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721A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721A
KR20230032721A KR1020210115835A KR20210115835A KR20230032721A KR 20230032721 A KR20230032721 A KR 20230032721A KR 1020210115835 A KR1020210115835 A KR 1020210115835A KR 20210115835 A KR20210115835 A KR 20210115835A KR 20230032721 A KR20230032721 A KR 20230032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water
building
food waste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지티(Ngt)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지티(Ngt)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지티(Ngt)
Priority to KR1020210115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2721A/ko
Publication of KR20230032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2Absorbing means
    • B65F2210/1026Absorbing means for smell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1Ventilating means, e.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8Vacuum draw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집합건물 포함) 내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부터 발생한 악취가 건물 옥상에 설치된 악취배출기까지 이송된 후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생활하는 주거공간 내에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주거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ODOR EXHAUST SYSTEM FOR FOOD WAST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거주하는 주거 공간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국내에서는 수분이 많은 음식물의 특성상 음식물 쓰레기가 큰 사회적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나 사료 등으로 재생산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기도 한다.
고층으로 된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 집합건물의 각 세대에서도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비닐봉투에 담아 승강기를 타고 내려와 실외에 비치된 수거함에 버리도록 하는 시스템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따라서 승강기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가 많이 날 수 있었으며, 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각 개별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직접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각 가정에 설치된 투입구에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 버릴 수 있도록 하고,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를 진공으로 빨아들여 한꺼번에 처리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한편, 종래의 공동주택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는 주된 장소인 싱크대와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주방 싱크대에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를 들고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처리하면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되고, 사용자는 필요 이상의 비용을 지불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기 내지 압착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는 이와 같은 여러 부속장치가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서로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효율성이 낮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 또는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33658호 (2019. 10. 11.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건물(집합건물 포함) 내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부터 발생한 악취가 건물 옥상에 설치된 악취배출기까지 이송된 후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생활하는 주거공간 내에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주거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건물 내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부터 발생한 악취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물(101) 내에 설치되며, 음식물을 분쇄 및 건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와 연결되고, 상기 건물(101) 옥상까지 연장배치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에서 발생한 악취를 상기 건물(101) 옥상까지 이송하는 이송배관(105); 및 상기 건물(101) 옥상에서 상기 이송배관(105)과 연결되고,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배관(105) 내 악취를 빨아들여 상기 건물(101)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배출기(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집합건물 포함) 내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부터 발생한 악취가 건물 옥상에 설치된 악취배출기까지 이송된 후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생활하는 주거공간 내에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주거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악취배출기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음식물 수거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음식물 수거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음식물 수거기의 수거통의 하측이 여과판에 의해 폐쇄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음식물 수거기의 수거통의 하측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음식물 수거기의 여과판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여과판세정부에 의해 세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여과판세정부가 여과판측으로 액체를 분사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여과판을 세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음식물 수거기의 수거기케이싱에 분사노즐 및 매니폴드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수거통세정부가 수거통측으로 액체를 분사하여 회전하는 수거통을 세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음식물 수거기의 수거통 및 여과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13은 음식물 수거기의 구동부에 의해 여과판이 수거통의 하측을 폐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음식물 수거기의 구동부에 의해 여과판이 수거통의 하측을 개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분배출공이 폐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분배출공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회전축부재와 역회전부재의 회전을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25는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회전축부재와 역회전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중심기어, 연결기어 및 내접기어부의 기어결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역회전부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역회전부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제1분쇄날과 제2분쇄날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제1분쇄날과 제2분쇄날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악취배출기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음식물 수거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음식물 수거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음식물 수거기의 수거통의 하측이 여과판에 의해 폐쇄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음식물 수거기의 수거통의 하측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음식물 수거기의 여과판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여과판세정부에 의해 세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여과판세정부가 여과판측으로 액체를 분사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여과판을 세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음식물 수거기의 수거기케이싱에 분사노즐 및 매니폴드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수거통세정부가 수거통측으로 액체를 분사하여 회전하는 수거통을 세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음식물 수거기의 수거통 및 여과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13은 음식물 수거기의 구동부에 의해 여과판이 수거통의 하측을 폐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음식물 수거기의 구동부에 의해 여과판이 수거통의 하측을 개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분배출공이 폐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분배출공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회전축부재와 역회전부재의 회전을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25는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회전축부재와 역회전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중심기어, 연결기어 및 내접기어부의 기어결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역회전부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역회전부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제1분쇄날과 제2분쇄날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음식물 수거기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음식물 건조분쇄기의 분쇄부의 제1분쇄날과 제2분쇄날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건물 내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부터 발생한 악취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100)에 있어서, 건물(101) 내에 설치되며, 음식물을 분쇄 및 건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와 연결되고, 건물(101) 옥상까지 연장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에서 발생한 악취를 건물(101) 옥상까지 이송하는 이송배관(105); 및 건물(101) 옥상에서 이송배관(105)과 연결되고, 음압을 형성하여 이송배관(105) 내 악취를 빨아들여 건물(101)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배출기(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100)은, 건물(101) 내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로부터 발생한 악취를 건물(101) 외부로 배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물(101)은, 단독주택일 수도 있고, 복수개의 층을 갖는 아파트, 오피스텔 등을 포함하는 집합건물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물(101)이 복수개의 층을 갖는 집합건물인 예를 도시하였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는, 건물(101) 내에 설치되는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건조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는, 건물(101) 내 주방의 싱크대(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물(101)이 복수개의 층을 갖는 아파트, 오피스텔 등을 포함하는 집합건물인 경우, 상술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는 복수개의 층 각각에 설치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의 구체적인 일예에 대해선 후술하기로 한다.
이어서, 이송배관(105)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와 연결되는데, 이송배관(105)은, 건물(101) 옥상까지 연장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에서 발생한 악취를 건물(101) 옥상까지 이송한다.
한편, 이송배관(105)은, 주방에 설치된 후드(109)의 배기라인(111)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와 연결된 이송배관(105)이, 주방에 설치된 후드(109)의 배기라인(111)과 연결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에서 발생한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배관(105)과 후드(109)의 배기라인(111)이 공유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통해 이송배관(105)과 배기라인(111)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아울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물(101)이 복수개의 층을 갖는 아파트, 오피스텔 등을 포함하는 집합건물인 경우, 이송배관(105)은 복수개의 층 각각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층 각각에 설치된 이송배관(105)은 하나의 배관으로 통합된 후, 후술할 악취배출기(107)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물(101)이 복수개의 층을 갖는 아파트, 오피스텔 등을 포함하는 집합건물인 경우, 상술한 후드(109)와 배기라인(111) 역시 복수개의 층 각각에 마련된 주방에 설치된다.
이어서, 악취배출기(107)는, 건물(101) 옥상에서 이송배관(105)과 연결되고, 음압을 형성하여 이송배관(105) 내 악취를 빨아들여 건물(101)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악취배출기(107)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악취배출기(107)는, 이송배관(105)과 연결되고 건물(101) 옥상에 설치되는 하우징(201); 하우징(201)에 설치되고, 악취를 빨아들이도록 이송배관(105)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키는 모터구동기(203); 및 하우징(201)에 형성되고, 모터구동기(203)를 통해 빨아들여진 악취를 하우징(201)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05);를 포함한다.
하우징(201)은, 건물(101) 옥상에 설치되는데, 하우징(201)은 이송배관(105)과 연결된다.
하우징(201)과 이송배관(105)은 탈착가능한 구조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모터구동기(203)는, 하우징(201)(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우징(201)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모터구동기(203)는, 악취를 빨아들이도록 이송배관(105)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킨다.
일예로, 모터구동기(203)는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동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배출구(205)는, 하우징(201)에 형성된다.
배출구(205)는, 모터구동기(203)를 통해 빨아들여진 악취를 하우징(201) 외부로 배출한다.
물론, 도면상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배출구(205)에는 커버가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는 모터구동기(203)가 작동될 때 이와 연동하여 배출구(205)를 개방하고, 모터구동기(203)의 작동이 멈추면 배출구(205)를 폐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악취배출기(107)는, 하우징(201) 내에 설치되고, 모터구동기(203)의 작동에 따라 이송배관(105)을 통해 빨아들여진 악취(악취를 발생시키는 요소를 포함하는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제거하는 미세먼지제거장치(2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제거장치(207)는 정전기 집진 방식, 필터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제거하도록 제공된다.
물론, 미세먼지제거장치(207)는, 하우징(201) 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사용자가 미세먼지제거장치(207)의 교환, 수리 등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악취배출기(107)는, 하우징(201) 내에 설치되고, 모터구동기(203)의 작동에 따라 이송배관(105)을 통해 빨아들여진 악취(악취를 발생시키는 요소를 포함하는 공기)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장치(2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분제거장치(209)는 열교환 방식으로 수분을 응축하여 제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수분제거장치(209)는, 하우징(201) 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사용자가 수분제거장치(209)의 교환, 수리 등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의 구성에 대한 일예를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는, 건물(101) 내 주방의 싱크대(20) 내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음식물 처리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20)에 설치되어 음식물이 투입되는 음식물 수거기(1000)와, 음식물 수거기(10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음식물 수거기(1000)에서 배출된 음식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음식물을 분쇄하는 음식물 분쇄기(2000)와, 음식물 수거기(1000)에서 음식물로부터 분리된 폐수가 배출되는 폐수배출관(30) 및 음식물 분쇄기(2000) 하측에 구비되어 음식물 분쇄기(2000)에서 분쇄된 음식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음식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배출하는 음식물 건조분쇄기(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음식물 수거기(1000)를 비롯한 음식물 처리기(10)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음식물 수거기(1000)는 음식물 처리기(10)에 구비되어 투입된 음식물을 수거하게 되는데, 음식물 수거기(1000)는 수거기케이싱(1100)과 수거기케이싱(1100) 내부에 구비되는 수거통(1200), 여과판(1300), 폐수배출부재(1400) 및 구동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음식물 수거기(10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수거기케이싱(1100)은 음식물 수거기(1000)에 구비되는 각 부품들을 수용하는 부재로서, 수거기케이싱(1100) 내부에는 후술하는 수거통(1200), 여과판(1300), 폐수배출부재(1400) 및 구동부(1500)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기케이싱(1100)은 상부케이싱(1100a), 하부케이싱(1100b) 및 구동부케이싱(1000c)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파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케이싱(1100a)은 수거기케이싱(1100)의 상부를 이루는 부재로서, 상부케이싱(1100a)에는 수거통장착홀(1150)이 형성되어 수거통(1200)을 장착시키게 되며, 또한 상부케이싱(1100a)에는 구동부(1500)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케이싱(1100b)은 상부케이싱(1100a)의 하부에 결합하여 수거기케이싱(1100)의 하부를 이루는 부재로서, 하부케이싱(1100b) 내부에는 여과판(1300)과 폐수배출부재(1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부케이싱(1100b) 하단에는 수거통(1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을 음식물 수거기(1000) 외부로 배출하는 음식물배출구(1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음식물배출구(1110)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음식물 분쇄기(2000)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수거통(1200)으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을 음식물 분쇄기(2000)로 유입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싱(1100b) 하단에는 폐수배출부재(1400)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음식물 수거기(1000)의 외부로 배출하는 폐수배출구(1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폐수배출구(1130)는 폐수배출관(30)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폐수배출부재(1400)로부터 배출된 폐수를 폐수배출관(30)으로 유입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하부케이싱(1100b)에는 여과판(1300)과 폐수배출부재(14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170)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170)은 하부케이싱(110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케이싱(1100b)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이 각각 여과판(1300)의 양 단부를 삽입하여 여과판(1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레일(1170)은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71)이 형성된 단면이 ㄷ자 형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케이싱(1100c)은 판상형 부재로 이루어져 상부케이싱(1100a)에 구비되는 구동부(1500)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수거통(1200)은 내부에 양 단부가 개방된 수거공간(1210)을 형성하고, 수거공간(1210)의 하측은 음식물배출구(1110)측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고, 수거공간(1210) 상측은 음식물이 투입되도록 구비된다.
수거통(120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1100a)의 수거통장착홀(1150)에 장착될 수 있다.
수거통(1200)은 내부에 양 단부가 개방된 수거공간(1210)을 형성하는데, 이때 수거공간(1210)의 상측은 싱크대(20)측으로 개방되어 음식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수거공간(1210)의 하측은 전술한 하부케이싱(1100b)에 형성된 음식물배출구(1110)측으로 개방되어 여과판(1300)에 의해 폐수가 제거된 음식물이 음식물배출구(1110)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수거통(1200)은 수거공간(1210)과 연통하면서, 음식물로부터 분리된 폐수를 배출하는 측면여과공(123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여과공(1230)은 수거통(1200)을 관통하여 수거통(1200)의 외측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여과판(1300)에 의해 수거공간(1210)의 하측이 폐쇄된 경우에, 수거통(1200)에 형성된 측면여과공(1230)을 통해 수거통(1200)에 투입된 음식물로부터 폐수가 분리되어 수거통(1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어서, 여과판(1300)은 음식물배출구(1110)와 수거통(1200)의 하단부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거공간(1210)의 하측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비되고, 여과공(1310)을 포함하여 수거공간(1210)의 하측 폐쇄 시 수거공간(1210)에 투입된 음식물로부터 폐수를 분리하도록 구비된다.
여과판(1300)은 다수개의 여과공(1310)이 관통 형성되는 판상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과판(1300)은 수거기케이싱(1100) 내부에서 음식물배출구(1110)와 수거통(1200)의 하단부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여과판(1300)은 양 단부가 하부케이싱(1100b)에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170)의 가이드홈(1171)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홈(117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판(1300)은 수거통(1200)의 하단부 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수거공간(1210)의 하측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판(130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거통(120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여과판(1300)에 의해 수거공간(1210)의 하측은 폐쇄된다.
여기서, 여과판(1300)에는 다수개의 여과공(1310)이 형성되어 있어, 수거공간(1210)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로부터 폐수가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으며, 수거통(1200)으로부터 배출된 폐수는 후술하는 폐수배출부재(1400)를 통해 폐수배출관(30)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판(130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거통(1200)의 하단부에서 이탈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수거공간(1210)의 하측은 개방되어, 폐수가 제거된 음식물이 수거공간(1210)에서 음식물배출구(1110)측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배출구(1110)는 하측이 음식물 분쇄기(2000)측으로 개방되어 있어, 수거통(1200)에서 배출된 음식물은 음식물 분쇄기(2000)로 유입된다.
이때, 음식물 분쇄기(2000)는 음식물을 분쇄하도록 구비되는 음식물 분쇄날(2100)을 포함하고 있어, 음식물 분쇄기(2000)에 유입된 음식물은 음식물 분쇄날(2100)에 의해 분쇄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판(1300)에 형성된 여과공(1310)은 수거공간(1210)의 하측 폐쇄 시, 수거통(1200)의 하단부 내측에 위치하여 수거공간(1210)의 하측과 연통하는 내측여과공(1311)과 수거통(1200)의 하단부 외측에 위치하여 측면여과공(1230)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유입되는 외측배출공(1313)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여과공(1311)은 여과판(130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거통(120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수거통(1200)의 내측에 위치하여 수거공간(1210)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내측여과공(1311)을 통하여 수거공간(1210)에 수용된 음식물에 포함된 폐수가 음식물로부터 분리 및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내측여과공(1311)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는 후술하는 폐수배출부재(1400)의 폐수유도홀(1410)로 유입된다.
외측배출공(1313)은 여과판(130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거통(120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수거통(1200)의 외측에 위치하여 수거통(1200)에 형성된 측면여과공(1230)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유입되도록 구비되며, 외측배출공(1313)에 유입된 폐수는 후술하는 폐수배출부재(1400)의 폐수유도홀(1410)로 유입된다.
한편, 여과판(1300)은 수거공간(1210)의 하측 개방 시, 수거통(1200)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폐수가 제거된 음식물이 음식물배출구(1210)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음식물유도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들에는 음식물유도부(1430)가 폐수배출부재(1400)의 단부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음식물유도부(1430)는 여과판(1300)의 단부에 구비되어 여과판(1300)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폐수배출부재(1400)는 여과판(1300) 하측에 구비되면서, 일단이 여과공(1310)과 연통하도록 여과판(1300)측으로 개방되어 여과공(1310)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유입되고, 타단은 폐수배출구(1130)측으로 개방되어 유입된 폐수가 폐수배출구(1130)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폐수유도홀(1410)을 내부에 형성한다.
폐수배출부재(1400)는 여과판(1300)의 하측에 구비되는데, 이때 폐수배출부재(1400)는 여과판(1300)에 결합하여 여과판(1300)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폐수배출부재(1400)의 내부에는 수거통(1200) 및 여과판(1300)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폐수를 하부케이싱(1100b)에 형성된 폐수배출구(1130)로 배출하는 폐수유도홀(1410)이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폐수유도홀(1410)은 일단이 여과공(1310)과 연통하도록 여과판(1300)측으로 개방되어 여과공(1310)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유입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공(1310)은 내측여과공(1311) 및 외측배출공(1313)을 포함할 수 있고, 폐수유도홀(1410)의 일단은 내측여과공(1311) 및 외측배출공(1313) 모두와 연통할 수 있는 크기로 개방된다.
한편, 폐수유도홀(1410)의 타단은 폐수배출부(1130)측으로 개방되어 유입된 폐수가 폐수배출구(1130)로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이때, 폐수유도홀(1410)로 유입된 폐수가 용이하게 폐수배출구(1130)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폐수유도홀(1410)은 폐수배출구(1130)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폐수유도홀(1410)에서 배출되는 폐수가 음식물배출구(1110)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폐수배출부재(1400)의 하단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공간(1210)의 하측 폐쇄 시 음식물배출구(1110) 전체를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배출부재(1400)는 수거공간(1210)의 하측 개방 시, 수거통(1200)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폐수가 제거된 음식물이 음식물배출구(1210)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음식물유도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유도부(1430)는 폐수유도홀(1410) 타단의 반대측 폐수배출부재(1400)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폐수배출부재(140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거공간(1210)의 하측 개방 시, 수거통(1200)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폐수가 제거된 음식물이 음식물배출구(1210)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수거기(1000)는 여과판(1300)의 상면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슬라이딩 이동하는 여과판(1300)측으로 액체를 분사하여 여과판(1300)을 세정하도록 구비되는 여과판세정부(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여과판세정부(1600)는 워터젯(water jet) 방식으로 여과판(1300)을 세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여과판세정부(1600)는 여과판(1300)으로 분사하는 액체가 공급되는 액체공급부재(1610)와, 여과판(13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여과판(1300)측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630)과, 일측이 액체공급부재(1610)에 연결되어 액체공급부재(1610)로부터 액체를 유입시키면서 유입된 액체를 저장하고, 타측은 분사노즐(1630)에 연결되어 저장된 액체를 분사노즐(1630)에 공급하는 매니폴드(16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1630)은 전술한 상부케이싱(1100a) 상에 형성될 수 있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분사노즐(1630)은 상부케이싱(1100a)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부케이싱(1100a)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1630)의 분사 구멍의 크기를 1mm 이상 형성하고, 또한 분사 구멍과 여과판(1300) 상면과의 간격을 0.1 ~ 0.2mm으로 형성하여, 여과판(1300)의 여과공(1310)에 낀 음식물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압력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매니폴드(1650)는 분사노즐(1630)이 분사 폭방향을 따라 균일한 분사압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1650)는 전술한 구동부케이싱(1100c) 상에 형성될 수 있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매니폴드(1650)는 구동부케이싱(1100c)의 하면으로부터 구동부케이싱(1100c)의 상부 방향으로 함몰되면서 구동부케이싱(1100c)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매니폴드(1650)의 일측은 액체공급부재(1610)에 연결되어 액체공급부재(1610)로부터 액체를 유입시키고, 타측은 분사노즐(1630)에 연결되어 액체를 분사노즐(1630)에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매니폴드(1650)의 폭방향 길이는 분사노즐(1630)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1650)의 함몰 구멍의 크기는 분사노즐(1630)의 분사 구멍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체공급부재(161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는 매니폴드(1650)에 유입되어 매니폴드(1650)의 폭방향으로 퍼져 매니폴드(1650)의 폭방향을 따라 균일한 압력이 형성된 후 분사노즐(1630)에 공급되고, 이로써 분사노즐(1630)은 액체를 폭방향을 따라 균일한 압력으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음식물 수거기(1000)에 여과판세정부(1600)가 구비됨에 따라, 여과판(1300)은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수거통(1200)의 하측을 개방 내지 폐쇄하는 과정에서 여과판세정부(1600)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수거기(1000)는 수거통(1200)을 회전시키는 수거통회전부(1700) 및 수거통(1200)의 측면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회전하는 수거통(1200)측으로 액체를 분사하여 수거통(1200)을 세정하도록 구비되는 수거통세정부(1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거통회전부(1700)는 전술한 상부케이싱(1100a)에 구비되어 수거통(1200)을 회전시키며, 수거통(1200)은 상부케이싱(1100a)의 수거통장착홀(11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거통회전부(17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측면부가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수거통세정부(1800)는 수거통(1200)의 측면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수거통회전부(1700)에 의해 회전하는 수거통(1200)의 측면부에 액체를 분사하여 수거통(1200)을 세정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때 수거통세정부(1800)는 전술한 여과판세정부(1600)와 같이 액체공급부재, 분사노즐 및 매니폴드를 포함하여 워터젯 방식으로 수거통(1200)을 세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수거기(1000)는 여과판(1300) 및 폐수배출부재(1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1100a)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부(1500)는 전동기(1510), 스크류축(1530) 및 이동편(15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동기(1510)는 스크류축(1530)을 따라 이동편을(1550)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스크류축(1530)은 일단부가 전동기(1510)에 연결되어 전동기(15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스크류축(1530)은 가이드레일(1170)와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외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동편(1550)은 스크류축(1530)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을 포함하여 스크류축(1530)과 나사 결합하도록 구비되며, 나사 결합에 의해 스크류축(1530)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축(15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이동편(1550)은 전술한 여과판(1300)과 결합하여 스크류축(15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여과판(1300)을 함께 이동시키며, 여과판(1300)은 가이드레일(117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동편(1550)은 여과판(1300)에 결합하거나, 여과판(1300) 및 폐수배출부재(1400) 모두에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식물 수거기(1000)는, 여과공(1310)을 포함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수거통(1200)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된 여과판(1300)을 포함하여 수거통(1200)으로부터 폐수가 제거된 음식물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여과판(1300) 하단부에 폐수유도홀(1410)을 포함하는 폐수배출부재(1400)가 구비되어, 음식물로부터 분리된 폐수를 따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3, 도 15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음식물 처리기(10)에 포함되는 음식물 건조분쇄기(30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음식물 처리기(10)에 포함되는 음식물 건조분쇄기(3000)는 음식물 처리기(10)에 구비되어 투입된 음식물을 건조 및 분쇄하게 되며, 음식물 건조분쇄기(3000)는 건조분쇄케이싱(3100)과 건조분쇄케이싱(3100) 내부에 구비되는 건조통(3200), 히팅부(3300), 베이스플레이트(3400), 고정부재(3500), 폐수배출로(3600), 분쇄분저장통(3700), 폐수이송펌프(3800) 및 분쇄부(40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건조분쇄케이싱(3100)은 음식물 건조분쇄기(3000)에 구비되는 각 부품들을 수용하는 부재로서, 건조분쇄케이싱(3100) 내부에는 건조통(3200), 히팅부(3300), 베이스플레이트(3400), 폐수이송펌프(3800) 및 분쇄부(4000)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분쇄케이싱(3100)은 상부케이싱(3100a) 및 하부케이싱(3100b)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파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케이싱(3100a)은 건조분쇄케이싱(3100)의 상부를 이루는 부재로서, 상부케이싱(3100a)의 상단에는 음식물유입구(3110)가 형성되어, 음식물 건조분쇄기(30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음식물 분쇄기(200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이 후술하는 건조통(3200)의 건조공간(3210)으로 유입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부케이싱(3100a)의 하단에는 분쇄된 음식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분쇄분저장통(3700)을 삽입하는 저장통삽입구(3130)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싱(3100b)은 상부케이싱(3100a)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건조분쇄케이싱(3100)의 바닥부분을 이루는 부재이다.
이어서, 건조통(3200)은 내부에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건조공간(3210)을 형성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통(320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상부케이싱(3100a)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건조통(3200)은 내부에 양 단부가 개방된 건조공간(3210)을 형성하는데, 이때 건조공간(3210)의 상측은 상부케이싱(3100a)에 형성된 음식물유입구(3110)측으로 개방되어, 음식물유입구(3110)로 유입되는 음식물이 건조공간(3210)으로 투입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건조공간(3210)의 하측은 후술하는 건조통(3200) 하단부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3400)에 의해 폐쇄된다.
이어서, 히팅부(3300)는 건조통(3200)에 구비되어, 건조공간(3210)에 열을 가하도록 구비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부(3300)는 건조통(3200)의 측면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히팅부(3300)는 일예로 히팅케이블이 구비되어 건조통(3200)에 열을 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팅부(3300)를 건조통(3200)의 측면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시킴으로써, 종래에 건조통의 바닥면 부분에 히팅부를 구비시키는 것에 비하여 더욱 넓은 면적을 통하여 건조통(3200)에 열을 가할 수 있어 건조통(3200) 내부의 가열 효율 및 보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종래에는 건조통의 바닥면 부분에 히팅부가 구비되어 건조통의 바닥면 부분에 음식물배출구멍 등을 형성하지 못하고 건조통의 측면부에 음식물배출구멍 등을 형성하여야 했으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부(3300)를 건조통(3200)의 측면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시킴으로써 건조통(3200)의 바닥면 부분에 해당하는 베이스플레이트(3400) 상에 분쇄분배출공(3413) 내지 폐수배출공(3415)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히팅부(3300)에 의해 건조통(3200)에 열을 가함으로써, 건조통(3200)의 건조공간(3210)에 수용된 음식물은 건조통(3200)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이어서, 분쇄부(4000)는 건조공간(3210)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건조공간(3210)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하도록 구비되는 제1분쇄날(4300)과 제2분쇄날(4500)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분쇄부(4000)는 구동부(4100)에 연결되어 구동부(4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부재(4200)와, 회전축부재(4200)에 결합하여 회전축부재(4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1분쇄날(4300)과, 회전축부재(4200)에 회전 결합하면서 회전축부재(4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연결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부재(420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역회전부재(4400) 및 역회전부재(4400)에 결합하여 역회전부재(44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2분쇄날(4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1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음식물 건조분쇄기(3000)에 구비되는 분쇄부(40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회전축부재(4200)는 구동부(4100)에 연결되어 구동부(4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구동부(4100)는 회전축부재(42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일예로 전동기(electric motor)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부재(4200)는 로드(rod) 형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이 구동부(4100)에 연결되어 구동부(4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축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10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기어(4650)가 회전 결합하는 기저판(46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부재(4200)는 기저판(4600)의 내측에 형성된 축통과홀(4610)에 관통하여 구동부(410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부재(4200)에는 기저판(4600)에 회전 결합한 하나 이상의 연결기어(4650)와 맞물려 회전하는 중심기어(4210)가 구비될 수 있다.
중심기어(4210)는 회전축부재(420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기저판(4600)에 회전 결합한 하나 이상의 연결기어(4650)와 맞물려 연결기어(4650)를 회전축부재(4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된다.
중심기어(4210)와 맞물려 회전하는 연결기어(4650)는 후술하는 역회전부재(4400)의 내접기어부(4450)와 맞물려 내접기어부(4450)를 중심기어(42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제1분쇄날(4300)은 회전축부재(4200)에 결합하여 회전축부재(4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제1분쇄날(4300)은 회전축부재(4200)에 결합하여 회전축부재(420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회전에 따라 음식물을 분쇄하도록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날(4300)은 회전축부재(4200)에 결합하는 제1중심부(4310); 및 제1중심부(4310)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끝단부가 제1분쇄날(4300)의 회전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제1만곡부(4331)를 포함하는 제1날부(43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중심부(4310)는 내측에 제1결합홀(4311)을 관통 형성하고, 제1결합홀(4311)에 회전축부재(4200)를 관통 삽입시킴으로써 회전축부재(4200)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제1분쇄날(4300)이 회전축부재(420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결합홀(4311)의 내주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부재(4200)의 외주면도 제1결합홀(4311)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1날부(4330)는 제1중심부(4310)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각 도면에는 제1중심부(4310)로부터 하나의 제1날부(4330)가 제1중심부(43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날부(4330)는 제1중심부(4310)로부터 복수개가 방사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1날부(4330)는 끝단부가 제1분쇄날(4300)의 회전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제1만곡부(4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날부(4330)는 제1만곡부(4331)에 의해 끝단부가 제1분쇄날(4300)의 회전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회전하는 제1날부(4330)에 의해 음식물을 분쇄할 때에 음식물이 제1중심부(4310)로 이동하면서 회전 중심에 인접한 부분에서 분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동일 회전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제1날부(4330)의 회전 중심에 인접한 부분일수록 더 큰 분쇄력이 발휘되므로(회전력이 T=r*F인 것에 따라서, 이때 r은 회전 중심에서 분쇄력이 작용하는 작용점까지의 거리, F는 회전 중심과 작용점을 잇는 직선에 수직인 분쇄력 성분의 크기), 분쇄 과정에서 음식물이 회전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날부(4330)는 동일 회전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더 많은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더 큰 강도를 갖는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 분쇄 조건에서는 출력이 비교적 작은 구동부(4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분쇄부(4000)의 작동에 소요되는 전기에너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날부(4330)는 상부에 회전방향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상향경사진 경사부(43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날부(4330)에 경사부(4333)가 포함됨에 따라 음식물의 분쇄가 더욱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날(4300)이 회전축부재(4200)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1분쇄날(4300)날이 회전축부재(4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축부재(4200)의 끝단부에는 캡부재(42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역회전부재(4400)는 회전축부재(4200)에 회전 결합하면서 회전축부재(4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연결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부재(420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부재(4200)는 일단이 구동부(4100)에 연결되어 있고, 구동부(4100)의 상부에 구비된 기저판(4600)의 축통과홀(4610)을 관통하여 구동부(410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데, 역회전부재(4400)는 내부에 축삽입홀(4410)을 관통 형성하고, 축삽입홀(4410)에 회전축부재(4200)를 관통 삽입하여 회전축부재(4200)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회전축부재(4200)와 역회전부재(4400)는 서로 동축선상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부재(4200)의 타단은 역회전부재(4400)의 축삽입홀(4410)을 통과하여 역회전부재(4400)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돌출된 회전축부재(4200)의 타단에 전술한 제1분쇄날(4300)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회전부재(4400)는 내부에 축삽입홀(4410)과 연통하는 베어링삽입홀(4430)을 형성할 수 있으며, 회전축부재(4200)에 구비된 베어링부재(4230)를 베어링삽입홀(4430)에 삽입시킴으로써 회전축부재(4200)에 회전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부재(4230)는 일예로 구름베어링 내지 미끄럼베어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역회전부재(4400)는 내접기어부(4450)를 포함하여 회전축부재(4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회전축부재(4200)에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역회전부재(4400)는 전술한 중심기어(4210)에 맞물려 회전하는 연결기어(4650)와 맞물려 연결기어(465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내접기어부(4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부재(4200)에는 회전축부재(4200)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기저판(4600)에 회전 결합한 하나 이상의 연결기어(4650)와 맞물리는 중심기어(421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기어(4650)는 기저판(4600)에 회전 결합하되, 좀 더 구체적으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판(4600)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축(4630)에 회전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 고정축(4630)과 연결기어(4650)에는 베어링부재(467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기어(4650)는 기저판(4600) 상에 회전축부재(4200)에 구비된 중심기어(4210)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기어(4650)는 기저판(4600) 상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고, 연결기어(4650)는 회전축부재(4200)와 일체로 회전하는 중심기어(4210)에 맞물려 중심기어(421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역회전부재(4400)의 내접기어부(4450)는 일예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기어의 이가 안쪽으로 가공되어 있는 내접기어(internal gear)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내접기어부(4450)는 기저판(4600)에 회전 결합한 연결기어(4650)에 맞물려 연결기어(46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연결기어(4650)는 내접기어부(4450)에 내접하는 형태로 내접기어부(4450)에 맞물려 내접기어부(44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연결기어(4650)는 기저판(4600)에 형성된 고정축(4630)에 회전 결합하여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접기어부(4450)는 연결기어(4650)의 회전에 따라 연결기어(465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연결기어(4650)는 중심기어(4210)에 맞물려 중심기어(421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연결기어(4650)에 맞물려 회전하는 내접기어부(4450)는 회전축부재(420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종국적으로 역회전부재(4400)는 회전축부재(420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쇄부(4000)는 중심기어(4210), 연결기어(4650) 및 내접기어부(4450)로 이루어진 간단한 기어구조로 회전축부재(4200)에 결합하는 제1분쇄날(4300)과 역회전부재(4400)에 결합하는 제2분쇄날(4500)을 동축선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역회전부재(4400)는 후술하는 제2분쇄날(4500)이 결합하는 분쇄날결합부(447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쇄날결합부(4470)는 제2분쇄날(4500)의 상면이 회전축부재(4200)의 타단에 결합한 제1분쇄날(4300)의 하면과 접할 수 있도록 역회전부재(4400)의 상단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2분쇄날(4500)은 역회전부재(4400)에 결합하여 역회전부재(44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제2분쇄날(4500)은 역회전부재(4400)에 결합하여 역회전부재(440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전술한 제1분쇄날(4300)과 함께 회전에 따라 음식물을 분쇄하도록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쇄날(4500)은 역회전부재(4400)에 결합하는 제2중심부(4510); 및 제2중심부(4510)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끝단부가 상기 제2분쇄날(4500)의 회전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제2만곡부(4531)를 포함하는 제2날부(45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2중심부(4510)는 내측에 제2결합홀(4511)을 관통 형성하고, 제2결합홀(4511)에 역회전부재(4400)에 형성된 분쇄날결합부(4470)를 관통 삽입시킴으로써 역회전부재(4400)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제2분쇄날(4500)이 역회전부재(440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결합홀(4511)의 내주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분쇄날결합부(4470)의 외주면도 제2결합홀(4511)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2날부(4530)는 제2중심부(4510)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각 도면에는 제2중심부(4510)로부터 한 쌍의 제2날부(4530)가 제2중심부(45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2날부(4530)는 제2중심부(4510)로부터 하나가 형성되거나 셋 이상의 복수개가 방사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여기서, 제2날부(4530)는 끝단부가 제2분쇄날(4500)의 회전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제2만곡부(45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날부(4530)는 제2만곡부(4531)에 의해 끝단부가 제2분쇄날(4500)의 회전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회전하는 제2날부(4530)에 의해 음식물을 분쇄할 때에 음식물이 제2중심부(4510)로 이동하면서 회전 중심에 인접한 부분에서 분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제1날부(43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일 회전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제2날부(4530)의 회전 중심에 인접한 부분일수록 더 큰 분쇄력이 발휘되므로, 분쇄 과정에서 음식물이 회전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날부(4530)는 동일 회전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더 많은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더 큰 강도를 갖는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 분쇄 조건에서는 출력이 비교적 작은 구동부(4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분쇄부(4000)의 작동에 소요되는 전기에너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날부(4530)는 하부에 회전방향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날부(4530)에 경사부가 포함됨에 따라 음식물의 분쇄가 더욱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부재(4200)와 역회전부재(4400)는 서로 동축선상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회전축부재(4200)에 결합한 제1분쇄날(4300)과 역회전부재(4400)에 결합한 제2분쇄날(4500)도 서로 동축선상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부재(4200)와 역회전부재(440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회전축부재(4200)에 결합한 제1분쇄날(4300)과 역회전부재(4400)에 결합한 제2분쇄날(4500)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날(4300)과 제2분쇄날은 제1분쇄날(4300)의 하면과 제2분쇄날(4500)의 상면이 서로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분쇄부(4000)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날(4300)과 제2분쇄날(450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분쇄날(4300)의 제1날부(4330)가 제1분쇄날(4300)의 회전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되고, 제2분쇄날(4500)의 제2날부(4530)가 제2분쇄날(4500)의 회전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되어, 제1분쇄날(4300)과 제2분쇄날(4500)에 의해 음식물을 분쇄할 때에 음식물이 회전 중심에 인접한 부분에서 분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분쇄 과정에서 음식물이 회전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날부(4330) 및 제2날부(4530)에 의해 더 많은 음식물을 분쇄될 수 있거나 더 큰 강도를 갖는 음식물이 분쇄될 수 있으며, 또한 동일 분쇄 조건에서는 출력이 비교적 작은 구동부(4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분쇄부(4000)의 작동에 소요되는 전기에너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베이스플레이트(3400)는 건조통(3200)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분쇄된 음식물을 건조통(3200)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건조통(3200) 내부의 건조공간(3210) 하측은 베이스플레이트(3400)에 의해 폐쇄되며, 전술한 분쇄부(400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은 베이스플레이트(3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3400)는 분쇄부(4000)의 역회전부재(4400)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고정부재(3500)에 결합하여 분쇄부(40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부(4000)의 제2분쇄날(4500)은 베이스플레이트(3400)의 상면에 인접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분쇄날(4500)을 베이스플레이트(3400)의 상면에 인접하여 회전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제2분쇄날(4500)이 제1분쇄날(4300)과 함께 음식물을 분쇄하는 것에 더하여, 정역회전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3400)의 상면을 세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3400)는 건조통(3200)의 하단부에 구비되면서,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분쇄분배출공(3413)을 형성하는 본체판(3410); 및 본체판(3410) 상에서 회동하도록 구비되고, 회동에 따라 분쇄분배출공(3413)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회동판(34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체판(3410)은 내부 중앙에 중심홀(3411)을 관통 형성하고, 중심홀(3431)에 고정부재(3500)를 관통 삽입하여 역회전부재(4400)에 결합한 고정부재(3500)에 결합한다.
이때,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부(4000)의 회전축부재(4200)의 타단과 역회전부재(4400)의 분쇄날결합부(4470)가 본체판(3410)의 중심홀(3411)을 통과하여 본체판(34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시킴으로써, 회전축부재(4200)의 타단에 결합하는 제1분쇄날(4300) 및 역회전부재(4400)의 분쇄날결합부(4470)에 결합하는 제2분쇄날(4500)이 건조통(3200)의 건조공간(3210)에 배치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체판(3410)의 일부에는 분쇄부(400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분쇄분배출공(3413)이 관통 형성된다.
분쇄분배출공(3413)은 후술하는 회동판(343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구비되며, 회동판(3430)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 분쇄부(400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을 건조통(3200)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본체판(3410)의 일부에는 음식물로부터 분리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배출공(341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건조통(3200)의 건조공간(3210)에서 음식물로부터 분리된 폐수는 폐수배출공(3415)을 통해 건조통(3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때 폐수배출공(3415)에는 여과망(미도시)이 구비되어 폐수만 배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음식물 건조분쇄기(3000)는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배출관(30)과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폐수배출로(36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폐수배출공(3415)은 폐수배출로(3600)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건조통(3200)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폐수배출로(3600)를 통하여 폐수배출관(30)으로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건조통(3200)의 건조공간(3210) 내 분쇄된 음식물과 폐수의 분리 배출이 용이하도록 분쇄분배출공(3413)과 폐수배출공(3415)은 본체판(3410)에서 중심홀(3411)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회동판(3430)은 내부 중앙에 중심홀(3431)을 관통 형성하고, 중심홀(3411)에 고정부재(3500)를 관통 삽입하여 본체판(3410) 상에서 회동하도록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판(3430)은 전동기 등의 구동수단(미도시) 등에 의해 고정부재(3500)를 중심으로 본체판(34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동하도록 구비되며, 회동에 따라 분쇄분배출공(3413)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도 19에는 회동판(3430)에 의해 본체판(3410)의 분쇄분배출공(3413)이 폐쇄된 모습이 나타나있으며, 이 경우에는 건조통(3200)의 건조공간(3210) 내부에 음식물이 분쇄분배출공(3413)을 통해 배출될 수 없게 된다.
도 20에는 회동판(3430)이 회동하여 본체판(3410)의 분쇄분배출공(3413)이 개방된 모습이 나타나있으며, 이 경우에는 건조통(3200)의 건조공간(3210) 내부에 음식물이 분쇄분배출공(3413)을 통해 건조통(3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3400)는 위 설명한 것과 같이 본체판(3410) 및 회동판(3430)으로 이루어져 회동판(3430)의 회동에 의해 분쇄분배출공(3413)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볼밸브(ball valve)가 구비되어 볼밸브의 작동에 의해 분쇄분배출공(3413)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음식물 건조분쇄기(3000)는 베이스플레이트(3400)의 하측에 구비되어, 건조통(3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분쇄된 음식물을 수거하도록 구비되는 분쇄분저장통(3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분쇄분저장통(3700)은 본체판(3410)의 하측에 구비되면서, 본체판(3410)에 형성된 분쇄분배출공(34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분쇄분배출공(3413)으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된 음식물을 수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분쇄분저장통(3700)에는 내부에 저장되는 음식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분쇄분저장통(3700)은 전술한 상부케이싱(3100a)의 하단에 형성된 저장통삽입구(31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저장통삽입구(3130)를 통해 음식물 건조분쇄기(3000)로 인입되거나 또는 음식물 건조분쇄기(3000)로부터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분쇄분저장통(3700)에는 분쇄된 음식물을 이송시키는 분쇄분배출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으며, 분쇄분배출관을 통해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외부에 구비되는 분쇄분 흡입용 펌프에 의해 분쇄분배출관으로 분쇄분저장통(3700)에 수거된 분쇄된 음식물을 흡입하도록 구성하여, 분쇄분저장통(3700)에 수거된 분쇄된 음식물이 중앙수거부(미도시) 등에 자동적으로 수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음식물건조분쇄기(3000)는 베이스플레이트(3400) 상에 형성된 폐수배출공(3415)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이송시키는 폐수이송펌프(3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폐수이송펌프(3800)는 양 단이 각각 폐수배출공(3415) 및 폐수배출관(30)에 연통하는 폐수배출로(3600) 상에 구비되어, 음식물 건조과정에서 폐수배출공(3415)으로 배출되는 폐수를 폐수배출로(3600)를 따라 폐수배출관(30)으로 이송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폐수이송펌프(3800)를 일예로 연동펌프(peristaltic pump)로 구비시켜 정회전 작동에 의해 폐수를 폐수배출관(30)으로 배출시키도록 하고, 역회전 작동에 의해 폐수를 폐수배출공(3415)측으로 이송시켜 폐수가 폐수배출공(3415)으로 분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음식물 분쇄건조 과정에서 음식물에 의해 폐수배출공(3415)이 막히는 경우 폐수가 폐수배출공(3415)을 통해 건조통(3200) 외부로 배출될 수 없는데, 폐수이송펌프(3800)를 통해 폐수를 다시 폐수배출공(3415)으로 분출시킴으로써 분출되는 폐수에 의해 음식물에 의해 막힌 폐수배출공(3415)이 뚫리도록 하여 폐수가 다시 폐수배출공(341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집합건물 포함) 내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부터 발생한 악취가 건물 옥상에 설치된 악취배출기까지 이송된 후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생활하는 주거공간 내에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주거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0 : 싱크대
30 : 폐수배출관
100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101 : 건물
105 : 이송배관
107 : 악취배출기
109 : 후드
111 : 배기라인
201 : 하우징
203 : 모터구동기
205 : 배출구
207 : 미세먼지제거장치
209 : 수분제거장치
1000 : 음식물 수거기
1100 : 수거기케이싱
1200 : 수거통
1300 : 여과판
1400 : 폐수배출부재
1500 : 구동부
1600 : 여과판세정부
1700 : 수거통회전부
1800 : 수거통세정부
2000 : 음식물 분쇄기
2100 : 음식물 분쇄날
3000 : 음식물 건조분쇄기
3100 : 건조분쇄케이싱
3200 : 건조통
3300 : 히팅부
3400 : 베이스플레이트
3500 : 고정부재
3600 : 폐수배출로
3700 : 분쇄분저장통
3800 : 폐수이송펌프
4000 : 분쇄부
4100 : 구동부
4200 : 회전축부재
4300 : 제1분쇄날
4400 : 역회전부재
4500 : 제2분쇄날
4600 : 기저판

Claims (7)

  1. 건물 내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부터 발생한 악취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물(101) 내에 설치되며, 음식물을 분쇄 및 건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와 연결되고, 상기 건물(101) 옥상까지 연장배치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에서 발생한 악취를 상기 건물(101) 옥상까지 이송하는 이송배관(105); 및
    상기 건물(101) 옥상에서 상기 이송배관(105)과 연결되고,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배관(105) 내 악취를 빨아들여 상기 건물(101)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배출기(10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는, 상기 건물(101) 내 주방의 싱크대(20)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배관(105)은, 상기 주방에 설치된 후드(109)의 배기라인(111)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101)은 복수개의 층을 갖는 집합건물이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와 상기 이송배관(105)은 상기 복수개의 층 각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배출기(107)는,
    상기 이송배관(105)과 연결되고, 상기 건물(101) 옥상에 설치되는 하우징(201);
    상기 하우징(201)에 설치되고, 악취를 빨아들이도록 상기 이송배관(105)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키는 모터구동기(203); 및
    상기 하우징(201)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구동기(203)를 통해 빨아들여진 악취를 상기 하우징(201)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는,
    주방의 싱크대(20)에 설치되어 음식물이 투입되는 음식물 수거기(1000);
    상기 음식물 수거기(10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음식물 수거기(1000)에서 배출된 음식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음식물을 분쇄하는 음식물 분쇄기(2000);
    상기 음식물 수거기(1000)에서 음식물로부터 분리된 폐수가 배출되는 폐수배출관(30); 및
    상기 음식물 분쇄기(20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음식물 분쇄기(2000)에서 분쇄된 음식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음식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배출하는 음식물 건조분쇄기(30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수거기(1000)는,
    내부에 양 단부가 개방된 수거공간(1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거공간(1210)의 하측은 음식물배출구(1110)측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거공간(1210)의 상측으로는 음식물이 투입되는 수거통(1200);
    상기 음식물배출구(1110)와 상기 수거통(1200)의 하단부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수거공간(1210)의 하측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비되고, 여과공(1310)을 포함하여 상기 수거공간(1210)의 하측 폐쇄 시 상기 수거공간(1210)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로부터 폐수를 분리하도록 구비되는 여과판(1300); 및
    상기 여과판(1300) 하측에 구비되면서, 일단이 상기 여과공(1310)과 연통하도록 상기 여과판(1300)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여과공(1310)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폐수가 유입되고, 타단은 폐수배출구(1130)측으로 개방되어 유입된 상기 폐수가 상기 폐수배출구(1130)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폐수유도홀(1410)을 내부에 형성하는 폐수배출부재(1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KR1020210115835A 2021-08-31 2021-08-31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KR20230032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835A KR20230032721A (ko) 2021-08-31 2021-08-31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835A KR20230032721A (ko) 2021-08-31 2021-08-31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721A true KR20230032721A (ko) 2023-03-07

Family

ID=8551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835A KR20230032721A (ko) 2021-08-31 2021-08-31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27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658B1 (ko) 2019-04-22 2019-10-17 이남혁 공동주택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658B1 (ko) 2019-04-22 2019-10-17 이남혁 공동주택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2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108190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11831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5197210U (zh) 一种厨余垃圾处理系统
KR2023003272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배출 시스템
US11590544B2 (en) Waste disposer
KR100788600B1 (ko) 물을 재활용하는 음식물처리기
KR100753808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KR101571034B1 (ko) 음식물분쇄건조처리기 일체형 다용도 식기세척기
KR101746184B1 (ko) 음식물분쇄건조처리기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07164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7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269957B1 (ko) 이동식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20230039237A (ko) 음식물 처리 장치용 음식물 건조분쇄기
KR2003979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207207B1 (ko) 음식폐기물 복합처리장치
KR20230036873A (ko) 음식물 처리 장치용 음식물 수거기
KR100370478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 건조장치
KR200388684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0070737A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CN213238254U (zh) 一种具有烘干功能的垃圾处理用处理装置
CN219784989U (zh) 一种可冲洗粉碎装置
KR20100104584A (ko) 생활음식 찌꺼기 자동 분쇄 및 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