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848A -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848A
KR20230027848A KR1020210110094A KR20210110094A KR20230027848A KR 20230027848 A KR20230027848 A KR 20230027848A KR 1020210110094 A KR1020210110094 A KR 1020210110094A KR 20210110094 A KR20210110094 A KR 20210110094A KR 20230027848 A KR20230027848 A KR 20230027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support frame
pair
patient
chest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181B1 (ko
Inventor
김호중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1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18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8Supine patient supports or bases, e.g. improving air-way access to the lu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2Brea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는, 양단부에 각각 힌지축이 설치되되,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 백 플레이트의 상부에 마련되되,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흉부 압박유닛; 흉부 압박유닛에 결합되어 흉부 압박유닛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일단부가 백 플레이트에 설치된 힌지축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레그부를 포함하며, 백 플레이트는 일단부에 힌지축이 설치되되,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받침부재; 및 한 쌍의 받침부재의 상호 대향되는 타단부에 결합홈과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바가 마련되어 한 쌍의 받침부재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ARATUS HAVING SEPARATED BACK-PLATE}
본 발명은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성 심장사는 심장 혈관 질환의 증가와 고령화로 인하여 높아지는 추세이다.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빠르게 진행되는 것은 급성 심장사의 위험에 많은 인구가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급성 심정지시 응급 구조 활동인 심폐소생술(CPR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에 관한 관심이 크게 증가되고 있다.
한편,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에 6분안에 응급조치가 필요로 하며, 일반적으로 병원 외에서 심정지 환자를 목격한 목격자는 비 의료인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다양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러 나라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의 활성화에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심폐소생술(CPR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은 흉부압박, 기도 유지와 인공호흡 등의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는 술기로 심정지 의심 환자가 발생되면 현장의 안전을 확인하고, 쓰러진 사람의 반응 및 호흡 상태를 확인 한 후 주변에 도움을 요청 및 응급구조 기관에 신고한 후 양손을 깍지 끼어 손꿈치로 가슴 중앙을 팔꿈치를 펴서 30회 압박하되, 압박깊이는 4~6cm 깊이로 실시하며, 흉부압박 후 기도를 확보한 뒤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 확인하면서 1회/1초, 총 2회 걸쳐 인공호흡을 시행하며, 흉부압박 및 인공호흡을 2회 번갈아 시행한다.
그러나, 일반인의 경우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았다 할지라도 심정지 환자 발생시 심폐소생술의 생소함, 갈비뼈 손상에 대한 부담감 등으로 인해 심폐소생술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심정지 환자의 흉부에 장착하여 전자 제어방식으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심폐소생술 장치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심폐소생술 장치는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와, 백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흉부 압박유닛과, 일단부가 백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흉부 압박유닛에 연결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레그부를 포함하며, 흉부 압박유닛을 구성하는 흉부 압박부를 환자의 흉부까지 하강시킨 후에 환자의 흉부를 압박한다.
종래의 심폐소생술 장치는 백 플레이트, 흉부 압박유닛, 한 쌍의 레그부 등을 분리하여 휴대 및 보관하였으며, 응급환자가 발생된 경우에 각각의 구성을 조립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백 플레이트 등의 크기가 큰 경우에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0404호(2016.03.21.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를 분리형으로 하여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단부에 각각 힌지축이 설치되되,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부에 마련되되,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흉부 압박유닛; 상기 흉부 압박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흉부 압박유닛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일단부가 상기 백 플레이트에 설치된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레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백 플레이트는, 일단부에 상기 힌지축이 설치되되,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받침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의 상호 대향되는 타단부에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바가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 각각은,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서 분기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힌지축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홈 또는 상기 결합바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결합바를 상기 결합홈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되,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힌지축의 끝단부에 연결된 구동체인들을 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레그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 각각은 대향되는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끝단부와 상기 힌지축의 끝단부에 연결된 상기 구동체인이 삽입되며 상기 힌지축 및 상기 구동체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부재; 및 일측이 상기 스크류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체인들에 결합되되,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구동체인들을 이동시키는 이동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레그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되,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한 쌍의 레그부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상기 흉부 압박유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유닛은, 상기 한 쌍의 레그부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레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랙기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되,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다이얼;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되, 상기 다이얼과 상기 피니언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다이얼이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다이얼의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기어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다이얼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흉부 압박유닛의 높이를 조절한 경우에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높이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되,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걸림턱이 연속되게 형성된 결합블럭;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되, 중심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결합되며, 일측 내면에 상기 걸림턱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회전플레이트;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타측 외면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되,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측 외면에 접촉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가압 및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결합되게 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장방형의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홀의 내에서 왕복이동가능한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측 외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롤러; 및 상기 가압부재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 및 상기 롤러를 이동시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결합 또는 걸림해제되게 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 쌍의 받침부재와 한 쌍의 받침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마련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아울러 환자의 흉폭에 따라 한 쌍의 받침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 플레이트의 조립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도 3- 한 쌍의 본체부의 결합홈에 결합바 삽입, 도 4- 고정레버로 밀착고정)
도 5 및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유닛을 이용하여 한 쌍의 레그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는 도 5에 따른 간격 조절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간격 조절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유닛에 의해 흉부 압박유닛의 높이조절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고정유닛을 이용하여 흉부 압박유닛의 높이 고정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 플레이트의 조립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유닛을 이용하여 한 쌍의 레그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는 도 5에 따른 간격 조절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따른 간격 조절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유닛에 의해 흉부 압박유닛의 높이조절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고정유닛을 이용하여 흉부 압박유닛의 높이 고정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100)는,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110)와, 백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마련되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흉부 압박유닛(130)과, 흉부 압박유닛(13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40)과, 일단부가 백 플레이트(11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지프레임(140)에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레그부(120)와, 백 플레이트(110)에 마련되어 한 쌍의 레그부(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유닛(180)과, 지지프레임(140)을 한 쌍의 레그부(120)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상대이동시켜 흉부 압박유닛(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유닛(150)과, 지지프레임(140)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높이 고정유닛(160)과, 흉부 압박유닛(130)을 제어하고 흉부 압박정보 등을 표시하는 제어유닛(1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플레이트(110)는 저면이 바닥에 놓여지며 상면에 환자의 등이 안착된다.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기 위해 환자의 등이 백 플레이트(110)에 접촉한 상태로 위치하는 경우에 백 플레이트(110)는 환자의 등을 지지한다.
백 플레이트(110)의 양단부 각각에는 힌지축(115)이 백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힌지축(115)에는 레그부(120)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플레이트(110)는 분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 플레이트(110)는 일단부에 힌지축(115)이 설치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받침부재(111)와, 한 쌍의 받침부재(111)의 상호 대향되는 타단부에 결합홈(117)과 결합홈(117)에 삽입되는 결합바(118)가 마련되어 한 쌍의 받침부재(111)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116)와, 받침부재(111)에 마련되고 결합홈(117)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회전됨에 따라 결합바(118)를 결합홈(117)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부(119)를 포함한다.
한 쌍의 받침부재(111)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호 결합되어 환자의 등을 지지한다. 한 쌍의 받침부재(111) 각각은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본체부(112)와, 본체부(112)의 일단부에서 분기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힌지축(115)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11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부(112)의 타단부에는 결합홈(117) 또는 결합바(118)가 마련된다.
본체부(112)는 환자의 등을 지지하며, 저면에는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부(113) 각각은 대향되는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4)이 형성된다. 힌지축(115)의 끝단부는 가이드홈(114)에 삽입되고 가이드홈(11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114)에는 후술할 간격 조절유닛(180)의 구동체인(183)이 삽입되고, 힌지축(115)의 끝단부가 구동체인(183)에 연결되므로, 구동체인(183)이 가이드홈(114)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에 가이드홈(114)에서 구동체인(183)과 함께 힌지축(115)도 이동된다. 즉, 가이드홈(114)은 힌지축(115)과 구동체인(183)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본체부(112)에는 가이드홈(114)에서 연장되고 구동체인(183)이 안착되며 구동체인(183)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롯(S)이 형성된다.
한 쌍의 받침부재(111)는 결합홈(117)과 결합바(118)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데,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받침부재(111) 중 어느 하나에 결합홈(117)이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 결합바(118)가 마련되어 결합바(118)가 결합홈(117)에 삽입됨에 따라 한 쌍의 받침부재(111)가 상호 결합된다.
또한 결합바(118)가 결합홈(117)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며 결합바(118)의 결합홈(117) 내에서 이동거리에 따라 백 플레이트(110)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즉, 환자의 흉폭에 맞게 백 플레이트(1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19)는 결합바(118)가 결합홈(117)에 삽입되어 한 쌍의 받침부재(111)가 상호 결합된 경우에 한 쌍의 받침부재(11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119)는 본체부(112)에 마련되고 결합홈(117)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회전됨에 따라 결합바(118)를 결합홈(117)의 내면에 밀착 고정한다. 고정부(119)는 본체부(1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캠(119a)과, 캠(119a)에 연결되어 캠(119a)을 회전시키는 레버(119b)를 포함한다. 레버(119b)를 회전시켜 캠(119a)이 결합바(118)를 결합홈(117)의 내면에 가압 및 밀착시켜 고정되게 하므로, 결합바(118)가 결합홈(117) 내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백 플레이트(110)를 분리형으로 함으로써, 응급처치 과정에서 백 플레이트(110)가 환자의 등 밑으로 삽입되고 환자의 등을 지지할 때, 환자의 척추부위가 백 플레이트(110)의 중앙부, 즉 한 쌍의 받침부재(111) 사이에 마련된 이격공간에 안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환자의 체중에 의한 압박으로 척추부위에 통증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해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백 플레이트(110)가 분리형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전체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레그부(120)는 백 플레이트(11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한 쌍의 레그부(120) 각각은 일단부가 백 플레이트(11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분기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바(122)로 구성된 레그 프레임(121)과, 한 쌍의 지지바(122)를 상호 연결하되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파지부재(123)를 포함한다.
레그 프레임(121)의 일단부에는 백 플레이트(110)에 구비된 힌지축(115)에 착탈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124)가 마련된다. 결합부재(124)는 힌지축(115)을 감싸며, 힌지축(1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힌지축(115)이 끼워지는 개방부(H)가 형성된다.
그리고 레그 프레임(121)의 타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바(122)를 상호 대향되게 배치하고 파지부재(123)를 이용하여 한 쌍의 지지바(122)를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레그 프레임(121)의 타단부에는 후술할 지지프레임(140)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흉부 압박유닛(130)은 백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위치되며, 환자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환자의 흉부를 압박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흉부 압박유닛(130)은 환자의 흉부에 밀착되어 환자의 흉부를 상하방향으로 압박하는 흉부 압박부(131)와, 흉부 압박부(131)에 연결되어 흉부 압박부(13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3)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부(133)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미도시)과,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흉부 압박부(131)에 전달하는 전달체(미도시)를 포함한다.
구동원은 통상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동원의 운영에 필요한 전원은 별도 내장된 배터리(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구동원은 전선에 의해 연결된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달체는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을 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체가 직선운동을 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원은 모터에 한정되지 않고 공압 또는 유압 액츄에이터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전달체를 직선운동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흉부 압박부(131)는 구동부(13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한다. 흉부 압박부(131)가 환자의 흉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직선운동을 하여 흉부를 압박하고, 상방으로 직선운동을 하여 흉부에 대한 압박을 해제한다. 흉부 압박부(131)는 전달체와 마찬가지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흉부 압박부(131)의 끝단부는 환자의 흉부에 직접 접촉되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부분으로서, 흉부 압박부(131)는 환자의 흉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흉부 중앙부분은 가슴 사이에서 약간 오목하므로 오목한 흉부 중앙부분에 대응되도록 흉부 압박부(131)의 끝단부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람이 직접 압박하는 경우에 손바닥을 사용하기 때문에 흉부 압박부(131)의 끝단부를 손바닥모양으로 하거나 손바닥 모양한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흉부 압박부(131)의 끝단부에는 환자에게 큰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유연하거나 탄력성이 있는 물질의 흡입컵(132)이 마련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흉부 압박유닛(130)은 지지프레임(140)을 매개로 한 쌍의 레그부(120)에 연결된다. 흉부 압박유닛(130)은 지지프레임(140)에 결합되며, 지지프레임(140)은 흉부 압박유닛(130)을 지지한다. 지지프레임(140)에 형성된 관통홀(142)에 흉부 압박부(131)가 삽입되고, 흉부 압박부(131)은 흉부 압박유닛(140)을 구성하는 구동부(133)에 결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받침부재(1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환자의 흉폭에 맞게 백 플레이트(1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쌍의 레그부(120)와 환자의 흉폭 사이에 이격거리가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백 플레이트(110)에 안착된 환자에 대해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도중, 환자가 움직이거나 다른 외부요인에 의해 환자의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에 흉부 압박부(131)가 정확한 흉부압박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환자를 이동시켜 다시 흉부 압박부(131)와 정렬하여야 하는 불편 및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실시례에서는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에 앞서 간격 조절유닛(180)을 이용하여 환자의 체형에 맞게 한 쌍의 레그부 (120)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간격 조절유닛(180)은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의해 백 플레이트(110)의 양단부에 설치된 힌지축(115)들을 이동시켜 한 쌍의 레그부(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간격 조절유닛(180)은 본체부(112)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부재(181)와, 본체부(112)의 내부에 마련되며 힌지축(115)의 끝단부에 각각 연결된 구동체인(183)들과, 일측이 스크류부재(181)에 결합되고 타측이 구동체인(183)들에 결합되며 스크류부재(181)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부재(1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구동체인(183)들을 이동시키는 이동블럭(182)을 포함한다.
스크류부재(181)는 본체부(112)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본체부(112)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스크류부재(181)에는 스크류부재(181)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부재(18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럭(182)이 결합된다. 이동블럭(182)은 힌지축(115)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구동체인(183)들이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크류부재(181)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스크류부재(181)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블럭(182)은 스크류부재(1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이와 연동하여 구동체인(183)들이 본체부(112)의 내에서 한 쌍의 힌지축(115)이 상호 접근 또는 이동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체인(183)들 각각은 지지부(113)들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4)들 각각을 따라 이동된다. 또한 본체부(112)에는 가이드홈(114)에서 연장되고 구동체인(183)들이 안착되며 구동체인(183)들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롯(S)들이 형성되며, 구동체인(183)들은 가이드슬롯(S)들 각각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간격 조절유닛(180)을 이용하여 환자의 흉폭에 맞게 한 쌍의 레그부(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받침부재(111)를 결합한 백 플레이트(110)에 환자를 안착한 상태에서 한 쌍의 레그부(120)를 백 플레이트(110)의 양단부에 설치된 힌지축(115)들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레그부(120)가 백 플레이트(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환자의 흉폭과 한 쌍의 레그부(120) 사이의 이격거리가 큰 경우에 환자의 흉폭에 맞게 한 쌍의 레그부(120)를 상호 접근되게 이동시킨다. 한편, 한 쌍의 힌지축(115)들을 상호 접근되게 이동시킨 후 한 쌍의 레그부(120)를 힌지축(115)들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때,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백 플레이트(110)의 좌측에 위치한 스크류부재(18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백 플레이트(110)의 우측에 위치한 스크류부재(18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각의 스크류부재(181)에 결합된 이동블록들(182)이 회전되면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블럭(182)에 결합된 구동체인(183)들은 지지부(113)에 마련된 가이드홈(114) 및 본체부(112)의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슬롯(S)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그부(120)가 환자의 흉부에 인접되도록 스크류부재(181)를 계속 회전시킨다.
스크류부재(181)의 회전에 의해 구동체인(183)들은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힌지축(115)들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114) 및 가이드슬롯(S)을 따라 이동되며, 구동체인(188)들이 가이드홈(113) 및 가이드슬롯(S)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한 쌍의 힌지축(115)에 결합된 한 쌍의 레그부(120)도 함께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한 쌍의 레그부(120)와 환자의 흉폭 사이의 간격은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흉부 압박부(131)에 의해 환자의 흉부가 압박되는 경우에 환자의 흉부가 수평방향으로 신장되는 거리를 고려한다.
참고로, 한 쌍의 레그부(120)를 상호 이격되게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본 실시예에서는 백 플레이트(110)의 좌측에 위치한 스크류부재(18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백 플레이트(110)의 우측에 위치한 스크류부재(18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흉폭에 맞게 한 쌍의 레그부(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경우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 위해 흉부 압박부(131)를 환자의 흉부에 밀착시켜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레그부(120)를 따라 지지프레임(140)을 높이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하여 환자의 흉부 높이에 맞게 흉부 압박유닛(13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레그부(120)와 지지프레임(140)을 상호 연결하되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의해 지지프레임(140)을 한 쌍의 레그부(120)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높이 조절유닛(150)이 마련된다.
도 2,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유닛(150)은 한 쌍의 레그부(120)에 각각 마련되며 한 쌍의 레그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랙기어(151)와, 지지프레임(140)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랙기어(151)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52)와, 지지프레임(140)에 마련되며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다이얼(153)과, 지지프레임(140)의 내부에 마련되고 다이얼(153)과 피니언기어(152)를 상호 연결하여 다이얼(153)이 회전되는 경우에 회전력을 피니언기어(152)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154)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그 프레임(121)의 타단부는 분기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바(122)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랙기어(151)는 한 쌍의 지지바(122)의 대향되는 내측면에 각각 쌍을 이루어 마련된다.
또한 피니언기어(152)는 지지프레임(140)의 양단부에 각각 쌍을 이루어 마련된다. 즉 지지프레임(140)의 양단부에 각각 폭방향으로 설치된 제1 회전축(152a)의 양단부에 피니언기어(152)가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피니언기어(152)는 대응되는 랙기어(151)에 치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의해 피니언기어(152)들이 랙기어(15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다이얼(153)을 지지프레임(140)에 마련하고, 다이얼(153)이 회전되는 경우에 다이얼(153)의 회전력을 피니언기어(152)들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154)를 지지프레임(140)의 내부에 마련한다.
다이얼(153)의 회전력이 지지프레임(140)의 양단부로 동시에 전달되도록 하여 지지프레임(140)이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 지지프레임(140)이 한 쌍의 레그부(120)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왕복운동가능하게 한다.
동력 전달부(154)는 다이얼(153)의 제2 회전축(153a)에 결합된 제1 기어(155)와, 제1 기어(155)에 치합된 제2 기어(156)와, 다이얼(153)의 제2 회전축(153a)에 결합된 제1 풀리(P1)와 지지프레임(140)의 일단부에 마련된 피니언기어(152)의 제1 회전축(152a)에 결합된 제2 풀리(P2)를 상호 연결하는 제1 구동벨트(157)와, 제2 기어(156)의 제3 회전축(156a)에 결합된 제3 풀리(P3)와 지지프레임(140)의 타단부에 마련된 피니언기어(152)의 제1 회전축(152a)에 결합된 제4 풀리(P4)를 상호 연결하는 제2 구동벨트(158)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유닛(150)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140) 및 흉부 압박유닛(130)을 한 쌍의 레그부(120)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의 등이 백 플레이트(110) 상에 놓인 상태에서 한 쌍의 레그부(120)를 백 플레이트(110)의 양단부에 결합한다. 이때 한 쌍의 레그부(120)의 타단부에는 지지프레임(140)을 매개로 흉부 압박유닛(130)이 연결되며, 흉부 압박유닛(130)은 환자의 흉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해 사용자는 흉부 압박부(131)를 환자의 흉부에 접촉시켜야 한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다이얼(15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다이얼(153)의 제2 회전축(153a)에 결합된 제1 기어(155)와 제1 기어(155)에 치합된 제2 기어(156)가 회전되며, 제1 기어(155) 및 제2 기어(156)의 회전력은 제1 구동벨트(157) 및 제2 구동벨트(158)에 의해 지지프레임(140)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피니언기어(152)의 제1 회전축(152a)을 회전시킨다. 이로써 피니언기어(152)들이 회전되고, 피니언기어(152)들이 한 쌍의 레그부(120)에 마련된 랙기어(151)들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지지프레임(140) 및 흉부 압박유닛(130)이 한 쌍의 레그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다.
흉부 압박부(131)의 끝단부가 환자의 흉부에 접촉될 때까지 다이얼(15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흉부 압박부(131)를 동작시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에 앞서 높이 고정유닛(160)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140) 및 흉부 압박유닛(130)의 높이를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 고정유닛(160)은 지지프레임(140)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피니언기어(152)들의 회전을 제한하여 지지프레임(140) 및 흉부 압박유닛(130)의 높이를 고정한다. 흉부 압박부(131)의 끝단부가 환자의 흉부에 접촉된 후 높이 고정유닛(160)을 이용하여 피니언기어(152)들의 회전을 제한한다.
도 2,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높이 고정유닛(160)은 지지프레임(140)에 마련되고 피니언기어(152)의 제1 회전축(152a)에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걸림턱(162)이 연속되게 형성된 결합블럭(161)과, 지지프레임(140)에 마련되고 중심부가 지지프레임(140)에 힌지결합되며 일측 내면에 걸림턱(162)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164)가 형성된 회전플레이트(163)와, 일단부가 지지프레임(140)을 지지하고 타단부가 회전플레이트(163)의 타측 외면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165)와, 지지프레임(140)에 마련되며 회전플레이트(163)의 일측 외면에 접촉되어 이동됨에 따라 회전플레이트(163)를 가압 및 회전시켜 걸림돌기(164)가 걸림턱(162)에 걸림결합되게 하는 가압부(166)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압부(166)는 지지프레임(140)에 형성된 장방형의 삽입홀(141)에 삽입되며 삽입홀(141)의 내에서 왕복이동가능한 가압부재(167)와, 가압부재(167)의 일측에 결합되고 회전플레이트(163)의 일측 외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롤러(168)와, 가압부재(167)의 타측에 결합되고 지지프레임(140)의 외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압부재(167) 및 롤러(168)를 이동시켜 걸림돌기(164)가 걸림턱(162)에 걸림결합 또는 걸림해제되게 하는 조작레버(169)를 포함한다.
높이 고정유닛(160)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140) 및 흉부 압박유닛(130)의 높이를 고정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유닛(150)을 이용하여 원하는 높이로 지지프레임(140) 및 흉부 압박유닛(130)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피니언기어(152)들을 회전시키기 위해 조작레버(16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조작레버(169)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회전플레이트(163)의 일측 외면에 접촉된 롤러(168) 및 가압부재(167)가 지지프레임(140)에 형성된 장방형의 삽입홀(141)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부재(165)가 회전플레이트(163)의 타측 외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회전플레이트(163)를 힌지축(164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플레이트(163)가 힌지축(164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플레이트(163)의 일측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64)가 피니언기어(152)의 제1 회전축(152a)에 결합된 결합블럭(161)의 외주면에 마련된 걸림턱(162)에서 걸림해제된다.
그리고 높이 조절유닛(150)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140) 및 흉부 압박유닛(13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169)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조작레버(169)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롤러(168) 및 가압부재(167)가 삽입홀(141)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전플레이트(163)의 일측 외면을 가압하여 회전플레이트(163)를 힌지축(164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플레이트(163)가 힌지축(164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플레이트(163)의 일측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64)가 피니언기어(152)의 제1 회전축(152a)에 결합된 결합블럭(161)의 외주면에 마련된 걸림턱(162)에서 걸림결합되고 피니언기어(152)들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프레임(140)에는 조작레버(169)가 좌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조작레버(169)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흉부 압박부(131)의 끝단부를 환자의 흉부에 접촉되게 하강시키고 흉부 압박부(131)의 높이를 고정한 경우에,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게 된다. 제어유닛(170)은 심폐소생술을 수행함에 있어서 흉부 압박부(131) 및 구동부(133)를 제어하고 흉부 압박부(131) 및 구동부(133)의 현재 구동상황 등을 표시한다.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170)은 심폐소생술 장치(100)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하고 흉부 압박부(131) 등의 구동상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버튼, 터치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흉부 압박부(131)의 구동횟수, 압박깊이 등 심폐소생술 장치(100)의 동작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170)과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체형으로 흉부 압박유닛(13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이 적절하게 수행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환자의 경동맥박 또는 경동맥의 혈류속도 등을 측정하는 경동맥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경동맥센서에 의해 측정된 경동맥박 또는 경동맥의 혈류속도 등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된 경동맥박 또는 경동맥의 혈류속도 등을 통해 심폐소생술이 적절하게 수행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흉부압박이 적절하지 않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패널에 경고등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된 정보로부터 흉부압박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심폐소생술의 지속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100)는 제세동기(미도시)를 구비하여 심폐소생술과 동시에 제세동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제세동기는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전달하기 위한 좌측 전극패드(미도시) 및 우측 전극패드(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유닛(170)은 좌측 전극패드 및 우측 전극패드에 전달되는 전기충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심실세동이 발생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심전도전극(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백 플레이트(110)에 심전도전극을 설치하여 환자의 심전도 파형을 측정할 수 있다. 심전도 파형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될 수 있으며, 제어유닛(170)은 심전도전극을 통해 심실세동이 감지되면 제세동기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심폐소생술 장치 110: 백 플레이트
120: 레그부 130: 흉부 압박유닛
140: 지지프레임 150: 높이 조절유닛
160: 높이 고정유닛 170: 제어유닛
180: 간격 조절유닛

Claims (10)

  1. 양단부에 각각 힌지축이 설치되되,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부에 마련되되,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흉부 압박유닛;
    상기 흉부 압박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흉부 압박유닛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일단부가 상기 백 플레이트에 설치된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레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백 플레이트는,
    일단부에 상기 힌지축이 설치되되,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받침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의 상호 대향되는 타단부에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바가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 각각은,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서 분기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힌지축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홈 또는 상기 결합바가 마련되는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결합바를 상기 결합홈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되,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힌지축의 끝단부에 연결된 구동체인들을 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레그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 각각은 대향되는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끝단부와 상기 힌지축의 끝단부에 연결된 상기 구동체인이 삽입되며 상기 힌지축 및 상기 구동체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부재; 및
    일측이 상기 스크류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체인들에 결합되되,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구동체인들을 이동시키는 이동블럭을 더 포함하는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그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되,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한 쌍의 레그부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상기 흉부 압박유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유닛은,
    상기 한 쌍의 레그부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레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랙기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되,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다이얼;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되, 상기 다이얼과 상기 피니언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다이얼이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다이얼의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기어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다이얼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흉부 압박유닛의 높이를 조절한 경우에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높이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되,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걸림턱이 연속되게 형성된 결합블럭;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되, 중심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결합되며, 일측 내면에 상기 걸림턱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회전플레이트;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타측 외면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되,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측 외면에 접촉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가압 및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결합되게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장방형의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홀의 내에서 왕복이동가능한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측 외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롤러; 및
    상기 가압부재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 및 상기 롤러를 이동시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결합 또는 걸림해제되게 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KR1020210110094A 2021-08-20 2021-08-20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KR102567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094A KR102567181B1 (ko) 2021-08-20 2021-08-20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094A KR102567181B1 (ko) 2021-08-20 2021-08-20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848A true KR20230027848A (ko) 2023-02-28
KR102567181B1 KR102567181B1 (ko) 2023-08-16

Family

ID=8532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094A KR102567181B1 (ko) 2021-08-20 2021-08-20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1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3425A1 (en) * 2006-11-29 2010-03-11 Benjamin King Support for a cpr apparatus
WO2010119401A1 (en) * 2009-04-15 2010-10-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ackboard for an automated cpr system
KR101600404B1 (ko) 2008-05-07 2016-03-21 졸리페 아베 심폐소생술(cpr)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3425A1 (en) * 2006-11-29 2010-03-11 Benjamin King Support for a cpr apparatus
KR101600404B1 (ko) 2008-05-07 2016-03-21 졸리페 아베 심폐소생술(cpr)용 장치
WO2010119401A1 (en) * 2009-04-15 2010-10-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ackboard for an automated cp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181B1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0661B2 (en) Health-regain device and system thereof
KR100518924B1 (ko) 발바닥 지압겸용 착석식 하체운동기구
JP5926991B2 (ja) 患者を蘇生するための装置
KR20000064418A (ko) 심장마비용흉부압박장치
KR101956053B1 (ko) 흉부압박시 압박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심폐소생술 장치
KR101641531B1 (ko) 자동 심폐소생술장치
CN109806548B (zh) 一种轻巧型膝关节康复外骨骼机器人
CN108324531B (zh) 一种腰部按摩牵引床
KR20140132322A (ko) 발목 운동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발목 운동 장치
CN110063853B (zh) 一种分离式可自主移动的多功能护理床装置
KR102567181B1 (ko)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KR102547279B1 (ko) 환자의 체형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한 심폐소생술 장치
KR102547280B1 (ko) 핑거조인트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KR102547277B1 (ko) 흉부압박 깊이 조절이 가능한 심폐소생술 장치
WO2018010797A1 (en) Automatic heart massager for use in catheterization rooms
KR102567184B1 (ko) 흉부압박 위치 조절이 가능한 심폐소생술 장치
KR102547278B1 (ko) 환자의 체형에 맞춤 가능한 심폐소생술 장치
KR20160121458A (ko) 자동 심폐소생술장치
KR20070100623A (ko) 목 치료기
KR20080037631A (ko) 목 치료기
KR101995675B1 (ko) 영아용 흉부 압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아용 심폐소생술 실습장치
KR101687414B1 (ko) 모듈 세트형 자동 심폐소생술장치
CN107510531A (zh) 座式颈椎分型康复治疗机
WO2009147659A1 (en) Cardiac massage device
KR101843291B1 (ko) 심장가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