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961A -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한 유체 제어기 - Google Patents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한 유체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961A
KR20230029961A KR1020237003433A KR20237003433A KR20230029961A KR 20230029961 A KR20230029961 A KR 20230029961A KR 1020237003433 A KR1020237003433 A KR 1020237003433A KR 20237003433 A KR20237003433 A KR 20237003433A KR 20230029961 A KR20230029961 A KR 20230029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luid controller
locking
flui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히다카
타카토시 나카타니
카즈유키 모리사키
토모카즈 히로타
코우지 니시노
노부카즈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ublication of KR2023002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Abstract

(과제) 케이싱의 하부를 유체량 제어기의 본체에 고정한 상태이여도 케이싱내의 메인터넌스를 가능하게 하고,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유체 제어기(100)의 본체(101) 상의 기기(104, 106, 108)를 커버하기 위한 케이싱(1)으로서, 상기 케이싱(1)은,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부분은, 상기 본체(10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i)를 구비하는 제 1 부분(2)과, 상기 제 1 부분(2)에 부착되는 제 2 부분(4)과, 상기 케이싱(1)의 소정 높이 위치보다 상부에 있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부분(5)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한 유체 제어기
본 발명은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한 유체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직육면체의 본체와, 본체에 부착되어서 유로 내의 압력이나 온도 등을 검출하는 센서와, 본체 상에 부착되어서 센서의 검출값에 따라서 유로를 개폐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는 유체 제어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4 등). 제어 밸브로서는, 적층형 압전소자를 내장하는 피에조 액츄에이터의 신축을 이용해서 다이어프램 밸브체를 개폐 제어하는 압전 구동 밸브가 알려져 있다. 본체 상의 제어 밸브 등을 덮도록 하여 본체 상에 케이싱이 부착된다.
도 9는 종래의 유체 제어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특허문헌 3의 도 1)이다. 도 9에 나타내어진 유체 제어기(100)는, 유로(102)가 형성된 본체(101)와, 유로(102)에 개재된 다이어프램 밸브체(103)와, 다이어프램 밸브체(103)를 개폐 조작하는 피에조 액츄에이터(104)와, 다이어프램 밸브체(103)의 하류측의 유로(102)에 개재된 스로틀 기구(105)와, 다이어프램 밸브체(103)와 스로틀 기구(105) 사이의 유로(102)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106)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01)에 케이싱(107)이 부착되어 있다.
오리피스 등의 스로틀 기구(105)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Q)은, 스로틀 기구(105)의 상류측의 절대압력(P1)이 스로틀 기구(105)의 하류측의 압력(P2)의 2배 이상인 압력조건 하에서는, 스로틀 기구(105)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속이 음속으로 된다. 즉 유량(Q)은 스로틀 기구(105)의 오리피스부의 속도가 음속으로 불변이기 때문에, 상류측의 절대압력(P1)에만 비례한다. 이 원리를 임계 팽창 조건이라고 하고, 이 종류의 유체 제어기(100)는 이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고정밀도로 유량을 제어한다. 도 9에 나타내는 유체 제어기는, 스로틀 기구(105)의 상류측에만 압력 센서(106)가 설치되어 있는 예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스로틀 기구(105)의 하류측에도 압력 센서(108)를 추가해서 하류측의 유체의 압력(P2)도 검출될 수 있다. 또, 도 10에 있어서, 도 9와 같은 구성요소에 동 부호를 붙이고 있다.
피에조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압전 구동 밸브는, 메인터넌스시 등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적층형 압전소자에 의한 다이어프램 밸브체의 작동 스트로크가 조정된다. 작동 스트로크의 조정은, 적층형 압전소자(104a)가 수용되어 있는 케이스(104b)의 상부에 나사부착된 조정용 캡너트(104c)의 조임량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정에 관해서, 참조에 의해 도입되는 일본 특허공개 2003-12083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249002호 공보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 종류의 유체 제어기에 있어서는, 유체 제어기를 통과하는 유체가 고온 유체일 경우, 제어하는 유체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107)이 고정되어 있는 유체 제어기의 본체를 재킷 히터 등의 보온재(109)에 의해 덮는 것이, 참조에 의해 도입되는는 국제공개 WO2011/ 067877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 11-35303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120832호 공보, 단락 0028, 도 1 일본 특허공개 2008-249002호 공보, 단락 0029, 단락 0048, 도 1∼도 3, 도 9, 도 10 국제공개 WO2011/ 067877호 팜플릿, 도 11
종래, 압전 구동 밸브의 스트로크 조정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위해서는, 유체 제어기의 본체로부터 케이싱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케이싱은, 일반적으로 케이싱의 하부가 본체의 측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유체 제어기의 본체가 재킷 히터 등의 보온재로 덮여져 있으면, 케이싱을 분리하기 전에 재킷 히터를 분리하지 않으면 안되어 작업 효율이 나빴다. 또한, 재킷 히터 등의 보온재에 의해 케이싱 내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압전 구동 밸브의 스트로크 조정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고 싶을 경우라도, 케이싱의 하부의 고정을 유체 제어기의 본체로부터 떼어내는 것에 의해 케이싱 내의 온도가 급격하게 내려가서, 온도 특성을 고려한 조정 등을 행하는 것이 곤란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케이싱의 하부를 유체 제어기의 본체에 고정한 상태이여도 케이싱 내의 메인터넌스를 가능하게 하고,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및 상기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을 구비한 유체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은, 일양태에 있어서, 유체 제어기의 본체 상의 기기를 커버하기 위한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으로서, 상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부착되는 제 2 부분과, 상기 케이싱의 소정 높이 위치보다 상부에 있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부분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을 종분할 형상으로 분할한 일방의 부분이며, 상기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에 의해 종분할 형상으로 분할된 상기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타방의 부분을 상하로 분할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3 부분이 상기 제 2 부분의 상부에 배치된다.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 4 부분과, 상기 제 4 부분의 상부에 있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5 부분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과 상기 제 5 부분의 높이 치수가 상이하다.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피록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피록킹부에 록킹함으로써 상기 제 2 부분을 상기 제 1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록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2 부분을 상기 제 1 부분을 따르게 해서 하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록킹하고, 상기 제 2 부분을 상기 제 1 부분을 따르게 해서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록킹을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을 상하로 분할 가능하게 하는 하방 부분이며, 상기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에 의해 분할된 상기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상방 부분을 종분할 형상으로 분할하는 부분이다.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이 맞물림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 3 부분이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의 어느 일방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는, 유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상에 탑재된 유체 제어용의 기기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기기를 덮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을, 유체 제어기의 본체에 고정하는 제 1 부분과 그 밖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또한 상기 그 밖의 부분을 제 2 부분과 케이싱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3 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있는 제 3 부분을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 3 부분만을 분리하여 케이싱 내를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제 1 실시형태를 유체 제어기와 함께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다른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다른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조립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케이싱이 부착된 유체 제어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케이싱이 부착된 유체 제어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케이싱이 부착된 유체 제어기이며, 유체량 제어기 본체가 보온재로 덮여진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도 1∼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종래기술을 포함하여, 전체 도면 및 전체 실시형태를 통해서 동일 또는 유사의 구성요소에는 동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1)은, 유체 제어기(100)의 본체(101)에 고정되는 제 1 부분(2)과, 제 1 부분(2)에 부착되는 제 2 부분(4)과, 제 2 부분(4)의 상부에 있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부분(5)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분(2)은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1)을 종분할 형상으로 분할한 일방의 부분이다. 제 2 부분(4) 및 제 3 부분(5)은, 제 1 부분(2)에 의해 종분할 형상으로 분할된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1)의 타방의 부분(3)을 상하로 분할한 부분이다. 제 3 부분(5)이 제 2 부분(4)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유체 제어기(100)는, 유로(102)도 9 참조)가 형성된 본체(101)의 위에 피에조 액츄에이터(104)나 압력 센서(106, 108) 등의 유체 제어용의 기기가 고정되고, 이들 기기를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1)이 커버한다. 피에조 액츄에이터(104)의 상부에는 조정용 캡너트(104c)가 나사부착되어 있다. 이 종류의 유체 제어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공지이므로, 내부구조 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부분(2)에는 피에조 액츄에이터(104), 및 압력 센서(106, 108)의 전기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6)가 부착되어 있다. 전기배선은 일부만이 도시되고, 나머지의 부분은 도시 생략되어 있다.
제 1 부분(2)은, 뒤판(2a)과, 좌우의 측판(2b, 2c)과, 상부의 스테이(2d)와, 갈고리 형상의 피록킹부(2e, 2f, 2g, 2h)와, 본체(10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i)를 구성하는 좌판(座板)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부분(2)은 알루미늄 등의 1매의 금속판을 절삭 가공 및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i)는 좌우의 측판(2b, 2c)의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직각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i)는 나사(7)(도 2)를 통과시키는 통과구멍(2j)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i)를 구성하는 좌판은 본체(101)의 상면에 적재된다. 또, 본명세서에 있어서 「앞」, 「뒤」, 「좌」, 「우」를 편의상 사용하고 있고, 전후, 좌우는 어느 쪽이라도 좋다.
본체(101)의 상면에는 통과구멍(2j)과 합치하는 위치에 나사구멍(10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7)에 의해서, 제 1 부분(2)이 본체(101) 상에 적재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제 2 부분(4)은 하부 앞판(4a)과, 좌우의 하부 측판(4b, 4c)과, 좌우의 하부 측판(4b, 4c)의 각각에 설치된 록킹부(4e, 4f, 4g, 4h)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부분(4)은 알루미늄 등의 1매의 금속판을 절삭 가공 및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3 부분(5)은 천판(5a)과, 상부 앞판(5b)과, 좌우의 상부 측판(5c, 5d)과, 하부 돌출편(5e)과, 측부 돌출편(5f, 5g)을 구비하고 있다. 제 3 부분(5)은 알루미늄 등의 1매의 금속판을 절삭 가공 및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록킹부(4e, 4f, 4g, 4h)가 피록킹부(2e, 2f, 2g, 2h)에 각각 록킹함으로써, 제 2 부분(4)이 제 1 부분(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 1 부분(2)의 피록킹부(2e, 2f, 2g, 2h)는 상하로 이간해서 복수단(도시예에서는 2단) 설치되어 있다. 록킹부(4e, 4f, 4g, 4h)는 피록킹부(2e, 2f, 2g, 2h)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간해서 복수단(도시예에서는 2단) 설치되어 있다.
피록킹부(2e, 2f, 2g, 2h)는 좌우의 측판(2b, 2c)의 각각의 내측으로부터 돌출하여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록킹부(4e, 4f, 4g, 4h)는 역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의 하부 측벽(4b, 4c)의 각각의 측단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록킹부(2e, 2f, 2g, 2h)의 외측면이 측판(2b, 2c)의 내측면과 같은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피록킹부(2e, 2f, 2g, 2h)가 굽힘 형성되어 있다. 록킹부(4e, 4f, 4g, 4h)의 외측면은, 하부 측판(4b, 4c)의 측 가장자리(4b1, 4c1)와 동일 높이 면으로 되도록 굽힘 형성되어 있다.
록킹부(4e, 4f, 4g, 4h)는, 제 2 부분(4)을 제 1 부분(2)을 따르게 해서 하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록킹하고, 제 2 부분(4)을 제 1 부분(2)을 따르게 해서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이탈한다. L자 형상을 한 피록킹부(2e, 2f, 2g, 2h)와 역L자 형상을 한 록킹부(4e, 4f, 4g, 4h)는 같은 판두께이며, 서로 끼워맞추는 오목부의 홈 폭이 판두께와 대략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어, 도 3에 나타내는 록킹시에 덜컹거림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제 2 부분(4)의 가로 폭(W1)과 제 1 부분(2)의 가로 폭(W2)은 동 치수로 되어 있다. 록킹부(4e, 4f, 4g, 4h)를 피록킹부(2e, 2f, 2g, 2h)에 록킹시켜서 제 2 부분(4)을 제 1 부분(2)에 부착하면, 하부 측판(4b, 4c)과 제 1 부분(2)의 측판(2b, 2c)은 서로 대향하는 측 가장자리(4b1, 4c1)와 측 가장자리(2b1, 2c1)가 합치하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측판(2b, 2c)과 하부 측판(4b, 4c)의 각각의 측면이 동일 높이 면으로 된다.
제 3 부분(5)의 천판(5a)은 케이싱(1)의 천판을 구성한다. 천판(5a)은 제 1 부분(2)의 상부에 설치된 스테이(2d)에 적재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10)에 의해 나사 고정된다. 천판(5a)은 스테이(2d)에 적재됨과 동시에, 측판(2b, 2c)에도 적재될 수 있다. 제 3 부분(5)은 나사(10)의 부착 분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천판(5a)에는 나사(10)를 통과시키기 위한 테이퍼 형상의 구멍(5a1, 5a2)이 형성되어 있고, 스테이(2d)에는 나사(10)를 나사삽입하는 나사구멍(2d1, 2d2)이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2d)는 천판(5a)에 비해서 작은 면적에 형성됨으로써, 제 3 부분(5)을 제 1 부분(2)으로부터 분리했을 때에 케이싱 내부에 액세스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스테이(2d)의 안길이 치수(W3)(도 3)는, 천판(5a)의 안길이 치수(W4)의 절반 이하로 할 수 있다.
상부 앞판(5b)의 가로 폭(W5)은 제 1 부분(2)의 가로 폭(W2)과 같은 치수이다. 상부 측판(5c, 5d)의 각각의 측 가장자리(5c1, 5d1)는 제 1 부분(2)의 좌우의 측판(2b, 2c)의 측 가장자리(2b1, 2c1)와 합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부분(5)의 하단 가장자리(5b1)는 제 2 부분(4) 상단 가장자리(4a1)에 합치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측부 돌출편(5f, 5g)이 제 3 부분(5)의 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측부 돌출편(5f, 5g)은, 상부 측판(5c, 5d)의 내면으로부터 상부 측판(5c, 5d)과 평행하게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부 돌출편(5f, 5g)은 제 1 부분(2)의 측판(2b, 2c)의 각각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안내될 수 있다. 제 3 부분(5)을 제 1 부분(2)에 부착할 때, 측부 돌출편(5f, 5g)은 제 1 부분(2)의 좌우의 측판(2b, 2c)의 각각의 내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제 3 부분(5)의 좌우 방향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측부 돌출편(5f, 5g)은 일방만 형성할 수도 있다.
하부 돌출편(5e)은 상부 앞판(5b)의 하부 내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다. 하부 돌출편(5e)은 제 1 부분(2)에 부착되어 있는 제 2 부분(4)의 하부 앞판(4a)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안내될 수 있다. 제 3 부분(5)을 제 1 부분(2)에 부착할 때, 하부 돌출편(5e)이 제 2 부분(4)의 하부 앞판(4a)의 내측면에 안내됨으로써, 전후 방향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되고, 제 3 부분(5)의 하단 가장자리(5b1)와 제 2 부분(4)의 상단 가장자리(4a1)의 전후 방향의 위치맞춤이 용이하게 된다. 록킹부(4e, 4f, 4g, 4h)를 피록킹부(2e, 2f, 2g, 2h)에 록킹시켜서 제 2 부분(4)을 제 1 부분(2)에 부착한 후, 제 3 부분(5)을 제 1 부분(2)에 나사(10)에 의해 나사 고정하면, 제 2 부분(4)은 상방으로의 슬라이드가 제 3 부분(5)에 의해 저지되고, 제 2 부분(4)의 록킹부(4e, 4f, 4g, 4h)는 제 1 부분(2)의 피록킹부(2e, 2f, 2g, 2h)로부터 빠질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제 2 부분(4)의 나사 고정 작업은 불필요하여, 조립 공정수가 삭감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에 의하면, 제 3 부분(5)을 제 1 부분(2)으로부터 분리시키면, 피에조 액츄에이터(104)의 상단부에 나사부착된 조정용 캡너트(104c)에 액세스하여, 그 조임량(나사 삽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 3 부분(5) 및 제 2 부분(4)의 높이 치수는, 본체(101)에 탑재되는 피에조 액츄에이터(104) 등의 기기의 치수에 따라서 적당히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에조 액츄에이터(104)의 비원형 단면을 갖는 본체 외주부(104d)(도 3)에 일방의 스패너 등의 공구를 걸고, 조정용 캡너트(104c)에 다른 스패너 등의 공구를 걸어서, 조정용 캡너트(104c)의 조임량을 조정할 수 있는 정도로, 제 3 부분(5) 및 제 2 부분(4)의 높이 치수를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부분(4)의 높이 치수(H1)를, 예를 들면, 제 1 부분(2)의 높이 치수(H2)의 1/2∼1/4로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메인터넌스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체 제어기(100)의 본체(101)가 보온재(109)(도 4에 파선으로 나타낸다.)에 의해서 덮여져 있을 경우라도, 보온재(109)를 분리하지 않고 제 3 부분(5)만을 제 1 부분(2)으로부터 분리하여, 조정용 캡너트(104c)의 조임량의 조정(스트로크 조정) 등의 기기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또, 유체 제어기(100)의 본체(101)는 그 주위에 알루미늄제 패널 히터(도시 생략.)가 부착되고, 그 알루미늄제 패널 히터를 보온재(109)로 덮을 경우도 있다.
제 3 부분(5)만을 제 1 부분(2)으로부터 분리하는 것만으로,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1)의 전체를 본체(101)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온재(109) 등에 의한 보온 상태를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조정용 캡너트(104c)의 조임량의 조정 그 밖의 케이싱 내부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어, 온도 특성을 고려한 조정 그 밖의 메인터넌스가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은, 록킹부(4e', 4f', 4g', 4h')을 하부 측판(4b, 4c)으로부터 하부 측판(4b, 4c)에 평행하게 돌출된 역L자 형상으로 하고, 피록킹부(2e', 2f', 2g', 2h')를 측판(2b, 2c)의 내측면으로 돌출한 핀의 형태로 하고 있는 점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고,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제 1 부분(2)에 상당하는 부분이, 고정부(2i)를 구비하는 제 4 부분(2D)과, 제 4 부분(2D)의 상부에 있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5 부분(2U)으로 상하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 4 부분(2D)에 설치된 록킹부(2D1, 2D2)와, 제 5 부분(2U)에 설치된 피록킹부(2U1, 2U2)가 각각 맞물린다. 록킹부(2D1, 2D2)는 좌우의 하부 측판(2cD, 2bD)의 내측면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피록킹부(2U1, 2U2)는 좌우의 상부 측판(2cD, 2bU)의 내측면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직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4 부분(2D) 상에 제 5 부분(2U)을 적재해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록킹부(2D1, 2D2)와 피록킹부(2U1, 2U2)를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록킹부(2D1, 2D2)와 피록킹부(2U1, 2U2)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부 뒤판(2a1)과 하부 뒤판(2a2)이 동일 높이 면으로 되고, 하부 측판(2cD, 2bD)과 상부 측판(2cD, 2bU)도 동일 높이 면으로 된다.
또한, 하부 앞판(4)의 하부 측판(4b, 4c)에 설치된 록킹부(4i, 4j)와, 상부 앞판(5)의 상부 측판(5c, 5d)에 설치된 피록킹부(5p, 5q)가 각각 맞물린다. 록킹부(4i, 4j)는 좌우의 하부 측판(4b, 4c)의 내측면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피록킹부(5p, 5q)는 좌우의 상부 측판(5c, 5d)의 내측면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직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부분(4) 상에 제 3 부분(5)을 적재해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록킹부(4i, 4j)와 피록킹부(5p, 5q)를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록킹부(4i, 4j)와 피록킹부(5p, 5q)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하부 앞판(4a)과 상부 앞판(5b)이 동일 높이 면으로 되고, 하부 측판(4b, 4c)과 상부 측판(5c, 5d)도 동일 높이 면으로 된다.
제 3 부분(5)의 높이 치수(H3)와 제 5 부분(2U)의 높이 치수(H4)를 상이한 치수로 설정함으로써, 메인터넌스가 필요한 기기에 따라서 제 3 부분(5)을 분리할지 제 5 부분(2U)을 분리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제 2 부분(4) 및 제 5 부분(2D)의 높이 치수는, 유체 제어기에 탑재되는 기기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높이 치수(H3)는 높이 치수(H4)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4 부분(2D)의 고정부(2i)를 유체 제어기의 본체(101)에 나사 고정한다. 그리고, 제 5 부분(2U)을 제 4 부분(2D)의 위에 얹어서 슬라이드시켜서 록킹부(2D1, 2D2)와 피록킹부(2U1, 2U2)를 맞물리게 하고, 제 5 부분(2U)을 제 4 부분(2D) 상에 착탈 가능하게 접합한다. 다음에, 제 2 부분(4)의 록킹부(4g, 4h)를 제 4 부분(2D)의 피록킹부(2g, 2h)에 록킹시켜서 제 2 부분(4)을 제 4 부분(2D)에 접합시켜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한다. 이어서, 제 3 부분(5)을 제 2 부분(4)의 위에 얹어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록킹부(4i, 4j)와 피록킹부(5p, 5q)를 맞물리게 하고, 제 2 부분(4) 상에 제 3 부분(5)을 접합함과 아울러 제 3 부분(5)을 제 5 부분(2U)에 접촉시킨다. 또한, 구멍(5a1, 5a2)과 나사구멍(2d1, 2d2)을 중합시켜서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나사 고정한다. 이 나사 고정에 의해, 록킹부(2D1, 2D2, 4g, 4h, 4i, 4j)와 피록킹부(2U1, 2U2, 2g, 2h, 5p, 5q)의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사 고정된 나사를 풀면, 제 5 부분(2U) 또는 제 3 부분(5)을 분리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의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1)에서는, 제 1 부분(2)은 케이싱(1)을 상하로 분할 가능하게 하는 하방 부분이며, 제 2 부분(4) 및 제 3 부분(5)은 제 1 부분(2)에 의해 분할된 케이싱(1)의 상방 부분(3)을 종분할 형상으로 분할하는 부분이다.
제 2 부분(4)에 록킹부(4m, 4n)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록킹부(4m, 4n)가 록킹하는 피록킹부(2m, 2n)가, 제 1 부분(2)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부분(2)의 상단 가장자리(2p)의 위에 제 2 부분(4)의 하단 가장자리(4p)를 얹어서, 제 2 부분(4)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록킹부(4m, 4n)가 피록킹부(2m, 2n)에 록킹한다.
제 3 부분(5)에는, 대향하는 측벽(5h, 5i)과, 측벽(5h, 5i)과 직교하는 측벽(5k)의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하부 돌출편(5l, 5m, 5n)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돌출편(5l, 5m, 5n)은 제 1 부분(2)의 내벽면에 안내되어서 접촉한다. 하부 돌출편(5l, 5m, 5n)은 제 1 부분(2)에 대한 제 3 부분(5)의 위치결정으로도 된다. 하부 돌출편(5l)이 제 1 부분(2)의 내벽면에 접촉한 상태로 제 3 부분(5)이 제 2 부분(4)에 접합함으로써 제 2 부분(4)의 슬라이드가 제한되어, 제 2 부분(4)의 록킹부(4m, 4n)가 제 1 부분(2)의 피록킹부(2m, 2n)로부터 벗겨지지 않게 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제 1 실시형태의 측부 돌출편(5g, 5g)과 같이, 측판(5h, 5i)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측부 돌출편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제 3 부분(5)이 제 1 부분(2) 및 제 3 부분(4)에 접합하면, 천판(5a)에 형성한 구멍(5a1, 5a2)과 스테이(2d)에 형성한 나사구멍(2d1, 2d2)이 중합하고,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사용하여 제 3 부분(5)을 제 2 부분(4)에 나사 고정할 수 있다. 이 나사 고정에 의해, 제 2 부분(4)은 제 1 부분(2)으로부터 떼어낼 수 없어진다.
제 1 부분(2)의 높이 치수, 제 2 부분의 종횡 치수 등의 치수는, 유체 제어기에 탑재되는 기기의 종류나 치수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의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1)은,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며, 제 3 부분(5)이 제 1 부분(2)에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제 1 부분(2)의 측면에 나사(도시 생략.)를 통과시키는 구멍(2q)이 형성되어 있고, 제 3 부분(5)의 하부 돌출편(5n)에 나사구멍(5q)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분(4)을 제 1 부분(2)에 얹어서 슬라이드시켜, 제 2 부분(4)의 록킹부(4m, 4n)를 제 1 부분(2)의 피록킹부(2m, 2n)에 록킹시켜 두고, 제 3 부분(5)을 제 2 부분(4)에 접합하면서 제 1 부분(2)에 얹어,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구멍(2q)에 통과시켜서 나사구멍(5q)에 나사삽입한다. 이렇게 해서 제 3 부분(5)이 제 1 부분(2)에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되면, 제 2 부분(4)은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고, 록킹부(4m, 4n)를 피록킹부(2m, 2n)로부터 떼어낼 수 없게 된다. 제 3 부분(5)을 제 1 부분(2)에 고정하고 있는 나사를 풀면, 제 3 부분(5)만 제 1 부분(2)으로부터 벗겨져, 케이싱 내의 메인터넌스가 가능하게 된다. 제 2 부분(4)의 천판(4r)과 제 3 부분(5)의 천판(5a)은, 조립시에 같은 높이로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3 부분의 나사 고정에 의해 상기 록킹부와 상기 피록킹부의 록킹이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록킹부 및 피록킹부를 설치하는 위치, 및 돌출편을 설치하는 위치, 분할 가능한 부분의 양태는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록킹부에 의해 록킹하는 구조를 예시했지만,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1 :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2 : 제 1 부분
2a : 뒤판
2b, 2c : 측판
2d : 스테이
2e, 2f, 2g, 2h : 피록킹부
2e', 2f', 2g', 2h' : 피록킹부
2i : 고정부
2D : 제 4 부분
2U : 제 5 부분
4 : 제 2 부분
4a : 하부 앞판
4b, 4c : 하부 측판
4e, 4f, 4g, 4h : 록킹부
4e', 4f', 4g', 4h' : 록킹부
5 : 제 3 부분
5a : 천판
5b : 상부 앞판
5c, 5d : 상부 측판
5f, 5g : 측부 돌출편
5e : 하부 돌출편
100 : 유체 제어기
101 : 본체
104 : 피에조 액츄에이터
104c : 조정용 캡너트

Claims (8)

  1. 유체 제어기의 본체 상의 기기를 커버하기 위한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으로서,
    상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부착되는 제 2 부분과, 상기 케이싱의 소정 높이 위치보다 상부에 있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부분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상기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을 종분할 형상으로 분할한 일방의 부분이며,
    상기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에 의해 종분할 형상으로 분할된 상기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타방의 부분을 상하로 분할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3 부분이 상기 제 2 부분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 4 부분과, 상기 제 4 부분의 상부에 있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5 부분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는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과 상기 제 5 부분의 높이 치수가 상이한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피록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피록킹부에 록킹함으로써 상기 제 2 부분을 상기 제 1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록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2 부분을 상기 제 1 부분을 따르게 해서 하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록킹하고, 상기 제 2 부분을 상기 제 1 부분을 따르게 해서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록킹을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을 상하로 분할 가능하게 하는 하방 부분이며,
    상기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에 의해 분할된 상기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의 상방 부분을 종분할 형상으로 분할하는 부분인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이 맞물림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 3 부분이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의 어느 일방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8. 유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상에 탑재된 유체 제어용의 기기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기기를 덮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을 구비하는 유체 제어기.
KR1020237003433A 2020-10-31 2021-10-18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한 유체 제어기 KR202300299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83374 2020-10-31
JP2020183374 2020-10-31
PCT/JP2021/038441 WO2022091841A1 (ja) 2020-10-31 2021-10-18 流体制御器用筐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流体制御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961A true KR20230029961A (ko) 2023-03-03

Family

ID=8138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433A KR20230029961A (ko) 2020-10-31 2021-10-18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한 유체 제어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400114A1 (ko)
JP (1) JP7357982B2 (ko)
KR (1) KR20230029961A (ko)
WO (1) WO202209184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3030A (ja) 1998-06-08 1999-12-24 Hitachi Metals Ltd マスフローコントローラ
JP2003120832A (ja) 2001-10-17 2003-04-23 Fujikin Inc 圧電素子駆動式金属ダイヤフラム型制御弁
JP2008249002A (ja) 2007-03-30 2008-10-16 Fujikin Inc 圧電素子駆動式制御弁
WO2011067877A1 (ja) 2009-12-01 2011-06-09 株式会社フジキン 圧力式流量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6975U (ko) * 1981-05-06 1982-11-09
US20090267466A1 (en) 2008-04-28 2009-10-29 Meter Devices Company, Inc. Primary enclosure for electric power meters
JP2018147863A (ja) 2017-03-09 2018-09-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燃料電池の収容ケ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3030A (ja) 1998-06-08 1999-12-24 Hitachi Metals Ltd マスフローコントローラ
JP2003120832A (ja) 2001-10-17 2003-04-23 Fujikin Inc 圧電素子駆動式金属ダイヤフラム型制御弁
JP2008249002A (ja) 2007-03-30 2008-10-16 Fujikin Inc 圧電素子駆動式制御弁
WO2011067877A1 (ja) 2009-12-01 2011-06-09 株式会社フジキン 圧力式流量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1841A1 (ja) 2022-05-05
JPWO2022091841A1 (ko) 2022-05-05
JP7357982B2 (ja) 2023-10-10
TW202227739A (zh) 2022-07-16
US20230400114A1 (en)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5071B2 (ja) 流体制御装置
EP0969234B1 (en) Fluid control device
US9835195B2 (en) Bolt-locking apparatus, mounting method thereof and mounting jig
JP5125228B2 (ja) 流体制御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102009242B1 (ko) 압전식 리니어 액츄에이터, 압전 구동 밸브 및 유량 제어 장치
US5967489A (en) Fluid control apparatus
JP5085867B2 (ja) 圧力センサ装置および圧力センサ内蔵流体制御機器
KR20230029961A (ko) 유체 제어기용 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한 유체 제어기
AU2006324346A1 (en) Apparatus for attachment of a mount for sensors, switching means and the like to rails
WO2017221891A1 (ja) 流体制御装置
WO2009113345A1 (ja) コネクタ
TWI835017B (zh) 流體控制器用框體及具備該框體的流體控制器
WO2020090521A1 (ja) 流体制御装置および流体制御装置の製造方法
CN112334251B (zh) 用于冶金容器的、优选用于连铸系统的中间包的滑动封闭件
KR100382430B1 (ko) 베이스와 액츄에이터 사이의 연결 구조체 및 리니어액츄에이터
JP3148047U (ja) スライドコア用ガイド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機
EP3104077B1 (en) Heat-insulating ceramic tile with low thickness for a combustion chamber of a gas turbine
US20180087684A1 (en) Fluid control system and joint block used therefor
JP2015108473A (ja) 固定構造及び室外機
KR102584075B1 (ko) 유체 제어장치, 조인트 블록 및 유체 제어장치의 제조방법
WO2024098733A1 (zh) 一种调节阀
US20070141414A1 (en) Fuel cell having micro sensors
JP5797010B2 (ja) 流体制御装置
JP2511999Y2 (ja) シリンダにおける補助機器の取付構造
JPH02222566A (ja) 半導体モジュ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