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593A -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 Google Patents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593A
KR20230027593A KR1020210109570A KR20210109570A KR20230027593A KR 20230027593 A KR20230027593 A KR 20230027593A KR 1020210109570 A KR1020210109570 A KR 1020210109570A KR 20210109570 A KR20210109570 A KR 20210109570A KR 20230027593 A KR20230027593 A KR 20230027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duct
mast
suppor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642B1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9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64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2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Magnus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8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h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9Wind propelled vessels comprising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ther than wind propulsion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uch as sails, running rigging, or the like, and other than sailboards or the like or related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선체 내부에 마련되며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복수의 화물창; 및 상기 복수의 화물창에 대응하여 각각의 화물창의 상측 데크에 설치되는 벤트 마스트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 마스트 로터는, 내부에 중공의 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의 구조물로서 외부 쉘을 구성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화물창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벤트라인이 연장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와 상기 로터 사이에 설치되어 두 구조물 사이를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화가스 화물을 수송하는 액화가스 화물선의 데크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하면서 마그누스 효과를 이용하는 로터 세일 선박으로 구축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Rotor sail ship having Magnus rotor integrated with Vent mast}
본 발명은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가스 화물을 수송하는 액화가스 화물선의 데크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하면서 마그누스 효과를 이용하여 추진 동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로터 세일 선박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추진시키는 다양한 동력 중 풍력은 인류가 활용한 최초의 자연에너지이다. 마그누스 효과(magnus effect)가 처음 밝혀진 1910년대 이후부터 이를 수송 동력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마그누스 효과를 이용하여 원기둥 형태의 회전자인 로터를 돛으로 사용하는 로터 세일 선박(Rotor sail ship)이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로터 세일 선박은 효율성의 문제로 인하여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듯 싶었으나, 최근 환경문제가 중요시되면서 선박의 추진동력으로서 풍력을 활용하는 방안이 다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마그누스 로터(magnus rotor)를 이용하여 화물선 등과 같은 대형 선박을 추진시키려는 프로젝트가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다.
로터 세일(rotor sail)이라고도 불리우는 마그누스 로터는, 바람의 유동 중에서 유효 풍향에 수직한 힘을 생성하고 이를 선박의 추진에 사용하는 원리를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마그누스 로터는 대략 4m의 지름에 높이가 24m 이상에 달하는 거대한 구조물로서, 건조를 위하여 많은 재료가 소모될 뿐만 아니라 선박의 데크 상부에 설치될 때 공간적인 제약을 많이 받게 되며, 따라서 선박에 마그누스 로터를 설치함에 있어서 데크 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활용은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화가스 화물을 수송하는 액화가스 화물선을 마그누스 효과를 이용하여 추진이 가능한 로터 세일 선박으로 구축함에 있어서, 액화가스 화물창의 상부에 마련되는 벤트 마스트 구조물을 이용하여 마그누스 로터를 구성함으로써 그 설치구조를 간소화하고 데크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내부에 마련되며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복수의 화물창; 및 상기 복수의 화물창에 대응하여 각각의 화물창의 상측 데크에 설치되는 벤트 마스트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 마스트 로터는, 내부에 중공의 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의 구조물로서 외부 쉘을 구성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화물창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벤트라인이 연장되는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와 상기 로터 사이에 설치되어 두 구조물 사이를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은, 상기 로터의 외벽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의 지지를 보강하는 덕트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덕트지지대는, 상기 덕트의 중심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평지지대; 및 상기 평지지대의 끝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로터의 내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곡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은 상기 곡지지대의 외주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시 상기 로터의 내벽면과 상기 곡지지대 사이에서 구름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은, 상기 선체의 선미부에 구획되는 엔진룸에 탑재되며, 상기 화물창에 수용된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구동이 가능한 엔진; 및 상기 엔진, 상기 엔진으로 액화가스 연료를 공급하는 배관 및 액화가스 연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가스밸브유닛을 포함하는 엔진 시스템 내부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추가 벤트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추가 벤트라인은 복수의 상기 벤트 마스트 로터 중 가장 후미에 위치하는 벤트 마스트 로터의 덕트로 연결되어 가스 배출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은, 상기 벤트라인 및 상기 추가 벤트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덕트 내부에 배치되는 배관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배관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은,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의 유지보수 작업시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덕트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맨홀; 및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유지보수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은, 상기 덕트 내부의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터 세일 선박은 마그누스 효과를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음으로써 연료소모율(FOC: Fuel Oil Consumption)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선박 에너지효율 설계지수(EEDI: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및 현존 선박 에너지효율 지수(EEXI: Energy Efficiency Existing Index)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액화가스 화물을 수송하는 액화가스 화물선을 로터 세일이 가능한 선박으로 함에 있어서, 액화가스 화물선에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벤트 마스트 구조물을 이용하여 마그누스 로터를 구성함으로써, 설치구조가 간소화되고 데크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 세일 선박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 세일 선박에 구비되는 벤트 마스트 로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 세일 선박에 구비되는 벤트 마스트 로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는 다소 상이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고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고 하는 것은 직접적인 연결은 물론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는 것이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 세일 선박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로터 세일 선박에 구비되는 벤트 마스트 로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로터 세일 선박은, 바람직하게는 선체에 마련되는 화물창(Cargo hold) 내에 액화가스를 저장한 채로 해양을 운항하는 액화가스 화물선일수 있으며, LNG 운반선(LNGC: LNG Carrier)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액화가스는, LNG(Liquefied Natural Gas)를 비롯하여 LPG(Liquefied petroleum gas), LEG(Liquefied Ethane Gas), 액화에틸렌가스(Liquefied Ethylene Gas) 및 액화프로필렌가스(Liquefied Propylene Gas) 등과 같이 저온으로 액화시켜 저장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액화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장 대표적인 액화가스인 LNG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터 세일 선박(1)은 선수로부터 선미 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선체 내부에 구획되는 복수의 화물창(C)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물창(C)에는 극저온으로 냉각된 LNG가 액화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화물창(C)은 극저온의 LNG를 일정한 기간(수송 기간)동안 액화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의 열 침입을 차단하는 단열시스템을 갖출 수 있고, 서로 인접하는 화물창(C) 사이는 코퍼댐(Cofferdam)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터 세일 선박(1)의 선미에는 엔진이 탑재되는 엔진룸(E/R)이 구획된다. 엔진룸(E/R)에 탑재되는 엔진(미도시)은 화물창(C)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가동될 수 있으며, 예컨대, 천연가스와 연료유를 모두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이종연료 엔진(Dual Fuel Engine)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화물창(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강제로 또는 자연적으로 기화된 액화가스(이하 '연료가스')를 엔진의 연료로서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Fuel Gas Supply System, FGSS)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화물창(C)은 아무리 잘 단열이 되어 있다 하더라도 선박의 운항 중에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 내부에서 증발가스(BOG: Boil-Off Gas)가 발생하게 된다. 화물창(C) 내부의 증발가스가 허용 수준 이상이 되면 내부 압력 증가에 의한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증발가스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차게 되면 이를 화물창(C)의 외부로 배출해주어야 한다.
또한, 엔진이 연료가스를 사용하여 운전되는 가스모드(Gas mode)에서 연료유를 사용하는 오일모드(Oil mode)로 동작을 전환할 때 혹은 어떠한 이유로 엔진의 가스모드 운전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엔진 및 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배관 계통을 포함하는 엔진 시스템 내부에 잔류하는 연료가스를 외부로 벤팅(venting)하고 퍼징(purging)시키는 작업을 실시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통상의 액화가스 화물선에는 화물창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 및 엔진 시스템 내부에 잔류하는 연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목적의 배관들이 마련되고, 이러한 배관들은 화물창 상부에 설치되는 벤트 마스트(vent mast)라는 높은 굴뚝 구조물로 연장되어 가스를 외기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벤트 마스트 또한 선급에서 규정하고 있는 룰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높은 구조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규모가 큰 벤트 마스트가 화물창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는 통상의 액화가스 화물선에 전술한 바와 같이 크기가 거대한 마그누스 로터를 추가로 배치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액화가스 화물선을 로터 세일이 가능한 로터 세일 선박으로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기본적으로는 벤트 마스트 구조물과 마그누스 로터 구조물을 통합 구성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제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터 세일 선박(1)의 데크 상부에는 복수의 화물창(C)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벤트 마스트 로터(1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벤트 마스트 로터(100)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벤트 마스트 로터(100)는, 우선 선박의 운항 중에 발생하는 여분의 가스를 외기로 보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물창(C)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벤트라인(VL)이 각각 그 상부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벤트 마스트 로터(100)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엔진 시스템 내부의 잔류 연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벤트라인(VL')의 경우에는 선체의 가장 후미에 위치하는 벤트 마스트 로터(100)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엔진 시스템은 엔진 자체와 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배관 계통, 그리고 엔진으로의 연료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가스밸브유닛(GVU: Gas Valve Unit)이 설치되는 GVU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트라인의 설명부호를 'VL'로 통일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벤트 마스트 로터(100)는, 외부 쉘(shell)를 구성하며 내부에 중공의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 기둥 형태의 로터(110)와, 로터(110)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벤트라인(VL)이 연장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덕트(120)와, 덕트(120)와 로터(110) 사이에 설치되어 두 구조물을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130)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110)는 선박의 데크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로터(110)의 하부에는 로터(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회전발생기(111)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발생기의 예로는 전기모터를 들 수 있다.
기존의 마그누스 로터에서는 구동장치가 로터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로터(110)의 내부에 벤트라인(VL)의 배치를 위한 덕트(120)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회전발생기(111)는 로터(1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로터(11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로터(110)의 내부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는 경우에는 회전발생기(111)를 로터(110)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발생기(111)는 외부 쉘을 구성하는 로터(1110)를 회전시켜 마그누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벤트 마스트 로터(100)는 회전발생기(111)에 의해 회전 가능한 로터(111)를 구비함으로써 '마그누스 로터(magnus rotor)'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벤트 마스트 로터(100)의 외부 쉘을 구성하는 로터(110)는 회전을 해야하기 때문에 벤트라인(VL)은 로터(110) 내부에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벤트라인(VL)이 연장 통과할 수 있는 별도의 덕트(120)를 로터(110) 내부에 구성하여 배치한다.
벤트라인(VL)은 로터(110) 내부에 설치되는 덕트(120) 구조물을 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벤트 마스트 로터(1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통해 가스를 외기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벤트라인(VL)은 덕트(120)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지지대(1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벤트 마스트 로터(100)는 로터(110) 내부에 벤트라인(VL)을 배치하여 가스를 외기로 배출시키는 '벤트 마스트(vent mast)'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덕트(120) 내부에 설치되는 벤트라인(VL)의 유지보수가 요구될 시 용이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덕트(120)의 하단부에는 유지보수 작업자 및 유지보수 장비의 출입할 수 있는 맨홀(123)이 형성되고, 덕트(120) 내부에는 유지보수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12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벤트라인(VL)의 유지보수 작업시 덕트(120) 내부에 가스가 차 있는지 여부 또는 벤트라인(VL)의 파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덕트(120)의 내측 천장부에 가스감지기(125)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내부에 복수의 배관이 배치되는 덕트(120)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회전하는 로터(110)와 회전하지 않는 덕트(120) 사이에 베어링(130)을 설치하여 두 구조물 사이를 지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지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덕트(120)는 로터(110)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원형이면서 내부에 중공의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기둥 구조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외벽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덕트지지대(121)에 의해 지지구조가 보강될 수 있다.
덕트지지대(121)는 덕트(120)와 일체의 구조물로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덕트(120)의 단면인 원의 접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즉, 가상의 연장선이 원의 중심과 이어지는) 평지지대(121-a)와, 평지지대(121a)의 끝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로터(110)의 내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곡지지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곡지지대(121-b)의 곡률은 로터(110)의 내주면이 이루는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130)은 덕트(120)의 바깥 둘레, 보다 구체적으로는 덕트지지대(121)의 곡지지대(121-b)의 외주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로터(110)가 회전함에 따라 로터(110)의 내벽면과 곡지지대(121-b) 사이에서 구름(롤링) 운동을 함으로써 로터(110)와 덕트(120) 구조물 사이를 지지한다.
즉, 베어링(130)은 로터(110) 내부에 설치되는 덕트(120)를 지지함과 동시에 로터(120)가 회전하더라도 덕트(12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베어링(130)은 덕트(12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또는 적어도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벤트 마스트 로터(100)는 화물창(C)이나 엔진 시스템 내부의 가스를 배출하는 벤트라인들(VL, VL')이 연결되어 가스 시스템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높은 곳으로 배출시키는 벤트 마스트 구조물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마그누스 효과를 이용하는 추진력을 얻는 마그누스 로터 구조물로도 활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두 가지 역할을 모두 수행하기 위하여, 벤트 마스트 로터(100)는 각 화물창(C)의 상부에 설치되되 해당 구조물을 로터로서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위치로서 선박의 진행 방향의 바람을 만날 수 있는 곳으로 설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벤트 마스트와 마그누스 로터를 하나의 구조물로 동시에 구성하는 본 발명의 적용시, LNGC와 같은 액화가스 화물선도 로터 세일이 가능한 선박으로 구축이 가능하다는 점에 가장 큰 의의가 있다. 마그누스 로터에 의한 동력의 증가는 연료의 절약과 직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터 세일 선박은 마그누스 효과를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음으로써 연료소모율(FOC: Fuel Oil Consumption)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선박 에너지효율 설계지수(EEDI: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및 현존 선박 에너지효율 지수(EEXI: Energy Efficiency Existing Index)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액화가스 화물을 수송하는 액화가스 화물선을 로터 세일이 가능한 선박으로 함에 있어서, 액화가스 화물선에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벤트 마스트 구조물을 이용하여 마그누스 로터를 구성함으로써, 설치구조가 간소화되고 데크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로터 세일 선박
100: 벤트 마스트 로터
110: 로터
111: 회전발생기
120: 덕트
121: 덕트지지대
122: 배관지지대
123: 맨홀
124: 사다리
125: 가스감지기
130: 베어링
C: 화물창

Claims (6)

  1. 선체 내부에 마련되며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복수의 화물창; 및
    상기 복수의 화물창에 대응하여 각각의 화물창의 상측 데크에 설치되는 벤트 마스트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 마스트 로터는,
    내부에 중공의 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의 구조물로서 외부 쉘을 구성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화물창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벤트라인이 연장되는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와 상기 로터 사이에 설치되어 두 구조물 사이를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외벽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의 지지를 보강하는 덕트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덕트지지대는,
    상기 덕트의 중심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평지지대; 및
    상기 평지지대의 끝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로터의 내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곡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은 상기 곡지지대의 외주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시 상기 로터의 내벽면과 상기 곡지지대 사이에서 구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선미부에 구획되는 엔진룸에 탑재되며, 상기 화물창에 수용된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구동이 가능한 엔진; 및
    상기 엔진, 상기 엔진으로 액화가스 연료를 공급하는 배관 및 액화가스 연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가스밸브유닛을 포함하는 엔진 시스템 내부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추가 벤트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벤트라인은 복수의 상기 벤트 마스트 로터 중 가장 후미에 위치하는 벤트 마스트 로터의 덕트로 연결되어 가스 배출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벤트라인 및 상기 추가 벤트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덕트 내부에 배치되는 배관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배관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의 유지보수 작업시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덕트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맨홀; 및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유지보수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를 더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덕트 내부의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KR1020210109570A 2021-08-19 2021-08-19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KR102552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570A KR102552642B1 (ko) 2021-08-19 2021-08-19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570A KR102552642B1 (ko) 2021-08-19 2021-08-19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593A true KR20230027593A (ko) 2023-02-28
KR102552642B1 KR102552642B1 (ko) 2023-07-07

Family

ID=8532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570A KR102552642B1 (ko) 2021-08-19 2021-08-19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64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836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진동 제어장치
KR20130082158A (ko) 2010-09-16 2013-07-18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매그너스 로터
KR20140134136A (ko) * 2013-05-13 2014-11-21 주식회사 시온테크 선박용 굴뚝의 사다리 구조체
KR20150004087U (ko) * 2014-04-30 2015-11-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가스공급시스템
KR20160055607A (ko) * 2014-11-10 2016-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 누출 사고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90032A (ko) * 2017-02-02 2018-08-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90101773A (ko) * 2018-02-23 2019-09-0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풍력추진 기능이 구비된 선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158A (ko) 2010-09-16 2013-07-18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매그너스 로터
KR20120072836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진동 제어장치
KR20140134136A (ko) * 2013-05-13 2014-11-21 주식회사 시온테크 선박용 굴뚝의 사다리 구조체
KR20150004087U (ko) * 2014-04-30 2015-11-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가스공급시스템
KR20160055607A (ko) * 2014-11-10 2016-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 누출 사고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90032A (ko) * 2017-02-02 2018-08-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90101773A (ko) * 2018-02-23 2019-09-0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풍력추진 기능이 구비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642B1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282B1 (ko) Lng 연료 추진 시스템의 탑재가 가능한 컨테이너 운반선
JP6869353B2 (ja) ガス燃料推進コンテナ運搬船
JP2008126829A (ja) 船舶
JP6901567B2 (ja) ガス燃料推進コンテナ運搬船
KR20160120177A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281212B1 (ko) 선박
KR20150026674A (ko) 부유 저장식 가스 발전플랜트의 배치구조
KR102552642B1 (ko)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KR102297873B1 (ko) 이중연료 엔진을 구비하는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210128528A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279112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012493B1 (ko) 액화가스연료 방식 선박
KR102061930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220141212A (ko) 풍력 추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30046431A (ko)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
CN217754066U (zh) 用于船舶的弗莱特纳转子及船舶
KR102327406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230113175A (ko) 선박
KR20240045857A (ko) 로터세일의 내부 공기 유동 발생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40050836A (ko) 선박
KR20210120409A (ko) 액화가스 추진 선박
KR20210108717A (ko) 벤트 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