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381A -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381A
KR20230032381A KR1020210115164A KR20210115164A KR20230032381A KR 20230032381 A KR20230032381 A KR 20230032381A KR 1020210115164 A KR1020210115164 A KR 1020210115164A KR 20210115164 A KR20210115164 A KR 20210115164A KR 20230032381 A KR20230032381 A KR 20230032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companion
terminal
information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길
허미숙
Original Assignee
신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길 filed Critical 신성길
Priority to KR1020210115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2381A/ko
Publication of KR20230032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06K19/041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42Constructional details the record carrier having a form factor of a credit card and including a small sized disc, e.g. a CD or DVD
    • G06K19/045Constructional details the record carrier having a form factor of a credit card and including a small sized disc, e.g. a CD or DVD the record carrier being of the non-contact type, e.g. RFID, and being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a disc, e.g. a CD or DV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견에 착용되어 상기 반려견의 인식을 위한 태그에 있어서, 반려견의 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리더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RFID 태그; 상기 반려견의 운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운동량검출부; 상기 운동량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운동량을 데이터로서 획득하는 운동데이터제공부; 상기 운동데이터제공부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를 무선통신에 의해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무선통신부; 및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도록 한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견에 착용하도록 태그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반려견의 등록 및 식별을 가능하도록 하면서, 반려견의 운동량 측정을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태그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매개로 반려견의 위치 정보 및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태그의 전력 소모와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러한 반려견의 이동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견과의 추억 및 여행 정보 기록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반려견의 미아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반려견의 안전을 보장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Smart tag for dog and do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견에 착용하도록 태그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반려견의 등록 및 식별을 가능하도록 하면서, 반려견의 운동량 측정을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태그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매개로 반려견의 위치 정보 및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정보로서 제공하도록 하는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려견은 인간과의 친밀한 교제라든가 정서적인 공유를 목적으로 오래 전부터 인간과 생활을 공유하고 있다. 특히 인간적인 교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던 전통사회가 해체되고, 현대 사회에서의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증가함에 따라, 인간과의 친밀한 교제라든가 정서적 공유나 교류와 같은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하는 반려견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회구조 및 가족관계의 해체 내지 변화와 고령화 시대의 도래로 인하여, 1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인간과의 유대감이 뛰어난 반려견을 키우는 인구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반려견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반려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반려견 등록제를 2013년 1월부터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반려견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해 견주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려견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10729호의 "125khz 동물용 주파수대를 이용한 RFID 애견 정보 이력화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125khz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유리관 형태의 RFID 칩을 애견의 피부층에 이식하여, 정보수집기로부터 칩의 고유번호를 읽어들이며, 이렇게 읽혀진 ID를 정보이력관리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퓨터에 USB의 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전달하며, 이 ID에 해당하는 정보를 이력화하여 인터넷을 통한 중앙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 조회하는 서비스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반려견에 대한 단순 정보 이력 관리만으로 인하여, 견주에 의한 애완견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려견에 착용하도록 태그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반려견의 등록 및 식별을 가능하도록 하면서, 반려견의 운동량 측정을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태그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매개로 반려견의 위치 정보 및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정보로서 제공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태그의 전력 소모와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이러한 반려견의 이동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견과의 추억 및 여행 정보 기록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반려견의 미아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반려견의 안전을 보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반려견에 착용되어 상기 반려견의 인식을 위한 태그에 있어서, 반려견의 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제공하는 식별정보제공부; 상기 반려견의 운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운동량검출부; 상기 운동량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운동량을 데이터로서 획득하는 운동데이터제공부; 상기 운동데이터제공부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를 무선통신에 의해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무선통신부; 및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가 제공된다.
상기 식별정보제공부는, 상기 반려견의 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리더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RFID 태그이거나, 블루투스통신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블루투스통신부이고, 상기 운동데이터제공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반려견의 운동량 및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운동량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을 이용하여 반려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통신부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운동데이터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전달받은 단말기가 무선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반려견에 대한 운동 상태 및 건강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상태정보제공부; 상기 무선통신부와 접속된 상태의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반려견의 이동 정보로서 산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이동정보제공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반려견 및 견주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반려견 각각에 대한 운동 상태 및 건강 상태와, 상기 반려견 각각에 대한 이동 정보를 저장하여 필요시 제공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이동정보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반려견의 이동 정보로부터 상기 반려견의 평상시 활동 영역을 벗어나서 이동하는 경로 상에 미리 정해진 관광지나 유적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반려견이 상기 관광지나 상기 유적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단말기를 통해서 사진이나 메시지의 업로드를 안내하고, 업로드된 사진이나 메시지를 상기 반려견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여 상기 단말기의 요청시 제공하도록 하는 일지작성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로부터 반려견에 대한 미아 감지 요청을 수신받으면, 상기 단말기와 상기 무선통신부와의 접속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무선통신부와의 통신 단절시,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알림기준시간 경과시까지 상기 단말기와 상기 무선통신부와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아 발생을 상기 단말기에 알리도록 하는 미아검출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T는 알림기준시간이고, t는 설정시간(10초~60분)이며, Ap는 통신 단절 직전의 반려견 위치 영역의 30일간 중첩 개수이고, At는 반려견 위치 영역의 30일간 최대 중첩 개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에 의하면, 반려견에 착용하도록 태그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반려견의 등록 및 식별을 가능하도록 하면서, 반려견의 운동량 측정을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태그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매개로 반려견의 위치 정보 및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태그의 전력 소모와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러한 반려견의 이동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견과의 추억 및 여행 정보 기록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반려견의 미아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반려견의 안전을 보장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의 일지 작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의 미아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10)는 반려견에 착용되어 반려견의 인식을 위한 태그로서, 식별정보제공부(11), 운동량검출부(12), 운동데이터제공부(15), 무선통신부(16) 및 전원공급부(17)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들이 본체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는 일례로 반려견이 착용할 수 있도록 목걸이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예로서 반려견의 의류나 착용물에 대해 부착 내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식별정보제공부(11)는 반려견의 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반려견의 인식에 필요한 정보로는 반려견의 이름, 생년월일, 견종, 견주 인적 사항 및 연락 사항 등을 들 수 있다.
식별정보제공부(11)는 일례로, 반려견의 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리더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RFID 태그이거나, 블루투스통신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블루투스통신부일 수 있다. 식별정보제공부(11)는 RFID 태그일 경우 전원공급부(1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체적인 프로세싱이 가능하도록 하는 능동형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리더기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수동형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식별정보제공부(11)는 블루투스통신부일 경우, 단말기(1)와의 블루투스통신을 위한 페어링 수행과 함께, 페어링된 단말기(1)에 미리 저장된 반려견의 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블루투스통신에 의해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식별정보제공부(11)는 블루투스통신부일 경우, 후술하게 될 무선통신부(16)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사용할 경우, 이러한 무선통신부(16)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운동량검출부(12)는 반려견의 운동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본체 내에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본 실시례에서처럼 반려견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량의 측정을 가능하도록 하는 가속도 정보를 발생시키는 가속도센서(13)와, 반려견의 회전에 따른 회전각을 측정하도록 하는 자이로센서(14)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운동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3축에 대한 각속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3축 각속도센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운동데이터제공부(15)는 운동량검출부(12)로부터 검출되는 운동량을 데이터로서 획득하여 무선통신부(16)를 통해 단말기(1)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6)는 운동데이터제공부(15)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를 무선통신에 의해 단말기(1)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데, 제한된 거리 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방식에 대해서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6)가 블루투스 통신과 같이 제한된 거리 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통신 두절인 경우 통신 허용 거리를 벗어나서, 반려견이 미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운동데이터제공부(15)는 단말기(1)가 반려견의 운동량 및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운동량에 대한 데이터를 무선통신부(16)를 통해서 단말기(1)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는 운동데이터제공부(15)에 의해 실내 또는 실외에서 반려견의 이동 거리, 이동 시간 및 이동 속도 등을 체크하여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운동량 및 칼로리 소모량 등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거리 등은 운동량검출부(12)를 통해서 획득되는 정보로부터 반려견의 움직임에 따른 정보와의 매칭을 통해 반려견의 동작을 유추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산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운동량 및 칼로리 소모량의 산출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정보 처리 및 통신 기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기능의 구현을 위해 이를 가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설치 및 구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7)는 운동량검출부(12), 운동데이터제공부(15) 및 무선통신부(16)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본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 또는 충전회로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도록 본체 내에 설치되는 충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10)를 이용하여 앱 및 웹에서, 일별, 기간별 반려견의 운동량을 분석하여 제공하고, 움직임량의 변화에 따라 반려견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20)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20)은 웹서버(21), 상태정보제공부(22), 이동정보제공부(23) 및 데이터베이스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웹서버(21)는 무선통신부(16)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운동데이터제공부(15)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전달받은 단말기(1)가 무선으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은 3G, LTE, 5G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웹서버(21)는 단말기(1)가 접속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등록과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하거나, 필요로 하는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웹페이지를 단말기(1)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21)는 단말기(1)가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 등과 같은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에 한해서 정해진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상태정보제공부(22)는 웹서버(21)에 접속된 단말기(1)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아, 반려견에 대한 운동 상태 및 건강 상태를 판단하여 단말기(1)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태정보제공부(22)는 무선통신부(16)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운동데이터제공부(15)로부터 제공되는 운동량 등의 측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단말기(1)가 제공받고, 단말기(1)가 이러한 데이터를 상태정보제공부(22)에 전달하면, 상태정보제공부(22)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통해서 정해진 프로세스나 공지된 프로세스에 따라 운동량 및 칼로리 소모량 등을 산출하고, 이렇게 산출된 값에 따라 예컨대, 반려견이 설정된 기간의 평균 운동량에 비하여 설정된 비율(30~100%)만큼 운동량이 감소하는 경우, 반려견의 컨디션이나 건강이 좋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기(1)에 이를 메시지로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태정보제공부(22)는 산출되는 반려견에 대한 운동량 등의 관려 정보를 단말기(1)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정보제공부(23)는 무선통신부(16)와 접속된 상태의 단말기(1)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반려견의 이동 정보로서 산출하여 단말기(1)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반려견의 이동 정보가 반려견이 착용한 반려견용 스마트 태크(10)의 무선통신부(16)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해 단말기(1)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해당되어 반려견용 스마트 태크(10)의 이동 경로가 단말기(1)이 이동 경로에 해당하게 된다.
데이터베이스부(24)는 단말기(1)로부터 제공되는 반려견 및 견주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반려견 각각에 대한 운동 상태 및 건강 상태와, 반려견 각각에 대한 이동 정보를 저장하여 필요시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20)은 반려견과의 추억을 위한 사진이나 메시지 등의 업로드를 위한 일지작성제공부(25)와, 반려견의 미아 감지를 수행하는 미아검출알림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지작성제공부(25)는 이동정보제공부(23)로부터 제공되는 반려견의 이동 정보로부터 반려견의 평상시 활동 영역(A)을 벗어나서 이동하는 경로(P) 상에 미리 정해진 관광지나 유적지가 존재하는 경우, 반려견이 관광지나 유적지의 영역(B1,B2)에 위치하는 동안(a1,a2), 단말기(1)를 통해서 사진이나 메시지의 업로드를 안내할 수 있고, 업로드된 사진이나 메시지를 반려견 별로 데이터베이스부(24)에 저장하여 단말기(1)의 요청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평상시 활동 영역(A)은 반려견이 현재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기간, 예컨대 30일 동안 이동하는 경로 주변의 영역으로서, 일(日) 단위로 정해지는 경로 주변의 영역이 적어도 2일 이상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준은 관리자가 반려견의 활동을 고려하여 임의로 정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동하는 경로 주변의 영역은 관리자에 의해 경로의 폭을 설정함으로써 경로가 선의 형태보다는 정해진 폭을 가진 영역으로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폭이 과도하게 클 경우 반려견의 활동 영역을 무리하게 확대시키게 되고, 폭을 과도하게 좁힐 경우 반려견의 활동 영역을 특정하기 어렵게 되므로, 관리자가 적절한 폭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일지작성제공부(25)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견주가 단말기(1)를 통해서 사진이나 메시지를 등록시 정해진 웹페이지 상에 자동으로 업로드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반려견이 이동하는 경로를 지도로서 표시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지도 상에 일지가 등록된 위치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지도상에 등록된 위치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함으로써 단말기(1)를 통해서 등록된 일지의 웹페이지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미아검출알림부(26)는 단말기(1)로부터 반려견에 대한 미아 감지 요청을 수신받으면, 단말기(1)와 무선통신부(16)와의 접속을 모니터링하고, 단말기(1)와 무선통신부(16)와의 통신 단절시,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알림기준시간 경과시까지 단말기(1)와 무선통신부(16)와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아 발생을 단말기(1)에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T는 알림기준시간이고, t는 관리자에 의한 설정시간(10초~60분)이며, Ap는 통신 단절 직전의 반려견 위치 영역의 30일간 중첩 개수이고, At는 반려견 위치 영역의 30일간 최대 중첩 개수이다.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반려견 위치 영역의 30일간 최대 중첩 개수를 개략적으로 4개의 위치 영역(A1,A2,A3,A4)으로 나타내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반려견의 매일 위치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하였을 경우, 30일간 최대 중첩 개수는 30개일 수 있다. 이때, 통신 단절시, 최근에 반려견이 위치하는 영역(c)의 중첩 개수는 본 실시례에서는 1개의 영역(A4)만이 존재함은 나타낸다. 이와 같이, 반려견이 자주 위치하는 영역에서 통신 단절이 발생할수록 알림기준시간은 증가하게 되고, 반려견이 자주 위치하지 아니하는 생소한 영역에서 통신 단절이 발생할수록 알림기준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신속한 반려견의 미아 상태를 메시지나 경보음 등을 통해서 단말기(1)로부터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알림기준시간을 두는 이유는 일시적인 통신 가능 거리 이탈 등과 같이, 무조건 통신 단절이 반려견의 미아 상태라고 볼 수는 없기 때문에 이를 바로 잡을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에 따르면, 반려견에 착용하도록 태그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반려견의 등록 및 식별을 가능하도록 하면서, 반려견의 운동량 측정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태그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매개로 반려견의 위치 정보 및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태그의 전력 소모와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반려견의 이동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견과의 추억 및 여행 정보 기록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반려견의 미아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반려견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단말기 10 :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11 : 식별정보제공부 12 : 운동량검출부
13 : 가속도센서 14 : 자이로센서
15 : 운동데이터제공부 16 : 무선통신부
17 : 전원공급부 20 : 반려견 정보 제공 시스템
21 : 웹서버 22 : 상태정보제공부
23 : 이동정보제공부 24 : 데이터베이스부
25 : 일지작성제공부 26 : 미아검출알림부

Claims (5)

  1. 반려견에 착용되어 상기 반려견의 인식을 위한 태그에 있어서,
    반려견의 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제공하는 식별정보제공부;
    상기 반려견의 운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운동량검출부;
    상기 운동량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운동량을 데이터로서 획득하는 운동데이터제공부;
    상기 운동데이터제공부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를 무선통신에 의해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무선통신부; 및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제공부는,
    상기 반려견의 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리더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RFID 태그이거나, 블루투스통신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블루투스통신부이고,
    상기 운동데이터제공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반려견의 운동량 및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운동량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을 이용하여 반려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통신부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운동데이터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전달받은 단말기가 무선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반려견에 대한 운동 상태 및 건강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상태정보제공부;
    상기 무선통신부와 접속된 상태의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반려견의 이동 정보로서 산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이동정보제공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반려견 및 견주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반려견 각각에 대한 운동 상태 및 건강 상태와, 상기 반려견 각각에 대한 이동 정보를 저장하여 필요시 제공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반려견의 이동 정보로부터 상기 반려견의 평상시 활동 영역을 벗어나서 이동하는 경로 상에 미리 정해진 관광지나 유적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반려견이 상기 관광지나 상기 유적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단말기를 통해서 사진이나 메시지의 업로드를 안내하고, 업로드된 사진이나 메시지를 상기 반려견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여 상기 단말기의 요청시 제공하도록 하는 일지작성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반려견에 대한 미아 감지 요청을 수신받으면, 상기 단말기와 상기 무선통신부와의 접속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무선통신부와의 통신 단절시,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알림기준시간 경과시까지 상기 단말기와 상기 무선통신부와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아 발생을 상기 단말기에 알리도록 하는 미아검출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여기서, T는 알림기준시간이고, t는 설정시간(10초~60분)이며, Ap는 통신 단절 직전의 반려견 위치 영역의 30일간 중첩 개수이고, At는 반려견 위치 영역의 30일간 최대 중첩 개수이다.
KR1020210115164A 2021-08-30 2021-08-30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 KR20230032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164A KR20230032381A (ko) 2021-08-30 2021-08-30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164A KR20230032381A (ko) 2021-08-30 2021-08-30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381A true KR20230032381A (ko) 2023-03-07

Family

ID=8551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164A KR20230032381A (ko) 2021-08-30 2021-08-30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23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204B2 (en) Method for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lls by residents within a facility
KR101775932B1 (ko) 반려동물 케어를 위한 멀티모달 시스템
AU2016343818B2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latform designed for digital health management and support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Barriuso et al. Combination of multi-agent systems and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the monitoring of cattle
US8850421B2 (en) Telemetry system with remote firmware updates or repair for remote monitoring devices when the monitoring device is not in use by the user
US20100167876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based exercise behavior management system
JP2012105839A (ja) オムツ、オムツ濡れ検知装置、健康管理装置、及び健康管理システム
US11778420B2 (en) System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for digital PET identification
KR20160139229A (ko) 사물 인터넷 기반 반려 동물 생애 주기 관리 시스템
JP6482864B2 (ja) 看護支援端末装置、看護支援システム、ならびに、看護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29057A (ko) 반려 동물 관리 시스템
JP2010282456A (ja) 競走馬の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状態評価システム及び状態評価方法
Zhang et al. Digital twin perception and modeling method for feeding behavior of dairy cows
KR20230032381A (ko) 반려견용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견 정보 제공시스템
JP2016123571A (ja) 看護支援端末装置、看護支援システム、ならびに、看護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10180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JPH0720416B2 (ja) 動物取付用個体識別タグ
JP6613352B2 (ja) 生体情報送信装置
KR20180050942A (ko) 대상자 안내 시스템
JP6404710B2 (ja) 看護支援端末装置、看護支援システム、ならびに、看護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010852A (ja) 宿泊施設における生体データ取得システム、生体データ取得方法、及び、生体データ取得プログラム
TWI787572B (zh) 區塊鏈服務資訊提供系統
US20230293010A1 (en) Non-face-to-face body temperature change management platform service system and method
WO2023144877A1 (ja) 動物管理支援装置、動物管理支援方法、及び、記録媒体
TWM600423U (zh) 區塊鏈服務資訊提供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