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465A -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465A
KR20230032465A KR1020210115342A KR20210115342A KR20230032465A KR 20230032465 A KR20230032465 A KR 20230032465A KR 1020210115342 A KR1020210115342 A KR 1020210115342A KR 20210115342 A KR20210115342 A KR 20210115342A KR 20230032465 A KR20230032465 A KR 20230032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veyor
transfer
containers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248B1 (ko
Inventor
김치곤
전형도
윤경배
Original Assignee
김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치곤 filed Critical 김치곤
Priority to KR1020210115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2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added articles being lifted to substantially stationary gripper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및 직사각형 트레이 용기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외부로의 이송을 위해 상,하로 수평 적층되는 용기의 적층작업을 가이드하도록 함과 아울러,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를 하방향에서 상측으로 밀어 올리고 상,하로 수평적재되도록 적층되는 용기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일정 개수 이상이 될 때 전방으로 밀어내어 외부 인출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용기 배출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CONTAINER DISPENSER}
본 발명은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형 및 직사각형 트레이 용기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외부로의 이송을 위해 상,하로 수평 적층되는 용기의 적층작업을 가이드하도록 함과 아울러,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를 하방향에서 상측으로 밀어 올리고 상,하로 수평적재되도록 적층되는 용기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일정 개수 이상이 될 때 전방으로 밀어내어 외부 인출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용기 배출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각종 식품가공기술의 발달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가공식품들이 개발되었다.
가공식품이라 함은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의 천연식품재료를 그대로 또는 첨가물을 가하여 먹기 쉽고, 소화 흡수가 잘되며 오래 저장할 수 있도록 처리한 식품을 말한다. 가공식품으로는 스낵, 비스켓, 쵸코렛 등을 비롯한 과자류, 라면이나 스파게티 등을 비롯한 면류뿐만 아니라, 빵류, 커피류, 즉석식 식품류, 델리식품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가 현재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상기한 가공식품을 포장할 수 있는 낱개 포장용기를 제조한 후에, 가공식품을 포장하기 전에 별도의 운송박스에 적재한 후에 가공식품 회사측으로 이송하고 있다.
상기 낱개 포장용기가 운송박스 내에 적재되는 방식은 낱개 포장용기가 적재되는 방향에 따라 낱개 포장용기를 수평으로 눕혀서 운송박스에 적재하는 수평적재방식과, 낱개 포장용기를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수직으로 세워 운송박스에 적재하는 수직적재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존 용기 배출과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과 관련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26881호 "궤도에 식품 포장용기 배출장치"(등록일자 : 2020.09.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식품 포장용기 또는 뚜껑이 일정한 높이로 적층된 후 수평형태로 정렬되어 공급되는 과정에서 적층된 식품 포장용기가 일렬씩 엘리베이터형으로 적층된 상태가 되도록 공급하면 용기 배출장치에서 가장 하측의 식품 포장용기를 한줄씩 배출시켜 궤도의 공급홈에 정확히 배출하는 작업을 연속해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 용기의 배출 및 적재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6118호 "원통형 용기 자동 투입 및 적재 시스템"(등록일자 : 2019.08.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정을 마친 원통형 용기들을 동일 직경의 용기별로 정량 적재되는 적재박스 단위로 자동 적재하여 이동식 대차에 적재박스를 적층 수납하고, 이렇게 적재박스 단위로 적재된 원통형 용기들을 여타 다른 작업 공정에 투입하기 위한 원통형 용기 투입기에 박스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기존 용기의 배출 및 적재과정에서 직사각형 용기의 경우에는 상,하로 적층시켜 적재하는 중에 수평으로 정 위치에 겹쳐지지 못하고 제대로 겹쳐지게 될 경우에는 용기의 수평적재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연속적인 적재작업이 불가능하게 되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교정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26881호 "궤도에 식품 포장용기 배출장치"(등록일자 : 2020.09.1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6118호 "원통형 용기 자동 투입 및 적재 시스템"(등록일자 : 2019.08.23)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원형 및 직사각형 트레이 용기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외부로의 이송을 위해 상,하로 수평 적층되는 용기의 적층작업을 가이드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를 하방향에서 상측으로 밀어 올리고 상,하로 수평적재되도록 적층되는 용기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일정 개수 이상이 될 때 전방으로 밀어내어 외부 인출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용기 배출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트레이 형태의 용기를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용기가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를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측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제2이송컨베이어측으로 용기를 이송시키는 견인수단과, 상기 견인수단으로부터 이송된 용기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의 단부에 근접되게 배치되고 좌,우 양측에 각각 회전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가 마련되며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용기의 플랜지부위를 제1,2컨베이어 벨트의 상측에 안착시켜 이송테이블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된 용기의 하측에서 용기를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리프팅수단, 및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해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측으로 올라온 용기를 상기 이송테이블과 근접된 인출판측으로 용기를 밀어 내는 푸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판에 지지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로드부재를 신축동작시키는 견인실린더와, 상기 로드부재의 신축동작에 따라 좌,우 양측으로 연동되도록 이동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측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승강로드를 승강동작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지지블록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로드의 하강동작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용기와 간섭되는 높이까지 하강동작되고 상기 로드부재의 수축동작시 상기 용기를 제2이송컨베이어측으로 당겨서 이송시키는 견인판을 구비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용기를 상기 본체 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된 이송테이블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좌,우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가이드바에 각각 궤도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용기의 플랜지 부위가 안착되는 제1,2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가이드바의 상측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바, 및 상기 복수의 연결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2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의 상측을 가이드하여 용기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바를 구비한다.
상기 리프팅수단은 상기 이송테이블의 내부로 진입된 용기를 하측에서 상측의 인출공을 통해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리프터와, 상기 인출공의 내측 테두리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복수의 용기들을 이송테이블의 내부에서 적층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턱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리프팅수단은 상기 이송테이블의 내부로 진입되고 수평으로 상,하 적층되는 용기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카운팅센서를 더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성형기에서 성형이 완료된 복수의 용기들을 제1이송컨베이어와 제2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용기들을 연속적으로 이송테이블 내부에서 상,하로 적층시킨 후에, 적층된 복수의 용기를 리프팅수단으로 밀어 올려서 이송테이블에서 인출판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성형기를 통해 배출되는 복수의 용기들을 상,하로 적층시키고 연속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카운팅센서를 이용하여 상,하로 적층되는 용기의 개수를 확인한 후에 일정 개수로 판단될 경우 리프팅수단의 리프터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정해진 개수를 일정하게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좌,우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용기의 플랜지부위를 지지한 상태로 이송테이블의 내부로 진입시키고 지지턱에 클램핑된 용기들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상부가 개구된 용기의 적층작업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의 본체 프레임과 견인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견인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이송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리프팅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푸쉬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이송테이블과 푸쉬수단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성형기(10)의 본체 프레임(15)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트레이 형태의 용기(50)를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100)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0)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50)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미도시)측으로 출력하는 감지센서(210)와, 상기 감지센서(210)에서 용기(50)가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50)를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0)측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제2이송컨베이어(400)측으로 용기(50)를 이송시키는 견인수단(300)과, 상기 견인수단(300)으로부터 이송된 용기(50)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컨베이어(400)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0)의 단부에 근접되게 배치되고 좌,우 양측에 각각 회전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가 마련되며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0)로부터 이송되는 용기(50)의 플랜지부위를 제1,2컨베이어 벨트(510,520)의 상측에 안착시켜 이송테이블(600)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500)과, 상기 이송수단(500)을 통해 이송된 용기(50)의 하측에서 용기(50)를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리프팅수단(650), 및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수단(650)에 의해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으로 올라온 용기(50)를 상기 이송테이블(600)과 근접된 인출판(800)측으로 용기(50)를 밀어 내는 푸쉬수단(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 프레임(15)은 상부가 개구된 용기(50)가 성형기(10)를 통해 성형이 완료된 후에 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1이송컨베이어(10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컨베이어의 단부에 용기(50)가 종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2이송컨베이어(400)가 마련된다.
상기 감지센서(210)는 본체 프레임(15)에 고정되어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0)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50)를 감지하고, 용기(50)가 감지될 경우 이 정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견인수단(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0)의 단부측으로 이송된 용기(50)를 제2이송컨베이어(400)측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한 구성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15)에 결합되는 고정판(310)에 지지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로드부재(335)를 신축동작시키는 견인실린더(330)와, 상기 로드부재(335)의 신축동작에 따라 좌,우 양측으로 연동되도록 이동되는 지지블록(320)과, 상기 지지블록(320)의 상측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승강로드를 승강동작시키는 승강실린더(325), 및 상기 지지블록(32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로드의 하강동작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0)를 타고 이송되는 용기(50)와 간섭되는 높이까지 하강동작되고 상기 로드부재(335)의 수축동작시 상기 용기(50)를 제2이송컨베이어(400)측으로 당겨서 이송시키는 견인판(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블록(320)은 상기 고정판(3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지지되고 상기 로드부재(335)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는 이송가이드(315)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견인판(340)은 상기 지지블록(320)의 하측에 상,하 승강가능하게 승강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블록(320)의 상측에 마련된 승강실린더(325)에 의해 상,하 승강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견인판(340)은 상기 지지블록(320)에 축 결합된 승강가이드에 의해 상,하 움직임이 가이드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견인수단(300)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0)를 타고 이송되는 용기(50)를 우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0)측으로 끌어 당겨 제2이송컨베이어(400)를 통해 종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용기(50)의 이송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견인판(340)을 다시 상승시키고, 상기 지지블록(320)을 다시 좌측으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후에는 상기한 제1이송컨베이어(100)를 타고 이송되는 용기(50)의 감지과정을 통해 반복적인 용기(50)의 인출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0)를 타고 이송되는 용기(50)를 상기 본체 프레임(15)과 이격되게 배치된 이송테이블(600)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좌,우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가이드바(505)에 각각 궤도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용기(50)의 플랜지 부위가 안착되는 제1,2컨베이어 벨트(510,520)와, 상기 가이드바(505)의 상측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바(530), 및 상기 복수의 연결바(5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2컨베이어 벨트(510,520)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50)의 상측을 가이드하여 용기(50)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바(5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2컨베이어 벨트(510,520)는 상기 용기(50)를 종방향에 위치한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통공(605)을 통해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내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용기(50)의 플랜지가 안착되어 이송되도록 궤도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연결바(530)는 좌,우 양측의 가이드바(505) 상측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이탈방지바(540)는 상기 연결바(530)의 중간 위치에 직교하는 종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2컨베이어 벨트(510,520)에 의한 용기(50)의 종방향 이송시 상기 용기(50)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리프팅수단(6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내부로 진입된 용기(50)를 하측에서 상측의 인출공(610)을 통해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리프터(652)와, 상기 인출공(610)의 내측 테두리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복수의 용기(50)들을 이송테이블(600)의 내부에서 적층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턱(615)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지지턱(615)은 상기 인출공을 통해 상승되는 상기 용기(50)의 플랜지 부분을 지지하여 인출공(610)의 내부에 용기(50)를 상,하로 적층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이송테이블(60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공(610)과 근접된 상측에 상기 용기(50)의 상방향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찬넬(620)이 더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찬넬(620)은 인출공(610)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이송테이블(600)의 상방향으로 기립되어 인출공(610)을 통해 상방향으로 이송되는 용기의 적층상태 및 용기의 상방향 이송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리프팅수단(650)은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내부로 진입되고 수평으로 상,하 적층되는 용기(50)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카운팅센서(655)를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카운팅센서(655)는 상기 지지턱(615)측에 수평상태로 상,하로 적층되는 용기(50)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이 될 경우, 상기 리프터(652)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에 형성된 인출공(610)을 통해 밀어 올리도록 용기(50)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푸쉬수단(7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수단(650)과 연계동작되며 신장동작시 상기 인출공(610)을 통해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으로 올라온 용기(50)들을 인출판(800)의 상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연동로드를 갖는 연동실린더(710)를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15)의 길이방향으로 성형이 완료되고 상부가 개구된 용기(50)가 제1이송컨베이어(100)를 통해 제2이송컨베이어(400)측으로 이송된 후에, 상기 견인수단(300)을 이용하여 제1이송컨베이어(100) 상에 위치한 용기(50)를 제2이송컨베이어(400)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견인수단(300)은 상기 감지센서(210)에서 제1이송컨베이어(100)를 타고 횡방향으로 이송되는 용기(50)를 감지한 후에 상기 제어부측으로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승강실린더(325)가 승강로드 및 견인판(340)을 하강동작시킨 후에, 상기 견인실린더(330)의 로드부재(335)를 수축동작시켜 상기 지지블록(320)을 우측의 제2이송컨베이어(400)측으로 이송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견인판(340)을 이용하여 제1이송컨베이어(100) 상의 용기(50)들을 제2이송컨베이어(400)의 상측으로 견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상기 견인수단(300)은 상기한 용기(50)의 견인 작업 후에 다시 견인판(34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블록(320)을 좌측의 원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연속적인 용기(50)의 반복 견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0)측으로 이송된 용기(50)는 제2이송컨베이어(400)의 궤도 회전시 종방향의 이송수단(500)측으로 이송되고, 상기 이송수단(500)의 좌,우측에 각각 궤도 회전되도록 마련된 제1,2컨베이어 벨트(510,520) 상에 용기(50)의 플랜지부분이 안착되면서 이송테이블(600)의 내부로 진입된다.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내부로 진입된 용기(50)는 플랜지 부위가 좌,우 양측에 배치된 지지턱(615)에 의해 수평상태로 지지되고, 상부가 개구된 용기(50)들이 수평상태로 상,하로 적층된다.
상기 리프팅수단(650)은 상기 지지턱(615)에 의해 클램핑되고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용기(50)들을 리프터(652)를 이용하여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리프터(652)는 상기 지지턱(615)에 클램핑되는 용기(5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밀어 올려 인출공(610)을 통해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인출공(610)을 통해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으로 상승된 용기(50)는 상기 푸쉬수단(700)에 의해 이송테이블(600)로부터 인출판(800)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푸쉬수단(700)은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에서 상기 인출공(610)을 통해 상승동작되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용기(50)들을 인출판(800)의 상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상기 인출판(800)의 상측으로 이동된 용기(50)들을 들어서 별도의 포장 박스 내에 담아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성형기(10)에서 성형이 완료된 복수의 용기(50)들을 제1이송컨베이어(100)와 제2이송컨베이어(400)를 통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용기(50)들을 연속적으로 이송테이블(600) 내부에서 상,하로 적층시킨 후에, 적층된 복수의 용기(50)를 리프팅수단(650)으로 밀어 올려서 이송테이블(600)에서 인출판(800)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성형기(10)를 통해 배출되는 복수의 용기(50)들을 상,하로 적층시키고 연속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카운팅센서(655)를 이용하여 상,하로 적층되는 용기(50)의 개수를 확인한 후에 일정 개수로 판단될 경우 리프팅수단(650)의 리프터(652)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정해진 개수를 일정하게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좌,우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컨베이어 벨트(510,520)를 이용하여 용기(50)의 플랜지부위를 지지한 상태로 이송테이블(600)의 내부로 진입시키고 지지턱(615)에 클램핑된 용기(50)들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상부가 개구된 용기(50)의 적층작업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성형기 15 : 본체 프레임
50 : 용기 100 : 제1이송컨베이어
210 : 감지센서 300 : 견인수단
310 : 고정판 315 : 이송가이드
320 : 지지블록 325 : 승강실린더
330 : 견인실린더 335 : 로드부재
340 : 견인판 400 : 제2이송컨베이어
500 : 이송수단 505 : 가이드바
510,520 : 제1,2컨베이어 벨트
530 : 연결바 540 : 이탈방지바
600 : 이송테이블 605 : 통공
610 : 인출공 615 : 지지턱
620 : 가이드찬넬 650 : 리프팅수단
652 : 리프터 655 : 카운팅센서
700 : 푸쉬수단 710 : 인출실린더
800 : 인출판

Claims (5)

  1. 본체 프레임(15)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트레이 형태의 용기(50)를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100)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0)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50)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감지센서(210)와,
    상기 감지센서(210)에서 용기(50)가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50)를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0)측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제2이송컨베이어(400)측으로 용기(50)를 이송시키는 견인수단(300)과,
    상기 견인수단(300)으로부터 이송된 용기(50)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컨베이어(400)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0)의 단부에 근접되게 배치되고 좌,우 양측에 각각 회전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가 마련되며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0)로부터 이송되는 용기(50)의 플랜지부위를 제1,2컨베이어 벨트의 상측에 안착시켜 이송테이블(600)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500)과,
    상기 이송수단(500)을 통해 이송된 용기(50)의 하측에서 용기(50)를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리프팅수단(650), 및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수단(650)에 의해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으로 올라온 용기(50)를 상기 이송테이블(600)과 근접된 인출판(800)측으로 용기(50)를 밀어 내는 푸쉬수단(7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300)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15)에 결합되는 고정판(310)에 지지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로드부재(335)를 신축동작시키는 견인실린더(330)와,
    상기 로드부재(335)의 신축동작에 따라 좌,우 양측으로 연동되도록 이동되는 지지블록(320)과,
    상기 지지블록(320)의 상측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승강로드를 승강동작시키는 승강실린더(325), 및
    상기 지지블록(32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로드의 하강동작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0)를 타고 이송되는 용기(50)와 간섭되는 높이까지 하강동작되고 상기 로드부재(335)의 수축동작시 상기 용기(50)를 제2이송컨베이어(400)측으로 당겨서 이송시키는 견인판(3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500)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0)를 타고 이송되는 용기(50)를 상기 본체 프레임(15)과 이격되게 배치된 이송테이블(600)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좌,우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가이드바(505)에 각각 궤도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용기(50)의 플랜지 부위가 안착되는 제1,2컨베이어 벨트(510,520)와,
    상기 가이드바(505)의 상측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바(530), 및
    상기 복수의 연결바(5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2컨베이어 벨트(510,520)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50)의 상측을 가이드하여 용기(50)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바(5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수단(650)은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내부로 진입된 용기(50)를 하측에서 상측의 인출공(610)을 통해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리프터(652)와,
    상기 인출공(610)의 내측 테두리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복수의 용기(50)들을 이송테이블(600)의 내부에서 적층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턱(61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수단(650)은 상기 이송테이블(600)의 내부로 진입되고 수평으로 상,하 적층되는 용기(50)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카운팅센서(65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
KR1020210115342A 2021-08-31 2021-08-31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 KR102561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342A KR102561248B1 (ko) 2021-08-31 2021-08-31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342A KR102561248B1 (ko) 2021-08-31 2021-08-31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465A true KR20230032465A (ko) 2023-03-07
KR102561248B1 KR102561248B1 (ko) 2023-07-31

Family

ID=8551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342A KR102561248B1 (ko) 2021-08-31 2021-08-31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2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0406A (ja) * 1983-08-15 1985-03-02 Bridgestone Corp 可撓性膜堰
JP4456983B2 (ja) * 2004-11-05 2010-04-28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容器取出し受渡し装置
KR101134473B1 (ko) * 2009-08-25 2012-04-13 (주)클레슨 상자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KR102016118B1 (ko) 2017-12-26 2019-08-29 (주)연우 원통형 용기 자동 투입 및 적재 시스템
KR20200129809A (ko) * 2019-05-10 2020-11-18 이익재 용기제품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0406A (ja) * 1983-08-15 1985-03-02 Bridgestone Corp 可撓性膜堰
JP4456983B2 (ja) * 2004-11-05 2010-04-28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容器取出し受渡し装置
KR101134473B1 (ko) * 2009-08-25 2012-04-13 (주)클레슨 상자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KR102016118B1 (ko) 2017-12-26 2019-08-29 (주)연우 원통형 용기 자동 투입 및 적재 시스템
KR20200129809A (ko) * 2019-05-10 2020-11-18 이익재 용기제품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248B1 (ko) 202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52047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loading containers onto pallets and dollies
US5944479A (en) Stacking apparatus
US6430800B1 (en) Automatic pallet fabr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EP0295872B1 (en) System for loading patterns of articles into containers
US10839047B2 (en) Automatic picking machine for filling a transport container
US8066469B2 (en) Tray stacking apparatus
JPH057253B2 (ko)
JP2002104658A (ja) 容器供給装置
JP5822480B2 (ja) 箱詰め装置
JP4642614B2 (ja) 物品充填段積み搬送装置
KR102561248B1 (ko) 내열 용기의 배출 적재장치
US6739108B2 (en) Fragile container handling system for retort/sterilization processes
US20110308206A1 (en) Packaging system for filling a collecting container with articles
US10766645B2 (en) Food conveyor and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KR101668840B1 (ko) 자동포장장치
US7464804B2 (en) Automatic pallet loader system and method
KR101481055B1 (ko) 사료포대 이송 자동화 시스템
JP2002249225A (ja) ワークの段積み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段積み方法
JP2011084328A (ja) 包装袋集積装置
US2012021649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stackable articles
US10981343B2 (en) Transfer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tire components from a container to a servicer
JP2002104650A (ja) 容器供給装置
JP6881446B2 (ja) 搬送システム、及び薬剤調剤システム
JP7118552B2 (ja) 箱詰め装置
US2024019933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mmiss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