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305A -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305A
KR20230029305A KR1020210111642A KR20210111642A KR20230029305A KR 20230029305 A KR20230029305 A KR 20230029305A KR 1020210111642 A KR1020210111642 A KR 1020210111642A KR 20210111642 A KR20210111642 A KR 20210111642A KR 20230029305 A KR20230029305 A KR 20230029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ole
gasket
switch
head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8830B1 (ko
Inventor
윤형석
정병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to KR1020210111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83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1164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883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디바이스는 길게 연장된 제1 파트와,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파트에 결합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2 파트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파트에 결합되는 헤드 마운트; 상기 헤드 마운트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 마운트를 커버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와 상기 헤드 마운트의 사이에 삽입되는 개스킷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DEVICE}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플랜트 또는 기계의 위험 구역에서 작업 시, 스위치가 설치된 디바이스를 플랜트의 외부 장치에 연결하여 외부 장치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디바이스에 설치된 스위치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장치의 오작동 및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디바이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일본공개문헌 JP 2000-265935는 스위칭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스위칭 장치는 플런저가 압입되어 오프 동작에서 온 동작으로 전환될 때, 스프링을 통해 단계적으로 스냅(snap) 액션을 일으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스냅 액션에 의한 조작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일본공개문헌 2000-265935호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전장품의 배선을 하나의 파트(one part)에 수용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단일한 개스킷에 의해 상기 하나의 파트를 방수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타입의 헤드가 장착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게 연장된 제1 파트와,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파트에 결합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2 파트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파트에 결합되는 헤드 마운트; 상기 헤드 마운트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 마운트를 커버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와 상기 헤드 마운트의 사이에 삽입되는 개스킷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일한 개스킷에 의해 복수개의 전장품을 방수함으로써, 공수 및 부품 수를 절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바이스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바이스의 헤드를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타입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좌표축에 의하면, 전방 및 후방은 y축 방향에 대응되고, 좌측 및 우측은 z축 방향에 대응되며, 상측 및 하측은 x축 방향에 대응된다.
이하, 본 개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는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를 포함하는 하우징(2), 제1 스위치(31), 제2 스위치(32), 월(41)이 형성된 헤드(40), 발광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는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디바이스(1)는 복수개의 스위치(31, 32)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위치(31, 32)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외부 장치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1)와 상기 외부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결선하는 등의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의 헤드(40)가 상측을 향하도록 디바이스(1)를 파지할 수 있다.
하우징(2)은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파트(20)는 제1 파트(10)의 측면(lateral surface)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파트(10)는 하우징(2)의 전방을 구성할 수 있고, 제2 파트(20)는 하우징(2) 후방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가 길게 연장되므로, 사용자는 제1 파트(10) 및 제2 파트(20)의 측면을 파지하여 디바이스(1)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제1 스위치(31)는 하우징(2)에 설치되어 디바이스(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스위치(31)는 제1 파트(10)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2)과 제1 스위치(31)를 함께 파지하여 디바이스(1)를 조작할 수 있다.
제1 스위치(31)는 일반적인 푸쉬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일 수 있고, 특히, 3단 스위치(3 Position Switch)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스위치(31)를 하우징(2) 내측으로 푸쉬하는 등 제1 스위치(31)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외부 장치에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2 스위치(32)는 헤드(40)에 설치되어 디바이스(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스위치(32)는 헤드(40)의 상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32)는 헤드(40)의 상측면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32)는 하우징(2)의 제2 파트(20)에 인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스위치(32)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외부 장치에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발광부(60)는 디바이스(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부(60)는 헤드(40)를 통해 디바이스(1)의 외부로 빛을 투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발광부(60)는 디바이스(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디바이스(1)의 내부에 장착되어 빛을 외부로 발할 수도 있다.
발광부(60)는 제1 스위치(31) 및/또는 제2 스위치(32)와 연결될 수 있다. 발광부(60)는 제1 스위치(31) 및/또는 제2 스위치(32)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광부(60)로부터 발산된 빛을 통해 제1 스위치(31) 및/또는 제2 스위치(32)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는 파지부(11, 28), 복수의 그루브(12, 25), 복수의 홀(21, 24, 433, 51), 캡(26), 스위치 어셈블리(70), 단자 어셈블리(80), 헤드 마운트(23), PCB(61), LED(62), 단자(33), 월(41), 노치(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0)는 외측면이 오목한 파지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20)는 외측면에 오목한 파지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파지부(11, 28)는 하우징(2)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11, 28)를 움켜 쥐어 디바이스(1)를 조작할 수 있다.
캡(26)은 제2 파트(20)의 홀(21)에 삽입될 수 있다. 캡(26)은 제2 파트(20)의 홀(21)을 개폐할 수 있다. 캡(26)은 하우징(2)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디바이스(1)에 설치된 제1 스위치(31), 제2 스위치(32) 및 발광부(60)는 제2 파트(20)의 홀(21)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개스킷(50)은 홀(51)을 구비할 수 있다. 개스킷(50)의 홀(51)은 하우징(2)의 내부와 연통할 수 있다. 개스킷(50)의 홀(51)에 제2 스위치(32)가 배치될 수 있다. 개스킷(50)은 헤드(40)와 헤드 마운트(23)의 사이에 삽입되어 압착될 수 있다. 개스킷(50)은 헤드(40)와 헤드 마운트(23)의 사이를 통하여, 이물질이 디바이스(1)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스킷(50)은 헤드 마운트(23)의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다. 개스킷(50)은 헤드(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개스킷(50)은 디바이스(1)의 내부에 은닉될 수 있다.
헤드 마운트(23)는 제2 파트(20)의 일단(2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파트(10)의 일단(13)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헤드 마운트(23)에 헤드(40)가 장착될 수 있다. 헤드(40)는 헤드 마운트(23)의 상측에 결합되어 헤드 마운트(23)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파트(20)의 일단(22)에 형성된 헤드 마운트(23)는 제1 파트(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헤드 마운트(23)는 제1 파트(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헤드 마운트(23)는 제1 파트(10)의 상부에 형성된 그루브(12)에 삽입될 수 있다.
헤드 마운트(23)는 홀(24)을 구비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23)의 홀(24)은 하우징(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헤드 마운트(23)의 홀(24)은 개스킷(50)의 홀(51)과 연통될 수 있다. 헤드 마운트(23)의 홀(24)에는 제2 스위치(3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위치(31) 이외의 추가 접점을 형성하는 제2 스위치(32)와 발광부(60)는 홀(24)을 통하여 하우징(2)의 내부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헤드 마운트(23)의 상측면은 전후방향에 대하여 상측으로 소정 각도(a) 기울어질 수 있다. 헤드 마운트(23)는 하우징(2)의 길이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2)을 파지한 채로 제2 스위치(23)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헤드(40)는 헤드 마운트(23)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헤드(40)는 헤드 마운트(23)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40)의 너비와 헤드 마운트(23)의 너비는 동일할 수 있다.
스위치 어셈블리(70)는 제1 스위치(31)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어셈블리(70)는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어셈블리(70)는 단자 어셈블리(80)와 연결될 수 있다.
단자 어셈블리(80)는 제1 스위치(31) 및 제2 스위치(32)와 연결될 수 있다. 단자 어셈블리(80)는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단자 어셈블리(80)는 발광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발광부(60)는 PCB(61)와 LED(6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60)는 디바이스(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발광부(60)는 디바이스(1)의 상부, 헤드(40)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부(60)가 헤드(40)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다. 발광부(60)는 헤드(40)의 홀(433)을 관통할 수 있다.
LED(62)는 PCB(61) 상에 설치되어 PCB(61)와 연결될 수 있다. LED(62)는 헤드(40)의 홀(433)에 삽입될 수 있다. LED(62)는 디바이스(1)의 외부로 빛을 투사할 수 있다. LED(62)의 말단은 헤드(40)의 상측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LED(62)는 개스킷(50)의 홀(51)과 헤드 마운트(23)의 홀(24)을 통하여, 단자 어셈블리(8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LED(62)는 헤드(40)의 상측면에 배치되어 디바이스(1)의 상측으로 빛을 투사할 수 있다. LED(62)가 헤드(40)의 상측면에 설치되면, 사용자가 하우징(2)을 파지하더라도 사용자는 LED(62)의 발광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LED(62)는 하우징(2)의 측면 또는 배면에 설치되어 디바이스(1)의 측방향으로 빛을 투사할 수도 있다.
한편, PCB(61)는 헤드 마운트(23)의 상측면에 형성된 그루브(25)에 설치될 수 있다. PCB(61)가 헤드 마운트(23)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감소하므로, 디바이스(1)의 전체적인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디바이스(1)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PCB(61)가 제2 파트(20)의 헤드 마운트(23) 상에 설치되고, 발광부(60) 및 제2 스위치(32)가 제2 파트(20)의 홀(24)을 통해 하우징(2)의 내부와 연결되므로,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결합 또는 분해 과정에서 PCB(61) 및 제2 스위치(32)의 배선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스위치(32)는 헤드(40)의 홀(45)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32)는 개스킷(50)의 홀(51)과 헤드 마운트(23)의 홀(24)을 통과하여 하우징(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헤드 마운트(23)에 안착된 개스킷(50)의 홀(51)의 내부에는 PCB(61)와 제2 스위치(3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개스킷(50)은 헤드 마운트(23)에 설치된 PCB(61)와, 디바이스(1)의 내부로 삽입된 제2 스위치(32)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단일한 개스킷(50)에 의하여 발광부(60) 및 제2 스위치(32)를 동시에 방수할 수 있다.
한편, 헤드(40)의 아우터 보더(44)는 헤드 마운트(23)의 아우터 보더(27)에 접촉할 수 있다. 헤드(40)의 아우터 보더(44)에는 단차(441)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441)는 즉, 개스킷(50)이 디바이스(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헤드(40)와 헤드 마운트(23)에 의해 수직방향에서 개스킷(50)이 압착되고, 헤드(40)의 아우터 보더(44)에 의해 수평방향에서 개스킷(50)이 압착되므로, 개스킷(50)의 방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LED(62)는 디바이스(1)의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월(41)은 헤드(40)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우징(2)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월(41)은 헤드(40)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우징(2)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월(41)은 제2 스위치(32)의 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월(41)은 홀(45)을 둘러쌀 수 있다. 월(41)은 제2 스위치(32)를 둘러쌀 수 있다. 월(41)은 제2 스위치(32)의 좌측, 우측 및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헤드(40)의 후방부(46)에는 월(41)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디바이스(1)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사용자의 조작 과정에서 다른 구조물과 충돌하게 될 경우, 월(41)은 제2 스위치(32)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월(41)은 추락 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제2 스위치(32)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치(42)는 월(41)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41)의 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노치(42)는 제2 스위치(32)의 주변에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스위치(32)의 후방부에는 월(41)이 형성되지 않으며 전방에는 노치(42)가 형성되므로, 제2 스위치(32)의 주변에 여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여유 공간을 통해, 제2 스위치(3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한편, 노치(42)는 발광부(60)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노치(42)는 LED(6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월(41)은 헤드(4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노치(42)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LED(62)로부터 발산된 빛(b)은 노치(42)를 지나 디바이스(1)의 후방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광부(60)의 작동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스위치(32)는 복수개의 단자(3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어셈블리(70)는 제1 스위치(31)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단자(7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어셈블리(80)는 제1 스위치(31), 제2 스위치(32) 및 발광부(60)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단자(81, 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32)의 복수개의 단자(33)는 개스킷(50)의 홀(51)과 제2 파트(20)의 홀(24)을 통과하여 하우징(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제2 스위치(32)의 접점이 홀(24)을 통과하여 하우징(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어셈블리(80)는 발광부(60)와 연결되는 단자(82)와, 제1 스위치(31) 및 제2 스위치(32)와 연결되는 단자(8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어셈블리(80)의 단자(81, 82)는 하우징(2)과의 절연거리를 만족한다. 단자 어셈블리(80)의 단자(81, 82)는 하우징(2) 내측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발광부(60)와 연결된 단자(82)는 제1 스위치(31) 및 제2 스위치(32)와 연결된 단자(81)들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60)와 연결된 단자(82)는 하우징(2)의 파지부(11, 28)에 인접할 수 있다.
도 9는 발광부(6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발광부(60)는 PCB(61), LED(62), 서포터(63), 개스킷(64)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63)는 LED(62)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서포터(63)는 LED(62)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63)는 헤드(4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63)는 LED(62)가 헤드(40)의 홀(433)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홀(433)을 통해 헤드(4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스킷(64)은 서포터(63)의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다. 개스킷(64)은 LED(62)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발광부(60)가 헤드(40)의 홀(433)에 삽입되면, 개스킷(64)은 LED(62)와 홀(433)의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은 헤드(40)를 하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헤드(40)는 가이드(43), 홀(45, 433, 402), 체결부(400), 프레임(405), 리브(47), 오목부(403), 단차(44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43)는 홀(431, 433), 그루브(43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43)는 헤드(4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43)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43)의 중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홀(433)이 형성될 수 있다. LED(62)는 가이드(43)의 홀(433)로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43)는 서포터(63)와 상하방향에서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43)는 서포터(63)의 홀(631)의 상측에 배치되는 홀(431)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체결부재가 가이드(43)의 홀(431)과 서포터(63)의 홀(631)로 삽입되어 가이드(43)와 서포터(63)를 체결할 수 있다.
그루브(432)는 발광부(60)의 개스킷(64)을 수용할 수 있다. 그루브(432)에는 홀(433)이 형성될 수 있다. 홀(433)은 그루브(43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루브(432)는 가이드(43)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40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400)는 프레임(405)에 형성되는 그루브(401)와, 그루브(401)에 형성되고 헤드(4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홀(402)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400)은 헤드(40)의 아우터 보더(44)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부(400)는 헤드(40)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400)는 헤드(40)의 내부의 좌측, 우측 또는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부(400)는 리브(47)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홀(433, 45)은 리브(47)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홀(433)은 LED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홀(45)은 헤드(40)의 저면(404)에 형성될 수 있다. 홀(433)은 헤드(4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홀(45)은 헤드(40)의 중심부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405)의 외측에는 체결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405)은 헤드(40)의 저면(404)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405)은 홀(433, 45)을 둘러쌀 수 있다. 프레임(405)은 홀(45)의 하측에 폐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405)은 그루브(40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405)은 내측면에 형성되는 오목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403)는 프레임(405)의 내측에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오목부(403)는 헤드(40)의 외측을 향하여 함몰될 수 있다.
리브(47)는 프레임(40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리브(47)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브(47)는 홀(45, 433)을 둘러쌀 수 있다. 리브(47)는 프레임(405)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리브(47)는 프레임(405)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리브(47)는 개스킷(50)에 접할 수 있다. 리브(47)는 개스킷(50)을 가압할 수 있다.
단차(441)는 헤드(40)의 아우터 보더(44)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441)는 헤드(40)의 내측으로 향할수록 상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아우터 보더(44)는 헤드 마운트(23)와 접촉할 수 있다. 헤드(40)의 단차(441)는 개스킷(50)의 단차(561)와 접촉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는 헤드 마운트(23)를 상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 및 12를 참조하면, 헤드 마운트(23)는 프론트 파트(231), 리어 파트(232), 제1 보스(233), 제2 보스(234), 제3 보스(235), 단차(236)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23)는 프론트 파트(231)와 리어 파트(2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파트(231)는 리어 파트(232)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파트(231)는 제1 파트(10)의 그루브(12)에 삽입될 수 있다. 리어 파트(232)의 외측면은 제1 파트(10)의 외측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파트(231)와 리어 파트(232)의 사이에 단차(236)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236)는 헤드 마운트(23)의 아우터 보더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236)는 전방으로 갈수록 헤드 마운트(23)의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차(236)는 제1 파트(10)의 일단(13)에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헤드 마운트(23)가 제1 파트(10)의 일단(13)에 형성될 경우에는, 단차(236)는 후방으로 갈수록 헤드 마운트(23)의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스(233), 제2 보스(234), 제3 보스(235)는 헤드 마운트(23)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스(233), 제2 보스(234), 제3 보스(235)는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스(233), 제2 보스(234), 제3 보스(235)는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보스(233), 제2 보스(234), 제3 보스(235)는 헤드(40)의 그루브(40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보스(233), 제2 보스(234), 제3 보스(235)는 개스킷(50)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보스(233), 제2 보스(234), 제3 보스(235)는 헤드 마운트(23)의 아우터 보더와 홀(2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스(233), 제2 보스(234), 제3 보스(235)는 헤드 마운트(23)의 아우터 보더와 그루브(2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스(233), 제2 보스(234), 제3 보스(235)는 헤드 마운트(23)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4은 개스킷(50)의 하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개스킷(50)의 상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14를 참조하면, 개스킷(50)은 홀(52, 53), 노치(54), 그루브(57), 리브(55), 아우터 보더(56), 단차(561)를 포함할 수 있다.
홀(52, 53)과 노치(54)는 홀(5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홀(52, 53)은 개스킷(50)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홀(52, 53)은 개스킷(50)을 상하방향에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치(54)는 홀(5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스(233)와 제2 보스(234)는 개스킷(50)의 홀(52, 53)을 통과할 수 있다. 제3 보스(235)는 노치(54)를 통과할 수 있다.
그루브(57)는 홀(5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57)는 헤드(40)의 그루브(40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루브(57)는 개스킷(50)의 외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리브(55)는 홀(51)과 그루브(57)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리브(55)는 개스킷(50)의 하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리브(55)는 헤드 마운트(23)에 접촉할 수 있다. 개스킷(50)의 리브(55)는 헤드(40)의 리브(47)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단차(561)는 개스킷(50)의 아우터 보더(56)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561)는 개스킷(50)의 아우터 보더(56)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50)의 단차(561)는 상측으로 갈수록 개스킷(50)의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50)의 단차(561)는 헤드(40)의 단차(441)와 접촉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헤드(40), 헤드 마운트(23), 개스킷(50)의 체결구조 및 압착구조를 설명한다.
헤드 마운트(23)의 상측에 개스킷(50)이 적층될 수 있다. 개스킷(50)의 상측에 헤드(40)가 적층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헤드(40)의 홀(402), 보스(233)의 중심부의 홀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헤드(40)를 헤드 마운트(23)에 체결할 수 있다. 개스킷(50)은 헤드 마운트(23)와 헤드(40)의 사이에 압착될 수 있다.
한편, 헤드(40)의 리브(47)는 개스킷(50)의 상측면에 접함으로써, 헤드(40)와 개스킷(50)의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개스킷(50)의 리브(55)는 헤드 마운트(23)와 개스킷(50)의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헤드(40)의 리브(47)는 개스킷(50)의 리브(55)의 상측에 위치하여, 개스킷(50)의 리브(55)를 헤드 마운트(23)에 밀착시킬 수 있다. 헤드(40)의 리브(47)와 개스킷(50)의 리브(55)는 디바이스(1)의 하우징(2)의 길이방향에서 배열될 수 있다.
도 16 및 17은 다양한 타입의 헤드(140, 240)가 결합된 디바이스(100, 200)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타입의 헤드(40, 140, 240)는 하우징(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헤드(40, 140, 240)는 다른 실시예의 헤드(40, 140, 240)로 교체되어 하우징(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하우징(2)과, 제1 스위치(31)와, LED(6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하 설명되지 않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구성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헤드(140)에 설치되는 제2 스위치(13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헤드(140)의 상측면에는 복수개의 그루브(14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스위치(132)는 복수개의 그루브(14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132)가 그루브(141) 내부에 수용되므로, 헤드(140)의 상측면으로부터 제2 스위치가 돌출되는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스위치(132)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는 하우징(2)과, 제1 스위치(31)와, LED(6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하 설명되지 않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헤드(240)의 상측면(241)에는 별도의 스위치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7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 100, 200)는 길게 연장된 제1 파트(10)와, 길게 연장되어 제1 파트(10)에 결합되는 제2 파트(20)를 포함하는 하우징(2), 제2 파트(20)의 일단(22)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파트(10)에 결합되는 헤드 마운트(23), 헤드 마운트(23)에 결합되어 헤드 마운트(23)를 커버하는 헤드(40) 및 헤드(40)와 헤드 마운트(23)의 사이에 삽입되는 개스킷(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23)는 하우징(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홀(24)을 포함하고, 개스킷(50)은 홀(24)을 둘러쌀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23)에 설치되어 홀(24)을 통해 전원과 연결되고, 헤드(40)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헤드(40)에 형성되어 홀(24)과 연통되는 홀(45) 및 홀(45)에 설치되고, 홀(24)을 통해 전원과 연결되는 스위치(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헤드(40)로부터 돌출되어 홀(45)을 둘러싸는 월(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월(41)은 스위치(32)의 측면을 둘러싸고, 발광부(60)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고, 디바이스(1)의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노치(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23)는 하우징(2)의 길이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23)에는 제1 홀(24)과 연통되는 그루브(25)가 형성되고, 발광부(60)는 그루브(25)에 설치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발광부(60)는 헤드(40)를 관통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헤드(140)의 외측면에는 그루브(141)가 형성되고, 그루브(141)에 스위치(132)가 설치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헤드(40)의 저면(404, 405)은 개스킷(50)에 접촉할 수 있고, 헤드(40)는 저면(404, 405)으로부터 돌출되고, 개스킷(50)에 접촉하는 리브(47)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개스킷(50)의 저면은 헤드 마운트(23)에 접촉할 수 있고, 개스킷(50)은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헤드 마운트(23)에 접촉하는 리브(55)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리브(47)와 리브(55)는 하우징(2)의 길이방향에서 배열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개스킷(50)은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단차(561)를 포함할 수 있고, 헤드(40)는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단차(561)에 결합되는 단차(441)를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100, 200: 디바이스 2: 하우징
10: 제1 파트 20: 제2 파트
31, 32: 스위치 40, 140, 240: 헤드
50: 개스킷 60: 발광부
70: 스위치어셈블리 80: 단자어셈블리

Claims (13)

  1. 길게 연장된 제1 파트와,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파트에 결합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2 파트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파트에 결합되는 헤드 마운트;
    상기 헤드 마운트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 마운트를 커버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와 상기 헤드 마운트의 사이에 삽입되는 개스킷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제1 홀을 둘러싸는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홀을 통해 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헤드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홀과 연통되는 제2 홀; 및
    상기 제2 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홀을 통해 전원과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홀을 둘러싸는 월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월은 상기 스위치의 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발광부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고, 디바이스의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노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기울어진 디바이스.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에는 상기 제1 홀과 연통되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그루브에 설치되는 디바이스.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헤드를 관통하는 디바이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외측면에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에 스위치가 설치되는 디바이스.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개스킷에 접촉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헤드 마운트에 접촉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단차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차에 결합되는 제2 단차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0210111642A 2021-08-24 디바이스 KR102668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642A KR102668830B1 (ko) 2021-08-24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642A KR102668830B1 (ko) 2021-08-24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305A true KR20230029305A (ko) 2023-03-03
KR102668830B1 KR102668830B1 (ko) 2024-05-23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935A (ja) 1999-03-12 2000-09-26 Toyota Motor Corp コイ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935A (ja) 1999-03-12 2000-09-26 Toyota Motor Corp コイ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5794B2 (en) Push-type switch with display
US9634661B1 (en) Optical switch keyboard
US8188398B2 (en) Press switch
US20170169967A1 (en) Optical switch keyboard
US9922778B2 (en)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CN108397713B (zh) 照明单元
US10134543B2 (en) Luminous keyboard
US7715179B2 (en) Power supply for a computer device
KR102668830B1 (ko) 디바이스
KR20230029305A (ko) 디바이스
JPH0541135A (ja) 照光式プツシユスイツチ
KR101094036B1 (ko) 차량용 후드 스위치
US9524834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and operation input device
CN111699537A (zh) 微动开关及操作装置
CN214588516U (zh) 开关组件
JP2021012893A (ja) 配線器具及び配線器具システム
WO2019138822A1 (ja) 環境複合センサ装置
JP2000112625A (ja) キーボードに搭載される発光素子の取付構造
US6080946A (en) Dip switch with enhanced anti-EMI performance
CN111986945B (zh) 按键结构
JP5732513B2 (ja) 表示再生機能を備えたスイッチ構造体
US11895784B2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CN218351312U (zh) 一种防尘开关外壳及防尘开关
KR102661080B1 (ko) 설치면과 연속되는 평평한 면을 포함하는 히든 스위치
JP7249576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