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979A - 흡수식 칠러 - Google Patents

흡수식 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979A
KR20230028979A KR1020210110912A KR20210110912A KR20230028979A KR 20230028979 A KR20230028979 A KR 20230028979A KR 1020210110912 A KR1020210110912 A KR 1020210110912A KR 20210110912 A KR20210110912 A KR 20210110912A KR 20230028979 A KR20230028979 A KR 20230028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bsorber
sensing electrode
absorption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하
이완수
유규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8979A/ko
Publication of KR20230028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orpt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43Operating continu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25B15/06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the refrigerant being water vapour evaporated from a salt solution, e.g. lithium bromi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2Preventing,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of refrigeration fluids
    • F25B2500/222Detecting refrigerant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04Refrigerant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와 냉수를 열 교환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로부터 기상 냉매를 공급받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기, 상기 흡수기로부터 공급된 흡수액을 가열시키는 재생기, 상기 재생기에서 생성된 기상 냉매가 공급되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기, 상기 흡수기에 설치되어 상기 흡수기 내의 용액의 레벨을 감지하는 레벨 선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흡수기의 외면에 설치되고, 센싱 공간을 가지는 센서 케이스, 상기 센서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용액의 레벨을 감지하는 센싱 전극, 상기 센서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 공간과 상기 흡수기의 내부를 연결하는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전극은 상기 유입홀 보다 높게 위치되어서, 흡수기 내의 용액의 누수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수식 칠러{ABSORBED CHILLER}
본 발명은 흡수식 칠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기내의 용수의 감지를 정확하게 할 수 있고, 기내 용수 감지로 인해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흡수식 칠러에 관한 것이다.
흡수식 칠러는 별도의 압축기 없이 냉매와 냉수를 열 교환시켜서 냉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흡수식 칠러(1)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흡수식 철러(1)는 냉매와 냉수를 열 교환시키는 증발기(2), 상기 증발기(2)에서 증발된 기상 냉매를 흡수액을 통해 흡수시키는 흡수기(3), 흡수기(3)에서 공급된 흡수액으로부터 기상 냉매를 분리하기 위한 재생기(4) 및 상기 재생기(4)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와 냉각수를 열 교환시켜서 기상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5)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2)와 상기 흡수기(3)는 하나의 쉘(shell)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재생기(4)와 상기 응축기(5) 역시 하나의 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흡수식 칠러(1)의 사이클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흡수기(3)에서 나온 저농도 흡수액(즉, 기상 냉매를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하는 흡수액)은 저농도 배관(3')을 통해 재생기(4)로 공급된다.
재생기(4)에서 저농도 흡수액이 가열되면, 저농도 흡수액으로부터 기상 냉매가 분리된다. 기상 냉매가 분리된 고농도 흡수액(즉, 기상 냉매를 상대적으로 적게 함유하는 흡수액)은 고농도 배관(4')을 통해 흡수기(3)로 다시 공급된다.
상기 흡수기(3) 내로 냉각수 배관(7)이 통과하며, 상기 냉각수 배관(7)은 상기 흡수기(3) 내의 온도를 낮춰서 흡수액에 의한 기상 냉매의 흡수 효율을 증가시킨다.
상기 재생기(4)에서 저농도 흡수액으로부터 분리된 기상 냉매는 상기 재생기(4) 일측에 구비되는 응축기(5)로 공급된다.
상기 응축기(5)는 기상 냉매와 냉각수를 열 교환시켜서 기상 냉매를 응축시키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응축기(5) 내로 냉각수 배관(6)이 통과하며, 상기 냉각수 배관(7)은 응축기(5) 내의 기상 냉매와 열 교환된다.
상기 응축기(5)에서 응축된 액상 냉매는 고압 배관(5')을 통해 증발기(2)로 공급되고, 증발기(2) 내에서 액상 냉매와 냉수가 열 교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증발기(2) 내로 냉수 배관(6)이 통과하며, 상기 냉수 배관(6)과 액상 냉매가 열 교환하여, 냉수를 냉각시킨다.
증발기(2)에서 액상 냉매의 증발에 의해 생성된 기상 냉매는 상기 증발기(2) 일측의 흡수기(3)로 공급된다.
상기 증발기(2)와 상기 흡수기(3) 사이에는 증발기(2)로부터의 기상 냉매는 상기 흡수기(3)로 공급되고, 상기 흡수기(3) 내의 흡수액은 상기 증발기(2)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엘리미네이터(9)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엘리미네이터(9)는 상기 증발기(2)에서 생성된 기상 냉매를 상기 흡수기(3)를 향해 통과시키고, 상기 흡수기(3)에 공급되는 흡수액의 상기 증발기(2)로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흡수식 칠러의 경우, 기내가 진공상태로 운전이 되며, 기계 몸체를 이루는 쉘은 진공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압력을 견딜 수 있게 설계된다. 이때 외부 설비용수(냉수, 냉각수)가 기내 흡수액과 열 교환하는 냉각수 배관(7)의 누설이 발생할 경우 설비용수가 기내로 들어와 기계자체의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 변형은 용수가 기내로 들어와 내부에 꽉 찬 후부터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부터 변형은 시작된다. 특히, 이러한 변형이 생기면, 칠러의 효율이 저하되고, 철러 자체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특허 10-1809963 (2018.01.18. 공고) 한국특허 10-2011-0135144 (2013.06.26.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칠러의 기내에 설비 용수가 유입되면, 설비의 가동을 멈추어서 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람을 주는 흡수식 칠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과제는 흡수기나 증발기 내의 설비 용수가 누설된 경우, 설비 용수의 누설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오감지를 방지하는 흡수식 칠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 과제는 흡수기나 증발기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설비 용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레벨 센서의 설치가 용이한 흡수식 칠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매와 냉수를 열 교환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로부터 기상 냉매를 공급받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기, 상기 흡수기로부터 공급된 흡수액을 가열시키는 재생기, 상기 재생기에서 생성된 기상 냉매가 공급되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기, 상기 흡수기에 설치되어 상기 흡수기 내의 용액의 레벨을 감지하는 레벨 선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흡수기의 외면에 설치되고, 센싱 공간을 가지는 센서 케이스, 상기 센서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용액의 레벨을 감지하는 센싱 전극, 상기 센서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 공간과 상기 흡수기의 내부를 연결하는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전극은 상기 유입홀 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 전극은, 상기 센서 케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센서 케이스의 하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센싱 전극은 상기 센서 케이스의 하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센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홀로 유입된 용액이 상기 센싱 전극의 하단으로 최단거리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센서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유입홀과 상기 센싱 전극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유입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센싱 전극을 가릴 수 있다.
상기 유입홀은 상기 센서 케이스의 일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센서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센서 케이스의 일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센서 케이스의 타 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센서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 공간과 상기 흡수기의 내부를 연결하는 순환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순환홀은 상기 센싱 전극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홀과 상기 유입홀은 상기 센서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센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홀로 유입된 용액이 상기 센싱 전극으로 최단거리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센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플레이트는 상기 순환홀과 상기 센싱 전극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순환홀 및 상기 센싱 전극과 수평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은 복수 개가 동일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센싱 전극과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센서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와 냉수를 열 교환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로부터 기상 냉매가를 공급받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기, 상기 흡수기로부터 공급된 흡수액을 가열시키는 재생기, 상기 재생기에서 생성된 기상 냉매가 공급되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기, 상기 흡수기와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는 흡수 증발 쉘, 상기 흡수 증발 쉘에 설치되어 상기 흡수 증발 쉘 내의 용액의 레벨을 감지하는 레벨 선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응축기에 외면에 설치되고, 센싱 공간을 가지는 센서 케이스, 상기 센서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용액의 레벨을 감지하는 센싱 전극, 상기 센서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 공간과 상기 흡수 증발 쉘 내부를 연결하는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전극은 상기 유입홀 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 케이스는 상기 흡수 증발 쉘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수 증발 쉘 내에서 상기 흡수기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용액의 이동을 제한하는 측면격벽을 더 포함하고, 센싱 전극은 상기 측면격벽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은 상기 측면격벽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센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홀로 유입된 용액이 상기 센싱 전극의 하단으로 최단거리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센서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센서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 공간과 상기 흡수 증발 쉘의 내부를 연결하는 순환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순환홀은 상기 센싱 전극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센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홀로 유입된 용액이 상기 센싱 전극으로 최단거리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센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플레이트는, 상기 순환홀과 상기 센싱 전극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순환홀 및 상기 센싱 전극과 수평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칠러의 기내에 설비 용수가 유입되면, 레벨 센서가 설비 용수의 누설을 감지하고, 설비의 가동을 멈추어서 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람을 주어서, 사용자가 설비를 점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기의 저류조와 흡수기의 저류조에 저장된 용액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레벨 센서를 설치하여서, 흡수기나 증발기 내의 설비 용수가 누설된 경우, 설비 용수가 누설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증발기와 흡수기에 저장된 용액에 의한 오감지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케이스 내의 플레이트를 통해, 센서 케이스로 유입된 용액이 튀어서 바로 센싱 전극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 흡수 쉘의 외면에 센서 케이스가 결합되는 구조로, 흡수기나 증발기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설비 용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레벨 센서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흡수식 칠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칠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증발기 및 흡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흡수기 및 레벨 센서를 단순화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 센서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기와 레벨 센서의 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식 칠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증발기 및 흡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식 칠러(10)는 냉매(예를 들어, 물)와 냉수를 열 교환시키는 증발기(200), 증발기(200)로부터 기상 냉매가 공급되는 흡수기(300), 흡수기(300)로부터 공급된 흡수액을 가열시키는 재생기(400) 및 재생기(400)에서 생성된 기상 냉매가 공급되는 응축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200)와 흡수기(300)는 하나의 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재생기(400)와 응축기(500) 역시 하나의 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기(200)와 흡수기(300)는 흡수 증발 쉘(323)에 나란히 배치된다.
흡수기(300)와 증발기(200) 사이에는 흡수기(300)의 희박용액이 증발기(200) 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증발기(200)의 냉매액이 흡수기(300) 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측면격벽(201)과, 측면격벽(20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엘리미네이터(E1)가 구비된다.
측면격벽(201)은 흡수기(300)와 증발기(200) 사이에 위치되고, 흡수기(300)와 증발기(200) 사이에 용액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측면격벽(201)은 흡수 증발 쉘(323)의 하부를 좌우로 구획한다. 측면격벽(201)은 흡수 증발 쉘(323)의 하면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흡수 증발 쉘(323)의 상면과 이격된다.
제1엘리미네이터(E1)는 증발기(200)에서 생성된 냉매증기가 흡수기(300)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흡수기(300) 내에 포함된 냉매증기 및 농후용액이 증발기(20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증발기(200)는 응축기(500)의 냉매액과 실내기(미도시)의 냉수를 열 교환시켜 냉매액을 냉매증기로 증발시키고, 냉매증기를 제1엘리미네이터(E1)를 통하여 흡수기(300)로 공급한다.
증발기(200)는 내부의 냉매를 가압하는 냉매펌프(251) 및 냉매펌프(251)에 의해 가압된 냉매를 분사하는 냉매분사부(252)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발기(200) 내에는 응축기(500)로부터 고압배관(550)을 통해 공급된 액상 냉매가 수용될 수 있다. 증발기(200)는 냉매액이 저장되는 증발기 저류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 저류조(222)는 증발기(200)의 하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증발기 저류조(222)는 흡수 증발 쉘(323)의 하부 영역 중 측면격벽(201)에 의해 나누어진 영역 중 좌측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증발기(200) 내에 수용된 액상 냉매는 증발기(200) 하단에 구비된 냉매펌프(251)에 의해 가압되어, 순환라인(253)을 통해 증발기(200) 상부로 안내된다.
순환라인(253)을 통해 증발기(200) 상부로 안내된 액상 냉매는 냉매분사부(252)를 통해 증발기(200) 내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냉매분사부(252)는 액상 냉매를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냉매분사부(252)는 증발기(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매분사부(252)는 증발기(200) 내에서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200)에는 냉수가 유동하는 냉수배관(600)이 통과할 수 있다. 즉, 냉수배관(600)의 일부가 증발기(2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분사부(252)로부터 분사된 냉매와 냉수배관(600)을 유동하는 냉수가 열 교환하여 냉수가 냉각될 수 있다. 냉각된 냉수는 별도의 공기조화기(미도시) 또는 실내기(미도시) 등에서 열교환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흡수기(300)는 증발기(200)로부터 기상 냉매가 공급되고, 전술한 재생기(400)를 통해 흡수액이 공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수액은 리튬브로마이드(LiBr) 수용액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발기(200)에서 냉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증발한 기상 냉매는 증발기(200) 일측에 구비되는 흡수기(300)로 공급될 수 있다.
증발기(200)와 흡수기(300) 사이에는 제1엘리미네이터(E1)가 구비된다. 제1엘리미네이터(E1)는 기체는 통과시키고 액체는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00) 내부의 압력은 흡수기(300) 내부의 압력에 비해 높다.
따라서, 증발기(200)에서 발생된 기상 냉매는 제1엘리미네이터(E1)를 통해 흡수기(300)로 안내될 수 있다. 흡수기(300)로 안내된 기상 냉매는 흡수기(300)에 공급되는 흡수액에 흡수될 수 있다.
반면에, 흡수기(300) 내의 흡수액은 제1엘리미네이터(E1)에 의해 증발기(200)로 안내될 수 없다. 즉, 제1엘리미네이터(E1)는 흡수기(300) 내의 흡수액이 증발기(200) 내로 안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수기(300)에는 냉각수 배관(700)이 통과될 수 있다. 이는, 흡수액이 기상 냉매를 흡수할 때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흡수기(300) 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함이다.
즉, 흡수기(300)를 통과하는 냉각수 배관(700)에 의해 흡수액에 의한 기상 냉매의 흡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흡수기(300)의 하단에는 흡수액이 저장되는 흡수기 저류조(310)가 구비된다. 흡수기 저류조(310)는 흡수 증발 쉘(323)의 하부 영역 중 측면격벽(201)에 의해 나누어진 우측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흡수기(300)의 하단에는 흡수액펌프(351)가 구비될 수 있다. 흡수기(300) 내에서 기상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은 흡수액펌프(351)의 구동에 의해 재생기(400)로 안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수기(300)는 흡수액 공급라인(350)을 통해 재생기(400)에 연결될 수 있고, 흡수액 공급라인(350) 상에 흡수액펌프(351)가 구비될 수 있다.
재생기(400)는 흡수기(300)로부터 공급된 흡수액(이하, "저농도 흡수액"이라고도 함)을 가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재생기(400)는 고온재생기(100)에서의 열원(예를 들어, 증기, 온수 또는 가스 등)에 의해 흡수기(300)로부터 공급된 저농도 흡수액을 가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수액이 재생기(400)에서 가열되면, 흡수액으로부터 기상 냉매가 분리될 수 있다. 흡수액으로부터 분리된 기상 냉매는 재생기(400) 일측의 응축기(500)로 안내된다.
이때, 재생기(400)와 재생기(400) 일측에 구비되는 응축기(500) 사이에는 제2엘리미네이터(E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엘리미네이터(E2)는 기체는 통과시키고 액체는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재생기(400) 내부의 압력은 응축기(500) 내부의 압력에 비해 높다.
따라서, 재생기(400)에서 발생된 기상 냉매는 제2엘리미네이터(E2)를 통해 응축기(500)로 안내될 수 있다. 응축기(500)로 안내된 기상 냉매는 응축기(500) 내에서 액상 냉매로 응축된다.
반면에, 응축기(500) 내의 액상 냉매는 제2엘리미네이터(E2)에 의해 재생기(400)로 안내될 수 없다. 즉, 제2엘리미네이터(E2)는 응축기(500) 내의 액상 냉매가 재생기(400) 내로 안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재생기(400)에서 가열되어 기상 냉매가 분리된 흡수액은 흡수액 회수라인(450)을 통해 흡수기(300)로 회수될 수 있다. 이때, 흡수액 회수라인(450)을 통해 흡수액의 회수를 위해, 재생기(400)에 비해 흡수기(300)가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액 회수라인(450)의 일 단부는 재생기(400)에 연통되고, 흡수액 회수라인(450)의 타 단부는 흡수기(300)에 연통될 수 있다.
흡수액 회수라인(450)의 타 단부에는 흡수액분사부(452)가 구비될 수 있다. 흡수액분사부(452)는 흡수기(300) 내로 흡수액을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수액이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사되면, 흡수액에 의한 기상 냉매의 흡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흡수액 공급라인(350)은 흡수액 회수라인(450)과 열 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수액 공급라인(350)의 일부는 흡수액 회수라인(450)의 일부와 흡수액 열교환기(900)를 통해 서로 열 교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수액 공급라인(350)의 일부와 흡수액 회수라인(450)의 일부는 흡수액 열교환기(900)를 통과할 수 있다. 즉, 흡수액 열교환기(900)를 통하여, 흡수액 공급라인(350) 내의 저농도 흡수액과 흡수액 회수라인(450) 내의 고농도 흡수액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흡수액 공급라인(350) 내의 저농도 흡수액은 열을 흡수하고 흡수액 회수라인(450) 내의 고농도 흡수액은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저농도 흡수액은 흡수기(300)에서 기상 냉매를 흡수한 상태의 흡수액을 나타내며, 고농도 흡수액은 재생기(400)에서 기상 냉매가 분리된 상태의 흡수액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흡수액 열교환기(900)에 의해, 재생기(400)에서의 흡수액으로부터 기상 냉매의 분리 효율(즉, 흡수액의 재생 효율)이 증가됨과 동시에, 흡수기(300)에서의 흡수액에 의한 기상 냉매의 흡수 효율(즉, 흡수액의 흡수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증발기(200)와 흡수기(300) 사이에 제1엘리미네이터(E1)기 존재한다 하더라도, 흡수식 칠러(10)의 운전 중에 흡수기(300) 내의 흡수액이 증발기(200) 내로 조금씩 유입될 수 있다. 흡수액이 증발기(200) 내로 유입되면, 증발 성능(즉, 냉수의 냉각 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흡수식 칠러(10) 전체의 운전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증발기(200) 내부에서 냉매의 오염이 진행되면 오염된 냉매에 의해 포화온도가 상승하여 냉동기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매 오염에 의한 냉동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흡수식 칠러(10)는 블로우다운 운전을 수행한다.
블로우다운 운전은 증발기(200)에 냉매가 흡수액으로 오염될 경우 오염된 냉매의 포화온도가 상승하여 냉동기 성능 저하에 영향을 줄 때, 증발기(200)의 오염된 냉매를 흡수기(300)로 전량 이송시켜 재생시키고 응축된 순수한 냉매를 다시 증발기(200)에 모으는 작업이다.
이와 같은 블로우다운 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흡수식 칠러(10)는 증발기 압력 센서(151) 및 증발기 온도 센서(152)를 포함한다.
증발기 압력 센서(151)는 증발기(200) 측의 쉘 내에 배치되어 증발기(2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와 같은 압력 센서(151)는 다양한 공지의 압력 센서(151)가 적용 가능하다.
증발기 온도 센서(152)는 증발기(200) 펌프(251)로부터 연장되는 순환라인(253) 상에 배치되어 토출되어 냉매분사부(252)로 주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와 같은 증발기 온도 센서(152)는 다양한 공지의 온도 센서(152)가 적용 가능하다.
증발기 압력 센서(151) 및 증발기 온도 센서(152)는 주기적으로 증발기(200)의 내부 압력 및 토출된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압력센서(151) 및 온도센서(152)로부터의 감지 값을 기초로 블로우 밸브(26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50)는 블로우다운이 시작되면, 블로우다운 운전을 수행하면서, 주기적으로 해당 압력센서(151) 및 온도센서(152)로부터 압력 및 온도를 읽어 들여 해당 감지 값에 따라 밸브(261)의 개폐를 제어하여 블로우 다운을 능동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블로우다운 시에도 주기적으로 센서(151, 152)의 압력 및 온도 값에 따라 유지 및 중단을 결정함으로써, 자동으로 블로우다운 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검지 또는 운행 제어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제어부(150)는 마이컴과 같은 제어모듈로서 프로그램되어 있는 수식에 따라 인가되는 온도 및 압력에 따라 접점 스위치(153)를 제어함으로써 블로우 밸브(261)를 오픈할 수 있다.
또는, 접점 스위치(153)는 단순한 개폐기로서, 제어부(150)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값에 따라 블로우 밸브(261)를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응축기(500)는 재생기(400)에서 생성된 기상 냉매가 공급되도록 형성될 수 잇다. 즉, 재생기(400)에서 흡수액으로부터 분리된 기상 냉매는 응축기(500)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냉각수 배관(700)은 응축기(500)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응축기(500) 내로 공급된 기상 냉매는 냉각수 배관(700)과 열 교환하여 응축될 수 있다.
냉각수 배관(700)는 전술한 흡수기(300) 및 응축기(5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응축기(500)보다 흡수기(300)에서 더 많은 냉각수의 냉열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냉각수 배관(700)으로 안내되는 냉각수는 흡수기(300) 및 응축기(500)를 통과한 후에 별도의 냉각 탑(미도시) 등을 통해 다시 냉각될 수 있다.
응축기(500)에서 응축된 액상 냉매는 냉매배관(550)을 통해 증발기(200)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냉매배관(550)을 통한 액상 냉매의 안내를 위하여, 응축기(500)는 증발기(200)에 비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증발기(200) 내부는 흡수액이 포함되지 않은 순수한 냉매만 존재하도록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기(200) 내부에 흡수액이 포함될 경우, 증발 효율 및 흡수식 칠러(10)의 전체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효율이 감소하는 경우, 블로우다운을 수행하여 흡수식 칠러(1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칠러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식 칠러(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발기(200) 내에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증발기 압력 센서(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 압력 센서(151)는 증발기(200)의 일측, 일 예로 쉘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증발기(200) 내의 압력을 주기적으로 감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식 칠러(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발기(200) 내에 주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증발기 온도 센서(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 온도 센서(152)는 증발기(200)의 순환라인(253) 상에, 일예로 증발기(200) 외부의 순환라인(253)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증발기(200) 내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한다.
이때, 증발기(200) 내의 압력 및 주입 전의 냉매 온도에 기초하여 현재 증발기(200) 내부의 냉매의 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냉매로부터 흡수액을 분리하기 위한 흡수식 칠러(10)의 구동인 블로우다운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식 칠러(10)는 전술한 순환라인(253)과 흡수기(30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26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라인(260)에는 블로우 밸브(26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블로우 밸브(261)를 개폐하기 위한 접점 스위치 소자(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200)에 배치되어 냉수가 유동하는 냉수배관(600)과 흡수기(300)에 배치되는 냉각수 배관(700)에서는 냉수 또는 냉각수가 증발기(200) 또는 흡수기(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칠러의 효율이 저하되고, 계속적으로 냉수 또는 냉각수가 누설되는 흡수기(300) 또는 증발기(200)의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서 흡수기(300) 또는 증발기(200)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증발기(200) 또는 흡수기(3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냉수 또는 냉각수(이하, 용액)의 누설을 감지하는 레벨 센서(800)가 구비된다.
레벨 센서(800)의 경우, 흡수기(300)와 증발기(200)의 내부에 설치되면, 흡수기(300)와 증발기(200)의 내부는 흡수액과, 증발액이 이동하고, 증발되는 공간으로 액상 환경에서 작동하며, 이러한 증발과 흡수 작용 중에 액이 튀게 되어서, 레벨 센서(800)의 오감지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레벨 센서(800)는 흡수기(300) 또는 증발기(200)의 외부에 설치되어서, 흡수기(300) 또는 증발기(200)의 내부에 용액이 누설되는 것을 감지한다. 제어부(150)는 레벨 센서(800)를 통해 기내에 용액의 누설이 감지하면, 칠러의 작동을 정지하거나,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레벨 센서(800)를 통해 기내에 용액의 누설이 감지하면, 냉매펌프(251), 흡수액펌프(351)의 작동을 멈추고, 버너(110)의 작동을 멈출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레벨 센서(800)를 통해 기내에 용액의 누설이 감지하면, 냉수배관(600), 냉각수 배관(700)을 폐쇄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레벨 센서(800)에 대해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200), 흡수기(300) 및 레벨 센서(800)를 단순화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레벨 센서(800)는 흡수기(300) 또는 증발기(200) 내의 용액의 레벨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레벨 센서(800)는 흡수 증발 쉘(323)에 설치되어 흡수 증발 쉘(323) 내의 용액의 레벨을 감지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레벨 선서는 흡수기(300)에 설치되어 흡수기(300) 내의 용액의 레벨을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벨 센서(800)는, 흡수 증발 쉘(323)의 측면 중 흡수기(300)를 구성되는 흡수 증발 쉘(323)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레벨 센서(800)는 흡수 증발 쉘(323)의 외면에 결합된다. 레벨 센서(800)와 흡수 증발 쉘(323)의 결합방식에는 제한이 없고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레벨 센서(800)가 흡수기(300)의 외면에 결합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레벨 센서(800)는 센서 케이스(810), 센싱 전극(821), 유입홀(831)을 포함한다.
센서 케이스(810)는 응축기의 외면에 설치되고, 센싱 공간을 가진다. 센서 케이스(810)는 센싱 전극(821)을 수용하고, 센싱 전극(821)을 지지한다. 센서 케이스(810)는 흡수기(300)의 외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센서 케이스(810)는 흡수 증발 쉘(323)의 외면에 결합된다.
센서 케이스(810)는 흡수기(300) 내의 용액이 유입되어 저장되고, 센싱되는 센싱 공간을 정의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케이스(810)는 적어도 서로 마주 보는 상면(811)과 하면(812)을 포함하고,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고 서로 마주 보는 제1측면(813)과 제2측면(814)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전극(821)은 센서 케이스(810)내에 설치되어 용액의 레벨을 감지한다. 센싱 전극(82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센싱 전극(821)은 센서 케이스(810)의 상면(811)에서 센서 케이스(810)의 하면(812) 방향으로 연장되고, 센싱 전극(821)은 센서 케이스(810)의 하면(812)에서 이격될 수 있다.
센싱 전극(821)의 외면 중 일부는 전극피막(823)에 의해 감싸지고, 센싱 전극(821)의 하단이 전극피막(823)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레벨 센서(800)는 센싱 전극(821)과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센서 케이스(810) 외부로 노출되는 소켓부(825)를 구비할 수 있다. 소켓부(825)는 센싱 전극(821)에 전원을 공급하고, 센싱 전극(821)의 정보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유입홀(831)은 센서 케이스(810)에 형성되어 센싱 공간과 흡수기(300) 또는 증발기(200)의 내부를 연결한다. 또한, 유입홀(831)은 센서 케이스(810)에 형성되어 센싱 공간과 흡수 증발 쉘(323) 내부를 연결한다.
흡수기(300) 내부에서 누설된 용액은 흡수기(300)의 외부에 설치된 센서 케이스(810)의 유입홀(831)로 유입되므로, 흡수기(300)에서 누설되는 용액이 직접 센서 케이스(810)의 내부로 유입되어서 발생하는 오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유입홀(831)은 센서 케이스(810)의 일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홀(831)은 센서 케이스(810)의 제1측면(813)에 위치될 수 있다. 센서 케이스(810)의 제1측면(813)은 흡수 증발 쉘(323)과 결합되거나, 접촉되는 면이다. 또한, 센서 케이스(810)의 제1측면(813)은 센서 케이스(810)의 제2측면(814) 보다 흡수 증발 쉘(323)에 가깝게 배치되는 면이다. 흡수 증발 쉘(323)에는 유입홀(831)과 대응되는 제1연통홀(323a)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홀(831)과 제1연통홀(323a)은 서로 연통된다.
유입홀(831)의 높이는 레벨 센서(800)의 오감지를 방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면, 센싱 전극(821)은 유입홀(83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유입홀(831)의 높이(H2)는 센싱 전극(821)의 하단의 높이(H3) 보다 낮게 배치되어서, 유입홀(831)을 흩뿌려지는 용액에 의해 센싱 전극(821)이 오 감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입홀(831)은 센서 케이스(810)의 제1측면(81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센싱 전극(821)의 높이(H3)는 측면격벽(201)의 높이(H1) 보다 높게 위치된다. 흡수 증발 쉘(323)의 내부에서 측면격벽(201)의 상단까지 흡수액 또는 증발액이 저장되므로, 센싱 전극(821)의 높이가 낮은 경우, 흡수액 또는 증발액을 누설되는 용액으로 오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센싱 전극(821)의 높이(H3)는 측면격벽(201)의 높이(H1) 보다 높게 위치된다.
또한, 유입홀(831)의 높이(H2)는 측면격벽(201)의 높이(H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유입홀(831)이 측면격벽(201) 보다 높게 배치되어서, 유입홀(831)을 통해 증발 액 또는 흡수액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레벨 센서(800)는 유입홀(831)로 유입된 용액이 센싱 전극(821)의 하단으로 최단거리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센서커버 플레이트(8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커버 플레이트(841)는 유입홀(831)을 통해 용액이 유입되게 될 때 용액의 압력이 높거나, 용액이 흩뿌려지는 상태의 경우, 유입홀(831)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용액이 흩뿌려서 센싱 전극(821)에 용액이 접촉되는 것을 제한한다.
센서커버 플레이트(841)는 센서 케이스(8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유입홀(831)과 센싱 전극(821) 사이에 위치되어서, 유입홀(831)에서 볼 때 센싱 전극(821)을 가리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센서커버 플레이트(841)는 유입홀(831)과 센서 전극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교차되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센서커버 플레이트(841)의 적어도 일부는 센싱 전극(821)과 수직적으로 중첩되고, 센서 케이스(810)의 일 측면과 연결되고, 센서 케이스(810)의 타 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센서커버 플레이트(841)는 유입홀(831)이 형성되는 센서 케이스(810)의 제1측면(813)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적어도 센싱 전극(821)과 수직적으로 중첩될 때까지 연결된다. 센서커버 플레이트(841)는 센서 케이스(810)의 제2측면(814)과 이격되어 용액이 통과하는 제1갭(843)을 정의한다. 센서커버 플레이트(841)는 유입홀(831) 보다 높게 배치된다.
유입홀(831)을 통해 유입된 용액은 센서커버 플레이트(841)에 의해 센싱 전극(821)으로 흩뿌려지는 것이 제한되고, 제1갭(843)을 통해 간접적으로 센싱 전극(821)으로 안내되므로, 센싱 전극(821)의 오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레벨 센서(800)는 센서 케이스(810)에 형성되어 센싱 공간과 흡수기(300)의 내부 또는 흡수 증발 쉘(323)의 내부를 연결하는 순환홀(823)을 구비할 수 있다. 순환홀(823)은 유입홀(831)만 형성되는 경우, 센서 케이스(810)의 내부에 맺혀 있는 미량의 액이 유입홀(831)을 통해 외부로 빠질 수 있도록 한다. 순환홀(823)을 통해 센싱 케이스의 내부와 흡수기(300)의 내부를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시킨다.
순환홀(823)은 센싱 전극(821)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되고, 유입홀(83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순환홀(823)의 유입홀(831) 보다 높게 위치되어서, 센서 케이스(810)의 내부와 흡수기(300)의 내부가 용이하게 순환될 수 있다. 흡수 증발 쉘(323)에는 순환홀(823)과 대응되는 제2연통홀(323b)이 형성될 수 있다. 순환홀(823)과 제2연통홀(323b)은 서로 연통된다.
순환홀(823)과 유입홀(831)은 센서 케이스(810)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순환홀(823)과, 유입홀(831)은 센서 케이스(810)의 제1측면(813)에 형성된다.
레벨 센서(800)는 순환홀(823)로 유입된 용액이 센싱 전극(821)으로 최단거리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센서 플레이트(8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플레이트(851)는 순환홀(823)을 통해 용액이 유입되게 될 때 용액의 압력이 높거나, 용액이 흩뿌려지는 상태의 경우, 순환홀(823)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용액이 흩뿌려서 센싱 전극(821)에 접촉되는 것을 제한한다.
센서 플레이트(851)는 센서 케이스(8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순환홀(823)과 센싱 전극(821) 사이에 위치되어서, 순환홀(823)에서 볼 때 센싱 전극(821)을 가리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센서 플레이트(851)는 순환홀(823)과 센서 전극의 중앙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교차되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센서 플레이트(851)의 적어도 일부는 순환홀(823)과 수평적으로 중첩되고, 센서 플레이트(851)는 센싱 전극(821)의 일부와 수평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센싱 전극(821)과 수직적으로 중첩되고, 센서 케이스(810)의 일 측면과 연결되고, 센서 케이스(810)의 타 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센서 플레이트(851)는 센서 케이스(810)의 상면(8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데, 적어도 순환홀(823)과 수평적으로 중첩될 때까지 연결된다. 센서 플레이트(851)는 센서 케이스(810)의 제1측면(813)과 이격되어 용액이 통과하는 제2갭(853)을 정의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 센서(800)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레벨 센서(800)는 보호커버(860)를 더 포함한다. 보호커버(860)는 소켓부(825)를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하고, 소켓부(825)와 외부 전원의 결합력을 강화하며, 소켓부(825)가 외부의 물 등에 의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커버(860)는 센싱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소켓부(825)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 센서(800)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유입홀(831)은 한 개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입홀(831)은 2개가 설치될 수 있고, 수평적으로 이격되고,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홀(831)은 제1유입홀(831a)과, 제2유입홀(831b)이 센싱 전극(821)과 수직으로 연결한 가상의 선을 중심에 두고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유입홀(831a)과, 제2유입홀(831b)이 동일 높이에서, 센싱 전극(821)과 가깝게 배치되지 않으므로, 오 감지 확률을 더욱 줄 일 수 있다.
순환홀(823)은 한 개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순환홀(823)은 2개가 설치될 수 있고, 수평적으로 이격되고,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순환홀(823)은 제1순환홀(823a)과, 제2순환홀(823b)이 센싱 전극(821)을 중심에 두고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기(300)와 레벨 센서(800)의 측 단면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제1연통홀(323a)과, 제2연통홀(323b)이 생략되고, 하나의 연결홀(323c)이 형성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도 5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고 별도의 설명이 없는 구성은 도 5와 동일한 것으로 본다.
유입홀(831)과 순환홀(823)에 대응되게 제1연통홀(323a)과, 제2연통홀(323b)을 형성하게 되면, 제1연통홀(323a)과, 제2연통홀(323b)이 유입홀(831)과 순환홀(823)과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얼라이먼트 작업이 어려우므로, 순환홀(823) 및 유입홀(831)과 연통되는 하나의 연결홀(323c)이 형성된다.
연결홀(323c)은 순환홀(823) 및 유입홀(831)과 수평적으로 중첩되고, 순환홀(823)과 유입홀(831) 사이의 센서 케이스(810)의 제1측면(813)과 수평적으로 중첩된다. 따라서, 센서 케이스(810)의 결합 시에 얼라이먼트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연결홀(323c)의 실링을 위해, 연결홀(323c)을 감싸게 실링부재가 배치된다. 실링부재는 흡수 증발 쉘(323)의 외면 및 센서 케이스(810)의 제1측면(813)과 접촉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냉매와 냉수를 열 교환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로부터 기상 냉매를 공급받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기;
    상기 흡수기로부터 공급된 흡수액을 가열시키는 재생기;
    상기 재생기에서 생성된 기상 냉매가 공급되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기;
    상기 흡수기에 설치되어 상기 흡수기 내의 용액의 레벨을 감지하는 레벨 선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흡수기의 외면에 설치되고, 센싱 공간을 가지는 센서 케이스;
    상기 센서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용액의 레벨을 감지하는 센싱 전극;
    상기 센서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 공간과 상기 흡수기의 내부를 연결하는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전극은 상기 유입홀 보다 높게 위치되는 흡수식 칠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전극은,
    상기 센서 케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센서 케이스의 하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센싱 전극은 상기 센서 케이스의 하면에서 이격되는 흡수식 칠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센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홀로 유입된 용액이 상기 센싱 전극의 하단으로 최단거리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센서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흡수식 칠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유입홀과 상기 센싱 전극 사이에 위치되는 흡수식 칠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유입홀에서 바라 볼 때 상기 센싱 전극을 가리는 흡수식 칠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센서 케이스의 일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센서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센서 케이스의 일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센서 케이스의 타 측면과 이격되는 흡수식 칠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센서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 공간과 상기 흡수기의 내부를 연결하는 순환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순환홀은 상기 센싱 전극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되는 흡수식 칠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홀과 상기 유입홀은 상기 센서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흡수식 칠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센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홀로 유입된 용액이 상기 센싱 전극으로 최단거리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센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흡수식 칠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플레이트는,
    상기 순환홀과 상기 센싱 전극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순환홀 및 상기 센싱 전극과 수평적으로 중첩되는 흡수식 칠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복수 개가 동일 높이로 형성되는 흡수식 칠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센싱 전극과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센서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는 흡수식 칠러.
  13. 냉매와 냉수를 열 교환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로부터 기상 냉매가를 공급받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기;
    상기 흡수기로부터 공급된 흡수액을 가열시키는 재생기;
    상기 재생기에서 생성된 기상 냉매가 공급되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기;
    상기 흡수기와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는 흡수 증발 쉘;
    상기 흡수 증발 쉘에 설치되어 상기 흡수 증발 쉘 내의 용액의 레벨을 감지하는 레벨 선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응축기에 외면에 설치되고, 센싱 공간을 가지는 센서 케이스;
    상기 센서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용액의 레벨을 감지하는 센싱 전극;
    상기 센서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 공간과 상기 흡수 증발 쉘 내부를 연결하는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전극은 상기 유입홀 보다 높게 위치되는 흡수식 칠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케이스는 상기 흡수 증발 쉘의 외면에 결합되는 흡수식 칠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증발 쉘 내에서 상기 흡수기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용액의 이동을 제한하는 측면격벽을 더 포함하고,
    센싱 전극은,
    상기 측면격벽 보다 높게 위치되는 흡수식 칠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측면격벽 보다 높게 위치되는 흡수식 칠러.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센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홀로 유입된 용액이 상기 센싱 전극의 하단으로 최단거리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센서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흡수식 칠러.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센서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 공간과 상기 흡수 증발 쉘의 내부를 연결하는 순환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순환홀은 상기 센싱 전극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되는 흡수식 칠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센서는,
    상기 센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홀로 유입된 용액이 상기 센싱 전극으로 최단거리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센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흡수식 칠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플레이트는,
    상기 순환홀과 상기 센싱 전극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순환홀 및 상기 센싱 전극과 수평적으로 중첩되는 흡수식 칠러.

KR1020210110912A 2021-08-23 2021-08-23 흡수식 칠러 KR20230028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912A KR20230028979A (ko) 2021-08-23 2021-08-23 흡수식 칠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912A KR20230028979A (ko) 2021-08-23 2021-08-23 흡수식 칠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979A true KR20230028979A (ko) 2023-03-03

Family

ID=8551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912A KR20230028979A (ko) 2021-08-23 2021-08-23 흡수식 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897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144A (ko) 2010-06-10 2011-12-16 에스티에스반도체통신 주식회사 광 신호 전달 및 방열 기능들을 가지는 기판
KR101809963B1 (ko) 2016-08-11 2018-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흡수식 칠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144A (ko) 2010-06-10 2011-12-16 에스티에스반도체통신 주식회사 광 신호 전달 및 방열 기능들을 가지는 기판
KR101809963B1 (ko) 2016-08-11 2018-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흡수식 칠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963B1 (ko) 흡수식 칠러
JP2013047591A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WO2005071326A1 (en) Absorptive chiller with evaporator protection
KR100416685B1 (ko) 흡수식냉동기의제어방법및제어장치
KR960011346A (ko) 흡수식 냉온수기
CN105402936A (zh) 空调热水机及其冷媒泄漏检测方法和装置
KR20230028979A (ko) 흡수식 칠러
JP3585892B2 (ja) 安全確認機能を有する三重効用吸収冷温水機
JP3151448B2 (ja) 冷媒管理装置
KR102292400B1 (ko) 흡수식 칠러
KR20220129887A (ko) 흡수식 칠러
CN113176820A (zh) 一种用于超级计算机的液冷散热器及散热方法
JP7225182B2 (ja) 吸収式冷凍機の制御システム、及び吸収式冷凍機
KR100803515B1 (ko) 흡수식 냉온수기의 사이트글래스를 구비한 퍼지장치
KR0156396B1 (ko) 암모니아 흡수식 냉난방기의 암모니아 가스 제거장치 및 방법
KR100400275B1 (ko) 흡수식 냉동기의 냉매 오염도 및 리튬브로마이드 용액농도 자동측정장치
KR101163065B1 (ko) 흡수식 냉난방장치
KR101324510B1 (ko) 흡수식 냉동기의 오염 냉매 배출장치
KR100208218B1 (ko) 흡수식 냉온수기
KR0177570B1 (ko)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
JPH0754215B2 (ja) 吸収式冷暖給湯機
JP2839442B2 (ja) 吸収式冷凍サイクル装置
KR20220093724A (ko) 흡수식 냉온수기
JP2004233024A (ja) 吸収式冷温水機
KR100662893B1 (ko) 흡수식 냉동사이클의 냉매재생방법 및 냉매재생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