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392A -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392A
KR20230030392A KR1020210112568A KR20210112568A KR20230030392A KR 20230030392 A KR20230030392 A KR 20230030392A KR 1020210112568 A KR1020210112568 A KR 1020210112568A KR 20210112568 A KR20210112568 A KR 20210112568A KR 20230030392 A KR20230030392 A KR 20230030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hole
resin composition
hopp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839B1 (ko
Inventor
조정연
Original Assignee
태진기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진기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진기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2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83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B05C1/02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to the outer surface of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2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50Storage means for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51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5H2701/511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ssentially made of sheet material
    • B65H2701/5112Paper or plastic sheet material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포수단이 코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과정에서 코어의 외주연에 수지조성물이 고르게 도포되도록 하여, 코어의 외주연에는 균일하게 도포된 수지조성물이 건조 및 경화되면서 균일한 코팅층이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Resin Composition Coating Apparatus of Core}
본 발명은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에 대전방지성 수지조성물이 고르게 도포되도록 하여 불량률을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산업에 있어서,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등에 사용되는 광학필름은 폴리이미드나 폴리아미드 등의 고분자 등으로 제조되며 평면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광학필름은 운반과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코어에 롤(roll) 형태로 권취되어 제공된다. 코어는 광학필름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도와 내구성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으로 제조된 코어가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광학필름은 코어에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과정에서 접촉대전 또는 박리대전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정전기는 광학필름의 불량률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코어의 외주면에는 대전방지성 수지 조성물이 코팅되거나 또는 대전방지성 수지관이 이중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정전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코어에 대전방지성 수지 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은 대전방지성 수지 조성물을 코어에 반복적으로 분사 및 건조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분사 과정에서 코어에 수지 조성물이 고르게 도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코어에 결합되는 대전방지성 수지관은 코어와의 결합 강도가 낮아 대전방지성 수지관이 코어에서 쉽게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0377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어에 대전방지성 수지조성물이 고르게 도포되도록 하여 불량률을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타단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에 세워지도록 장착되는 코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갖는 지지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왕복운동부와, 일측은 왕복운동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코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코어보다 큰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코어가 관통되도록 지지관통홀이 형성되는 이동결합부를 갖는 이동부재; 및 대전방지성 수지조성물이 수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의 하단부는 코어가 관통되도록 하부관통홀이 형성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부관통홀과 마주보는 일측에 코어가 관통되도록 도포홀이 형성되되 상기 도포홀의 직경은 코어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도포부를 갖는 도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호퍼 또는 상기 도포부에 상기 이동결합부가 결합되고, 상기 왕복운동부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면 상기 호퍼에 수용된 수지조성물이 코어의 외주연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포홀의 내주연 직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포홀의 내주연 상부 직경은 코어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도포홀의 내주연 하부 직경은 코어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포부는, 상기 호퍼의 하측에 결합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결합관통홀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관통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도포홀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호퍼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부관통홀의 내주연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압연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압연장부의 하부에 상기 이동결합부가 연결되고, 상기 가압연장부의 내부에 상기 하부관통홀과 연통되는 가압연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연장홀의 직경은 코어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관통홀과 상기 가압연장홀에 코어가 관통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호퍼에 수용된 수지조성물이 상기 하부관통홀을 지나 상기 가압연장홀의 내주연과 코어의 외주연 사이의 가압공간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왕복운동부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 관성에 의하여 상기 호퍼에 위치한 수지조성물이 상기 가압공간부로 이동된 수지조성물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가압공간부에 위치한 수지조성물이 권취봉의 외주연에 가압된 상태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부지지돌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부지지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돌부와 상기 하부지지돌부 사이에 코어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결합부가 상기 상부지지돌부에서 상기 하부지지돌부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하부지지돌부에서 상기 상부지지돌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돌부 및 상기 하부지지돌부의 길이는 상기 호퍼의 상측에서부터 상기 도포부의 하측 까지의 길이보다 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포수단이 코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과정에서 코어의 외주연에 수지조성물이 고르게 도포되므로, 코어의 외주연에는 균일하게 도포된 수지조성물이 건조 및 경화되면서 균일한 코팅층이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포수단이 코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과정만으로 코어의 외주연에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코팅층을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공간부에 위치된 수지조성물이 하방 가압된 상태로 권취봉의 외주연에 도포되므로, 권취봉의 외주연에 도포되는 수지조성물은 강한 압력에 의하여 울퉁불퉁한 부분이 없어지고, 기포가 없어지게 되며, 균일한 두께를 유지한 상태로 권취봉의 표면에 고르게 도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지지돌부 및 하부지지돌부는 코어가 장착되기 전에 도포수단이 대기하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상부지지돌부와 하부지지돌부 사이에 위치되는 코어는 이동결합부에 연결된 도포수단에 의하여 어느 한 부분도 빠짐 없이 고르게 도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포부가 호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도포부의 연장부가 마모된 경우 새로운 도포부로 용이하게 교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의 도포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의 이동부재가 도포수단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의 도포수단이 코어의 외주연에 수지조성물을 도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100)는 코어(C)의 외주연에 대전방지성 수지조성물을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부(114)재(110), 이동부재(120) 및 도포수단(130)을 포함한다.
코어(C)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C)의 재질은 예를 들면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지지부(114)재(110)는 슬라이딩부(112), 지지부(114) 및 가압부(116)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112)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위치된다. 슬라이딩부(112)는 후술하는 상부지지돌부(118), 하부지지돌부(119) 및 코어(C)의 길이를 합친 길이보다 길도록 충분하게 넉넉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112)는 예를 들면 기둥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4)는 슬라이딩부(112)의 하단부에 슬라이딩부(11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114)의 상측에는 상방으로 하부지지돌부(119)가 돌출 형성된다.
가압부(116)는 슬라이딩부(112)의 상단부에 가압부(116)와 마주보도록 슬라이딩부(11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부(112)의 상단부 방향을 향하는 가압부(116)의 일측은 코어(C)의 다양한 길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112)의 상단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슬라이딩부(112)의 상단부에는 슬라이딩부(112)를 따라 상하 왕복 운동 가능한 가압이동부(117)가 설치되고, 가압이동부(117)에 가압부(116)의 일측이 연결된다. 가압이동부(117)는 모터, 레크기어 및 피니언기어 등의 통상의 구동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슬라이딩부(112)를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가압이동부(117)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슬라이딩부(112)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가압부(116)의 타측에는 하부지지부(114)와 마주보도록 하방으로 상부지지돌부(118)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코어(C)는 지지부(114)에 세워지도록 장착되는데, 세부적으로는 상부지지돌부(118)와 하부지지돌부(119) 사이에 코어(C)가 끼워지도록 위치된다. 이때, 상부지지돌부(118)와 하부지지돌부(119)에는 각각 상부끼움부(118a)와 하부끼움부(119a)가 돌출 형성되어, 코어(C)의 상측이 상부끼움부(118a)에 끼워지고 코어(C)의 하측이 하부끼움부(119a)에 끼워진다. 그리고 코어(C), 하부지지돌부(119) 및 상부지지돌부(118)는 상호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동부재(120)는 왕복운동부(122), 연결부(124) 및 이동결합부(126)를 포함한다. 왕복운동부(122)는 슬라이딩부(112)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상하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왕복운동부(122)는 가압이동부(117)와 마찬가지로 모터, 레크기어 및 피니언기어 등의 통상의 구동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슬라이딩부(112)를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왕복운동부(122)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결부(124)는 일측은 왕복운동부(122)에 연결되고 타측은 코어(C) 방향으로 연장되어 왕복운동부(122)와 이동결합부(126)를 연결시킨다. 이동결합부(126)는 연결부(124)의 타측에 코어(C)보다 큰 단면을 갖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코어(C)가 관통되도록 지지관통홀(126a)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의 도포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포수단(130)은 호퍼(132) 및 도포부(134)를 포함한다. 호퍼(132)는 예를 들면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의 공간부(132a)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간부(132a)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대전방지성 수지조성물이 공간부(132a)로 수용된다. 공간부(132a)의 하단부는 코어(C)가 관통되도록 하부관통홀(132b)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관통홀(132b)의 내주연에서 하방으로 가압연장부(133)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연장부(133)의 하부에 이동결합부(126)가 연결되고, 가압연장부(133)의 내부에 하부관통홀(132b)과 연통되는 가압연장홀(133a)이 형성된다. 하부관통홀(132b)의 직경 및 가압연장홀(133a)의 직경은 코어(C)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도포부(134)는 호퍼(132)의 하부에 위치되어 호퍼(132)에 수용된 수지조성물을 코어(C)에 도포시키는 것으로, 탄성 재질, 예를 들면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결합부(135) 및 연장부(136)를 포함한다. 결합부(135)는 호퍼(132)의 하측에 형성되는 가압연장부(133)의 하측에 결합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결합관통홀(135a)이 형성된다. 연장부(136)는 결합관통홀(135a)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에 도포홀(136a)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포홀(136a)의 직경은 코어(C)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세부적으로 도포홀(136a)의 내주연 직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도포홀(136a)의 내주연 상부 직경은 코어(C)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도포홀(136a)의 내주연 하부 직경은 코어(C)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135)는 호퍼(132)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압연장부(133)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가압연장부(133)의 하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결합안내부(133c)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135)가 결합안내부(133c)에 면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결합안내부(133c)와 결합부(135)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결합부(13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연장부(136)가 마모된 경우 새로운 도포부(134)로 용이하게 교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호퍼(132) 또는 도포부(134)에 이동결합부(126)가 결합된다. 예를 들면 호퍼(132)의 하측에 연장 형성된 가압연장부(133)의 하부에 이동결합부(126)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동결합부(126)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지지관통홀(126a)의 내주연에 가압연장부(133)의 외주연 하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이동결합부(126)의 상하 이동에 따라 도포수단(130)이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의 이동부재가 도포수단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의 도포수단이 코어의 외주연에 수지조성물을 도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코어(C)의 외주연에 수지조성물이 도포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포수단(130)이 상부지지돌부(118)에 관통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지지돌부(118)가 가압이동부(117)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 상부지지돌부(118)와 하부지지돌부(119)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그 후, 상부지지돌부(118)와 하부지지돌부(119) 사이에 코어(C)가 끼워진 후, 상부지지돌부(118)가 가압이동부(117)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 상부지지돌부(118)가 코어(C)를 하방으로 견고하게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부지지돌부(118) 및 하부지지돌부(119)는 코어(C)가 장착되기 전에 도포수단(130)이 대기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동결합부(126)가 상부지지돌부(118)에서 하부지지돌부(119)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하부지지돌부(119)에서 상부지지돌부(118)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부지지돌부(118)와 하부지지돌부(119) 사이에 위치되는 코어(C)는 이동결합부(126)에 연결된 도포수단(130)에 의하여 어느 한 부분도 빠짐 없이 고르게 도포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동결합부(126)에 연결된 도포수단(130)이 상부지지돌부(118) 또는 하부지지돌부(119)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지지돌부(118) 및 하부지지돌부(119)의 길이는 호퍼(132)의 상측에서부터 도포부(134)의 하측 까지의 길이보다 길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부지지돌부(118)와 하부지지돌부(119) 사이에 코어(C)가 장착된 이후, 호퍼(132)에 수지조성물이 공급되어 호퍼(132) 내부에 수지조성물이 수용된다.
그후, 이동부재(120)가 슬라이딩부(112)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부지지돌부(118)에 위치된 도포수단(130)을 하부지지돌부(119)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코어(C)는 도포홀(136a), 결합관통홀(135a), 가압연장홀(133a) 및 하부관통홀(132b)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위치된다. 이때, 호퍼(132)에 수용된 수지조성물이 하부관통홀(132b)을 지나 가압연장홀(133a)의 내주연과 코어(C)의 외주연 사이의 가압공간부(133b)에 채워진 후 결합관통홀(135a)을 통과하여 도포홀(136a)로 이동되면서 코어(C)의 외주연에 고르게 도포된다. 또한, 호퍼(132)가 코어(C)를 관통한 상태로 지나감에 따라 호퍼(132)에 수용된 수지조성물은 코어(C)의 외주연에 도포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동부재(120)가 슬라이딩부(112)를 따라 왕복 운동되면, 호퍼(132)에 수용된 수지조성물이 코어(C)의 외주연에 반복적으로 도포되어, 코어(C)의 외주연에 수지조성물이 더욱 고르게 도포된다. 한편, 도포홀(136a)의 내주연 상부 직경은 코어(C)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도포홀(136a)의 내주연 하부 직경은 코어(C)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므로, 도포홀(136a)의 내주연 하부는 코어(C)의 외주연에 탄성적으로 벌어진 상태가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포수단(130)이 코어(C)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과정에서 코어(C)의 외주연에 수지조성물이 고르게 도포되므로, 코어(C)의 외주연에는 균일하게 도포된 수지조성물이 건조 및 경화되면서 균일한 코팅층이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포수단(130)이 코어(C)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과정만으로 코어(C)의 외주연에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코팅층을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호퍼(132)에 수용된 수지조성물이 하부관통홀(132b)을 지나 가압공간부(133b)로 이동된 상태에서, 왕복운동부(122)가 슬라이딩부(112)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 관성에 의하여 호퍼(132)에 위치한 수지조성물이 가압공간부(133b)로 이동된 수지조성물 방향으로 쏠리게 되어, 가압이동부(117)에 위치한 수지조성물이 하방 가압된 상태로 권취봉의 외주연에 도포된다.
이처럼 가압공간부(133b)에 위치된 수지조성물이 하방 가압된 상태로 권취봉의 외주연에 도포되므로, 권취봉의 외주연에 도포되는 수지조성물은 강한 압력에 의하여 울퉁불퉁한 부분이 없어지고, 기포가 없어지게 되며, 균일한 두께를 유지한 상태로 권취봉의 표면에 고르게 도포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
110: 지지부재 112: 슬라이딩부
114: 지지부 116: 가압부
117: 가압이동부 118: 상부지지돌부
118a: 상부끼움부 119: 하부지지돌부
119a: 하부끼움부 120: 이동부재
122: 왕복운동부 124: 연결부
126: 이동결합부 126a: 지지관통홀
130: 도포수단 132: 호퍼
132a: 공간부 132b: 하부관통홀
133: 가압연장부 133a: 가압연장홀
133b: 가압공간부 133c: 결합안내부
134: 도포부 135: 결합부
135a: 결합관통홀 136: 연장부
136a: 도포홀

Claims (6)

  1.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타단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에 세워지도록 장착되는 코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갖는 지지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왕복운동부와, 일측은 왕복운동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코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코어보다 큰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코어가 관통되도록 지지관통홀이 형성되는 이동결합부를 갖는 이동부재; 및
    대전방지성 수지조성물이 수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의 하단부는 코어가 관통되도록 하부관통홀이 형성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부관통홀과 마주보는 일측에 코어가 관통되도록 도포홀이 형성되되 상기 도포홀의 직경은 코어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도포부를 갖는 도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호퍼 또는 상기 도포부에 상기 이동결합부가 결합되고,
    상기 왕복운동부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면 상기 호퍼에 수용된 수지조성물이 코어의 외주연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홀의 내주연 직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포홀의 내주연 상부 직경은 코어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도포홀의 내주연 하부 직경은 코어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호퍼의 하측에 결합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결합관통홀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관통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도포홀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호퍼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통홀의 내주연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압연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압연장부의 하부에 상기 이동결합부가 연결되고, 상기 가압연장부의 내부에 상기 하부관통홀과 연통되는 가압연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연장홀의 직경은 코어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관통홀과 상기 가압연장홀에 코어가 관통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호퍼에 수용된 수지조성물이 상기 하부관통홀을 지나 상기 가압연장홀의 내주연과 코어의 외주연 사이의 가압공간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왕복운동부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 관성에 의하여 상기 호퍼에 위치한 수지조성물이 상기 가압공간부로 이동된 수지조성물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가압공간부에 위치한 수지조성물이 권취봉의 외주연에 가압된 상태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부지지돌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부지지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돌부와 상기 하부지지돌부 사이에 코어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결합부가 상기 상부지지돌부에서 상기 하부지지돌부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하부지지돌부에서 상기 상부지지돌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돌부 및 상기 하부지지돌부의 길이는 상기 호퍼의 상측에서부터 상기 도포부의 하측 까지의 길이보다 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
KR1020210112568A 2021-08-25 2021-08-25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 KR102544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568A KR102544839B1 (ko) 2021-08-25 2021-08-25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568A KR102544839B1 (ko) 2021-08-25 2021-08-25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392A true KR20230030392A (ko) 2023-03-06
KR102544839B1 KR102544839B1 (ko) 2023-06-20

Family

ID=8550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568A KR102544839B1 (ko) 2021-08-25 2021-08-25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8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268A (ja) * 2007-07-12 2009-01-29 Ricoh Co Ltd 塗膜形成方法及び塗膜形成装置
KR101075112B1 (ko) * 2010-12-03 2011-10-21 화성코아텍주식회사 대전방지성 권취코어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JP2012176378A (ja) * 2011-02-28 2012-09-13 Shin Etsu Polymer Co Ltd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管体製造装置及び管体製造方法、並びに、ローラ製造装置及びローラ
JP2013166089A (ja) * 2012-02-14 2013-08-29 Ricoh Co Ltd 塗料塗布方法及び塗装装置
KR101590377B1 (ko) 2014-05-12 2016-02-01 (주)티엔에프 Fwp 코어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268A (ja) * 2007-07-12 2009-01-29 Ricoh Co Ltd 塗膜形成方法及び塗膜形成装置
KR101075112B1 (ko) * 2010-12-03 2011-10-21 화성코아텍주식회사 대전방지성 권취코어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JP2012176378A (ja) * 2011-02-28 2012-09-13 Shin Etsu Polymer Co Ltd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管体製造装置及び管体製造方法、並びに、ローラ製造装置及びローラ
JP2013166089A (ja) * 2012-02-14 2013-08-29 Ricoh Co Ltd 塗料塗布方法及び塗装装置
KR101590377B1 (ko) 2014-05-12 2016-02-01 (주)티엔에프 Fwp 코어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839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4839B1 (ko) 코어의 수지조성물 도포 장치
JP4859975B2 (ja) プリプレグ巻回方法及び装置
NO169451B (no) Fremgangsmaate og innretning for fremstilling av et pressbelte for en papirmaskin
US201001398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iber Composite Article
JP2008296411A (ja) 繊維強化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強化樹脂製容器製造装置
KR101489292B1 (ko) 복합재 판스프링 제조 장치
CN206812627U (zh) 一种热转印打印机
CN109291460A (zh) 一种便携式纤维增强复合材料制备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703421B1 (ko) 날염기
CN216165616U (zh) 一种鞋材上胶机
CN106541677A (zh) 一种织物复合材料张紧挤压粘接装置
JPH1077593A (ja) 広巾ニッププレス用ブラン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TWI434358B (zh) 晶片焊接機用點膠裝置
JP2023534749A (ja) 少なくとも一種類の巻き付けた繊維強化ポリマー層を含む複合材部品を生産する機器及びプロセス
KR20210051136A (ko) 섬유 장력 조절 장치,이를 이용한 섬유강화 복합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075112B1 (ko) 대전방지성 권취코어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2525696B1 (ko)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JP2990933B2 (ja) Frp製円筒物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1889233B1 (ko)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
KR102540014B1 (ko) 조판지 쫄대 고정 장치 및 이를 가지는 디자인 드로잉 작업 및 조판 작업대
US30187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hose
JP2953795B2 (ja) 板状成形体の製造方法
KR100735473B1 (ko) 엘시디 카세트 제작을 위한 소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소재 제조방법
JPS6253821A (ja) 積層材料から中空体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922596B1 (ko) 관로 보수용 보수재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