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024A -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 - Google Patents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024A
KR20230031024A KR1020210113381A KR20210113381A KR20230031024A KR 20230031024 A KR20230031024 A KR 20230031024A KR 1020210113381 A KR1020210113381 A KR 1020210113381A KR 20210113381 A KR20210113381 A KR 20210113381A KR 20230031024 A KR20230031024 A KR 20230031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ceiling
incombustibility
ceil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용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13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1024A/ko
Publication of KR2023003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14Sound-absorbing elements with non-planar face, e.g. curved, egg-crate shap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Rooms, e.g. ANC inside a room, office, concert hall or automobile cab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불연성을 높이고, 소음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이루는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에 관한 것이다.
금속 재질의 천장패널(100);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천장패널(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홀(120); 및 끝단이 상기 관통홀(120)의 상부면에 수직결합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흡음기둥(2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Celiling having noninflammability and sound absorption}
본 발명은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불연성을 높이고, 소음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이루는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재는 건축물의 시공시 천장을 최종 마무리할 때 실내의 천장 슬라브 하부에 시공되는 전기 배선이나 공조 배관 등과 같은 마감 시설물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를 미려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설치하게 된다.
한편,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주변의 여러 환경 요소에 따라 다양하고 많은 종류의 소음에 노출되어 있고 이러한 소음들로 하여금 스트레스를 받게 되므로서 건강을 해치는 등 삶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소를 위해 극장, 강당, 콘서트홀 등 음향이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건축물을 비롯하여 교육시설, 사무시설, 주차장 등의 다양한 건축물에서는 각 목적에 맞는 음향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소리를 흡음 또는 반사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음향 조절용 패널이 건축물 시공에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1135663호 "흡음 천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은 석고코팅층을 측면에 형성하여 측면의 경도를 강화하고 글라스 울의 비산을 방지하며 친환경 페인트를 도장하여 향균, 탈취, 공기정화의 효과가 있는 흡음 천장재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225549호 "흡음기능을 개선한 천장 마감용 흡음패널"은 결합구조의 개선을 통해 흡음패널간의 결합력 증대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흡음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 속에서 사용자가 활동할 수 있는 흡음기능을 개선한 천장 마감용 흡음패널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다.
그러나, 천장재는 화재시 불꽃이 번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데, 종래의 문헌들의 경우 천장재가 흡음성과 함께 불연성을 만족해야 한다는 사실을 전혀 시사하고 있지 않거나, 이를 시사하고 있더라도 흡음 및 난연성 정도의 수준을 나타내고 있을 뿐이다.
특히, 수지 복합재료를 이용한 천장재의 경우에는 주재료인 수지의 특성상 화재에 취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수한 흡음 성능뿐만 아니라 불연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천장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5663호(2012.04.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5549호(2013.01.1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천장재를 제조함으로써 천장재의 불연성을 높이고, 소음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이루는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에 있어서, 금속 재질의 천장패널(100);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천장패널(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홀(120); 및 끝단이 상기 관통홀(120)의 상부면에 수직결합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흡음기둥(20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천장패널(100)은,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 흡음공(110)이 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음기둥(210)은,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 흡음공(210)이 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음기둥(210)은, 상기 관통홀(120)을 통해 유입된 소음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음기둥(200)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는,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천장재를 제조함으로써 천장재의 불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는, 미세 흡음공을 포함함으로써 소음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는, 상부 표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은 구간과 공기층이 형성된 구간이 구성됨에 따라 넓은 범위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음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음기둥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음기둥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1000)는 천장패널(100)과 흡음기둥(2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천장패널(100)은 불연성을 높이기 위해 금속 재질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천장패널(100) 제조에 이용되는 금속 재질은 알루미늄 강판, 갈바늄 강판, 알루미늄 합금 강판 또는 아연도금 강판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장패널(100) 제조에 이용되는 금속 재질은 갈바늄 강판, 알루미늄 합금 강판 또는 아연도금 강판일 수 있으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천장패널(100)은 상기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1000)의 베이스가 되는 강판 및 위에 도금층, 코팅층 또는 도장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패널(100)의 두께는 0.5 내지 0.9m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장패널(100)은 금속 재질에 따라 적절한 두께를 가지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천장패널(100)이 아연도금 강판 또는 갈바늄 강판인 경우 두께가 0.5 내지 0.55mm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강판인 경우 두께가 0.7 내지 0.8mm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상 ±0.3mm의 오차를 허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강판의 경우 아연도금 강판 또는 갈바늄 강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성이기 때문에 두께를 더욱 두껍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패널(100)은 소음을 흡수 및 분산시키기 위해 미세 흡음공(110)을 포함하는데, 상기 미세 흡음공(110)은 일정 방향 및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어 있다.
이때, 상기 미세 흡음공(110)의 형태는 사각형, 삼각형, 마름모, 육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다.
상기 미세 흡음공(110)의 지름은 1mm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 흡음공(110)의 지름이 1mm 이하일 경우에는 흡음 효과가 없고, 상기 미세 흡음공(110)의 지름이 10mm 이상일 경우 표면 타공부가 너무 커서 천장재로서의 미관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천장패널(100)은 소음을 흡수 및 분산시키기 위해 관통홀(120)을 포함하는데, 상기 관통홀(120)은 일정 방향 및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120)의 상부면에는 후술될 상기 흡음기둥(20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120)의 형태는 사각형, 삼각형, 마름모, 육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다.
상기 관통홀(120)의 지름은 10mm 내지 8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홀(120)의 지름이 10mm 이하일 경우에는 흡음 효과가 없고, 상기 관통홀(120)의 지름이 80mm 이상일 경우 표면 관통부가 너무 커서 천장재로서의 미관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120)의 지름이 커질 경우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천장패널(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120)의 개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천장패널(100)의 끝단에는 상기 천장패널(100) 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흡음기둥(200)은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된 끝단이 상기 관통홀(120)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상기 흡음기둥(200)의 개방된 끝단이 상기 관통홀(120)의 상부면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120)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흡수 및 분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음기둥(200)은 상기 관통홀(120)의 형태에 따라 사각기둥, 삼각기둥, 육각기둥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음기둥(200)은 불연성을 높이기 위해 금속 재질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음기둥(200) 제조에 이용되는 금속 재질은 알루미늄 강판, 갈바늄 강판, 알루미늄 합금 강판 또는 아연도금 강판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음기둥(200) 제조에 이용되는 금속 재질은 갈바늄 강판, 알루미늄 합금 강판 또는 아연도금 강판일 수 있으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흡음기둥(200) 제조에 이용되는 강판은 강판 위에 도금층, 코팅층 또는 도장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기둥(200) 제조에 이용되는 강판의 두께는 0.5 내지 0.9m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음기둥(200) 제조에 이용되는 강판의 두께는 금속 재질에 따라 적절한 두께를 가지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흡음기둥(200) 제조에 이용되는 금속 재질이 아연도금 강판 또는 갈바늄 강판인 경우 상기 흡음기둥(200) 제조에 이용되는 강판의 두께가 0.5 내지 0.55mm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강판인 경우 두께가 0.7 내지 0.8mm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상 ±0.3mm의 오차를 허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강판의 경우 아연도금 강판 또는 갈바늄 강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성이기 때문에 두께를 더욱 두껍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기둥(200)은 소음을 흡수 및 분산시키기 위해 미세 흡음공(210)을 포함하는데, 상기 미세 흡음공(210)은 일정 방향 및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어 있다.
이때, 상기 미세 흡음공(210)의 형태는 사각형, 삼각형, 마름모, 육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다.
상기 미세 흡음공(210)의 지름은 1mm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 흡음공(210)의 지름이 1mm 이하일 경우에는 흡음 효과가 없고, 상기 미세 흡음공(210)의 지름이 10mm 이상일 경우 표면 타공부가 너무 커서 천장재로서의 미관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1000)의 상부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상기 흡음기둥(200)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1000)의 상부 표면에 다수의 상기 흡음기둥(20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1000)의 상부 표면에 상기 흡음기둥(200)이 형성되어 있는 구간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흡음기둥(20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간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상기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1000)의 상부 표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은 구간과 공기층이 형성된 구간이 구성됨에 따라 저주파수부터 고주파수까지 넓은 범위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음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0 :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
100 : 천장패널
110 : 미세 흡음공
120 : 관통홀
130 : 결합부
200 : 흡음기둥
210 : 미세 흡음공

Claims (5)

  1. 금속 재질의 천장패널(100);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천장패널(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홀(120); 및
    끝단이 상기 관통홀(120)의 상부면에 수직결합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흡음기둥(200);을 포함하는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패널(100)은,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 흡음공(110)이 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기둥(210)은,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 흡음공(210)이 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기둥(210)은,
    상기 관통홀(120)을 통해 유입된 소음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기둥(200)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
KR1020210113381A 2021-08-26 2021-08-26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 KR20230031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381A KR20230031024A (ko) 2021-08-26 2021-08-26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381A KR20230031024A (ko) 2021-08-26 2021-08-26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024A true KR20230031024A (ko) 2023-03-07

Family

ID=8551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381A KR20230031024A (ko) 2021-08-26 2021-08-26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102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663B1 (ko) 2010-07-01 2012-04-19 (주)밴엔지니어링 흡음 천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5549B1 (ko) 2012-11-20 2013-01-23 주식회사 바움 흡음기능을 개선한 천장 마감용 흡음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663B1 (ko) 2010-07-01 2012-04-19 (주)밴엔지니어링 흡음 천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5549B1 (ko) 2012-11-20 2013-01-23 주식회사 바움 흡음기능을 개선한 천장 마감용 흡음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838B1 (ko) 보드 건재, 보드 건재 제조 방법 및 보드 건재 시공 방법
US8739927B2 (en) Gypsum panel having outstanding sound-absorbing properties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5713827B2 (ja) 吸音パネル
KR100721135B1 (ko) 발포알루미늄 복합판넬을 이용한 조립식 방음부스
RU2436907C2 (ru) Система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их навесов
KR101523577B1 (ko) 직물 마감된 목재 흡음판
KR101448295B1 (ko) 흡음 기능을 갖는 마감패널
KR20230031024A (ko) 불연성 및 흡음성을 갖는 천장재
CN112238658A (zh) 一种高强度吸音隔音复合板
US11697267B2 (en) Ceiling panel for suspended ceilings
KR20110004627U (ko) 흡음 패널
KR200337820Y1 (ko) 흡음판넬
KR20170095575A (ko) 흡음 패널
WO1993016245A1 (en) Plate for sound absorp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plate
JP4137937B2 (ja) 建材用漆喰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建築物
JP2022510799A (ja) パネル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
JP2005133387A (ja) 鋼板・発泡材一体形成による外装用サイディング材
KR19980087555A (ko) 소음방지용 발포 알루미늄 패널
KR100281242B1 (ko) 공명구조가 구비된 소음방지용 발포 알루미늄 패널
KR102153952B1 (ko) 압출 성형 콘크리트 패널과 알루미늄 패널 일체형 조립식 패널과 그 제조방법
US20240019116A1 (en) Perforated acoustic panel, method of producing, and use of the same
CN208748863U (zh) 一种金属穿孔吸音板的组件
CN218406166U (zh) 一种防火吸音轻质装饰铝板
CN221052985U (zh) 墙板
WO2023242863A1 (en) A cei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