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440A -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 Google Patents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440A
KR20230032440A KR1020210115283A KR20210115283A KR20230032440A KR 20230032440 A KR20230032440 A KR 20230032440A KR 1020210115283 A KR1020210115283 A KR 1020210115283A KR 20210115283 A KR20210115283 A KR 20210115283A KR 20230032440 A KR20230032440 A KR 20230032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golf
diameter
stopper
fasten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940B1 (ko
Inventor
김태옥
김도현
김은진
Original Assignee
(주)솔림
김도현
김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림, 김도현, 김은진 filed Critical (주)솔림
Priority to KR102021011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940B1/ko
Priority to PCT/KR2022/012775 priority patent/WO2023033462A1/ko
Publication of KR2023003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440A/ko
Priority to KR1020240010017A priority patent/KR20240013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3Golf tees foldable or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5Golf tees height-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부티와 하부티로 이루어진 골프티에 있어서, 상부티는 하부티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되, 원통형의 탄성봉으로 상부티와 하부티를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티샷을 할 때 골프채에 의하여 상부티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부티가 하부티로부터 분리된 후 탄성봉에 매달려 일정 거리만큼만 앞쪽으로 튀어 나가도록 하며, 앞쪽으로 휘어지던 탄성봉이 탄성에 의하여 뒤쪽으로 복원되면서 탄성봉이 수직으로 세워질 때 중력에 의하여 상부티가 하부티 쪽으로 내려오다가, 자석링의 자력에 의하여 상부티와 하부티가 자동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골프티 위에 골프공을 놓고 티샷을 할 때 골프채가 골프티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골프티가 뽑혀나가거나 부러지는 일이 없고, 다시 원래의 자리로 원복하여 자동결합되도록 한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Golf tee having function for preventing loss}
본 발명은,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부티와 하부티로 이루어진 골프티에 있어서, 상부티는 하부티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되, 원통형의 탄성봉으로 상부티와 하부티를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티샷을 할 때 골프채에 의하여 상부티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부티가 하부티로부터 분리된 후 탄성봉에 매달려 일정 거리만큼만 앞쪽으로 튀어 나가도록 하며, 앞쪽으로 휘어지던 탄성봉이 탄성에 의하여 뒤쪽으로 복원되면서 탄성봉이 수직으로 세워질 때 중력에 의하여 상부티가 하부티 쪽으로 내려오다가, 자석링의 자력에 의하여 상부티와 하부티가 자동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골프티 위에 골프공을 놓고 티샷을 할 때 골프채가 골프티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골프티가 뽑혀나가거나 부러지는 일이 없고, 다시 원래의 자리로 원복하여 자동결합되도록 한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골프티는 골프 경기를 할 때 티박스 내에서 티샷을 할 때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띄어 놓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이다. 통상의 골프티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고, 그 상단에는 골프공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골프공의 곡면과 유사한 오목면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땅속에 꽂을 수 있도록 송곳처럼 뾰족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골프티의 하부를 지면으로부터 땅속에 밀어 넣어 꽂되, 골프공을 안착시킬 오목면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만큼 이격되도록 한 후, 상단의 오목면 위에 골프공을 올려놓고 골프채로 골프공에 타격을 가하는 것이다. 이때 이격되는 높이는 잔디의 상태나 골퍼의 신체조건 또는 그날의 컨디션 등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절하게 된다.
골프티 위에 안착시킨 골프공에 대하여 골프채로 타격을 가하는 경우, 거리가 멀 때는 드라이버나 우드가 사용되고, 거리가 가까울 경우 아이언이 사용되는데, 어떤 골프채로 골프공에 타격을 가하든, 골프채의 타격 면은 어느 정도의 경사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골프채의 타격면이 골프공의 아래쪽을 타격하기 때문에 골프공의 타격 시에는 골프채의 타격면에 의하여 골프티의 상부에도 타격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많게 된다. 따라서 티샷을 하게 되면 대부분, 골프채의 타격 충격에 의하여 골프티가 뽑혀나가면서 앞쪽으로 튀어 나가게 되는데, 멀리까지 튀어 나가는 경우가 많이 있고, 이런 경우에는 어디로 튀어 나갔는지를 몰라서 찾기가 어려워 골프티를 분실할 가능성이 높다. 이뿐만 아니라 골프티가 땅속에 단단하게 박혀있거나 깊이 박혀있는 경우에는, 골프채에 의하여 타격충격이 가해질 때 골프티가 부러지는 경우도 많이 있어 왔다. 따라서 골퍼들은 골프경기에 임하기 전에 분실이나 파손에 대비하여 다수의 골프티를 준비해야 하는데, 경기중 골프티의 분실 및 파손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도 손실이지만, 골프티를 찾는 동안 경기가 지연되는 등 문제점이 많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골프티를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로 분리시키고,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티샷으로 인하여 골프티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부본체만 분리되어 튀어나가도록 하되, 튀어나간 상부본체가 연결부재에 매달려서 바로 근처에 떨어지도록 하는 분할식 골프티를 창안하여 출원한 바 있으며(특허출원 제10-2006-0071419), 골프티를 분리시키되, 연결부재와 함께 자석을 이용하여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결합시키도록 하는 기술도 개발하는 등(특허출원 제10-2006-0031462호) 다양한 종류의 분할식 골프티를 발명하여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상부본체가 하부본체로부터 분리되어 튀어 나간 후, 원래 있었던 자리로 다시 복귀하지 않기 때문에, 골프티를 사용한 후 다시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결합부위가 불안정하여 골프티의 하부를 땅에 꽂을 때 결합부위에서 꺾임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골프티를 정확하게 수직으로 꽂기에 불편함이 있어왔는데, 골프티의 하부본체를 꽂는 과정에서 상부본체가 삐뚤어지거나 하면 잘 안 꽂히거나 꽂은 다음에 상부본체를 하부본체 위에 다시 잘 결합해야 하므로 결합에 따른 불편함과 함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뿐만 아니라 골프채에 의하여 상부본체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부본체가 잘 안 빠져나가서 상부본체가 파손되거나, 심지어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가 결합되는 부위가 파손되는 경우도 있어왔다. 또한, 상부본체가 빠져나오더라도, 상부본체에 가해지는 강한 충격이 상부본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승하는 힘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그 힘에 의하여 연결부재에 의하여 매달린 하부본체까지 빠져나와서 멀리 튀어 나가는 경우도 있어 왔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티샷 시 상부티와 하부티가 분리되도록 한 후, 상부티가 일정 거리만큼 튀어 나갔다가 복귀하면서 자동결합하도록 함으로써 골프티가 분실되거나 부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채에 의하여 상부티에 충격이 가해져서 상부티가 튀어 나갈 때, 상부티가 위쪽으로 튀어 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부티가 하부티를 위쪽으로 잡아당기지 않는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튀어 나가는 상부티의 힘에 의하여 하부티가 뽑히지 않도록 하는,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티가 상부티와 하부티로 분리되어 있더라도, 골프티를 지면에 꽂을 때 결합부위에 꺾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땅에 꽂을 수 있는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채에 의하여 타격이 가해질 때, 상부티가 하부티로부터 분리된 후, 상부티가 다시 복귀되어 중력 및 자력(磁力)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내려와서 하부티와 자동으로 결합되는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티가 상부티와 하부티로 분리되어 있더라도, 상부티와 하부티를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자성을 가진 금속의 자력에 의하여 단단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티와 하부티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인 탄성봉을 하부티에 고정시킬 때 오링 등과 같이 별도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한 방법으로 단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골프 경기 중 티샷을 할 수 있도록, 아래쪽을 지면에 삽입한 후 위쪽에 골프공을 올려놓는 골프티로서,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티; 위쪽에 골프공을 안착시킬 수 있고, 아래쪽은 상기 하부티의 위쪽과 결합되되, 상기 하부티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부티; 상기 상부티가 상기 하부티로부터 분리될 때 일정 거리만큼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티와 상기 하부티를 연결시키는 원통형의 탄성봉; 및 상기 탄성봉의 아래쪽이 상기 하부티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봉의 아래쪽을 중심구멍에 끼운 채로 상기 하부티의 상단과 고정 결합되는 체결캡;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티의 상단에는, - 상기 체결캡의 중심구멍에 상기 탄성봉의 아래쪽이 끼워진 채로, 상기 체결캡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티에는, - 상기 하부티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하단에 형성되고, - 상기 탄성봉이 삽입되어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단까지, 상기 상부티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 상기 안착홈과 상기 관통홈이 만나는 부분에, 중심부에 상기 탄성봉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환형의 자석 링이 고정되며, 상기 탄성봉은, - 수직으로 세워진 채로 측면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휘어졌다가 탄성에 의하여 복원되어 다시 수직이 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하며, - 상단부에는, 상단부가 상기 자석링의 구멍에 걸려서 빠져나올 수 없도록, 상기 자석링의 구멍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관통홈의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상단스토퍼가 형성되고, - 하단부에는, 상기 탄성봉이 상기 체결캡의 중심구멍을 관통하여 끼워진 후에는, 하단부가 상기 체결캡의 중심구멍을 도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단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캡은, - 상기 자석링의 자력에 의하여 붙을 수 있는 금속체로 함으로써, 상기 상부티가 상기 하부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부티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하단스토퍼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이며, 상기 체결캡의 중심구멍은, - 상기 하단스토퍼가 끼워져서 통과할 수 있도록, 상단은 상기 하단스토퍼의 위쪽 직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가지며, 하단은 상기 하단스토퍼의 위쪽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하단스토퍼의 아래쪽 직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가지는 제1중심구멍 및 - 상기 제1중심구멍의 아래에 연결되며, 상기 하단스토퍼가 상기 제1중심구멍을 통과한 후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단스토퍼의 위쪽 직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가지는 제2중심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탄성봉에는, 상기 하단스토퍼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하단스토퍼의 하단 직경과 같거나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모양의 인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출부는, - 상기 탄성봉과 동일한 재질을 갖도록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그 하단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송곳 모양으로서, - 상기 골프티의 조립 시, 상기 하단스토퍼보다 먼저 상기 체결캡의 중심구멍을 관통시킨 후, 상기 하단스토퍼가 상기 체결캡의 중심구멍을 관통할 수 있도록 잡아당길 수 있고, 상기 하단스토퍼가 상기 체결캡의 중심구멍을 관통한 후에는 잘라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상부티의 안착홈 중 위쪽 일정 길이는 원통형의 내주면을 가지며, 그 아래쪽은 하단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삿갓 모양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하부티 중 상기 체결홈의 외주면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삿갓 모양이며, 상기 체결캡의 외주면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위쪽 일정 길이를 원통형의 외주면으로 하되 상단 모서리는 상단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곡면을 가지며, 그 아래쪽은 하단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삿갓 모양의 외주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일정 길이는 1.5 내지 3.5mm이며, 상기 삿갓 모양의 경사각은 수평면으로부터 60 내지 7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는 상부티와 하부티로 나뉘어져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티샷으로 인하여 상부티가 하부티로부터 분리될 때 일정 거리만큼만 분리될 수 있도록 상부티와 하부티를 연결시키는 원통형의 탄성봉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골프티 위에 골프공을 올려놓고 티샷을 하는 경우, 하부티는 지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부티는 하부티로부터 일정 거리만큼만 분리되었다가 다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골프티가 멀리 튀어나가 분실되거나, 골프티가 부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골프티에 포함된 탄성봉은, 측면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휘어지는 탄성소재로 하였기 때문에, 상부티가 골프채의 타격에 의하여 하부티로부터 분리될 때 위쪽 방향을 향하여 튀어 나가지 않고 지표면쪽으로 휘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티에 연결된 하부티에 대하여 위쪽으로 향하는 힘이 작용되지 않고 앞쪽으로 향하는 힘이 작용된다. 따라서 티샷으로 인한 타격으로 상부티가 분리될 때 위쪽으로 튀어나가지 않으므로 하부티가 뽑히거나, 뽑힌 후 상부티에 딸려서 날라감으로써 분실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골프티에 포함된 탄성봉은, 수직으로 세워진 채로 측면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휘어졌다가 탄성에 의하여 복원되어 다시 수직이 될 수 있는 탄성소재로 하였기 때문에, 상부티가 골프채의 타격에 의하여 하부티로부터 분리될 때는 앞쪽의 지표면을 향하여 휘어졌다가, 탄성봉의 탄성에 의하여 다시 뒤쪽으로 복귀하는 등 왕복으로 진동하게 되고, 진동이 멈추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므로, 탄성봉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상부티가 중력에 의하여 하부티 쪽으로 내려와서 자동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골프티에 포함된 상부티에는 자석(磁石)링이 고정되어 있고, 탄성봉은 자석링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하되, 탄성봉의 상단에는 자석링에 걸려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상부스토퍼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부티에서 탄성봉의 아래쪽을 잡고 있는 체결캡은 금속재질로 함으로써, 골프채의 타격에 의하여 앞쪽으로 휘어졌던 상부티가 탄성봉의 탄성에 의하여 복귀하면서 진동하다가, 탄성봉이 수직으로 세워지면, 상부티와 자석링의 무게와 중력에 의하여 상부티가 하부티 쪽으로 내려오다가, 어느 정도 가까이 오면 자석링과 체결캡이 자력에 의하여 강하게 달라붙게 된다. 따라서 상부티와 하부티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석링과 체결캡이 자력에 의하여 상부티와 하부티를 강하게 결합시키게 되므로, 골프채의 타격에 의하여 상부티가 분리될 때 외에는 상부티와 하부티가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골프티는, 상부티의 안착홈 중 위쪽 일정 길이는 원통형의 내주면을 가지며, 그 아래쪽은 하단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삿갓 모양의 내주면을 가진다. 그리고, 하부티 중 체결홈의 외주면은, 안착홈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삿갓 모양을 가진다. 또한, 하부티의 상단에 고정되는 체결캡의 외주면 상부는, 안착홈의 원통형 부분에 끼워져서 밀착될 수 있도록, 위쪽에는 원통형의 외주면을 가지며, 그 아래쪽은 안착홈의 삿갓모양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단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삿갓 모양의 외주면을 가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부티가 하부티에 결합되었을 때, 그 결합부위의 상부는 원통형이 되어 끼워지고, 하부는 삿갓 모양이 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측면에서 가해지는 힘이 일정 크기(골프채에 의한 타격 크기)가 되기 전에는 상부티가 잘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골프티의 결합부위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상부티에 대하여 위에서부터 힘을 가하여 아래쪽으로 밀면 상부티와 하부티의 결합부위가 단단하게 밀착되므로, 상부티와 하부티를 결합한 채로 골프티를 땅에 꽂을 때, 상부티와 하부티가 결합되는 부위가 꺾이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하부가 분리된 골프티 임에도 꺾이지 않고,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땅에 꽂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캡의 상단모서리는 상단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곡면을 가지는 특징도 가지기 때문에 상부티와 하부티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다가도, 골프채의 타격에 의하여 상부티에 충격이 가해지면 체결캡의 상단모서리 곡면으로 인하여 상부티가 하부티로부터 유연하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발명에 포함된 탄성봉의 상단부에는, 상단부가 자석링의 구멍에 걸려서 빠져나올 수 없지만 관통홈 내에서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자석링의 구멍 직경보다는 크고, 관통홈의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상단스토퍼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부티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상부티가 분리될 때, 일정 거리를 날아가다가 상단스토퍼가 자석링의 구멍에 걸려서 더 이상 날아가지 못하므로, 하부티에 고정된 탄성봉이 상부티를 단단하게 붙잡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발명에 포함된 탄성봉의 하단부에는, 하단스토퍼가 형성되고, 하단스토퍼가 체결캡의 중심구멍을 관통하여 탄성봉이 체결캡에 끼워진 후에는, 하단스토퍼로 인하여 탄성봉의 하단부가 체결캡과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체결캡은 하부티에 고정결합되므로 체결캡이 탄성봉을 단단하게 붙잡아서 탄성봉이 하부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발명에 포함된 하단스토퍼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이며, 체결캡의 중심구멍 중 제1중심구멍은, 하단스토퍼가 끼워져서 아래쪽을 향하여만 통과하고 위쪽으로 다시 나올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제1중심구멍의 상단은 하단스토퍼의 위쪽 직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가지며, 제1중심구멍의 하단은 하단스토퍼의 위쪽 직경보다 작은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하단스토퍼가 제1중심구멍을 관통하여 아래쪽에 있는 제2중심구멍까지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는 반면, 하단스토퍼가 일단 제1중심구멍의 아래쪽에 있는 제2중심구멍까지 빠져나온 후에는, 도로 위쪽을 향하여 빠져나가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탄성봉이 체결캡 및 체결캡이 고정 결합된 하부티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발명에 의한 골프티에 포함된 하단스토퍼의 아래쪽에는, 하단스토퍼의 하단 직경과 같거나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모양의 인출부가 연결되며, 인출부는 탄성봉과 동일한 재질을 갖도록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그 하단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송곳 모양을 가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골프티의 제작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조립 시, 체결캡의 중심구멍에 먼저 인출부를 관통시킨 후, 인출부를 잡아당김으로서 체결캡의 중심구멍으로 하단스토퍼를 쉽게 관통시킬 수 있으며, 하단스토퍼가 체결캡의 중심구멍을 관통한 후에는, 하단스토퍼로부터 인출부를 잘라내는 방법으로 하단스토퍼를 체결캡 내에 단단하게 안착되어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링 등과 같은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탄성봉을 체결캡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골프티 제작을 위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작에 따른 인건비 및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티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된 상부티 및 체결캡의 내부를 투시한 투시도로서, 도 3a는 체결캡을 하부티에 결합하기 전이며, 도 3b는 결합한 이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된 상부티의 내부 투시도를 확대한 것으로서, 도 4a는 하부티와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하부티와 결합된 이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된 체결캡의 내부 측면도(도 5a) 및 체결캡과 그에 결합되는 부품들의 주요부를 발췌한 사시도(도 5b)를 확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티의 각 구성요소들을 결합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티 위에 골프공을 안착시키고 골프채로 타격했을 때 골프티가 움직이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위쪽 또는 아래쪽이라 함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티를 땅에 꽂아서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의 위 아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골프 경기 중 티샷을 할 수 있도록, 아래쪽을 지면에 삽입한 후 위쪽에 골프공을 올려놓는 골프티로서,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티(200)와 더불어 상기 하부티(200) 위에 결합되는 상부티(10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티(100)의 위쪽에는 공 안착부(101)를 가지며, 상기 공 안착부(101) 위에는 골프공(50)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티(100)의 아래쪽은 상기 하부티(200)의 위쪽과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티(100)는 상기 하부티(2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티(100)가 상기 하부티(200)로부터 분리될 때 일정 거리만큼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티(100)와 상기 하부티(200)를 연결시키는 원통형의 탄성봉(30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봉(300)의 아래쪽이 상기 하부티(200)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봉(300)의 아래쪽을 끼운 채로 상기 하부티(200)의 상단과 고정 결합되는 체결캡(400)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는 상기 상부티(100)가 상기 하부티(2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면(G.L)에 꽂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b)는 상기 상부티(100)가 상기 하부티(20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분리되었을 때 상기 탄성봉(300)이 노출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탄성봉(300)은 도 1(b) 및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이 상기 체결캡(400)에 끼워진 채로 상기 하부티(200)의 상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봉(300)은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티(100)와 상기 하부티(2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봉(300)에 연결된 상기 상부티(100)에 힘을 가하면 상기 탄성봉(300)이 옆으로 구부러 들게 되며,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수직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이같이 상기 탄성봉(300)은 수직으로 세워진 채로 측면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휘어졌다가 탄성에 의하여 복원되어 다시 수직이 될 수 있는 힘을 가진 탄성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소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봉(300)의 하단은 상기 하부티(100)의 상단에 상기 체결캡(400)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탄성봉(300)은 상기 상부티를 관통하여 그 상단이 공 안착부(101)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a 참조).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티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상기 상부티(100) 및 상기 체결캡(400)의 내부를 투시한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a는 상기 체결캡(400)을 상기 하부티(200)에 결합하기 전이며, 도 3b는 결합한 이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티(200)의 상단에는, 상기 체결캡(400)에 상기 탄성봉(300)의 아래쪽이 끼워진 채로, 상기 체결캡(400)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체결홈(21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캡(400)과 상기 체결홈(210)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캡(400)의 하부(450) 외주면과 상기 체결홈(21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체결캡(400)과 상기 체결홈(210)의 결합방식은 나사결합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착제 등을 이용하거나, 상기 체결캡(400)의 하부(450) 외주면에 돌기를 형성한 후 상기 하부티(200)의 상단을 융착 또는 압착하는 방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티(100)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티(200)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는 안착홈(12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티(100)의 중심을 따라서 상기 탄성봉(300)이 삽입되어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120)으로부터 상기 상부티(100)의 상단까지, 상기 상부티(100)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홈(11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120)과 상기 관통홈(110)이 만나는 부분에는, 중심부에 상기 탄성봉(300)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510)이 형성된, 환형의 자석으로 이루어 진 자석링(50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석링(500)은 상기 상부티(100)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부티(100)나 상기 하부티(200)는 우레탄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하는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상부티(100)를 제작할 때, 상기 자석링(500)을 삽입하여 사출성형 할 수 있도록,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탄성봉(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채로 측면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그 힘에 의하여 휘어졌다가,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하여 복원되어 다시 수직이 될 수 있도록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봉(300)의 본체(310)는 상기 관통홈(110) 및 상기 자석링(500)의 구멍을 자유롭게 드나들도록 하되, 상기 탄성봉(300)의 상단부에는, 상단부가 상기 자석링(500)의 구멍(510)에 걸려서 빠져나올 수 없도록, 상기 자석링(500) 구멍(510)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관통홈(110)의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상단스토퍼(32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봉(300)의 하단부에는, 상기 탄성봉(300)이 상기 체결캡(400)의 중심구멍(410)을 관통하여 끼워진 후에, 하단부가 상기 체결캡(400)의 중심구멍(410)을 도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단스토퍼(33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봉(300)에는 인출부(340)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상기 인출부(340)는 상기 하단스토퍼(330)의 하단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340)는 상기 하단스토퍼(330)의 하단 직경과 같거나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부(340)는, 상기 탄성봉(300)과 동일한 재질을 갖도록, 우레탄 재질의 소재를 사출성형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부(340)의 하단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송곳 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봉(300)은 이같이 상기 하단스토퍼(330)의 하단에 상기 인출부(340)를 가지기 때문에, 골프티의 제작을 위한 조립과정에서, 먼저 상기 인출부(340)를 상기 체결캡(400)의 중심구멍(410)으로 관통시킨 후, 상기 인출부(340)를 아래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하단스토퍼(330)를 상기 체결캡(400)의 중심구멍(410)으로 손쉽고 편리하게 관통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단스토퍼(330)가 상기 체결캡(400)의 중심구멍(410)을 관통한 후에는 상기 하단스토퍼(330)와 상기 인출부(340)가 연결된 연결부위(341)를 잘라내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a, 도 5a 및 도 6d 참조).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에 포함된 상기 상부티(100)의 내부 투시도를 확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4a는 하부티와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하부티와 결합된 이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에는 상기 체결캡(400)에 대한 내부 측면도(도 5a) 및 체결캡(400)과 그에 결합되는 부품들의 주요부를 발췌한 사시도(도 5b)를 확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티(100)의 안착홈(120) 중 위쪽 일정 길이는 원통형의 내주면(121)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아래쪽은 하단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삿갓 모양의 내주면(122)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티(200) 중 상기 체결홈(210)의 외주면(220)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12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122)과 같은 크기의, 삿갓 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캡(400)의 외주면은, 도 4(b)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12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위쪽 일정 길이를 원통형의 외주면(430)으로 하되 상단 모서리(431)는 상단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곡면을 가지며, 그 아래쪽은 하단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삿갓 모양의 외주면(440)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바로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체결캡(400) 및 상기 체결캡(400)이 결합된 상기 하부티(200)의 상단’과 상기 안착홈(120)의 결합구조로 인하여, 상기 상부티(100)가 상기 하부티(200)에 결합되었을 때, 그 결합부위의 상부는 원통형이 되어 안정적으로 끼워지고, 하부는 삿갓 모양이 되어 아래쪽으로 밀면 단단하게 밀착되게 되므로, 즉,측면에서 볼 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부와 사선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티(100)와 상기 하부티(200)를 결합한 채로 골프티를 땅에 꽂을 때, 상기 상부티(100)와 상기 하부티(200)가 결합되는 부위가 꺾이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되며, 상하부가 분리된 골프티임에도 용이하게 땅에 꽂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또한, 평상시에는 단단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상부티(100)에 타격이 가해지면 상기 상부티(100)가 상기 하부티(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기도 하다.
상기 상부티(100)와 상기 하부티(200)의 결합구조가 더욱 안정적이면서도 타격이 가해질 때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그 크기 및 각도를 일정 범위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일정 길이(h) 즉, 상기 안착홈(120) 중 원통부분(120)의 높이는 1.5 내지 3.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착홈(120) 중 상기 삿갓 모양(122)의 경사각은 수평면으로부터 60 내지 75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장바람직한 각도는 70도 내지 72도이다. 상기 안착홈(120) 중 원통형의 내주면(121)의 높이가 1.5mm보다 작으면, 상기 상부티(100)가 상기 하부티(200)로부터 너무 쉽게 이탈되어 결합의 안정성이 낮아지며, 상기 안착홈(120) 중 원통형의 내주면(121)의 높이가 3.5mm보다 크면, 상기 상부티(100)가 상기 하부티(200)로부터 잘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상부티(100)에 타격이 가해질 때 파손의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120) 중 상기 삿갓 모양(122)의 경사각이 수평면으로부터 60도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상부티(100)가 상기 하부티(200)로부터 너무 쉽게 이탈되어 결합의 안정성이 낮아지며, 상기 안착홈(120) 중 상기 삿갓 모양(122)의 경사각이 수평면으로부터 75도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상부티(100)가 상기 하부티(200)로부터 잘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상부티(100)에 타격이 가해질 때 파손의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수치범위는 본 출원인이 본 발명을 창안하는 과정에서 반복되는 제작경험, 시행착오 검토, 실사용 테스트, 사용자 의견 수렴 등을 통하여 도출해 낸 범위이다.
그리고, 상기 하단스토퍼(330)는 도 2, 도 3(a) 및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갈수록 테이퍼링되면서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상단의 일정 부분은 원통형으로 하고 원통형의 아래쪽으로 원뿔대를 가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하단스토퍼(330)가 상기 체결캡(400)의 중심구멍(410)을 잘 통과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끼워진 후에는 상기 체결캡(400)의 중심구멍(410)을 도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캡(400)의 중심구멍(410)은,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다른 직경 및 모양을 가지는 제1중심구멍(411) 및 제2중심구멍(412)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중심구멍(411)은 상기 하단스토퍼(330)가 위에서부터 끼워져서 아래쪽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쪽 일정 구간은 깔대기 모양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중심구멍(411)의 상단(깔대기 모양의 입부) 직경(d1)은 상기 하단스토퍼(330)의 위쪽 직경(d4)과 같거나 상기 d4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중심구멍(411)의 하단 직경(d2)은 상기 하단스토퍼(330)의 위쪽 직경(d4)보다 작게 하되, 상기 하단스토퍼(330)의 아래쪽 직경(d5)과 같거나 상기 d5 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중심구멍(412)은 상기 제1중심구멍(411)의 아래에 연결되며, 상기 하단스토퍼(330)가 상기 제1중심구멍(411)을 통과한 후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중심구멍(412)의 직경(d3)은 상기 하단스토퍼(330)의 위쪽 직경(d4)과 같거나 상기 d4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티의 각 구성요소들을 결합하는 바람직한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골프티의 각 구성요소들을 결합할 때는 지그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고정하거나 잡아주고, 또한 이동시키고 당겨 줌으로서 조립되는 것을 전제로 하나, 설명의 편의상 지그 등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도 6(a) 및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인출부(340)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탄성봉(300) 중에서 상기 인출부(340) 쪽을 상기 상부티(100)의 관통홈(110)을 통과시킨 후, 상기 인출부(340)를 상기 체결캡(400)의 중심구멍(410)에 통과시킨다. 그리고 상기 체결캡(400)을 지그에 고정시켜놓고 상기 인출부(340)를 잡아서 당기면 도 6(c)처럼 상기 하부스토퍼(330)가 상기 체결캡(400)의 중심구멍(410)을 쉽게 통과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하부스토퍼(330)와 상기 인출부(340)가 연결된 연결부위(341)를 절단하게 되면 도 6(d)와 같은 모양이 된다. 그 후에 도 6(e)에서처럼 상기 체결캡(400)을 상기 하부티(200)의 상단에 체결시키면 도 6(f)와 같은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티(100)를 상기 하부티(200) 쪽으로 접근시키면 금속재질로 된 상기 체결캡(400)과 상기 상부티(100)내에 고정된 상기 자석링(500)이 자력에 의하여 붙게 되므로, 도 6(g) 처럼 상기 상부티(100)는 상기 하부티(200)와 결합하게 된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위에 골프공을 안착시키고 골프채로 타격했을 때 골프티가 움직이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티를, 상기 상부티(100)와 상기 하부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G.L)에 대하여 수직으로 꽂아 놓은 후, 상기 상부티(100) 상단에 있는 상기 공 안착부(101) 위에 골프공(50)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도 7(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골프공(50)에 골프채(미도시)를 휘두르면, 상기 골프채의 타격면에 의하여 상기 골프공(50) 및 상기 상부티(100)를 타격하는 힘(f0)이 가해지게 되며, 이 힘 f0에 의하여,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골프공(50)은 멀리 날아가 버리는 동시에, 상기 상부티(100) 또한 위쪽으로 밀려가는 힘(f1)에 의하여 밀려가게 되는데, 상기 상부티(100)는 상기 탄성봉(300)의 상단스토퍼(320)가 상기 자석링(500)에 걸릴 때 까지 밀려가게 된다. 상기 탄성봉(300)은 탄성을 가지는 반면 하단부는 상기 체결캡(400)에 의하여 상기 하부티(2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해지는 힘 f1에 의하여 앞쪽으로 휘어지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상부티(100)에 대하여는, 상기 체결캡(400)에 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지표면(G.L)을 향하여 회전하는 힘 f2가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상부티(100)는 지표면(G.L)을 향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티(100)가 지면(GL)에 닿거나 지표면(G.L) 가까이 까지 간 뒤에는,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봉(300)의 탄성에 의하여 뒤쪽을 향하여 되돌아오며 회전하는 힘 f3가 작용하면서, 상기 상부티(100)는 뒤쪽을 향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7(d) 및 도 7(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봉(300)에 매달린 상기 상부티(100)는 앞뒤방향으로 왕복하는 힘(f4, f5)에 의하여 진동하다가, 진동이 수렴되어 멈춰지면 도 7(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봉(300) 및 상기 상부티(100)는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티(100)의 무게 및 상기 상부티(100) 내부에 위치한 상기 자석링(500)의 무게에 따른 중력(f6)에 의하여 상기 상부티(100)는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되며, 상기 상부티(100)가 상기 하부티(200)의 상단 가까이에 오게 되면, 도 7(g)에서처럼 상기 중력 f6에 더하여 상기 자석링(500)과 상기 체결캡(400) 사이의 자력 f7가 더해져서 속도가 가속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티(100)와 상기 하부티(200)는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도 7(h)와 같이 된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 골프공
100 상부티
101 공 안착부 110 관통홀
120 안착홈 121 원통형의 내주면
122 삿갓모양의 내주면
200 하부티
210 체결홈 220 외주면
300 탄성봉
310 본체 320 상단스토퍼
330 하단스토퍼 340 인출부
341 연결부위
400 체결캡
410 중심구멍 411 제1중심구멍
412 제2중심구멍 430 원통형의 외주면
431 상단모서리 440 삿갓모양의 외주면
450 체결캡의 하부
500 자석링
510 구멍

Claims (5)

  1. 골프 경기 중 티샷을 할 수 있도록, 아래쪽을 지면에 삽입한 후 위쪽에 골프공을 올려놓는 골프티로서,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티;
    위쪽에 골프공을 안착시킬 수 있고, 아래쪽은 상기 하부티의 위쪽과 결합되되, 상기 하부티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부티;
    상기 상부티가 상기 하부티로부터 분리될 때 일정 거리만큼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티와 상기 하부티를 연결시키는 원통형의 탄성봉; 및
    상기 탄성봉의 아래쪽이 상기 하부티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봉의 아래쪽을 중심구멍에 끼운 채로 상기 하부티의 상단과 고정 결합되는 체결캡;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티의 상단에는,
    - 상기 체결캡의 중심구멍에 상기 탄성봉의 아래쪽이 끼워진 채로, 상기 체결캡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티에는,
    - 상기 하부티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하단에 형성되고,
    - 상기 탄성봉이 삽입되어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단까지, 상기 상부티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 상기 안착홈과 상기 관통홈이 만나는 부분에, 중심부에 상기 탄성봉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환형의 자석 링이 고정되며,
    상기 탄성봉은,
    - 수직으로 세워진 채로 측면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휘어졌다가 탄성에 의하여 복원되어 다시 수직이 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하며,
    - 상단부에는, 상단부가 상기 자석링의 구멍에 걸려서 빠져나올 수 없도록, 상기 자석링의 구멍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관통홈의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상단스토퍼가 형성되고,
    - 하단부에는, 상기 탄성봉이 상기 체결캡의 중심구멍을 관통하여 끼워진 후에는, 하단부가 상기 체결캡의 중심구멍을 도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단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캡은,
    - 상기 자석링의 자력에 의하여 붙을 수 있는 금속체로 함으로써, 상기 상부티가 상기 하부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부티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스토퍼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이며,
    상기 체결캡의 중심구멍은,
    - 상기 하단스토퍼가 끼워져서 통과할 수 있도록, 상단은 상기 하단스토퍼의 위쪽 직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가지며, 하단은 상기 하단스토퍼의 위쪽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하단스토퍼의 아래쪽 직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가지는 제1중심구멍 및
    - 상기 제1중심구멍의 아래에 연결되며, 상기 하단스토퍼가 상기 제1중심구멍을 통과한 후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단스토퍼의 위쪽 직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가지는 제2중심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봉에는, 상기 하단스토퍼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하단스토퍼의 하단 직경과 같거나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모양의 인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출부는,
    - 상기 탄성봉과 동일한 재질을 갖도록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그 하단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송곳 모양으로서,
    - 상기 골프티의 조립 시, 상기 하단스토퍼보다 먼저 상기 체결캡의 중심구멍을 관통시킨 후, 상기 하단스토퍼가 상기 체결캡의 중심구멍을 관통할 수 있도록 잡아당길 수 있고, 상기 하단스토퍼가 상기 체결캡의 중심구멍을 관통한 후에는 잘라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티의 안착홈 중 위쪽 일정 길이는 원통형의 내주면을 가지며, 그 아래쪽은 하단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삿갓 모양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하부티 중 상기 체결홈의 외주면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삿갓 모양이며,
    상기 체결캡의 외주면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위쪽 일정 길이를 원통형의 외주면으로 하되 상단 모서리는 상단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곡면을 가지며, 그 아래쪽은 하단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삿갓 모양의 외주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길이는 1.5 내지 3.5mm이며,
    상기 삿갓 모양의 경사각은 수평면으로부터 60 내지 7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KR1020210115283A 2021-08-31 2021-08-31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KR102630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283A KR102630940B1 (ko) 2021-08-31 2021-08-31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PCT/KR2022/012775 WO2023033462A1 (ko) 2021-08-31 2022-08-26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KR1020240010017A KR20240013271A (ko) 2021-08-31 2024-01-23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283A KR102630940B1 (ko) 2021-08-31 2021-08-31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0017A Division KR20240013271A (ko) 2021-08-31 2024-01-23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440A true KR20230032440A (ko) 2023-03-07
KR102630940B1 KR102630940B1 (ko) 2024-01-30

Family

ID=854128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283A KR102630940B1 (ko) 2021-08-31 2021-08-31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KR1020240010017A KR20240013271A (ko) 2021-08-31 2024-01-23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0017A KR20240013271A (ko) 2021-08-31 2024-01-23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630940B1 (ko)
WO (1) WO202303346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717Y1 (ko) * 2004-01-26 2004-05-12 장세창 골프티의 구조
KR20060104846A (ko) * 2005-03-31 2006-10-09 김태옥 파손 및 분실방지 골프티
KR100682482B1 (ko) * 2006-10-16 2007-02-16 유재원 기능성 골프티
KR100735114B1 (ko) * 2006-07-28 2007-07-06 김태옥 파손 및 분실방지용 골프 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017Y1 (ko) * 2002-12-18 2004-01-16 (주)가존 자석 골프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717Y1 (ko) * 2004-01-26 2004-05-12 장세창 골프티의 구조
KR20060104846A (ko) * 2005-03-31 2006-10-09 김태옥 파손 및 분실방지 골프티
KR100735114B1 (ko) * 2006-07-28 2007-07-06 김태옥 파손 및 분실방지용 골프 티
KR100682482B1 (ko) * 2006-10-16 2007-02-16 유재원 기능성 골프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3462A1 (ko) 2023-03-09
KR102630940B1 (ko) 2024-01-30
KR20240013271A (ko)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5529B2 (en) Adjustable golf tee assembly
KR101372132B1 (ko) 골프 티 및 그 제조방법
US4524974A (en) Golf tee
JPS6043139B2 (ja) ゴルフテイ
US20060217217A1 (en) Golf tee recycler
US8403776B1 (en) Unbreakable golf tee with flexible shaft
US20070202966A1 (en) High endurance flexible golf ball tee apparatus
US6942583B2 (en) Golf tee
KR100735114B1 (ko) 파손 및 분실방지용 골프 티
JP6804688B1 (ja) ゴルフティー
KR20230032440A (ko) 티샷 시 분리된 후 자동결합되는 분실방지용 골프티
US20140057740A1 (en) Golf tee
KR200339017Y1 (ko) 자석 골프티
WO2012081728A1 (ja) ゴルフティー
JPH0626293Y2 (ja) ゴルフ用テイ−
KR101848715B1 (ko) 충격흡수 및 원상복원 가능한 골프티
KR200429943Y1 (ko) 골프티
JP2012120743A (ja) ゴルフティー
KR200199080Y1 (ko) 분실 방지형 골프티
JP6483783B1 (ja) ゴルフティー
KR102441679B1 (ko)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
US20170312604A1 (en) Golf hole enlargement device
KR102606393B1 (ko) 골프티
KR200463928Y1 (ko) 골프티용 방향 지시구
JP3213455U (ja) ゴルフ用テ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