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505A -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27505A KR20230027505A KR1020210109372A KR20210109372A KR20230027505A KR 20230027505 A KR20230027505 A KR 20230027505A KR 1020210109372 A KR1020210109372 A KR 1020210109372A KR 20210109372 A KR20210109372 A KR 20210109372A KR 20230027505 A KR20230027505 A KR 202300275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parator
- secondary battery
- feeding roller
- stacking
- stacking equip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양극전극과 음극전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배치되는 스텍 셀을 제조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에 있어서, 적층 테이블; 분리막을 포밍하는 포밍기; 포밍기에 의해 포밍된 분리막을 적층 테이블 위로 공급하는 피딩 롤러; 양극전극을 적층 테이블 위로 공급된 분리막에 올리는 제1로봇; 및 및 음극전극을 적층 테이블 위로 공급된 분리막에 올리는 제2로봇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전기를 만들어내는 소자로서, 한 개의 전극에서 충전과 방전이 모두 일어나고, 산화전극(Anode, -극)과 환원전극(Cathode, +극)은 방전 반응을 기준으로 구별된다.
이차전지는 집전체에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판 및 음극판과, 양극판과 음극판을 분리하는 분리막(separator)과, 분리막을 통하여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액과, 양극판과 분리막 및 음극판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양극판과 음극판에 연결되어 밖으로 인출되는 리드탭 등을 포함한다.
이차전지는 그 형상에 따라 원통형 (cylinder type), 각형(prismatic type) 및 파우치형(pouched typ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유연성을 가진 파우치 등의 케이스를 포함하여 그 형상이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고, 제조 공정이 비교적 쉽고, 제조 비용이 낮아서 이차전지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제조장비의 일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62034 B1(2013년05월08일 공고)에 개시된 전극조립체의 폴딩 장치가 있고, 전극조립체의 폴딩 장치는 분리필름이 개재된 상태로 유닛셀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를 위 한 폴딩 장치로서, 분리필름의 상면에 판상형 유닛셀들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웹(web)을 공급하는 웹 공급부; 상기 웹의 첫번째 유닛셀을 잡아 분리필름이 개재된 상태로 유닛셀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회전시 키는 권취 지그; 및 상기 권취 지그의 회전축을 웹의 진행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Y축 방향)에서 위치 보정하는 Y축 방향의 회전축 보정부;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Y축 방향의 회전축 보정부는 권취과정에서 웹의 상하 진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웹의 진행 방향 (X축)에 대해 수직 방향(Y축)으로 회전축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회전축의 Y축 위치는 웹의 상향 또는 하향 위치 변동시 상기 변동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변화된다.
본 실시예는 분리막의 주름을 최소화하면서 고정밀도로 셀을 적층할 수 있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 예는 양극전극과 음극전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배치되는 스텍 셀을 제조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에 있어서, 분리막을 텐션 컷하고, 적층 테이블 위로 정량 공급하는 피딩 롤러; 양극전극을 적층 테이블 위로 공급된 분리막에 올리는 제1로봇; 및 음극전극을 적층 테이블 위로 공급된 분리막에 올리는 제2로봇을 포함한다.
스텍킹 장비는 분리막을 포밍하는 포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딩 롤러는 포밍기에 의해 포밍된 분리막을 텐션 컷할 수 있고, 적층 테이블로 정량 공급할 수 있다.
포밍기는 분리막의 일면 옆에 배치된 제1포밍기 및 분리막의 타면 옆에 배치된 제2포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포밍기와 제2포밍기의 각각은 회전 바디; 회전 바디를 회전시키는 모터; 회전 바디의 일면에 배치되고 돌출부가 형성된 포밍 바디; 및 회전 바디의 타면에 배치된 안착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포밍기는 제1포밍기를 분리막의 이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 및 제2포밍기를 분리막의 이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포밍기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실시할 수 있다.
제1모드는 제1포밍기의 포밍 바디 및 제2포밍기의 안착 바디가 분리막을 향하고, 제1포밍기의 포밍 바디가 분리막에 접촉될 수 있다.
제2모드는 제1포밍기의 안착 바디 및 제2포밍기의 포밍 바디가 분리막을 향하고, 제2포밍기의 포밍 바디가 분리막에 접촉될 수 있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는 양극전극이 올려지는 양극 얼라인 테이블; 음극전극이 올려지는 음극 얼라인 테이블; 및 적층 테이블 이동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층 테이블 이동기구는 적층 테이블을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동작과 적층 테이블을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동작을 교대로 실시할 수 있다.
제1위치는 양극 얼라인 테이블과 음극 얼라인 테이블 중 음극 얼라인 테이블에 더 근접할 수 있다.
제2위치는 양극 얼라인 테이블과 음극 얼라인 테이블 중 양극 얼라인 테이블에 더 근접할 수 있다.
제1동작와 제2동작시, 피딩 롤러는 구동될 수 있다.
피딩 롤러는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사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는 적층 테이블을 승강시키는 로어 승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승강기구는 양극전극 또는 음극전극의 두께와, 분리막의 두께의 합 만큼씩 적층 테이블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는 포밍기와 피딩 롤러를 승강시키는 어퍼 승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막이 포밍기에 의해 사전에 포밍되므로, 스텍 셀의 분리막에 형성되는 라인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피딩 롤러가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사이 위에 배치되어, 분리막이 피딩롤러에 의해 꺽일 수 있어, 피딩 롤러와 적층 테이블 사이에 별도의 가이드 롤러를 배치시킬 필요 없고, 구조가 간단한다.
또한, 적층 테이블이 로어 승강기구에 의해 승강될 수 있어, 스텍 셀의 높이 증가시 포밍기나 피딩 롤러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다.
도 1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스텍 셀이 도시된 평면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스텍 셀의 단면도,
도 3은 이차전지의 스텍 셀 제조 도중에 분리막에 주름이 발생된 예가 도시된 평면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가 도시된 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로봇이 음극전극을 적층 테이블 위의 분리막으로 이동시킬 때의 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제2로봇이 음극 매거진으로 복귀되었을 때의 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포밍기가 분리막을 포밍할 때의 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적층 테이블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고 피딩 롤러가 분리막을 피딩할 때의 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로봇이 양극전극을 적층 테이블 위의 분리막으로 이동시키고, 도 8에 도시된 포밍기가 분리막을 포밍할 때의 도,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제1로봇이 양극 매거진으로 복귀되었을 때의 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적층 테이블이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되고 피딩 롤러가 분리막을 피딩할 때의 도,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이 포밍기에 의해 포밍된 후 스텍 셀을 형성하는 과정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스텍 셀의 단면도,
도 3은 이차전지의 스텍 셀 제조 도중에 분리막에 주름이 발생된 예가 도시된 평면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가 도시된 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로봇이 음극전극을 적층 테이블 위의 분리막으로 이동시킬 때의 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제2로봇이 음극 매거진으로 복귀되었을 때의 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포밍기가 분리막을 포밍할 때의 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적층 테이블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고 피딩 롤러가 분리막을 피딩할 때의 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로봇이 양극전극을 적층 테이블 위의 분리막으로 이동시키고, 도 8에 도시된 포밍기가 분리막을 포밍할 때의 도,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제1로봇이 양극 매거진으로 복귀되었을 때의 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적층 테이블이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되고 피딩 롤러가 분리막을 피딩할 때의 도,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이 포밍기에 의해 포밍된 후 스텍 셀을 형성하는 과정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스텍 셀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스텍 셀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텍 셀(1)은 양극전극(2)와 음극전극(3)이 분리막(4)으로 구분될 수 있고, 양극전극(2)과 음극전극(3)은 분리막(4)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양극전극(2)에는 양극 탭(2a)이 부착될 수 있고, 음극전극(3)에는 음극 탭(3a)이 부착될 수 있다.
양극전극(2)은 제1전극일 수 있고, 음극전극(3)은 제2전극일 수 있다.
분리막(4)은 양극전극(2) 및 음극전극(3)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양극 탭(2a) 및 음극 탭(3a)을 감싸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분리막(4)는 그 위치에 따라 내부 분리막(5)과, 외부 분리막(6)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내부 분리막(5)은 분리막(4) 중 외부 분리막(6)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고,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 도 4 참조)에 의해 스텍 셀(1)이 제조 완료되었을 때, 대략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힌 형상일 수 있다.
외부 분리막(6)은 내부 분리막(5)의 일단에서 연장된 부분일 수 있고, 내부 분리막(5)과, 복수개 양극전극(2) 및 복수개 음극전극(3)을 함께 감싸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스텍 셀(1)은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이고, 그 길이(L)가 길 수 있으며, 스텍 셀(1) 일 예의 길이(L, 도 1 참조)는 500mm 내지 600mm일 수 있다.
스텍 셀(1)은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분리막(4)과, 양극전극(2)과, 음극전극(3) 각각은 제조 완료된 후,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로 투입될 수 있고,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는 양극전극(2)과 분리막(4) 및 음극전극(3)을 적층할 수 있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는 양극전극(2)과 음극전극(3)이 분리막(4)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배치되는 스텍 셀(1)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스텍 셀(1)을 조립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에 대해 설명한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는 분리막(4)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히도록 분리막(4)을 공급하면서 분리막(4)을 사이에 두고 양극전극(2)과 음극전극(3)을 교대로 배치시키는 Z-Stacking 장비일 수 있다.
도 3은 이차전지의 스텍 셀 제조 도중에 분리막에 주름이 발생된 예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는 적층 테이블(40, 도 4 참조) 위에 위치하는 전극(2 또는 3)를 분리막(4)으로 덮고, 분리막(4)을 접기 위해 맨드릴(40a,40b)을 분리막(4)의 상면에 올릴 수 있다.
맨드릴(40a,40b)을 이용하여 Z-Stacking 공법으로 분리막(4)과 전극(2,3)을 적층할 경우, 맨드릴(40a,40b)은 분리막(4)을 접을 때 상면 전체를 잡아주지 못하고, 분리막(4)의 라인(7) 중앙부에는 주름(8)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름(8)이 말끔하지 못하고, 불량이 유발될 수 있다.
크기가 큰 맨드릴(40a,40b)이 분리막(4)의 상면 전체를 잡고 접을 경우, 분리막(4)을 잡고 있는 맨드릴(40a,40b)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고, 맨드릴(40a,40b)의 폭도 커져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길이 및 폭이 증대된 맨드릴(40a,40b)은 다음 셀을 적층할 할 때 분리막(4)의 상측에서 회피를 해야 하는데, 이 경우, 스텍 셀(1)의 고속 생산에 제한이 따르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는 상기와 같은 주름(8)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스텍 셀(1)을 신속하게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가 도시된 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로봇이 음극전극을 적층 테이블 위의 분리막으로 이동시킬 때의 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제2로봇이 음극 매거진으로 복귀되었을 때의 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포밍기가 분리막을 포밍할 때의 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적층 테이블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고 피딩 롤러가 분리막을 피딩할 때의 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로봇이 양극전극을 적층 테이블 위의 분리막으로 이동시키고, 도 8에 도시된 포밍기가 분리막을 포밍할 때의 도이다.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제1로봇이 양극 매거진으로 복귀되었을 때의 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적층 테이블이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되고 피딩 롤러가 분리막을 피딩할 때의 도이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는 분리막(4)이 감기고, 분리막(4)을 공급하는 언와인더(20, Unwinder)와, 분리막(4)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30)를 포함할 수 있다.
언와인더(20)는 정지시, 분리막(4)이 감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분리막(4)이 감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분리막(4)을 풀 수 있다.
언와인더(20)는 분리막(4)이 감기는 롤러(또는 보빈)를 포함할 수 있고, 롤러에는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롤러 회전기구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30)는 언와인더(20)에서 풀린 분리막(4)을 가이드 하는 롤러일 수 있다. 가이드 롤러(30)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30)는 분리막(4)이 꺽이도록 분리막(4)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30)는 분리막(4)의 텐션을 유지시킬 수 있다.
가이드 롤러(30)는 분리막(4)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30)는 분리막(4)의 이동 경로를 따라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는 적층 테이블(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스텍 셀(1)은 적층 테이블(40) 위에서 제조될 수 있다. 적층 테이블(40)은 스텍 셀(1)이 제조되는 스텍 셀 스테이지일 수 있다.
스텍 셀(1)을 구성하는 양극전극(2)과 음극전극(3) 및 분리막(4)은 적층 테이블(40) 위에서 양극전극(2)과 음극전극(3)이 분리막(4)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적층 테이블(40)의 주변에는 양극 얼라인 테이블(41)과, 음극 얼라인 테이블(4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양극 얼라인 테이블(41)에는 양극전극(2)이 올려질 수 있다.
음극 얼라인 테이블(42)에는 음극전극(3)이 올려질 수 있다.
양극 얼라인 테이블(41)과 음극 얼라인 테이블(42)은 적층 테이블(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양극 얼라인 테이블(41)과 음극 얼라인 테이블(42)의 사이에는 적층 테이블(40)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양극 얼라인 테이블(41)의 주변에는 양극전극들이 적층되는 양극 매거진(43)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음극 얼라인 테이블(42)의 주변에는 음극전극들이 적층되는 음극 매거진(44)이 배치될 수 있다.
스텍 셀(1)이 제조되는 도중에, 분리막(4)은 도입부(4a)와, 적층부(4b)와 피딩부(4c)로 구분될 수 있다.
도입부(4a)는 분리막(4)의 이동 경로 중 언와인터(20)와 피딩 롤러(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적층부(4b)는 분리막(4) 중 적층 테이블(40) 위에 올려진 부분일 수 있다. 적층부(4b)는 적층 테이블(40)에 올려지기 전에 피딩부(4c) 상태에 있다가, 적층 테이블(40) 위에 올려진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피딩부(4c)는 분리막(4)의 이동 경로 중 도입부(4a)과 적층부(4b)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피딩부(4c)는 피딩롤러(90)를 통과하였지만, 아직 적층 테이블(40) 위에 올려지지 않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맨드릴(40a,40b, 도 3 참조)은 적층 테이블(40)의 주변에 위치될 수 있고, 적층 테이블(40) 위에 적층부(4b)의 상면으로 진입하여, 분리막(4)이 접히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새로운 적층부(4b)가 적층되면 후퇴된 후 새로운 적층부(4b)의 상면으로 재진입할 수 있다.
맨드릴(40a,40b)는 새로운 적층부(4b)가 적층때마다 진입,후퇴를 반복할 수 있고, 분리막(4)의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히도록 도울 수 있다.
적층 테이블(40)에는 적층 테이블 프레임(45)에 연결될 수 있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는 적층 테이블 이동기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층 테이블 이동기구(50)는 적층 테이블 프레임(45)에 연결되어, 적층 테이블 프레임(45)를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적층 테이블 이동기구(50)의 일 예는 무빙 모터(51)와, 무빙 모터(51)에 연결되어 무빙 모터(51)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52)와, 롤러(5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53)을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모터(51)는 적층 테이블 프레임(45)에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3)은 양극 얼라인 테이블(41)와 음극 얼라인 테이블(42) 사이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적층 테이블 이동기구(50)는 제1동작과 제2동작을 교대로 실시할 수 있다.
제1동작은 적층 테이블(40)을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이동시키는 동작일 수 있고, 제2동작은 적층 테이블(40)을 제2위치(P2)에서 제1위치(P1)로 이동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제1위치(P1)는 양극 얼라인 테이블(41)와 음극 얼라인 테이블(42) 중 음극 얼라인 테이블(42)에 더 근접한 위치일 수 있다.
제2위치(P2)는 양극 얼라인 테이블(41)와 음극 얼라인 테이블(42) 중 양극 얼라인 테이블(41)에 더 근접한 위치일 수 있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는 적층 테이블(40)을 승강시키는 로어 승강기구(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승강기구(56)는 양극전극(2)과 음극전극(3) 중 어느 하나의 두께와, 분리막(4)의 두께의 합(즉 설정높이) 만큼씩 적층 테이블(4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로어 승강기구(56)는 스텍 셀(1) 위에 새로운 적층부(4b)가 적층될 때마다, 양극전극(2)의 두께와 새로운 적층부(4b)의 두께의 합(즉, 설정높이)만큼 적층 테이블(40)을 하강시키거나 음극전극(3)의 두께와 새로운 적층부(4b)의 두께의 합(즉, 설정높이)만큼 적층 테이블(4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로어 승강기구(56)에 의해 적층 테이블(40)이 하강되면, 스텍 셀(1)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후술하는 피딩롤러(100)의 높이를 맞출 필요가 없다.
스텍 셀(1)이 적층되기 전, 로어 승강기구(56)는 적층 테이블(40)를 기준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다. 스텍 셀(1)이 적층되는 동안, 로어 승강기구(56)는 설정 높이씩 적층 테이블(40)를 하강시킬 수 있다.
로어 승강기구(56)의 일 예는 로어 모터(57)와, 로터 모터(57)에 연결된 스크류(58)와, 스크류(58)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리프터(58)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승강기구(56)의 일 예는 로어 모터(57)와, 로터 모터(57)에 연결된 스크류(58)와, 스크류(58)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리프터(59)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모터(57)는 적층 테이블 프레임(45)에 설치될 수 있다.
스크류(58)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로어 모터(57)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리프터(59)는 스크류(58)의 회전시, 스크류(58)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리프터(59)는 내부에 스크류(58)의 외둘레 형성된 수나사에 치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리프터(59)의 상면에는 로어 구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리프터(59)는 적층 테이블 프레임(45)에 설치된 리니어 가이드를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적층 테이블(40)의 하부에는 리프터(59)의 로어 구배부에 대응되는 어퍼 구배부가 제공될 수 있고, 로어 모터(57)가 구동되어 리프터(59)가 직선 이동되면, 적층 테이블(40)은 승강될 수 있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는 제1로봇(70) 및 제2로봇(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로봇(80)은 양극 매거진(43)의 양극전극(2)을 양극 얼라인 테이블(41)로 옮길 수 있다. 제1로봇(70)은 양극전극(2)을 적층 테이블(40) 위로 공급된 분리막(4)에 올릴 수 있다.
제1로봇(70)은 양극전극(2)을 적층 테이블(40) 위로 이동한 후 양극전극(2)을 적층 테이블(40) 위의 분리막(4)에 올릴 수 있다.
제1로봇(70)은 양극 얼라인 테이블(41)의 양극전극(2)을 적층 테이블(40) 위로 이동시킬 수 있고, 양극전극(2)을 적층 테이블(40) 위에 올려진 적층부(4b) 위로 옮길 수 있다.
제2로봇(80)은 음극 매거진(44)의 음극전극(3)을 음극 얼라인 테이블(42)로 옮길 수 있다. 제2로봇(80)는 음극전극(3)을 적층 테이블(40) 위로 공급된 분리막(4)에 올릴 수 있다.
제2로봇(80)은 음극전극(3)을 적층 테이블(40) 위로 이동한 후 음극전극(3)을 적층 테이블(40) 위의 분리막(4)에 올릴 수 있다.
제2로봇(80)은 음극 얼라인 테이블(43)의 음극전극(3)을 적층 테이블(40) 위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음극전극(3)을 적층 테이블(40) 위에 올려진 적층부(4b) 위로 옮길 수 있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는 포밍기(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밍기(90)는 분리막(4)을 포밍할 수 있다. 포밍기(90)는 분리막(4)의 이동 경로 중 피딩 롤러(100)의 이전에 배치될 수 있다.
포밍기(90)는 제1포밍기(91) 및 제2포밍기(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포밍기(91)는 분리막(4)의 일면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포밍기(92)는 분리막(4)의 타면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포밍기(91)와 제2포밍기(92)의 각각은 회전 바디(93); 회전 바디(93)를 회전시키는 모터(94); 회전 바디(93)의 일면에 배치되고 돌출부(95a)가 형성된 포밍 바디(95); 및 회전 바디(93)의 타면에 배치된 안착 바디(9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디(93)은, 다각형일 수 있고, 일 예로 사각형일 수 있다.
포딩 바디(95)와 안착 바디(96)는 다각형인 회전 바디(93)의 서로 다른 면에 제공될 수 있다.
포밍기(90)는 제1실린더(97)와, 제2실린더(9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린더(97)는 제1포밍기(91)를 분리막(4)의 이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실린더(97)는 제1포딩기(91)의 모터(94)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고, 제1포밍기(91)의 회전 바디(93)은 모터(94)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제1실린더(97)는 제1포딩기(91)의 모터(94)에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모터 마운터를 통해 모터(94)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실린더(98)는 제2포밍기(92)를 분리막(4)의 이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실린더(97)는 제2포밍기(92)의 모터(94)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고, 제2포밍기(92)의 회전 바디(93)은 모터(94)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제1실린더(97)는 제1포딩기(91)의 모터(94)에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모터 마운터를 통해 모터(94)에 연결될 수 있다.
분리막(4) 특히, 진입부(4a)는 제1포밍기(91)과 제2포밍기(92)의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고, 제1실린더(97)는 제1포밍기(91)의 회전 바디(93)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실린더(98)은 제2포밍기(92)의 회전 바디(93)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실린더(97) 및 제2실린더(98)는 유압 실린더나 공압 실린더로 이루이지는 것이 가능하고, 스크류가 내장되고 모터가 연결된 기계식 실린더인 것도 가능하다.
포밍기(90)는 제1실린더(97)와 제2실린더(98)가 장착되는 포밍기 바디(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밍기 바디(99)는 후술하는 어퍼 승강기구(120) 특히 포밍기 캐리어(123)와 연결될 수 있다.
포밍기(90)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실시할 수 있다.
제1모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밍기(91)의 포밍 바디(95) 및 제2포밍기(92)의 안착 바디(96)가 분리막(4)을 향하고, 제1포밍기(91)의 포밍 바디(95)가 분리막(4)에 접촉되는 모드일 수 있다.
제2모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밍기(91)의 안착 바디(96) 및 제2포밍기(92)의 포밍 바디(95)가 분리막(4)을 향하고, 제2포밍기(92)의 포밍 바디(95)가 분리막(4)에 접촉되는 모드일 수 있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는 피딩 롤러(10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분리막(4)을 텐션 컷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분리막(4)와 접촉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한 쌍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막(4)는 피딩 롤러(100)에 의해, 피딩 롤러(100) 이전에 위치하는 부분의 텐션과, 피딩 롤러(100) 이후에 위치하는 부분의 텐션이 상이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분리막(4)의 텐션이 피딩 롤러(100) 전,후로 상이한 것을 텐션 컷으로 정의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분리막(4)을 적층 테이블(40) 위로 공급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구동시마다, 분리막(4)을 정량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딩 롤러(100)는 구동시, 피딩 롤러(100)는 설정시간 동안 구동될 수 있고, 분리막은 정량씩 공급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포밍기(90)에 의해 포밍된 분리막(4)을 적층 테이블(40) 위로 공급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적층 테이블(4)의 이동시 분리막(4)의 피딩부(4c)를 스텍 셀(1)로 강제로 밀어줄 수 있고, 분리막(4)에 작용하는 텐션을 컷(Cut)하여 분리막(4)에 작용하는 텐션이 과할 때 발생되는 분리막(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한 쌍의 롤러(101)(102)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롤러(101)(102) 중 어느 하나는 분리막(4)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고, 한 쌍의 롤러(101)(102) 중 다른 하나는 분리막(4)의 타면과 접촉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101)(10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분리막(4) 중 한 쌍의 롤러(101)(10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한 쌍의 롤러(101)(102)에 의해 강제로 밀려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한 쌍의 롤러(101)(102)가 지지되는 피딩 롤러 바디(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딩 롤러 바디(109)는 후술하는 어퍼 승강기구(120)는 특히 피딩 롤러 캐리어(124)에 연결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분리막(4)의 텐션에 의한 팽창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분리막(4)의 주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분리막(4)을 밀어낼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분리막(4)의 떨림 현상이나 찢김을 최소화도록 분리막(4)의 강제로 밀어줄 수 있다. 피딩 롤러(100)의 구동시, 분리막(4) 중 피딩 롤러(100)와 스텍 셀(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4c) 즉, 피딩부(4c)는 일시적으로 느슨하게 풀리면서 분리막(4)에 작용하는 장력이 감소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분리막(4)의 이동경로 중, 적층 테이블(4)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딩 롤러(100)는 적층 테이블(4)의 이동 경로(P1->P2, P2-P1)의 상측에 배치되어, 적층 테이블(4)의 대략 상측 위치에서 분리막(4)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딩 롤러(100)는 제1위치(P1)와 제2위치(P2)의 사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적층 테이블(4)과 근접한 위치에서 분리막(4)의 텐션을 컷할 수 있다.
적층 테이블(4)이 제1위치(P1)에 위치될 때, 피딩 롤러(10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테이블(4)의 좌측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층 테이블(40)의 셀 스텍(1)의 적층부(4b)에 연결된 피딩부(4c)는 피딩 롤러(100)와 셀 스텍(1)의 사이에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고, 피딩 롤러(100)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꺽일 수 있다.
적층 테이블(4)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에 이동되어, 제2위치(P2)에 위치될 때, 피딩 롤러(1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테이블(4)의 위 또는 좌측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층 테이블(40)의 셀 스텍(1)의 적층부(4b)에 연결된 피딩부(4c)는 피딩 롤러(100)와 셀 스텍(1)의 사이에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고, 피딩 롤러(100)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꺽일 수 있다.
피딩 롤러(100)가 분리막(4)의 이동 경로 중 포딩기(90)의 이전에 위치할 경우, 포밍기(90)와 스텍 셀(1)의 사이에 분리막을 소정 각도로 꺽이게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가 필요할 수 있는데, 피딩 롤러(100)가 포밍기(90)와 스텍 셀(1)의 사이에 위치할 경우, 별도의 가이드 롤러가 불필요할 수 있고,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피딩 롤러(100)가 제1위치(P1)와 제2위치(P2)의 사이 위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피딩 롤러(100)와 스텍 셀(1)의 사이에 분리막(4)을 소정 각도로 꺽이게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가 필요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피딩 롤러(100)가 제1위치(P1)와 제2위치(P2)의 사이 위에 위치할 경우, 별도의 가이드 롤러가 불필요할 수 있고,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즉, 피딩 롤러(100)의 최적의 위치는 분리막(4)의 이동 경로 중 포밍기(90)와 스텍 셀(1)의 사이이면서, 제1위치(P1)와 제2위치(P2)의 사이 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딩 롤러(100)는 스텍 셀(1)이 제조되는 도중에, 피딩 롤러(100)는 계속 구동(온)되지 않고, 구동(온)과 정지(오프)를 교대를 실시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분리막(4)을 일정량 만큼씩 주행할 수 있다.
스텍셀(1)이 대형화될 경우, 분리막(4)도 대형화되고, 피딩 롤러(100)는 대향화된 분리막(4)에 대응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분리막(4) 중 피딩 롤러(100)의 이후 부분(4c)에 일시적으로 큰 부하(또는 장력)가 걸리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분리막(4)의 부하가 작을 경우에는 정지(오프)되어, 분리막(4)에 소정 범위의 장력을 갖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딩 롤러(100)는 분리막(4)에 작용하는 부하가 클 경우에만 구동(온)되어, 분리막(4)의 장력을 일시적으로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딩 롤러(100)는 적층 테이블 이동기구(50)가 제1동작와 제2동작일 때, 구동될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증 테이블(4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이동되는 동안 구동되어, 분리막(4)을 스텍 셀(1)에 피딩할 수 있고, 적증 테이블(4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이동되는 동안 분리막(4)에는 큰 부하가 걸리지 않을 수 있다.
피딩 롤러(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증 테이블(40)이 제2위치(P2)에서 제1위치(P1)로 이동되는 동안 구동되어, 분리막(4)을 스텍 셀(1)에 피딩할 수 있고, 적증 테이블(40)이 제2위치(P2)에서 제1위치(P1)로 이동되는 동안 분리막(4)에는 큰 부하가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는 어퍼 승강기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승강기구(120)는 포밍기(90)와 피딩 롤러(1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어퍼 승강기구(120)는 모터(121)와, 모터(121)의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122)와, 스크류(122)의 회전시 스크류(122)를 따라 스크류(122)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포밍기 캐리어(123)와, 스크류(122)의 회전시 스크류(122)를 따라 스크류(122)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피딩 롤러 캐리어(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밍기 캐리어(123)와 피딩 롤러 캐리어(124)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스크류(122)의 회전시 함께 상승되고 함께 하강될 수 있다.
어퍼 승강기구(120)는 적층 테이블(40)의 이동시, 피딩 롤러(100)가 적층 테이블(40) 또는 스텍 셀(1)과 간섭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퍼 승강기구(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증 테이블(4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이동되는 동안 구동되어, 피딩 롤러(100)의 상승시킬 수 있다. 어퍼 승강기구(120)는 적증 테이블(40) 또는 스텍 셀(1)이 피딩 롤러(100)에 도달되기 이전에, 피딩 롤러(1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어퍼 승강기구(1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증 테이블(40)이 제2위치(P2)에서 제1위치(P1)로 이동되는 동안 구동되거나, 적증 테이블(40)이 제1위치(P1)로 이동 완료된 후, 구동될 수 있다.
어퍼 승강기구(120)는 적증 테이블(40) 또는 스텍 셀(1)이 피딩 롤러(100)의 우측 아래에 위치될 때,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피딩 롤러(1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는 댄서 롤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댄서 롤러(13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호형 궤적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분리막(4) 중 도입부(4a)는 이러한 롤러를 따라 안내되면서 텐션이 유지될 수 있다.
댄서 롤러(130)는 분리막(4)의 이동 경로 중 가이드 롤러(30)와 피딩 롤러(100) 사이에 배치되어 분리막(4)의 텐션을 유지시킬 수 있다.
댄서 롤러(130)는 분리막(4)의 이동 경로 중 가이드 롤러(30)와 포밍기(90) 사이에 배치되어 분리막(4)의 텐션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테이블(40)는 제1위치(P1)에 위치될 수 있고, 분리막(4)의 일부는 적층 테이블(40)에 올려진 적층부(4b)가 될 수 있다.
제1로봇(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매거진(43)의 양극전극(2)를 양극 얼라인 테이블(41)로 ?ケ璲?, 제2로봇(8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 매거진(44)의 음극전극(3)을 음극 얼라인 테이블(42)로 옮길 수 있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봇(70)은 양극 매거진(43)의 상측으로 복귀될 수 있고, 제2로봇(80)은 음극 매거진(44)의 상측으로 복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로봇(70)과 제2로봇(80)의 복귀 후, 제2로봇(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 얼라인 테이블(42)의 음극전극(3)을 적층 테이블(40)의 상측 즉, 적층부(4b)에 올리고, 음극 매거진(44)의 음극전극(3)을 음극 얼라인 테이블(42)에 올릴 수 있다. 제2로봇(80)은 음극전극(3)을 적층부(4b)로 옮긴 후, 음극 매거진(44)의 상측으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부(4b)와 음극전극(3)은 적층 테이블(40)에 올려지고, 로어 승강기구(5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테이블(40)을 설정높이(즉, 적층부(4b)의 두께와 음극전극(3)의 두께의 합)만큼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밍기(90)의 제1실린더(97)는 제1포밍기(91)의 회전바디(93)를 제2포밍기(92)의 회전바디(93)와 근접하게 직선 이동시키고, 포밍기(90)의 제2실린더(98)는 제2포밍기(92)의 회전바디(93)를 제1포밍기(91)의 회전바디(93)와 근접하게 직선 이동시킨다. 제1포밍기(91)의 포밍 바디(95)와, 제2포밍기(92)의 안착 바디(96)는 서로 마주볼 수 있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4)의 일부 특히 도입부(4a)을 우측으로 포밍할 수 있다.
분리막(4)의 일부가 포밍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밍기(90)의 제1실린더(97)는 제1포밍기(91)의 회전바디(93)가 제2포밍기(92)의 회전바디(93)와 멀어지게 직선 이동시키고, 포밍기(90)의 제2실린더(98)는 제2포밍기(92)의 회전바디(93)가 제1포밍기(91)의 회전바디(93)와 멀어지게 직선 이동시키며, 제1포밍기(91)의 포밍 바디(95)와, 제2포밍기(92)의 안착 바디(96)는 분리막(4)과 이격될 수 있다.
제1포밍기(91)의 모터(94)는 제1포밍기(91)의 안착 바디(96)가 분리막(4)을 마주보도록 제1포밍기(91)의 회전바디(93)를 회전시키고, 제2포밍기(92)의 모터(94)는 제2포밍기(92)의 포밍 바디(95)가 분리막(4)을 마주보도록 제2포밍기(92)의 회전바디(93)를 회전시킨다.
한편, 적층 테이블 이동기구(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테이블(40)를 제2위치(P2)로 이동시킬 수 있고, 피딩 롤러(100)는 분리막(4)를 공급하여, 적층 테이블(40)의 이동시 발생될 수 있는 분리막(4) 특히 피딩부(4c)의 텐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어퍼 승강기구(120)는 적층 테이블(40)이 피딩 롤러(100)의 하측에 도달되기 전에 포밍기(90)와 피딩 롤러(100)를 상승시킬 수 있고, 적층 테이블(40)의 이동시 피딩 롤러(100)와 스텍 셀(1)의 간섭은 최소화된다.
적층 테이블(40)를 제2위치(P2)로 이동 완료되면, 제1로봇(7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얼라인 테이블(41)의 양극전극(2)을 적층 테이블(40)의 상측 즉, 적층부(4b)에 올리고, 양극 매거진(43)의 양극전극(2)을 양극 얼라인 테이블(41)에 올릴 수 있다. 제1로봇(780)은 양극전극(2)을 ?ケ? 후, 양극 매거진(43)의 상측으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포밍기(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밍기(90)의 제1실린더(97)는 제1포밍기(91)의 회전바디(93)를 제2포밍기(92)의 회전바디(93)와 근접하게 직선 이동시키고, 포밍기(90)의 제2실린더(98)는 제2포밍기(92)의 회전바디(93)를 제1포밍기(91)의 회전바디(93)와 근접하게 직선 이동시킨다. 제1포밍기(91)의 안착 바디(96)와, 제2포밍기(92)의 포밍 바디(95)는 서로 마주볼 수 있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4)의 일부 특히 도입부(4a)을 좌측으로 포밍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막(4)의 일부가 포밍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밍기(90)의 제1실린더(97)는 제1포밍기(91)의 회전바디(93)가 제2포밍기(92)의 회전바디(93)와 멀어지게 직선 이동시키고, 포밍기(90)의 제2실린더(98)는 제2포밍기(92)의 회전바디(93)가 제1포밍기(91)의 회전바디(93)와 멀어지게 직선 이동시키며, 제1포밍기(91)의 안착 바디(96)와, 제2포밍기(92)의 포밍 바디(95)는 분리막(4)과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부(4b)와 양극전극(3)은 적층 테이블(40)에 올려지고, 로어 승강기구(5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테이블(40)을 설정높이(즉, 적층부(4b)의 두께와 양극전극(3)의 두께의 합)만큼 하강시킬 수 있다.
적층 테이블(40)의 하강이 완료되면, 적층 테이블 이동기구(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테이블(40)를 제2위치(P2)에서 제1위치(P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포밍기(91)의 모터(94)는 제1포밍기(91)의 포밍 바디(95)가 분리막(4)을 마주보도록 제1포밍기(91)의 회전바디(93)를 회전시키고, 제2포밍기(92)의 모터(94)는 제2포밍기(92)의 안착 바디(96)가 분리막(4)을 마주보도록 제2포밍기(92)의 회전바디(93)를 회전시킨다.
적층 테이블(40)의 이동시, 피딩 롤러(100)는 분리막(4)를 공급하여, 적층 테이블(40)의 이동시 발생될 수 있는 분리막(4) 특히 피딩부(4c)의 텐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어퍼 승강기구(120)는 적층 테이블(40)이 피딩 롤러(100)의 우측 하부로 이동되면, 포밍기(90)와 피딩 롤러(1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적층 테이블(40)이 제2위치(P2)로 이동 완료되면, 음극전극(3)와 양극전극(2)이 분리막(4)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는 1사이클은 완료되고,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10)은 도 4 내지 도 11과 같은 사이클을 반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이 포밍기에 의해 포딩된 후, 스텍 셀(1)을 형성하는 과정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밍기(90)는 분리막(4) 중 일부(7a,7b)를 미리 포밍할 수 있고,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막(4)의 라인(7)을 잡아주어, 라인(7)에 도 3과 같은 주름(8, 도 3 참조)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포밍기(90)는 제1포밍기(90)의 포밍 바디(95)가 제2포밍기(90)의 안착 바디(96)를 향하고, 제1포밍기(90)의 포밍 바디(95)와 제2포밍기(90)의 안착 바디(96)가 분리막(4)에 가압할 때, 분리막(4)에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우측 포밍부(7a)를 형성할 수 있다.
우측 포밍부(7a)는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텍 셀(1)의 적층 시, 분리막(4)의 우측에 위치하는 라인(7) 즉 우측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포밍기(90)는 제2포밍기(90)의 포밍 바디(95)가 제1포밍기(90)의 안착 바디(96)을 향하고, 제2포밍기(90)의 포밍 바디(95)와 제1포밍기(90)의 안착 바디(96)가 분리막(4)에 가압할 때, 분리막(4)에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좌측 포밍부(7b)를 형성할 수 있다.
좌측 포밍부(7b)는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텍 셀(1)의 적층 시, 분리막(4)의 좌측에 위치하는 라인(7) 즉 좌측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포밍기(90)는 분리막(4)이 접힐 라인(7)을 미리 잡아주어, 적층부(4b)가 스텍 셀(1)의 양측에서 접히도록 유도할 수 있고, 분리막(4)의 라인(7)에서의 주름 발생은 개선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스텍 셀
2: 양극전극
3: 음극전극 4: 분리막
10: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40: 적층 테이블
41: 양극 얼라인 테이블 42: 음극 얼라인 테이블
70: 제1로봇 80: 제2로봇
90: 포밍기 100: 피딩 롤러
3: 음극전극 4: 분리막
10: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40: 적층 테이블
41: 양극 얼라인 테이블 42: 음극 얼라인 테이블
70: 제1로봇 80: 제2로봇
90: 포밍기 100: 피딩 롤러
Claims (16)
- 양극전극과 음극전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배치되는 스텍 셀을 제조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에 있어서,
적층 테이블;
분리막을 포밍하는 포밍기;
상기 포밍기에 의해 포밍된 분리막을 텐션 컷하고, 상기 적층 테이블 위로 정량 공급하는 피딩 롤러;
양극전극을 상기 적층 테이블 위로 공급된 분리막에 올리는 제1로봇; 및
음극전극을 상기 적층 테이블 위로 공급된 분리막에 올리는 제2로봇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기는
상기 분리막의 일면 옆에 배치된 제1포밍기 및
상기 분리막의 타면 옆에 배치된 제2포밍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기는
상기 제1포밍기를 상기 분리막의 이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 및
상기 제2포밍기를 상기 분리막의 이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밍기와 제2포밍기의 각각은
회전 바디;
상기 회전 바디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회전 바디의 일면에 배치되고 돌출부가 형성된 포밍 바디; 및
상기 회전 바디의 타면에 배치된 안착 바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기는
상기 제1포밍기의 포밍 바디 및 상기 제2포밍기의 안착 바디가 상기 분리막을 향하고, 상기 제1포밍기의 포밍 바디가 상기 분리막에 접촉되는 제1모드와,
상기 제1포밍기의 안착 바디 및 상기 제2포밍기의 포밍 바디가 상기 분리막을 향하고, 상기 제2포밍기의 포밍 바디가 상기 분리막에 접촉되는 제2모드를 실시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전극이 올려지는 양극 얼라인 테이블;
상기 음극전극이 올려지는 음극 얼라인 테이블; 및
상기 적층 테이블을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동작과 상기 적층 테이블을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동작을 교대로 실시하는 적층 테이블 이동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양극 얼라인 테이블과 음극 얼라인 테이블 중 상기 음극 얼라인 테이블에 더 근접하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양극 얼라인 테이블과 음극 얼라인 테이블 중 상기 양극 얼라인 테이블에 더 근접한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와 제2동작시, 상기 피딩 롤러는 구동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롤러는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사이 위에 배치된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테이블을 승강시키는 로어 승강기구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승강기구는 상기 양극전극 또는 음극전극의 두께와, 상기 분리막의 두께의 합 만큼씩 상기 적층 테이블을 하강시키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기와 피딩 롤러를 승강시키는 어퍼 승강기구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양극전극과 음극전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배치되는 스텍 셀을 제조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에 있어서,
적층 테이블;
분리막을 텐션 컷하고, 상기 적층 테이블 위로 정량 공급하는 피딩 롤러;
양극전극을 상기 적층 테이블 위로 공급된 분리막에 올리는 제1로봇; 및
음극전극을 상기 적층 테이블 위로 공급된 분리막에 올리는 제2로봇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전극이 올려지는 양극 얼라인 테이블;
상기 음극전극이 올려지는 음극 얼라인 테이블; 및
상기 적층 테이블을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동작과 상기 적층 테이블을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동작을 교대로 실시하는 적층 테이블 이동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양극 얼라인 테이블과 음극 얼라인 테이블 중 상기 음극 얼라인 테이블에 더 근접하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양극 얼라인 테이블과 음극 얼라인 테이블 중 상기 양극 얼라인 테이블에 더 근접한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와 제2동작시, 상기 피딩 롤러는 구동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롤러는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사이 위에 배치된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롤러를 승강시키는 어퍼 승강기구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9372A KR20230027505A (ko) | 2021-08-19 | 2021-08-19 |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PCT/KR2021/013961 WO2023022293A1 (ko) | 2021-08-19 | 2021-10-12 |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EP21954339.4A EP4391127A1 (en) | 2021-08-19 | 2021-10-12 | Secondary cell stack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9372A KR20230027505A (ko) | 2021-08-19 | 2021-08-19 |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7505A true KR20230027505A (ko) | 2023-02-28 |
Family
ID=8523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9372A KR20230027505A (ko) | 2021-08-19 | 2021-08-19 |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4391127A1 (ko) |
KR (1) | KR20230027505A (ko) |
WO (1) | WO2023022293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2034B1 (ko) | 2010-07-14 | 2013-05-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조립체의 폴딩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06693B2 (ja) * | 2013-02-26 | 2015-11-10 |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 積層型電池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
JP6632823B2 (ja) * | 2015-07-03 | 2020-01-22 | 株式会社京都製作所 | 積層型電池の製造装置 |
KR101959082B1 (ko) * | 2018-09-07 | 2019-03-18 | 조기봉 | 이차전지의 셀 스택 고속 제조장치 |
KR102430866B1 (ko) * | 2019-01-17 | 2022-08-1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
KR102256378B1 (ko) * | 2019-09-11 | 2021-05-27 |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 이차전지의 셀 스택 제조 시스템 및 방법 |
-
2021
- 2021-08-19 KR KR1020210109372A patent/KR20230027505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10-12 WO PCT/KR2021/013961 patent/WO202302229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0-12 EP EP21954339.4A patent/EP4391127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2034B1 (ko) | 2010-07-14 | 2013-05-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조립체의 폴딩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022293A1 (ko) | 2023-02-23 |
EP4391127A1 (en) | 2024-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585898B (zh) | 二次电池的电池组制造系统 | |
US1110149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 |
KR101956763B1 (ko) | 이차전지 셀 제조 시스템의 사행제어장치 | |
US20120208066A1 (en) |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 electrode stack | |
KR101906983B1 (ko) |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해 제조한 전극 조립체 | |
KR20150087208A (ko) | 전극 스택을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20090030175A (ko) | 이차전지용 스택 제조장치 | |
KR102333754B1 (ko)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스윙 모듈 | |
KR20230027154A (ko) |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
KR101963739B1 (ko) | 적층형 2차전지의 분리막 마감장치 | |
KR20180133235A (ko) | 전극 조립체 제조 시스템 및 방법 | |
KR102426466B1 (ko) | 이차전지 제조용 분리막 장력유지장치 | |
KR102370758B1 (ko) | 이차전지용 셀스택 제조장치의 분리막 공급시스템 | |
KR20200113579A (ko) | 이차전지의 셀 스택 적층 장치 및 방법 | |
KR20200099433A (ko) |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 | |
CN114531926A (zh) | 用于制造二次电池的自动电极供应设备和使用其的自动电极供应方法 | |
KR20230027505A (ko) | 이차전지 스텍킹 장비 | |
KR102586960B1 (ko) | 이차전지 전극조립체의 단면 전극 스택용 분리막 핸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 |
KR102588808B1 (ko) | 2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생산 시스템 | |
KR102319010B1 (ko) | 분리막 인출장치 | |
KR20220119728A (ko) | 이차전지의 전극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CN212277283U (zh) | 电芯及电芯叠片装置 | |
CN114583285A (zh) | 一种锂电池高速双工位叠片机 | |
CN113678279A (zh) | 二次电池的电极开槽装置、通过电极开槽装置制造的二次电池的电极、和二次电池 | |
KR20230135936A (ko) | 이차전지의 스윙형 셀 스택 제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