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366A -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 Google Patents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366A
KR20230026366A KR1020230017198A KR20230017198A KR20230026366A KR 20230026366 A KR20230026366 A KR 20230026366A KR 1020230017198 A KR1020230017198 A KR 1020230017198A KR 20230017198 A KR20230017198 A KR 20230017198A KR 20230026366 A KR20230026366 A KR 20230026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afety bar
initial position
fall prevention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9967B1 (en
Inventor
김지영
신유미
이채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17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967B1/en
Publication of KR20230026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3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9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13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the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21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specific brak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heelchair equipped with armrests on both sides of a seat where user's arms are seated, comprising: a safety bar drawn from the inside of the armrest to the outside and fastened to the user's abdomen; a brake that unlocks wheels when the safety bar is withdrawn in conjunction with the safety bar; and a footrest coupled to a plurality of links interlocking with the safety bar and protruding forward from a lower part of the seat when the safety bar is withdraw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s capable of preventing accidents of patients related to falls in hospitals and omitting cumbersome operations for operating brakes or footrests.

Description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본 발명은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팔걸이부 내측에서 외측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의 복부에 체결되는 안전바에 연동되어 안전바가 인출되면 잠금이 해제되는 브레이크와, 안전바가 인출되면 시트부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발판을 통해 환자를 안전하게 이송해야 할 휠체어의 목적을 지키고 병원 내 낙상 관련 환자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ke that is unlocked when the safety bar is pulled out in conjunction with a safety bar that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armrest unit and fastened to the user's abdomen, and a seat when the safety bar is withdrawn. It relates to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s to keep the purpose of a wheelchair to safely transport patients through a footrest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and to prevent patient safety accidents related to falls in hospitals.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2018년 발표한 <환자안전사고 주제별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8월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환자안전 보고학습시스템에 총 2115건의 낙상이 보고되었다. 낙상은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의 두 번째 원인으로, 특히, 노인에서 낙상으로 인한 사망은 타 연령의 10배에 육박한다.According to the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 by Topic> published in 2018 by the Institute for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a total of 2115 falls were reported to the patient safety reporting learning system from August 2016 to December 31, 2017. Falls are the second leading cause of death due to unintentional injury, especially among the elderly, and the death rate due to falls is nearly 10 times that of other age groups.

낙상은 사망 이외에도 중증의 손상과 그 후유증으로 삶의 질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심각한 문제이다.In addition to death, falls are a serious problem that significantly reduces quality of life due to severe injuries and their sequelae.

전체 낙상 보고 중 보행보조기구와 연관된 사건이 10.4%로 보호자의 부재(44.8%), 보조 난간 관련(13.9%)에 이어 세 번째를 차지하였다. 병원 내에서 근력이 저하되거나 보행장애가 있는 환자의 이동에 도움을 주는 대표적인 보조기인 휠체어가 환자 낙상의 위험 요인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Among all reports of falls, incidents related to walking aids accounted for 10.4%, taking third place after the absence of a guardian (44.8%) and related to auxiliary railings (13.9%). Wheelchairs, which are representative assistive devices that help move patients with reduced muscle strength or gait disturbances in hospitals, are also a risk factor for patients falling.

이를 예방하기 위해 브레이크나 발판이 구비된 휠체어에 관한 기술들이 활발이 개발되고 있으나, 브레이크를 고정시키지 않거나 발판을 접지 않아도 승하차가 가능한 구조이므로 승하차 시에 바퀴가 미끄러지거나 환자의 신체가 발판에 걸릴 수 있다.To prevent this, technologies related to wheelchairs equipped with brakes or footrest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However, since it is a structure that allows getting on and off without fixing the brake or folding the footrest, the wheels may slip or the patient's body may get caught on the footrest when getting on and off. there is.

즉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브레이크나 발판에 의해 오히려 낙상 관련 안전사고확률이 더 커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bability of a safety accident related to a fall may increase due to a brake or a footrest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또한 브레이크와 발판을 개별적으로 조절해야 하므로, 휠체어에 익숙하지 않은 환자와 보호자에게는 어렵고 복잡하며 휠체어에 익숙한 이송직원이라 하더라도 브레이크나 발판을 조작하기 위해서 반복적으로 허리를 앞으로 숙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rakes and footrests must be individually adjusted, it is difficult and complicated for patients and guardians who are not familiar with wheelchairs, and even transfer staff familiar with wheelchairs have to repeatedly bend forward to operate the brakes or footrests.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문헌>은 아래와 같습니다. <Technical literature that forms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is as follows.

선행기술 1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8615호(2016.06.15.) Prior ar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68615 (2016.06.15.)

선행기술 2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0340호(2020.02.26.) Prior Ar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20340 (2020.02.26.)

선행기술 3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53883호(2020.09.09.)Prior art 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53883 (2020.09.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팔걸이부 내측에서 외측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의 복부에 체결되는 안전바에 연동되어 안전바가 인출되면 잠금이 해제되는 브레이크와, 안전바가 인출되면 시트부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발판을 통해 환자를 안전하게 이송해야 할 휠체어의 목적을 지키고 병원 내 낙상 관련 환자안전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나 발판을 조작하기 위한 번거로운 동작을 생략할 수 있는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brake that is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armrest unit to the outside and interlocked with a safety bar fastened to the user's abdomen to release the lock when the safety bar is withdrawn, and when the safety bar is withdrawn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at.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s that not only fulfills the purpose of a wheelchair to safely transport patients through footrests protruding forward, and prevents patient safety accidents related to falls in hospitals, but also eliminates cumbersome operations to operate brakes or footrests. It is a challenge to provid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는 시트부 양측에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팔걸이부가 구비된 휠체어로서, 상기 팔걸이부 내측에서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복부에 체결되는 안전바; 및 상기 안전바와 연동하여 상기 안전바가 인출되면 바퀴의 잠금이 해제되는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heelchair equipped with armrests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for seating the user's arms, and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armrests to the outside of the user's abdomen. Safety bar fastened to; and a brake that unlocks a wheel when the safety bar is withdrawn in conjunction with the safety bar.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안전바가 상기 팔걸이부에서 인출될 때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바퀴를 잠금 해제하였다가, 상기 안전바가 초기위치로 복원되면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바퀴를 제동할 수 있다.Here, the brake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when the safety bar is withdrawn from the armrest to unlock the wheel, and may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safety bar is restored to an initial position to brake the wheel.

구체적으로 브레이크는, 일측이 상기 팔걸이부의 내부에서 축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축회동에 따라 타측이 상기 바퀴와 접촉되거나 접촉 해제되는 스토퍼부재; 인출되는 상기 안전바에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가 축회동되도록 상기 안전바와 상기 스토퍼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rake, a stopper member whose one side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pivot inside the armrest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wheel according to the pivoting;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afety bar and the stopper member so that the stopper member pivots by tension generated from the drawn-out safety bar; and a restoring member providing restoring force to the stopper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topper member contacts the wheel.

또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부재에 복원력이 제공되도록, 중심축이 상기 스토퍼부재의 회동축과 동심을 이루며 상기 팔걸이부 내에 고정되어 일면에 상기 복원부재가 배치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ke has a central axis concentric with the rotational axis of the stopper member and is fixed in the armrest so that a restoring force is provided to the stopper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topper member contacts the wheel, so that the restoring member is provided on one surface A fixed plate may be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 복원부재는 중심단이 상기 스토퍼부재의 회동축에 연결되고, 중심단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권취 형성된 타단이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storing member may be a torsion spring having a central end connected to the pivoting shaft of the stopper member and having the other end wound around the central end at equal intervals and fixed to the fixing plate.

한편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안전바가 상기 팔걸이부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발생되는 장력을 유압으로 변환시키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에 따라 상기 바퀴를 잠금 해제하는 멈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rake, a cylinder member for converting the tension generated as the safety bar is drawn out of the armrest into hydraulic pressure; and a stopping member connected to the cylinder member and unlocking the wheel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이때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안전바에 연결되어 상기 장력을 유압으로 변환시키는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1 실린더에 연결되어 유압을 상기 멈춤부재에 분배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ylinder member may include a first cylinder connected to the safety bar and converting the tension into hydraulic pressure; and a second cylinder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er and distribut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stopping member.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는 시트부 양측에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팔걸이부가 구비된 휠체어로서, 상기 팔걸이부 내측에서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복부에 체결되는 안전바; 및 상기 안전바와 연동되는 복수의 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바가 인출되면 상기 시트부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heelchair equipped with armrests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for seating the user's arms, and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armrests to the outside of the user's abdomen. Safety bar fastened to; and a footrest that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links interlocking with the safety bar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when the safety bar is withdrawn.

이때 링크는, 일단이 상기 안전바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안전바의 인출에 따라 타단이 초기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상승하는 제1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안전바의 인출에 따라 타단이 초기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하강함으로써, 타단에 연결 형성된 상기 발판이 상기 시트부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nk includes a first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afety bar so that the other end rises rea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safety bar; And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so that the other end descends back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safety bar, so that the footrest connected to the other e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at. It may include a second link that does.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는, 초기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상승하는 상기 제1 링크의 타단 및 상기 제2 링크의 일단을 가이드하도록, 일측에서 타측까지 상향 경사를 가지는 절개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nk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uide formed with a cutout groove having an upward inclina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o as to guide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nd one end of the second link rising back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can

또한 상기 링크는, 초기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하강하는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을 가이드하도록, 일측에서 타측까지 하향 경사를 가지는 절개홈이 형성된 제2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e having a cutout groove having a downward slop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o as to guid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descending back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또한 상기 링크는, 상기 발판이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거나 인입되도록, 상기 제2링크와 상기 발판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link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link and the scaffold so that the scaffold protrudes or is drawn forward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ground.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이 초기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하강할 때 타단이 초기위치에서 수직 하강하는 제3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3 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발판이 연결되어, 상기 제3 링크의 타단이 초기위치에서 수직 하강할 때 타단이 초기위치로부터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4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uxiliary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wh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descends back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vertically descends from the initial position; And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and the footres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so that when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descends vertically from the initial position, the other end faces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ground A protruding fourth link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보조링크는, 초기위치에서 수직 하강하는 상기 제3 링크의 타단 및 상기 제4 링크의 일단을 가이드하도록,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개홈이 형성된 제3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link may further include a third guide having a cutting groov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to guide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and one end of the fourth link vertically descend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는 시트부 양측에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팔걸이부가 구비된 휠체어로서, 상기 팔걸이부 내측에서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복부에 체결되는 안전바; 상기 안전바와 연동하여 상기 안전바가 인출되면 바퀴의 잠금이 해제되는 브레이크; 및 상기 안전바와 연동되는 복수의 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바가 인출되면 상기 시트부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heelchair equipped with armrests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for seating the user's arms, and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armrests to the outside of the user's abdomen. Safety bar fastened to; a brake interlocking with the safety bar to unlock the wheel when the safety bar is withdrawn; and a footrest that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links interlocking with the safety bar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when the safety bar is withdrawn.

본 발명의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에 따르면, 휠체어 바퀴 부분에 있는 브레이크를 채우지 않고 휠체어에 승하차하는 상황과 발판을 밟고 내리거나 발판에 걸리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는 스스로 혹은 보호자나 이송직원의 도움을 받아 휠체어에서 승하차할 때 보다 안전한 승하차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the wheelchair without using the brakes on the wheels of the wheelchair, and a situation in which a person stepping on and getting off of a footrest or getting caught in a footrest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patient himself or with the help of a guardian or transfer staff.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safer getting on and off when getting on and off in a wheelchair.

이때 승하차 시 안전바를 푸는 것이 자연스럽고 직관적으로 행해져야 하므로 안전바의 움직임을 통해 브레이크와 발판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since it is necessary to unfasten the safety bar when getting on and off the vehicle naturally and intuitively, the brake and the footrest are automatically adjust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afety bar, thereby preventing a fall.

특히, 근력이 저하되거나 보행장애가 있는 노인의 휠체어 사용 안전성을 높이고 환자안전 문화 형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낙상으로 인한 불필요한 재원 일수 증가와 분쟁 발생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afety of using wheelchairs for the elderly with reduced muscle strength or walking disabilitie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 patient safety culture, and resolving the economic burden caused by disputes and increased unnecessary days of hospitalization due to falls.

또한 환자와 보호자가 낙상 예방을 위한 절차를 매번 기억하고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낮은 교육 이행도로 인한 간호사의 스트레스 감소도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patients and guardians can greatly reduce the hassle of remembering and performing procedures for preventing falls every time, and nurses' stress can be reduced due to low educational performance.

즉 안전바, 브레이크, 및 발판이 연동되는 휠체어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낙상이 예방되는 넛지 효과를 유도하여 휠체어 낙상 예방을 통해 환자 안전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That is, by having a wheelchair structure in which a safety bar, a brake, and a footrest are interlocked, a nudge effect in which falls are naturally prevented during use is induced, thereby contributing to patient safety enhancement through prevention of wheelchair fall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전체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브레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브레이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안전바가 인출되기 전 스토퍼부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안전바가 인출된 경우 스토퍼부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브레이크가 유압방식으로 구성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도 6의 실린더부재가 제1 실린더 및 제2 실린더로 분할되고, 제1 실린더의 일측에 안전바가 연결되고 제2 실린더의 일측에 멈춤부재가 연결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제2 실린더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멈춤부재가 바퀴의 양측에서 동작하는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발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발판이 안전바와 연동되는 복수의 링크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안전바와 연동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안전바와 연동되는 제2 링크 및 제3 링크의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안전바와 연동되는 제3 링크 및 제4 링크의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3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he above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will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a hospi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brake of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a hospi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ke of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a hospi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before the safety bar of the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is withdraw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a stopper member when a safety bar of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a hospital is withdra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a brake of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a hospital is configured in a hydraulic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cylinder member of FIG. 6 is divided into a first cylinder and a second cylinder, a safety ba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ylinder, and a stopping memb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ylinder;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second cylinder of FIG. 7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the stop member operates on both sides of the wheel;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trest of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a hospi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a footrest of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a hospital operates by being coupled to a plurality of links interlocked with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guide for guiding an operation of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interlocked with a safety bar of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a hospi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guide for guiding operations of a second link and a third link interlocked with a safety bar of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a hospi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guide for guiding operations of a third link and a fourth link interlocked with a safety bar of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a hospi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전체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브레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브레이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안전바가 인출되기 전 스토퍼부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안전바가 인출된 경우 스토퍼부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브레이크가 유압방식으로 구성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린더부재가 제1 실린더 및 제2 실린더로 분할되고, 제1 실린더의 일측에 안전바가 연결되고 제2 실린더의 일측에 멈춤부재가 연결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제2 실린더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멈춤부재가 바퀴의 양측에서 동작하는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발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발판이 안전바와 연동되는 복수의 링크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안전바와 연동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안전바와 연동되는 제2 링크 및 제3 링크의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의 안전바와 연동되는 제3 링크 및 제4 링크의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3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a hospi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brake of the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a hospi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ke of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a hospi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when the safety bar of the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is withdraw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the brake of the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configured by a hydraulic system, and FIG. 7 is a cylinder member of FIG. 6 is divided into a first cylinder and a second cylinder, a safety ba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ylinder, and one side of the second cylinder.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example in which the stop member is connected,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cylinder of FIG. 7 is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the stop member operates on both sides of the wheel, and FIG. 9 is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trest of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guide for guiding the operation of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interlocked with a safety bar of a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a hospi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guide for guid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link and the third link interlocked with the safety bar of the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hird guide for guid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link and the fourth link interlocked with the safety bar of the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10)는 크게 안전바(100), 브레이크(200), 발판(3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fall prevention wheelchair 10 for a hospi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argely include a safety bar 100, a brake 200, and a footrest 300.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10)는, 환자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부(1)를 기준으로 양측에 사용자의 팔이 안착될 수 있도록 팔걸이부(2)가 구비된 휠체어이며, 시트부(1)를 기준으로 양측에 구비된 바퀴(3)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ll prevention wheelchair 10 for hospital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armrests 2 so that the user's arms can be seated on both sides of the seat 1 for a user including a patient to sit on. It is a wheelchair provided, and can be moved by wheels 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1.

이때 양측 바퀴(3)는 시트부(1)를 기준으로 팔걸이부(2)보다 바깥쪽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both wheels (3) may be formed outside the armrest portion (2) based on the seat portion (1).

또한 상술한 팔걸이부(2)는 환자의 팔이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후술할 안전바(100)가 인입 또는 인출되며, 안전바(100)에 브레이크(200), 링크(320)가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면, 외형, 내형, 및 재질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armrest part 2, the patient's arm is stably seated, the safety bar 100 to be described later is drawn in or out, and the brake 200 and the link 320 are connected to the safety bar 100 to interlock. If an internal space can be provided, the external shape, internal shape, and material can be varied, and thus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팔걸이부(2)는 직사각형 형태로 마련되고, 길이방향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전방측과 후방측이 개방될 수 있다.However, if the bar shown in the drawings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r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 armrest portion 2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n internal spac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can be opened.

이때 팔걸이부(2)의 상부면은 시트부(1)에 착석한 환자의 팔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평평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안정적인 안착을 위해 상부면 중앙측으로 갈수록 함몰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part 2 may have a flat structure so that the arm of the patient seated on the seat part 1 can be seated, but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structure that is depr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for stable seating. there is.

이때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 팔걸이부(2)인 경우에는, 외부면들 사이에 형성된 모서리로 인한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모서리부분이 라운드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armrest portion 2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le, the corner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rounded form to prevent injury due to the corner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s.

나아가 환자의 팔이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될 수만 있다면 팔걸이부(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more, as long as the patient's arm is stably seated and a space can be provided therein, the armrest part 2 can be changed into a shap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the drawings, of course.

예를 들어 팔걸이부(2)가 내부공간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어 전후방측이 모두 개방되며 상부면이 중심측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고 할 것이며, 이러한 내용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For example, it will be possible for the armrest part 2 to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ylinder having an inner space, open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and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depressed towards the center, all of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ing would be taken for granted.

안전바(100)는 일부가 상술한 팔걸이부(2)에 인입되어 있다가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사용자의 복부에 체결될 수 있다.A part of the safety bar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above-described armrest part 2 and then pulled out to be fastened to the user's abdomen.

구체적으로 안전바(100)는 양측 팔걸이부(2)에서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인출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복부측에서 서로 체결되어 휠체어에 착석한 사용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afety bar 100 is provided to be able to be pulled in or out from both armrests 2, and when pulled out, the safety bar 100 is fastened to each other on the user's abdomen side to prevent a user seated in a wheelchair from falling.

예를 들어 안전바(100)는 팔걸이부(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일부가 팔걸이부(2)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다시 인입되는 가요성을 가지는 합성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자동차 안전벨트의 웨빙(Webbing)과 같이 합성섬유로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afety bar 100 may be provided with a synthetic p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hat is accommodated inside the armrest portion 2 and then partially drawn out or re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armrest portion 2. It may be provided with synthetic fibers, such as the webbing of seat belts.

여기서 안전바(100)는 끝단에는 버클이 형성되고, 버클이 사용자의 복부 측에서 서로 체결될 수 있다.Here, the safety bar 100 has a buckle formed at the end, and the buckle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at the user's abdomen side.

이때 상술한 버클은 사용자가 시트부(1)에 착석한 다음 양측 팔걸이부(2) 일측에 버클을 잡아 복부 측에서 쉽게 체결 수 있도록, 체결이 해제되는 경우 팔걸이부(2) 내부로 인입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체결이 해제되는 경우 버클이 팔걸이부(2) 내부로 인입되어 외측에서 안전바(100)가 보이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buckle i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asten from the abdominal side by holding the buckle on one side of the armrest part 2 on both sides after sitting on the seat part 1, and so that it does not enter the inside of the armrest part 2 when the fastening is released. It may be configured, and in some cases, when the fastening is released, the buckle may be drawn into the armrest part 2 so that the safety bar 100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이때 브레이크(200)는 안전바(100)와 연동하여 안전바(100)가 인출되면 바퀴(3)의 잠금이 해제되고, 사용자가 안전바(100)의 버클 체결을 해제하면 다시 바퀴(3)를 잠그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rake 200 interlocks with the safety bar 100, and when the safety bar 100 is withdrawn, the lock of the wheel 3 is released, a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buckle fastening of the safety bar 100, the wheel 3 starts again. can play a role in locking the

구체적으로 브레이크(200)는, 안전바(100)가 팔걸이부(2)에서 인출될 때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바퀴(3)를 잠금 해제하였다가, 안전바(100)가 초기위치로 복원되었을 때 다시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바퀴(3)를 제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rake 20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hen the safety bar 100 is withdrawn from the armrest unit 2 to unlock the wheel 3, and then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safety bar 100 is restored. It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rake the wheel (3).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팔걸이부(2) 일측에 마련된 안전바(100)의 버클을 잡아 복부측에서 체결하게 되면, 안전바(100)의 다른 끝단에 연결된 브레이크(200)가 연동되어 바퀴(3)의 잠금이 해제되고, 사용자가 다시 버클 체결을 해제하면 복원력에 의해 바퀴(3)를 잠궈 제동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grabs the buckle of the safety bar 1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rmrest part 2 and fastens it from the ventral side, the brake 20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afety bar 100 is interlocked and the wheel 3 When the lock is released and the user releases the fastening of the buckle again, the wheel 3 can be locked and braked by the restoring forc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브레이크(200)는 스토퍼부재(220), 연결부재(240), 복원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in detail, the brake 200 may include a stopper member 220 , a connection member 240 , and a restoration member 260 .

스토퍼부재(220)는 일측이 팔걸이부(2)의 내부에서 축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타단은 축회동에 따라 바퀴(3)와 접촉되거나 접촉 해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stopper member 22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pivot inside the armrest part 2, and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wheel 3 according to the pivotal rotation.

예를 들어 스토퍼부재(220)의 일측은 팔걸이부(2)의 내부공간 일측에서 회동할 수 있는 원형으로 마련되고, 후술할 연결부재(240)에 의해 안전바(100)에 연결되어 안전바(100)의 인출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후술할 복원부재(260)에 의해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For example, one side of the stopper member 220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capable of rotating on one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armrest part 2, and is connected to the safety bar 100 by a connection member 240 to be described later to provide a safety bar ( 100)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by withdrawal, or may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one direction by a restoring member 260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스토퍼부재(220)의 타측은 일측에서 팔걸이부(2)의 외부를 향해 길게 돌출되었다가 바퀴(3)를 향해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stopper member 220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protrudes long toward the outside of the armrest portion 2 from one side and then bends toward the wheel 3.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토퍼부재(220)의 타측에서 바퀴(3)를 향해 절곡된 부분은 바퀴(3)와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200)패드가 더 마련될 수도 있으며, 브레이크(200)패드는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상술한 절곡된 부분의 일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착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art bent toward the wheel 3 on the other side of the stopper member 2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brake 200 pad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wheel 3, the brake 200 ) The pad may be provided so as to be detachable by sliding on one side of the above-described bent por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replaced.

다음으로 연결부재(240)는 인출되는 안전바(100)에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스토퍼부재(220)가 축회동될 수 있도록 안전바(100)와 스토퍼부재(220)를 연결할 수 있다.Next, the connecting member 240 may connect the safety bar 100 and the stopper member 220 so that the stopper member 220 can be pivoted by tension generated from the safety bar 100 being pulled out.

예를 들어 연결부재(240)의 일측은 안전바(100)에 결합고정되고, 타측은 상술한 스토퍼부재(220)의 일측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240 is coupled and fixed to the safety bar 100, and the other side may be hinged so as to rotate at one side of the stopper member 220 described above.

이때 연결부재(240)는 신축성을 가지며 인장되거나 원래의 길이로 복원되도록 마련하여 안전바(100)의 일부가 팔걸이부(2)의 외부로 인출되는 길이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240 has elasticity and is stretched or prepared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length, so that a part of the safety bar 100 may be relieved of restrictions on the length of being drawn out of the armrest part 2.

복원부재(260)는 스토퍼부재(220)가 바퀴(3)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스토퍼부재(2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storing member 260 may serve to provide restoring force to the stopper member 22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topper member 2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heel 3 .

구체적으로 복원부재(260)는 안전바(100)의 인출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 스토퍼부재(220)의 일측을 다시 상술한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토퍼부재(220)의 타측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storing member 260 returns the other side of the stopper member 220 to its original position by rotating one side of the stopper member 220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withdrawal of the safety bar 1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forementioned one direction again can fulfill its role.

따라서 사용자가 안전바(100)의 버클 체결을 해제하게 되면, 복원부재(260)에 의해 스토퍼부재(220)의 일측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스토퍼부재(220)의 타측이 스토퍼부재(220)의 일측을 따라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바퀴(3)가 제동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releases the buckle fastening of the safety bar 100, one side of the stopper member 22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restoring member 260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topper member 220 The wheel 3 may be braked while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long one side of the stopper member 220 .

또한 연결부재(240)에 의해 스토퍼부재(220)에 연결된 안전바(100)의 일부가 스토퍼부재(220)의 원위치로의 복귀에 따라 자동으로 팔걸이부(2)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safety bar 100 connected to the stopper member 220 by the connection member 240 may be automatically drawn into the armrest part 2 according to the return of the stopper member 220 to its original posi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200)는 팔걸이부(2)의 내부 공간에서 고정되는 고정판(2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brake 20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late 201 fix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rmrest part 2 .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201)은 중심축이 스토퍼부재(220)의 회동축과 동심을 이루며 팔걸이부(2) 내에 고정되어 일면에 복원부재(260)가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entral axis of the fixing plate 201 is concentric with the rotational axis of the stopper member 220 and is fixed in the armrest part 2 so that the restoring member 260 can be disposed on one surface. .

이때 복원부재(260)는 중심단이 스토퍼부재(220)의 회동축에 연결되고, 중심단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권취 형성된 타단이 고정판(201)에 고정됨으로써 스토퍼부재(220)가 상기 바퀴(3)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스토퍼부재(220)에 복원력이 제공되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er end of the restoring member 26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topper member 220, and the other end wound at equal intervals based on the center end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201, so that the stopper member 220 is the wheel ( 3), a restoring force is provided to the stopper member 220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stopper member 220 so that it can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여기서 복원부재(260)는 스토퍼부재(220)에 복원력이 제공되어 스토퍼부재(220)가 원위치로 복귀되고, 인출된 안전바(100)가 다시 인입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만 있다면, 그 구조, 형상, 재질에 대하여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Here, the restoring member 260 is provided with a restoring force to the stopper member 220 so that the stopper member 22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drawn-out safety bar 100 is retracted, if it can perform a role, its structure and shape , the material may vary,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by this.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복원부재(260)는 중심단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권취 형성된 나선형의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However, for more detailed explanation, if the bar shown in the drawings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 restoring member 260 may be a helical torsion spring wound around the center end at equal intervals.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착석을 기준으로 안전바(100)와 브레이크(200)의 동작과정을 다시한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ng process of the safety bar 100 and the brake 200 based on the user's seat is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s follows.

사용자가 시트부(1)에 착석한 경우에 안전바(100)의 끝단에 버클은 팔걸이부(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안전바(100)의 일부는 도 4와 같이 인입되어 있다.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part 1, the buckle at the end of the safety bar 1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armrest part 2, and a part of the safety bar 100 is retracted as shown in FIG. 4.

여기서 후술할 발판(300)에 연결된 링크(320)도 안전바(100)에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링크(320)와 팔걸이부(2)의 간접 방지를 위해 팔걸이부(2)의 하부면은 절개될 수 있다.Here, the link 320 connected to the scaffold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safety bar 100 and oper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rmrest part 2 to prevent indirection between the link 320 and the armrest part 2. can be incised.

이때 팔걸이부(2)의 하부면에 형성된 절개부위를 고무패드(2a,2b)가 감싸도록 마련되어 후술할 링크(320)가 안전바(100)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경우에, 링크(320)가 절개부위에 접촉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링크(320)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rubber pads 2a and 2b are provided to cover the incis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rmrest portion 2, and when the link 320 to be described later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afety bar 100, the link 320 Wear and damage of the link 320 that may occur due to contact with the incision can be prevented.

또한 연결부재(240)는 일단은 인입되어 있는 안전바(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하도록 마련된 스토퍼부재(220)의 일단에 편심되어 힌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240 is connected to the retracted safety bar 100 and the other end may be eccentric and hinged to one end of the stopper member 220 provided to rotate.

또한 스토퍼부재(220)의 타단은 바퀴(3)와 접촉을 유지하여 바퀴(3)의 제동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member 220 maintains contact with the wheel 3 to maintain braking of the wheel 3.

이때 사용자가 안전바(100)의 버클을 복부측으로 잡아당겨 체결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바(100)의 일부가 팔걸이부(2)에서 인출되어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안전바(100)에 연결된 연결부재(240)의 일단도 안전바(100)와 같이 안전바(10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토퍼부재(220)의 일단에 편심되어 힌지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240)의 타단에 의해 스토퍼부재(220)의 일단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토퍼부재(220)의 타단이 바퀴(3)와 접촉이 해제되어 휠체어가 이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tightens the buckle of the safety bar 100 by pulling it toward the abdomen, as shown in FIG. 5, a part of the safety bar 100 is pulled out from the armrest part 2 and tension is generated, and the safety bar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240 connected to (100) also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afety bar 100 is withdrawn, like the safety bar 100, so that one end of the stopper member 220 is eccentric and hinged to the connection member ( As one end of the stopper member 2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other end of 240), contact with the wheel 3 of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member 220 is released, and the wheelchair can be moved.

한편 상술한 브레이크(200)는 유압방식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brake 200 described above may be deformed in a hydraulic method.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200)는 실린더부재(280), 멈춤부재(29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the brake 200 may include a cylinder member 280 and a stop member 290 .

구체적으로 실린더부재(280)는 안전바(100)가 팔걸이부(2)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발생되는 장력을 유압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린더의 일측에 마련된 제1 피스톤(281)에 안전바(100)가 연결되고 타측에 마련된 제2 피스톤(282)에 후술할 멈춤부재(290)가 연결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ylinder member 280 may serve to convert the tension generated when the safety bar 100 is pulled out of the armrest part 2 into hydraulic pressure, and the first piston 28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ylinder A safety bar 100 may be connected to and a stop member 290 to be described later connected to the second piston 282 provided on the other side.

멈춤부재(290)는 실린더부재(280)에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제2 피스톤(282)에 연결되어 유압에 따라 바퀴(3)를 잠금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top member 290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member 280, and is specif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iston 282 to unlock the wheel 3 according to hydraulic pressure.

구체적으로 안전바(100)가 사용자에 의해 인출되면 장력에 의해 제1 피스톤(281)에 압력이 가해져 실린더부재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피스톤(282)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피스톤(282)에 연결되어 바퀴(3)에 접촉되어 있던 멈춤부재(290)가 제2 피스톤(282)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바퀴(3)와 멈춤부재(290)의 접촉이 해제되어 바퀴(3)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afety bar 100 is withdrawn by the user,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rst piston 281 by tension to move in one direction in the cylinder member, and accordingly, the second piston 282 moves in the same direction while the second While the stop member 290 connected to the piston 282 and in contact with the wheel 3 move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econd piston 282, the contact between the wheel 3 and the stop member 290 is released, and the wheel ( 3) can be unlocked.

여기서 멈춤부재(290)는 앞서 설명한 스토퍼부재(220)의 타단과 동일 유사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stopping member 29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or similar form as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member 220 described above.

즉 멈춤부재(290)는 제2 피스톤(282)에 연결되어 팔걸이부(2)의 외부를 향해 길게 돌출되었다가 바퀴(3)를 향해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at is, the stop member 29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ston 282 and protrudes long toward the outside of the armrest portion 2,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bent toward the wheel 3.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재(280)를 구성할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7 , the cylinder member 280 may be configured.

예를 들어 실린더부재(280)는 제1 실린더(284), 제2 실린더(28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실린더(284)는 안전바(100)에 연결되어 장력을 유압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ylinder member 280 may include a first cylinder 284 and a second cylinder 286, and the first cylinder 284 is connected to the safety bar 100 to convert tension into hydraulic pressure. can be performed.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284)에서 안전바(1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밀폐되지 않은 공간에는 상술한 안전바(100)의 인입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인장스프링(284a)이 구비되어 안전바(100)의 버클이 풀리는 경우, 제1 피스톤(281), 제2 피스톤(282)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안전바(100)가 인입되고, 멈춤부재(290)가 바퀴(3)에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tension spring 284a having a restoring force in the retraction direction of the safety bar 100 is provided in an unsealed space so that the safety bar 100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er 284. When the buckle of the safety bar 100 is released, the first piston 281 and the second piston 282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the safety bar 100 is retracted, and the stopping member 290 is attached to the wheel 3 can be contacted.

뿐만 아니라 제2 실린더(286)는 제1 실린더(284)에 연결되어 유압을 멈춤부재(290)에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실린더(284)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ylinder 286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er 284 and serve to distribute hydraulic pressure to the stopping member 290, and may be provided to have a different diameter from the first cylinder 284. can

따라서 제1 실린더(284)의 직경을 제2 실린더(286)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최소한의 힘으로 사용자가 안전바(100)를 당겨 브레이크(200)를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first cylinder 284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cylinder 286 so that the user can pull the safety bar 100 and release the brake 200 with minimal force. .

다시 말하면, 도 7과 같이 브레이크가 잠긴 상태에서 안전바는 인입되어 있으며, 인장스프링(264a)은 펴진 상태 일 수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7 , the safety bar is retracted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is locked, and the tension spring 264a may be in an extended state.

이후 사용자가 안전바(100)를 당겨 팔걸이부(2) 외부로 인출하게 되면, 인장스프링(264a)이 제1 실린더(284)의 좌측벽으로 압축되었다가, 안전바(100)가 해제되면 안전바가 다시 팔걸이부(2) 내부로 인입되면서, 인장스프링(264a) 또한 안전바(10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다시 펴지면서 초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pulls the safety bar 100 and withdraws it to the outside of the armrest part 2, the tension spring 264a is compressed to the left wall of the first cylinder 284, and then safety bar 100 is released. As the bar is retracted into the armrest part 2 again, the tension spring 264a is also stretched agai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afety bar 100 is retracted, thereby restoring the initial state.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린더(286)는 바퀴(3)를 기준으로 대칭 분할되어 일측(286a)의 제2 피스톤(282)에 연결된 멈춤부재(290)가 바퀴(3)의 일면에 접하고, 타측(286a)의 제2 피스톤(282)에 연결된 멈춤부재(290)가 바퀴(3)의 다른 일면에 동시에 접하였다가 안전바(100)가 인출되면 바퀴(3)에서 동시에 이격되어 바퀴(3)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브레이크(200)의 제동력을 강화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cylinder 286 is di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wheel 3, and the stop member 290 connected to the second piston 282 on one side 286a is one side of the wheel 3 , and the stop member 290 connected to the second piston 282 of the other side 286a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wheel 3 at the same time, and when the safety bar 100 is withdrawn, it is simultaneously spaced from the wheel 3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200 may be enhanced by being provided so that the lock of the wheel 3 is released.

다음으로 도 9 내지 13을 통하여 안전바(100)와 연동되는 발판(3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scaffold 300 interlocked with the safety bar 100 will be described through FIGS. 9 to 13 as follows.

발판(300)은 안전바(100)가 인출되면 상기 시트부(1)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안전바(100)와 연동되는 복수의 링크(3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ootrest 300 may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links 320 interlocking with the safety bar 100 so that the safety bar 100 protrudes fo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1 when the safety bar 100 is withdrawn.

여기서 링크(320)는 제1 링크(321), 제2 링크(3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링크(321)는 안전바(100)에 연결되고, 제2 링크(322)는 제1 링크(321)에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link 320 may include a first link 321 and a second link 322, the first link 321 is connected to the safety bar 100, the second link 322 is the first It can be connected to link 321 .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321)는 안전바(100)의 인출에 따라 타단이 초기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상승하도록 일단이 안전바(100)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the drawing, one end of the first link 32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afety bar 100 so that the other end rises rea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safety bar 100.

이때 제2 링크(322)는 안전바(100)의 인출에 따라 타단이 초기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하강함으로써, 타단에 연결 형성된 발판(300)이 시트부(1)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그 일단이 상술한 제1 링크(321)의 타단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322 descends back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safety bar 100, so that the footrest 300 connected to the other e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at part 1. One e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321 described above.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링크(320)는 제1 가이드(326)를 더 포함하여 제1 링크(321)와 제2 링크(322)의 동작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nk 32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uide 326 to guide the operation of the first link 321 and the second link 322 .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326)는 일측에서 타측까지 상향 경사를 가지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향경사를 가지는 절개홈을 따라 초기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상승하는 제1 링크(321)의 타단과 제2 링크(322)의 일단이 이동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guide 326 has an incision groove having an upward inclina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along the incision groove having an upward inclina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321 and the second guide 326 rising back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One end of the link 322 may be moved.

또한 링크(320)는 초기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하강하는 제2 링크(322)의 타단을 가이드하도록, 제2 가이드(3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327) 역시 제1 가이드(326)와 마찬가지로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 3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e 327 so as to guid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322 descending back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second guide 327 also includes a first guide ( 326), a cutting groove may be formed.

이때 제2 가이드(327)에 형성된 절개홈의 형상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제2 링크(322)의 타단과, 제2 링크(322)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후술할 제3 링크(324)의 일단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일측에서 타측까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incision formed in the second guide 327 i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322 having a certain length, and one end of a third link 324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322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downward slop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o guide the movement of.

여기서 안전바(100)의 인출로 복수의 링크(320)에 전해지는 힘의 크기는 힌지 결합되는 링크(320)가 추가될수록 상쇄되어 상술한 제1 가이드(326) 및 제2 가이드(327)를 통해 움직임을 가이드하더라도 링크(320)가 초기위치로 복귀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1 가이드(326)와 제2 가이드(327)에는 링크(320)의 연결부위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Here, the magnitude of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links 320 due to the withdrawal of the safety bar 100 is offset as the hinged link 320 is added, and the above-described first guide 326 and second guide 327 Since the link 320 may not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even if the movement is guided through the link 320 may occu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irst guide 326 and the second guide 327 are connected to the link 320 at the initial position. A spring having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returning to may be further provided.

다음으로 링크(320)는 제2 링크(322)와 발판(300) 사이에 연결되어 발판(300)이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거나 인입되게 하는 보조링크(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link 32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link 323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link 322 and the scaffold 300 so that the scaffold 300 protrudes or is drawn forward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ground. there is.

구체적으로 보조링크(323)는 제3 링크(324), 제4 링크(325)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uxiliary link 323 may include a third link 324 and a fourth link 325 .

예를 들어 제3 링크(324)의 일단은 제2 링크(322)의 타단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제2 링크(322)의 타단이 초기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하강할 때 동일하게 동작함에 따라 제3 링크(324)의 타단은 초기위치에서 수직 하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end of the third link 32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322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322 operates in the same way when descend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toward the rear. The other end of the three links 324 may be provided to descend vertically from the initial position.

이때 제4 링크(325)의 일단은 제3 링크(324)의 타단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제3 링크(324)의 타단이 초기위치에서 수직 하강할 때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fourth link 325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324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324 can operate in the same way as when vertically descend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상술한 보조링크(323) 또한 제3 가이드(328)를 더 포함하여 제3 링크(324)와 제4 링크(325)의 움직임을 가이드 할 수 있으며, 제3 가이드(328) 또한 제1 가이드(326) 및 제2 가이드(327)와 마찬가지로 연결부위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auxiliary link 323 may further include a third guide 328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third link 324 and the fourth link 325, and the third guide 328 also includes the first guide ( 326) and the second guide 327, a spring having a restoring force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returns to an initial position.

구체적으로 제3 가이드(328)는 초기위치에서 수직 하강하는 제3 링크(324)의 타단 및 제4 링크(325)의 일단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guide 328 has a cut groov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324 and one end of the fourth link 325 vertically descend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It can be.

상술한 바와 같은 링크(320)의 구성에 따라 제4 링크(325)의 타단은 전방을 향해 이동되거나 다시 후방을 향해 복귀될 수 있게 마련됨에 따라 제4 링크(325)의 타단에 연결된 발판(300)이 안전바(100)가 체결되면 시트부(1)의 하부에서 돌출되었다가 안전바(100)의 체결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시트부(1)의 하부로 인입되어 발판(300)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ink 320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fourth link 325 is provided to be moved forward or returned to the rear, so that the footrest 30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link 325 ) protrud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at part 1 when the safety bar 100 is fastened, and when the fastening of the safety bar 100 is released, it is automatically drawn into the lower part of the seat part 1 for safety due to the scaffold 300 accidents can be prevented.

여기서 발판(300)이 시트부(1)의 하부에 인입되어 있는 초기위치로부터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거나 인입되도록 보조링크(323)는 지면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개홈이 형성된 제4 가이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Here, the auxiliary link 323 is formed with an incision groove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ground so that the footrest 300 protrudes or is drawn forwar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from the initial position where the footrest 30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seat part 1 4 guides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바, 브레이크, 발판이 연동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는 경우에 따라서 상술한 안전바와 발판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르게 안전바와 브레이크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afety bar, the brake, and the footrest are interlocked may include only the safety bar and the footrest, in some cases, and may include only the safety bar and the brake. may be configur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는 휠체어 바퀴 부분에 있는 브레이크를 채우지 않고 휠체어에 승하차하는 상황과 발판을 밟고 내리거나 발판에 걸리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는 스스로 혹은 보호자나 이송직원의 도움을 받아 휠체어에서 승하차할 때 보다 안전한 승하차가 가능하다.Therefore, the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the wheelchair without applying the brakes on the wheels of the wheelchair and the situation of stepping on and getting off or getting caught on the footrest, so the patient can be transported by himself or by a guardian. It is possible to get on and off the bus more safely when getting on and off the wheelchair with the help of staff.

이때 승하차 시 안전바를 푸는 것이 자연스럽고 직관적으로 행해져야 하므로 안전바의 움직임을 통해 브레이크와 발판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afety bar should be loosened naturally and intuitively when getting on and off the vehicle, the brake and the footrest are automatically adjust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afety bar, thereby preventing falls.

특히, 근력이 저하되거나 보행장애가 있는 노인의 휠체어 사용 안전성을 높이고 환자안전 문화 형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낙상으로 인한 불필요한 재원 일수 증가와 분쟁 발생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can increase the safety of using wheelchairs for the elderly with reduced muscle strength or walking disabilities,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patient safety culture, and relieve the economic burden caused by disputes and increase in unnecessary days of hospitalization due to falls.

또한 환자와 보호자가 낙상 예방을 위한 절차를 매번 기억하고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낮은 교육 이행도로 인한 간호사의 스트레스 감소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greatly reduce the hassle of patients and guardians having to remember and perform the procedures for preventing falls every time, and nurses' stress can be reduced due to low educational performance.

즉 안전바, 브레이크, 및 발판이 연동되는 휠체어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낙상이 예방되는 넛지 효과를 유도하여 휠체어 낙상 예방을 통해 환자 안전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That is, by having a wheelchair structure in which a safety bar, brakes, and footrests are interlocked, a nudge effect in which falls are naturally prevented during use is induced, thereby contributing to patient safety enhancement through prevention of wheelchair fall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a matter of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1: 시트부
2: 팔걸이부
2a,2b: 고무패드
3: 바퀴
100: 안전바
200: 브레이크
201: 고정판
220: 스토퍼부재
240: 연결부재
260: 복원부재
280: 실린더부재
281: 제1 피스톤
282: 제2 피스톤
284: 제1 실린더
284a: 인장스프링
286: 제2 실린더
290: 멈춤부재
300: 발판
320: 링크
321: 제1 링크
322: 제2 링크
323: 보조링크
324: 제3 링크
325: 제4 링크
326: 제1 가이드
327: 제2 가이드
328: 제3 가이드
10: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1: seat portion
2: armrest
2a, 2b: rubber pad
3: wheels
100: safety bar
200: brake
201: fixed plate
220: stopper member
240: connecting member
260: restoration member
280: cylinder member
281: first piston
282: second piston
284: first cylinder
284a: tension spring
286: second cylinder
290: stopping member
300: scaffolding
320: link
321: first link
322: second link
323: auxiliary link
324: third link
325: fourth link
326 first guide
327 second guide
328 third guide

Claims (10)

시트부 양측에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팔걸이부가 구비된 휠체어로서,
상기 팔걸이부 내측에서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복부에 체결되는 안전바; 및
상기 안전바와 연동되는 복수의 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바가 인출되면 상기 시트부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발판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는,
일단이 상기 안전바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안전바의 인출에 따라 타단이 초기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상승하는 제1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안전바의 인출에 따라 타단이 초기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하강함으로써, 타단에 연결 형성된 상기 발판이 상기 시트부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A wheelchair equipped with armrests on both sides of the seat where the user's arms are seated,
A safety bar that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armrest and is fastened to the user's abdomen; and
It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links interlocking with the safety bar and includes a footrest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at when the safety bar is withdrawn,
The link is
A first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afety bar so that the other end rises rearward from an initial position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safety bar, and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to withdraw the safety ba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link that allows the footrest connected to the other en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at by lowering the other end toward the rear from the initial position according to,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초기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상승하는 상기 제1 링크의 타단 및 상기 제2 링크의 일단을 가이드하도록, 일측에서 타측까지 상향 경사를 가지는 절개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guide formed with a cutout groove having an upward inclina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to guide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nd one end of the second link rising back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초기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하강하는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을 가이드하도록, 일측에서 타측까지 하향 경사를 가지는 절개홈이 형성된 제2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2,
The lin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guide formed with a cutout groove having a downward slop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o as to guid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descend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toward the rear.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발판이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거나 인입되도록, 상기 제2링크와 상기 발판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link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link and the scaffold so that the scaffold protrudes or is drawn forwar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이 초기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하강할 때 타단이 초기위치에서 수직 하강하는 제3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3 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발판이 연결되어, 상기 제3 링크의 타단이 초기위치에서 수직 하강할 때 타단이 초기위치로부터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4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4,
The auxiliary link is
a third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nd vertically descend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descends back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nd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and the footres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so that when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descends vertically from the initial position, the other e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gr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link that becomes,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는,
초기위치에서 수직 하강하는 상기 제3 링크의 타단 및 상기 제4 링크의 일단을 가이드하도록,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개홈이 형성된 제3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5,
The auxiliary lin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guide having a cutout groov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to guide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and one end of the fourth link vertically descend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시트부 양측에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팔걸이부가 구비된 휠체어로서,
상기 팔걸이부 내측에서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복부에 체결되는 안전바;
상기 안전바와 연동하여 상기 안전바가 인출되면 바퀴의 잠금이 해제되는 브레이크; 및
상기 안전바와 연동되는 복수의 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바가 인출되면 상기 시트부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발판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는,
일단이 상기 안전바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안전바의 인출에 따라 타단이 초기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상승하는 제1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안전바의 인출에 따라 타단이 초기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하강함으로써, 타단에 연결 형성된 상기 발판이 상기 시트부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A wheelchair equipped with armrests on both sides of the seat where the user's arms are seated,
A safety bar that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armrest and is fastened to the user's abdomen;
a brake interlocking with the safety bar to unlock the wheel when the safety bar is withdrawn; and
It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links interlocking with the safety bar and includes a footrest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at when the safety bar is withdrawn,
The link is
A first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afety bar so that the other end rises rearward from an initial position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safety bar, and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to withdraw the safety ba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link that allows the footrest connected to the other en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at by lowering the other end toward the rear from the initial position according to,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안전바가 상기 팔걸이부에서 인출될 때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바퀴를 잠금 해제하였다가, 상기 안전바가 초기위치로 복원되면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바퀴를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7,
the brake,
When the safety bar is withdrawn from the armrest, i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 unlock the wheel, and when the safety bar is restored to its initial position, it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rake the wheel.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발판이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거나 인입되도록, 상기 제2링크와 상기 발판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7,
The lin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link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link and the scaffold so that the scaffold protrudes or is drawn forwar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이 초기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하강할 때 타단이 초기위치에서 수직 하강하는 제3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3 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발판이 연결되어, 상기 제3 링크의 타단이 초기위치에서 수직 하강할 때 타단이 초기위치에서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4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9,
The auxiliary link is
a third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nd vertically descend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descends back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nd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and the footres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so that when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descends vertically from the initial position, the other e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gr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link that becomes,
Fall prevention wheelchair for hospital use.
KR1020230017198A 2021-04-08 2023-02-09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KR1025299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198A KR102529967B1 (en) 2021-04-08 2023-02-09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31A KR102547973B1 (en) 2021-04-08 2021-04-08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KR1020230017198A KR102529967B1 (en) 2021-04-08 2023-02-09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631A Division KR102547973B1 (en) 2021-04-08 2021-04-08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366A true KR20230026366A (en) 2023-02-24
KR102529967B1 KR102529967B1 (en) 2023-05-08

Family

ID=838100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631A KR102547973B1 (en) 2021-04-08 2021-04-08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KR1020230017198A KR102529967B1 (en) 2021-04-08 2023-02-09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631A KR102547973B1 (en) 2021-04-08 2021-04-08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7973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615B1 (en) * 1995-12-29 1999-02-18 김태구 Armrest in a car with safety belt
JP2013244244A (en) * 2012-05-28 2013-12-09 Toyota Boshoku Corp Vehicle seat
JP3190717U (en) * 2014-03-05 2014-05-22 亥三雄 中野 Wheelchair ste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20160068615A (en) * 2014-12-05 2016-06-15 유영배 Wheelchair Brake System
KR20190111399A (en) * 2018-03-22 2019-10-02 유영배 Safety Wheelchair Brake Device
KR20200020340A (en) * 2018-08-17 2020-02-26 유영배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Foot Rests
KR102153883B1 (en) * 2019-11-20 2020-09-09 최경영 Assembly combinded with wheel-chair and electric-board
KR20210009043A (en) * 2019-07-16 2021-01-26 문현덕 An electric wheelchair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fastening of a protective devic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615B1 (en) * 1995-12-29 1999-02-18 김태구 Armrest in a car with safety belt
JP2013244244A (en) * 2012-05-28 2013-12-09 Toyota Boshoku Corp Vehicle seat
JP3190717U (en) * 2014-03-05 2014-05-22 亥三雄 中野 Wheelchair ste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20160068615A (en) * 2014-12-05 2016-06-15 유영배 Wheelchair Brake System
KR20160086314A (en) * 2014-12-05 2016-07-19 유영배 Wheelchair Brake System
KR20190111399A (en) * 2018-03-22 2019-10-02 유영배 Safety Wheelchair Brake Device
KR20200020340A (en) * 2018-08-17 2020-02-26 유영배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Foot Rests
KR20210009043A (en) * 2019-07-16 2021-01-26 문현덕 An electric wheelchair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fastening of a protective device
KR102153883B1 (en) * 2019-11-20 2020-09-09 최경영 Assembly combinded with wheel-chair and electric-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547A (en) 2022-10-17
KR102529967B1 (en) 2023-05-08
KR102547973B1 (en)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673B2 (en) Stair chair
US4384713A (en) Safety rolling invalid walker
US6347688B1 (en) Wheel chair rollback stop
US7003820B1 (en) Supportive device for handicapped people
JP2015504343A (en) Chair with wheels
CA2152309A1 (en) Easy transport seat
EP3609450B1 (en) Device configured to transport a human body
US7614103B2 (en) Stretcher with brake mechanism
KR102529967B1 (en) Hospital fall prevention wheelchair
US8424654B2 (en) Wheelchair safety device
JP3159622U (en) wheelchair
EP1578637B1 (en) A vehicle fitting
US11918517B2 (en) Cover systems for blocking apertures of patient support apparatuses
US20220409457A1 (en) Wheelchair footrests
AU2014278148B2 (en) Assisted lifting devices for roll-in cots
US20030098568A1 (en) Safety locking wheelchair
KR102134442B1 (en) Patient transfer device capable of lateral movement
CN207654359U (en) A kind of common therapy and nurse carrying platform
US20150272409A1 (en) Hands Free Lifting Mechanism For Toilets
JPH09238988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human body
CN216258128U (en) A safety protection seat for hospital pulmonary function inspection
CN219921396U (en) Wheelchair and patient transfer system
US20240016682A1 (en) Three-point transfer belt
US11819466B2 (en) Safety system for a bathroom facility transfer system
CN215875158U (en) Restraint chair is used in psychiatric department nur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