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316A - 프리 차지 회로 - Google Patents

프리 차지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316A
KR20230032316A KR1020210115012A KR20210115012A KR20230032316A KR 20230032316 A KR20230032316 A KR 20230032316A KR 1020210115012 A KR1020210115012 A KR 1020210115012A KR 20210115012 A KR20210115012 A KR 20210115012A KR 20230032316 A KR20230032316 A KR 20230032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urrent limiter
resistor
latching current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770B1 (ko
Inventor
김규동
박성우
윤영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15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770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 G05F1/57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with overcurrent dete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 H02H1/043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to inrush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 차지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는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 일단은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와 직렬 연결되고, 타단은 출력단에 연결되는 프리 차지(pre-charge) 저항,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프리 차지 저항과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에 병렬 연결되는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 및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를 온(ON)하고 상기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를 오프(OFF)하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 및 상기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를 모두 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 차지 회로{Pre-charge Circuit}
본 발명은 프리 차지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돌입전류 저감 및 2중 단락 전류 차단을 하는 프리 차지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방식에서는 큰 입력 필터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부하의 돌입전류 저감을 위하여 프리 차지 저항(Pre-charge Resistor)을 사용한다.
도 1은 종래 프리 차지 회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일반적인 방식의 돌입전류 저감을 위한 프리 차지 회로는 온/오프(ON/OFF)를 위한 스위치로 릴레이(Relay)를 사용하여 부피와 무게, 가격적인 측면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릴레이 온/오프 시 발생하는 채터링(Chattering) 문제로 인해서 릴레이의 파손, 부하의 과도응답 시 비이상 동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인공위성에서 사용 시, 부하의 단락에 대한 버스 전원의 보호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단락전류 제한 회로가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도 2는 종래 프리 차지 회로에 단락 보호용 퓨즈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부하의 단락에 대한 버스 보호를 위하여 퓨즈(Fuse)를 장착하는 경우, 퓨즈가 블로 아웃(Blow-out)되면서 부하 단락에 대해 버스 전원을 보호할 수 있지만, 인공위성의 경우 궤도 운영 중 퓨즈를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채널을 다시 쓰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경제성이 떨어지고 설계적인 취약점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돌입전류 저감 및 2중 단락 전류 차단을 하는 프리 차지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는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 일단은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와 직렬 연결되고, 타단은 출력단에 연결되는 프리 차지(pre-charge) 저항,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프리 차지 저항과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에 병렬 연결되는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 및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를 온(ON)하고 상기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를 오프(OFF)하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 및 상기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를 모두 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저항,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프리 차지 저항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1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이면 상기 제2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제1 전류 제한 회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를 온오프시키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저항, 상기 제2 저항과 상기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4 스위치, 상기 제2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이면 상기 제4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제2 전류 제한 회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를 온오프시키는 제5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로부터 상기 제1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로부터 상기 제2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이고, 상기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5 스위치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하의 비이상적인 단락 상태에 대해서 각 분기(Branch)점에 단락전류 차단을 위한 래칭전류제한기(Latching Current Limiter)를 사용하여 버스 전원의 보호가 가능하다. 또한 상단의 LCL 스위치만 ON 하여 초기 충전을 하는 경우, 부하가 단락되어도 LCL에 의해서 해당 회로가 차단되고, 하단의 LCL 스위치를 ON 하여 부하의 정상 동작(Normal Operation)시에 발생하는 단락/과전류 상황에서도 해당 LCL에 의한 회로의 차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버스 전원의 2중 보호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릴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FET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자의 크기와 무게 저감이 가능하고, 퓨즈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다시 회로를 킬 수 있다는(Resettable)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 프리 차지 회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프리 차지 회로에 단락 보호용 퓨즈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의 구성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의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의 정상 동작 시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의 과전류 상황에서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의 또 다른 과전류 상황에서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또는 소자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의 구성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리 차지(pre-charge) 회로(100)는 전원 공급부(10)와 부하(20)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는 제1 스위치(SW1),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 프리 차지 저항(R) 및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를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10)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부하(20)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100)는 돌입전류 저감을 위해서 프리 차지 저항(R)을 분기하여 사용하는 면에서 종래 방식과 동일하지만, 부하의 비이상적인 단락 상태에 대해서 각 분기(Branch)점에 단락 전류 차단을 위한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 및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를 사용하여 버스 전원의 보호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100)는 상단의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만 온(ON) 하여 초기 충전을 하는 경우, 부하가 단락되어도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에 의해서 해당 회로가 차단된다. 그리고 하단의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를 온 하여 부하의 정상 동작(Normal Operation)시에 발생하는 단락/과전류 상황에서도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에 의한 회로의 차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버스 전원의 2중 보호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의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SW1)는 전원 공급부(10)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단(11)에 연결되고, 제어부(FPGA)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와 같은 스위칭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등의 다른 트랜지스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는 제1 스위치(SW1)를 통해 전원 입력단(11)에 연결되고, 프리 차지 저항(R)을 통해 출력단(21)에 연결된다.
프리 차지 저항(R)은 일단이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와 직렬 연결되고, 타단은 출력단(21)을 통해 부하(20)에 연결된다.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는 제1 스위치(SW1)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저항(R1), 제1 저항(R1)과 프리 차지 저항(R)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SW2), 제1 저항(R1)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이면 제2 스위치(SW2)를 오프시키는 제1 전류 제한 회로부(CL1), 및 제어부(FPGA)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를 온오프시키는 제3 스위치(SW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면을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해 제1 전류 제한 회로부(CL1)를 블록으로 표현하였다. 제1 전류 제한 회로부(CL1)는, 제1 저항(R1)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이면, 제2 스위치(SW2)를 오프시키는 신호를 제2 스위치(SW2)로 출력되게 하고, 아울러 그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제어부(FPGA)에 출력하도록 아날로그 회로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전류 제한 회로부(CL1)가 위와 같이 동작하도록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스위치(SW2)는 FET와 같은 스위칭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BJT 등의 다른 트랜지스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스위치(SW3)는 BJT로 구현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마찬가지로 다른 타입의 스위칭 소자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는 제1 스위치(SW1)를 통해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고, 프리 차지 저항(R)과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에 병렬 연결된다.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는 제1 스위치(SW1)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저항(R2), 제2 저항(R2)과 출력단(21) 사이에 연결되는 제4 스위치(SW4), 제2 저항(R2)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이면 제4 스위치(SW4)를 오프시키는 제2 전류 제한 회로부(CL2), 및 제어부(FPGA)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를 온오프시키는 제5 스위치(SW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면을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해 제2 전류 제한 회로부(CL2)를 블록으로 표현하였다. 제2 전류 제한 회로부(CL2)는, 제2 저항(R2)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이면, 제4 스위치(SW4)를 오프시키는 신호를 제4 스위치(SW4)로 출력되게 하고, 아울러 그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제어부(FPGA)에 출력하도록 아날로그 회로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전류 제한 회로부(CL2)가 위와 같이 동작하도록 PLD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 스위치(SW4)는 FET와 같은 스위칭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BJT 등의 다른 트랜지스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5 스위치(SW5)는 BJT로 구현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마찬가지로 다른 타입의 스위칭 소자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FPGA)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전자회로 소자로 구현할 수 있으며, 제1 모드에서 제1 스위치(SW1)와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를 온 시킬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어부(FPGA)는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를 오프한다. 제1 모드는 초기 충전 동작 시 돌입 전류 저감 동작이 이루어지는 모드이다.
한편 제어부(FPGA)는 제2 모드에서 제1 스위치(SW1),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 및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를 모두 온 시킬 수 있다. 제2 모드는 제1 스위치(SW1)와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만 온 된 상태에서 돌입 전류 저감 동작이 이루어지고 부하의 전원이 안정화된 후의 동작 모드이다.
제1 모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제2 모드가 자동으로 수행되게 구현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돌입 전류 저감 동작이 이루어지고 부하 전원이 안정화된 것을 확인한 후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의 정상 동작 시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FPGA)가 200.00ms에 vgPSU_En/Dis 신호를 제6 스위치(SW6)에 인가하여 제1 스위치(SW1)와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를 온 시킨 것을 나타낸다.
제1 스위치(SW1)와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가 온 되고, 프리 차지 저항(R)에서의 전류(Precharge_I) 및 전력(Precharge_P)의 신호 파형을 보면 돌입 전류 저감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부하 전원이 안정화되고, 제어부(FPGA)가 400.00ms에 vgPSU_On/Off 신호를 제5 스위치(SW5)에 인가하여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를 온 시킨 다음, 부하 전류(Load Current) 및 부하 전압(Load Volatage)의 신호 파형을 확인하면 돌입 전류 없이 정상적으로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의 과전류 상황에서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FPGA)가 200.00ms에 vgPSU_En/Dis 신호를 제6 스위치(SW6)에 인가하여 제1 스위치(SW1)와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를 온 시킨 것을 나타낸다.
이때 부하가 단락 상태이면, 제1 저항(R1)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이 되어,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는 제2 스위치(SW2)를 오프시킴으로써 부하(20)와 회로 연결을 차단한다. 따라서 도 6에 예시한 것과 같이 부하 전류(Load Current) 및 부하 전압(Load Volatage)이 '0' 이 된다.
그리고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는 제1 저항(R1)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이 된 것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제어부(FPGA)에 전달하여, 제어부(FPGA)에서 vgPSU_En/Dis 신호를 0V로 조정하여 제1 스위치(SW1)와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를 오프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를 오조작하여 온 시키더라도 부하(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차단할 수 있다.
400.00ms에 vgPSU_On/Off 신호를 제5 스위치(SW5)에 인가하여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를 온 시키더라도, 프리 차지 저항(R)에서의 전류(Precharge_I) 및 전력(Precharge_P)과 부하 전류(Load Current) 및 부하 전압(Load Volatage)이 모두 '0'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 차지 회로의 또 다른 과전류 상황에서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예시한 것과 같이 초기 충전 동작 시에는 돌입 전류 저감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나서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를 온 시킨 다음 부하가 단락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동작을 나타낸다.
400.00ms에 vgPSU_On/Off 신호를 제5 스위치(SW5)에 인가하여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를 온 시킨 다음 부하가 단락 상태이면,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는 제5 스위치(SW5)를 오프시킨다. 그리고 제1 저항(R2)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이 된 것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제어부(FPGA)에 전달하여, 제어부(FPGA)에서 vgPSU_En/Dis 신호를 0V로 조정하여 제1 스위치(SW1)와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를 오프되게 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정상 동작 중 부하가 단락되는 경우, 제1 스위치(SW1),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1) 및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LCL2)가 모두 오프되어 부하(20)와 전원 공급부(10) 연결이 차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
    일단은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와 직렬 연결되고, 타단은 출력단에 연결되는 프리 차지(pre-charge) 저항,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프리 차지 저항과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에 병렬 연결되는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 및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를 온(ON)하고 상기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를 오프(OFF)하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 및 상기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를 모두 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프리 차지 회로.
  2. 제 1 항에서,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저항,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프리 차지 저항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1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이면 상기 제2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제1 전류 제한 회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를 온오프시키는 제3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프리 차지 회로.
  3. 제 2 항에서,
    상기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저항,
    상기 제2 저항과 상기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4 스위치,
    상기 제2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이면 상기 제4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제2 전류 제한 회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를 온오프시키는 제5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프리 차지 회로.
  4. 제 3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래칭 전류 리미터부로부터 상기 제1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제2 래칭 전류 리미터부로부터 상기 제2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프리 차지 회로.
  5. 제 3 항에서,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수행되는 프리 차지 회로.
  6. 제 3 항에서,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이고, 상기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5 스위치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인 프리 차지 회로.
KR1020210115012A 2021-08-30 2021-08-30 프리 차지 회로 KR102598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012A KR102598770B1 (ko) 2021-08-30 2021-08-30 프리 차지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012A KR102598770B1 (ko) 2021-08-30 2021-08-30 프리 차지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316A true KR20230032316A (ko) 2023-03-07
KR102598770B1 KR102598770B1 (ko) 2023-11-03

Family

ID=8551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012A KR102598770B1 (ko) 2021-08-30 2021-08-30 프리 차지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7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257B1 (ko) * 2012-01-16 2012-05-18 주식회사 빅솔론 포지티브 직류 전원단 돌입전류 저감회로
US20150061376A1 (en) * 2013-08-30 2015-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e-Charge Quick Key Cycling Protection
KR20170021056A (ko) * 2015-08-17 2017-02-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이중제어 프리차지 회로
JP2019161816A (ja) * 2018-03-12 2019-09-19 ニチコン株式会社 バッテリ充放電装置
KR102256101B1 (ko) * 2018-01-30 2021-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프리차지 저항 보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257B1 (ko) * 2012-01-16 2012-05-18 주식회사 빅솔론 포지티브 직류 전원단 돌입전류 저감회로
US20150061376A1 (en) * 2013-08-30 2015-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e-Charge Quick Key Cycling Protection
KR20170021056A (ko) * 2015-08-17 2017-02-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이중제어 프리차지 회로
KR102256101B1 (ko) * 2018-01-30 2021-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프리차지 저항 보호 장치
JP2019161816A (ja) * 2018-03-12 2019-09-19 ニチコン株式会社 バッテリ充放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770B1 (ko)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4859A (en) Fault tolerant power distribution system
US7551413B2 (en) Transient triggered protection of IC components
US11114838B2 (en) Ideal diode with active reverse voltage protection
KR100992712B1 (ko)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칩 및 그 집적 회로의 적어도 하나의컴포넌트를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US10654428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20090310266A1 (en) METHOD AND CIRCUIT FOR eFUSE PROTECTION
EP2564223B1 (en) Open circuit detector and method therefore
JPH10150354A (ja) 電力fet及び短絡認識部を有するスイツチ装置
JP2009147994A (ja) 電力供給制御回路
US20180367133A1 (en) Switch circuit and power supply system
EP1456925B1 (en) A polarity protection implemented with a mosfet
US7974061B2 (en) Common gate connected high voltage transient blocking unit
US200800627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electrical power
KR20230032316A (ko) 프리 차지 회로
US10411690B2 (en) Low side output driver reverse current protection circuit
US20060033539A1 (en) Low voltage pull-down circuit
EP3644501B1 (en) Output driver with reverse current blocking capabilities
US9680305B2 (en) Implementation of fire safety shutdown for solar panels with high reliability
US8339181B2 (en) Low-side driver high-voltage transient protection circuit
CN112068633B (zh) 浪涌电流保护电路和固态继电器
US11201459B1 (en) EFuse for use in high voltage applications
EP3389155A1 (en) Driving circuit
US5793127A (en) Inductive load driver circuit with shared flyback protection
WO2020003984A1 (ja) 給電制御装置
JP2007294513A (ja) 半導体保護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