항 클라우드에 포함된 관심사항 태그에 기초한 콘텐츠 선택
KR20160075126A (ko) 2014-12-19 2016-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90092997A (ko) 2018-01-31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7680B2 (en) Community-based web filtering
CN104462292B (zh) 社交协同过滤
US8914367B2 (en) Socially collaborative filtering for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to a website for presentation to an identified user
US200700438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monitoring on a network
JP6401614B2 (ja) 情報提示方法、情報提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20059214A1 (en) Method for training nutritional item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nutritional items
KR100468006B1 (ko) 인트라넷 상의 클라이언트 기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제공시스템 및 방법
JP2009128498A (ja) 電子広告システム
CN102792295B (zh) 操作信息生成设备
JP6312913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30032759A (ko) 컨텐츠 추천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220126465A (ko) 라이브 커머스를 위한 파트너 매칭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파트너 매칭 방법
KR102187135B1 (ko) 도서 추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JP2017117461A (ja) ユーザーのコンテキストに基づくユーザー役割の自動変換の方法及びその情報システム
US111221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download requirements
CN110874639A (zh) 操作信息的获取方法及装置
US20170099342A1 (en) Dynamically Served Content
WO2018042675A1 (ja) 家電検索装置及び家電検索プログラム
JP2002189647A (ja) 情報収集提供システム
JP2002189851A (ja) 情報収集提供システム
KR20230032761A (ko) 인기 컨텐츠 리스트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2019046451A (ja) 生成装置、生成方法、および生成プログラム
KR102619969B1 (ko)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
JP669749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70236179A1 (en) Service monitoring and optimization systems and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