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907A -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 및 그 구축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 및 그 구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907A
KR20230028907A KR1020210110769A KR20210110769A KR20230028907A KR 20230028907 A KR20230028907 A KR 20230028907A KR 1020210110769 A KR1020210110769 A KR 1020210110769A KR 20210110769 A KR20210110769 A KR 20210110769A KR 20230028907 A KR20230028907 A KR 20230028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ervice system
learning service
system providing
moun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1222B1 (ko
Inventor
엄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엄영대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엄영대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엄영대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110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22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8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및 설치된 상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교육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잠금이 실행된 후 화면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페이지에 대한 응답이 입력될 때까지 상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광고를 스트리밍 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은 상기 서버를 특정환경에 설치하는 서버설치장치(100)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 및 그 구축 방법{AI-based learning services providing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 및 그 구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콘텐츠를 출력하고 응답대기시간동안 광고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고 응답의 정확도 및 응답시간에 기초하여 리워드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 및 그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잠금화면에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되 응답대기시간에 카운팅을 시작하여 긴장감과 집중력을 높여주고, 응답대기시간이 빠를수록 더 많은 리워드를 지급함으로써 빠른시간내에 집중하여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응답대기시간동안 맞춤형 광고를 스트리밍시킴으로써 문제를 푸는 동안에 무의식적으로 배경에 스트리밍되는 광고에도 집중시킴으로써 고도의 광고효과를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러힌 서비스를 장애 발생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운영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7532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잠금화면에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되 응답대기시간에 카운팅을 시작하여 긴장감과 집중력을 높여주고, 응답대기시간이 빠를수록 더 많은 리워드를 지급함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집중하여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응답대기시간동안 맞춤형 광고를 스트리밍시킴으로써 문제를 푸는 동안에 무의식적으로 배경에 스트리밍되는 광고에도 집중시킴으로써 고도의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각종 전산 네트워크 장비 등의 안정적 구축을 위한 구조물을 적용한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장비가 최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장비의 최적환경 유지와 조성을 가능케 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의 요인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파손과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및 설치된 상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교육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잠금이 실행된 후 화면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페이지에 대한 응답이 입력될 때까지 상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광고를 스트리밍 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은 상기 서버를 특정환경에 설치하는 서버설치장치(100)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잠금화면에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되 응답대기시간에 카운팅을 시작하여 긴장감과 집중력을 높여주고, 응답대기시간이 빠를수록 더 많은 리워드를 지급함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집중하여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응답대기시간동안 맞춤형 광고를 스트리밍시킴으로써 문제를 푸는 동안에 무의식적으로 배경에 스트리밍되는 광고에도 집중시킴으로써 고도의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각종 전산 네트워크 장비 등의 안정적 구축을 위한 구조물을 적용한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비가 최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장비의 최적환경 유지와 조성을 가능케 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요인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파손과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통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통 관리 시스템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통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통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a, 3b는 본 발명의 유통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통 관리 서버를 통한 마켓 등록모드 표시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유통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통 관리 서버를 통한 상품 등록모드 표시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a, 5b, 5c는 본 발명의 유통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통 관리 시스템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의 유통관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통 관리 시스템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통관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통 관리 시스템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통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랙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라 냉기를 공급하기 전 덕트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실시예에 따라 냉기가 공급되어 팽창한 덕트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실시예에 따라 냉기 공급 전후의 덕트의 모습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유통관리 시스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냉기를 공급하기 전 덕트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본 발명의 유통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냉기가 공급되어 팽창한 덕트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본 발명의 유통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냉기 공급 전후의 덕트의 모습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유통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학습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잠금화면을 해제할 때 학습 또는 교육 콘텐츠를 출력하고, 출력된 시점부터 응답이 입력되는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시간에 반비례하여, 즉 응답시간이 빠를수록, 정확도가 높을수록 리워드를 더 많이 부여받는 단말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원하는 종류의 자격증, 시험 또는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한 종류의 학습 콘텐츠의 수준이나 시험날짜 등을 입력하여 진도를 설정하고(선택사항), 설정된 진도량을 하루에 잠금해제를 하는 횟수에 기반하여 나누어 어떠한 콘텐츠가 출력될 것인지를 설정하며, 잠금해제가 될 때마다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여 노출시키되, 응답을 받는 시간을 카운트하면서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로부터 맞춤형 광고를 스트리밍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응답이 수집된 경우 정확도, 응답시간 등에 기반하여 리워드를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로부터 부여받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진도를 설정하거나 어떠한 학습콘텐츠가 노출되고, 오답인 경우에는 답을 맞출 때까지 노출을 시켜 반복학습이 되도록 설정하는 등의 과정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 단말(100)의 네트워크 자원 또는 컴퓨팅 자원이 기 설정된 수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에서 실행될 수도 있고,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선택된 학습 콘텐츠가 각각의 단말의 잠금화면에서 잠금해제 시도시에 노출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고, 타겟층의 정보를 메타데이터로 매핑하여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다른 사용자 단말(500)에서 학습 콘텐츠가 노출된 후 응답이 입력되기 전까지 맞춤형 광고를 필터링하여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 및 다른 사용자 단말(500)로 스트리밍함으로써 각각의 단말에서 맞춤형 광고가 출력되도록 하는 서버일수 있다.
또한,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광고가 스트리밍되는 동안 카운트를 사용자 단말(100) 및 다른사용자 단말(400)로 오버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고, 응답시간, 응답의 정확도에 기반하여 리워드를 제공하고, 한편으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로는 노출당 광고비용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요청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다른 사용자 단말(500)로부터응답의 정확도를 누적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하고, 합격가능인원수가 한정된 경우에는 전국의 응시인원, 응시자의 평균성적, 커트라인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의 합격여부 등을 예상하여, 예상값을 차트형식으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합격인원이 정해지지 않은 절대평가의 시험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정답률 등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에 달성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추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는,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광고주의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는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의 타겟층에 대한 정보를 함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는, 노출당 광고비용을책정하여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로 정산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광고비용 책정방법은 노출당 광고비용(CPM)에 한정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CPA, CPI, CPC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나열된 방법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500)은,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관련 웹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500)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100)과 동일하나, 사용자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사용자를 기준으로 타인의 단말을 다른 사용자 단말(500)로 정의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므로 그 내용은 중복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다른 사용자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할 때 타인의 점수나 정답률 등을 수집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그 기능은 사용자 단말(100)의 기능과 동일하고, 다른 사용자를 기준으로 할 때에는 사용자는 타인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부(110), 출력부(120), 스트리밍부(130), 해제부(140), 리워드 지급부(150), 난이도 관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500)로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500)은,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선택부(110)는,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교육 콘텐츠는, 영단어, 회화, 공무원, 급수시험, 자격증, 일반상식, 퀴즈게임 등 다양한 종류와 분야의 콘텐츠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나열된 것들로 인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출력부(120)는, 선택된 교육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100)의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예컨데 변리사 시험을 설정했으면,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로부터 변리사시험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잠금화면에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잠금이 실행된 후 화면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교육 콘텐츠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계속들면, 변리사시험에서 요구되는 복수의 과목에 대한 교육 콘텐츠를 수신하고, 그 중 하나의 과목의 페이지 또는 복수의 과목으로부터의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민사소송법, 특허법, 상표법, 선택과목인 제어공학이 있다면, 한 과목, 예를 들어 민사소송법으로부터 하나의 페이지를 출력할 수도 있고, 민사소송법, 특허법, 상표법, 제어공학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랜덤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는 랜덤 또는 학습 스케줄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잠금화면에 출력되되,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응답이 기 저장된 응답과 동일 또는 기 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의 페이지를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스트리밍부(130)는, 출력된 페이지에 대한 응답이 입력될 때까지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를 스트리밍받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광고는 랜덤으로 추출된 광고일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정보에 기반하여 타겟팅된 광고 콘텐츠일 수도 있다. 이때, 광고는 문제를 푸는 시간에 스트리밍 광고를 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문제를 풀기 전에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토익기초 23일째의 문제 20문항 풀이를 시작하면, 스트리밍 광고가 카운트다운과 함께 제공되고, 이후 문제풀이가 진행될 수 있다. 해제부(140)는, 응답이 입력된 경우 잠금화면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응답을 입력받는 경우 정답에 관계없이 화면을 해제할 수도 있고, 정답이거나 정확도가 오차범위 내어야지 해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장인이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션을 다운로드받아 사용하고 있고, 오전에 출근길에 잠금화면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응답을 제공했다고 가정하자. 이때, 응답이 정확하지 않아서 잠금화면이 해제되지 않았는데 중요한 클라이언트로부터 메일이 온 것이 상태바에 출력된 경우, 정답도 몰라서 해제도 할 수 없는데 클라이언트로부터 긴급메일은 확인해야 하는 난감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정답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해제 또는 정답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응답이 입력된 경우 해제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업무로 인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시간 등을 학습으로 파악하여 적응적으로 응답만으로 해제가능 또는 해제불가 등을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해제부(140)에서 응답이 입력된 경우 잠금화면을 해제할 때, 사용자 단말(100)의 마이크 모듈을 통하여 입력된음성,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모션, 및 자판 인터페이스로 입력된 텍스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응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객관식은 번호만 입력하면 되고, 주관식인 경우에도 텍스트로 대답을 하는 문제도 있지만, 발음이나 스피킹 시험 등에서는 음성을 입력받아 발음의 정확도및 문장의 정확성을 모두 파악해야 하고, 수화시험에서는 직접 수화 동작을 입력해야 한다. 이에 따라, 자판을 통하여 입력되는 답뿐만 아니라, 마이크 또는 카메라 등으로 입력되는 답 또한 수집하여 정확도를 비교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00)의 모든 입력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도록 한다.
리워드 지급부(150)는, 해제부(140)에서 응답이 입력된 경우 잠금화면을 해제한 후, 응답이 기 저장된 응답과동일 또는 기 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하는 경우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이때, 리워드는 페이지가 출력된 후, 응답이 입력된 시간에 기초하여 증감되어 지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정확도가 높을수록, 응답시간이 짧을수록 더 많은 리워드가 지급될 수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이때 4지선다 또는 5지선다와 같은 객관식문제의 경우에는 정답은 1 개이고 정확도라는 개념이 없지만, 발음을 따라하거나 주관식의 경우에는 음성을 통한 피치 분석 또는 발음 분석으로 원어민 발음에 어느 정도 근접했는지의 정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주관식의 경우에도 정답이 아닌 경우에는 몇 퍼센트가 정확한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정답인 발음또는 문장 등의 텍스트와, 응답인 발음 또는 텍스트가 오차범위 60%-100%이면 정답이라고 설정된 경우, 잠금화면을 해제하는 것은 동일하나 리워드가 부여되는 것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60%의 유사도라면 리워드 1을 부여하고, 90%라면 리워드 10, 100%라면 리워드 30 등으로 차등적으로 지급될 수 있다. 또한, 응답시간이 빠를수록 리워드가 증가할 수 있다.
한편,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수집하여 메타데이터를 태깅하여 매핑되도록 저장하고, 광고 콘텐츠가 노출된 횟수에 카운트하여 광고비를 산정하는 CPM(Cost Per Mile)에 기반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한 정보에 기반하여 추출된 맞춤형 광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500)로 맞춤형 광고를 전송할 때, 클릭스트림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웹서핑(web surfing)으로 표현되는 온라인 행위는 인터넷 사용자가 정보탐색, 온라인 구매등의 활동을 위해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인터넷 사용자의 온라인 행위 정보는 사용자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웹사이트를 방문한 경로를 기록한 클릭스트림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클릭스트림 데이터는 설문조사에서 얻을 수 없는 정보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다시말해, 클릭스트림 데이터에는 인터넷 사용자가 어떤 사이트를 방문했는지, 특정 웹사이트를 얼마나 자주 방문했는지 등에 대한 일련의 온라인 활동들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클릭스트림 데이터는 웹사이트를 운용하는 업체가 가진 서버의 로그에서 웹로그(web log) 데이터 형태로 얻어지거나 사용자 컴퓨터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패널(panel)들의 방문 정보를 수집하는 기관으로부터 패널 데이터(panel data)의 형태로 얻어질 수 있다. 웹로그 데이터 형태의 클릭스트림 데이터에는 방문한 웹페이지 주소, 접속날짜와 시간, 세션 수 등과 같은 인터넷사용자의 온라인 활동 기록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되며 패널 데이터 형태의 클릭스트림 데이터에는 온라인 활동기록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인구 통계특성 정보까지 포함된다. 이를 위하여, 선형, 비선형을 가리지 않고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생물학적 신경망에서 영감을 얻은 알고리즘으로 모델의 성능이 높은 분류 기법인 신경망(neural networks),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 이항 로지스틱 회귀(binomial logistic regression), 다항 로지스틱 회귀(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난이도 관리부(160)는, 해제부(140)에서 응답이 입력된 경우 잠금화면을 해제한 후, 응답의 정답률을 히스토리로그로 누적시키고, 누적된 응답의 정답률에 기반하여 선택된 교육 콘텐츠의 난이도 또는 레벨을 적응적으로 증감시킬 수 있고, 누적된 응답의 정답률을 통계로 산출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종류의 시험에 합격 또는 입력한 목표의 달성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난이도 관리부(160)는, 추정된 합격가능성 또는 목표달성 가능성에 대한 그래프, 차트, 및 텍스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자가진단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교육 콘텐츠는, 연법과 무작위자극을 포함하는 브레인스토밍 발상법에 기반하여 사람의 적어도 하나의 감각기관을 이용하는 콘텐츠일 수 있으나,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페이지는 퀴즈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퀴즈가 출력된 시점부터 카운트다운을 시작하여 화면상에 오버레이하고, 퀴즈가 출력된 후 응답이 입력되기 전, 응답이 입력된 후 정답을 확인하기 전, 및 정답을 확인한 후 어느 한 구간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카운트다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람에게 초를 세는 카운팅을 할때에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긴장을 하게 되어 집중력이 높아지고 카운트가 더 진행되기 전에 무의식적으로 빠르게 답을 입력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카운트를 직접 오버레이하여 약간의 불안감을 자극함으로써 집중력을 높임과 동시에 응답을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화면에는 광고가 스트리밍되는데 리워드가 광고 노출 시간(=응답 시간)에 비례하지 않는 이유는, 응답을 빠르게 유도하기 위함도 있지만, 카운팅으로 사용자가 고도로 집중된 상태이므로 많은 시간을 노출하지 않아도 효과가 높기 때문이다. 물론, 광고 노출 시간에 비례, 즉 응답 시간이 길수록 리워드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토익을 선택하고, 목표점수를 900점이상으로 기재한 경우, 이에 대응하는 교육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b) 사용자 단말(100)에서 시험일자를 등록하는 경우, 현재날짜와 시험일자, 학습가능시간 등을 고려하여 학습량을 배분하고, 하루에 잠금화면을 해제하는 횟수로 나누어 학습목표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를 타겟으로 하는 광고를 추출한다. (c) 사용자 단말(100)에서 잠금 또는 화면꺼짐 상태였다고, (d) 잠금화면 해제를 하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화면에 학습 콘텐츠를 노출시키게 되고, (e) 응답을 하는 시간 동안 카운팅을 시작하여 화면에 오버레이하며,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 또는 응답이 입력되었는데 정답 또는 정확도가 높은 경우에 해제를 시키게 된다.
(f) 그리고,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합격인원이 한정된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의 정답률을 비교하거나, 합격인원이 정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목표에 달성될 가능성을 사용자의 정답률 또는 통계치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자신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은, 스마트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 또는 고정 단말의 잠금화면에 스마트러닝 기법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잠금해제를 할 때마다 또는 단말을 턴 온 시킬때마다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학습 콘텐츠는 음성인식기술, 이미지 연상, 스토리텔링 등의 심리학, 교육학 및 뇌과학 등에 기반할 수 있다. 그리고, 적립금 형식의 장학 포인트를 리워드로 제공함으로써, 편의점과 까페, 극장 등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수준을 파악하여 합격여부를 차트형식으로 시각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학습동기부여 및 서비스 이용권장이라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학습진도, 학습성취율, 학습패턴, 강제학습, 공부시간 푸시 알림 등의 기능을 부가하고,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기반 어학학습, 이미지를 통해 사물을 인식해 두뇌에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이미지 연상 학습, 학습자의 시각적, 청각적 상상력을 자극하여 학습효과를 높을 수 있는 스토리텔링 학습법 등을 이용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퀴즈풀이 과정에 자연스럽게 노출되는 네이티브 전략으로 시선집중도와 집중시간을 5배 이상 확보할 수 있는 CPM 광고와 지역, 연령, 주이용 콘텐츠, 이용 시간대, 학습형태, 광고참여 형태 및 분야, 광고 퍼포먼스 참여도 등의 정보를 이용, 광고 타겟팅과 수익 최적화하는 리워드 미디에이션을 제공하며, 관리 인터페이스를 그래프 기반으로 구성하여 쉽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강의, 요약문, 학습비법 등 교육자료 공유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강의나 요약문, 자신만의 학습 노하우, 공부비법 등을 업로드하고, 이를 다른 사람들이 공유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누구나 자신의 강의콘텐츠나 비법을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사람은 양질의 강의 또는 비법을 공유하고, 이용자의 확장과 지속적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교육자료 뿐만 아니라 모든 지식분야로 확장하여, 글로벌 지식공유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 있고, 이용자 학습수준에 맞춰 범위와 내용을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인공지능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흥미를 잃지 않으면서도 공부에 집중할 수 있도록 튜터기능을 수행하며, 학습과정에서 틀린 문제를 다음 과정에서 다시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범위 및 내용을 본 발명의 서비스에서 자동으로 편집하여 학습콘텐츠 재생산, 및 사용자별로 맞춤형 학습과 문제풀이가 제공되는 인공지능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주이용 학습 분야에 관한 새로운 뉴스, 정부정책, 이슈, 학습자료, 새롭게 출간된 교재, 교육상품 등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이용자에게 보여주는 스마트 도우미 기능으로 이용자의 편의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400)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S4100), 광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S4200),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등록 및 교육 콘텐츠의 종류나 난이도 등을 선택하면(S4300), 이에 대응하는 교육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4310).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잠금화면에 교육 콘텐츠가 출력되고,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 잠금화면이 해제되도록 설정을 하고(S4400), 잠금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S4500),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추출하여(S4600), 화면에 출력하게 되며(S4700), 응답입력을 대기할 때(S4800),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스트리밍받아(S4900), 광고를 출력하면서 응답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카운트하여 오버레이한다(S4910).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S4920),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로 데이터를 공유하고,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에서 정답여부, 응답시간 등에 기반하여 리워드를 부여할수 있도록 하고(S4930), 리워드가 지급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S4940). 한편,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의 정답률을 수집하고(S4950), 합격률 또는 달성률을 예측하여 각각의 단말로 제공한다(S4960). 상술한 단계들(S4100~S496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6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을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5100).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교육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설정하고(S5200), 사용자단말의 화면잠금이 실행된 후 화면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출력하며(S5300), 출력된 페이지에 대한 응답이 입력될 때까지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광고를 스트리밍받아 출력한다(S5400).
마지막으로, 사용자 단말은, 응답이 입력된 경우 잠금화면을 해제한다(S5500). 이와 같은 도 5의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는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및 설치된 상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교육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잠금이 실행된 후 화면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페이지에 대한 응답이 입력될 때까지 상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광고를 스트리밍 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은 상기 서버를 특정환경에 설치하는 서버설치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구축방법에 있어서,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및 설치된 상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교육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잠금이 실행된 후 화면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페이지에 대한 응답이 입력될 때까지 상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광고를 스트리밍 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은 상기 서버를 특정환경에 설치하는 서버설치장치(100)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설치장치(100)는, 상기 서버가 위치되는 현장의 제1벽면부(B1)의 제1-1합입부(L11)에 설치되는 제1-1장착하우징(11)과, 상기 서버가 위치되는 현장의 제1벽면부(B1)의 상기 제1-1합입부(L11) 하단에 구비되는 제1-2함입부(L12)에 설치되는 제1-2장착하우징(14)(12)과, 상기 서버가 위치되는 현장의 상기 제1벽면부(B1)와 마주하는 제2벽면부(B2)의 제2-1합입부(L21)에 설치되는 제2-1장착하우징(13)과, 상기 서버가 위치되는 현장의 제2벽면부(B2)의 상기 제2-1합입부(L21) 하단에 구비되는 제2-2함입부(L22)에 설치되는 제2-2장착하우징(14)과, 상기 제1-1장착하우징(11)과 상기 제2-1장착하우징(13)을 연결하는 제1거치플레이트(21)와, 상기제1-2장착하우징(12)과 상기 제2-2장착하우징(14)을 연결하는 제2거치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상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는, 상기 제1거치플레이트(21)와 상기 제2거치플레이트(22) 사이에 삽입장착되는 제1서버(301)와, 상기 제1거치플레이트(21)와 상기 제2거치플레이트(22) 사이에 삽입장착되며 상기 제1서버(301)와 대향하도록 위치되는 제2서버(302)와, 상기 제1거치플레이트(21)와 상기 제2거치플레이트(22) 사이에 삽입장착되며 상기 제1서버(301)와상기 제2서버(302) 사이에 위치되는 제3서버(303)와, 상기 제1거치플레이트(21)와 상기 제2거치플레이트(22) 사이에 삽입장착되며 상기 제3서버(303)와상기 제2서버(302) 사이에 위치되는 제4서버(30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거치플레이트(21)와 상기 제2거치플레이트(22) 사이에는, 상기 제1서버(301)와 상기 제3서버(303) 사이에 위치하는 제1냉각플레이트(31)와, 상기 제3서버(303)와 상기 제4서버(304) 사이에 위치하는 제2냉각플레이트(32)와, 상기 제4서버(304)와 상기 제2서버(302) 사이에 위치하는 제3냉각플레이트(33)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냉각플레이트(31)는 상기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제1서버(301)와 상기 제3서버(303) 간에 위치이동을 통해 상기 제1서버(301)와 상기 제3서버(303)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집중 냉각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2냉각플레이트(32)는 상기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제3서버(303)와 상기 제4서버(304) 간에 위치이동을 통해 상기 제3서버(303)와 상기 제4서버(304)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집중 냉각을 수행한다.
상기 제3냉각플레이트(33)는 상기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제4서버(304)와 상기 제2서버(302) 간에 위치이동을 통해 상기 제4서버(304)와 상기 제2서버(302)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집중 냉각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거치플레이트(21)에는 상단내장냉각체(41,42,43,44)가 구비되어, 상기 제1서버(301) 내지 상기 제4서버(304)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냉각을 수행하며, 상기 제2거치플레이트(22)에는 하단내장냉각체(51,52,53,54)가 구비되어, 상기 제1서버(301) 내지 상기 제4서버(304)의 하단부에 접촉하여 냉각을 수행한다.
상기 제1-1장착하우징(11)과 상기제1-2장착하우징(12) 사이에는 제1연동고정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제1-1함입부(L11)와 상기 제1-2함입부(L12)상에 설치된 상기 제1-1장착하우징(11)과 상기제1-2장착하우징(12) 상호간에 이격 고정력을 가하며, 이러한 상기 제2-1장착하우징(13)과 상기 제2-2장착하우징(14) 사이에는 제2연동고정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제2-1함입부(L21)와 상기 제2-2함입부(L22)상에 설치된 상기 제2-1장착하우징(13)과 상기 제2-2장착하우징(14) 상호간에 이격 고정력을 가한다.
상기 제1연동고정모듈은, 상기 제1벽면부(B1)에 설치되는 제1이격몸체(61)와, 상기 제1이격몸체(61)의 상부로 유동하여 상기 제1-1장착하우징(11)의 하부를 상부로 밀어내는 제1-1이동체(62)와 상기 제1이격몸체(61)의 하부로 유동하여 상기제1-2장착하우징(12)의 상부를 하부로 밀어내는 제1-2이동체(6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연동고정모듈은, 상기 제2벽면부(B2)에 설치되는 제2이격몸체(71)와, 상기 제2이격몸체(71)의 상부로 유동하여 상기 제2-1장착하우징(13)의 하부를 상부로 밀어내는 제2-1이동체(72)와 상기 제2이격몸체(71)의 하부로 유동하여 상기 제2-2장착하우징(14)의 상부를 하부로 밀어내는 제2-2이동체(7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동고정모듈은 상기 제1이격몸체(61)에서 상기 제1서버(301)측을 향하여 설치되는 제1연장몸체(64)와, 상기 제1연장몸체(64)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기 제1-1장착하우징(11)을 상기 제1-1함입부(L11)측으로 압입하는 제1-1압입체(65)와, 상기 제1연장몸체(64)의 하부로 설치되며 상기제1-2장착하우징(12)을 상기 제1-2함입부(L12)측으로 압입하는 제1-2압입체(6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연동고정모듈은, 상기 제2이격몸체(71)에서 상기 제2서버(302)측을 향하여 설치되는 제2연장몸체(71)와, 상기 제2연장몸체(71)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기 제2-1장착하우징(13)을 상기 제2-1함입부(L21)측으로 압입하는 제2-1압입체(72)와, 상기 제2연장몸체(71)의 하부로 설치되며 상기 제2-2장착하우징(14)을 상기 제2-2함입부(L22)측으로 압입하는 제2-2압입체(7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설치장치(100)는, 상기 제1거치패널(21)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하부에는 상기 제1거치패널(21)을 관통하여 상기 제1서버(301)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하단 혹은 좌우로 냉기를 분사하는 제1-1관통봉(62)이 구비되며, 타측하부에는 상기 제1거치패널(21)을 관통하여 상기 제2서버(302)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하단 혹은 좌우로 냉기를 분사하는 제1-2관통봉(63)이 구비되는 상단냉각체(61)와, 상기 제2거치패널(22)의 하부에 설치되고, 일측상부에는 상기 제2거치패널(22)을 관통하여 상기 제1서버(301)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하단 혹은 좌우로 냉기를 분사하는 제2-1관통봉(72)이 구비되며, 타측상부에는 상기 제2거치패널(22)을 관통하여 상기 제2서버(302)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하단 혹은 좌우로 냉기를 분사하는 제2-2관통봉(63)이 구비되는 하단냉각체(71)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1장착하우징(11)은 상기 제1거치패널(21)을 진퇴시켜 일정범위 유동시켜 상기 제2-1장착하우징(13)을 상기 제2벽면부(B2)로 눌러 고정시킨다. 상기제1-2장착하우징(12)은 상기 제2거치패널(22)을 진퇴시켜 일정범위 유동시켜 상기 제2-2장착하우징(14)을 상기 제2벽면부(B2)로 눌러 고정시킨다.
상기 서버설치장치(100)는 상기 제1-1장착하우징(11), 상기 상단냉각체(61) 및 상기 제2-1장착하우징(13)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는 상부마감패널과, 상기제1-2장착하우징(12), 상기 하단냉각체(71) 및 상기 제2-2장착하우징(14)의 하부를 덮어 마감하는 하부마감패널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마감패널은 제1외부마감체(81)와, 상기 제1외부마감체(81)의 하부에 제1보조마감체(82)와 상기 제1보조마감체(82)의 일측하부로 구비되는 제1-1연장체(83)와, 상기 제1보조마감체(82)의 타측하부로 구비되는 제1-2연장체(84)를 포함한다.
상기 제1-1연장체(83)는 상기 제1-1장착하우징(11)과 상기 상단냉각체(61) 사이에 진입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1-2연장체(84)는 상기 제2-1장착하우징(13)과 상기 상단냉각체(61) 사이에 진입하여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1연장체(83)는 상기 제1-1장착하우징(11)과 상기 상단냉각체(61) 사이에 진입하여 위치되어, 상기 제1보조마감체(82)에서 회전하여 주변부를 압입한다. 상기 제1-2연장체(84)는 상기 제2-1장착하우징(13)과 상기 상단냉각체(61) 사이에 진입하여 위치되어, 상기 제2보조마감체(92)에서 회전하여 주변부를 압입한다.
상기 하부마감패널은, 제2외부마감체(91)와, 상기 제2외부마감체(91)의 하부에 제2보조마감체(92)와, 상기 제2보조마감체(92)의 일측하부로 구비되는 제2-1연장체(93)와, 상기 제2보조마감체(92)의 타측하부로 구비되는 제2-2연장체(9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1연장체(93)는 상기 제2-1장착하우징(13)과 상기 하단냉각체(71) 사이에 진입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2-2연장체(94)는 상기 제2-2장착하우징(14)과 상기 하단냉각체(71) 사이에 진입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2-1연장체(93)는 상기 제2-1장착하우징(13)과 상기 하단냉각체(71) 사이에 진입하여 위치되어, 상기 제2보조마감체(92)에서 회전하여 주변부를 압입한다.
이러한 상기 제2-2연장체(94)는 상기 제2-2장착하우징(14)과 상기 하단냉각체(71) 사이에 진입하여 위치되어, 상기 제2보조마감체(92)에서 회전하여 주변부를 압입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서버설치장치
11: 제1-1장착하우징
12: 제1-2장착하우징
13: 제2-1장착하우징
14: 제2장착하우징

Claims (3)

  1.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및
    설치된 상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교육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잠금이 실행된 후 화면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페이지에 대한 응답이 입력될 때까지 상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광고를 스트리밍 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은 상기 서버를 특정환경에 설치하는 서버설치장치(100)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
  2.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구축방법에 있어서,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및
    설치된 상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교육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잠금이 실행된 후 화면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교육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페이지에 대한 응답이 입력될 때까지 상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광고를 스트리밍 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시스템 제공수단은 상기 서버를 특정환경에 설치하는 서버설치장치(100)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설치장치(100)는,
    상기 서버가 위치되는 현장의 제1벽면부(B1)의 제1-1합입부(L11)에 설치되는 제1-1장착하우징(11)과,
    상기 서버가 위치되는 현장의 제1벽면부(B1)의 상기 제1-1합입부(L11) 하단에 구비되는 제1-2함입부(L12)에 설치되는 제1-2장착하우징(12)과,
    상기 서버가 위치되는 현장의 상기 제1벽면부(B1)와 마주하는 제2벽면부(B2)의 제2-1합입부(L21)에 설치되는 제2-1장착하우징(13)과,
    상기 서버가 위치되는 현장의 제2벽면부(B2)의 상기 제2-1합입부(L21) 하단에 구비되는 제2-2함입부(L22)에 설치되는 제2-2장착하우징(14)과,
    상기 제1-1장착하우징(11)과 상기 제2-1장착하우징(13)을 연결하는 제1거치플레이트(21)와,
    상기제1-2장착하우징(12)과 상기 제2-2장착하우징(14)을 연결하는 제2거치플레이트(22)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 서버는,
    상기 제1거치플레이트(21)와 상기 제2거치플레이트(22) 사이에 삽입장착되는 제1서버(301)와,
    상기 제1거치플레이트(21)와 상기 제2거치플레이트(22) 사이에 삽입장착되며 상기 제1서버(301)와 대향하도록 위치되는 제2서버(302)와,
    상기 제1거치플레이트(21)와 상기 제2거치플레이트(22) 사이에 삽입장착되며 상기 제1서버(301)와상기 제2서버(302) 사이에 위치되는 제3서버(303)와,
    상기 제1거치플레이트(21)와 상기 제2거치플레이트(22) 사이에 삽입장착되며 상기 제3서버(303)와상기 제2서버(302) 사이에 위치되는 제4서버(304)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구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플레이트(21)와 상기 제2거치플레이트(22) 사이에는,
    상기 제1서버(301)와 상기 제3서버(303) 사이에 위치하는 제1냉각플레이트(31)와,
    상기 제3서버(303)와 상기 제4서버(304) 사이에 위치하는 제2냉각플레이트(32)와,
    상기 제4서버(304)와 상기 제2서버(302) 사이에 위치하는 제3냉각플레이트(33)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냉각플레이트(31)는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제1서버(301)와 상기 제3서버(303) 간에 위치이동을 통해 상기 제1서버(301)와 상기 제3서버(303)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집중 냉각을 수행하며,
    상기 제2냉각플레이트(32)는 상기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제3서버(303)와 상기 제4서버(304) 간에 위치이동을 통해 상기 제3서버(303)와 상기 제4서버(304)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집중 냉각을 수행하며,
    상기 제3냉각플레이트(33)는 상기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제4서버(304)와 상기 제2서버(302) 간에 위치이동을 통해 상기 제4서버(304)와 상기 제2서버(302)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집중 냉각을 수행하며,
    상기 제1거치플레이트(21)에는 상단내장냉각체(41,42,43,44)가 구비되어, 상기 제1서버(301) 내지 상기 제4서버(304)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냉각을 수행하며,
    상기 제2거치플레이트(22)에는 하단내장냉각체(51,52,53,54)가 구비되어, 상기 제1서버(301) 내지 상기 제4서버(304)의 하단부에 접촉하여 냉각을 수행하며,
    상기 제1-1장착하우징(11)과 상기제1-2장착하우징(12) 사이에는 제1연동고정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제1-1함입부(L11)와 상기 제1-2함입부(L12)상에 설치된 상기 제1-1장착하우징(11)과 상기제1-2장착하우징(12) 상호간에 이격 고정력을 가하며,
    상기 제2-1장착하우징(13)과 상기 제2-2장착하우징(14) 사이에는 제2연동고정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제2-1함입부(L21)와 상기 제2-2함입부(L22)상에 설치된 상기 제2-1장착하우징(13)과 상기 제2-2장착하우징(14) 상호간에 이격 고정력을 가하는,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구축방법.
KR1020210110769A 2021-08-23 2021-08-23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 및 그 구축 방법 KR102511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769A KR102511222B1 (ko) 2021-08-23 2021-08-23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 및 그 구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769A KR102511222B1 (ko) 2021-08-23 2021-08-23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 및 그 구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907A true KR20230028907A (ko) 2023-03-03
KR102511222B1 KR102511222B1 (ko) 2023-03-17

Family

ID=8551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769A KR102511222B1 (ko) 2021-08-23 2021-08-23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 및 그 구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2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329A (ko) 2015-12-23 2017-07-03 지승환 지식구조 및 교육과정체계 기반의 복합 전자책 학습서비스 시스템
JP2019028781A (ja) * 2017-07-31 2019-02-21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ーバシステム及びサーバルーム
KR20190053247A (ko) * 2015-05-07 2019-05-17 디에이치케이 스토리지, 엘엘씨 통합된 정밀 공기 흐름을 이용하는 컴퓨터 서버 열 조절
KR20190132823A (ko) * 2018-05-21 2019-11-29 주식회사 에듀그리고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92025B1 (ko) * 2021-07-19 2022-04-27 허봉수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247A (ko) * 2015-05-07 2019-05-17 디에이치케이 스토리지, 엘엘씨 통합된 정밀 공기 흐름을 이용하는 컴퓨터 서버 열 조절
KR20170075329A (ko) 2015-12-23 2017-07-03 지승환 지식구조 및 교육과정체계 기반의 복합 전자책 학습서비스 시스템
JP2019028781A (ja) * 2017-07-31 2019-02-21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ーバシステム及びサーバルーム
KR20190132823A (ko) * 2018-05-21 2019-11-29 주식회사 에듀그리고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92025B1 (ko) * 2021-07-19 2022-04-27 허봉수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222B1 (ko)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Dijck et al. Social media platforms and education
Tao et al. Transforming the personal response system to a cloud voting service
KR102096429B1 (ko)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Agnihotri et al. Overview and future scope of SWAYAM in the world of MOOCS: A comparative study with reference to major international MOOCS
Moon et al. Social enterprise and disruption innovation: evaluating the role of Rumie's free educational software in seven developing economies
KR102511222B1 (ko) 인공지능 기반 학습 서비스 시스템 제공방법 및 그 구축 방법
KR102284499B1 (ko) 학습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Bresnahan et al. Going tobacco-free on 24 New York City university campuses: A public health agency's partnership with a large urban public university system
KR101657687B1 (ko) P2p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1040466A1 (ko) 자기경영을 위한 lvh의 단계별 컨설팅 및 멘토링을 제공하는 슈퍼자기경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17329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션 수행 타입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28391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및 기록매체
KR20210112941A (ko) 실습도구 및 실습장소를 구비한 협업 지점과 연계된 예체능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20120589A (ko) 자기주도 학습 시스템 및 그의 방법
Spitzer et al. User Needs for a Mobility App to Support Living in Rural Areas
Chen et al. Patterns and trends in online learning behaviors: Evidence from google analytics
KR20200054542A (ko) 입사지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채용 방법
KR20180045991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 시간 측정 중 멘토 클라이언트에 공부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
KR101746349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스터디 그룹 제공방법
KR101746350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스터디 그룹 제공방법
KR101746348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스터디 그룹 제공방법
KR20180045988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나이별 학년별 일간 총 공부시간 랭킹 제공방법
Faircloth et al. The North Carolina Outward Bound School Course Impression Survey: A psychometric investigation
KR101663953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스터디 그룹 제공방법, 이를 컴퓨터상에서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240003766A (ko) 위치기반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항공승무원 맞춤형 토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