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979A -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979A
KR20230026979A KR1020227017338A KR20227017338A KR20230026979A KR 20230026979 A KR20230026979 A KR 20230026979A KR 1020227017338 A KR1020227017338 A KR 1020227017338A KR 20227017338 A KR20227017338 A KR 20227017338A KR 20230026979 A KR20230026979 A KR 20230026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light emitting
display
signal transmiss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오 황
위댜오 청
웨이윈 황
웨 룽
위안유 추
Original Assignee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청두 비오이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청두 비오이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6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09F9/3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be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01)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1측과 제1측에 상대한 제2측을 가지며,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10)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영역(1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을 포함하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은 제1 발광 소자(411)를 포함하며,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은 제1측으로부터의 빛의 적어도 부분이 제2측으로 투과되는 것을 허용하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은 제1 픽셀 회로(412)를 포함하며, 제1 발광 소자(411)는 제1 픽셀 회로(4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기판(01)에는 신호 전송 라인(110)과 제1 더미 배선(121)이 설치되며, 제1 발광 소자(411)는 신호 전송 라인(110)을 통해 제1 픽셀 회로(412)에 연결되며, 제1 더미 배선(121)의 적어도 부분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에 위치하며, 또한 신호 전송 라인(110) 및 제1 발광 소자(411)와 절연되며, 제1 더미 배선(121)이 디스플레이 기판(01)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과 신호 전송 라인(110)이 디스플레이 기판(01)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의 적어도 부분은 어긋난다.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은 제1측에서 제2측으로 투과되는 빛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본 출원은 2020년 6월 22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제202010574224.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중국 특허출원의 전문은 도입방식으로 병합되어 본 출원의 일부로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소자는 시약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높으며, 응답 속도가 빠르며, 색역이 넓으며, 스크린 점유비가 높으며, 자발광 및 경박 등의 특징을 갖는다. 상술한 특징 및 우세로 인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소자는 점점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또한 휴대폰, 디스플레이, 노트북, 스마트 워치, 디지털 카메라, 계측기 및 플렉시블 웨어러블 장치 등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진일보 발전함에 따라, 높은 스크린 점유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 사람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게 되었고, 풀 스크린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래의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 추세이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하며,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1측과 상기 제1측에 상대한 제2측을 가지며,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부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1측으로부터의 빛의 적어도 부분이 상기 제2측으로 투과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픽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픽셀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전송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배선이 설치되며,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의 적어도 부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는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픽셀 회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더미 배선의 적어도 부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신호 전송 라인 및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절연되며, 상기 신호 전송 라인과 상기 제1 더미 배선은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더미 배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과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은 적어도 부분이 어긋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제1 더미 배선과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은 동일층에 위치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제1 더미 배선과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은 모두 직선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서로 평행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배선은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또한 제1 전압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더미 배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더미 배선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전압 신호를 수신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 중의 적어도 하나는 비아 구조를 통해 상기 제1 전압 신호를 제공하는 제1 전원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제2 더미 배선과 상기 제1 더미 배선은 동일층에 위치하며, 또는, 상기 제2 더미 배선과 상기 제1 더미 배선은 상이한 막 층에 위치하며, 상기 상이한 막 층은 비아가 설치되는 않은 위치에서 서로 절연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전송 라인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신호 전송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신호 전송 라인과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은 배선 어레이를 구성하며, 하나의 신호 전송 라인은 상기 배선 어레이 중의 하나의 라인 유닛으로 되며, 하나의 제1 더미 배선은 상기 배선 어레이 중의 하나의 라인 유닛으로 되며, 상기 배선 어레이 중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 유닛과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인접한 라인 유닛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중간 영역과 상기 제1 방향 상에서 상기 중간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축은 상기 중간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하며,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이 상기 중간 영역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비는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이 상기 주변 영역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비보다 크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신호 전송 라인, 상기 제1 더미 배선과 상기 제2 더미 배선은 각각 투명 도전 배선을 포함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제1 더미 배선이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 상에서의 너비와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이 상기 제2 방향 상에서의 너비는 동일하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은 적어도 상기 신호 전송 라인과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양극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층의 비아 구조를 관통하는 것을 통해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비아 구조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배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은 중첩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제1 픽셀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제1극과 제2극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극 또는 제2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은 소스 드레인 금속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극과 제2극은 상기 소스 드레인 금속층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양극은 상기 소스 드레인 금속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 전송 라인과 상기 제1 더미 배선이 위치하는 막 층은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양극과 상기 소스 드레인 금속층 사이에 위치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부분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발광 소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2 픽셀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상기 제2 픽셀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3 발광 소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3 픽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발광 소자는 상기 제3 픽셀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2 발광 소자와 상기 제3 발광 소자는 각각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는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발광 소자는 복수개의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발광 소자는 복수개의 제3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는 상기 복수개의 제2 발광 소자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복수개의 제2 발광 소자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는 상기 복수개의 제3 발광 소자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보다 작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전송 라인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배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의 면적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비는 70%~95%이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공하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개시의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판을 포함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2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측으로부터의 빛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 상에서의 정투영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부분이 중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 실시예의 도면들을 간단히 소개하기로 하며,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인 것으로, 본 개시에 대한 한정이 아닌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발광 소자와 픽셀 회로의 배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 예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영역(REG1)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부분 영역(REG2)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에 접하는 부분의 일 예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 기판의 투광 영역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적층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분 영역(REG3)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층 구조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방안 및 우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아래에 본 개시의 실시예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설명된 본 개시의 실시예를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은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기술용어 또는 과학용어는 본 개시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통상적 의미여야 한다. 본 개시에 사용된 “제1”,“제2” 및 유사한 단어는 단지 상이한 구성 부분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며, 임의의 순서, 수량 또는 중요성을 표시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하나", "일" 또는 "해당" 등 단어는 적어도 수량의 제한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포괄”, “포함" 등 유사한 단어는 해당 단어의 앞에 출현한 요소나 물품이 해당 단어의 뒤에 출현한 요소나 물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나, 기타 요소 또는 물품을 배제하지 않는다. "접속" 또는 "연결" 등 유사한 단어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 연결에 한정될 것이 아니라,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전기적으로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상", "하", "좌", "우" 등은 단지 상대적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설명되는 대상의 절대 위치가 변경된 후, 상대 위치 관계는 또한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현재의 스크린 하부 센서(예컨대, 카매라)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기판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기판의 스크린 하부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을 높이기 위해, 스크린 하부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발광 소자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PPI)는 기타 디스플레이 기판의 기타 표시 영역의 발광 소자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보다 작은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기판상 상이한 영역의 발광 소자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는 상이하기에, 상이한 영역의 발광 소자 및 상응하는 픽셀 회로의 설치 방식도 상이하게 된다. 예컨대, 스크린 하부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발광 소자는 기타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응하는 픽셀 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스크린 하부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배선이 균일하게 배열되기 여렵게 된다. 이는 스크린 하부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에 영향을 미치는바, 예컨대, 해당 영역을 투과하는 빛의 균일성을 저하시키며, 더 나아가 스크린 하부 센서가 빛을 수신할 때 반사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이미지 촬영, 거리 감지, 빛 강도 감지 등의 조작을 정확하게 실현할 수 없으며,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본 개시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하며,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1측과 제1측에 상대한 제2측을 가지며,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부분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둘러싸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측으로부터의 빛의 적어도 부분이 제2측으로 투과되는 것을 허용하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픽셀 회로를 포함하며, 제1 발광 소자는 제1 픽셀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기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전송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배선이 설치되며, 신호 전송 라인의 적어도 부분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하며, 제1 발광 소자는 신호 전송 라인을 통해 제1 픽셀 회로에 연결되며, 제1 더미 배선의 적어도 부분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위치하며, 또한 신호 전송 라인 및 제1 발광 소자와 절연되며, 신호 전송 라인과 제1 더미 배선은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1 더미 배선이 디스플레이 기판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과 신호 전송 라인이 디스플레이 기판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의 적어도 부분은 어긋난다.
본 개시의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배선 설계를 최적화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을 개선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투과하는 빛의 균일성과 일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스크린 하부 센서(예컨대, 카메라)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개시의 상술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은 스크린 하부 센서가 빛을 수신할 때 가능하게 나타나는 반사 등과 같은 문제를 감소하거나 피면함으로써, 스크린 하부 센서가 이미지 촬영, 거리 감지, 빛 강도 감지 등의 조작을 정확하게 실현하는데 유리하며, 더 나아가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아래에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상이한 도면에서의 상이한 도면 부호는 이미 설명된 동일한 소자를 가리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01)은 디스플레이 영역(10)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영역(1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은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의 적어도 부분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을 둘러싼다(예컨대, 완전히 둘러싼다).
예컨대,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01)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1측과 상기 제1측에 상대한 제2측을 가진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은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정면측(즉, 도 1에 도시된 평면)이고, 제2측은 디스플레이 기판의 뒷측이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제2측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센서를 설치할 수 있으며, 해당 센서는 예컨대 이미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이다. 해당 센서는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제1측으로부터의 빛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이미지 촬영, 거리 감지, 빛 강도 감지 등의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 개략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발광 소자와 픽셀 회로의 배열 개략도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발광 소자와 픽셀 회로의 배열 방식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2b의 부호가 지시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은 단지 발광 소자와 픽셀 회로의 대략적인 위치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발광 소자와 픽셀 회로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체적인 경계 등을 표시하지 않으며; 또한, 도 2b 중의 직사각형 프레임은 단지 발광 소자와 픽셀 회로의 배열 방식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발광 소자와 픽셀 회로의 실제 수량을 나타내지 않으며, 발광 소자와 픽셀 회로의 구체적인 구조 등은 해당 영역에서의 일반 설계를 참조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의 적어도 부분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을 둘러싼다(예컨대, 완전히 둘러싼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의 형상은 직사각일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의 형상은 모두 직사각형이거나 또는 기타 적용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 예시의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부분 영역(REG1)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부분 영역(REG2)의 확대도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발광 소자와 제1 픽셀 회로 간의 연결 관계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5에서는 예컨대 발광 소자, 픽셀 회로, 신호 전송 라인 등 구조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 2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은 적어도 하나(예컨대,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411)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명확하게 하기 위해, 관련 도면에서는 제1 발광 소자(411)의 양극 구조를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제1 발광 소자(411)를 도시하였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은 어레이 배열의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411)를 포함하며, 제1 발광 소자(411)는 광선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는 픽셀 회로가 없으며, 제1 발광 소자(411)를 구동하기 위한 픽셀 회로(즉, 제1 픽셀 회로(412)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에 설치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의 금속 피복 면적을 저감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의 투광율을 향상시킨다. 제1 발광 소자(411)를 구동하기 위한 픽셀 회로에 대해서는 하문에서 설명하기로 하며,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예컨대,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411)는 복수개의 발광 유닛 중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발광 유닛은 어레이 배열된다. 예컨대, 각 발광 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4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411)는 동일한 컬러의 빛 또는 상이한 컬러의 빛을 방출할 수 있으며, 실제 수요에 따라 백색광, 적색광, 청색광, 녹색광 등을 방출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411)의 배열 방식은 GGRB, RGBG, RGB 등과 같은 일반적인 픽셀 유닛 배열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은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제1측으로부터의 빛의 적어도 부분이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제2측으로 투과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제2측, 및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센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해당 센서는 제1측으로부터의 빛을 수신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미지 촬영, 거리 감지, 빛 강도 감지 등의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은 적어도 하나(예컨대, 복수개)의 제1 픽셀 회로(412)를 포함하며, 제1 발광 소자(411)는 제1 픽셀 회로(4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제1 발광 소자(411)와 제1 픽셀 회로(412)는 일일이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1 픽셀 회로(412)는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411)를 일일이 대응하여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하나의 제1 픽셀 회로(412)는 하나의 대응하는 제1 발광 소자(411)를 구동하며, 상이한 픽셀 회로(412)는 상이한 제1 발광 소자(411)를 구동한다. 예컨대, 복수개의 제1 픽셀 회로(412)는 복수개의 제1 픽셀 구동 유닛 중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직사각형 프레임(부호 412가 지시하는 흑색 베젤 흰색 충전 영역)은 제1 픽셀 구동 유닛을 나타내며, 이러한 제1 픽셀 구동 유닛은 어레이 배열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3, 도 4와 도 5에서, 제1 픽셀 구동 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픽셀 회로(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중의 발광 유닛이 하나의 제1 발광 소자(411)를 포함할 때, 해당 제1 픽셀 구동 유닛은 또한 하나의 제1 픽셀 회로(412)를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중의 발광 유닛이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411)를 포함할 때, 해당 제1 픽셀 구동 유닛은 또한 복수개의 제1 픽셀 회로(412)를 포함하며, 각 발광 유닛 중의 제1 발광 소자(411)의 수는 예컨대 각 제1 픽셀 구동 유닛 중의 제1 픽셀 회로(412)의 수와 같으며, 따라서 일일이 대응하여 구동하는 것을 실현한다.
예컨대,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411)가 어레이 배열되면, 복수개의 제1 픽셀 회로(412)도 어레이 배열된다. 여기서, "어레이 배열"은 복수개의 소자가 한세트이고 또한 복수 세트의 소자가 어레이 배열되는 것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소자 자체가 어레이 배열되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일부 예시에서, 도 3,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4개의 제1 발광 소자(411)는 한세트이고, 복수 세트의 제1 발광 소자(411)는 어레이 배열되며, 상응하게는, 각 4개의 제1 픽셀 회로(412)는 한세트이고, 복수 세트의 제1 픽셀 회로(412)는 어레이 배열되며, 이 때, 각 제1 픽셀 구동 유닛에는 4개의 제1 픽셀 회로(412)가 포함된다.
예컨대, 도 3,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판(01)에는 적어도 하나(예컨대, 복수개)의 신호 전송 라인(110)과 적어도 하나(예컨대,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121)이 설치된다. 신호 전송 라인(110)의 적어도 부분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에 위치하며, 제1 발광 소자(411)는 신호 전송 라인(110)을 통해 제1 픽셀 회로(412)에 연결된다. 예컨대, 신호 전송 라인(110)의 제1단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에 위치하고 또한 제1 발광 소자(4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신호 전송 라인(110)의 제2단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 내에 위치하고 또한 제1 픽셀 회로(4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제1 발광 소자(411)와 제1 픽셀 회로(412) 간의 전기적으로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더미 배선(121)의 적어도 부분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에 위치하며,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에만 위치할 수 있며,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 내로 연장되고, 또한 제1 더미 배선(121)은 신호 전송 라인(110) 및 제1 발광 소자(411)와 절연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전송 라인(110)과 제1 더미 배선(121)은 각각 제1 방향(R1)을 따라 연장되며, 제1 더미 배선(121)이 디스플레이 기판(01)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과 신호 전송 라인(110)이 디스플레이 기판(01)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의 적어도 부분은 어긋난다. 예컨대, 제1 더미 배선(121)이 디스플레이 기판(01)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과 신호 전송 라인(110)이 디스플레이 기판(01)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은 중첩되는 부분이 없으며, 따라서 제1 더미 배선(121)과 신호 전송 라인(110)이 각각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상이한 영역을 커버할 수 있게 되어, 더 나아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배선 배치의 균일성과 일치성을 향상시키며,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투광율을 개선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투과하는 빛의 균일성과 일치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에칭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판의 투광 영역(LR)을 예로 하면, 투광 영역(LR) 중의 배선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불균일기에, 해당 투광 영역(LR)을 투과하는 빛의 균일성과 일치성은 저하되고, 더 나아가 해당 투광 영역(LR)의 투광 효과는 심각한 악영향을 받게 된다. 예컨대, 해당 투광 영역(LR)에 대응하여 설치한 스크린 하부 센서는 빛을 수신할 때 반사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따라서 이미지 촬영, 거리 감지, 빛 강도 감지 등의 조작을 정확하게 실현하기 어렵다.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판의 투광 영역(LR)에 비해, 본 개시의 상술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01)은 디스플레이 기판(01)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 신호 전송 라인(110)과 중첩되지 않는 제1 더미 배선(121)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배선 배치의 균일성과 일치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같이 배선 설계를 최적화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투과하는 빛의 균일성과 일치성을 향상시키며, 더 나아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투광율을 개선한다. 예컨대, 해당 스크린 하부 센서(예컨대, 카메라)가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 설치될 때, 본 개시의 상술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01)은 스크린 하부 센서가 빛을 수신할 때 가능하게 나타나는 반사 등과 같은 문제를 감소하거나 피면함으로써, 스크린 하부 센서가 이미지 촬영, 거리 감지, 빛 강도 감지 등의 조작을 정확하게 실현하는데 유리하며, 더 나아가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01)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서 신호 전송 라인(110)이 디스플레이 기판(01)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 및 제1 더미 배선(121)이 디스플레이 기판(01)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의 면적과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의 면적비는 70%~95%이며, 더 나아가 예컨대 80%~90%이며, 예컨대 75% 또는 85%일 수 있다. 즉, 신호 전송 라인(121)과 제1 더미 배선(121) 전체는 디스플레이 기판(01)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총면적의 70%~95%를 커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진일보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배선 배치의 균일성과 일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투과하는 빛의 균일성과 일치성을 향상시키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투광율을 개선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3,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더미 배선(121)과 신호 전송 라인(110)은 동일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하고,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한다.
본 개시의 기타 일부 실시예에서, 실제 수요에 따라, 예컨대, 신호 전송 라인 상의 신호 전송 부하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진일보하여 제조 공정을 간략화하는 등 상이한 수요에 기초하여, 제1 더미 배선과 신호 전송 라인은 상이한 층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일부분 제1 더미 배선을 신호 전송 라인과 동일한 층에 설치하고, 또 다른 일부분 제1 더미 배선을 신호 전송 라인과 상이한 층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설명에서, "동일층"에 위치하는 것은 동일한 막 층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예컨대, 동일한 막 층에 위치하는 배선은 동일한 공정에서 제조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한번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필요되는 배선을 형성한다. 예컨대,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01)이 베이스 기판을 포함할 때, 베이스 기판에 수직되는 방향 상에서, 동일한 막 층에 위치하는 배선으로부터 베이스 기판 까지의 거리는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다. 즉, 해당 막 층 중의 배선으로부터 베이스 기판 까지의 원근의 정도는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다. 하문의 설명에서, "동일층"에 위치하는 것의 의미는 상문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설명에서, "상이층" 에 위치하는 것은 상이한 막 층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이러한 상이한 막 층은 비아가 설치되는 않은 위치에서 서로 절연된다. 예컨대, 상이한 막 층에 위치하는 배선으로 하여금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필요로 할 때, 비아를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상이한 막 층에 위치하는 배선으로 하여금 전기적으로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상이한 막 층은 상이한 공정에서 제조한 것이며, 예컨대, 먼저 제1 공정을 이용하여 이러한 상이한 막 층 중의 하나의 막 층을 제조한 후, 제2 공정을 이용하여 이러한 상이한 막 층 중의 또 다른 막 층을 제조한다. 예컨대, 제1 공정을 실시한 후 제2 공정을 실시하기 전에, 또한 제3 공정을 이용하여 절연층을 제조할 수 있으며, 해당 절연층은 상이한 막 층 사이에 위치하여, 상이한 막 층으로 하여금 비아가 설치되는 않은 위치에서 서로 절연되게 한다. 예컨대, 제1 공정, 제2 공정과 제3 공정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01)이 베이스 기판을 포함할 때, 베이스 기판에 수직되는 방향 상에서, 상이한 막 층로부터 베이스 기판 까지의 거리는 상이하다. 즉, 해당 막 층 중에서, 하나의 막 층으로부터 베이스 기판까지의 거리는 비교적 가깝고, 또 다른 막 층으로부터 베이스 기판까지의 거리는 비교적 멀다. 하문의 설명에서, "상이층"에 위치하는 것의 의미는 상문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3,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더미 배선(121)과 신호 전송 라인(110)은 모두 직선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서로 평행됨으로써, 진일보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서의 제1 더미 배선(121)과 신호 전송 라인(110)의 배치의 균일성과 일치성에 유리하며, 또한 진일보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의 공정 요구를 간략화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제조에 유리하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기타 일부 실시예에서, 실제 수요에 따라,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발광 소자 또는 기타 구조, 소자의 배치 설계에 기초하여, 제1 더미 배선(121) 또는 신호 전송 라인(110)은 곡선형, 접선형 또는 기타 적합한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또한 제1 더미 배선(121)의 연장선과 신호 전송 라인(110)의 연장선 간에 서로 교차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더미 배선(121)은 제1 전압 신호(예컨대, 하이 레벨 신호 또는 로우 레벨 신호, 해당 로우 레벨 신호는 예컨대 접지 신호임)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플로트 상태에 있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더미 배선(121)이 하이 레벨 신호 또는 로우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예로 하면, 제1 더미 배선(121)은 신호 전송 라인(110) 사이의 신호 크로스토크를 감소하거나 피면함으로써, 회로 환경의 균일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신호 전송 라인(110)의 신호 전송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121)은 제1 방향(R1)과 상이한 제2 방향(R2)을 따라 배열되며 또한 제1 전압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기판은 적어도 하나(예컨대, 복수개)의 제2 더미 배선(122)을 더 포함하며, 제2 더미 배선(122)은 제2 방향(R2)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12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1 전압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121) 사이의 전기적으로 연결 효과를 개선할 수 있으며, 진일보하여 회로 환경의 균일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방향(R1)과 제2 방향(R2)의 협각은 예컨대 70° 내지 90°일 수 있으며, 또한 70°와 90°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 방향(R1)과 제2 방향(R2)의 협각은 70°, 75°, 85°, 90° 또는 80°등이며, 해당 협각의 구체적인 수치는 실제 경우에 따라 설정되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121) 중의 적어도 하나는 비아 구조를 통해 제1 전압 신호를 제공하는 제1 전원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해당 제1 전원 라인은 제1 픽셀 회로(412)에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1 전압 신호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전원 라인일 수 있으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기판(01)의 배선 배치를 간략화하고, 디스플레이 기판(01)의 구조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에 접하는 부분의 일 예시의 개략도이며,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부분은 도 3에 도시된 부분 영역(REG4) 중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121) 중 제2 방향(R2) 상에서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에지에 근접하는 하나의 제1 더미 배선(121A)은 비아 구조(H3)을 통해 제1 전원 라인(LVDD)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전압 신호를 수신하며, 또한 해당 제1 더미 배선(121A)과 연결된 제2 더미 배선(122A)을 통해 수신한 제1 전압 신호를 기타 제1 더미 배선(121A) 및/또는 제2 더미 배선(122A)으로 전송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6에서 제1 전원 라인(LVDD)의 형상, 위치, 제1 더미 배선(121A)과의 오버랩 면적 등은 단지 예시적 설명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전원 라인(LVDD)의 구체적인 형상, 설치 위치에 등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원 라인(LVDD)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더미 배선(121A)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러나, 본 개시의 기타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원 라인(LVDD)은 또한 2개, 3개 또는 4개 등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12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원 라인(LVDD)과 제1 더미 배선(121A)의 전기적으로 연결을 실현하기 위한 비아 구조(H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비아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나, 본 개시의 기타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원 라인(LVDD)과 제1 더미 배선(121A)의 전기적으로 연결을 실현하기 위한 비아 구조(H3)는 2개, 3개 또는 4개 등 복수개의 비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더미 배선(122)과 제1 더미 배선(121)은 동일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조 공정을 간략화하고, 제조 비용을 저감하며; 또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더미 배선(122)과 제1 더미 배선(121)은 상이한 층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제2 더미 배선(122)과 제1 더미 배선(121)은 상이한 막 층에 위치하며, 상이한 막 층은 비아가 설치되는 않은 위치에서 서로 절연됨으로써, 배선 간의 신호 크로스토크를 감소하거나 피면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 3,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121)은 제2 방향(R2)을 따라 배열되고, 복수개의 신호 전송 라인(110)은 제2 방향(R2)을 따라 배열되며, 복수개의 신호 전송 라인(110)과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121)은 배선 어레이를 구성하며, 하나의 신호 전송 라인(110)은 배선 어레이 중의 하나의 라인 유닛(140)으로 되며, 하나의 제1 더미 배선(121)은 배선 어레이 중의 하나의 라인 유닛(140)으로 되며, 배선 어레이 중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 유닛(140)과 제2 방향(R2) 상에서 인접한 라인 유닛(140)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즉,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121)과 복수개의 신호 전송 라인(110)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배선(121) 또는 신호 전송 라인(110)과 제2 방향(R2) 상에서 인접(예컨대, 제2 방향(R2) 상에서 양측에 위치함)한 2개의 배선(이 2개의 배선은 제1 더미 배선(121) 및/또는 신호 전송 라인(110)일 수 있음)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따라서, 진일보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배선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진일보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배선 배치의 균일성과 일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투과하는 빛의 균일성과 일치성을 향상시키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투광율을 개선한다.
예컨대, 도 3,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에서, 각 신호 전송 라인(110)과 제2 방향(R2) 상에서 인접한 2개의 배선(이 2개의 배선은 제1 더미 배선(121) 및/또는 신호 전송 라인(110)일 수 있음)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며,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배선 배치의 균일성과 일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회로 환경의 균일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신호 전송 라인(110)의 신호 전송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를 결합하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은 중간 영역(1101)과 제1 방향(R1) 상에서 중간 영역(1101)의 양측(예컨대, 제1 방향(R1) 상에서 중간 영역(1101)을 완전히 둘러쌈)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1102)을 포함하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중심축(L11)은 중간 영역(1101) 내에 위치하고, 주변 영역(1102)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에 인접하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121)이 중간 영역(1101)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비는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121)이 주변 영역(1102)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비보다 크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에서 주변 영역(1102)으로부터 중간 영역(1101)의 방향(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이 제1 방향(R1) 상에의 에지로부터 중심축(L11)까지의 방향)에 따라,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121)의 단위 면적 분포비는 점점 커진다. 복수개의 신호 전송 라인(110)이 중간 영역(1101)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비는 복수개의 신호 전송 라인(110)이 주변 영역(1102)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비보다 작으므로,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에서 주변 영역(1102)으로부터 중간 영역(1101)의 방향에서, 복수개의 신호 전송 라인(110)의 단위 면적 분포비는 점점 작아지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01)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서의 제1 더미 배선(121)의 분포 방식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서의 신호 전송 라인(110)의 분포 방식과 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배선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진일보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배선 배치의 균일성과 일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투과하는 빛의 균일성과 일치성을 향상시키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투광율을 개선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단위 면적 분포비"는 배선이 단위 면적 내에서의 분포 면적을 가리키며, 즉, 단위 면적 분포비가 더 클수록, 배선이 단위 면적의 영역 내에서 커버하는 면적이 더 크며, 예컨대, 배선의 길이가 거의 같은 경우, 상응하는 영역 내에서 배선의 분포가 더 밀집될수록, 수량은 더 많으며; 단위 면적 분포비가 더 작을수록, 배선이 단위 면적의 영역 내에서 커버하는 면적이 더 작으며, 예컨대, 배선의 길이가 거의 같은 경우, 상응하는 영역 내에서 배선의 분포가 더 드물수록, 수량은 더 적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신호 전송 라인(110), 제1 더미 배선(121)과 제2 더미 배선(122)은 각각 투명 도전 배선을 포함하며, 따라서 진일보하여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의 투광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해당 투명 도전 배선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또는 기타 적합한 투명 도전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더미 배선(121)이 제2 방향(R2) 상에서의 너비와 신호 전송 라인(110)이 제2 방향(R2) 상에서의 너비는 동일하기에, 따라서 진일보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의 제1 더미 배선(121)과 신호 전송 라인(110)의 배치의 균일성과 일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회로 환경의 균일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신호 전송 라인(110)의 신호 전송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3,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전송 라인(110)은 적어도 신호 전송 라인(110)과 제1 발광 소자(411)의 양극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층의 비아 구조(H1)를 관통하는 것을 통해 제1 발광 소자(411)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발광 소자(411)에 전기 신호를 제공하여, 제1 발광 소자(411)를 구동하여 발광한다.
예컨대, 비아 구조(H1)가 디스플레이 기판(01)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과 제1 더미 배선(121)이 디스플레이 기판(01)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은 중첩되지 않으며, 예컨대, 디스플레이 기판(01)에 수직되는 방향 상에서, 제1 더미 배선(121)은 될수록 비아 구조(H1)의 위치를 피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제1 더미 배선(121)이 제1 발광 소자(411)로 제공되는 전기 신호에 대해 가능하게 생성될 수 있는 간섭을 감소하거나 피면함으로써, 제1 발광 소자(411)의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1 발광 소자(411)의 발광 효과를 개선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실제 구조에 기초하여, 비아 구조(H1)는 또한 절연층 이외의 신호 전송 라인(110)과 제1 발광 소자(411)의 양극 사이에 위치하는 기타 막 층 또는 구조 등을 관통함으로써, 신호 전송 라인(110)과 제1 발광 소자(411)의 양극 간의 전기적으로 연결을 실현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픽셀 회로(412)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제1극과 제2극을 포함하며, 신호 전송 라인(110)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극 또는 제2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제1 픽셀 회로(412)의 전송 신호를 제1 발광 소자(411)로 제공한다. 예컨대, 제1 픽셀 회로(412)의 회로 구조에 기초하여, 해당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1 픽셀 회로(412) 중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며, 또한 제1 픽셀 회로(412) 중의 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 또한 기타 유형의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적층 구조 개략도이며, 해당 적층 구조 개략도는 주요하게 제1 픽셀 회로(412)의 부분 구조와 제1 발광 소자(411)를 도시하였다. 예컨대, 도 8은 도 5에 도시된 A-A' 라인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판(01)의 단면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도 5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판(01)은 베이 기판(101) 상에 위치하는 소스 드레인 금속층(SD층)을 더 포함하며, 제1 픽셀 회로(412)의 박막 트랜지스터(412T)의 제1극과 제2극(즉, 소스 드레인 전극, 예컨대 소스 전극(4123) 및 드레인 전극(4124)은 소스 드레인 금속층에 위치한다.
제1 발광 소자(411)는 양극(4111), 음극(4113) 및 양극(4111)과 음극(4113)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발광층(4112)을 포함하며, 제1 발광 소자(411)의 양극(4111)은 소스 드레인 금속층 위에 위치하며, 신호 전송 라인(110)과 제1 더미 배선(121, 도 8에 미도시)이 위치하는 막 층은 제1 발광 소자(411)의 양극(4111)과 소스 드레인 금속층 사이에 위치하다. 양극(4111)은 비아 구조(H1)를 통해 신호 전송 라인(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더 나아가 신호 전송 라인(110)을 통해 제1 픽셀 회로(412)가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412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양극(4111)은 ITO/Ag/ITO 트리층 구조(도면에 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양극 서브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양극(4111)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음극(4113)은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전체 표면 상에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음극(4113)은 예컨대 리튬(Li),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은(Ag) 등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음극(4113)은 아주 얇은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기에, 음극(4113)은 양호한 투광성을 가진다.
예컨대, 박막 트랜지스터(412T)는 액티브 층(4121), 게이트(4122)과 소스 드레인 전극(즉, 소스 전극(4123) 및 드레인 전극(4124) 등 구조를 포함한다. 예컨대, 액티브 층(4121)은 베이스 기판(101) 상에 설치되고, 액티브 층(4121)의 베이스 기판(10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측에는 제1 게이트 절연층(741)이 설치된다. 게이트(4122)는 제1 게이트 절연층(741)의 베이스 기판(10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하고, 게이트(4122)의 베이스 기판(10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측에는 제2 게이트 절연층(742)이 설치된다. 소스 드레인 전극은 층간 절연층(743)의 베이스 기판(10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측에 설치되고, 또한 제1 게이트 절연층(741), 제2 게이트 절연층(742)과 층간 절연층(743) 중의 비아를 통해 액티브 층(4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스 드레인 전극의 베이스 기판(10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측에는 제1 픽셀 회로(412)를 평탕화하기 위한 평탄화층(744)이 설치된다.
예컨대, 평탄화층(744) 중 비아(H2)가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412T)의 드레인 전극(4124), 또는 소스 전극(4123)은 평탄화층(744) 중의 비아(H2)를 통해 신호 전송 라인(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더 나아가 신호 전송 라인(110)을 통해 양극(41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은 베이스 기판(101) 상에 위치하는 투명 지지층(78)을 더 포함하며, 제1 발광 소자(411)는 투명 지지층(78)의 베이스 기판(10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베이스 기판(101)에 비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중의 제1 발광 소자(411)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 제2 발광 소자(하문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 및 제2 발광 소자(412)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음)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중의 제3 발광 소자(하문의 제3 디스플레이 영역(13) 및 제3 발광 소자(413)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음)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기판(01)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킨다.
예컨대,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01)은 픽셀 경계층(746), 패키지 층(747) 등 구조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픽셀 경계층(746)은 양극(4111, 예컨대, 양극(4111)의 부분 구조) 상에 설치되고, 상이한 픽셀 또는 서브 픽셀의 범주를 확정하기 위해 복수개의 개구를 포함하며, 제1 발광층(4112)은 픽셀 경계층(746)의 개구에 형성된다. 예컨대, 패키지 층(747)은 단층 또는 다층 패키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층 패키지 구조는 예컨대 무기 패키지 층과 유기 패키지 층의 적층을 포함하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기판(01)의 패키지 효과를 향상시킨다.
예컨대, 본 개시의 각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101)은 유리 기판, 석영 기판, 금속 기판 또는 수지류 기판 등일 수 있고, 강성 기판 또는 플렉시블 기판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게이트 절연층(741), 제2 게이트 절연층(742), 층간 절연층(743) 및 평탄화층(744), 절연층(745), 픽셀 경계층(746), 패키지 층(747)은 산화규소, 질화규소, 산질화규소 등 무기 절연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폴리이미드, 폴리프탈이미드, 폴리프탈아민, 아크릴 수지, 벤조시클로부텐 또는 페놀 수지 등 유기 절연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상술한 각 기능층의 재료에 대해 모두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액티브 층(4121)의 재료는 폴리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예컨대, 인듐 갈륨 산화물 아연 산화물) 등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액티브 층(4121)의 일부는 도핑 등 도체화 처리를 통해 도체화되어 더 높은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4122)의 재료는 몰리브덴, 알루미늄 및 티탄 등과 같은 금속 재료 또는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소스 전극(4123)과 드레인 전극(4124)의 재료는 금속 재료 또는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몰리브덴, 알루미늄 및 티타늄 등으로 형성된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이며, 예컨대, 해당 다층 구조는 티탄, 알루미늄, 티탄 트리층 금속 적층(Ti/Al/Ti) 등과 같은 다중 금속층 적층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10)은 제3 디스플레이 영역(13)을 더 포함하며, 제3 디스플레이 영역(13)의 적어도 부분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을 둘러싸며(예컨대, 부분적으로 둘러쌈),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13)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일부 예시에서, 디스플레이 기판(01)은 주변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주변 영역의 적어도 부분은 제3 디스플레이 영역(13)을 둘러싼다.
예컨대, 도 2b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은 적어도 하나(예컨대, 복수개)의 제2 발광 소자(421)와 적어도 하나(예컨대, 복수개)의 제2 픽셀 회로(422)를 더 포함하며, 제2 발광 소자(421)는 제2 픽셀 회로(4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예컨대 일일이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픽셀 회로(422)는 제2 발광 소자(421)를 구동하여 발광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5의 부호가 지시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은 단지 제2 픽셀 회로(422)의 대략적인 위치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2 픽셀 회로(422)의 구체적인 형상 및 제2 픽셀 회로(422)의 구체적인 경계 등을 표시하지 않는다. 예컨대, 복수개의 제2 발광 소자(421)는 어레이 배열되며, 복수개의 제2 픽셀 회로(422)도 어레이 배열된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제2 발광 소자(421) 및 그에 대응하는 제2 픽셀 회로(422)는 하나의 제2 픽셀 구동 유닛(42)을 구성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5에서, 제2 픽셀 구동 유닛(42)은 하나의 제2 픽셀 회로(422) 및 하나의 제2 발광 소자(4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복수개의 제2 픽셀 회로(422) 및 복수개의 제2 발광 소자(4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픽셀 구동 유닛(42)이 복수개의 제2 픽셀 회로(422) 및 복수개의 제2 발광 소자(421)를 포함할 때, 각 제2 픽셀 구동 유닛(42) 중의 제2 픽셀 회로(422)의 수는 예컨대 제2 발광 소자(421)의 수와 같으며, 따라서 일일이 대응하여 구동하는 것을 실현한다.
예컨대, 복수개의 제2 발광 소자(421)는 어레이 배열되며, 복수개의 제2 픽셀 회로(422)도 어레이 배열된다. 여기서, "어레이 배열"은 복수개의 소자가 한세트이고 또한 복수 세트의 소자가 어레이 배열되는 것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소자 자체가 어레이 배열되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일부 예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4개의 제2 발광 소자(421)는 한세트이고, 복수 세트의 제2 발광 소자(421)는 어레이 배열되며, 상응하게는, 각 4개의 제2 픽셀 회로(422)는 한세트이고, 복수 세트의 제2 픽셀 회로(422)는 어레이 배열되며, 이 때, 각 제2 픽셀 구동 유닛(42)에는 4개의 제2 픽셀 회로(422)와 4개의 제2 발광 소자(421)가 포함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3 디스플레이 영역(13)의 부분 영역(REG3)의 확대도이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디스플레이 영역(13)은 적어도 하나(예컨대, 복수개)의 제3 발광 소자(431)와 적어도 하나(예컨대, 복수개)의 제3 픽셀 회로(432)를 포함하며, 제3 발광 소자(431)는 제3 픽셀 회로(4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예컨대 일일이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픽셀 회로(432)는 제3 발광 소자(431)를 구동하여 발광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9의 부호가 지시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은 단지 제3 픽셀 회로(432)의 대략적인 위치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3 픽셀 회로(432)의 구체적인 형상 및 제3 픽셀 회로(432)의 구체적인 경계 등을 표시하지 않는다. 예컨대, 복수개의 제3 발광 소자(431)는 어레이 배열되며, 복수개의 제3 픽셀 회로(432)도 어레이 배열된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제3 발광 소자(431) 및 그에 대응하는 제3 픽셀 회로(432)는 하나의 제3 픽셀 구동 유닛(43)을 구성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9에서, 제3 픽셀 구동 유닛(43)은 하나의 제3 픽셀 회로(432) 및 하나의 제3 발광 소자(4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복수개의 제3 픽셀 회로(432) 및 복수개의 제3 발광 소자(43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픽셀 구동 유닛(43)이 복수개의 제3 픽셀 회로(432) 및 복수개의 제3 발광 소자(431)를 포함할 때, 각 제3 픽셀 구동 유닛(43) 중의 제3 픽셀 회로(432)의 수는 예컨대 제3 발광 소자(431)의 수와 같으며, 따라서 일일이 대응하여 구동하는 것을 실현한다.
예컨대, 복수개의 제3 발광 소자(431)는 어레이 배열되며, 복수개의 제3 픽셀 회로(432)도 어레이 배열된다. 여기서, "어레이 배열"은 복수개의 소자가 한세트이고 또한 복수 세트의 소자가 어레이 배열되는 것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소자 자체가 어레이 배열되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일부 예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4개의 제3 발광 소자(431)는 한세트이고, 복수 세트의 제3 발광 소자(431)는 어레이 배열되며, 상응하게는, 각 4개의 제3 픽셀 회로(432)는 한세트이고, 복수 세트의 제3 픽셀 회로(432)는 어레이 배열되며, 이 때, 각 제3 픽셀 구동 유닛(43)에는 4개의 제3 픽셀 회로(432)와 4개의 제3 발광 소자(431)가 포함된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서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411)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에서 제2 발광 소자(421)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보다 작으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에서 복수개의 제2 발광 소자(421)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13)에서 제3 발광 소자(431)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보다 작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은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저해상도 영역으로 칭될 수 있으며, 상응하게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13)은 디스플레이 기판(01)의 고해상도 영역으로 칭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과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의 픽셀 발광 면적의 합은 제3 디스플레이 영역(13)의 픽셀 발광 면적의 1/8~1/2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서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411)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에서 제2 발광 소자(421)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와 같을 수 있으며, 이는 실제 수요 따라 정해지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13)의 발광 소자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가 차례로 커지게 하는 것을 통해, 3개의 디스플레의 영역이 정상적으로 발광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보장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제1측의 빛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투과하여 제2측에 도착하며,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제2측에 설치된 센서가 빛을 감지하는데 유리하다.
예컨대, 제1 발광 소자(411), 제2 발광 소자(412)와 제3 발광 소자(413)는 각각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물론,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발광 소자(411), 제2 발광 소자(412)와 제3 발광 소자(413)는 또한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또는 기타 적합한 발광 소자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01)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기판 또는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디스플레이 기판 등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구체적인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기판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기판인 경우, 발광층(예컨대, 전술한 제1 발광층(4112)은 소분자 유기 재료 또는 중합체 분자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형광 발광 재료 또는 인광 발광 재료일 수 있으며,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또는 백색광 등을 낼 수 있다. 또한, 실제 상이한 수요에 기초하여, 상이한 예시에서, 발광층은 진일보하여 전자 주입층, 전자 전송층, 정공 주입층, 정공 전송층 등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기판이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디스플레이 기판인 경우, 발광층(예컨대, 전술한 제1 발광층(4112)은 실리콘 양자점, 게르마늄 양자점, 황화 카드뮴 양자점, 셀렌화 카드뮴 양자점, 텔루르화 카드뮴 양자점, 셀렌화 아연 양자점, 황화 납 양자점, 셀렌화 납 양자점, 인산화된 인듐 양자점 및 비화인듐 양자점 등과 같은 양자점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양자점의 입자 직경은 예컨대 2nm~20nm이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공하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개시의 임의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포함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기판(310)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기판(310)은 본 개시의 임의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이며, 예컨대 전술한 디스플레이 기판(01)이다.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예컨대,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TV 등이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30)가 스마트폰 또는 태플릿 컴퓨터일 때, 해당 스마트폰 또는 태플릿 컴퓨터는 풀 스크린 설계를 가질 수 있으며, 즉,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 제3 디스플레이 영역(13)의 주변 영역을 둘러싸지 않는다. 또한 해당 스마트폰 또는 태플릿 컴퓨터는 또한 스크린 하부 센서(예컨대, 카메라, 적외선 센서 등)를 가지며, 이미지 촬영, 거리 감지, 빛 강도 감지 등의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310)와 디스플레이 장치(30)의 기타 조성 부분(예컨대, 이미지 데이터 코딩/디코딩 장치, 클럭 회로 등)에 대하여 적합한 컴포넌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이해해야 할 것이며,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으며,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한정으로 되지 말아야 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층 구조 개략도이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기판(310)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기판(310)은 본 개시의 임의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일 수 있으며, 예컨대 전술한 디스플레이 기판(01)이다. 예컨대,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센서(320)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기판(310)이 전술한 디스플레이 기판(01)인 것을 예로 하면,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01)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1측(F1)과 제1측(F1)에 상대한 제2측(F2)을 포함한다. 즉, 제1측(F1)은 디스플레이 측이고, 제2측(F2)은 비디스플레이 측이다. 디스플레이 기판(01)은 제1측(F1)에서 디스플레이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즉,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제1측(F1)은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출광측이고, 제1측(F1)은 사용자를 향해 있다. 제1측(F1)과 제2측(F2)은 디스플레이 기판(01)의 디스플레이 면의 법선 방향 상에서 대향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320)는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제2측(F2)에 위치하고, 또한 센서(320)는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제1측(F1)으로부터의 빛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센서(320)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은 디스플레이 기판(01)의 디스플레이 면의 법선 방향(예컨대, 디스플레이 기판(01)에 수직되는 방향) 상에서 중첩되며, 센서(32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투과하는 광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으며, 해당 광 신호는 가시광, 적외광 등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은 제1측(F1)으로부터의 빛의 적어도 부분이 제2측(F2)으로 투과되는 것을 허용한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는 픽셀 회로가 설치되지 않으며,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의 투광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센서(320)가 디스플레이 기판(01) 상에서의 정투영과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은 적어도 부분이 중첩된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에서, 직하식 설치 방식을 이용할 때, 센서(320)가 디스플레이 기판(01) 상에서의 정투영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내에 위치한다. 예컨대, 또 다른 예시에서, 기타 도광 소자(예컨대, 도광판, 도광관 등)를 이용하여 빛이 측면으로부터 센서(320) 상에 입사되도록 할 때, 센서(320)가 디스플레이 기판(01) 상에서의 정투영과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은 적어도 부분이 중첩된다. 이 때, 빛이 센서(320)에 횡방향으로 전파될 수 있기에, 센서(32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완전히 위치할 필요가 없다.
예컨대, 제1 픽셀 회로(412)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에 설치되고, 또한 센서(320)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으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기판(01)의 디스플레이 면의 법선 방향 상에서 중첩되게 하는 것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 중의 소자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 입사되어 센서(320)에 조사되는 광 신호에 대한 차단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센서(320)가 출력하는 이미지의 신호 대 잡음비를 향상시킨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은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저화상도 영역의 고투광 구역으로 칭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320)는 이미 센서일 수 있으며, 센서(320)의 집광면이 마주하는 외부 환경의 이미지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CMOS 이미지 센서 또는 CCD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해당 센서(320)는 또한 적외선 센서, 거리 센서 등일 수 있다. 예컨대,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30)가 휴대폰, 노트북 등과 같은 이동 단말인 경우, 해당 센서(320)는 휴대폰, 노트북 등과 같은 이동 단말의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회로에 대해 변조를 진행하기 위한 렌즈, 미러 또는 광도파로 등 광학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센서(320)는 어레이 배열 감광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 감광 픽셀은 감광 검출기(예컨대, 포토 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와 스위칭 트랜지스터(예컨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포토 다이오드는 그에 조사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포토 다이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포토 다이오드가 광 신호를 수집하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 및 광 신호의 수집 시간을 제어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발광 소자(411)의 양극은 ITO/Ag/ITO의 적층 구조를 이용하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에서, 제1 발광 소자(411)의 양극만이 빛을 투과하지 않으며, 제1 발광 소자(411)를 구동하기 위한 배선(예컨대, 상술한 신호 전송 라인(110), 제1 발광 소자(411)와 서로 절연된 배선(예컨대, 상술한 제1 더미 배선(121) 또는 제2 더미 배선(122)은 투명 배선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진일보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의 투광율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투과하는 빛의 균일성을 저하시키며, 더 나아가 센서(320)가 빛을 수신할 때 가능하게 나타나는 반사 등과 같은 문제를 감소하거나 피면함으로써, 센서(320)가 이미지 촬영, 거리 감지, 빛 강도 감지 등의 조작을 정확하게 실현하는데 유리하며, 디스플레이 장치(30, 예컨대,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더 많은 컴포넌트와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30)에 대한 기술효과와 상세한 설명은 위의 디스플레이 기판(01)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예컨대,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종이,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TV, 디스플레이, 노트북, 디지털 프레임, 네비게이션 등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임의의 제품 또는 부품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구체적인 설명 및 기술효과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중의 상응하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 중의 디스플레이 기판(01)의 상응하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또한, 다음과 같이 설명해야 할 것이 있다:
(1) 본 개시의 실시예의 도면은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된 구조에 관한 것이며, 기타 구조는 일반적인 설계를 참조할 수 있다.
(2)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 층 또는 영역의 두께는 실제 비례에 따라 제도한 것이 아니라 확대 또는 축소하였다. 층, 막, 영역 또는 제1 기판과 같은 소자가 또 다른 소자의 "상" 또는 "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해당 요소는 또 다른 요소의 "상" 또는 "하"에 "직접"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중간 소자가 존재할 수 있다.
(3) 충돌되지 않는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 및 실시예 중의 특징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는 단지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이나, 본 개시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 정통한 기술자들은 본 개시가 개시한 기술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대체를 쉽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21)

  1. 디스플레이 기판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1측과 상기 제1측에 상대한 제2측을 가지며,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부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1측으로부터의 빛의 적어도 부분이 상기 제2측으로 투과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픽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픽셀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전송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배선이 설치되며,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의 적어도 부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는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픽셀 회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더미 배선의 적어도 부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신호 전송 라인 및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절연되며,
    상기 신호 전송 라인과 상기 제1 더미 배선은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더미 배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과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은 적어도 부분이 어긋나는 디스플레이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배선과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은 동일층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배선과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은 모두 직선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서로 평행되는 디스플레이 기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배선은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또한 제1 전압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더미 배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더미 배선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 중의 적어도 하나는 비아 구조를 통해 상기 제1 전압 신호를 제공하는 제1 전원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기판.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더미 배선과 상기 제1 더미 배선은 동일층에 위치하며, 또는,
    상기 제2 더미 배선과 상기 제1 더미 배선은 상이한 막 층에 위치하며, 상기 상이한 막 층은 비아가 설치되는 않은 위치에서 서로 절연되는 디스플레이 기판.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전송 라인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신호 전송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신호 전송 라인과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은 배선 어레이를 구성하며, 하나의 신호 전송 라인은 상기 배선 어레이 중의 하나의 라인 유닛으로 되며, 하나의 제1 더미 배선은 상기 배선 어레이 중의 하나의 라인 유닛으로 되며,
    상기 배선 어레이 중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 유닛과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인접한 라인 유닛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디스플레이 기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중간 영역과 상기 제1 방향 상에서 상기 중간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축은 상기 중간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이 상기 중간 영역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비는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이 상기 주변 영역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비보다 큰 디스플레이 기판.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라인, 상기 제1 더미 배선과 상기 제2 더미 배선은 각각 투명 도전 배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배선이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 상에서의 너비와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이 상기 제2 방향 상에서의 너비는 동일한 디스플레이 기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은 적어도 상기 신호 전송 라인과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양극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층의 비아 구조를 관통하는 것을 통해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기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 구조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배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은 중첩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기판.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셀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제1극과 제2극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송 라인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극 또는 제2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기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은 소스 드레인 금속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극과 제2극은 상기 소스 드레인 금속층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양극은 상기 소스 드레인 금속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 전송 라인과 상기 제1 더미 배선이 위치하는 막 층은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양극과 상기 소스 드레인 금속층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부분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발광 소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2 픽셀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상기 제2 픽셀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3 발광 소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3 픽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발광 소자는 상기 제3 픽셀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기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2 발광 소자와 상기 제3 발광 소자는 각각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는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발광 소자는 복수개의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발광 소자는 복수개의 제3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 소자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는 상기 복수개의 제2 발광 소자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복수개의 제2 발광 소자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는 상기 복수개의 제3 발광 소자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의 단위 면적 분포 밀도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기판.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전송 라인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배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평행되는 평면 내에서의 정투영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의 면적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비는 70%~95%인 디스플레이 기판.
  19.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2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측으로부터의 빛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 상에서의 정투영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부분이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7017338A 2020-06-22 2021-05-17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26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574224.9A CN113903769A (zh) 2020-06-22 2020-06-22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202010574224.9 2020-06-22
PCT/CN2021/094032 WO2021258911A1 (zh) 2020-06-22 2021-05-17 显示基板及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979A true KR20230026979A (ko) 2023-02-27

Family

ID=7918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338A KR20230026979A (ko) 2020-06-22 2021-05-17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76029A1 (ko)
EP (1) EP4053828A4 (ko)
JP (1) JP2023531575A (ko)
KR (1) KR20230026979A (ko)
CN (1) CN113903769A (ko)
WO (1) WO20212589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14280A (zh) * 2022-04-25 2022-08-1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I802393B (zh) * 2022-05-03 2023-05-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陣列基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709B1 (ko) * 2016-07-25 2023-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36137A (ko) * 2018-09-27 2020-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50437B2 (en) * 2018-10-24 2023-01-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9541865A (zh) * 2018-12-26 2019-03-2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444125B (zh) * 2019-06-25 2022-03-08 荣耀终端有限公司 显示屏、终端
CN115019676B (zh) * 2019-10-30 2023-05-0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渲染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751926B (zh) * 2019-10-31 2021-12-2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767097B (zh) * 2019-11-27 2021-12-3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550604A (zh) * 2019-12-02 2022-05-2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047460A (ko) * 2020-10-08 2022-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3828A4 (en) 2023-06-28
CN113903769A (zh) 2022-01-07
WO2021258911A1 (zh) 2021-12-30
US20220376029A1 (en) 2022-11-24
EP4053828A1 (en) 2022-09-07
JP2023531575A (ja)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0071B2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WO2021244251A1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KR20190070427A (ko) 곡면형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EP4068384A1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US8183769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uni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1985874B2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112106204A (zh)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13764462A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KR20230026979A (ko)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1929386B2 (en)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1554727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230012412A1 (en)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CN112054017B (zh) 一种显示面板、制备方法及显示装置
TWI297210B (en)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including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15188909A (zh) 发光面板和显示装置
WO2023151127A1 (zh) 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oled显示模组
CN113193031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5039062B (zh) 触控显示基板和触控显示装置
EP4355057A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077269A1 (en) Display device
KR20240051003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65627A (ko) 표시 장치
KR20220161618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40055220A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6437767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