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431A -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431A
KR20230046431A KR1020210129411A KR20210129411A KR20230046431A KR 20230046431 A KR20230046431 A KR 20230046431A KR 1020210129411 A KR1020210129411 A KR 1020210129411A KR 20210129411 A KR20210129411 A KR 20210129411A KR 20230046431 A KR20230046431 A KR 20230046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magnus
rotating body
fuel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이희동
김희택
신수정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9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6431A/ko
Publication of KR20230046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2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Magnus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9Wind propelled vessels comprising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ther than wind propulsion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uch as sails, running rigging, or the like, and other than sailboards or the like or related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간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는,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은, 마그누스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회전 본체, 상기 회전 본체의 중공에 직립되는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 본체와 회전축이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Ship having a Magnus module in which a fuel tank is provided}
본 발명은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대량의 광물이나 원유, 천연가스, 또는 몇천 개 이상의 컨테이너 등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으로서, 강철로 이루어져 있고 부력에 의해 수선면에 부유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추력을 통해 이동한다.
선박은 엔진이나 가스 터빈 등을 구동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엔진은 중유(HFO) 또는 경유(MDO, MGO) 등의 오일연료를 사용하여 피스톤을 움직여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크랭크 축이 회전되도록 하고, 크랭크 축에 연결된 샤프트가 회전되어 프로펠러가 구동되도록 하며, 반면 가스 터빈은 압축 공기와 함께 오일연료를 연소시키고, 연소 공기의 온도/압력을 통해 터빈 날개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전하여 프로펠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근래에는, 오일연료 사용 시의 배기로 인한 환경 파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액화천연가스(LNG)나 액화석유가스(LPG) 등의 가스연료를 사용하여 엔진이나 터빈 등을 구동해 추진하는 가스연료 추진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LNG는 청정연료이고 매장량도 석유보다 풍부하기 때문에, 가스연료로 LNG를 사용하는 방식이 LNG 운반선 외에 컨테이너선 등과 같은 다른 선박에도 적용되고 있다.
더 나아가, 배기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 자연 에너지로서 태양광, 풍력 등의 활용도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풍력의 경우 갑판 상에 돛(Sail) 등과 같은 설비를 설치하여 풍력을 간단하게 추진력으로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돛과 달리, 동력을 이용해 직접 회전하면서 풍력을 원하는 방향의 추진력으로 변환할 수 있는 로터 설비(일례로 magnus rotor)가 마련된 바 있다. 이러한 로터 설비는 갑판에 고정되는 고정자(stator)와, 고정자를 두르도록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며 회전속도나 방향이 조절되는 회전자(rotor)로 구성된다.
한편, 선박의 공간은 한정적이어서, 선박의 공간 활용을 위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간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는,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의 일 면(aspect)은, 마그누스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회전 본체, 상기 회전 본체의 중공에 직립되는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 본체와 회전축이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 탱크는, 연료가 저장되는 탱크 본체, 갑판과 상기 탱크 본체를 연결하는 서포트, 및 상기 탱크 본체의 하단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연료가 경유하는 라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 탱크와 상기 회전 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 본체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연료 탱크에 마련되는 휠 또는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은, 풍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연료 탱크가 마그누스 모듈 내부에 마련되어 풍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어, 한정된 선박의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 탱크가 직립된 형태를 이루므로, 실린더 형태의 압력 탱크가 가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에 대비하여 액면(연료의 표면 면적)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슬로싱(sloshing)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 탱크 내부에 저장되는 연료가 폭발 등의 위험이 있거나 인체에 위해하더라도, 연료 탱크로부터 누출된 연료가 연료 탱크 외부에 마련되는 회전 본체와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연료 누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의 회전 본체와 연료 탱크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회전 본체와 연료 탱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의 회전 본체와 연료 탱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의 회전 본체와 연료 탱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I-I'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의 회전 본체와 연료 탱크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회전 본체와 연료 탱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100)은, 선체(110)에 마련되는 회전 본체(120), 연료 탱크(130), 구동부(140) 및 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체(110)는, 데크(110A) 상에 거주구(111)가 마련되는 대형 선박의 선체로서, 예시적으로 화물선의 선체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선체(110)의 선미부에는 프로펠러(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고, 프로펠러가 발생시키는 메인 추력에 의해 운항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마그누스 효과에 의한 보조 추력을 활용하여 선박 추직에 소요되는 마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간략하게, 본 실시예의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100)은, 마그너스 모듈(회전 본체(120)와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음)이 선체(110)의 데크(110A)에 기립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너스 효과를 위해 일반적으로 데크(110A)에 고정되는 고정자와 고정자를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자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회전자를 이루는 회전 본체(120)의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자가 연료 탱크(130)로 구비되는 것이 종래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마그너스 모듈이 하나로 예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종 등에 따라 하나 이상의 마그너스 모듈이 마련될 수 있고, 마그너스 모듈이 복수 개로 구비되면 데크(110A) 상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는 연료 탱크(130)를 고정자로 이용되는데, 이는 연료 탱크(130)로 인한 풍저항 및 공간 활용도 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이다. 예를 들어, 근래에는 국제 해사 기구(IMO)의 선박배출가스 규제에 따라 최근 LNG 등의 액화가스를 선박의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가 구비되어야 하고,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연료 탱크는 선체(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화물 적재용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데크(110A) 상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연료 탱크가 데크(110A) 상부에 마련되면, 연료 탱크에 의한 풍저항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연료 탱크(130)가 추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누스 모듈 내부에 마련되어 연료 탱크(130)에 의한 풍저항을 방지할 수 있고, 선박(100)의 한정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회전 본체(120)는, 풍력 보조 추진 장치인 마그누스 모듈로서, 마그누스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누스 효과(magus effect)는,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그 축에 수직하게 유체가 유입되는 회전자에서 그 축과 유체의 유입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마그누스 효과를 발생시키는 회전자는, 바람을 이용하여 마그누스 효과에 의한 힘을 발생시켜 선체(110)에 대해 추력을 제공하도록 선박의 상부에 돌출 설치될 수 있어, 본 실시예는 회전자를 이루는 회전 본체(120)가 데크(110A)에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더불어 바람의 이용이 원활하도록, 즉 선박(100)의 다른 장비(도시하지 않음)이나 컨테이너 등에 의해 마그누스 효과가 저감되지 않도록, 선수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회전 본체(120)는, 예시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가져, 항해 중 원기둥이 회전되어 발생하는 양력(매그너스 효과)이 추력 방향으로 작용하게 하여, 선박(100)의 추진에 소요되는 마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마그누스 효과에 의한 메카니즘을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데,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회전 본체(120)에 의해 발생되는 마그누스 힘(마그누스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힘)은, 바람이 유입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할 수 있고, 마그누스 힘은 선체(110)의 진행방향을 향하는 추력을 포함할 수 있어, 추진에 소요되는 마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본체(120)는, 구동부(14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21)는, 회전 본체(120)의 중공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21)의 중심에 구동부(140)의 회전축(141)이 고정(끼움, 접차고,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음)될 수 있어, 구동부(140)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재(121)는 다른 예로 구동부(140)가 끼워지는 홈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회전 본체(120)는, 데크(110A) 상에 마련될 수 있도록 고정자가 요구되는데, 본 실시예는 고정자가 연료 탱크(130)로 이루어질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 증대로 화물 운송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료 탱크(130)는, 연료가 저장되는 구성으로서, 특히 회전 본체(120)의 회전을 지지하는 고정자 기능을 이룰 수 있도록, 회전 본체(120)의 중공에 직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탱크(130)는, 탱크 본체(131), 서포트(132) 및 라인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 본체(131)는, 연료가 저장될 수 있으며, 특히 회전 본체(120)의 중공에 마련되어 회전 본체(120)의 지지대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탱크 본체(131)는, LNG와 같은 연료가 압축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실린더 형태를 이루는 C타입의 압력 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포트(132)는, 탱크 본체(131)를 지지/고정하는 구성으로서, 갑판(110A)과 탱크 본체(131)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트(132) 강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탱크 본체(131)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132)는, 라인부(133)가 외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탱크 본체(131)의 하부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바(Bar), 봉 또는 판 구조를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탱크 본체(131)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라인부(133)는, 탱크 본체(131)의 하단으로부터 외부(탱크 본체(131)의 외부일 수 있음)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연료가 경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인부(133)는, 탱크 본체(131)로 연료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수 있는 로딩/언로딩 라인(133A)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라인부(133)는, 탱크 본체(131)가 연료를 공급하는 경우, 탱크 본체(131)로부터 엔진(도시하지 않음)으로 연결되어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연료 라인(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로딩/언로딩 라인(133A) 및 연료 라인(133B)은 예시에 불과하며, 탱크 본체(131)에 연료를 저장 및 배출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의 변경이 가능하며, 라인의 수도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연료 탱크(130)는, 일반적으로 데크(110A) 상에서 저항체로 구비되는 것과 달리, 마그누스 모듈의 내부에서 고정자 기능을 이룰 수 있어, 풍저항 감소는 물론,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의 연료 탱크(130)는, 직립된 형태를 이루므로, 실린더 형태의 압력 탱크가 가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에 대비하여 액면(연료의 표면 면적)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슬로싱(sloshing)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연료 탱크(130) 내부에 저장되는 연료가 폭발 등의 위험이 있거나 인체에 위해하더라도, 연료 탱크(130)로부터 누출된 연료가 연료 탱크(130) 외부에 마련되는 회전 본체(120)와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연료 누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연료 탱크(130)는, 액상으로 저장되는 연료가 외기에 의해 증발가스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 단열구조가 요구되는데, 본 실시예는 연료 탱크(130)를 두르도록 회전 본체(120)가 마련되므로, 연료 탱크(130)와 회전 본체(120) 사이의 공간이 단열 공간을 이룰 수 있어, 단열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회전 본체(120)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회전 본체(120)와 회전축(141)이 연결될 수 있고, 고정자로 이루어지는 연료 탱크(13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40)는, 회전축(141)이 마련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회전축(141)의 방향에 연동하여 회전 본체(120)가 회전될 수 있다.
더불어 모터가 연료 탱크(130) 상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연료 탱크(130)에 고정되는 박스 구조의 드라이브 룸(Drive room)이 마련되고 드라이브 룸 내부에 모터가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회전축(141)을 통해 회전 본체(12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면서, 연료 탱크(130) 상에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지지부(150)는, 연료 탱크(130)와 회전 본체(120)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 본체(12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50)는, 연료 탱크(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50)가 상하로 이격되게 2개 마련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회전 본체(120)가 연료 탱크(130)에 충돌되지 않고 안전하게 회전될 수 있다면 지지부(150)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부(150)는, 연료 탱크(130)에 마련되는 휠 또는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지지부(150) 모두 휠로 이루어지거나, 2개의 지지부(150) 모두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리 수 있다. 또는 상부의 지지부(150)휠로 이루어지고 하부의 지지부(150)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휠은, 내주면이 탱크 본체(131)와 맞닿는 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찰력 감소를 위해 오일 등이 도포될 수 있다. 더불어 베어링은, 링 구조의 주변으로 볼이 마련되는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휠과 베어링은, 연료 탱크(130)를 축으로 회전 본체(120)가 회전되기 위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부(150)는, 연료 탱크(130)와 회전 본체(120) 사이에서 회전 본체(1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연료 탱크(130)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부(150)는, 회전 본체(120)의 충돌 방지를 위해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며, 이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도록 하며,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의 회전 본체와 연료 탱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100)은, 제1 실시예와 동일/유사하게 선체(110)에 마련되는 회전 본체(120), 연료 탱크(130), 구동부(140) 및 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회전 본체(120)는, 앞서 설명되는 제1 실시예와 달리, 고정부재(121)가 판 구조를 이루지 않고, 홈 구조를 이루는 것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21)는, 회전 본체(120)의 내부에서 상부에 홈 구조가 마련될 수 있도록, 내부 상단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구조에 회전축(141)이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회전축(141)을 마주하는 방향인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고정부재(121)는 회전축(141)이 삽입되기 위한 구성이므로, 회전 본체(120)가 외부와 연통되게 관통되는 구조가 아니라면 돌출 구조없이 회전 본체(120)에 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즉 회전 본체(120)는, 원 기둥 구조의 하중 절감을 위해 강성 및 마그누스 힘이 형성되기 위한 최소의 두께를 이룰 수 있어, 홈이 형성되기 위한 두께를 이루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관통되는 홀 구조를 이루지 않고도 홈이 형성될 수 있는 두께를 이룬다면, 홈 구조를 이루기 위한 별도의 돌출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홈 구조는, 회전축(141)의 회전력이 회전 본체(1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즉 회전 본체(120)가 헛돌지 않도록 적어도 일부에 각이 형성되거나 돌기가 끼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용접 등의 방식으로 회전 본체(120)와 회전축(141)이 고정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의 회전 본체와 연료 탱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I-I'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100)은, 제1 실시예와 동일/유사하게 선체(110)에 마련되는 회전 본체(120), 연료 탱크(130), 구동부(140) 및 지지부(150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지지부(150A)는, 앞서 설명되는 제1 실시예와 달리, 휠 또는 베어링으로 구비되지 않고, 자기력을 형성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50A)는, 자기력의 척력으로 연료 탱크(130)에 회전 본체(120)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50A)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 자석(151A)과 제2 자석(151B)을 포함할 수 있고, 척력 발생을 위해 제1 자석(151A)과 제2 자석(151B)은 같은 극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1 자석(151A)과 제2 자석(151B) 각각은 서로 대향되게 연료 탱크(130)와 회전 본체(120)에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회전 본체(120)에 제1 자석(151A)이 마련되고 연료 탱크(130)에 제2 자석(151B)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본체(120)는, 제2 자석(151B)에 의해 제1 자석(151A)과의 상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어, 회전 본체(120)와 맞닿지 않을 수 있으므로, 회전 본체(120)에 충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불어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 및 공지기술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조합되어 또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의 지지부(150)의 휠/볼 베어링과 제3 실시예의 지지부(150A)의 제1 자석(151A)과 제2 자석(151B)이 조합되어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상충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100)은, 풍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연료 탱크(130)가 마그누스 모듈 내부에 마련되어 풍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어, 한정된 선박(100)의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선박 110: 선체
120: 회전 본체 130: 연료 탱크
140: 구동부 150: 지지부

Claims (4)

  1. 마그누스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회전 본체;
    상기 회전 본체의 중공에 직립되는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 본체와 회전축이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연료가 저장되는 탱크 본체;
    갑판과 상기 탱크 본체를 연결하는 서포트; 및
    상기 탱크 본체의 하단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연료가 경유하는 라인부를 포함하는,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와 상기 회전 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 본체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연료 탱크에 마련되는 휠 또는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

KR1020210129411A 2021-09-30 2021-09-30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 KR20230046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411A KR20230046431A (ko) 2021-09-30 2021-09-30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411A KR20230046431A (ko) 2021-09-30 2021-09-30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431A true KR20230046431A (ko) 2023-04-06

Family

ID=8591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411A KR20230046431A (ko) 2021-09-30 2021-09-30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64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804B1 (ko) 선박 및 선박의 배치 구조
US5417597A (en) Vessel with machinery modules outside watertight hull
KR20170078500A (ko) Lng 연료 추진 시스템의 탑재가 가능한 컨테이너 운반선
WO2016035679A1 (ja) 浮体式洋上設備、及び、浮体式洋上設備の電力供給方法
KR102281212B1 (ko) 선박
NO335597B1 (no) Anordning ved opplagring av en fremdriftsenhet og en fremdriftsenhet for et marint fartøy
EP30956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fuel gas in ship
KR20150102238A (ko) 선박 및 선박의 배치 구조
KR20230046431A (ko) 내부에 연료 탱크가 마련되는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
KR101577805B1 (ko) 선박 및 선박의 배치 방법
KR20130021204A (ko) 전기 추진식 엘엔지 연료급유선
KR20150102236A (ko) 선박 및 선박의 배치 구조
EP1406812B1 (en) A method of disposing of gas and propulsion apparatus for a ship
WO2022158565A1 (ja) 船舶
KR102535808B1 (ko) 풍력 추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552642B1 (ko) 벤트 마스트와 통합된 마그누스 로터를 가지는 로터 세일 선박
CN111071384A (zh) 一种三体船
KR20240050836A (ko) 선박
KR20150064585A (ko) 선박용 베인휠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faff et al. Propulsion Systems
KR20230059560A (ko) 선박의 하이브리드 발전 및 추진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70267A (ko) 마그누스 모듈을 구비하는 선박
KR20220118778A (ko) 연료 탱크 장치
KR20230059566A (ko) 선박
KR20190120621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선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