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814A - Film Processing Apparatus and Molded Film Processed Using Thereby - Google Patents

Film Processing Apparatus and Molded Film Processed Using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814A
KR20230028814A KR1020210100859A KR20210100859A KR20230028814A KR 20230028814 A KR20230028814 A KR 20230028814A KR 1020210100859 A KR1020210100859 A KR 1020210100859A KR 20210100859 A KR20210100859 A KR 20210100859A KR 20230028814 A KR20230028814 A KR 20230028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ealing
unit
area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길용
Original Assignee
이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용 filed Critical 이길용
Priority to KR102021010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8814A/en
Publication of KR20230028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8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using a single unit having both a severing tool and a weld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51Bag or container mak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27Cutting off

Abstract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unit for supplying a film, a first sealing unit for forming an inclined first sealing area by sealing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supplied through the supply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 second sealing unit sealing one side of the film by sealing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sealing area obliquely sealed by the first sealing unit to form a second sealing area.

Description

필름 가공 장치 및 이에 의해 가공된 성형 필름{Film Processing Apparatus and Molded Film Processed Using Thereby}Film Processing Apparatus and Molded Film Processed Using Thereby

본 발명은 필름 가공 장치 및 이에 의해 가공된 성형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되는 성형 필름의 일단에 형성되는 밀폐영역과 대응되는 양측 모서리부 일측을 소정각도로 실링하여 성형 필름을 펼쳐 내부에 내용물을 삽입 후 밀폐하는 경우 내부에 공기 등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밀폐가 용이한 성형 필름을 가공할 수 있는 필름 가공 장치 및 이에 의해 가공된 성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nd a molded film processed thereby, and more particularly, by sealing one side of both corner portions corresponding to an airtight area formed at one end of the molded film to be process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spread the molded film inside. It relates to a film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a molded film that can be easily sealed by minimizing the remaining air or the like in the case of sealing after inserting contents into the film, and a molded film processed by the same.

일반적으로 비닐 등의 필름은 일정 폭으로 제작되어 지관 등에 권취된 상태로 제공된다. 제공된 필름은 필요에 따라 비닐팩, 비닐봉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는 권취된 상태의 필름을 권출하고, 권출된 필름을 사용양태에 따라 커팅, 폴딩, 실링하여 공산품 또는 공산품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In general, a film such as vinyl is manufactured to a certain width and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it is wound on a paper tube or the like. The provided film can be made into a plastic bag, plastic bag, etc. as needed. To this end, the user unwinds the film in a wound state, and cuts, folds, and seals the unwound film according to the usage mode to make it into an industrial product or a material for an industrial product. can be used

여기서,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필름 가공 장치들은 권출된 필름을 가공하여 비닐봉투 등을 제작함에 있어 복수의 중첩된 필름을 실링하는 가공과 실링된 필름을 커팅하는 가공이 하나의 구동력으로 동시에 작동되게 되어 있다. Here, in the generally used film processing apparatuses, the process of sealing a plurality of overlapping films and the process of cutting the sealed film are simultaneously operated with one driving force in manufacturing a plastic bag by processing the unwound film. there is.

이때, 복수의 중첩된 필름을 실링하는 작업은 커팅하는 작업과 비교하여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구동력으로 작동됨으로써 실링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the sealing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overlapped films takes more time compared to the cutting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aling operation does not proceed properly because it is operated with one driving force.

구체적으로 대부분의 실링 작업은 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된 실링장치를 복수의 중첩된 필름과 접촉되도록 하고, 높은 온도에 의해 필름이 녹아 인접한 필름과 열 접착되면 다시 상온 상태에서 열 접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냉각시키는 작업을 통해 구현되는데, 이 때, 실링장치와 복수의 중첩된 필름의 접촉시간은 실링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 그러나 커팅 장치는 날카로운 칼날과 같은 부재가 필름과 접촉하도록 하여 필름을 커팅 시키며, 이는 커팅장치와 필름의 접촉에 의해 순간적으로 구현됨으로 접촉 시간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지 않는다. Specifically, in most sealing operations, a sealing device heated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lurality of overlapping films, and when the film is melted by the high temperature and thermally bonded to an adjacent film, the thermally bonded state is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again. It is implemented through a cooling oper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at this time,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sealing device and the plurality of overlapping films can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sealing. However, the cutting device cuts the film by bringing a member such as a sharp blade into contact with the film, and since this is instantaneously realiz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cutting device and the film, the contact time is not an important factor.

전술한 바와 같이 가공된 필름을 활용하여 가구, 가전제품 등의 내용물을 삽입하여 보관하는 경우 기존의 필름의 모서리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이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모서리와 일치하지 않아 필름의 돌출된 모서리 부분에 공기가 잔류하여 완전한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ents of furniture, home appliances, etc. are inserted and stored using the processed film,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corner of the existing film does not match the corner of the furniture or home appliance, so the protruding corner of the film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keep it completely because air remains in it.

KR 0817598 10KR 0817598 1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공되는 성형 필름의 일단에 형성되는 밀폐영역과 대응되는 양측 모서리부 일측을 소정각도로 실링하여 성형 필름을 펼쳐 내부에 내용물을 삽입 후 밀폐하는 경우 내부에 공기 등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밀폐가 용이한 성형 필름을 가공할 수 있는 필름 가공 장치 및 이에 의해 가공된 성형 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and when sealing one side of the corner portion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area formed at one end of the molding film to be processed at a predetermined angle, unfolding the molding film and inserting the contents therein, and then sealing the insi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m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a molded film that is easy to seal by minimizing the remaining air, and a molded film processed thereby.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필름 가공 장치는 필름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필름의 폭 방향 양단을 상호 대응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실링하여 경사진 제1실링영역을 형성하는 제1실링부 및 상기 제1실링부에 의해 경사지게 실링된 제1실링영역의 길이방향 종단에 대응되는 일측을 실링하여 상기 필름의 일측을 밀폐하여 제2실링영역을 형성하는 제2실링부를 포함한다.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supply unit for supplying a film, sealing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supplied through the supply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o form an inclined first sealing area A first sealing portion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forming a second sealing area by sealing one side of the film by sealing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sealing area obliquely sealed by the first sealing portion. .

이때, 상기 제1실링부는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필름의 대각선을 가로지르는 임의의 선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sealing part may be disposed parallel to an arbitrary line crossing the diagonal of the film that is actually used.

또한,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필름의 폭에 따라 배치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ealing par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arrangement posi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ilm.

또한, 상기 제1실링부는. 공급되는 상기 필름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필름의 공급방향과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필름을 실링하기 위하여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실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ealing part. A first support fram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lm to be suppli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pply direction of the film and movable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and provided to be lifted and lowered to seal the film A first sealing unit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제1실링영역의 실링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ealing part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in order to adjust the sealing angle of the first sealing area.

또한, 상기 제1실링부에 의해 실링된 제1실링영역의 폭 방향 외측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t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utting portion forming a cutting line to selectively remove a portion out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area sealed by the first sealing portion.

또한, 상기 절취부는 상기 필름의 폭에 따라 배치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tou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arrangement posi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ilm.

또한, 상기 절취부는, 공급되는 상기 필름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필름의 공급방향과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지지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필름을 실링하기 위하여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절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t-out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lm to be suppli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movable along the second support frame provided at an angle to the supply direction of the film an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seals the film. It may include a cutting unit that is provided to be liftable for.

또한, 상기 절취부는 상기 절취선을 형성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tting portion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order to adjust an angle forming the cutting line.

또한, 상기 제1실링부, 제2실링부 및 절취부의 배치 순서는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sealing part, the second sealing part and the cutting part may be selectively changed.

또한, 상기 제2실링영역과 대응되는 부위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utting portion for cutt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aling area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필름의 폭 방향 양측 종단은 소정 길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접힌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film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supplied in a folded state so as to be inserted inside a predetermined length.

또한, 상기 공급부는 공급되는 상기 필름의 폭 방향 종단을 소정 길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접는 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folding unit that folds an end of the supplied film in the width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length.

또한, 다른 카테고리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성형 필름은 전술한 필름 가공 장치를 통해 가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molded film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category can be process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film processing device.

또 다른 카테고리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성형 필름은 소정의 면적을 갖고, 한 쌍의 대면하는 종단은 개방되고, 이와 인접한 한 쌍의 종단은 폐쇄된 필름지, 상기 필름지의 개방된 양단 중 일단을 밀폐하는 제2실링영역, 상기 제2실링영역과 인접한 모서리 부분에 상기 제2실링영역과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실링영역 및 상기 제1실링영역 외측에 형성되는 절취선을 포함한다.In another category, a forming film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area, a pair of facing ends is open, and a pair of adjacent ends are closed, and one end of both open ends of the film paper is It includes a second sealing area for sealing, a first sealing area formed at a corner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sealing area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econd sealing area, and a perforated line formed outside the first sealing area.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 및 이에 의해 가공된 성형 필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lded film processed thereby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성형 필름의 밀폐단과 대응되는 모서리부분을 대각선으로 실링하여 성형 필름을 펼쳤을 때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펼쳐져 가구 또는 가전제품 등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when the molded film is unfolded by sealing the corn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aled end of the molded film diagonally, it unfolds in a hexahedral shape with a lower portion open, so that furniture or home appliances can be easily inserted.

둘째,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펼쳐져 가구 또는 가전제품을 포장하는 경우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가구 또는 가전제품을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when furniture or home appliances are packag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 lower portion open, air remaining inside is minimized to more stably pack furniture or home appliances.

셋째, 제1실링유닛의 배치 위치 및 배치 각도가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 및 면적을 갖는 성형 필름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the position and angle of arrangement of the first sealing unit can be adjusted, so that molded films having various sizes and areas can be easily manufactured.

넷째, 제1실링부에 의해 실링되는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에 절취선을 형성하여 사용양태에 따라 절취선을 따라 절취부위를 제거하여 포장 시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urth, a perforation line is formed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one side sealed by the first sealing unit, and the perforation is removed along the perforation line according to the usage mode, so that the aesthetic appearance can be improved during packaging.

다섯째,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연속적인 성형 필름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fth, there is an effect of rapidly and stably processing a continuous molded film through an automated system.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의 제1실링부 및 절취부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의 제1실링부 및 절취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에 의한 각각의 공정을 통과하며 필름지가 성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필름의 평면도; 및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필름의 사시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ose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plan view of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aling part and the cutting part of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oved;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aling portion and the cutting portion of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m paper is formed while passing through each process by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molded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lded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s used herei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필름 가공 장치의 구성Composition of film process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의 평면도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공급부(100), 이송부(200), 폴딩부, 제1실링부(300), 제2실링부(400), 절취부(500), 절단부, 정렬부(600)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1 is a plan view of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unit 100, a transfer unit 200, a folding unit, a first sealing unit 300, and a second sealing unit 400. ), a cutting unit 500, a cutting unit, an alignment unit 600, and a control unit.

공급부(100)는 가공을 위한 비닐원단 또는 필름지(이하, 필름지로 통일하여 명명하여 사용하기로 함)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거나, 일정 면적으로 재단된 필름지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필름지가 권취된 롤러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일실시예인 것으로 한정적이지 않으며, 사용양태에 따라 소정 면적으로 절단된 필름지를 복수 적층하고, 적층된 필름지를 한 장씩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급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처럼 공급부(100)는 연속적인 필름지를 연속적으로 성형 가공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구성이 제한적이지 않으며,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The supply unit 100 is a device for continuously supplying vinyl fabric or film paper for process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nified name for film paper) or for supplying film paper cut to a certain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it is shown and described mainly that the film paper is continuously supplied through a wound roller, it is not limited to one embodiment, and a plurality of film paper cut into a predetermined area is laminated according to the usage mode, and the laminated film paper is It is obvious that a feed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feeding sheet by sheet may be used. As such, the supply unit 100 is not limited in its configuration as long as it is a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molding and processing continuous film sheets, and any device may be used.

이때, 공급부(100)를 통해 필름지는 적어도 2겹으로 중첩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송방향과 수직한 폭 방향 양단은 밀폐된 상태로 공급되고, 이송방향과 대응되는 양단은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로 공급된다. At this time, the film paper may be supplied in a state of overlapping at least two layers through the supply unit 100,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direction are supplied in a sealed state, and both ends corresponding to the transport direction contain the contents inside. Supplied open to accommodate.

또한, 성형 필름(1000)의 사용양태 등을 고려하여 공급되는 필름지의 폭 방향 양단은 내측으로 소정 간격 접힌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필름지는 공급부(100)에서 폭 방향 양단이 접힌 상태로 롤러에 권취되거나, 복수 적층된 상태로 공급될 수도 있으며, 현장에서 실링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접철 공정을 선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현장에서 접철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공급되는 피름지의 폭 방향 양단을 내부로 소정간격 접철하는 폴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 mode of the molded film 1000,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lied film paper may be supplied in a folded st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ward. At this time, the film paper may be wound around a roller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re folded in the supply unit 100, or may be supplied in a plurality of stacked states, and the fold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advance before performing the sealing process in the field.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folding process in the field like this, a folding unit for folding both ends of the supplied film paper in the width direction into the in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may be further provided.

폴딩부(미도시)는 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필름지를 사용양태에 맞추어 접는 장치이다. 이러한 폴딩부는 필름지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 양측 일단부를 중심부 내측으로 접는 장치이다. 이때, 필름지는 폭 방향 양단이 폐쇄된 상태로 폴딩부로 공급되고, 폴딩부를 통과하며 폭 방향 양단부 일측이 내측으로 접힘에 따라 폴딩부를 통과한 필름지의 중심부는 2겹, 폭 방향 양단부는 4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olding unit (not shown) is a device that folds the film sheets supplied through the supply unit 100 according to usage patterns. This folding unit is a device that folds one side of the film paper, preferably one end of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center. At this time, the film paper is supplied to the folding unit in a closed state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as one side of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is folded inward as it passes through the folding unit, the center portion of the film sheet passing through the folding unit is formed into two layers and th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into four layers. It can be.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처음부터 폭 방향 양단부가 접힌 상태로 공급되거나, 사용양태에 따라 필름지의 양단을 폴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폴딩부가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Here, as described above, if th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re supplied in a folded state from the beginning, or if it is not necessary to fold both ends of the film paper according to the usage mode, the folding unit may not be provided.

이송부(200)는 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필름지를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벨트 또는 회전 롤러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200)는 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필름지를 각각의 공정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송시키고, 각각의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정 중에는 이송을 중지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필름지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 회전 롤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The transfer unit 200 is a device for transporting film sheets supplied through the supply unit 100 . The conveying device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onveyor belt or a rotating roller. The transfer unit 200 transfers the film sheets supplied through the supply unit 10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process, and uses any device that can stop the transfer during the process so that each process can be performed smoothly. It is free to do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conveyor belt, a rotating roller, or a combination thereof capable of continuously conveying film sheets.

제1실링부(300)는 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필름지의 이송 경로 중 일측에 구비되어 필름지의 폭 방향 양단 일측을 상호 대응되도록 필름지의 공급방향과 소정각도 경사지게 실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1실링부(30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1실링영역(1100)을 형성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열융착 방식을 통해 제1실링영역(1100)을 실링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제1실링부(300)는 성형하고자 하는 최종 성형 필름(1000)의 면적을 고려하여 그 배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실링부(300)는 제1지지 프레임(310) 및 제1실링유닛(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sealing unit 3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port path of the film pap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unit 100 and seals both ends of the film paper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pply direction of the film paper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t is a device. Any device may be used as the first sealing part 300 as long as it can form the first sealing area 1100 through various methods.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device for sealing the first sealing area 1100 through a thermal fusion method. At this time, the first sealing unit 30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its placement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rea of the final molded film 1000 to be molded. To this end, the first sealing unit 30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frame 310 and a first sealing unit 320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의 제1실링부 및 절취부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의 제1실링부 및 절취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지지 프레임(310)은 필름의 이동경로 상에 필름지의 이동경로와 소정각도 경사지게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지지 프레임(310)의 설치 높이는 제1지지 프레임(310)에 설치되는 제1실링유닛(320)의 작동 공간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설치각도는 필름지의 이동방향과 소정각도, 바람직하게는 필름지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지지 프레임(310)의 길이는 가공하고자 하는 성형 필름(1000)들의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지지 프레임(310)은 제1실링유닛(320)을 지지하는 동시에 제1실리유닛의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홈 또는 관통공이 형성되거나,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막대형 부재 등을 통해 제1가이드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aling part and the cutting part of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oved, an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aling part and the cutting part of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rotated. am. The first support frame 310 i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path of the film shee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moving path of the film. 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0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space of the first sealing unit 320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frame 310, and the installation angle i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lm paper,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arrange at an angle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lm paper.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0 may be of various size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s of the molded films 1000 to be processed. The first support frame 310 supports the first sealing unit 320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guide to chang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seal unit. For this purpose, grooves or through-holes ar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r The first guide groove 311 may be formed through a pair of rod-shaped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실링유닛(3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 프레임(3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1지지 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3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처럼 제1실링유닛(320)은 제1지지 프레임(310)의 제1가이드홈(3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가공하고자 하는 성형 필름(1000)의 폭에 따라 해당 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폭을 갖는 성형 필름(1000)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1실링유닛(3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1지지 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1실링유닛(320)의 실링 각도는 사용양태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가공되는 성형 필름(1000)의 면적을 대각선으로 가로지는 임의의 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제1실링유닛(320)은 선택적으로 배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제1지지 프레임(310)에 구비되어 성형 필름(1000)의 면적, 가로 세로 비율, 기타 다양한 변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 the first sealing unit 320 is a first guide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0, preferab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0. It is movably coupled along (311). As such, the first sealing unit 320 is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311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0, and thus changes its position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orming film 1000 to be processed in various ways. A molded film 1000 having a width may be manufactur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sealing unit 3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310 to adjust the sealing angle. At this time, the sealing angle of the first sealing unit 320 may be various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mode of use, but is preferably disposed parallel to an arbitrary line diagonally crossing the area of the forming film 1000 to be finally processed. It's good to be.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The first sealing unit 320 is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frame 310 so as to selectively adjust the arrangement angle, and the area, aspect ratio, and other various variables of the forming film 1000 can be adjusted. It can be arranged at various angles in consideration.

또한, 제1실링유닛(320)은 이송되는 필름지가 제1실링영역(110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하강하여 제1실링영역(1100)을 실링 가능하도록 제1지지 프레임(310)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실링유닛(320)은 상승한 상태가 기본 상태이고, 필름지가 공급되면 하강하여 제1실링영역(1100)을 실링한다. 이때, 제1실링유닛(320)은 제1실링영역(1100)을 실링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필름지에 소정의 열을 가하여 열융착을 통해 실링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열융착을 통해 실링하는 실링장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ealing unit 320 moves up and down on the first support frame 310 to seal the first sealing area 1100 by descending when the transferred film shee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ling area 1100. Possibly can be provided. That is, the first sealing unit 320 is in an elevated state as a basic state, and when film paper is supplied, it descends to seal the first sealing area 1100 . At this time, the first sealing unit 320 may use any method as long as it can seal the first sealing area 1100, but preferably uses a device for sealing through thermal fusion by applying a predetermined heat to the film paper It is good to do. A sealing device for sealing through such thermal fusion is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실링부(400)는 필름지의 공급 방향을 기준으로 제1실링부(300) 보다 선행되는 위치 또는 후행되는 위치 중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실링부(400)가 제1실링부(300)보다 선행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 제2실링부(400)의 배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2실링부(400)는 가공하고자 하는 성형 필름(1000)의 길이방향 종단부와 대응되는 일단을 실링하여 성형 필름(1000)의 밀폐되는 일단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즉, 제2실링부(400)는 공급되는 필름지의 폭 방향 일측을 전체적으로 실링하는 장치이다. 이처럼 필름지의 폭 방향 일측을 전체적으로 실링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2실링부(400)는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실링부(300)와 마찬가지로 열융착을 통해 실링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제2실링부(400)는 필름 가공 장치(10)의 전체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것이 좋으며, 그 길이는 필름 가공 장치(10)의 설치 환경, 가공하고자 하는 성형 필름(1000)의 폭 방향 최대 길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10)는 최대 4,500mm의 성형 필름(1000)을 가공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2실링부(400)는 여유 공간 등을 고려하여 4,500mm보다 길게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실링부(400)는 필름의 폭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 및 베이스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실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링유닛은 전술한 제1실링유닛(320)과 마찬가지로 해당위치에 필름지가 공급되는 경우 제2실링유닛이 하강하며 필름지의 해당영역의 폭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실링하여 제2실링영역(1200)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되는 제2실링영역(1200)을 통해 최종적으로 가공되는 성형 필름(1000)은 밀폐되는 일단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sealing unit 400 may be selectively disposed in a position preceding or following the first sealing unit 300 based on the supply direction of the film pap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aling unit 400 is mainly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at a position preceding the first sealing unit 300,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disposition position of the second sealing unit 400 is limited. It is not. The second sealing unit 400 is a device for forming a closed end of the forming film 1000 by sealing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orming film 1000 to be processed. That is, the second sealing unit 400 is a device that seals one side of the supplied film paper in the width direction as a whole. As such, any device may be used as the second sealing unit 400 as long as it is a device capable of sealing one side of the film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as a whole.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device for sealing through thermal fusion, similarly to the first sealing unit 300 .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sealing part 40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verall width of the film processing device 10, and the length depends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film processing device 10 and the molded film 1000 to be processed.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lengths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In one embodiment,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to process a molded film 1000 of up to 4,500 mm, and in this case, the second sealing unit 400 takes into account free space, etc. Thus, it can be configured longer than 4,500 mm. The second sealing unit 400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may include a base fram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and a second sealing unit movably provided on the base frame. Like the first sealing unit 320 described above, when the film paper is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second sealing unit descends and seals the entire area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film paper, thereby sealing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 to form The forming film 1000 finally processed through the second sealing region 1200 formed in this way may form one end that is sealed.

전술한 제1실링부(300) 및 제2실링부(400)의 후단에는 제1실링부(300) 및 제2실링부(400)를 통해 실링된 제1실링영역(1100) 및 제2실링영역(1200)에 발생한 열을 신속하게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는 제1실링영역(1100) 및 제2실링영을 향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송풍기 등의 간접냉각 방식을 사용하거나, 해당영역에 직접 접촉하는 직접 냉각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직접 냉각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실링부(300) 및 제2실링부(400)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제1실링유닛(320) 및 제2실링유닛 대신 냉각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냉각유닛은 상온 또는 상온보다 낮은 온도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필름지를 향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실링을 위해 온도가 상승한 필름지의 일측의 온도를 하강시킨다. 이처럼 승강 되도록 구비되는 냉각유닛을 통해 필름지를 냉각하는 경우 냉각유닛에 의해 한 번 더 압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링영역의 실링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냉각부는 제1실링부(300) 및 제2실링부(400)의 후단에 각각 구비되거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제1실링부(300) 및 제2실링부(400)를 모두 통과 후 제1실링영역(1100) 및 제2실링영역(1200)을 동시에 냉각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냉각부만 구비될 수도 있다. 만약, 제1실링부(300) 및 제2실링부(400)가 열융착과 같이 열을 발생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냉각부는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At the rear end of the above-mentioned first sealing part 300 and second sealing part 400, the first sealing area 1100 and the second sealing part sealed through the first sealing part 300 and the second sealing part 400 are formed. A cooling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to rapidly cool heat generated in the region 1200 . The cooling unit may use an indirect cooling method such as a blower that injects air toward the first sealing area 1100 and the second sealing area, or may be formed using a direct cooling method directly contacting the corresponding area. If the direct cooling method is used,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ling unit 30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400 is provided, but a cooling unit is provided instead of the first sealing unit 32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It can be. At this time, the cooling unit is made of a bar shape at room temperature or lower than room temperature, and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toward the film paper to lower the temperature of one side of the film paper whose temperature has risen for sealing. When the film sheet is cooled through the cooling unit provided to move up and down as described above, since compression is performed once more by the cooling unit, sealing of the sealing area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t this time, the cooling unit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sealing unit 30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400, respectively, or after passing through both the first sealing unit 30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400 depending on the usage mode. Only one cooling unit may be provided to simultaneously cool the first sealing area 1100 and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 If the first sealing part 300 and the second sealing part 400 do not use a heat-generating method such as thermal fusion, the cooling unit may not be provided.

절취부(500)는 필름지의 이송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실링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제1실링영역(1100)과 인접한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절취선(1300)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절취부(500)는 필름지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1실링영역(1100)과 인접한 외측 영역,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실링영역(1100)과 평행하게 절취선(1300)을 형성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절취부(500)는 제1실링부(300)와 마찬가지로 배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절취부(500)는 제2지지 프레임(510) 및 절취유닛(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utout part 500 is a perforated line 1300 through which a user can selectively and easily remove an area adjacent to the first sealing area 1100 formed by the first sealing part 300 provided on one side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lm paper. is a device that forms The cutting part 500 is a device capable of forming a cutting line 1300 parallel to one side of the film paper, preferably an outer area adjacent to the first sealing area 1100, more preferably parallel to the first sealing area 1100. If so, you are free to use any device. At this time, the cutout 50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arrangement position similarly to the first sealing part 300 . To this end, the cutting unit 500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frame 510 and a cutting unit 520 .

제2지지 프레임(510)은 필름의 이동경로 상에 필름지의 이동경로와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대, 제2지지 프레임(510)의 설치 높이는 제2지지 프레임(510)에 설치되는 절취유닛(520)의 작동 공간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설치가도는 필름지의 이동방향과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바람직하게는 필름지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2지지 프레임(510)의 길이는 제1지지 프레임(310)과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제2지지 프레임(5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2지지 프레임(510)의 길이 방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홈 또는 관통공이 형성되거나,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막대형 부재 등을 통해 제2가이드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frame 510 i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oving path of the film paper on the moving path of the film.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frame 510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space of the cutting unit 520 installed on the second support frame 510, and the installation is preferably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lm paper. It is preferable to arrange at an angle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lm pape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frame 5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0 . At this time, a groove or a through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510, preferab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510, or through a pair of mutually spaced rod-shaped members. A second guide groove 511 may be formed.

절취유닛(520)은 제2지지 프레임(5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 프레임(510)의 제2가이드홈(5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처럼 절취유닛(520)은 제2지지 프레임(510)의 제2가이드홈(5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절취선(1300)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절취유닛(520)은 제1실링유닛(320)과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 프레임(510)의 일측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절취유닛(520)은 상승된 상태를 기본 상태로 하고, 이송되는 필름지가 절취선(1300)을 형성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하강하여 필름지의 일측에 절취선(130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절취유닛(520)은 필름지에 형성하고자 하는 절취선(1300)의 형상, 크기, 사이 간격 등을 고려하여 톱니 형상 또는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구비되는 칼날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칼날이 배치될 수 있다. The cutting unit 520 is mov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510, preferably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511 of the second support frame 510 as shown in FIG. As such, the cutting unit 520 is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511 of the second support frame 510 and can selectively change the position where the cutting line 1300 can be formed. In addition, the cutting unit 520, like the first sealing unit 320, as shown in FIG. 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510 to be rotatable and liftable. That is, the cutting unit 520 is in an elevated state as a basic state, and when the film sheet to be transported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perforation line 1300 is formed, it descends to form the perforation line 1300 on one side of the film sheet. Such a cutting unit 520 may have blade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such as a sawtooth shape or a plurality of bla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size, and spacing of the perforation lines 1300 to be formed on the film. can

절단부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지의 일측을 절단하여 최종적으로 가공하고자 하는 성형 필름(1000)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필름지를 절단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절단부는 필름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절단부의 구성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utting unit is a device that cuts one side of the continuously supplied film paper to finally cut the film paper in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orming film 1000 to be processed. This cutting unit may use any device as long as it can easily cut film paper. The configuration of such a cut portion is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사용양태에 따라 절단부는 제2실링부(4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실링부(400)가 제2실링영역(1200)을 실링함과 동시에 제2실링영역(1200)과 대응되는 필름지의 일측을 폭방향을 따라 절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절단부는 제2실링부(400)와 별도의 장치로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Depending on the usage mode, the cutting par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ealing part 400 so that the second sealing part 400 seals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and at the same time, the film pap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One side may be configured to be cu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the cutting unit can be configured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second sealing unit 400 .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10)는 사용양태에 따라 각각의 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통해 공급되는 필름지의 배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전기 방지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정전기 방지부는 필름 가공 장치(10)의 일측에 하나만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각각의 고정 중간에 복수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금속 칼날에 의한 절단 시에 정전기가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절취부(500) 또는 절단부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nti-static unit (not shown) to prevent the disposition of the film paper supplied through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during each process according to the usage mode. Only one such anti-static uni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lm processing device 10, and a plurality may be provided in the middle of each fixation depending on the usage mode. However, sinc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static electricity will be generated when cutting with a metal blade,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on the cutting part 500 or one side adjacent to the cutting part.

전술한 구성은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제1실링부(300), 제2실링부(400) 및 절취부(500)의 배치 순서는 사용양태 및 가공하는 성형 필름(1000)의 형상, 크기 및 재질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순서로 배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전술한 구성에서는 필름의 공급 방향을 따라 제1실링부(300), 제2실링부(400) 및 절취부(500) 순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제2실링부(400), 제1실링부(300) 및 절취부(500) 순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순서로 배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더불어, 절단부의 배치 순서 역시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sealing part 300, the second sealing part 400, and the cutout part 500 is based on the shape, size and shape of the molded film 1000 to be processed. It is obvious that they can be arranged in various orders in consideration of materials and the like. That is, 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first sealing unit 300, the second sealing unit 400, and the cutout unit 500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supply direction of the film, but depending on the usage mode, the second sealing unit 400 ), the first sealing part 300 and the cutout part 500 can be arranged in order, and it is obvious that they can be arranged in a more diverse order.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cutting parts can also be changed.

정렬부(600)는 전술한 구성들을 통과하며 모든 공정이 완료되어 가공된 성형 필름(1000)을 정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렬부(600)는 가공이 완료된 성형 필름(1000)을 용이하게 정렬, 적층 또는 정리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정렬부(600)는 가공이 완료된 성형 필름(1000)을 순차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전술한 구성 중 최 후단에 배치되는 장치와 인접 또는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소정면적을 갖는 테이블 등의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정렬부(600)는 공급되는 성형 필름(1000)이 적층 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하강시켜 성형 필름(1000)의 적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정렬부(600)의 구성은 일실시예일 뿐 가공이 완료된 성형 필름(1000)을 용이하게 정렬, 적층 또는 정리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The aligning unit 600 is a device for aligning the molded film 1000 processed after passing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d completing all processes. The aligning unit 600 may be formed of any device as long as it can easily align, stack, or arrange the processed molded film 1000 . In one embodiment, the aligning unit 600 is arranged to be adjacent to or in close contact with a device disposed at the rear end amo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so that the processed molded film 1000 can be sequentially stacked, and is arranged to be liftable. It may be made of a device such as a table having an area. As such, the aligning unit 600 gradually descends as the supplied forming films 1000 are stacked so that the forming films 1000 are smoothly stacked. The configuration of the aligning unit 600 is only an example, and any devic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easily align, stack, or arrange the processed molded film 1000 .

제어부(미도시)는 필름 가공 장치(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급부(100) 및 이송부(200)의 이송 속도, 이송 및 정지 등을 제어하고, 제1실링부(300) 및 제2실링부(400)의 실링 온도, 실링 시간 등을 제어하고, 절취부(500), 절단부 및 정렬부(6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등 필름 가공 장치(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어부는 사용자가 각각의 구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반 등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어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controller (not show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lm processing device 10 to control the feed speed, feed and stop of the supply unit 100 and the transfer unit 200, and the first sealing unit 30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It is a device for overall control of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10, such as controlling the sealing temperature and sealing time of 400,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utting unit 500, the cutting unit and the aligning unit 600.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trol panel or the like through which a user can easily control each configuration,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that visually displays each control state.

필름 가공 장치의 사용양태Use of film processing equipment

전술한 구성을 갖는 필름 가공 장치(10)를 활용하여 성형 필름(1000)을 가공하는 공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process of processing the molded film 1000 using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공급되는 필름지 및 최종 가공하고자 하는 성형 필름(1000)의 재질, 두께 및 면적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장치들을 이와 대응되도록 설정한다. 즉, 제어부를 통해 성형 필름(1000)의 재질, 두께 등을 고려하여 제1실링부(300) 및 제2실링부(400)의 온도 및 실링 시간 등을 설정하고, 제1실링유닛(320) 및 절취유닛(520)의 배치 위치 및 배치각도를 가공하고자 하는 성형 필름(1000)의 면적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First, each device is set to correspond to the material, thickness, area, etc. of the film paper to be supplied and the forming film 1000 to be finally processed. That is, the temperature and sealing time of the first sealing unit 30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400 ar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molded film 1000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he first sealing unit 320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arrangement angle of the cutting unit 520 ar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rea and size of the molded film 1000 to be processed.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이 완료되면 공급부(100)에서 연속적으로 필름지를 공급하며 성형 필름(1000)의 가공을 시작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tting is completed, the supply unit 100 continuously supplies the film sheet and starts processing the forming film 1000.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is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에 의한 각각의 공정을 통과하며 필름지가 성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100)를 통해 필름지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며 이송부(200)는 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필름지가 각각의 공정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정렬부(600)에 안착되도록 필름지를 이송하되, 제1실링부(300) 및 제2실링부(400)에서 실링이 이루어지는 동안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이송을 정지한다. 여기서, 공급부(100)는 롤 형상으로 권취된 필름지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가공하고자 하는 성형 필름(1000)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절단된 상태의 필름지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공급되는 필름지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폭 방향 양단은 밀폐되고, 이송방향에 대응되는 양단은 개방된 상태로 공급된다.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film paper is formed while passing through each process by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5, the film paper is continuously supplied through the supply unit 100, and the transfer unit 200 performs each process of the film pap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unit 100, and finally the alignment unit 600 However, while the film is transferred to be seated on the first sealing unit 30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400, the transfer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Here, the supply unit 100 is mainly illustrated using a device for continuously supplying film paper wound in a roll shape, but depending on the usage mode, the state of being cut to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molded film 1000 to be process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device for continuously supplying film sheets of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supplied film paper in the width direction are closed based o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both ends corresponding to the conveying direction are supplied in an open state.

본 발명에서는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필름지는 폭 방향 양단이 내측으로 소정간격 접힌 상태로 공급되는 것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필름지의 양단이 접히지 않은 상태로 공정이 수행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폴딩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필름지의 양단을 내측으로 접은 후 제2실링부(4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paper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100 is shown and described centering on being supplied in a state wher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re folded inwar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ut depending on the usage mode, the process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film paper are not folded Alternatively, a folding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both ends of the film sheet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100 may be folded inward and then supplied to the second sealing unit 400 .

다음으로, 제2실링부(400)는 연속으로 공급되는 필름지의 폭 방향 일측을 실링하여 제2실링영역(1200)을 형성함으로써 가공하는 성형 필름(1000)의 밀폐단(1400)을 형성한다. 이때, 제2실링부(400)의 제2실링유닛의 일측에는 절단용 칼날이 배치되어 제2실링영역(1200)의 후단을 절단하여 필름지를 성형 필름(1000)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절단을 수행한다. 사용양태에 따라 절단용 칼날은 제2실링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지 않고 별도의 절단부를 구비하여 제2실링부(400)와 별도로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실링부(400)가 형성된 밀폐단(1400)과 대응되는 성형 필름(1000)의 타단은 개방된 상태로 개방단(1500) 상태를 유지한다. 즉, 최종적으로 가공된 성형필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후 개방단(1500)을 통해 제품을 삽입할 수 있다.Next, the second sealing unit 400 forms a sealing end 1400 of the forming film 1000 to be processed by forming a second sealing area 1200 by sealing one side of the continuously supplied film paper in the width direction. At this time, a cutting blade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ealing unit of the second sealing unit 400 to cut the rear end of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so that the film paper has an area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orming film 1000. perform the cut Depending on the usage mode, the cutting blade may not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ealing unit, but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cutting unit to perform a cutting operation separately from the second sealing unit 400 . Here, the other end of the molded film 1000 corresponding to the closed end 1400 on which the second sealing part 400 is formed maintains the open end 1500 state in an open state. That is, after the finally processed molding film is unfolded as shown in FIG. 7 , a product may be inserted through the open end 1500 .

다음으로, 제2실링부(400)를 통해 제2실링영역(1200)이 형성된 필름지는 제1실링부(300)로 공급된다. 이때, 제1실링부(300)는 제2실링영역(1200)과 대응되는 폭 방향 양단을 제2실링영역(1200)과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실링하여 제1실링영역(1100)을 형성한다. 이때, 제1실링유닛(320)은 사용하고자 하는 성형 필름(1000)의 사용양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가공된 성형 필름(1000)의 대각선을 가로지르는 임의의 가상선과 평행하도록 제1실링영역(1100)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Next, the film paper on which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is formed is supplied to the first sealing unit 300 through the second sealing unit 400 . At this time, the first sealing part 300 forms the first sealing area 1100 by sealing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 At this time, the first sealing unit 320 may be disposed at various angles in consideration of the usage mode of the molded film 1000 to be used, but preferably cross the diagonal of the finally processed molded film 1000.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first sealing area 1100 to be formed parallel to an arbitrary imaginary line.

전술한 제2실링부(400) 및 제1실링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제2실링영역(1200) 및 제1실링영역(1100)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링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열융착을 통해 실링하는 것이 좋다. 이처럼 열융착을 통해 제2실링영역(1200) 및 제1실링영역(110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후속 공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냉각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제2실링영역(1200) 및 제1실링영역(1100)을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시킬 수 있다.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and the first sealing area 1100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second sealing part 400 and the first sealing part 300 may be sealed through various methods, but preferably by heat. It is better to seal through fusion. In this way, when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and the first sealing area 1100 are formed through thermal fusion, a cooling unit is additionally provided to facilitate subsequent processes so that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and the first sealing area ( 1100) can be cooled below a certain temperature.

다음으로 제1실링부(300)를 통해 제1실링영역(1100)이 형성된 필름지는 절취부(500)로 공급된다. 절취부(500)는 제1실링영역(1100)의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1실링영역(1100)과 평행하게 절취선(1300)을 형성한다. 이렇게 절취선(1300)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 시 절취선(1300)을 따라 절취부위(1600)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Next, the film paper on which the first sealing area 1100 is formed is supplied to the cutout 500 through the first sealing unit 300 . The cutout part 500 forms a cutout line 1300 parallel to the first sealing area 110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aling area 1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s the perforated line 1300 is formed in this way,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perforated portion 1600 along the perforated line 1300 during use to improve convenience and aesthetics.

다음으로, 사용양태에 따라 정렬부(600)로 공급되기 전의 가공된 성형 필름(1000)에서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사용양태에 따라 정전기에 의해 전술한 공정들이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각각의 공정들 사이에 정전기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거나, 전공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부라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Next, static electricity may be removed from the processed molded film 1000 before being supplied to the aligning unit 600 according to the usage mode. Of course, if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above-mentioned processes due to static electricity depending on the use mode, a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is additionally provided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between each process, or a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to continuously remove static electricity through the entire process.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provided.

마지막으로 전술한 공정을 모두 완료된 성형 필름(1000)은 정렬부(600)로 공급되며 정렬부(600)에서 안정적으로 정렬 및 정리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정렬부(600)는 승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가공이 완료된 성형 필름(1000)이 정렬부(600)로 공급됨에 따라 정렬부(600)는 점차적으로 하강하여 공급되는 성형 필름(1000)이 안정적으로 적층되며 정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부(600)의 구성은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적층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된 성형 필름(1000)을 정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Finally, the molded film 1000 having completed all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is supplied to the aligning unit 600, and is stably aligned and arranged in the aligning unit 600. The aligning unit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levating structure, and as the processed molded film 1000 is supplied to the aligning unit 600, the aligning unit 600 gradually descends and supplies the molded film 1000 This is stably stacked and can be arranged. The configuration of the aligning unit 600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it is obvious that the molded film 1000 processed by various methods other than lamination can be arranged.

성형 필름의 구성Composition of molding film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필름의 평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필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필름(1000)은 전술한 필름 가공 장치(10)를 통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 필름(10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6 is a plan view of the molded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lded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ed fil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as shown in FIGS. 6 and 7 through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10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molded film 10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필름(1000)은 소정 면적을 갖는 필름지, 필름지 상에 형성되는 제1실링영역(1100), 제2실링영역(1200) 및 절취선(1300)을 포함한다. The molded fil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lm pap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 first sealing area 1100 formed on the film paper, a second sealing area 1200, and a perforated line 1300.

필름지는 소정의 면적을 갖고, 한 쌍의 대면하는 양측 종단은 개방되고, 이와 인접한 한 쌍의 종단은 폐쇄되어 있다. 이러한 필름지의 면적은 사용양태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 및 비율로 제작될 수 있다. The film sheet has a predetermined area, and both ends of a pair facing each other are open, and a pair of ends adjacent thereto are closed. The area of such film paper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ratios in consideration of the usage mode.

제2실링영역(1200)은 필름지의 개방된 일단부에 형성되어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여 성형 필름(1000)의 폐쇄단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2실링영역(1200)은 필름지의 폐쇄된 양단을 가로지르도록 개방된 일단부를 전체적으로 실링하여 개방되었던 양단 중 어느 일단을 폐쇄하여 폐쇄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2실링영역(1200)을 형성한다. 제2실링역역은 필름지의 개방된 일단을 안정적으로 실링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을 통해 형성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열융착을 통해 제2실링영역(1200)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pen film sheet and closes the open end to form a closed end of the forming film 1000 .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forms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to form a closed end by sealing one end of the opened end as a whole to cross both closed ends of the film paper and closing either end of the opened end. do. The second sealing area may be formed through any method as long as the open end of the film paper can be stably sealed, but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through thermal fusion.

제1실링영역(1100)은 제2실링영역(1200)이 형성된 필름지의 모서리 부분에 제2실링영역(1200)과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1실링영역(1100)은 필름지의 밀폐단(1400) 및 밀폐단(1400)과 인접한 양단을 전체적으로 소정각도로 가로지르도록 필름지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실링영역(1100)은 사용하고자 하는 성형 필름(1000)의 사용양태를 고려하여 그 경사각도 및 형성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실링영역(1100)의 형성 각도는 필름지의 모서리를 가로지르는 임의의 가상선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1실링영역(1100)은 도 7과 같이 성형 필름(1000)을 펼친 경우 그 상단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펼쳐진 성형 필름(1000)의 상단 면적을 고려하여 그와 대응되는 위치 및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The first sealing area 110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at the corner of the film paper on which the second sealing area 1200 is formed. At this time, the first sealing area 1100 is formed at both corners of the film paper so as to cross the sealed end 1400 of the film paper and both ends adjacent to the sealed end 1400 as a whole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inclination angle and formation position of the first sealing area 1100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usage mode of the molded film 1000 to be us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mation angle of the first sealing area 1100 be parallel to an arbitrary imaginary line crossing the edge of the film paper. Since this first sealing area 1100 has a great influence on forming the upper end when the molding film 1000 is unfolded as shown in FIG. 7, considering the area of the upper end of the unfolded molding film 1000,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angle It is good to be formed as

절취선(1300)은 제1실링영역(1100)과 인접한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절취선(1300)의 외측부분을 사용양태에 따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한다. 이러한 절취선(1300)은 제1실링영역(1100)과 인접한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1실링영역(1100)의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절취선(1300)을 형성하는 간격은 필름지의 재질 및 두께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절취선(1300)을 따라 절취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절취선(1300)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성형 필름(1000)의 사용 시 절취선(1300)을 따라 절취부위(1600)을 제거할 수 있다.The perforation line 1300 is formed on one side adjacent to the first sealing area 11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outer portion of the perforation line 1300 according to usage conditions. These perforated lines 130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adjacent to the first sealing area 1100, preferably,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ealing area 11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interval forming the perforated line 1300 is determined by the material of the film paper and It may be formed at intervals that a user can easily cut along the perforation line 1300 in consideration of thickness and the like. As the perforated line 1300 is formed in this way, the user can remove the cutout 1600 along the perforated line 1300 when using the molded film 1000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필름 가공 장치
100: 공급부
200: 이송부
300: 제1실링부
310: 제1지지 프레임
311: 제1가이드홈
320: 제1실링유닛
400: 제2실링부
500: 절취부
510: 제2지지 프레임
511: 제2가이드홈
520: 절취유닛
600: 정렬부
1000: 성형 필름
1100: 제1실링영역
1200: 제2실링영역
1300: 절취선
1400: 밀폐단
1500: 개방단
1600: 절취부위
10: film processing device
100: supply unit
200: transfer unit
300: first sealing part
310: first support frame
311: first guide groove
320: first sealing unit
400: second sealing part
500: cutout
510: second support frame
511: second guide groove
520: cutting unit
600: alignment unit
1000: molding film
1100: first sealing area
1200: second sealing area
1300: perforated line
1400: closed end
1500: open end
1600: cutout

Claims (15)

필름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필름의 폭 방향 양단을 상호 대응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실링하여 경사진 제1실링영역을 형성하는 제1실링부; 및
상기 제1실링부에 의해 경사지게 실링된 제1실링영역의 길이방향 종단에 대응되는 일측을 실링하여 상기 필름의 일측을 밀폐하여 제2실링영역을 형성하는 제2실링부;
를 포함하는 필름 가공 장치.
a supply unit supplying a film;
a first sealing unit configured to form an inclined first sealing area by sealing both ends of the film supplied through the supply unit in the width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 second sealing unit configured to form a second sealing area by sealing one side of the film by sealing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sealing area obliquely sealed by the first sealing unit;
A film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는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필름의 대각선을 가로지르는 임의의 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필름 가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aling unit film processing apparatus disposed parallel to an arbitrary line crossing a diagonal of the film that is actually u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필름의 폭에 따라 배치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필름 가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aling unit film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so that the arrangement posi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il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는.
공급되는 상기 필름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필름의 공급방향과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필름을 실링하기 위하여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실링유닛;
을 포함하는 필름 가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sealing part.
a first support frame spaced above the supplied fil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pply direction of the film; and
a first sealing unit movable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and movable to seal the film;
A film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제1실링영역의 실링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름 가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aling unit film processing device provided to be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in order to adjust the sealing angle of the first seal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에 의해 실링된 제1실링영역의 폭 방향 외측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취부를 더 포함하는 필름 가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utout for forming a cutout so as to selectively remove a portion out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area sealed by the first seal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상기 필름의 폭에 따라 배치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필름 가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cutout film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so that the arrangement posi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il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공급되는 상기 필름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필름의 공급방향과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지지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필름을 실링하기 위하여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절취유닛;
을 포함하는 필름 가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cut-off is
a second support fram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lied fil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pply direction of the film; and
a cutting unit movable along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movable to seal the film;
A film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상기 절취선을 형성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름 가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cutting unit film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order to adjust the angle forming the cutting li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 제2실링부 및 절취부의 배치 순서는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필름 가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selectively change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sealing part, the second sealing part and the cutt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영역과 대응되는 부위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필름 가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ilm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cutting portion for cutt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al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폭 방향 양측 종단은 소정 길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접힌 상태로 공급되는 필름 가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lm processing device in which both ends of the film in the width direction are supplied in a folded state so as to be inserted inside a predetermined length.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공급되는 상기 필름의 폭 방향 종단을 소정 길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접는 폴딩부를 더 포함하는 필름 가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supply unit further comprises a folding unit that folds a widthwise end of the supplied film to be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length.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를 통해 가공된 성형 필름.A molded film processed through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claims 1 to 13. 소정의 면적을 갖고, 한 쌍의 대면하는 종단은 개방되고, 이와 인접한 한 쌍의 종단은 폐쇄된 필름지;
상기 필름지의 개방된 양단 중 일단을 밀폐하는 제2실링영역;
상기 제2실링영역과 인접한 모서리 부분에 상기 제2실링영역과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실링영역; 및
상기 제1실링영역 외측에 형성되는 절취선;
을 포함하는 성형 필름.
film pap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 pair of facing ends being open, and a pair of adjacent ends being closed;
a second sealing area for sealing one end of both open ends of the film paper;
a first sealing reg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ealing region at a corner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sealing region; and
a perforated line formed outside the first sealing area;
Forming film comprising a.
KR1020210100859A 2021-07-30 2021-07-30 Film Processing Apparatus and Molded Film Processed Using Thereby KR202300288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859A KR20230028814A (en) 2021-07-30 2021-07-30 Film Processing Apparatus and Molded Film Processed Using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859A KR20230028814A (en) 2021-07-30 2021-07-30 Film Processing Apparatus and Molded Film Processed Using Thereb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814A true KR20230028814A (en) 2023-03-03

Family

ID=85510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859A KR20230028814A (en) 2021-07-30 2021-07-30 Film Processing Apparatus and Molded Film Processed Using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881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98B1 (en) 2007-06-08 2008-03-27 김도언 Copy sheet manufacturing method for packing sheet and copy sheet of packing sheet thereb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98B1 (en) 2007-06-08 2008-03-27 김도언 Copy sheet manufacturing method for packing sheet and copy sheet of packing sheet thereb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366B2 (en) Systems for automatically sealing a plastic bag/enclosure over containers of perishables carried on a pallet
EP3402721B1 (en) Seal flattener
CA2829265A1 (en) Open bag or bag closed on two sides having an end region closed by means of a material strip,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a bag
JP7060879B2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eated fil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eated package.
KR20230028814A (en) Film Processing Apparatus and Molded Film Processed Using Thereby
CA2426486C (en) Plastic bag making apparatus
EP3330069B1 (en) A machi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rotective bag
KR102350431B1 (en) Sealing device for packaging system
JPH0623878A (en) Sealing device for thermoplastic sheet web
JP2002145247A (en) Folding box,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o be used for this method
JP6983414B2 (en) Film packaging method and film packaging equipment
JP2012197120A (en) Film supply device for packaging machine
KR200287567Y1 (en) device for package
JPH04267750A (en) Laminate film for packing bag
JP5991710B2 (en) Method for producing bubble cushioning material
JP6914621B2 (en) Filling and packaging machine and filling and packaging method
JPH1191013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manufacturing flat bottom packaging bag
KR100441631B1 (en) method and device for package
JP6595799B2 (en) Packaging machine
JP3239728U (en) Fruit and vegetable packaging bag bundle
JP4336518B2 (en) Rotary automatic packaging machine
KR101328200B1 (en) Vinyl wrapper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quipment
JPH06278722A (en) Sealer for packing device
BR1120180053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FLEXIBLE PACKAGE
KR102382579B1 (en) Vinyl packaging machine for elastic pan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