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237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26237A KR20230026237A KR1020210193502A KR20210193502A KR20230026237A KR 20230026237 A KR20230026237 A KR 20230026237A KR 1020210193502 A KR1020210193502 A KR 1020210193502A KR 20210193502 A KR20210193502 A KR 20210193502A KR 20230026237 A KR20230026237 A KR 202300262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or filter
- display device
- black matrix
- layer
- filter patter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4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16 photochemical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96 quantum d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51 lactam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986 novola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urethane group Chemical group NC(=O)OCC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랙매트릭스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액티브 영역 내의 접착제층 측에서 컬러필터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픈되어 컬러필터에서 난반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표시장치는 정보 통신 기술시대의 핵심 기술로 표시영역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시장치는 특정한 빛만 통과시키는 편광판을 이용하여 표시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외부 광의 반사율을 저하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최근 표시장치의 휴대성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하여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표시장치가 접히거나 말릴 때 표시장치에 포함된 편광판의 광학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표시장치가 편광판을 포함할 경우 편광판의 두꺼운 두께로 인하여 표시장치의 박형화에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시장치에서 편광판을 생략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편광판을 생략하고 컬러필터를 이용하여 외부 광 반사율을 저하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편광판을 대신하여 도입한 컬러필터에 의하여 난반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컬러필터 형성시 컬러필터가 역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난반사가 발생하고 역테이퍼의 하부에 공극이 발생하여 공정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컬러필터에 의해 무지개 형태의 무라(mura)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컬러필터가 역테이퍼 형상을 가지지 않아 컬러필터에 의한 난반사가 억제되고 공정불량을 예방할 수 있으며, 무지개 형태의 무라를 예방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실질적으로 전부가 컬러필터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픈된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여 컬러필터가 역테이퍼 형상을 가지지 않아 난반사가 억제되고 역테이퍼 형상의 컬러필터에 의한 공정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블랙매트릭스의 두께가 컬러필터의 두께보다 두꺼워 무지개 형태의 무라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컬러필터 상부에 위치하는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여 무지개 형태의 무라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액티브 영역,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블랙매트릭스,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컬러필터 및 상기 블랙매트릭스 및 상기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액티브 영역 내에서 실질적으로 전부가 상기 접착제층 측에서 상기 컬러필터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픈된다.
상기 컬러필터는 역테이퍼 형상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의 두께가 상기 컬러필터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가 상기 컬러필터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블랙매트릭스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액티브 영역 내의 접착제층 측에서 컬러필터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픈되어 컬러필터에서 난반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블랙매트릭스가 컬러필터에서 난반사되는 빛을 차단함으로써, 무지개 형태의 무라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개시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컬러필터에서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개시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컬러필터에서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다수의 데이터라인(DL) 및 다수의 게이트라인(GL)이 배치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DL) 및 다수의 게이트라인(GL)과 연결되는 다수의 서브픽셀(SP)이 액티브 영역(110)에 배열된 표시패널(PNL)과, 표시패널(PNL)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회로는, 기능적으로 볼 때, 다수의 데이터라인(DL)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회로(DDC)와, 다수의 게이트라인(GL)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회로(GDC)와, 데이터 구동회로(DDC) 및 게이트 구동회로(GDC)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T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PNL)에서 다수의 데이터라인(DL) 및 다수의 게이트라인(GL)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데이터라인(DL)은 행(Row) 또는 열(Column)으로 배치될 수 있고, 다수의 게이트라인(GL)은 열(Column) 또는 행(Row)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수의 데이터라인(DL)은 행(Row)으로 배치되고, 다수의 게이트라인(GL)은 열(Column)로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컨트롤러(CTR)는, 데이터 구동회로(DDC) 및 게이트 구동회로(GDC)의 구동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제어신호(DCS, GCS)를 공급하여, 데이터 구동회로(DDC) 및 게이트 구동회로(GDC)를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CTR)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회로(DDC)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DATA)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
이러한 컨트롤러(CTR)는 통상의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이용되는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이거나,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를 포함하여 다른 제어 기능도 더 수행할 수 있는 제어장치일 수 있다.
컨트롤러(CTR)는, 데이터 구동회로(DDC)와 별도의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데이터 구동회로(DDC)와 함께 통합되어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컨트롤러(CTR)로부터 영상 데이터(DATA)를 입력 받아 다수의 데이터라인(DL)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라인(DL)을 구동한다. 여기서,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소스 구동회로라고도 한다.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Source-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 소스-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래치 회로(Latch Circuit),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출력 버퍼(Output 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소스-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는, 경우에 따라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소스-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패널(PNL)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패널(PNL)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PNL)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소스-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는, 표시패널(PNL)에 연결된 소스-회로필름 상에 실장 되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GDC)는, 다수의 게이트라인(GL)로 스캔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게이트라인(GL)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여기서, 게이트 구동회로(GDC)는 스캔 구동회로라고도 한다.
게이트 구동회로(GDC)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PNL)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패널(PNL)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PNL)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 구동회로(GDC)는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DIC)로 구현되어 표시패널(PNL)과 연결된 게이트-회로필름 상에 실장 되는 칩 온 필름(COF)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GDC)는, 컨트롤러(CTR)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신호를 다수의 게이트라인(GL)로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게이트 구동회로(GDC)에 의해 특정 게이트라인이 열리면, 컨트롤러(CTR)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데이터라인(DL)로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표시패널(PNL)의 일 측(예: 상측 또는 하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 방식, 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 표시패널(PNL)의 양측(예: 상 측과 하 측)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GDC)는, 표시패널(PNL)의 일 측(예: 좌측 또는 우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 방식, 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 표시패널(PNL)의 양측(예: 좌 측과 우 측)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표시패널(PNL)에 배치된 다수의 게이트라인(GL)은 다수의 스캔라인(SCL), 다수의 센스라인(SCL) 및 다수의 발광제어라인(EML)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라인(SCL), 센스라인(SCL) 및 발광제어라인(EML)은 서로 다른 종류의 트랜지스터들(스캔 트랜지스터, 센스 트랜지스터, 발광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노드로 서로 다른 종류의 게이트 신호(스캔신호, 센스신호, 발광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배선들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200)는 기판(210), 기판(210) 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220), 뱅크층(230), 봉지층(240), 봉지층 상의 터치전극층(TOE, Touch on Encapsulation, 250), 편광판(260) 및 커버윈도우(27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0)은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회로소자가 위치하는 것으로서,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 등의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소자(220)는 제1 전극(221), 발광층(222) 및 제2 전극(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223)은, 복수의 발광소자의 공통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221)은 투명전극 또는 반사전극일 수 있으며,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223)은 투명전극 또는 반사전극일 수 있으며,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221) 및 제2 전극(223) 사이에는 발광층(222)이 위치할 수 있다.
발광소자(220)는 발광층(220)이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OLED)일 수 있다. 또는, 발광소자(220)는 발광층에 퀀텀닷(Quantum Dot)을 이용하는 퀀텀닷발광소자(QLED)일 수 있다.
봉지층(240)은 기판(210) 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220) 등의 회로소자를 표시장치(200) 외부의 수분 및 산소로부터 보호하는 층으로서, 하나 이상의 유기층, 무기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 상의 터치전극층(TOE, 250)은, 제1 터치절연막(251), 제2 터치절연막(252), 터치전극(253) 및 터치봉지층(254)을 포함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200)는 편광판(260)을 포함함으로써, 외부 광 반사율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발광소자(220)에서 시청면인 커버윈도우(270)를 향해 방출된 빛이 편광판(260)을 거치게 된다. 편광판(260)은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편광판(260)에 의해 투과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장치(300)는 기판(310), 기판(210) 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320), 뱅크층(330), 봉지층(340), 봉지층 상의 터치전극층(TOE, Touch on Encapsulation, 350), 봉지층 상의 컬러필터(COE, Color filter on Encapsulation, 360), 접착제층(370) 및 커버윈도우(380)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340)은 기판(310) 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320) 등의 회로소자를 표시장치(300) 외부의 수분 및 산소로부터 보호하는 층으로서,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 상의 터치전극층(TOE, 350)은, 제1 터치절연막(351), 제2 터치절연막(352), 터치전극(353) 및 터치봉지층(354)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 상의 컬러필터(COE, 360)는, 컬러필터기판(361), 블랙매트릭스(362) 및 컬러필터(363)를 포함한다.
표시장치(300)는, 상술한 표시장치(200)과 상이하게 편광판을 포함하지 않으며, 편광판을 대신하여 봉지층 상의 컬러필터(COE, 360)를 포함한다.
그러나,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300)는 발광소자(320) 등을 형성한 이후에 컬러필터(360)를 형성하는데, 발광소자(320) 등의 회로소자가 고온에서는 손상될 수 있으므로 컬러필터(360)를 저온에서 형성한다. 이에 따라 컬러필터(363)가 역테이퍼 형상을 가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이후 도 4 등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표시장치(300)의 컬러필터(363)의 패터닝 공정 중 컬러필터를 형성용 재료를 노광하는 공정(430)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컬러필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컬러필터 형성용 재료(410)에 마스크(420)를 이용하여 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마스크를 통과한 빛은 컬러필터 형성용 재료(410)에 입사한다. 컬러필터 형성용 재료(410)는, 컬러필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한 파장의 광을 흡수하는 안료 등의 색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색재가 입사된 광을 흡수하므로, 컬러필터 형성용 재료(410)의 표면(410a)은 노광에 의하여 경화가 충분히 진행되지만, 컬러필터 형성용 재료(410)의 심층부(410b)는 광이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여 광경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표시장치(300)의 컬러필터(363)의 패터닝 공정 중 컬러필터 형성용 재료를 현상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현상된 컬러필터 형성용 재료(510)가 역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 설명한 것처럼 재료의 표면부는 노광에 의하여 충분한 광경화가 진행되나, 재료의 심층부는 재료에 포함된 색재가 광을 흡수하여 충분한 양의 빛이 도달하지 않아 광경화가 충분하게 진행되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현상을 진행하면 광경화가 충분히 진행된 표층부의 재료가 더욱 많이 남게 되고, 광경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은 심층부의 재료는 제거되어 컬러필터가 역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표시장치(300)의 컬러필터(363)의 패터닝 공정 중 컬러필터 형성용 재료를 베이킹(baking)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비교예의 표시장치(300)는 발광소자(320) 등을 형성한 후에 컬러필터를 형성하므로, 컬러필터 형성용 재료를 베이킹(baking)하는 공정은 발광소자 등이 훼손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약 100 ℃ 의 저온에서 진행한다. 그러나, 저온에서 베이킹 공정을 진행할 경우 충분한 고온에서 진행하는 베이킹 공정과 달리 컬러필터 형성용 재료(610)의 리플로우(reflow)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리플로우(reflow)가 일어날 경우 역테이퍼 형상인 컬러필터 형성용 재료(610)가 테이퍼 형상(610')으로 변형되나, 저온에서 베이킹 공정이 진행될 경우 컬러필터 형성용 재료(610)는 역테이퍼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도 7은 표시장치(300)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장치(300)는 블랙매트릭스(362) 및 컬러필터 (363)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363)는 상술하였듯이 역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362)는 컬러필터(363)를 구성하는 복수의 컬러필터패턴 사이에 위치하면서 컬러필터패턴의 경계부에서의 혼색을 방지하는 한편, 표시장치의 반사율을 낮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컬러필터(363)가 역테이퍼 형상을 가지게 될 경우 외부 광이 블랙매트릭스에 입사되지 않고 블랙매트릭스보다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컬러필터(363)의 역테이퍼 부분에 입사할 수 있다. 따라서, 컬러필터(363)가 역테이퍼 형상을 가지면 표시장치의 반사율이 증가하여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도 8은 표시장치(300)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이 역테이퍼 형상인 컬러필터(363)에 입사할 수 있다. 컬러필터(363)의 중앙부로 입사된 빛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역테이퍼 형상인 컬러필터(363)의 주변부로 입사한 빛은 컬러필터(363)가 역테이퍼 형상이 아닐 때와는 다른 휘도 및 컬러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컬러필터패턴이 역테이퍼 형상을 가질 경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학적인 측면에서의 문제 외에 공정 측면에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컬러필터패턴이 형성된 후에 후속 공정을 진행할 경우 역테이퍼 형상을 가진 컬러필터 패턴의 하부에 공극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장치에 얼룩이 발생하거나 공정중에 층이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장치(300)에 있어서, 봉지층 상의 컬러필터(COE, 360) 일부분의 단면도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블랙매트릭스(362), 컬러필터(363), 블랙매트릭스(362) 및 컬러필터(363) 상에 위치하는 오버코트층(910) 및 접착제층(9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컬러필터(363) 또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공정을 통해 형성되므로, 역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은 컬러필터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0 등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특별히 달리 설명하지 않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대응되는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은 표시장치의 봉지층 상의 컬러필터 일부분의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액티브 영역(미도시), 봉지층(미도시),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블랙매트릭스(1062),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컬러필터(1063) 및 상기 블랙매트릭스(1062)와 상기 컬러필터(1063) 상에 위치하는 접착제층(1070)을 포함한다.
블랙매트릭스(1062)는 액티브 영역 내에서 실질적으로 전부가 접착제층(1070) 측에서 컬러필터(1063)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픈된다. 액티브 영역 내에 위치하는 블랙매트릭스(1062)가 컬러필터(1063)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픈되므로, 접착제층(1070) 측, 즉 표시장치(100)가 영상을 표시하는 측에서 관찰할 때 블랙매트릭스(1062)가 컬러필터(1063)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따라서, 컬러필터(1063)는 역테이퍼 형상을 가지지 않으며, 컬러필터(1063) 보다 반사율이 낮은 블랙매트릭스(1062)가 더욱 많은 면적을 차지할 수 있어 접착제층(1070) 측에서 입사되는 외부 광을 표시장치(100)가 더욱 적게 반사하여 외부 광 반사를 줄일 수 있다.
컬러필터(1063)는, 복수의 컬러필터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1063)는, 제1 컬러필터패턴(1063a), 제2 컬러필터패턴(1063b) 및 제3 컬러필터패턴(1063c)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컬러필터패턴은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블랙매트릭스(1062)와 접착제층(1070) 사이에 위치하는 오버코트층(1010)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코트층(1010)은 컬러필터(1063)를 평탄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오버코트층(1010)은 컬러필터(1063)가 형성되기 전에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필터기판 상에 블랙매트릭스(1063)를 패터닝하고, 이후 블랙매트릭스(1063) 상에 오버코트층(1010)을 패터닝하여 오버코트층(1010)을 형성할 수 있다.
오버코트층(1010)은 컬러필터(1063)와 달리 특정한 파장의 광을 흡수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컬러필터(1063)와 달리 광을 흡수하는 안료 등의 색재를 포함하지 않거나, 포함하더라도 컬러필터(1063) 보다 매우 적은 양만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오버코트층(1010)을 패터닝하는 공정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색재를 포함하는 컬러필터(1063)를 패터닝하는 공정과는 달리 오버코트층(1010)이 역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으며, 보다 정교하게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오버코트층(1010)을 형성한 이후에 컬러필터(1063)를 형성할 경우, 컬러필터(1063)를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공정에 의하여 형성하지 않고, 예를 들면, 패터닝된 오버코트층(101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만 컬러필터(1063)가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컬러필터(1063)가 역테이퍼 형상을 가지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100)는 역테이퍼 형상을 가지지 않는 컬러필터(1063)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역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컬러필터에 의해 반사율이 증가하거나, 방출되는 빛의 휘도가 감소하고 색좌표가 변화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오버코트층(1010)은 가시광에 대해 투명한 층일 수 있다. 오버코트층(1010)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컬러필터(1063)는 접착제층(107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300) 에서는 컬러필터(363)와 접착제층(970) 사이에 컬러필터(363)를 평탄화하는 오버코트층(91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컬러필터(1063)가 접착제층(107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컬러필터의 두께가 더욱 얇아질 수 있으므로, 액티브영역 상에서 블랙매트릭스(1063)가 발광소자에 대하여 이격되는 거리를 더욱 좁힐 수 있어 블랙매트릭스(1063)가 액티브영역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고 표시장치가 더욱 낮은 반사율을 가질 수 있다.
접착제층(1070)은 가시광선 영역대에서 파장에 따라 변화하는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접착제층(1070)이 가시광선 영역대에서 파장에 따라 변화하는 투과율을 가진다는 것은, 각기 상반되는 파장의 광에 대하여 상이한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접착제층(1070)이 가시광선 영역대에서 파장에 따라 변화하는 투과율을 가질 경우, 발광소자(미도시)에서 방출되어 컬러필터(1063)를 통과한 빛의 색상을 변화시키지는 않으면서, 외부 광이 접착제층(1070)을 통과하여 블랙매트릭스(1062) 또는 컬러필터(1063)에서 반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편광판을 포함하지 않아도 외부 광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접착제층(1070)이 가시광선 영역대에서 파장에 따라 변화하는 투과율을 가질 경우, 오버코트층(1010)은 가시광선 영역대의 빛에 대해서 투명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은 표시장치의 봉지층 상의 컬러필터 일부분의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표시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특별히 달리 설명하지 않는 구성은 앞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대응되는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오버코트층(1010)은 가시광선 영역대에서 파장에 따라 변화하는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오버코트층(1010)이 가시광선 영역대에서 파장에 따라 변화하는 투과율을 가진다는 것은, 각기 상반되는 파장의 광에 대하여 상이한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오버코트층(1070)이 가시광선 영역대에서 파장에 따라 변화하는 투과율을 가질 경우, 접착제층(1070)은 가시광선 영역대의 빛에 대하여 투명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발광소자(미도시)에서 방출된 광이 컬러필터(1063) 및 투명한 접착제층(1070)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투과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외부에서 입사되어 투명한 접착제층(1070)을 통과한 빛은, 블랙매트릭스(1062)에서 반사되기 전에 파장에 따라 상이한 투과율을 가지는 오버코트층(1010)을 통과해야 하므로, 외부 광 반사율을 저하시킬 수 있어 표시장치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는 표시장치의 봉지층 상의 컬러필터 일부분의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표시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특별히 달리 설명하지 않는 구성은 앞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대응되는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블랙매트릭스(1062)는 회색 색상을 가지는 매트릭스일 수 있다. 즉, 블랙매트릭스(1062)는, 광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입사된 광의 일부분을 투과시킬 수 있는 소정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062)는, 블랙나노입자 및 화이트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나노입자는,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블랙매트릭스에 첨가되는 블랙나노입자면 특별히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블랙나노입자는, 카본 블랙(Carbon Black) 및 락탐 블랙(Lactam Black)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화이트나노입자는, 예를 들면, 이산화티탄(TiO2)일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062)에 포함되는 블랙나노입자 및 화이트나노입자의 함량에 따라서, 블랙매트릭스(1062)의 투과율 및 반사율이 결정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062)가 블랙나노입자와 화이트나노입자를 둘 다 포함하면 표시장치의 블랙매트릭스에 요구되는 반사율 및 투과율을 만족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예를 들어, 블랙매트릭스(1062)가 화이트나노입자만을 포함할 경우에는 투과율이 높아 표시장치가 우수한 효율 및 밝기를 가지나 반사율이 높아 표시장치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블랙나노입자만을 포함할 경우에는 표시장치의 반사율이 낮아 시인성은 우수하나 투과율이 매우 떨어져 표시장치의 효율 및 밝기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블랙매트릭스(1062)가 블랙나노입자 및 화이트나노입자를 모두 포함할 경우, 표시장치가 우수한 반사율 및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062)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는 노볼락(Novolac)계, 아크릴(Acryl)계, 카르도(Cardo)계 및 폴리이미드(Polyimide)계 고분자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062)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노머는 아크릴(Acryl)계 모노머로서 에스터(Ester) 및 우레탄(Urethane)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내지 14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모노머일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062)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매트릭스(1062)는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은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블랙매트릭스로 사용되는 층으로서, 예를 들면, 블랙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은, 화이트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062)가 화이트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제2 층을 포함함으로써, 높은 투과율과 함께 낮은 반사율을 가질 수 있어 무지개 형태의 무라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제1 층이 하부에 위치하고 제2 층이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층이 상부에 위치하고 제2 층이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컬러필터는 제1 컬러필터패턴(1063a), 제2 컬러필터패턴(1063b) 및 제3 컬러필터패턴(106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컬러필터패턴(1063a), 제2 컬러필터패턴(1063b), 제3 컬러필터패턴(1063c) 및 블랙매트릭스(106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컬러필터패턴들(1063a, 1063b, 1063c)과 블랙매트릭스(1062)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경우, 무지개 형태의 무라가 나타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은 표시장치의 봉지층 상의 컬러필터 일부분의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표시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특별히 달리 설명하지 않는 구성은 앞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대응되는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블랙매트릭스(1062)와 접착제층(1070)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062)와 접착제층(1070)이 직접 접촉할 경우, 컬러필터(106)와 블랙매트릭스(1062)의 단차는 접착제층(1070)에 의하여 평탄화될 수 있다.
컬러필터(1063)는 제1 컬러필터패턴(1063a) 및 제2 컬러필터패턴(106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컬러필터패턴(1063a)은 블랙매트릭스(106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제2 컬러필터패턴(1063b)은 그 두께가 블랙매트릭스(1062)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2 컬러필터패턴(1063b)의 두께가 블랙매트릭스(1062)의 두께보다 두꺼울 경우, 표시장치가 더욱 낮은 반사율을 가질 수 있다.
접착제층(1070)은 투명 접착제층일 수도 있으며, 가시광선 영역대에서 파장에 따라 변화하는 투과율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4는 표시장치의 봉지층 상의 컬러필터 일부분의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표시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특별히 달리 설명하지 않는 구성은 앞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대응되는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블랙매트릭스(1062)의 두께가 컬러필터(1063)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컬러필터(1063)는 제1 컬러필터패턴(1063a), 제2 컬러필터패턴(1063b) 및 제3 컬러필터패턴(1063c)을 포함하고, 블랙매트릭스(1062)는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필터패턴의 두께 모두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062)가 상술한 두께를 가질 경우, 인접한 컬러필터패턴들의 경계에서 반사된 빛을 블랙매트릭스(1062)가 차단할 수 있으므로, 인접한 컬러필터패턴들의 경계에서 반사된 빛이 혼합되어 발생하는 무지개 형태의 무라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표시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특별히 달리 설명하지 않는 구성은 앞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대응되는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기판(1510), 기판 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1520), 뱅크층(1530), 발광소자 상에 위치하는 봉지층(1540), 봉지층 상의 터치전극층(TOE, 1550), 봉지층 상의 컬러필터(COE, 1560) 및 접착제층(1570)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은 개구부(1511) 및 비개구부(1512)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511)는 액티브 영역에 있어서 뱅크층(1530)이 형성되지 않고 발광소자(1520)가 오픈된 영역일 수 있다. 비개구부(1512)는 액티브 영역에 있어서 뱅크층(1530)이 형성되어 발광소자(1520)가 오픈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봉지층 상의 컬러필터(COE, 1560)는, 컬러필터(1561) 및 블랙매트릭스(1562)를 포함한다.
블랙매트릭스(1562)는 비개구부(1512)에 위치하고, 개구부(1511)로부터 일정거리(A)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562)가 개구부(1511)로부터 일정거리(A)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발광소자(1520)의 정면이 아닌 측면 시야각 방향으로 방출된 광이 블랙매트릭스(1562)에 의해 차단되지 않으므로, 시야각 방향으로 충분한 휘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6은 표시장치의 액티브 영역(1610)의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개구부(1511)는 뱅크층(1530)에 의해 정의된다. 개구부(1511)에는 발광소자(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뱅크층(1530)은 뱅크층(1530)과 발광소자(미도시)에 인접한 일부분이다.
뱅크층(1530)이 위치하는 비개구부에 블랙매트릭스(1562)가 위치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562)는 개구부(151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562)가 개부루(151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개구부(1511)의 주위에 위치하므로, 뱅크층(1530)이 오픈된 개구부(1511)보다 블랙매트릭스(1562)가 오픈된 영역의 면적이 더욱 클 수 있다. 이처럼 블랙매트릭스(1562)가 개구부(151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경우, 표시장치가 정면 뿐만 아니라 소정 값 이상의 시야각 방향에서도 우수한 휘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표시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특별히 달리 설명하지 않는 구성은 앞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대응되는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컬러필터(1063), 블랙매트릭스(1062), 오버코트층(1010) 및 접착제층(107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062)가 컬러필터(106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062)가 컬러필터(1063) 상에 위치함으로써, 컬러필터가 포함하는 컬러필터패턴들(1063a, 1063b, 1063c)의 경계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하여 무지개 형태의 무라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컬러필터패턴들(1063a, 1063b, 1063c)의 경계에서 반사되는 빛이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는 블랙매트릭스(1062)에 의해 차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표시장치(100)는, 액티브 영역(110), 봉지층(340),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블랙매트릭스(1062),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컬러필터(1063) 및 상기 블랙매트릭스 및 상기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는 접착제층(1070)을 포함한다.
상기 블랙매트릭스(1062)는 상기 액티브 영역 내에서 실질적으로 전부가 상기 접착제층(1070) 측에서 상기 컬러필터(1063)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픈된다.
상기 컬러필터(1063)는 역테이퍼 형상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1063)는 상기 접착제층(107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1070)은 가시광선 영역대에서 파장에 따라 변화하는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062)는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은 블랙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제2 층은 화이트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1063)는 제1 컬러필터패턴(1063a), 제2 컬러필터패턴(1063b) 및 제3 컬러필터패턴(106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컬러필터패턴(1063a), 제2 컬러필터패턴(1063b), 제3 컬러필터패턴(1063c) 및 블랙매트릭스(106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표시장치는, 상기 블랙매트릭스(1062)와 상기 접착제층(1070) 사이에 위치하는 오버코트층(101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코트층(1010)은 가시광선 영역대에서 파장에 따라 변화하는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1062)와 상기 접착제층(1070)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1063)는 제1 컬러필터패턴(1063a) 및 제2 컬러필터패턴(1063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컬러필터패턴(1063a)은 상기 블랙매트릭스(106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1063)는 제1 컬러필터패턴(1063a) 및 제2 컬러필터패턴(1063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컬러필터패턴(1063b)의 두께가 상기 블랙매트릭스(1062)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액티브 영역(1610)은 개구부(1511) 및 비개구부(1512)를 포함하고, 상기 블랙매트릭스(1562)는 상기 비개구부(1512)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1511)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1062)의 두께가 상기 컬러필터(1063)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1062)가 상기 컬러필터(106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장치
110: 액티브영역
340: 봉지층
1062: 블랙매트릭스
1063: 컬러필터
1070: 접착제층
110: 액티브영역
340: 봉지층
1062: 블랙매트릭스
1063: 컬러필터
1070: 접착제층
Claims (14)
- 액티브 영역;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블랙매트릭스;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컬러필터; 및
상기 블랙매트릭스 및 상기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는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액티브 영역 내에서 실질적으로 전부가 상기 접착제층 측에서 상기 컬러필터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픈된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가 역테이퍼 형상을 가지지 않는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는 상기 접착제층과 직접 접촉하는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가시광선 영역대에서 파장에 따라 변화하는 투과율을 가지는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접착제층 사이에 위치하는 오버코트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은 가시광선 영역대에서 파장에 따라 변화하는 투과율을 가지는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블랙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화이트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는 제1 컬러필터패턴, 제2 컬러필터패턴 및 제3 컬러필터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컬러필터패턴, 상기 제2 컬러필터패턴, 상기 제3 컬러필터패턴 및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접착제층은 직접 접촉하는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는 제1 컬러필터패턴 및 제2 컬러필터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컬러필터패턴은 상기 블랙매트릭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는 제1 컬러필터패턴 및 제2 컬러필터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컬러필터패턴의 두께가 상기 블랙매트릭스의 두께보다 두꺼운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영역은 개구부 및 비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비개구부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매트릭스의 두께가 상기 컬러필터의 두께보다 두꺼운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매트릭스가 상기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2185180.1A EP4138139A1 (en) | 2021-08-17 | 2022-07-15 | Display device |
CN202210854620.6A CN115942825A (zh) | 2021-08-17 | 2022-07-20 | 显示装置 |
US17/888,964 US20230056594A1 (en) | 2021-08-17 | 2022-08-16 |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108347 | 2021-08-17 | ||
KR1020210108347 | 2021-08-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6237A true KR20230026237A (ko) | 2023-02-24 |
Family
ID=8533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93502A KR20230026237A (ko) | 2021-08-17 | 2021-12-30 |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26237A (ko) |
-
2021
- 2021-12-30 KR KR1020210193502A patent/KR20230026237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36628B1 (ko) | 투명표시장치 | |
US7760284B2 (en) | Liquid crysta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100878280B1 (ko) | 4색 구동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에 사용하는 표시판 | |
KR102475504B1 (ko) | 투명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 | |
US11493802B2 (en)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7215392B2 (en) | Electro-optical device, color filter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102713435B1 (ko) |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755613B1 (ko) | 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 | |
US20070279557A1 (en) |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20200072274A (ko) | 디스플레이 패널 | |
US11662624B2 (en)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CN1892350A (zh) | 电光装置及电子设备 | |
CN112817177B (zh) | 背光单元和包括该背光单元的显示装置 | |
JP4483214B2 (ja) |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 |
KR20230026237A (ko) | 표시장치 | |
US20230056594A1 (en) | Display device | |
KR102674786B1 (ko) | 멀티스크린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WO2024198122A1 (zh)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
CN116390596A (zh) | 显示面板和显示装置 | |
US20080218673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ate for display apparatus | |
CN114695485A (zh) | 电致发光显示器 | |
JP2007094025A (ja) |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 |
KR102235395B1 (ko) |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유기발광표시장치 | |
US11585973B2 (en)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 |
US20230135679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