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576A - 쌀을 이용한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 Google Patents

쌀을 이용한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576A
KR20230032576A KR1020210115562A KR20210115562A KR20230032576A KR 20230032576 A KR20230032576 A KR 20230032576A KR 1020210115562 A KR1020210115562 A KR 1020210115562A KR 20210115562 A KR20210115562 A KR 20210115562A KR 20230032576 A KR20230032576 A KR 20230032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oamed plastic
parts
plastic composition
biodegra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209B1 (ko
Inventor
박재민
Original Assignee
다윈그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윈그룹(주) filed Critical 다윈그룹(주)
Priority to KR102021011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20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28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95Mixtures of at least two compounding ingredients belonging to different one-dot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75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ontaining COOH-groups; Ester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9/00Compositions of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of derivatives thereof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89/00 - C08L97/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쌀을 이용한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쌀을 이용한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FOAMED PLASTIC COMPOSITION USING RICE POWDER}
본 발명은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쌀을 이용한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기도기술개발사업에 일환으로 고안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경기도기술개발사업에 따른 것이다.
[경기도기술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D2020149
[부처명] 경기도
[연구관리전문기관]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연구사업명] 일반분야/혁신기술개발
[연구과제명 쌀 부산물을 활용한 산업용 포장재 PE-FOAM 바이오플라스틱 원료 및 제품개발
[주관연구기관] ㈜이루케미칼
[연구기간] 2020. 09. 01. ~ 2021. 08. 31
석유계 범용 플라스틱은 가볍고, 저렴하며 제작이 용이하나, 폐기시 자체적인 분해가 되지 않으므로 인한 환경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현재 사용 중인 대표적인 포장재료인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는 플라스틱 폐기물 중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매우 크며, 거의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EPS는 제조공정 시 화학발포제로서 사플루오르화탄소(CF4)를 사용고 있으며, 이는 지구의 오존층 파괴의 주범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1-000642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일반 토양에서도 생분해가 가능하며, 쌀을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물성을 갖는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은 쌀 분말과 생분해성 수지가 포함된 수지 혼합물;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쌀 분말의 입도는 250 내지 500 mesh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PBAT, PBS 및 CNF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혼합물은, 상기 수지 혼합물 100 wt%를 기준으로 상기 쌀 분말 5 내지 30 wt%, 상기 생분해성 수지 70 내지 95 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N,N'-에틸렌 비스 스테아마이드(N,N'-ethylene bis stearamide) 및 커플링제(Coupling agen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0.3 내지 3.4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은 생분해성 수지에 천연물질인 쌀을 이용하여 우수한 물성과 안정성을 갖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바이오 플라스틱이 가지고 있는 가격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천연물질인 쌍을 이용함으로써 뛰어난 물성과 함께 자연분해가 가능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은 쌀 분말과 생분해성 수지가 포함된 수지 혼합물;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은 쌀 분말에 생분해성 수지를 혼한한 후, 첨가제를 첨가하여 소정의 온도 조건 하에서, 소정의 압출속도 조건으로 압출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쌀 분말의 입도(입자 크기)는 250 내지 500 mesh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S(Polybutylene succinate) 및 CNF(Cellulose Nano Fib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혼합물은, 상기 수지 혼합물 100 wt%를 기준으로 상기 쌀 분말 5 내지 30 wt%, 상기 생분해성 수지 70 내지 95 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열안정제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및 커플링제(Coupling agen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동시에 활제(Lubricant Additives)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스테아린산염, 팔미트산염 및 라우르산염으로 구성되는 성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린산염일 수 있다.
상기 스테아린산염은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N,N'-에틸렌 비스 스테아마이드(N,N'-ethylene bis stearamide)일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는 실란계 커플링제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메톡시기를 포함하는 실란계 커플링제 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커플링제는 MPS(3-(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 GPS((3-Glycidoxypropyl)trimethoxy silane), 또는 APS((3-aminopropyl)trimethoxy silane)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SONOX 1010 및/또는 SONOX 168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0.3 내지 3.4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쌀 분말(입도 250 mesh) 5 wt%, PBAT 90 wt% 및 PBS 5 wt%를 혼합하여 100 wt%의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첨가제로서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0.2 중량부 및 제1 산화방지제(SONOX 1010) 0.1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실시예 2.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쌀 분말(입도 250 mesh) 10 wt%, PBAT 80 wt% 및 PBS 10 wt%를 혼합하여 100 wt%의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첨가제로서 N,N'-에틸렌 비스 스테아마이드(N,N'-ethylene bis stearamide) 0.2 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0.3 중량부 및 제1 산화방지제(SONOX 1010) 0.1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실시예 3.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쌀 분말(입도 350 mesh) 15 wt%, PBAT 75 wt%, PBS 8 wt% 및 CNF(Cellulose Nano Fiber) 2 wt%를 혼합하여 100 wt%의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첨가제로서 N,N'-에틸렌 비스 스테아마이드(N,N'-ethylene bis stearamide) 0.5 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0.8 중량부 및 제1 산화방지제(SONOX 1010) 0.1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실시예 4.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쌀 분말(입도 500 mesh) 20 wt%, PBAT 67 wt%, PBS 10 wt% 및 CNF(Cellulose Nano Fiber) 3 wt%를 혼합하여 100 wt%의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첨가제로서 N,N'-에틸렌 비스 스테아마이드(N,N'-ethylene bis stearamide) 0.4 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0.9 중량부, 제1 산화방지제(SONOX 1010) 0.1 중량부, 제2 산화방지제(SONOX 168) 0.1 중량부 및 커플링제(Coupling agent) MPS(3-(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 0.5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실시예 5.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쌀 분말(입도 500 mesh) 30 wt%, PBAT 57 wt%, PBS 8 wt% 및 CNF(Cellulose Nano Fiber) 5 wt%를 혼합하여 100 wt%의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첨가제로서 N,N'-에틸렌 비스 스테아마이드(N,N'-ethylene bis stearamide) 0.5 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1.5 중량부, 제1 산화방지제(SONOX 1010) 0.2 중량부, 제2 산화방지제(SONOX 168) 0.2 중량부 및 커플링제(Coupling agent) MPS(3-(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 1.0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물의 함량을 하기 표 1 및 표 2에 정리하였다.
원재료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수지
혼합물
쌀 분말 250 mesh 5 wt% 10 wt%
350 mesh 15 wt%
500 mesh 20 wt% 30 wt%
생분해성 수지 PBAT 90 wt% 80 wt% 75 wt% 67 wt% 57 wt%
PBS 5 wt% 10 wt% 8 wt% 10 wt% 8 wt%
CNF 2 wt% 3 wt% 5 wt%
100 wt%
원재료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첨가제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
N,N'-ethylene bis stearamide 0.2
중량부
0.3
중량부
0.4
중량부
0.5
중량부
Calcium stearate 0.2
중량부
0.3
중량부
0.8
중량부
0.9
중량부
1.5
중량부
Anti-oxi-dant/SONOX 1010 0.1
중량부
0.1
중량부
0.1
중량부
0.1
중량부
0.2
중량부
Anti-oxi-dant/SONOX 168 0.1
중량부
0.2
중량부
Coupling agent 0.5
중량부
1.0
중량부
0.3
중량부
0.6
중량부
1.2
중량부
2.0
중량부
3.4
중량부
측정예. 물성의 측정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의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표 3에서의 인장강도는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을 원통형의 시료를 4 cm 떨어진 클램프 사이에 물리고 8 mm/min 의 속도로 인장시키면서 응력-변형률 곡선을 통하여 인장강도를 계산하였다.
표 3에서의 파열강도는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을 원통형의 시료를 4cm 떨어진 두개의 지지대상에 놓고 10 mm/min의 속도로 나이프를 강하하면서 응력-변형율 곡선을 통하여 시료를 파열시키는데 요구되는 최대힘으로부터 파열강도룰 계산하였다.
표 3에서의 반발탄성율은 수평위치에 있는 추(錘)가 90 ˚에 위치되어 있는 시편(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시편 규격 : 두께 12.5 mm / 지름 29 mm)에 가해지면서 발생하는 반발 에너지를 디지털 방식의 백분율로 표시하였다(처음추의 위치 대비 시료충돌 후 추의 올라간 위치).
표 3에서의 압축강도는 압축하중에 의해 시편(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이 파괴될 때까지의 최대 응력으로, 최대 하중을 시험편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며, 원통형시편을 2장의 평판에 끼고, 수직하중을 가하여 파괴되는 응력과 변형의 관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계산하였다.
표 3에서의 벌크밀도는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을 벌크밀도 측정기(Bulk Density Meter, Model: RAY-RAN Apparent Bulk Density Apparatu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인장강도 kgf/cm2 11 12 11 20 16
파열강도 % 6 15 21 30 28
반발탄성율 % 54 50 71 75 52
압축강도 g/cm2 60 65 110 130 95
벌크밀도 lb/ft2 0.4 0.3 0.8 1.2 0.6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고,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7)

  1. 쌀 분말과 생분해성 수지가 포함된 수지 혼합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 분말의 입도는 250 내지 500 mesh인 것인,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PBAT, PBS 및 CNF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혼합물은,
    상기 수지 혼합물 100 wt%를 기준으로 상기 쌀 분말 5 내지 30 wt%, 상기 생분해성 수지 70 내지 95 wt%를 포함하는 것인,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인,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N,N'-에틸렌 비스 스테아마이드(N,N'-ethylene bis stearamide) 및 커플링제(Coupling agen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0.3 내지 3.4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인,
    생분해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KR1020210115562A 2021-08-31 2021-08-31 쌀을 이용한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KR102607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562A KR102607209B1 (ko) 2021-08-31 2021-08-31 쌀을 이용한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562A KR102607209B1 (ko) 2021-08-31 2021-08-31 쌀을 이용한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576A true KR20230032576A (ko) 2023-03-07
KR102607209B1 KR102607209B1 (ko) 2023-11-29

Family

ID=8551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562A KR102607209B1 (ko) 2021-08-31 2021-08-31 쌀을 이용한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2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422A (ko) 1989-09-26 1991-04-29 원본미기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성형품
JP2008056851A (ja) * 2006-09-01 2008-03-13 Toyo Seikan Kaisha Ltd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02591A (ko) * 2011-06-29 2013-01-08 일신화학공업 주식회사 생분해성 멀칭 필름
JP2020164686A (ja) * 2019-03-29 2020-10-0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発泡シート及び発泡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422A (ko) 1989-09-26 1991-04-29 원본미기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성형품
JP2008056851A (ja) * 2006-09-01 2008-03-13 Toyo Seikan Kaisha Ltd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02591A (ko) * 2011-06-29 2013-01-08 일신화학공업 주식회사 생분해성 멀칭 필름
JP2020164686A (ja) * 2019-03-29 2020-10-0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発泡シート及び発泡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209B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i et al. 3D printing of delicately controllable cellular nanocomposites based on polylactic acid incorporating graphene/carbon nanotube hybrids for efficien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Shaffer et al. On reducing anisotropy in 3D printed polymers via ionizing radiation
Zhang et al. Facile fabrication of tough photocrosslinked polyvinyl alcohol hydrogels with cellulose nanofibrils reinforcement
Zhang et al. Study of glass transition and reinforcement mechanism in polymer/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s
Baferani et al. The role of sonication time upon acoustic wave absorption efficiency, microstructure, and viscoelastic behavior of flexible polyurethane/CNT nanocomposite foam
Finnigan et al. Segmented polyurethane nanocomposites: impact of controlled particle size nanofillers on the morphological response to uniaxial deformation
Tang et al. Mechanical–microstructure relationship and cellular failure mechanism of silicone rubber foam by the cell microstructure designed in supercritical CO2
Xu et al. Novel prepa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igid polyurethane foam/organoclay nanocomposites
Dasari et al. Toughening polypropylene and its nanocomposites with submicrometer voids
Yang et al. Improvement in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henolic foam reinforced with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Navidfar et al. A study on polyurethane hybrid nanocomposite foams reinforced with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and silica nanoparticles
Islam et al. Effects of plasticizers and clays on the physical, chemical, mechanical, therm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potato starch-based nanocomposite films
Hao et al. Mechanical properties, creep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core/shell structured wood flour/polyethylene composites with highly filled core layer
Swapna et al. Mechanical and swelling behavior of green nanocomposites of natural rubber latex and tubular shaped halloysite nano clay
Shi et al. Novel sound insulation materials based on epoxy/hollow silica nanotubes composites
Sugiman et al. Hygrothermal effects on tensile and fracture properties of epoxy filled with inorganic fillers having different reactivity to water
Tang et al. Cellular structure design by controlling rheological property of silicone rubber in supercritical CO2
Realinho et al. Influence of nanoclay concentration on the CO2 diffus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PMMA montmorillonite microcellular foams
CN111484709A (zh) 滑石粉填充的全生物降解专用吹膜材料及其制备方法
Ding et al. Effect of talc and diatomite on compatible, morphological, and mechanical behavior of PLA/PBAT blends
Hemmasi et al. Studying the Effect of Size of Bagasse and Nanoclay Particles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Bagasse Flour/Recycled Polyethylene Composites.
CN106397879A (zh) 一种吸音橡胶的制备方法
Taqui et al. A novel sustainable design to develop polypropylene and unsaturated polyester resin polymer composites from waste of major polluting industries and investigation on their physicomechanical and wear properties
Comeau et al. Printability of methacrylated gelatin upon inclusion of a chloride salt and hydroxyapatite nano‐particles
Dewi et al. The effect of rice husk and saw dusk filler on mechanical property of bio composite from Sago St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