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544A -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544A
KR20230032544A KR1020210115507A KR20210115507A KR20230032544A KR 20230032544 A KR20230032544 A KR 20230032544A KR 1020210115507 A KR1020210115507 A KR 1020210115507A KR 20210115507 A KR20210115507 A KR 20210115507A KR 20230032544 A KR20230032544 A KR 20230032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imensional structure
yarn
weft yarn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907B1 (ko
Inventor
김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텍스
Priority to KR1020210115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90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25/005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8Resilient uppers, e.g. shock absorb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은 갑피부와 갑피부를 둘러싸는 여백부를 포함하고, 갑피부와 여백부는 경사와 제1위사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상부층과 제1위사보다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큰 제2위사와 경사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하부층을 포함하는 입체조직 및 제1위사와 제2위사 및 경사의 제직에 따라 형성되는 지지조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WOVEN FABRIC FOR SHOE UPPER HAVING THREE DIMENSIONA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행도가 휘는 현상과 위곡 현상이 방지된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크게 갑피(Upper)와 밑창(Sole)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중창(Midsole)과 안창(Insole)이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밑창, 중창 및 안창은 발바닥을 보호함과 동시에 안락한 보행감을 부여하고, 갑피는 발등을 보호함과 함께 신발의 디자인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신발의 상품성을 가장 높여 주는 중요한 부분이다.
신발갑피는 착용자의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물성, 외부자극을 견디기 위한 내구성이 중요하나, 최근에는 신발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개인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심미성이 보다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발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최근에는 경사와 위사의 제직에 따라 제조되는 직물이 신발 갑피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직물은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쉽게 구현할 수 있음에 따라 신발의 심미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어 신발의 상품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경사와 위사 중 적어도 하나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원사를 신발 갑피디자인이 형성된 직물원단에 적용하는 경우, 직물원단을 신발 갑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후가공하는 공정 중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직물원단이 신축성원사로 인해 불규칙하게 수축하여 갑피 디자인이 왜곡되고, 직물원단의 사행도가 휘거나 위곡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신발 갑피디자인이 형성된 직물원단의 경우 신축성을 갖는 원사를 적용하기 어려워 신축성을 갖지 않는 원사를 적용하여야 하는 실정이었고, 이에 따라 신발 갑피 디자인이 형성된 직물원단을 신발 갑피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 신발 갑피가 신축되지 않아 신발의 착용감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신축성을 갖는 원사를 적용하지 못함에 따라 신발 갑피 디자인이 형성된 직물원단에 3D 형태의 입체구조를 구현하기 어려워 직물원단이 2D 형태의 평면구조를 가짐에 따라, 직물원단의 이용시 신발의 디자인을 보다 다양화하여 차별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KR 10-1582550 B1 KR 10-1367445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사와 위사 중 적어도 하나로 신축성을 갖는 원사를 포함하여도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갑피 디자인이 왜곡되는 것과 직물원단의 사행도가 휘거나 위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체조직과 지지조직을 포함하는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은 갑피부와 갑피부를 둘러싸는 여백부를 포함하고, 갑피부와 여백부는 경사와 제1위사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상부층과 제1위사보다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큰 제2위사와 경사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하부층을 포함하는 입체조직 및 제1위사와 제2위사 및 경사의 제직에 따라 형성되는 지지조직을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제조방법은 경사와 제1위사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상부층과 제1위사보다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큰 제2위사와 경사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하부층을 포함하는 입체조직 및 제1위사와 제2위사 및 경사의 제직에 따라 형성되는 지지조직을 포함하는 갑피부와 갑피부를 둘러싸는 여백부를 포함하는 직물원단을 제직하는 단계 및 직물원단을 세척하고 열처리하여 직물원단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부층이 상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 입체조직을 구비함에 따라 직물원단에 입체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직물원단의 심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조직이 구비되어 직물원단의 열처리시 지지조직이 입체조직의 하부층이 과도하게 수축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직물원단의 갑피 디자인이 왜곡되는 것과 사행도가 휘거나 위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직물원단이 제1위사보다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뛰어난 제2위사를 포함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이 적용된 신발을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제2위사의 신축성으로 인해 신발이 효과적으로 신축될 수 있어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갑피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여백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갑피부의 전단영역과 중단영역 및 후단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제1영역과 제2영역 및 제3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입체조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지지조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지지조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지지조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시험예 1에서 사용되는 게이지필름의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시계열적인 수행단계들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10)은 갑피부(11)와 여백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도면부호를 일치시켜서 기재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제조방법은 제직단계(S100)과 후가공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먼저, 갑피부(11)와 여백부(12)를 포함하는 직물원단(10)을 제직한다(S100).
갑피부(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10)을 적용하여 신발을 제조하였을 때 신발의 갑피에 대응되는 부분에 적용될 수 있도록 착용자의 발을 감쌀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갑피부(11)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기설정된 문양 및 패턴을 포함하는 갑피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다.
갑피부(11)에 형성되는 갑피 디자인은 사용자에 의해 기형성되는 것일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경사(13), 제1위사(14) 및 제2위사(15)의 색상과 입체조직(100)과 지지조직(200)이 구비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백부(12)는 갑피부(1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10)에서 여백부(12)를 제거하면 갑피부(11)가 남게되고, 신발 제조시 갑피부(11)를 신발의 갑피로 적용할 수 있다.
갑피부(11)는 직물원단(10) 전체 면적에 대해 60~8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것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여백부(12)는 직물원단(10) 전체 면적에 대해 20~4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제직단계(S100)에서 제직되는 직물원단(10)의 갑피부(11)와 여백부(12)는 입체조직(100)과 지지조직(200)을 포함할 수 있다.
입체조직(100)과 지지조직(200)은 갑피부(11)와 여백부(12)에 분산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입체조직(100)은 후가공단계(S200)에서 직물원단(10)이 열처리되면 직물원단(10)이 3D 형태의 입체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입체조직(100)은 경사(13)와 제1위사(14)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층(110)과 제1위사(14)보다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큰 제2위사(15)와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입체조직(100)에서 상부층(110)은 하부층(120)보다 상측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입체조직(100)은 후가공단계(S200)에서 열처리되면 하부층(120)이 상부층(110)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열수축하게 됨에 따라, 상부층(110)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3D 형태의 입체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입체조직(100)은 후가공단계(S200)에서 열처리되면 제2위사(15)와 제1위사(14)의 열수축률 차이에 의해 상부층(110)이 상부로 돌출됨에 따라 3D 형태의 입체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도 6을 참조하면 입체조직(100)이 상부층(110)과 하부층(120)으로 이루어지면 후술할 후가공단계(S200)에서 열처리시 제1위사(14)보다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큰 제2위사(15)가 제1위사(14)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수축하게 됨에 따라 제1위사(14)가 제2위사(15)의 수축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직물원단(10)이 3D 형태의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지지조직(200)은 경사(13)와 제1위사(14) 및 제2위사(15)를 제직함에 따라 형성되어 입체조직(100)을 둘러싸는 것일 수 있다.
지지조직(200)은 제1위사(14)와 제2위사(15) 중 적어도 하나와 경사(13)가 제직됨에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지지조직(200)이 제2위사(15)와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제1층(210)을 포함하는 경우 지지조직(200)에 제2위사(15)와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제1층(210)의 하부에는 제1위사(14)와 제2위사(15) 및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제2층(220)과 제1위사(14)와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제3층(23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지지조직(200)은 제1위사(14)와 제2위사(15) 및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제2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지지조직(200)은 제2위사(15)와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제1층(210)과 제1위사(14)와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고 제1층(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3층(230)을 포함할 수 있고, 도 9를 참조하면 지지조직(200)은 복수 개의 제3층(230) 사이에 제1층(210)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위사(15)와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제1층(210)의 하부에 제1위사(14)와 제2위사(15) 및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제2층(220)과 제1위사(14)와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제3층(23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지 않으면 제2위사(15)와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제1층(210)의 제2위사(15)가 후가공단계(S200)에서 과하게 수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입체 원단(10)이 위곡될 수 있다.
지지조직(200)은 입체조직(10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후가공단계(S200)에서 직물원단(10)이 열처리될 때 하부층(120)의 제2위사(15)가 과하게 수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직물원단(10)이 후가공단계(S200)에서 위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지지조직(200)은 제1위사(14)와 제2위사(15) 중 적어도 하나와 경사(13)를 제직함에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구성됨으로써, 후가공단계(S200)에서 직물원단(10)이 열처리될 때 하부층(120)의 제2위사(15)가 25% 이상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여 직물원단(10)이 위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지지조직(200)이 하부층(120)의 제2위사(15)가 25% 이상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면 직물원단(10)이 위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조직(200)은 직물원단(10)이 후가공단계(S200)에서 위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층(120)의 제2위사(15)가 17% 이상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입체조직(100)은 면적이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60 내지 85%가 되도록 직물원단(10)에 포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조직(200)은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15 내지 40%가 되도록 직물원단(10)에 포함될 수 있다.
입체조직(100)의 면적이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60% 미만이거나 지지조직(200)의 면적이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40%를 초과하면 입체조직(100)이 차지하는 비율이 적어짐에 따라 직물원단(10)의 디자인이 단조로워질 수 있고, 직물원단(10)의 신축성이 떨어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10)을 적용한 신발의 착용시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입체조직(100)의 면적이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85%를 초과하거나 지지조직(200)의 면적이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15% 미만이면 입체조직(100)이 차지하는 비율이 과해져 직물원단(10)이 후가공단계(S200)에서 과하게 수축함에 따라 제조되는 직물원단(10)이 위곡될 수 있다.
갑피부(11)와 여백부(1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입체조직(100)이 나머지 하나보다 과하면 후가공단계(S200)에서 입체조직(100)이 상대적으로 과하게 형성된 부분이 나머지 부분에 비해 과하게 수축하여 직물원단(10)이 위곡될 수 있다.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는 1: 0.6 내지 1.2일 수 있다.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 0.6을 초과하면 후가공단계(S200)에서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이 적어져 갑피부(11)에 비해 여백부(12)가 덜 수축하게 되어 직물원단(10)의 사행도가 휘거나 위곡이 발생할 수 있다.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 1.2 미만이면 후가공단계(S200)에서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이 과해짐에 따라, 여백부(12)에 비해 갑피부(11)가 덜 수축하게 되어 직물원단(10)의 사행도가 휘거나 위곡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 1.2 미만이면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이 과해짐에 따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지지조직(200)의 양이 적어져 후가공단계(S200)에서 갑피부(11)와 여백부(12)의 입체조직(100)이 과하게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갑피부(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10)을 신발에 적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발가락과 앞꿈치를 포함하는 발의 전단부를 감싸는 전단영역(L)과 발등을 포함하는 발의 중단부를 감싸는 중단영역(M) 및 발의 뒷꿈치를 포함하는 발의 후단부를 감싸는 후단영역(H)으로 구획될 수 있고, 갑피부(11)가 전단영역(L)과 중단영역(M) 및 후단영역(H)으로 구획됨에 따라, 직물원단(10)도 제1영역(F), 제2영역(S) 및 제3영역(T)으로 구획될 수 있다.
신발 갑피의 구조상 갑피부(11)의 전단영역(L)은 중단영역(M)과 후단영역(H)보다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고, 후단영역(H)은 중단영역(M)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을 수 있다.
즉, 제1영역(F)에 포함되는 갑피부(11)의 면적은 제2영역(S)과 제3영역(T)에 각각 포함되는 갑피부(11)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고, 제3영역(T)에 포함되는 갑피부(11)의 면적은 제2영역(S)에 포함되는 갑피부(11)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10)의 갑피부(11)는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의 갑피와 같이 중심부에 설포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J)이 구비되고, 이에 따라, 갑피부(11)는 중심부에 설포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J)을 구비하기 위해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좌우로 대칭되게 갈라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갑피부(11)의 전단영역(L)은 갑피부(11)의 상단으로부터 설포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J)이 시작되는 지점(Z)까지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고, 이때, 설포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J)이 시작되는 지점(Z)은 갑피부(1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전체 길이의 30 내지 36%에 대응되는 지점일 수 있다.
중단영역(M)은 설포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J)이 시작되는 지점(Z)으로부터 갑피부(11) 전체 길이의 31 내지 38%에 대응되는 지점까지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고, 후단영역(H)은 중단영역(M)의 하단으로부터 갑피부(11)의 하단까지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영역(F)은 갑피부(11)의 전단영역(L)과 전단영역(L)을 감싸는 여백부(12)를 포함할 수 있고, 직물원단(1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직물원단(10)의 전체 길이 대비 33 내지 42%까지에 해당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영역(F)에서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는 1:1 내지 1.2일 수 있다.
제1영역(F)에서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1을 초과하거나 1:1.2 미만이면 갑피부(11) 또는 여백부(12)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이 나머지 하나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보다 과하게 커져 직물원단(10)의 사행도가 휘거나 위곡될 수 있다.
또한, 제1영역(F)에서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1.2 미만이면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지지조직(200)의 양이 적어져 갑피부(11)의 입체조직(1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2영역(S)은 갑피부(11)의 중단영역(M)과 중단영역(M)을 감싸는 여백부(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영역(F)의 하단으로부터 직물원단(10)의 하단 방향으로 직물원단(10)의 전체 길이 대비 27 내지 32%까지에 해당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영역(S)에서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는 1:0.6 내지 0.8일 수 있다.
제2영역(S)에서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0.6을 초과하거나 1:0.8 미만이면 갑피부(11) 또는 여백부(12)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이 나머지 하나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보다 과하게 커져 직물원단(10)의 사행도가 휘거나 위곡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S)에서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0.8 미만이면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지지조직(200)의 양이 적어져 갑피부(11)의 입체조직(1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3영역(T)는 갑피부(11)의 후단영역(H)과 후단영역(H)을 감싸는 여백부(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영역(S)의 하단으로부터 직물원단(10)의 하단 방향으로 직물원단(10)의 전체 길이 대비 29 내지 38%까지에 해당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3영역(T)에서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는 1: 0.8 내지 1일 수 있다.
제3영역(T)에서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 0.8을 초과하거나 1:1 미만이면 갑피부(11) 또는 여백부(12)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이 나머지 하나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보다 과하게 커져 직물원단(10)의 사행도가 휘거나 위곡될 수 있다.
또한, 제3영역(F)에서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1 미만이면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지지조직(200)의 양이 적어져 갑피부(11)의 입체조직(1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제2위사(15)는 제1위사(14)보다 신축성이 커 열이 가해지면 제1위사(14)보다 상대적으로 더 수축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2위사(15)는 제1위사(14)보다 열수축률이 큰 것일 수 있다.
제1위사(14)는 제2위사(15)보다 신축성이 작은 합성섬유와 천연섬유 중 적어도 하나면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에스터, 아크릴, 아라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섬유와 면, 모직, 대나무섬유, 콩섬유 및 옥수수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위사(14)는 제2위사(15)보다 신축성이 작도록 상대적으로 큰 데니어를 갖는 섬유일 수 있다.
제2위사(15)는 제1위사(14)보다 신축성이 커 후가공단계(S200)에서 열처리시 제1위사(14)보다 더 수축되는 합성섬유와 천연섬유 중 적어도 하나면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섬유와 폴리에스터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위사(15)는 폴리우레탄 섬유를 폴리에스터 섬유로 커버링함에 따라 형성되는 커버링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직단계(S100)에서 제직된 직물원단(10)을 세척 및 열처리한다(S200).
후가공단계(S200)는 제직단계(S100)에서 제직된 직물원단(10)을 신발갑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가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후가공단계(S200)는 제직단계(S100)에서 제직된 직물원단(10)을 세척 및 열처리함으로써 직물원단(10)을 수축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후가공단계(S220)에서 직물원단(10)의 열처리는 종래기술에 따른 텐터(tenter) 장비를 이용할 수 있다.
후가공단계(S200)에서 직물원단(10)을 열처리하면 제2위사(15)가 제1위사(14)보다 상대적으로 더 수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위사(14)가 상부로 돌출되어 입체조직(100)이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후가공단계(S200)에서 직물원단(10)을 열처리하면 입체조직(100)이 3D 형태의 입체구조를 가지게 되어 직물원단(10)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후가공단계(S200)에서 직물원단(10)을 세척 및 열처리하는 순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직물원단(10)을 열처리한 다음 세척할 수 있다.
후가공단계(S200)는 선처리단계(S210), 세척단계(S220) 및 후처리단계(S230)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처리단계(S210)는 제직단계(S100)에서 얻어지는 직물원단(10)의 폭이 10 내지 20%만큼 수축되도록 직물원단(10)을 1차로 열처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선처리단계(S210)는 제직단계(S100)에서 얻어지는 직물원단(10)의 폭을 10 내지 20%만큼 수축시키면서 120 내지 140℃에서 열처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선처리단계(S210)에서 제직단계(S100)에서 얻어지는 직물원단(10)의 폭이 수축되는 정도가 10% 미만이면 직물원단(10)이 수축되는 정도가 작아 제1위사(14)가 상부로 충분히 돌출되지 못하여 입체조직(100)이 3D 형태의 입체구조를 가지지 못할 수 있고, 20%를 초과하면 직물원단(10)이 너무 과하게 수축됨에 따라 균일하게 수축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직물원단(10)이 위곡될 수 있다.
선처리단계(S210)에서 열처리 온도가 120℃ 미만이면 직물원단(10)이 충분히 수축하지 못할 수 있고, 열처리 온도가 140℃를 초과하면 직물원단(10)이 과하게 수축되어 균일하게 수축되지 못할 수 있다.
선처리단계(S210)에서 직물원단(10)의 열처리는 종래기술에 따른 텐터(Tenter) 장비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선처리단계(S210)는 제직단계(S100)에서 얻어지는 직물원단(10)의 폭이 11.7 내지 14.3%만큼 수축시키면서 직물원단(10)을 120 내지 140℃에서 열처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세척단계(S220)는 선처리단계(S210)에서 열처리된 직물원단(10)을 세척수로 세척하는 단계일 수 있다.
세척단계(S220)에서 직물원단(10)을 세척하면 직물원단(10)에 존재할 수 있는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
세척단계(S220)는 선처리단계(S210)에서 제직된 직물원단(10)을 40 내지 60℃의 세척수로 세척하는 단계일 수 있다.
세척단계(S220)에서 직물원단(10)의 세척에 이용되는 세척수는 종래기술에 따른 섬유의 정련 또는 세척에 사용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후처리단계(S230)는 세척단계(S220)에서 얻어지는 직물원단(10)의 폭을 신장시키면서 150 내지 190℃에서 열처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세척단계(S220)에서 직물원단(10)을 세척수로 세척하면 직물원단(10)의 폭이 3.3 내지 6.5%만큼 수축될 수 있고, 이때 직물원단(10)이 세척으로 인해 수축되면 직물원단(10)의 위곡이 다소 발생할 수 있다.
후처리단계(S230)는 세척단계(S220)에서 줄어든 직물원단(10)의 폭이 3.4 내지 6.9%만큼 신장되도록 세척단계(S220)에서 얻어지는 직물원단(10)을 신장시키면서 열처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후처리단계(S230)는 텐터(Tenter) 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원단(10)의 폭을 신장시키면서 열처리할 수 있다.
후처리단계(S230)에서 텐터 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원단(10)을 신장시키면서 열처리하면 세척단계(S200)에서 직물원단(10)이 발생할 수 있는 위곡이 제거될 수 있고, 직물원단(10)이 신장됨에 따라 위곡이 제거된 상태에서 열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후처리단계(S230)에서 열처리 온도가 150℃ 미만이면 온도가 낮아 직물원단(10)의 열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190℃를 초과하면 열처리 온도가 너무 높아 직물원단(10)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후처리단계(S230)에서 직물원단(10) 폭의 신장률이 3.4% 미만이면 직물원단(10)에 발생한 위곡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후처리단계(S230)에서 직물원단(10) 폭의 신장률이 6.9%를 초과하면 직물원단(10)이 과하게 신장된 상태에서 열고정되어 직물원단(10)의 신축성이 떨어질 수 있고, 입체조직(100)의 돌출된 상부층(110)이 침강되어 입체조직(100)의 입체감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실시예 1>
갑피부(11)와 여백부(12)를 포함하는 직물원단(10)을 제직하였다.
이때, 직물원단(10)의 갑피부(11)와 여백부(12)가 경사(13)와 제1위사(14)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상부층(11)과 제1위사(14)보다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큰 제2위사(15)와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하부층(120)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조직(100)과, 제2위사(15)와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제1층(210)과 제1층(2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1위사(14)와 경사(13)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제3층(230)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조직(200)을 포함하도록 직물원단(10)을 제직하였다.
또한, 입체조직(100)과 지지조직(200)이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각각 80%와 20%가 되도록 하고,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1이 되도록 직물원단(10)을 제직하였다.
경사(13)와 제1위사(14)로는 굵기가 60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 원사를 사용하였고, 제2위사(15)로는 굵기가 110 데니어인 폴리우레탄 원사를 굵기가 30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 원사로 커버링함에 따라 제조되어 제1위사(14)보다 열수축률이 큰 커버링사를 사용하였다.
한편, 직물원단(10)의 제직시 시험예 1에서 직물원단(10)이 열처리 후 위곡되지 않고 균일하게 수축하는지 시험하기 위해 수평선과 수직선이 교차되는 형상을 갖는 제1 내지 3크로스마크(A, B, C)를 여백부(12)에 형성하였다. 이때, 제1 내지 3크로스마크(A, B, C)는 직물원단(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여백부(12)에 형성하였다.
제직된 직물원단(10)을 텐터(Tenter) 장비를 이용해 직물원단(10)의 폭을 13.9%만큼 수축시키면서 130℃에서 1차로 열처리하였고, 1차로 열처리된 직물원단(10)을 40℃의 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이때, 1차로 열처리한 직물(10)을 세척한 후 직물원단(10)의 폭이 3.3%만큼 수축한 것을 확인하였다.
세척된 직물원단(10)을 텐터(Tenter) 장비를 이용해 직물원단(10)의 폭을 3.4%만큼 신장시키면서 150℃에서 열처리하여 직물원단(10)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원단(10)을 제조하였다. 단, 직물원단(10)의 제직시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지지조직(200)의 면적이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각각 80%와 20%가 되도록 한 것 대신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지지조직(200)의 면적이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60%와 40%가 되도록 하여 직물원단(10)을 제직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원단(10)을 제조하였다. 단, 직물원단(10)의 제직시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지지조직(200)의 면적이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각각 80%와 20%가 되도록 한 것 대신 입체조직(100)과 지지조직(200)이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85%와 15%가 되도록 하여 직물원단(10)을 제직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원단(10)을 제조하였다. 단,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1이 되도록 직물원단(10)을 제직하는 것 대신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0.8이 되도록 직물원단(10)을 제직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원단(10)을 제조하였다. 단,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1이 되도록 직물원단(10)을 제직하는 것 대신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1.2가 되도록 직물원단(10)을 제직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원단(10)을 제조하였다. 단, 직물원단(10)의 제직시 입체조직(100)이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50%가 되도록 하고, 지지조직(200)은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50%가 되도록 하여 직물원단(10)을 제직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원단(10)을 제조하였다. 단, 직물원단(10)의 제직시 입체조직(100)이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90%가 되도록 하고, 지지조직(200)은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10%가 되도록 하여 직물원단(10)을 제직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원단(10)을 제조하였다. 단,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1이 되도록 직물원단(10)을 제직하는 것 대신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0.6이 되도록 직물원단(10)을 제직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원단(10)을 제조하였다. 단,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1이 되도록 직물원단(10)을 제직하는 것 대신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과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의 면적비가 1:1.4가 되도록 직물원단(10)을 제직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원단(10)을 제조하였다. 단, 경사(13), 제1위사(14) 및 제2위사(15) 모두 굵기가 60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 원사를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시험예 1에서는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직물원단(10)이 열처리 후 위곡되지 않고 균일하게 수축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게이지필름(20)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1) 게이지필름의 제작
제직된 직물원단(10)을 세척하고 열처리하기 전에 직물원단(10)의 상면을 스캔하여 컴퓨터상에 이미지로 생성하였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너비가 제직된 직물원단(10)을 세척하고 열처리하고 난 후의 너비와 일치하도록 생성된 이미지파일의 크기를 수축시키되, 이미지의 종횡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이미지의 크기를 수축시켰다.
수축된 이미지의 갑피부(11)와 여백부(12)의 경계, 제1 내지 3크로스마크(A, B, C)를 투명한필름에 인쇄하여 게이지필름(20)을 제작하였다.
도 12는 시험예 1에서 사용되는 게이지필름(20)의 사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게이지필름(20)은 투명한필름상에 갑피부, 갑피부와 여백부의 경계(D) 및 제1 내지 3크로스마크(A, B, C)가 형성된 구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시험 방법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직물원단(10)에 이들 각각에 대응되는 게이지필름(20)을 밀착시켰다. 이때, 직물원단(10) 중부에 형성된 제2크로스마크(B)와 제2크로스마크(B)에 대응되는 게이지필름(20)에 형성된 제2크로스마크(B) 각각의 교차점, 수평선의 방향 및 수직선의 방향이 서로 일치되도록 밀착시켰다.
직물원단(10)과 게이지필름(2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직물원단(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크로스마크(A)의 중심과, 제1크로스마크(A)에 대응되는 게이지필름(20)의 제1크로스마크(A)의 중심 사이의 거리인 제1거리를 측정하였다.
직물원단(10)과 게이지필름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직물원단(10)의 상부에 형성된 제3크로스마크(C)의 중심과, 제3크로스마크(C)에 대응되는 게이지필름(20)의 제3크로스마크(C)의 중심 사이의 거리인 제2거리를 측정하였다.
또한, 직물원단(10)의 갑피부(11)와 여백부(12)의 경계와 게이지필름(20)에 표시된 갑피부와 여백부의 경계(D 사이의 거리인 제3거리를 측정하였다. 이때, 직물원단(10)의 갑피부(11)와 여백부(12)의 경계의 한 점으로부터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게이지필름(20)의 갑피부(11)와 여백부(12)의 경계(D)상의 한 점까지의 거리 중 가장 긴 것을 측정하였다.
제1거리와 제2거리 및 제3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4mm를 초과하면 직물원단(10)이 균일하게 수축되지 않고 위곡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3) 시험 결과
시험 결과를 아래 표 1에 정리하였다.
제1거리(mm) 제2거리(mm) 제3거리(mm) 위곡여부
실시예 1 1 0 1 X
실시예 2 1 0 2 X
실시예 3 1 2 1 X
실시예 4 1 2 1 X
실시예 5 2 1 2 X
비교예 1 1 1 1 X
비교예 2 4 4 5 O
비교예 3 3 5 4 O
비교예 4 5 2 4 O
비교예 5 0 0 1 X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직물원단(10)은 제1 내지 3거리가 모두 4mm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직물원단(10)의 열처리시 사행도가 휘거나 위곡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하게 수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비교예 1에 따른 직물원단(10)의 제1 내지 3거리가 모두 4mm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입체조직(100)의 면적이 떨어져 입체조직(100)으로 인해 직물원단(10)의 수축이 일어나는 정도가 크지 않은 것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5에 따른 직물원단(10) 역시 제1 내지 3거리가 모두 4mm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직물원단(10)의 제조시 경사(13), 제1위사(14) 및 제2위사(15)를 모두 같은 원사를 사용함으로써 직물원단(10) 전체에 걸쳐 수축률과 신축성의 차이가 없음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2에 따른 직물원단(10)은 제3거리가 4mm를 초과하여 사행도가 휘고 위곡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직물원단(10)의 전체면적 대비 입체조직(100)의 면적이 과해지면 입체조직(100)이 과하게 수축함에 따라 직물원단(10)의 사행도가 휘고 위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비교예 3에 따른 직물원단(10)은 제2거리가 4mm를 초과하여 사행도가 휘고 위곡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이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에 비해 과해짐에 따라 갑피부(11)와 여백부(12)보다 과도하게 수축하여 직물원단(10)의 사행도가 휘고 위곡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비교예 4에 따른 제1거리가 4mm를 초과하여 직물원단(10)은 위곡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여백부(12)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이 갑피부(11)에 포함되는 입체조직(100)에 비해 과해짐에 따라 여백부(12)과 갑피부(11)보다 과도하게 수축하여 직물원단(10)의 사행도가 휘고 위곡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직물원단, 11: 갑피부, 12: 여백부,
13: 경사, 14: 제1위사, 15: 제2위사,
20: 게이지필름,
100: 입체조직, 110: 상부층, 120: 하부층,
200: 지지조직,
210: 제1층, 220: 제2층, 230: 제3층,
S100: 제직단계, S200: 후가공단계,
S210: 선처리단계, S220: 세척단계, S230: 후처리단계.

Claims (8)

  1. 갑피부;와 상기 갑피부를 둘러싸는 여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갑피부와 상기 여백부는
    경사와 제1위사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상부층과 상기 제1위사보다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큰 제2위사와 상기 경사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하부층을 포함하는 입체조직; 및
    상기 제1위사와 상기 제2위사 및 상기 경사의 제직에 따라 형성되는 지지조직;을 포함하는 것
    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조직은 열처리되면 상기 하부층의 열수축에 의해 상기 상부층이 상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고,
    상기 지지조직은 상기 입체조직의 열처리시 상기 하부층의 제2위사가 17 내지 25% 이상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조직의 면적은 전체면적 대비 60 내지 85%이고, 상기 지지조직의 면적은 전체면적 대비 15 내지 40%인 것
    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부에 포함되는 상기 입체조직의 면적과 상기 여백부에 포함되는 상기 입체조직의 면적비는 1: 0.6 내지 1.2인 것
    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사는 폴리우레탄 원사와 폴리에스터 원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와 상기 제1위사보다 상대적으로 열수축률이 큰 것
    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와 상기 제1위사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아크릴, 탄성섬유, 아라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 원사와 면, 모직, 대나무섬유, 콩섬유 및 옥수수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연 원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연 원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7. 경사와 제1위사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상부층과 제1위사보다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큰 제2위사와 경사가 제직되어 형성되는 하부층을 포함하는 입체조직 및 제1위사와 제2위사 및 경사의 제직에 따라 형성되는 지지조직을 포함하는 갑피부와 상기 갑피부를 둘러싸는 여백부를 포함하는 직물원단을 제직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원단을 세척하고 열처리하여 직물원단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직물원단의 폭이 10 내지 20%만큼 수축되도록 제1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제1열처리하는 단계에 따라 열처리된 상기 직물원단을 40 내지 60℃의 세척수로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하는 단계에 따라 세척된 상기 직물원단의 폭을 신장시키면서 150 내지 190℃에서 제2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의 제조방법.
KR1020210115507A 2021-08-31 2021-08-31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507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507A KR102507907B1 (ko) 2021-08-31 2021-08-31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507A KR102507907B1 (ko) 2021-08-31 2021-08-31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544A true KR20230032544A (ko) 2023-03-07
KR102507907B1 KR102507907B1 (ko) 2023-03-08

Family

ID=8550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507A KR102507907B1 (ko) 2021-08-31 2021-08-31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9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45B1 (ko) 2013-07-10 2014-02-25 송수복 일체형 상하 분리 조직을 가진 신발 갑피
KR101382872B1 (ko) * 2013-05-16 2014-04-08 송수복 망사형 갑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96983A (ko) * 2014-02-17 2015-08-26 유진섬유 주식회사 차광기능을 갖는 주름이중직물
KR101582550B1 (ko) 2015-08-27 2016-01-07 (주)기영텍스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통기성 신발용 갑피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8045B1 (ko) * 2016-03-14 2018-02-09 정근용 엠보형태의 입체 구조를 가지는 직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872B1 (ko) * 2013-05-16 2014-04-08 송수복 망사형 갑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67445B1 (ko) 2013-07-10 2014-02-25 송수복 일체형 상하 분리 조직을 가진 신발 갑피
KR20150096983A (ko) * 2014-02-17 2015-08-26 유진섬유 주식회사 차광기능을 갖는 주름이중직물
KR101582550B1 (ko) 2015-08-27 2016-01-07 (주)기영텍스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통기성 신발용 갑피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8045B1 (ko) * 2016-03-14 2018-02-09 정근용 엠보형태의 입체 구조를 가지는 직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907B1 (ko)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9978C (zh) 袜子
US20240133087A1 (en) Knitted component with a fused surface region located on a tubular knit structure
CN111542656B (zh) 针织的膨松区
JP2022008487A (ja) インレイ伸張要素を有するニット構成要素を組み込んだ履物製品および組立方法
EP0710076B1 (en) Cushioning sock and method of knitting same
JP7022587B2 (ja)
EP2236051A1 (en) Sho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11601920B (zh) 使用高韧性纱线增强的鞋类物品
CN210394716U (zh) 针织部件
US11725311B2 (en) Protected float
US10238151B2 (en) Toe s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471839A (zh)
CN101680139A (zh) 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和筒状针织物
JP2018532461A (ja) 収縮靴または靴下デバイス
TWI692320B (zh) 鞋類物品及其針織部件
KR102507907B1 (ko) 입체 구조를 갖는 신발갑피용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109219362B (zh) 鞋面
JP2006028648A (ja) 衣料
CN109312506B (zh) 工程织物
CN113174686B (zh) 一种立体多维视觉纬编面料及鞋面
CN109922681A (zh) 编织的鞋类鞋面
CN212895223U (zh) 一种动感透气针织面料
KR20160130576A (ko) 발가락 양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671360B1 (ko) 뜨개질 신발 니팅용 인솔
CN113279122B (zh) 一种减小尺寸延伸的纬编针织面料及鞋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