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162A -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162A
KR20230030162A KR1020210112060A KR20210112060A KR20230030162A KR 20230030162 A KR20230030162 A KR 20230030162A KR 1020210112060 A KR1020210112060 A KR 1020210112060A KR 20210112060 A KR20210112060 A KR 20210112060A KR 20230030162 A KR20230030162 A KR 20230030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ross
cross joint
rails
dis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531B1 (ko
Inventor
정장영
송정섭
정한욱
김창욱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이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2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531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8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은,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면서 교차 지점이 상호 단절되게 이루어지며 궤도 차량의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 이송을 안내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의 단절된 부위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단절된 두 제1 레일 중 어느 하나와 단절된 두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와, 상기 크로스 조인트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사이에 구비되며 크로스 조인트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사이 공간을 채우는 스페이스바와, 상기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을 연결하여 궤도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궤도 차량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충격 또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Cross joint system}
본 발명은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을 연결하여 궤도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궤도 차량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충격 또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의 이송을 위해서는 궤도 차량이 이용된다.
상기 궤도 차량은, 사람의 탑승 또는 화물의 적재를 위한 몸체와, 몸체의 저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몸체가 궤도의 상부에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궤도 차량의 이송을 위하여 지면에는 궤도 차량의 이송을 위한 궤도(railroad)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궤도는 궤도 차량의 2차원 이송을 위해 교차 지점이 발생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10-1719762호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제1레일 및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제2레일의 교차지점에 배치되는 블록 본체와, 블록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양단부가 제1레일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1레일연결부와, 제1레일연결부와 교차되며 양단부가 제2레일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2레일연결부와, 제1레일연결부와 제2레일연결부가 교차되는 교차부가 형성된 교차연결부와, 제2레일연결부를 따라 이송대차의 휠이 지나가도록 제1레일연결부와 교차부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의 제1홈과, 제1레일연결부를 따라 이송대차의 휠이 지나가도록 제2레일연결부와 교차부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의 제2홈이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차 레일 블럭을 제공함으로써 교차 지점을 통과하는 궤도의 충격 또는 소음을 방지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차 레일 블럭의 충격 또는 소음 방지 효과는 미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레일과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71976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을 연결하여 궤도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궤도 차량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충격 또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면서 교차 지점이 상호 단절되게 이루어지며 궤도 차량의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 이송을 안내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의 단절된 부위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단절된 두 제1 레일 중 어느 하나와 단절된 두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와, 상기 크로스 조인트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사이에 구비되며 크로스 조인트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사이 공간을 채우는 스페이스바와, 상기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 조인트는,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의 단절 부위 일부를 채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단절된 두 제1 레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단절된 두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몸체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 결합부와 결합되지 않은 단절된 두 제1 레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단절된 두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몸체의 또 다른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제2 결합부의 외측단에는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로부터 크로스 조인트 수단 측으로 궤도 차량이 진입되는 과정에서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의 걸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이루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 중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가 상호 접할 경우,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결합부 또는 두 개의 제2 결합부가 이루는 외측 폭이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이루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 중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가 상호 접할 경우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에 형성된 두 개의 지지부가 이루는 폭이 궤도 차량에 설치된 휠에 형성된 주행홈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지며, 크로스 조인트에 형성된 지지부의 높이는 궤도 차량에 설치된 휠에 형성된 주행홈의 깊이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궤도 차량이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휠에 형성된 돌출부가 몸체의 상면을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궤도 차량이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소음의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를 통해 제1 레일과 제2 레일의 교차된 지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용성과 결합력이 크게 향상되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크로스 조인트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크로스 조인트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인트 수단의 적용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휠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크로스 조인트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크로스 조인트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인트 수단의 적용예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휠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은,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면서 교차 지점이 상호 단절되게 이루어지며 궤도 차량의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 이송을 안내하는 제1 레일(10) 및 제2 레일(20)과, 상기 제1 레일(10) 및 제2 레일(20)의 단절된 부위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 수단(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단절된 두 제1 레일(10) 중 어느 하나와 단절된 두 제2 레일(20)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100)와, 상기 크로스 조인트(1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 사이에 구비되며 크로스 조인트(1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 사이 공간을 채우는 스페이스바(200)와, 상기 크로스 조인트(100)와 스페이스바(2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크로스 조인트(100)와 스페이스바(2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궤도 차량은 화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 대차 또는 사람의 탑승 혹은 화물의 적재 등의 이송을 위한 기차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궤도 차량은 사람의 탑승 또는 화물의 적재를 위한 차량 몸체와, 차량 몸체의 저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차량 몸체가 궤도의 상부에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휠(30)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30)의 외륜 양 끝단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물론, 휠(30)의 양 끝단이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양 끝단 중 어느 한 끝단만이 돌출되는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나, 이 경우에는 궤도 차량의 운행 도중 궤도 차량이 어느 한측으로 치우치게 되면 궤도 차량이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휠(30)의 양 끝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돌출부(32)라 하고, 돌출부(32)가 형성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홈 형태를 이루는 것을 주행홈(31)이라 칭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레일(10) 및 제2 레일(20)은 궤도 차량이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부위이며, 제1 레일(10) 및 제2 레일(20)의 끝단(특히, 단절 부위의 측면)에는 결합 부재(300)가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홀(15)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된다.
상기 크로스 조인트(100)는, 상기 제1 레일(10)과 제2 레일(20)의 단절 부위 일부를 채우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단절된 두 제1 레일(10) 중 어느 하나 또는 단절된 두 제2 레일(2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111)와, 상기 몸체(110)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 결합부(111)와 결합되지 않은 단절된 두 제1 레일(10) 중 어느 하나 또는 단절된 두 제2 레일(2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112)와, 상기 몸체(110)의 또 다른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30)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1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크로스 조인트(100)의 외형을 이루는 부위이다.
이러한, 몸체(110)는 제1 레일(10)과 제2 레일(20)의 교차된 지점에서 형성되는 단절 부위의 일부를 채우는 것으로, 네 개의 몸체(110)가 상호 접함으로써 제1 레일(10)과 제2 레일(20)의 교차된 지점에서 형성되는 단절 부위의 전체를 채울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몸체(110)의 우측면(도 3에서)에는 제1 결합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부(111)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우측면 중에서도 상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몸체(110)의 우측면(도 3에서) 중에서도 하측(도 3에서)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빈 공간에는 제1 레일(10)이 위치되어 상호 결합되게 된다.
즉, 빈 공간은 인접하게 설치되는 다른 제1 결합부(111) 또는 제2 결합부(112)와의 사이에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이 위치되는 공간인 것이다.
또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11)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연장 형성된다.
이처럼, 제1 결합부(111)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됨에 따라 제1 레일(10)의 하단부(도 4에서)와의 간섭은 최소화되게 된다.
이는,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의 상단부(도 5에서)보다 하단부(도 5에서)의 폭이 더 큰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제1 결합부(111)의 측면(도 3에서 상하)에는 결합부 홀(115)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 홀(115)은, 제1 결합부(111)의 측면(도 3에서 상하 방향)에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 부재(300)가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결합부(111) 및 스페이스바(2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몸체(110)의 상측면(도 3에서)에는 제2 결합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부(112)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측면 중에서도 우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몸체(110)의 상측면(도 3에서) 중에서도 좌측(도 3에서)에는 빈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빈 공간에는 제2 레일(20)이 위치되어 상호 결합되게 된다.
또한, 제2 결합부(112)는 제1 결합부(111)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처럼, 제2 결합부(112)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됨에 따라 제2 레일(20)의 하단부와의 간섭은 최소화되게 된다.
또한, 제2 결합부(112)의 측면(도 3에서 좌우)에는 결합부 홀(115)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된다.
즉, 제2 결합부(112)는 제1 결합부(11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몸체(110)로부터 형성된 위치만 다른 부위이다.
이와 같은,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12)는 몸체(110)에서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호 직교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을 이루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100) 중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가 상호 접할 경우,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결합부(111) 또는 두 개의 제2 결합부(112)가 이루는 외측 폭이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30)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제1 레일(10)과 제2 레일(20)의 교차 지점에서 몸체(110)의 상면과 휠(30)의 돌출부(32)가 접함으로써 일시적인 궤도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을 이루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100) 중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가 상호 접할 경우,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결합부(111) 또는 두 개의 제2 결합부(112)가 이루는 내측 폭이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의 폭보다는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결합부(111) 또는 두 개의 제2 결합부(112)가 이루는 내측 공간에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상기 제1 결합부(111) 또는 제2 결합부(112)의 외측단에는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로부터 크로스 조인트 수단(40) 측으로 궤도 차량이 진입되는 과정에서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30)의 걸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114)가 형성된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부(111)의 상면에는 우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휠(30)이 크로스 조인트(100) 측으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경사부(114)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경사부(114)의 경사 각도는 2° 내지 3°로 이루어짐을 예로 하며, 걸림의 방지를 위한 것이므로 큰 각도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한편, 몸체(110)의 상면(도 4에서)에는 지지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13)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면 중에서도 좌측 하부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113)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휠(30)의 주행홈(31)을 순간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부위이다.
물론, 지지부(113)에 의하여 휠(30)의 이탈 역시 방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113)에도 제1 결합부(111) 또는 제2 결합부(112)에 형성된 경사부가 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을 이루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100) 중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가 상호 접할 경우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에 형성된 두 개의 지지부(113)가 이루는 폭이 궤도 차량에 설치된 휠(30)에 형성된 주행홈(31)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지며, 크로스 조인트(100)에 형성된 지지부(113)의 높이는 궤도 차량에 설치된 휠(30)에 형성된 주행홈(31)의 깊이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네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가 상호 접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네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에 각각 형성된 네 개의 지지부(113)가 이루는 상하 또는 좌우 폭이 주행홈(31)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궤도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지지부(113)에 의한 간섭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크로스 조인트(100)에 의하여 단절된 두 제1 레일(10) 중 어느 하나와 단절된 두 제2 레일(20) 중 어느 하나는 상호 연결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교차되는 제1 레일(10)과 제2 레일(20)의 교차 연결을 위해 네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가 이용됨을 예로 한다.
상기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3 내지 도 4를 기준으로 크로스 조인트(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몸체(110)에서 제1 결합부(111) 및 제2 결합부(112)와 지지부(113)의 형성된 위치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1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의 결합 위치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결합 위치에 따라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12)는 상기에서 설명한 예와는 다르게 표현될 수 있으나,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12)는 서로 같은 역할을 하는 부위이므로 문제될 것은 없다.
한편, 제1 결합부(111)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의 사이 또는 제2 결합부(112)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의 사이에는 스페이스바(20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의 단면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잘록하게 'I'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페이스바(200)는,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에서 양 측면(도 5에서)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잘록한 홈을 채우기 위한 부위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페이스바(20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도 5에서 우측에 위치한 스페이스바를 기준으로)이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에 형성된 잘록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우측면이 지면과 수직하는 면을 갖는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스페이스바(200)는 크로스 조인트(100)의 제1 결합부(111) 또는 제2 결합부(112)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과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결합부(111) 또는 제2 결합부(112)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 사이의 틈새를 채우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스페이스바(200)의 측면(도 5에서 좌우)에는 스페이스바 홀(21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스바 홀(210)은, 스페이스바(200)의 측면(도 5에서 좌우)에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 부재(300)가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결합부(111) 및 스페이스바(2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스페이스바(200)를 통해 크로스 조인트(100)의 제1 결합부(111) 또는 제2 결합부(112)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과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페이스바(200)는 서로 다른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의 연결을 위해 시중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페이스바(200)를 이용함에 따라 종래의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에도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크로스 조인트(100)와 스페이스바(2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 부재(300)는, 크로스 조인트(100)와 스페이스바(2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고정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러한, 결합 부재(300)는 제1 결합부(111) 또는 제2 결합부(112)에 형성된 결합부 홀(115)과, 스페이스바(200)에 형성된 스페이스바 홀(210)과,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에 형성된 레일 홀(15)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상호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을 통해 궤도 차량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에 발생되는 휨을 방지함과 더불어 하중 또는 충격을 지면으로 고르게 분산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40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0)는, 지면에 설치되면서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40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홀(410)이 관통 형성되고, 이 복수개의 고정홀(410)과 앵커 볼트(anchor bolt)를 통해 지면과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400)는 일종의 침목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적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궤도 차량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통해 주행이 이루어진다.
이 때, 궤도 차량이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통한 주행은, 휠(30)에 형성된 주행홈(31)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궤도 차량이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통해 주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교차 블럭에 해당하는 크로스 조인트 수단(40)과 접하게 된다.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40) 측으로 궤도 차량이 진입하게 될 경우, 휠(30)에 형성된 돌출부(32)가 몸체(110)의 상면과 접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순간적으로 휠(30)에 형성된 주행홈(31)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과는 접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처럼, 휠(30)에 형성된 돌출부(32)가 몸체(110)의 상면과 접하여 주행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지지부(113)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지지부(113)에 의하여 휠(30)에 형성된 돌출부(32)의 하중은 분산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함께 휠(30)의 이탈 역시 방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을 통과한 궤도 차량은 다시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휠(30)에 형성된 주행홈(31)을 통해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궤도 차량이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휠에 형성된 돌출부가 몸체의 상면을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궤도 차량이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소음의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를 통해 제1 레일과 제2 레일의 교차된 지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용성과 결합력이 크게 향상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제1 레일 15. 레일 홀
20. 제2 레일 30. 휠
31. 주행홈 32. 돌출부
40. 크로스 조인트 수단 100. 크로스 조인트
110. 몸체 111. 제1 결합부
112. 제2 결합부 113. 지지부
114. 경사부 115. 결합부 홀
200. 스페이스바 210. 스페이스바 홀
300. 결합 부재 400. 베이스 플레이트
410. 고정홀

Claims (5)

  1.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면서 교차 지점이 상호 단절되게 이루어지며, 궤도 차량의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 이송을 안내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의 단절된 부위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단절된 두 제1 레일 중 어느 하나와 단절된 두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
    상기 크로스 조인트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사이에 구비되며, 크로스 조인트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사이 공간을 채우는 스페이스바;
    상기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조인트는,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의 단절 부위 일부를 채우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단절된 두 제1 레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단절된 두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몸체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 결합부와 결합되지 않은 단절된 두 제1 레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단절된 두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
    상기 몸체의 또 다른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제2 결합부의 외측단에는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로부터 크로스 조인트 수단 측으로 궤도 차량이 진입되는 과정에서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의 걸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이루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 중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가 상호 접할 경우,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결합부 또는 두 개의 제2 결합부가 이루는 외측 폭이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이루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 중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가 상호 접할 경우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에 형성된 두 개의 지지부가 이루는 폭이 궤도 차량에 설치된 휠에 형성된 주행홈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지며, 크로스 조인트에 형성된 지지부의 높이는 궤도 차량에 설치된 휠에 형성된 주행홈의 깊이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KR1020210112060A 2021-08-25 2021-08-25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KR102580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060A KR102580531B1 (ko) 2021-08-25 2021-08-25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060A KR102580531B1 (ko) 2021-08-25 2021-08-25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162A true KR20230030162A (ko) 2023-03-06
KR102580531B1 KR102580531B1 (ko) 2023-09-20

Family

ID=8550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060A KR102580531B1 (ko) 2021-08-25 2021-08-25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5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001U (ko) * 1989-11-08 1991-07-09
KR20120088115A (ko) * 2011-01-31 2012-08-08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보강형 접착식 절연 레일이음매장치
KR101719762B1 (ko) 2015-12-31 2017-03-24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교차 레일 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001U (ko) * 1989-11-08 1991-07-09
KR20120088115A (ko) * 2011-01-31 2012-08-08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보강형 접착식 절연 레일이음매장치
KR101719762B1 (ko) 2015-12-31 2017-03-24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교차 레일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531B1 (ko)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03323A1 (en) Track Assembly for a Storage System
US20210285163A1 (en) Rail system for a conveying vehicle and storage system
JP2020200754A (ja) レール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レール基礎ブロック
KR20230030162A (ko)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AU2005200448B2 (en) Drive unit mount for recriprocating slat conveyor
US2955687A (en) Nailable flooring
CN206666944U (zh) 用于悬挂式单轨交通轨道梁的装配式连接结构
US8082854B2 (en) Chassis for a cable or pipeline trolley
CN1018357B (zh) 货运集装箱
US4887678A (en) Device for weighing vehicles
US3147714A (en) Elevated track and structure for supporting a coach for movement therealong
CN116923930A (zh) 集装箱自动化仓库
CN113602307A (zh) 一种钢板、钢梁运输车架及使用方法
CN113954898B (zh) 一种集装箱承载装置及能装载轮式装备的集装箱车
KR101719762B1 (ko) 교차 레일 블록
KR20170057244A (ko) 고가 유도 운송 선로 경간 구조물과, 상기 경간 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고가교
US20230303322A1 (en) Warehouse for the storage and retrieval of goods or bundles of goods placed on load carriers
CN216269253U (zh) 一种钢板、钢梁运输车架
JP4066675B2 (ja) 車両荷台の根太構造
CN210105416U (zh) 一种用于巷道堆垛机的底盘
JP7254292B2 (ja) 軌条高変更装置
JP2021178549A (ja) 台車システム
KR100758660B1 (ko) 모듈러 유니트
JP2022134070A (ja) レール組立体
CN203268915U (zh) 翻转护轨、地拖链输送轨道及地拖链输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