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833A -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833A
KR20230030833A KR1020210112979A KR20210112979A KR20230030833A KR 20230030833 A KR20230030833 A KR 20230030833A KR 1020210112979 A KR1020210112979 A KR 1020210112979A KR 20210112979 A KR20210112979 A KR 20210112979A KR 20230030833 A KR20230030833 A KR 20230030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air dryer
handle
battery modul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수
김병직
황은지
오현주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2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0833A/ko
Publication of KR2023003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4Devices wherein the heating current flows through particular resist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5Electrical circuits used in resisti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기체토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손잡이케이스와 기체유입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기체유입부에서 상기 기체토출부까지 연장되어 기체가 유동되는 기체유로;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구비되고, 기체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팬유닛; 및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체유로 상에 배치되는 배터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유로는 상기 손잡이케이스와 상기 배터리모듈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하는 하부유로; 상기 팬유닛을 관통하는 상부유로; 및 상기 하부유로와 상기 상부유로를 연결하며 상기 배터리모듈과 상기 팬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압력 보상유로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는 기체의 유속이 감소하지 않도록 기체유로의 구성하여 헤어드라이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HAIR DRYER}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유무선으로 겸용하여 사용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을 젖은 상태에서 원하는 만큼 물기를 제거하거나, 현재 모양으로부터 원하는 모양으로 스타일링하는 경우, 기체토출부를 통해 기체를 토출하는 헤어드라이어가 이용될 수 있다.
헤어드라이어 내부에는 기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유닛 등이 내장될 수 있고, 이러한 내부 구성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를 자체 하중 등을 고려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특히 무선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배터리가 내장되어야 하며, 헤어드라이어에 배터리를 실장할 공간을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
헤어드라이어는 고속으로 팬을 회전하고 순간적으로 바람의 온도를 높여야 하므로 소비전력이 크기 때문에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2019-0084800 A1에 개시된 헤어드라이어와 같이 종래에는 본체의 후면에서 유입된 공개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면으로 토출되는 형태로 유로가 형성되었으나, 유선 헤어드라이어로서 배터리의 실장공간에 대한 고려를 하고 있지 아니하다.
국제특허 공개공보 2019-094064 에 따르면 손잡이의 하부에 배터리가 실장될 수 있으나,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2170309는 배터리를 유로상에 배치하기 위해 본체부에 배터리를 실장하였으나, 헤드가 지나치게 크고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다.
무선 헤어드라이어를 구현함에 있어서, 배터리의 실장위치 및 배터리 냉각을 위한 구조가 필요하며, 유선보다 낮은 전압을 이용하여 충분한 바람의 세기 및 온도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손잡이부 내부에 팬유닛 및 배터리를 배치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손잡이에 배치된 배터리에서 발생한 열을 배출하기 위해 유입된 공기를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변경된 유로 상에서 풍력의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전압의 배터리에서 충분한 성능을 얻을 수 있는 팬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및 유선에서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열선구조를 가진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손잡이케이스와 외부에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기체유입부에서 상기 기체토출부까지 연장되어 기체가 유동되는 기체유로;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체유로 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팬유닛; 및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체유로 상에 배치되는 배터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유로는 상기 손잡이케이스와 상기 배터리모듈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하는 하부유로; 상기 팬유닛을 관통하는 상부유로; 및 상기 하부유로와 상기 상부유로를 연결하며 상기 배터리모듈과 상기 팬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압력 보상유로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부에 상기 팬유닛이 안착되는 팬유닛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보상유로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면과 상기 팬유닛 안착부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팬유닛 안착부는 상기 팬유닛의 흡입부에 상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도넛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모듈에 결합하는 고정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다리는 상기 압력 보상유로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은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내측면과 맞닿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다리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돌출부에 결합하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서 삽입되며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본체부를 체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팬유닛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 위치하는 제어기판; 및 상기 배터리모듈과 상기 제어기판을 연결하는 전원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케이블은 상기 손잡이부의 손잡이 케이스와 상기 연결프레임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압력 보상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유로의 단면적 및 상기 팬유닛의 흡입구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은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내측면과 맞닿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유로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하부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은,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둥형상의 복수개의 배터리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유로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배터리셀을 감싸는 배터리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는 표면에 복수개의 요철 또는 복수개의 방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은 상면에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셀과 연결된 배터리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기판은 상기 하부유로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체유입부는 상기 하부유로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 및 상기 전원단자에 전원이 유입되면 직류모드에서 교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 실장된 직류히터와 교류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류모드에서 상기 직류히터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교류모드에서 상기 교류히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교류히터는 단면적이 작고 코일형태로 감긴 코일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직류히터는 상기 코일열선 보다 단면적이 크고 표면적이 큰 리본형태의 열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리본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손잡이부 내부에 팬유닛 및 배터리모듈을 배치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별도의 냉각부 없이 배터리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기체의 유속이 감소하지 않도록 기체유로의 구성하여 헤어드라이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무선 및 유선에서 동시에 사용 가능하여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팬유닛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팬유닛에 의해 유동되는 기체의 유동 손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손잡이 내부에 실장된 배터리의 배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온도조절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온도조절유닛의 측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온도조절유닛의 교류히터와 직류히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헤어드라이어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손잡이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1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가 토출되는 기체토출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기체가 유동하는 기체유로(150)가 형성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손잡이부(200)로부터 본체부(100)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본체부(100)의 내부 및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기체유입부(215)로부터 기체토출부(120)까지 연장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체부(100)에는 기체유로(150)를 따라 유동되는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기체토출부(120)의 기체토출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는 기체유입부(215)를 통해 유입되며, 기체유입부(215)는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2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2와 같이 기체유입부(215)가 손잡이부(200)에 구비된 경우, 기체유로(150)가 손잡이부(200)로부터 본체부(100)까지, 구체적으로 기체유로(150)는 기체유입부(215)로부터 기체토출부(12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200)에 마련되는 기체유입부(215)를 통해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는 상기 기체유로(150)를 따라 유동되어 본체부(100)에 마련되는 기체토출부(1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2를 참고하면, 본체부(100)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200)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가 본체부(100)와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경우,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의 대한 길이방향이 고정되거나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200)는 힌지결합부를 가지며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이 변화 가능하도록, 즉 본체부(100)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위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립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부(200)의 연장방향은 다양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100)에서 손잡이부(200)가 연장되는 방향을 하방으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하방향은 손잡이부(200)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방에 본체부(100)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하방향은 반드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해될 것이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태를 포함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손잡이부(200)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기체를 유동시키고 기체토출부(120)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기체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팬유닛(250)을 포함한다. 팬유닛(250)은 기체유로(150)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며, 본체부(100)의 내부 또는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기체유입부(215)가 손잡이부(200)에 배치된 경우, 기체유로(150)는 손잡이부(200)의 기체유입부(215)로부터 본체부(100)의 기체토출부(120)까지 연장될 수 있고, 팬유닛(250)은 손잡이부(200)에 위치되는 기체유로(150)상에 배치될 수 있다.
헤어드라이어는 무선으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모듈(240)을 본체부(100)에 배치하는 경우 무게가 증가하여 사용성이 저하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에 배치할 수 있다. 손잡이부(200)에 배치된 팬유닛(250)보다 배터리모듈(240)의 무게가 더 크므로 배터리모듈(240)이 손잡이부(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팬유닛(250)이 손잡이부(2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토출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유닛(160)이 구비될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160)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온도조절유닛(16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온도조절유닛(16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160)은 코일 형태의 저항체에 전류를 제공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체를 가열하는 방식일 수 있다.
다만, 온도조절유닛(160)의 저항체가 반드시 코일 형태가 아닐 수 있고,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등 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작동방식을 기체 유동과 함께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200)에 배치되는 전원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전원버튼이 온 상태가 되면, 팬유닛(250)이 작동되면서 기체가 기체유입부(215)를 통해 헤어드라이어의 내부로 유입된다.
기체유입부(215)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팬유닛(250)에 의해 기체유로(150)를 따라 유동되어 기체토출부(120)를 향하고, 기체토출부(120)에서는 토출기체가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 과정에서, 기체유로(150)상의 기체는 팬유닛(250)에 의해 유동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온도조절유닛(160)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팬유닛(250), 온도조절유닛(160), 전원버튼 및 조작부 등과 연결되어 상기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유닛(250) 및 온도조절유닛(160)의 운전상태 조절은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운전모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체유입부(215)는 손잡이케이스(210)를 관통하는 복수의 기체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상기 기체유입부(215)로부터 상기 기체토출부(120)까지 연장되어 기체가 유동된다. 기체유로(150)는 본체부(100)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제2 유로(155)와 손잡이부(200)에 위치하며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유로(151, 152, 15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유입부(215)는 손잡이부(200) 하부에 위치하고 기체토출부(120)는 본체부(100)의 손잡이부(200)가 결합된 부분의 반대편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제1 유로(151, 152, 153)와 제2 유로(154, 155)가 ㄱ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기체유로(150)가 꺾어지는 부분에서 유속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 보상유로(153, 154)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보상유로(153, 154)는 충분한 크기의 공간을 포함하거나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유로방향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로를 완만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공간이 많이 필요하므로 본 실시예의 압력 보상유로(153, 154)는 넓은 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팬유닛(250)은 상기 손잡이부(200)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200) 내부로 유입된 기체를 상기 기체토출부(120)측으로 유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유닛(250)은 상기 기체유로(150)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통상의 헤어드라이어는 본체부(100)에 팬유닛(250)이 위치하여 팬유닛(250)의 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나, 본 실시예의 팬유닛(250)은 손잡이부(200)에 위치하며 손잡이부(200)의 직경이 본체부(100)보다 작으므로 팬유닛(250)의 크기도 작아지게 된다.
팬유닛(250)의 팬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모터의 RPM을 높여 빠른 속도로 회전하여 기체유로(150)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만들 수 있다. 예를들어 100,000rpm으로 구동하는 팬유닛(250)은 팬의 크기가 작아도 충분한 바람세기를 만들 수 있다.
특히 배터리모듈(240)을 이용하는 경우 전원을 연결하여 구동하는 경우보다 전압이 낮다. 무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약 10V의 전압의 직류전원을 이용하고, 유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215V의 교류전압을 이용한다. 배터리모듈(240)의 저전압 전원으로 팬유닛(250)을 구동 시 충분한 바람의 세기를 얻기 위해 전압을 높이는 승압모듈을 이용하여 전압을 높여 팬유닛(25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배터리모듈(240)은 열이 발생하므로 유체가 통과하는 기체유로(150) 상에 배터리모듈(240)을 배치하여 열을 식힐 수 있다. 배터리모듈(240)은 손잡이부(200)에 위치하므로 손잡이에 위치하는 제1 유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유로(151, 152, 153)는 보다 세분화 하면 기체유입부(215)와 연결되며 배터리모듈(240)이 위치하는 하부유로(151), 팬유닛(250)이 위치하며 팬유닛(250)을 관통하는 상부유로(1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체케이스(110), 본체케이스(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기체토??구, 본체케이스(110) 내부에 실장되는 온도조절유닛(160), 본체부(100) 내부에 부품을 고정하고 본체부(100)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본체케이스(150) 및 제어부(130)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케이스(110), 기체토출부(120), 온도조절유닛(160), 연결프레임(115) 및 제어부(130)가 본체부(100)를 이룬다.
본 발명의 기체유입부(215)는 본체부(100)의 타측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손잡이부(200)에 위치하므로 본체부(100)의 타측에는 헤어드라이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30)와 사용자 입력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일측에 유체에 열을 가하는 온도조절유닛(160)이 위치하므로, 타측에 제어부(130)와 사용자 입력부(140)를 배치하여 열에 의한 구동칩이나 액정 등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10)는 손잡이부(200)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프레임(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115)은 본체케이스(1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케이스(2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15)이 결합하는 위치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유닛(25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연결프레임(115)은 팬유닛(250)이 실장되면서 동시에 손잡이부(200)와 본체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결프레임(115)은 본체케이스(110)에 연결되고 손잡이케이스(210)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손잡이케이스(210)에서 연장되어 본체케이스(110) 내부에 고정되는 형태의 연결부도 구성할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된 손잡이케이스(210)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케이스(210)는 상기 기체유로(150)를 형성하며, 배터리모듈(240) 및 팬유닛(250)이 실장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한다.
손잡이케이스(210)는 상부와 하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손잡이케이스(210)의 하부에 배터리모듈(240)이 실장될 수 있다. 상부에 연결프레임(115)이 삽입되고 그 내측에 팬유닛(250)이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모듈(240)은 복수 개의 기둥형상의 배터리셀(241)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기둥모양의 배터리셀(241)을 복수 개 배치하여 필요한 전압을 얻을 수 있다.
무선 헤어드라이어의 성능(고온, 강풍)을 위해서는 배터리셀(241)의 크기가 클수록 더 유리하나, 배터리모듈(240)의 크기가 커지면, 즉 배터리 셀의 개수가 많아지면 실장공간이 작아지는 문제가 있다.
도 4는 배터리셀(241)의 개수에 따른 배터리모듈(240)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a)는 2개의 배터리셀(241)을 (b)는 4개의 배터리셀(241)을 (c)는 3개의 배터리셀(241)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배터리셀(241)은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원기둥 이외에 육각이나 팔각기둥 형태의 배터리셀(241)도 이용할 수 있다. 기둥형태의 배터리셀(241)을 복수개 배치하는 경우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 형태의 손잡이케이스(210) 내부에 완전히 채워지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배터리모듈(240)과 손잡이케이스(210) 사이의 이격공간을 활용하여 기체유로(150)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배터리모듈(240)과 손잡이케이스(210) 사이의 이격공간 부분의 기체유로(150)를 하부유로(151)라고 한다. 하부유로(151)는 기체유입부(215)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처음으로 통과하는 곳이며, 배터리모듈(240)의 형상에 따라 하부유로(151)의 형상 및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배터리셀(241)은 도 4와 같이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경우 배터리셀(241) 사이 공간은 이격되고 배터리셀(241)의 외측면의 일부는 손잡이케이스(210) 내측과 접촉한다. 배터리셀(241)의 외측면과 손잡이케이스(210)의 내측면이 맞닿는 곳에서 하부유로(151)가 구획되어 복수개의 하부유로(151)를 구성할 수 있다.
(a)의 실시예와 같이 2개의 배터리셀(241)을 이용하면 배터리모듈(240)과 손잡이케이스(210) 사이의 이격공간이 넓어 넓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배터리셀(241)의 개수가 작아 팬유닛(250) 및 온도조절유닛(160)를 구동할 수 있는 충분한 전압을 얻을 수 없다.
(b)의 실시예와 같이 4개의 배터리셀(241)을 이용하면 손잡이케이스(210) 단면적 대비 많은 개수의 배터리셀(241)을 실장할 수 있으나, 하부유로(151)의 면적이 작고 손잡이부(200)의 크기가 커져 잡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c)의 실시예와 같이 3개의 배터리셀(241)을 이용하면 손잡이케이스(210)의 단면적 대비 적절한 개수의 배터리셀(241)을 실장할 수 있고 하부유로(151)로의 면적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200)가 너무 커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셀(241)의 개수 및 배치는 배터리셀(241)의 크기 및 팬유닛(250)ㄷ으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등에 따라 달리 구성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배터리셀(241)로 구성된 배터리모듈(240)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배터리셀(241)을 패키징 하기 위한 배터리케이스(242)를 더 포함하며, 배터리케이스(242)는 모여있는 배터리셀(241)의 외주면을 따라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배터리셀(241) 사이의 공간을 활용하여 하부유로(151)를 구현할 수 있다.
배터리셀(241) 사이의 오목한 부분과 손잡이케이스(210) 사이의 이격공간에 위치하는 하부유로(151)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기체유입부(215)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기체유입부(215)는 하부유로(251)의 손잡이케이스(2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유로(151)를 통과하는 기체는 배터리셀(241)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흡입한 기체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면서 동시에 배터리셀(241)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배터리모듈(240)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배터리케이스(242) 내부에 배터리셀(241)이 실장되어 있다. 배터리모듈(240)의 하부는 배터리셀(241)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다리(244)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다리(244)는 손잡이부(20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충전단자(248)로 배터리셀(241)이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배터리셀(241)과 손잡이케이스(210)의 하단부에 충잔단자(248)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지지다리(244)의 하단부와 손잡이케이스(210)를 스크류 등으로 체결하여 배터리모듈(240)은 손잡이케이스(210)에 고정할 수 있다.
배터리케이스(242)의 외주면에 요철이나 방열홀(243)이 형성되어 배터리셀(241)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배터리케이스(242)의 요철이나 방열홀(243)을 통해 공기와 접촉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배터리셀(241) 사이의 공간이 하부유로(151)이고 상부유로(152)로 이어지는 기체유로(150)를 방해하지 않도록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모듈(240)의 배터리기판(245)은 배터리셀(241)의 배치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배터리기판(245)은 배터리모듈(240)의 돌출된 부분이 돌출된 형태의 기판으로, 본 실시예에서 3개의 배터리셀(241)을 이용하므로 3각형의 배터리기판(245)을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기판(245)은 3개의 배터리셀(241)을 연결하여 원하는 전압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체부(100)에 실장된 메인기판(14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246)이 연결된다.
하부유로(151)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터리기판(245)을 배터리셀(241) 상부에 배치하고 그 위에 팬유닛(250)이 안착하는 팬유닛(250) 안착부가 결합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고하면 도 5의 (a)의 배터리 유닛의 상부에 결합한 팬유닛(250) 안착부를 도시한 것으로 팬유닛(250) 안착부는 팬유닛(25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고정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팬유닛(250)의 하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팬유닛(250)을 관통하는 상부유로(152)의 입구에 상응하는 크기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도넛형상을 가지고 있다. 팬유닛(250)과 배터리모듈(240) 사이에 압력 보상유로(153)를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모듈(240)이 상면에서 지지부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지지부와 배터리모듈(240) 사이의 거리는 팬유닛(250) 안착부의 지지다리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지지다리(244)는 지지부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배터리케이스(242)에 결합한다. 지지다리는 하부유로(151)와 간섭되지 않도록 배터리모듈(240)의 돌출부에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셀(241)은 3개이므로 팬유닛(250) 안착부의 지지다리도 3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기체유로(251)를 도시한 도면이다. 손잡이부(200)에 위치하는 제1 유로(151, 152, 153)는 하부유로(151), 상부유로(152) 및 하부유로(151)와 상부유로(152) 사이에 위치하는 압력 보상유로(15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유로(151)는 배터리셀(241)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고, 상부유로(152)는 팬모터를 관통하기 때문에 하부유로(151)와 상부유로(152)의 위치가 상이하다. 따라서, 하부유로(151)와 상부유로(152)가 붙어있으면 하부유로(151)에서 상부유로(152)로 이어지는 유로가 90도로 꺾어지는 유로가 되어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하부유로(151)와 상부유로(152)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하부유로(151)에서 상부유로(152)로 이어지는 유로의 방향이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압력 보상유로(15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하부유로(151)는 배터리모듈(240)로 구획되어 3개의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부유로(152)는 팬유닛(25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의 유로로 이루어진다. 즉, 하부유로(151)의 토출구와 상부유로(152)의 유입구의 형상 위치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상부유로와 하부유로가 일직선을 이룰 수 없다.
하부유로(151)의 토출구와 상부유로(152)의 유입구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단면적을 가지는 압력 보상유로(1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유로(152) 및 하부 유로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압력 보상유로(153)는 하부유로(151)에서 상부유로(152)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제2 유로(155)는 본체부(100)에 위치하며 팬유닛(250)을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한 공기가 측방향으로 방향을 바꾸며 배출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 방향이 바뀌는 경우 유로가 좁으면 유속이 감소하는 원인이 되므로 제1 유로(151, 152, 153)와 만나는 부분의 제2 유로(155) 사이에 넒은 공간을 가지는 압력 보상유로(15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유로(155)로 이동한 공기는 기체토출부(120)로 이동하면서 온도조절유닛(160)을 통과한다. 온도조절유닛(160)은 열선(161, 162)을 포함하며, 열선(161, 162)을 통과하는 공기는 열선(161, 162)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의 바람이 토출될 수 있다.
압력 보상유로(153)에서 기체토출부(120)로 이어지는 제2 유로(155)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유로의 단면적이 작아진다. 단면적을 작게하여 바람의 세기를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제2 유로(155)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단면적 대비 온도조절유닛(160)의 코일과 접촉하는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160)의 히터는 열선(161, 162)을 포함하며, 열선(161, 162)끼리 맞닿지 않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열선(161, 162)끼리 닿는 경우 합선되거나 과열되어 화재의 원인이 된다.
원통형의 제2 유로(155)를 따라 원형으로 또는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열선(161, 162)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하면서 넓은 면적에서 제2 유로(155)를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온도조절유닛(160)의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온도조절유닛(160)에 원통형의 히터커버(165')가 씌워진 상태를 도시하고 (b)는 히터커버(165')를 제거하여 열선이 노출된 도면이다.
원통형의 히터하우징과 히터하우징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히터커버 사이의 링형상의 제2 유로를 형성한다. 링형상의 제2 유로 사이에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하는 히터가 구비되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온도조절유닛(160)의 측면도와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온도조절유닛(160)의 교류히터(161)와 직류히터(16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온도조절유닛(160)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며, 도 9의 (a)는 교류히터(161), (b)는 직류히터(162)를 기체토출부(120)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는 유선에서도 무선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유선은 고압의 교류전원이고 무선의 경우 저압의 직류전원이기 때문에 유선에서 그리고 무선에서 동시에 구동하는 히터를 구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선의 교류전압에서 이용할 수 있는 교류히터(161)와 무선의 직류전원에서 이용할 수 있는 직류히터(162)로 구분된다. 교류전류는 215V의 고전압이고 직류전류는 약 10V의 저전압이기 때문에 열선(161, 162)도 유선과 무선에서 다른 것을 이용해야 한다.
교류히터(161)의 경우 고압의 전원이 제공되므로 히터의 저항이 작으면 매우 큰 열이 발생하여 열선(161, 162)이 타버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교류히터(161)는 얇고 긴 열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직류히터(162)의 경우 전압이 10V로 낮아 열선의 저항이 너무 크면 전류가 흐르지 않아 열이 발생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직류히터(162)는 교류히터(161)에 비해 저항이 작으므로 길이가 짧고 두껍다.
도 8의 (a) 는 온도조절유닛(160)을 도시한 도면으로 원통형의 히터하우징(165)의 둘레에 감긴 교류히터(161)와 직류히터(162)가 도시되어 있다. 교류히터(161)는 제1 나선을 그리며 형성된 코일열선을 이용하고 이를 다시 히터하우징(165)의 둘레에 제2 나선을 형성하며 감을 수 있다.
제2 유로(155)는 히터하우징(165)과 히터커버(165') 사이의 원통형의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히터하우징(165)과 히터커버(165') 사이의 공간이 넓으면 유로가 너무 커지고, 너무 좁으면 히터를 배치할 공간이 제한되므로 본체케이스(110)와 히터하우징(165) 사이의 거리는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
교류히터(161)는 저항을 높이기 위해 긴 길이의 열선을 이용해야 한다. 따라서, 코일열선을 히터하우징(165)의 둘레를 따라 복수 회 감아 열선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며 복수 회 감을 때 코일열선(161a, 161b, 161c, 161d) 사이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소정거리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다.
공기가 통과하면서 가능한 넓은 면적의 코일열선(161)과 접촉할 수 있도록 그리고 제2 나선을 이루는 각 열선(161a, 161b, 161c, 161d) 사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제2 나선을 이루는 각 열선(161a, 161b, 161c, 161d)의 직경을 달리 할 수 있다.
기체토출부(120)를 향할수록 더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구성하여 제2 유로(155)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2 나선을 이루며 복수회 감긴 코일열선(162)과 접촉하며 제2 유로이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높이기 위해 제2 나선의 직경이 계속 작아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2 유로(155)의 너비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열선(161d)에서 그 이전의 열선(161c)의 직경보다 커지는 형태의 원을 이루며 히터하우징(165)에 감길 수 있다.
제2 나선을 이루며 복수회 감긴 코일열선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나선의 각 턴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도 8의 (b)와 같이, 히터하우징(165)에 홈을 형성하여 코일열선을 배치할 수 있다.
직류히터(162)는 교류히터(161)에 비해 저압의 전원을 이용하므로 단면적이 넓은 리본열선을 이용할 수 있다. 리본열선(162)은 코일열선(161)에 비해 단면적이 크고 길이는 짧아 저항이 작아 코일열선(161)에 흐르는 전류 대비 너무 작지 않은 크기의 전류를 얻을 수 있다.
직류히터(162)도 교류히터(161)와 같이 넓은 면적에서 제2 유로(155)를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도 9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유로를 따라 지그재그로 꺾어 별모양으로 제2 유로(155)에 배치할 수 있다.
리본열선(162)의 단면적에 따라 리본열선(162)의 길이는 달라질 수 있으며, 히터하우징(165)의 둘레를 1회 또는 2회 감기는 형태나 저항이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충분하 열을 제공하기 위해 2개의 리본열선을 이용할 수도 있다.
교류히터(161)를 구성하는 코일열선(161)은 제1 나선 및 제2 나선을 이루며 감겨있어, 직류히터(162)의 몇 십 배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직류히터(162)의 리본열선은 교류히터(161)의 코일열선의 몇 십 배의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직류히터(162)의 경우 교류히터(161)에 비해 저전압에서 구동하므로 직류히터(162)에서 발생하는 열이 교류히터(161)에 비해 작게 된다. 무선에서는 풍속을 약하게 하여 직류히터(162)와 공기가 접촉하는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무선 사용시에도 풍온을 올릴 수 있다.
직류히터(162)를 교류히터(161)보다 기체토출부(120)쪽에 배치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의 직류히터(162)의 효율을 조금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160)은 과열되거나 합선되면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 경우 열선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과전류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전류 제어장치는 제2 유로(155)의 공기가 일정온도 이상인 경우 직류히터(162) 또는 교류히터(161)의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로 기체토출부(120)에 인접하여 배치할 수 있다.
과전류 제어장치는 바이메탈(164) 또는 퓨즈(16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메탈(164)은 서로 다른 열전도율을 가지는 금속의 열변형을 이용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장치이고 퓨즈(163)는 히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소정온도 이상이 되면 끊어진다.
바이메탈(164)의 경우 온도가 내려가면 다시 연결되고 퓨즈(163)의 경우 복구하기 위해서는 교체해야 하므로 퓨즈(163)에서 작동하는 온도는 더 고온의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특히 고압의 전원을 이용하는 교류히터(161)에서는 바이메탈(164)뿐만 아니라 합선 시 화재위헌이 있으므로 퓨즈(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직류히터(162)는 바이메탈(164)만 포함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퓨즈(163)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케이스(110)와 히터하우징(165) 및 히터커버(165')는 은 열전달율이 낮은 절연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소재의 예로 마이카나이트를 들 수 있다.
절연소재를 본체케이스(110) 및 히터커버(165')는 사용자가 온도조절유닛(160)에서 발생한 열로 인하여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이 외측으로 방출되지 않아 제2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상승에 유리하고 열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히터하우징(165)도 절연물질을 이용하여 열선의 열로 인하여 히터하우징(165)이 녹거나 변형,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손잡이부 내부에 팬유닛 및 배터리모듈을 배치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별도의 냉각부 없이 배터리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기체의 유속이 감소하지 않도록 기체유로의 구성하여 헤어드라이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무선 및 유선에서 동시에 사용 가능하여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본체케이스
120: 기체토출부
140: 사용자 입력부
150: 기체유로
151: 하부유로
152: 상부유로
153: 압력 보상유로
155: 제2 유로
160 : 온도조절유닛
161: 교류히터
162: 직류히터
163: 퓨즈
164: 바이메탈
165: 히터하우징
200: 손잡이부
210: 손잡이케이스
215: 기체유입부
240: 배터리모듈
241: 배터리셀
242: 배터리케이스
243: 방열홀
244: 지지다리
245: 배터리기판
246: 전원케이블
248: 전원단자
250: 팬유닛
251: 팬유닛 안착부

Claims (15)

  1.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손잡이케이스와 외부에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기체유입부에서 상기 기체토출부까지 연장되어 기체가 유동되는 기체유로;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체유로 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팬유닛; 및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체유로 상에 배치되는 배터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유로는
    상기 손잡이케이스와 상기 배터리모듈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하는 하부유로;
    상기 팬유닛을 관통하는 상부유로; 및
    상기 하부유로와 상기 상부유로를 연결하며 상기 배터리모듈과 상기 팬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압력 보상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부에 상기 팬유닛이 안착되는 팬유닛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보상유로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면과 상기 팬유닛 안착부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유닛 안착부는
    상기 팬유닛의 흡입부에 상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도넛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모듈에 결합하는 고정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다리는 상기 압력 보상유로의 높이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은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내측면과 맞닿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다리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돌출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서 삽입되며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본체부를 체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팬유닛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위치하는 제어기판; 및
    상기 배터리모듈과 상기 제어기판을 연결하는 전원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케이블은 상기 손잡이부의 손잡이 케이스와 상기 연결프레임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보상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유로의 단면적 및 상기 팬유닛의 흡입구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은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내측면과 맞닿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유로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하부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은,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둥형상의 복수개의 배터리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유로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배터리셀을 감싸는 배터리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는 표면에 복수개의 요철 또는 복수개의 방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은 상면에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셀과 연결된 배터리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기판은 상기 하부유로와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유입부는
    상기 하부유로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 및
    상기 전원단자에 전원이 유입되면 직류모드에서 교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실장된 직류히터와 교류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류모드에서 상기 직류히터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교류모드에서 상기 교류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히터는 단면적이 작고 코일형태로 감긴 코일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직류히터는 상기 코일열선 보다 단면적이 크고 표면적이 큰 리본형태의 열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리본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0210112979A 2021-08-26 2021-08-26 헤어드라이어 KR20230030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979A KR20230030833A (ko) 2021-08-26 2021-08-26 헤어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979A KR20230030833A (ko) 2021-08-26 2021-08-26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833A true KR20230030833A (ko) 2023-03-07

Family

ID=8551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979A KR20230030833A (ko) 2021-08-26 2021-08-26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08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1973T3 (es) Dispositivo electrico de calefaccion.
JP6107422B2 (ja) 熱交換ユニットおよび人体局部洗浄装置
JP2020500399A (ja) 電池式ヘアドライヤー
US5243683A (en) Laminar streamflow-guided hair dryer with finned PTC heating means
KR102091470B1 (ko) 세라믹 히터 유닛을 구비한 헤어 드라이어
EP3232854B1 (en) Hair dryer provided with an electric motor
KR20230030833A (ko) 헤어드라이어
KR20230030834A (ko) 헤어드라이어
KR20230030835A (ko) 헤어드라이어
JPS6057326B2 (ja) ヘア−ドライヤ−
KR102292835B1 (ko) 복사열 방사 전기히터
KR102170309B1 (ko) 고효율 무선 헤어드라이어
JP4554872B2 (ja) 送風装置
KR101774033B1 (ko) 참빗 헤어드라이기
KR102585497B1 (ko) 헤어드라이어
US20100078420A1 (en) Electric heater for tumble dryers
KR102585496B1 (ko) 헤어드라이어
KR102433562B1 (ko) 고효율 무선 헤어드라이어
KR20230087968A (ko) 헤어드라이어
CN116847756A (zh) 用于对头发进行干燥和造型的设备和方法
KR102322204B1 (ko) 별도의 냉풍통로를 구비한 헤어 드라이어
KR102011964B1 (ko) 유체 가열 장치
KR102181008B1 (ko) 표면 발열체를 이용한 무선 헤어 드라이기
KR20190002663U (ko) 자체발열식 헤어롤
JP7062347B2 (ja) 気体加熱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