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658A - Automated teller machine - Google Patents

Automated teller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658A
KR20230032658A KR1020210115720A KR20210115720A KR20230032658A KR 20230032658 A KR20230032658 A KR 20230032658A KR 1020210115720 A KR1020210115720 A KR 1020210115720A KR 20210115720 A KR20210115720 A KR 20210115720A KR 20230032658 A KR20230032658 A KR 20230032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support
transit
open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7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열
김우성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5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2658A/en
Publication of KR2023003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6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nking automated teller machine may be provided comprising: a safe in which a banknote can be stored; a transit cassette that accommodates the banknote transferred to the safe; and a cassette mounting device attached to the safe to selectively accommodate the transit cassette, wherein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comprises a housing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a front side of the safe to provide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ransit cassette, and a supporting body that supports the transit cassette and moved in a forward/back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so that the transit cassette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eventing the transit cassett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Financial automation machine {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nancial machine.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ATMs (Automated Teller Machines) can provide unmanned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 and withdrawal of cash and checks using cards or bankbooks without bank employe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n relation to financial services. It is an automated device in In addition to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banks, convenience stores, department stores, and public places are increasingly using automated financial machines.

한편, 금융자동화기기로부터 지폐가 지속적으로 반출될 경우, 트랜짓 카세트를 통해 지폐를 보충할 수 있다. 반대로 금융자동화기기에 저장된 지폐가 많을 경우, 트랜짓 카세트로 이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트랜짓 카세트를 금고에 연결하여 지폐를 금고 또는 트랜짓 카세트로 이송할 수 있다.Meanwhile, when bills are continuously taken out of an automated teller machine, bills may be replenished through a transit cassette. Conversely, if there are a lot of bills stored in an automated teller machine, they can be transferred to a transit cassette. In other words, the user can transfer bills to the safe or transit cassette by connecting the transit cassette to the safe.

그러나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에 트랜짓 카세트가 연결될 때, 트랜짓 카세트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미관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랜짓 카세트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지폐가 이송되므로, 보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a transit cassette is connected to a safe of a conventional automated teller machine, the transit cassett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may impair aesthetics. In addition, since bills are transported while the transit cassett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in that security may occu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트랜짓 카세트를 수용할 수 있는 카세트장착장치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ed teller machine including a cassette mounting devi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transit cassette.

또한,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including a support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폐를 저장할 수 있는 금고; 상기 금고로 전송되는 상기 지폐를 수용하는 트랜짓 카세트; 및 상기 트랜짓 카세트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상기 금고에 부착되는 카세트장착장치; 상기 카세트장착장치는, 상기 금고의 전방측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트랜짓 카세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트랜짓 카세트를 지지하고, 상기 트랜짓 카세트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fe capable of storing banknotes; a transit cassette accommodating the banknote transferred to the safe; and a cassette mounting device attached to the safe to selectively accommodate the transit cassette.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may include a housing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safe and provid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ransit cassette; and a supporter supporting the transit cassette and moving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so that the transit cassette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개구를 개방하고,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개구에 위치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트랜짓 카세트는, 상기 지지체에 지지될 때, 상기 지지체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개구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체에 지지될 때, 상기 지지체가 개구에 위치되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는, 금융자동화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ning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when the support is moved forward, the opening is opened, and when moved rearward, it is located in the opening and closes the opening, and the transit cassette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upport body. When supported by, when the support is moved forward, it is located in the opening, and when supported by the support, when the support is located in the opening, it is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상기 트랜짓 카세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에 배치되거나 상기 개구로부터 이탈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개구와 연통되는, 금융자동화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s opened so that the transit cassette is mov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be disposed in or detached from the opening, and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또한, 상기 카세트장착장치는, 상기 지지체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체를 지지하는 도어링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링크부는, 상기 지지체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신장되고, 상기 지지체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접히는, 금융자동화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The cassette moun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door link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and the housing to support the support body, the door link portion being extended when the support body is moved forward, and when the support body is moved rearward. A folding, automatic financial devic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도어링크부는 상기 트랜짓 카세트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트랜짓 카세트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금융자동화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link unit may be provided with a financial automation machine disposed to face a side surface of the transit cassette when the transit cassette is mounted.

또한, 상기 도어링크부는 상기 지지체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도어링크; 및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지지체의 측면에 대향하는 부분과 상기 제1 도어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도어링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link unit may include a first door link rotatably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er; and a second door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door link and a portion of the housing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er.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트랜짓 카세트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ay include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by movement of the support; and a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door to support the transit cassette.

또한, 상기 카세트장착장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하부링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링크부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하부링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하부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하부링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The cassette moun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lower link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housing to support th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lower link portion includes a first lower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and a second lower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first lower link.

또한, 상기 카세트장착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트랜짓 카세트가 상기 지지체에 지지될 때, 상기 트랜짓 카세트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짓 카세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nector provided on the support and connected to the transit cassette to supply power to the transit cassette when the transit cassett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to be provided. ca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트랜짓 카세트가 카세트장착장치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트랜짓 카세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ansit cassette can be accommodated in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nsit cassett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사용자는 지지체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트랜짓 카세트를 쉽게 카세트장착장치에 수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accommodate the transit cassette in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by moving the supporter forward and backwar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지체가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지체가 하우징의 개구를 개방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지체가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한 모습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지체가 하우징의 개구를 개방한 모습의 평면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automated financial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n opening of a housing is closed by a support of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er of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n opening of a housing opened.
5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of the automatic financial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oses the opening of the housing.
6 is a plan view of a supporter of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n opening of a housing open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expressions such as upper, lower, side, etc. ar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and it is made clear in advance that they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if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s chang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or groups. does not exclud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tomated financial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1)는 금융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기기로, 금고(100), 카세트장착장치(200), 트랜짓 카세트(300), 핸들링부(400), 이송유닛(500) 및 감별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utomated financial device 1 is a device for performing financial transactions, and includes a safe 100, a cassette mounting device 200, a transit cassette 300, a handling unit 400, and a transfer unit 500. ) and a discrimination unit 600.

금고(100)는 지폐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저장된 지폐를 외부 접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금고(100)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저장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각 저장부(110)는 서로 다른 종류의 지폐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10)에 의해 지폐는 각 저장부(110)에 나뉘어 저장될 수 있다.The safe 100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bills and can protect stored bills from external access. One or more storage units 1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afe 100 . Each storage unit 110 may store different types of bills. By this storage unit 110, banknotes can be divided and stored in each storage unit 110.

도 2 내지 도 4를 더 참조하면, 카세트장착장치(200)는 금고(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트랜짓 카세트(300)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카세트장착장치(200)는 금융자동화기기(1)의 미관과 보안을 위해 금고(100)의 전방측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카세트장착장치(200)는 트랜짓 카세트(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카세트장착장치(200)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고(10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최소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카세트장착장치(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여 금융자동화기기(1)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카세트장착장치(200)는 하우징(210), 지지체(220), 도어링크부(230), 하부링크부(240) 및 커넥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20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afe 100 to selectively accommodate the transit cassette 300.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20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safe 100 for aesthetics and security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1. In other words,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200 can prevent the transit cassette 3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 length of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20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safe 100 can be minimized in order to prevent the siz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from increasing. In other words, the siz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1 can be reduced by minimizing the forward protruding length of the cassette loading device 200 . In addition,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housing 210, a support 220, a door link part 230, a lower link part 240, and a connector 250.

하우징(210)은 금고(100)의 전방측 외면에 부착되어 트랜짓 카세트(3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10)은 금고(100)의 외면 부착되면서, 금고(100)의 외면과 함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10)은 수용공간에 배치된 트랜짓 카세트(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는 지지체(22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은 상면이 개방되도록 금고(100)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210)의 상면은 트랜짓 카세트(3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구에 배치되거나 개구로부터 이탈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와 하우징(210)의 상면은 연통될 수 있다.The housing 21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safe 100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ransit cassette 300 . For example, the housing 210 may form an accommodation space together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afe 100 while being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afe 100 . The housing 210 may prevent the transit cassette 300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 opening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210 . This opening may be opened or closed by the support 220 . In addition, the housing 210 may be installed in the safe 100 such that the upper surface is open. In other words,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may be formed open so that the transit cassette 30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placed in the opening or separated from the opening. The open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지지체(220)는 트랜짓 카세트(300)를 지지하고, 트랜짓 카세트(300)가 수용공간에 배치되도록 하우징(2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체(220)는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전방으로 이동되고,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방으로 금고(1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이고, 후방은 금고(100)를 향해 이동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220)의 전후방 이동에 의해 트랜짓 카세트(300)도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지지체(220)는 트랜짓 카세트(300)가 카세트장착장치(200)로부터 탈거될 때, 핸들링부(40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랜짓 카세트(300)가 핸들링부(400)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체(220)는 도어(221) 및 지지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er 220 supports the transit cassette 300 and may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10 so that the transit cassette 300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 other words, the support 220 may be moved forward to open the opening and moved rearward to close the opening. The forwar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away from the safe 100, and the rear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moving toward the safe 100. The transit cassette 300 may als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upporter 220 . In addition, the support 22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transit cassette 300 from interfering with the handling unit 400 when the transit cassette 300 is detached from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200, so that the transit cassette 300 is forward of the handling unit 400. It can be moved forward to be placed on the . The support 220 may include a door 221 and a support 222 .

도어(221)는 지지체(22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개구에 배치되어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도어(221)는 지지체(22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하우징(210)으로부터 이격되어 개구를 개방할 수 있다. 도어(221)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하우징(21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door 221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to close the opening when the support 220 moves backward. Also, when the support 220 is moved forward, the door 22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210 to open an opening. When the door 221 is moved forward, it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housing 210 .

지지부(222)는 도어(221)의 하측에 연결되고, 지지체(220)에 트랜짓 카세트(300)가 지지될 때, 트랜짓 카세트(30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22)는 지지체(22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개구에 배치되고, 지지체(22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222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door 221 and can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it cassette 300 when the transit cassette 3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ody 220 . In addition, the support 222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when the support 220 moves forward, and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support 220 moves backward.

도어링크부(230)는 지지체(220)와 하우징(210)에 연결되거나 지지체(220)와 금고(100)에 연결되어 지지체(22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링크부(230)는 지지체(22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신장되고 지지체(22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접힐 수 있다. 도어링크부(230)는 트랜짓 카세트(300)가 장착될 때, 트랜짓 카세트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어링크부(230)는 지지체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신장되어 트랜짓 카세트의 측면에 대향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링크부(230)에 의해 트랜짓 카세트가 좌우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링크부(230)에 의해 지지체(2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링크부(23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링크부(230)는 제1 도어링크(231) 및 제2 도어링크(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link par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220 and the housing 210 or connected to the support 220 and the safe 100 to support the support 220 . In addition, the door link unit 230 may be extended when the support 220 is moved forward and folded when the support 220 is moved rearward. When the transit cassette 300 is mounted, the door link unit 23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ide of the transit cassette. In other words, the door link unit 230 may be extended when the supporter moves forward and face the side of the transit casset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nsit cassette from being separ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door link unit 230 . The support 220 may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door link part 230 . A plurality of door link units 230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door link unit 230 may include a first door link 231 and a second door link 232 .

제1 도어링크(231)는 지지체(22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도어링크(231)의 일측은 지지체(220)의 도어(2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도어링크의 일측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도어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어링크(231)의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은 제2 도어링크(2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도어링크(231)의 타측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도어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first door link 23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220 . One side of the first door link 23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221 of the support 220 . One side of the first door link may be rotated about a first door rotation shaf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first door link 23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door link 232 .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oor link 231 may be rotated around a second door rotation axi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2 도어링크(232)는 하우징(210)과 제1 도어링크(231)에 연결되거나, 금고(100)와 제1 도어링크(231)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도어링크(232)는 지지체(220)가 개구를 폐쇄할 때, 하우징(210) 중 지지체(220)의 측면에 대향하는 부분과 제1 도어링크(2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도어링크(232)의 일측은 하우징(210) 중 지지체(220)의 측면에 대향하는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은 제1 도어링크(23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도어링크(232)는 지지체(220)의 측면과 금고(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도어링크(232)의 일측은 금고(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1 도어링크(23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도어링크(232)의 일측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도어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제2 도어링크의 타측은 제2 도어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second door link 232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210 and the first door link 231 or connected to the safe 100 and the first door link 231 . For example, the second door link 23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door link 231 and a part of the housing 210 facing the side of the support 220 when the support 220 closes the opening. can In other words, one side of the second door link 232 is rotatably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housing 210 facing the side of the support 220,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i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oor link 231. It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door link 23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220 and the safe 100 . In other words, one side of the second door link 23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afe 100, and the other side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oor link 231. One side of the second door link 232 may be rotated around a third door rotation shaf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oor link may be rotated around the second door rotation shaft.

또한, 제1 도어링크(231)와 제2 도어링크(232) 간의 각도는 지지체(220)의 이동에 의해 증감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도어링크(231)와 제2 도어링크(232) 간의 각도는 지지체(22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증가되고, 지지체(22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door link 231 and the second door link 232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movement of the supporter 220 . In other words, the angle between the first door link 231 and the second door link 232 may increase when the support 220 moves forward and decrease when the support 220 moves backward.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면, 하부링크부(240)는 지지체(220)의 지지부(222)와 하우징(210)에 연결되거나, 지지부(222)와 금고(100)에 연결되어 도어링크부(230)와 함께 지지체(2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링크부(240)에 의해 지지부(1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하부링크부(240)는 제1 하부링크(241) 및 제2 하부링크(242)를 포함할 수 있다.5 and 6, the lower link portion 24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222 of the support body 220 and the housing 210, or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222 and the safe 100 to form a door link portion. The support 220 can be supported together with the 230. The support part 120 can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lower link part 240 . In addition, the lower link unit 240 may include a first lower link 241 and a second lower link 242 .

제1 하부링크(241)는 일측이 지지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부링크(241)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링크(241)의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은 제2 하부링크(2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부링크(241)의 타측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rst lower link 24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20 . It can be rotated around the first support axis of rota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lower link 241 . In additi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first lower link 24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lower link 242 .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ower link 241 may be rotated around the second support axis of rota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 하부링크(242)는 일측이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부링크(242)의 일측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지지부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부링크(242)의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은 제1 하부링크(2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부링크(242)의 타측은 제2 지지부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second lower link 24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210 . One side of the second lower link 242 may be rotated around a third support axis of rota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second lower link 24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link 241 .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ower link 242 may be rotated around the second support axis of rotation.

제1 하부링크(241)와 제2 하부링크(242) 간의 각도는 지지체(220)의 이동에 의해 증감될 수 있다. 제1 하부링크(241)와 제2 하부링크(242) 간의 각도는 지지체(22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감소되고, 지지체(22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증가될 수 있다.The angle between the first lower link 241 and the second lower link 242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movement of the supporter 220 . The angle between the first lower link 241 and the second lower link 242 may decrease when the support 220 moves forward and increase when the support 220 moves backward.

커넥터(250)는 지지체(220)에 구비되고, 트랜짓 카세트(300)가 지지체(220)에 지지될 때, 트랜짓 카세트(3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250)는 지지부(222)에 구비되어 트랜짓 카세트(300)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250)는 연결된 트랜짓 카세트(3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커넥터(250)에 의해 전력이 트랜짓 카세트(300)로 공급되면, 트랜짓 카세트(300)가 구동되어 지폐를 금고(100)로 이송하거나 금고(100)로부터 이송되는 지폐를 수용할 수 있다. The connector 250 is provided on the supporter 22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transit cassette 300 when the transit cassette 300 is supported on the supporter 220 . For example, the connector 250 may be provided on the support part 222 a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it cassette 300 . In addition, the connector 250 may supply power to the connected transit cassette 300 .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transit cassette 300 by the connector 250 , the transit cassette 300 is driven to transfer bills to the safe 100 or to receive bills transferred from the safe 100 .

트랜짓 카세트(300)는 지폐를 수용하고, 카세트장착장치(200)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랜짓 카세트(300)는 지지체(220)에 지지되어 수용공간에 배치되면 금고(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짓 카세트(300)는 지폐의 보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부(110)에 지폐를 보충할 필요가 있을 경우, 금고(100)를 개방하지 않고 트랜짓 카세트(300)를 카세트장착장치(200)에 장착하여 트랜짓 카세트(300)의 지폐가 저장부(110)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짓 카세트(300)는 지폐를 회수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금고(100)를 개방하지 않고, 트랜짓 카세트(300)를 카세트장착장치(200)에 장착하여 저장부(110)의 지폐가 트랜짓 카세트(300)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The transit cassette 300 accommodates bills and can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200 . In other words, the transit cassett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safe 100 when supported by the support 220 and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is transit cassette 300 can be used for replenishment of bills. When the user needs to replenish banknotes in the storage unit 110, the user mounts the transit cassette 300 on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200 without opening the safe 100 so that the bills in the transit cassette 300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can be transferred to (110). Also, the transit cassette 300 may be used to collect bills. In other words, the user may load the transit cassette 300 into the cassette loading device 200 without opening the safe 100 so that bills in the storage unit 110 are transferred to the transit cassette 300 .

트랜짓 카세트(300)는 지지체(220)에 지지되면 지지체(22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랜짓 카세트(300)는 지지체(22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개구를 개방하면, 개구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트랜짓 카세트(300)는 지지체(22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 핸들링부(4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랜짓 카세트(300)의 후방측은 핸들링부(400)의 전방측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트랜짓 카세트(300)는 지지체(22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개구를 폐쇄하면, 수용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transit cassette 3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er 220, it may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gether with the supporter 220. In other words, the transit cassette 300 may be positioned in the opening when the support 220 is moved forward to open the opening. Also, when the transit cassette 300 is moved forward by the support 220 , it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handling unit 400 . In other words, the rear side of the transit cassette 300 may be disposed forward than the front side of the handling unit 400 . Also, the transit cassette 300 may be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support 220 is moved backward to close the opening.

트랜짓 카세트(3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카세트장착장치(200)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랜짓 카세트(3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구에 위치되거나 개구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트랜짓 카세트(3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우징(210)의 개방된 상면을 통과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트랜짓 카세트(300)를 카세트장착장치(200)로부터 탈거하기 위해 지지체(2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트랜짓 카세트(300)를 개구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트랜짓 카세트(300)를 카세트장착장치(200)에 장착하기 위해, 지지체(2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트랜짓 카세트(30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개구에 삽입할 수 있다.The transit cassette 300 may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200 whi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transit cassette 300 may be moved up and down to be placed in or removed from the opening. In addition, the transit cassette 300 may pass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whi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ser may move the support 220 forward to remove the transit cassette 300 from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200 and move the transit cassette 300 upward from the opening. Also, in order to mount the transit cassette 300 on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200, the user may move the support 220 forward and move the transit cassette 300 downward to insert it into the opening.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핸들링부(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폐의 입금, 지폐의 출금, 지폐의 계수 등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들링부(400)는 금고(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핸들링부(400)는 입금부(410) 및 출금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handling unit 400 may refer to a part where banknotes are deposited, bills withdrawn, bills counted, etc. are performed by a user's manipulation. The handling unit 400 may be disposed above the safe 100. Also, the handling unit 400 may include a deposit unit 410 and a withdrawal unit 420 .

입금부(410)는 지폐를 입금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입금부(410)에 의해 지폐는 금융자동화기기(1) 내부로 이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입금부(410)에 투입된 지폐는 저장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The deposit unit 410 is a part where banknotes can be deposited. Banknotes can be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1 by the deposit unit 410 . In other words, bills put into the deposit unit 41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

출금부(420)는 지폐를 출금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출금부(420)에 의해 지폐를 금융자동화기기(1)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저장부(110)에 저장된 지폐는 출금부(420)로 이송될 수 있다.The withdrawal unit 420 is a part capable of withdrawing bills. Banknotes can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1 by the withdrawal unit 420 . In other words, bill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may be transferred to the withdrawal unit 420 .

이송유닛(500)은 금고(100), 트랜짓 카세트(300) 및 핸들링부(400) 간의 지폐의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송유닛(500)은 제1 이송부(510), 제2 이송부(520) 및 제3 이송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500 may transfer bills between the safe 100 , the transit cassette 300 and the handling unit 400 . The transfer unit 500 may include a first transfer unit 510 , a second transfer unit 520 and a third transfer unit 530 .

제1 이송부(510)는 입금부(410), 출금부(420) 및 제2 이송부(520) 간의 지폐의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이송부(510)는 입금부(410), 출금부(420)와 제2 이송부(5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이송부(510)는 입금부(410)에 입금된 지폐를 제2 이송부(520)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부(510)는 제2 이송부(520)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출금부(420)로 이송할 수 있다.The first transfer unit 510 may transfer bills between the deposit unit 410 , the withdrawal unit 42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520 . In other words, the first transfer unit 510 may be connected to the deposit unit 410 , the withdrawal unit 42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520 . The first transfer unit 510 may transfer bills deposited in the deposit unit 410 to the second transfer unit 520 . Also, the first transfer unit 510 may transfer bills transferred from the second transfer unit 520 to the withdrawal unit 420 .

제2 이송부(520)는 제1 이송부(510), 제3 이송부(530) 및 저장부(110) 간의 지폐의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이송부(520)는 저장부(110)의 지폐를 제1 이송부(510)로 이송하거나, 제3 이송부(530)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부(520)는 제3 이송부(530)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저장부(110)로 이송할 수 있다.The second transfer unit 520 may transfer bills between the first transfer unit 510 , the third transfer unit 530 and the storage unit 110 . In other words, the second transfer unit 520 may transfer bills in the storage unit 110 to the first transfer unit 510 or to the third transfer unit 530 . Also, the second transfer unit 520 may transfer bills transferred from the third transfer unit 530 to the storage unit 110 .

제3 이송부(530)는 트랜짓 카세트(300)와 제2 이송부(520) 간의 지폐의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이송부(530)는 제2 이송부(520)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트랜짓 카세트(300)로 이송하거나, 트랜짓 카세트(300)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제2 이송부(520)로 이송할 수 있다.The third transfer unit 530 may transfer bills between the transit cassette 30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520 . In other words, the third transfer unit 530 may transfer bills transferred from the second transfer unit 520 to the transit cassette 300 or transfer bills transferred from the transit cassette 300 to the second transfer unit 520. there is.

감별부(600)는 비정상 지폐를 감별할 수 있다. 이러한 감별부(600)는 이송유닛(500)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지폐의 이상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감별부(600)에 의해 지폐가 비정상으로 판별되면, 비정상 지폐는 별도의 카세트로 이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discrimination unit 600 may discriminate between abnormal bills. The discrimination unit 600 is provided in the transfer unit 500 and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ill being transferred is abnormal. If the banknote is determined as abnormal by the discrimination unit 600, the abnormal banknote may be transferred to a separate cassette and stor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automated financial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의 하우징(210)은 수용공간에 수용된 트랜짓 카세트(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220)가 하우징(210)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지지체(220)를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트랜짓 카세트(300)를 카세트장착장치(200)에 장착하거나 카세트장착장치(20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The housing 210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transit cassette 30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22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10, the user may move the support 220 forward and backward to mount the transit cassette 300 on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200 or cassette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device 20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specific embodiment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the widest scop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a pattern of a shape not indicated by combining/substitut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also does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is specification, and it is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금융자동화기기 100: 금고
110: 저장부 200: 카세트장착장치
210: 하우징 220: 지지체
221: 도어 222: 지지부
230: 도어링크부 231: 제1 도어링크
232: 제2 도어링크 240: 하부링크부
241: 제1 하부링크 242: 제2 하부링크
250: 커넥터
300: 트랜짓 카세트 400: 핸들링부
410: 입금부 420: 출금부
500: 이송유닛 510: 제1 이송부
520: 제2 이송부 530: 제3 이송부
600: 감별부
1: automatic financial device 100: safe
110: storage unit 200: cassette mounting device
210: housing 220: support
221: door 222: support
230: door link unit 231: first door link
232: second door link 240: lower link part
241: first lower link 242: second lower link
250: connector
300: transit cassette 400: handling unit
410: deposit unit 420: withdrawal unit
500: transfer unit 510: first transfer unit
520: second transfer unit 530: third transfer unit
600: discrimination unit

Claims (9)

지폐를 저장할 수 있는 금고;
상기 금고로 전송되는 상기 지폐를 수용하는 트랜짓 카세트; 및
상기 트랜짓 카세트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상기 금고에 부착되는 카세트장착장치;
상기 카세트장착장치는,
상기 금고의 전방측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트랜짓 카세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트랜짓 카세트를 지지하고, 상기 트랜짓 카세트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A safe for banknotes;
a transit cassette accommodating the banknote transferred to the safe; and
a cassette mounting device attached to the safe to selectively accommodate the transit cassette;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a housing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safe to provide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ransit cassette; and
And a support that supports the transit cassette and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so that the transit cassette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개구를 개방하고,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개구에 위치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트랜짓 카세트는,
상기 지지체에 지지될 때, 상기 지지체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개구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체에 지지될 때, 상기 지지체가 개구에 위치되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는,
금융자동화기기.
According to claim 1,
An opening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When the support is moved forward, it opens the opening, and when it is moved rearward, it is located in the opening and closes the opening,
The transit cassette,
When supported by the support, when the support is moved forward, it is located in the opening,
When supported by the support, when the support is located in the opening,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상기 트랜짓 카세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에 배치되거나 상기 개구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개방되는,
금융자동화기기.
According to claim 2,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Open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so that the transit cassette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disposed in or separated from the opening,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장착장치는,
상기 지지체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체를 지지하는 도어링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링크부는,
상기 지지체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신장되고, 상기 지지체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접히는,
금융자동화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oor link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the housing to support the support,
The door link part,
It is extended when the support is moved forward and folded when the support is moved rearward.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링크부는 상기 트랜짓 카세트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트랜짓 카세트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금융자동화기기.
According to claim 4,
The door link portion is disposed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transit cassette when the transit cassette is mounted.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링크부는
상기 지지체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도어링크; 및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지지체의 측면에 대향하는 부분과 상기 제1 도어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도어링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According to claim 4,
The door link part
a first door link rotatably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 and
Including a second door link rotatably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housing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first door link,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트랜짓 카세트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is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by movement of the supporter; and
Including a support extending rea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door to support the transit cassett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장착장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하부링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링크부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하부링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하부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하부링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According to claim 7,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ower link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the housing to support the support,
the lower link
a first lower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and
Including a second lower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first lower link,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장착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트랜짓 카세트가 상기 지지체에 지지될 때, 상기 트랜짓 카세트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짓 카세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According to claim 7,
The cassette moun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provided in the support and connected to the transit cassette when the transit cassett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to supply power to the transit cassett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KR1020210115720A 2021-08-31 2021-08-31 Automated teller machine KR202300326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720A KR20230032658A (en) 2021-08-31 2021-08-31 Automated teller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720A KR20230032658A (en) 2021-08-31 2021-08-31 Automated teller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658A true KR20230032658A (en) 2023-03-07

Family

ID=8551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720A KR20230032658A (en) 2021-08-31 2021-08-31 Automated teller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265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1265B2 (en) Financial device
KR20110083477A (en) Paper money stacking device and paper money handling apparatus
US9997028B2 (en) Financial device
JP6369196B2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um transaction apparatus
US10297099B2 (en) Media transaction device
US10994955B2 (en) Tray unit assembly
JP6031792B2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20230032658A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20230050083A (en) Automated Teller Machine
EP3822926A1 (en) Cassett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5375909B2 (en) Locking device and automatic cash transaction device
KR101001689B1 (en) Power source connecting apparatus for cassette and power source connecting method
KR20060124938A (en) Financial automated-teller machine structure of cassette frame open and close
KR20210048803A (en)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737014B2 (en) Medium storage and medium processing device
US11217069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1687107B1 (en) Media deposition apparatus
EP3675070B1 (en) Medium storage apparatus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2639252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2120967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2639257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JP7040150B2 (en) Media processing equipment and automated teller machines equipped with it
KR20070011723A (en) Cash transaction machine and method of initializing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20240047552A (en) Cassette connecting appratus of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049311B1 (en) Tray for Deposit and Withdraw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