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182A -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182A
KR20230029182A KR1020210111374A KR20210111374A KR20230029182A KR 20230029182 A KR20230029182 A KR 20230029182A KR 1020210111374 A KR1020210111374 A KR 1020210111374A KR 20210111374 A KR20210111374 A KR 20210111374A KR 20230029182 A KR20230029182 A KR 20230029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ability
stainless steel
ferritic stainless
equ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가영
박지언
박미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111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9182A/ko
Publication of KR2023002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개시하는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로, C: 0.0005 내지 0.02%, N: 0.005 내지 0.02%, Si: 0.7 내지 1.0%, Cr: 16 내지 17%, Ti: 0.05 내지 0.3%,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1) 및 식(2)를 만족할 수 있다.
식(1): 1.1*(C+N)≤Ti
식(2): 19<Cr+5*Si≤22
(여기서, C, N, Ti, Cr, Si는 각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Description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STRENGTH AND WELD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금조성을 최적화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대비 가격이 저렴하고 드로잉 가공의 용이성이 우수하여 가전 시장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프리미엄 가전으로 가전 시장의 트렌드가 변화함에 따라 저렴한 가격에 더욱 높은 강도를 가진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요구가 증대되었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STS430강은 강도가 우수하여 기존의 가전용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용접 시 입계 부식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용접 시 입계 부식이 발생하는 이유는 결정립 경계에 크롬 탄화물이 생성되기 때문이며, 결정립 경계에 탄화물이 생성되는 현상을 예민화라고 한다.
용접 시, 예민화 현상 및 입계 부식을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탄소(C)와 질소(N)의 함량을 낮추고, 타이타늄(Ti)과 니오븀(Nb)와 같은 탄화물 형성 억제 원소를 첨가하여 용접이 일어나는 동안 탄소와 크롬이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니오븀을 첨가하게 되면 원가가 상승하는 부담이 있으며, 타이타늄을 첨가하게 되면 소재의 강도가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면서도 용접성과 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합금조성을 최적화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C: 0.0005 내지 0.02%, N: 0.005 내지 0.02%, Si: 0.7 내지 1.0%, Cr: 16 내지 17%, Ti: 0.05 내지 0.3%,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1) 및 식(2)를 만족한다.
식(1): 1.1*(C+N)≤Ti
식(2): 19<Cr+5*Si≤22
(여기서, C, N, Ti, Cr, Si는 각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인장강도가 470MPa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연신율이 27%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레이저 용접 후, 하기 식(3)을 만족할 수 있다.
식(3): (X-Y)/X*100≤10%
(여기서, X는 모재의 에릭슨 값을 의미하며, Y는 용접부의 에릭슨 값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0005 내지 0.02%, N: 0.005 내지 0.02%, Si: 0.7 내지 1.0%, Cr: 16 내지 17%, Ti: 0.05 내지 0.3%,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800 내지 1250℃에서 열간압연한 후 열연소둔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연소둔재를 냉간압연한 후 800 내지 900℃에서 냉연소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브는 하기 식(1) 및 식(2)를 만족할 수 있다.
식(1): 1.1*(C+N)≤Ti
식(2): 19<Cr+5*Si≤22
(여기서, C, N, Ti, Cr, Si는 각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관계식을 통해 합금 조성을 최적화함으로써, 고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연신율과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와 비교예의 Si와 Cr 함량 변화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Si와 Cr 함량 변화에 따른 연신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레이저 용접 후의 용접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1의 레이저 용접 후의 용접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때문에 가령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여야만 하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덧붙여,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기능,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명확히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지,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기능,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를 예비적으로 배제하고자 사용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특정 용어가 과도하게 이상적이거나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가령,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C: 0.0005 내지 0.02%, N: 0.005 내지 0.02%, Si: 0.7 내지 1.0%, Cr: 16 내지 17%, Ti: 0.05 내지 0.3%,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이하, 각 합금원소의 성분범위를 한정한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단위는 중량%이다.
탄소(C)의 함량은 0.0005 내지 0.02%이다.
C의 함량이 0.0005% 미만인 경우에는 고순도 제품을 만들기 위한 정련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소재의 불순물이 증가하여 연신율과 내식성이 열위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고려하여, C 함량의 상한은 0.02%로 한정할 수 있다.
질소(N)의 함량은 0.05 내지 0.02%이다.
N의 함량이 0.005% 미만인 경우에는 TiN 정출이 낮아져 슬라브의 등축정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소재의 불순물이 증가하여 연신율과 내식성이 열위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고려하여, N 함량의 상한은 0.02%로 한정할 수 있다.
실리콘(Si)의 함량은 0.7 내지 1.0%이다.
Si의 함량이 0.7% 미만인 경우에는 고용강화를 통해 강재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강도가 저하되고 내식성이 열위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개재물 증가로 인해 제조간 에지크랙을 발생시켜 가공성을 저하시키고, 강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연신율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고려하여, Si 함량의 상한은 1.0%로 한정할 수 있다.
크롬(Cr)의 함량은 16 내지 17%이다.
Cr은 경화능 향상에 유용하고 부식 환경에서는 강의 내식성 향상에도 기여하는 원소로써, Cr의 함량이 16% 미만인 경우에는 소재의 내식성과 강도가 열위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조대한 탄화물이 생성되어 인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생산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Cr 함량의 상한은 1.5%로 한정할 수 있다.
타이타늄(Ti)의 함량은 0.05 내지 0.3%이다.
Ti은 용접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소로써, Ti의 함량이 0.05% 미만인 경우에는 고용된 C, N 원소들과 충분히 결합하지 못하여 예민화 현상을 억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Ti계 개재물로 인한 결함이 증가하고 가공성이 악화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Ti 함량의 상한은 0.3%로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조성 이외에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Si, Cr, Ti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강도, 용접성 및 가공성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합금성분이다. 특히, Si와 Cr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부동태 피막을 강화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기지에 고용되어 강화 효과를 나타내나,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합금원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Si, Cr, Ti 함량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성분 관계식인 식(1) 및 식(2)를 도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하기 식(1)을 만족할 수 있다.
식(1): 1.1*(C+N)≤Ti
여기서, C, N, Ti는 각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Ti는 C, N와 먼저 결합하여, C, N가 Cr과 결합하는 것을 막아 Cr 탄화물 또는 Cr 질화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Ti 함량이 상기 식(1)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C, N이 Cr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 시 Cr 탄화물 또는 Cr 질화물로 인한 입계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반면, Ti 함량이 상기 식(1)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Cr 탄화물 또는 Cr 질화물의 생성을 억제하지 못하여, 용접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하기 식(2)를 만족할 수 있다.
식(2): 19<Cr+5*Si≤22
여기서, Cr, Si는 각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도 1은 Si와 Cr 함량 변화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r+5*Si의 값이 19 보다 큰 경우에는 47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는 Si와 Cr 함량 변화에 따른 연신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Cr+5*Si의 값이 22 이하인 경우에는 27% 이상의 연신율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0005 내지 0.02%, N: 0.005 내지 0.02%, Si: 0.7 내지 1.0%, Cr: 16 내지 17%, Ti: 0.05 내지 0.3%,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800 내지 1250℃에서 열간압연한 후 열연소둔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연소둔재를 냉간압연한 후 800 내지 900℃에서 냉연소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브는 하기 식(1) 및 식(2)를 만족한다.
식(1): 1.1*(C+N)≤Ti
식(2): 19<Cr+5*Si≤22
(여기서, C, N, Ti, Cr, Si는 각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각 합금원소의 성분범위, 식(1) 및 식(2)를 한정한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 제조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합금조성을 갖는 강을 연속 주조를 통해 슬라브로 제조한 후, 800 내지 1250℃에서 열간압연할 수 있다. 열간압연 온도가 800℃ 미만인 경우에는 강재의 표면 결함이 유발될 가능성이 크다. 반면, 열간압연 온도가 12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정립이 충분히 미세하게 되지 않아서 소재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열간압연재를 열연소둔 및 냉간압연한 후, 800 내지 900℃에서 냉연소둔할 수 있다. 냉연소둔의 온도가 800℃ 미만인 경우에는 재결정 및 재결정립 성장이 불충분하여 연신율 및 가공성이 저하할 수 있다. 반면, 냉연소둔의 온도가 10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정립이 조대하여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아래 표 1에 나타낸 다양한 합금조성을 갖는 강을 연속 주조하여 슬라브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800 내지 1250℃에서 열간압연한 후 열연소둔한 후, 냉간압연하였다. 이후, 상기 냉간압연재를 800 내지 900℃에서 냉연소둔하여 최종 냉연 제품을 제조하였다.
합금성분(단위: 중량%)
C N Si Cr Ti 1.1(C+N) Cr+5Si
실시예 1 0.0072 0.090 0.78 16.7 0.23 0.1069 20.6
실시예 2 0.0075 0.095 0.89 16.5 0.22 0.1128 21.0
실시예 3 0.0066 0.110 0.95 16.1 0.19 0.1283 20.9
실시예 4 0.0880 0.102 0.90 16.3 0.25 0.2090 20.8
실시예 5 0.1090 0.130 0.71 16.1 0.30 0.2629 19.7
실시예 6 0.0820 0.120 0.70 16.0 0.26 0.2222 19.5
실시예 7 0.0668 0.100 0.88 16.2 0.21 0.1835 20.6
실시예 8 0.0580 0.051 0.89 16.2 0.21 0.1199 20.7
비교예 1 0.0124 0.157 0.24 16.8 0.10 0.1863 18.0
비교예 2 0.0740 0.153 0.51 16.2 0.25 0.2497 18.8
비교예 3 0.0850 0.092 0.60 14.9 0.21 0.1947 17.9
비교예 4 0.0670 0.119 1.45 16.8 0.22 0.2046 24.1
비교예 5 0.0980 0.087 1.31 16.2 0.24 0.2035 22.8
비교예 6 0.0770 0.089 0.65 16.3 0.10 0.1826 19.6
비교예 7 0.0800 0.101 0.30 16.2 0.00 0.1991 17.7
비교예 8 0.0950 0.092 00.25 16.2 0.23 0.2057 17.5
비교예 9 0.0750 0.135 0.10 14.0 0.30 0.2310 14.5
비교예 10 0.0586 0.100 0.60 16.0 0.28 0.1745 19.0
아래 표 2에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나타내었다. 인장강도 및 연신율은 압연 방향의 90°방향으로 시편을 JIS13B 규격으로 가공하여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전압(Laser power) 4kW, 속도(Welding speed) 6m/min, 가스 유량(Shielding gas flow rate) Top: 20l/min, Bot: 20l/min으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였다.
이후, 레이저 용접을 수행한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하여 에릭슨 평가를 진행한 후, 모재의 에릭슨 값(X)와 용접부의 에릭슨 값(Y)을 측정하였다. 에릭슨 평가는 금속 박판 재료의 연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험으로, 시험편 고정 후 하중을 가해 파단될 때까지 움직인 펀치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진행되었다.
아래 표 2에는 모재와 용접부의 에릭슨 값, 아래와 같이 표현되는 식(3)의 값 및 용접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었다. 용접성 테스트 결과에서 '양호'는 아래 식(3)을 만족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불량'은 아래 식(3)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식(3): (X-Y)/X*100≤10%
상기 식(3)에서, X는 모재의 에릭슨 값을 의미하며, Y는 용접부의 에릭슨 값을 의미한다.
모재의 에릭슨 값 용접부의 에릭슨 값 식(3) 용접성 인장강도
(MPa)
연신율(%)
실시예 1 8.96 8.98 0.2 양호 481 30
실시예 2 9.00 8.89 1.2 양호 491 29
실시예 3 9.00 8.99 0.1 양호 507 29
실시예 4 9.05 8.77 3.1 양호 477 30
실시예 5 9.01 8.91 1.1 양호 483 29
실시예 6 8.90 8.91 0.1 양호 479 29
실시예 7 8.88 8.86 0.2 양호 485 29
실시예 8 8.84 8.76 0.9 양호 490 28
비교예 1 8.81 1.27 85.6 불량 422 32
비교예 2 9.03 8.94 1.0 양호 457 31
비교예 3 8.96 8.90 0.7 양호 461 31
비교예 4 8.91 8.97 0.7 양호 567 25
비교예 5 8.62 8.38 2.8 양호 534 26
비교예 6 8.96 4.21 53.0 불량 491 30
비교예 7 8.88 2.83 68.1 불량 468 29
비교예 8 9.01 8.91 1.1 양호 425 31
비교예 9 8.86 8.99 1.5 양호 429 32
비교예 10 8.68 8.61 0.8 양호 459 29
상기 표 1 및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8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합금조성, 식(1) 및 식(2)를 만족한 결과, 인장강도가 470MPa 이상이었으며, 연신율이 27% 이상으로 우수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8은 용접성이 향상됨에 따라 식(3)을 만족하여 양호한 용접부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은 Ti의 함량이 1.1(C+N)보다 작으므로 Cr 탄질화물의 생성을 억제하지 못한 결과, 레이저 용접 시 입계부식이 발생하여 용접부의 용접성이 불량했다.
도 3은 실시예 1의 레이저 용접 후의 용접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1의 레이저 용접 후의 용접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은 레이저 용접 후 용접부가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반면, 도4를 참조하면, 비교예 1은 레이저 용접 시 예민화 현상으로 인해 입계부식이 발생하여, 용접부가 불량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은 Cr+5Si의 값이 19 이하의 값을 가짐에 따라, 연신율이 32%로 우수하였으나, 인장강도가 470Mpa 미만인 422MPa로 열위했다.
비교예 2 및 3은 Cr+5Si의 값이 19 이하의 값을 가짐에 따라, 27% 이상의 연신율을 확보할 수 있었으나, 인장강도가 470MPa 보다 낮아 열위했다.
비교예 4 및 5는 Cr+5Si의 값이 22를 초과함에 따라, 47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었으나, 연신율이 27% 미만으로 열위했다.
비교예 6 및 7은 Ti의 함량이 1.1(C+N)보다 작으므로 Cr 탄질화물의 생성을 억제하지 못한 결과, 레이저 용접 시 입계부식이 발생하여 용접부의 용접성이 불량했다.
또한, 비교예 7은 Cr+5Si의 값이 19 이하의 값을 가짐에 따라, 29%의 연신율을 확보할 수 있었으나, 인장강도가 470Mpa 미만으로 열위했다.
비교예 8 내지 10은 Cr+5Si의 값이 19 이하의 값을 가짐에 따라, 29%의 연신율을 확보할 수 있었으나, 인장강도가 470Mpa 미만으로 열위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관계식을 통해 합금성분을 최적화함으로써, 470MPa 이상의 우수한 인장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연신율이 27% 이상인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중량%로, C: 0.0005 내지 0.02%, N: 0.005 내지 0.02%, Si: 0.7 내지 1.0%, Cr: 16 내지 17%, Ti: 0.05 내지 0.3%,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1) 및 식(2)를 만족하는,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식(1): 1.1*(C+N)≤Ti
    식(2): 19<Cr+5*Si≤22
    (여기서, C, N, Ti, Cr, Si는 각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인장강도가 470MPa 이상인,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3. 제1항에 있어서,
    연신율이 27% 이상인,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4. 제1항에 있어서,
    레이저 용접 후,
    하기 식(3)을 만족하는,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식(3): (X-Y)/X*100≤10%
    (여기서, X는 모재의 에릭슨 값을 의미하며, Y는 용접부의 에릭슨 값을 의미한다.)
  5. 중량%로, C: 0.0005 내지 0.02%, N: 0.005 내지 0.02%, Si: 0.7 내지 1.0%, Cr: 16 내지 17%, Ti: 0.05 내지 0.3%,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800 내지 1250℃에서 열간압연한 후 열연소둔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연소둔재를 냉간압연한 후 800 내지 900℃에서 냉연소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브는 하기 식(1) 및 식(2)를 만족하는,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식(1): 1.1*(C+N)≤Ti
    식(2): 19<Cr+5*Si≤22
    (여기서, C, N, Ti, Cr, Si는 각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KR1020210111374A 2021-08-24 2021-08-24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29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374A KR20230029182A (ko) 2021-08-24 2021-08-24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374A KR20230029182A (ko) 2021-08-24 2021-08-24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182A true KR20230029182A (ko) 2023-03-03

Family

ID=8551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374A KR20230029182A (ko) 2021-08-24 2021-08-24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91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4037B1 (ko)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
EP2602351B1 (en) Ferritic stainless steel
KR20090020278A (ko) 가공성 및 강도가 우수한 고망간 용융아연도금 강판 및 그제조 방법
KR20210009606A (ko) 강도가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29182A (ko) 강도 및 용접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326046B1 (ko) 고온 특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저Cr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168829B1 (ko) 성형성 및 고온 특성이 우수한 저Cr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443422B1 (ko) 용접부 내식성이 향상된 고강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8226A (ko) 클램프용 고강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1038A (ko) 내식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569590B1 (ko) 성형성 및 내리징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523533B1 (ko) 입계침식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569589B1 (ko)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424980B1 (ko) 강도, 가공성 및 내식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650258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83166A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360535B1 (ko) 냉간압연을 이용한 고강도 극박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5408A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2958A (ko) 연신율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JP2518795B2 (ja) 熱間加工性に優れる軟質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20160079967A (ko) 표면품질 및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20220088157A (ko) 내열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1556A (ko) 내리징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329868B1 (ko) 고강도 극박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65035A (ko) 내 덴트 특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