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495A - 신발류 물품을 위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류 물품을 위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495A
KR20230025495A KR1020237004186A KR20237004186A KR20230025495A KR 20230025495 A KR20230025495 A KR 20230025495A KR 1020237004186 A KR1020237004186 A KR 1020237004186A KR 20237004186 A KR20237004186 A KR 20237004186A KR 20230025495 A KR20230025495 A KR 20230025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rticle
control device
button
foot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465B1 (ko
Inventor
티파니 에이. 비어스
앤드류 에이. 오윙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3002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5Pockets adapted to receive a mobile phone or other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100) 또는 의류 물품(1400, 1500, 1600)은 제어 장치(200)의 설치를 돕기 위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게 수동 제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206)을 포함하는 패널(2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신발류 물품의 초기 제조 이후에 물품 내의 격실(30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제어 장치는 동력형 장력화 시스템 내에서 상이한 기능을 실시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류 물품을 위한 제어 장치{A CONTROL DEVICE FOR AN ARTICLE OF FOOTWEAR}
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발 물품은 일반적으로 2개의 주요 요소인; 갑피(upper) 및 밑창(sole) 구조물을 포함한다. 갑피는 종종, 발을 편안하고 확실하게 수용하기 위한 신발류의 내측부(interior)에 공극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바느질되거나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복수의 재료 요소(예를 들어, 직물, 중합체 시트 층, 발포체 층, 가죽, 합성 가죽)로 형성된다. 보다 특히, 갑피는 발의 내측 측부(medial side) 및 외측 측부(lateral side)를 따라서, 그리고 발의 뒤꿈치 지역 주위로, 발의 발등(instep) 지역 및 발가락 지역 위에서 연장되는 구조물을 형성한다. 갑피는 또한 신발류의 피팅(fit)을 조정하기 위한, 그리고 갑피 내의 공극에 발을 삽입하고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끈조임 시스템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의류 물품이 의류의 피팅을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폐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 내용은, 갑피 및 밑창 구조물, 그리고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고, 여기에서 제어 장치는 패널을 포함한다. 갑피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가지고, 여기에서 격실은 제1 표면의 부분과 제2 표면의 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제1 표면은 또한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지고,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개구는 제1 개구를 포함한다. 패널은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버튼은 제1 버튼을 포함하며, 패널은 격실 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버튼은 제1 개구와 정렬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 내용은,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포함하는 의류 물품에 관한 것이고, 여기에서 제1 표면은 제2 표면과 별개인 재료의 부분을 포함한다. 의류 물품은 또한 제어 장치를 가지며, 여기에서 제어 장치는 패널을 포함한다. 격실은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형성되고, 여기에서 제1 표면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제1 개구를 포함한다. 패널은 또한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버튼은 제1 버튼을 포함한다. 제1 버튼이 제1 개구를 통해서 노출되도록, 패널이 격실 내에 배치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 내용은 신발류 물품 내에 제어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방법은 제어 장치를 신발류 물품 내의 갑피의 내부 공극과 연관시키는 단계, 및 제어 장치의 패널의 연부를 갑피의 부분 내에 형성된 슬롯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패널이 갑피 내에 형성된 격실 내에 배치되도록 패널을 슬롯을 통해서 이동시키는 단계, 및 패널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갑피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의 다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이 이하의 도면 및 구체적인 설명의 검토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해지거나 명확해지기 시작할 것이다. 모든 그러한 부가적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이 본 설명 및 이러한 요지 내에 포함되고,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고, 이하의 청구항에 의해서 보호될 것이다.
실시예는 이하의 도면 및 설명을 참조할 때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의 구성요소가 반드시 실제 척도(scale)로 도시된 것이 아니고, 그 대신에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할 때 강조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 상이한 도면들 전반을 통해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 등각 측면도이다.
도 2는 제어 장치의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격실을 가지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 등각도이다.
도 4는 격실 및 제어 장치를 가지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 등각도이다.
도 5는 격실 및 제어 장치를 가지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 등각도이다.
도 6은 격실 및 제어 장치를 가지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 등각도이다.
도 7은 격실을 가지는 제어 장치의 실시예의 개략적 분해도이다.
도 8은 커버를 가지는 격실 내의 제어 장치의 실시예의 개략적 등각도이다.
도 9는 제어 장치 인터페이스의 실시예의 횡단면적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어 장치 인터페이스의 실시예의 횡단면적 측면도이다.
도 11은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 등각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어 장치 인터페이스의 실시예의 횡단면적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어 장치 인터페이스의 실시예의 횡단면적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어 장치를 가지는 물품의 등각도이다.
도 15는 제어 장치를 가지는 물품의 등각도이다.
도 16은 제어 장치를 가지는 물품의 등각도이다.
도 17은 물품 내에 제어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은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조립 방법을 개시한다. 본원에서 개시된 신발류와 연관된 개념은, 예를 들어 육상화, 농구화, 축구화, 야구화, 미식축구화, 및 골프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운동용 신발류 유형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개시된 개념은 매우 다양한 신발류 유형에 적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후속 설명을 보조하고 명료하게 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용어를 본원에서 정의한다. 달리 표시된 바가 없는 한, 이하의 정의는 본 명세서(청구범위 포함) 전체에 적용된다. 일관성 및 편의를 위해서, 방향과 관련된 형용사가, 도시된 실시예에 상응하는 이러한 상세한 설명 전반을 통해서 이용되었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 전반을 통해서 그리고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길이방향"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의 길이로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신발류 물품의 길이방향은 신발류 물품의 전족 영역과 뒤꿈치 영역 사이에서 연장된다. "전방"이라는 용어는 발의 발가락이 향하는 일반적인 방향을 지칭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후방"이라는 용어는 반대 방향, 즉 발의 뒤꿈치가 대면되는 방향을 지칭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 전반을 통해서 그리고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측방향"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의 폭을 연장하는 측부-대-측부 방향을 지칭한다. 다시 말해서, 측방향은 신발류 물품의 내측 측부 및 외측 측부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고, 신발류 물품의 외측 측부는 다른 발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대면되는 표면이고, 내측 측부는 다른 발을 향해서 대면되는 표면이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 전반에서 그리고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측부"라는 용어는, 상향 또는 하향 방향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외측 방향, 내측 방향,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대면되는 구성요소의 임의 부분을 지칭한다.
또한, 이러한 상세한 설명 전반을 통해서 그리고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수직"이라는 용어는 측방향 및 길이방향 모두에 대해서 대체로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밑창이 지표면 상에 편평하게 놓인 경우에, 수직 방향이 지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향 관련 형용사의 각각이 밑창의 개별적인 구성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향"이라는 용어는 지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수직 방향을 지칭하는 한편, "하향"이라는 용어는 지표면을 향하는 수직 방향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상단부", "상부"와 같은 용어 및 다른 유사 용어는 수직 방향으로 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가장 먼 물체의 부분을 지칭하고, "하단부", "하부"와 같은 용어 및 다른 유사 용어는 수직 방향으로 지면에 실질적으로 가장 가까운 물체의 부분을 지칭한다.
신발의 "내측부"는 신발이 착용될 때 착용자의 발이 점유하는 공간을 지칭한다. 패널 또는 다른 신발 요소의 "내부 측부"는, 완성된 신발에서 신발 내측부를 향해서 배향되는 (또는 배향될) 패널 또는 요소의 면을 지칭한다. 요소의 "외부 측부" 또는 "외측부"는, 완성된 신발에서 신발 내측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배향되는 (또는 배향될) 요소의 면을 지칭한다. 일부 경우에, 요소의 내부 측부는, 해당 내부 측부와 완성된 신발 내의 내측부 사이에서 다른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요소의 외부 측부는, 해당 외부 측부와 완성된 신발 외부의 공간 사이에 다른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내향" 및 "내향적으로"라는 용어는 신발의 내측부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할 것이고, "외향" 및 "외향적으로"라는 용어는 신발의 외측부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할 것이다.
이러한 개시 내용을 위해서, 전술한 방향 관련 용어는, 신발류 물품을 참조하여 사용될 때, 밑창이 지면쪽으로 대면되는 직립 위치로 놓인, 다시 말해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 상에 서있는 착용자가 착용할 때 배치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놓인 신발류 물품을 지칭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개시 내용을 위해서, "고정적으로 부착된"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구성요소의 하나 또는 모두를 파괴하지 않고) 구성요소들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는 방식으로 결합된 2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할 것이다. 고정된 부착의 예시적인 양상은 영구적인 접착제, 리벳, 바느질, 못, 스테이플, 용접 또는 다른 열적 접합, 또는 다른 결합 기술을 이용한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몰딩 프로세스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을 위해서,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또는 "제거 가능하게 삽입된"이라는 용어는, 2개의 구성요소가 함께 고정되나, 서로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2개의 구성요소의 또는 구성요소와 요소의 결합을 지칭할 것이다. 제거 가능한 부착 메커니즘의 예에는 후크 및 루프 체결부, 마찰 피팅 연결, 간섭 피팅 연결, 나사식 연결부, 캠-결속 연결부, 하나의 재료와 다른 재료의 압축, 및 다른 그러한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연결부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장력화 시스템(150)으로 구성된 물품(100)의 물품 실시예의 개략적 등각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하에서 단순히 물품(100)으로도 지칭되는 물품(100)의 물품은, 육상화와 같은 운동용 신발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장력화 시스템(150)은, 비제한적으로: 하이킹 부츠, 축구화, 미식축구화, 스니커즈, 육상화, 크로스-트레이닝화, 럭비화, 농구화, 야구화, 및 다른 종류의 신발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신발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물품(100)은, 비제한적으로: 슬리퍼, 샌들, 하이힐 신발류, 로퍼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종류의 신발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스포츠와 무관한 신발류와 함께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장력화 시스템은 신발류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장력화 시스템 및/또는 장력화 시스템과 연관된 구성요소는, 의복, 스포츠웨어, 스포츠 장비, 및 다른 종류의 의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의류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장력화 시스템은 의료용 부목(brace)과 같은 부목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앞서서 주목한 바와 같이, 일관성 및 편의성을 위해서, 방향적 목적어는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전반을 통해서 이용된다. 물품(100)은 길이방향 축(180)을 따라 3개의 일반적인 영역: 전족 영역(105), 중족 영역(125), 및 뒤꿈치 영역(145)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전족 영역(105)은 일반적으로, 발가락 및 중족골(metatarsal)을 지골(phalange)과 연결하는 관절에 상응하는 물품(100)의 부분을 포함한다. 중족 영역(125)은 일반적으로, 발의 족궁(arch) 지역에 상응하는 물품(100)의 부분을 포함한다. 뒤꿈치 영역(145)은 일반적으로, 종골(calcaneus) 뼈를 포함하는, 발의 후방 부분에 상응한다. 전족 영역(105), 중족 영역(125), 및 뒤꿈치 영역(145)은 물품(100)의 정확한 지역들을 경계 짓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전족 영역(105), 중족 영역(125), 및 뒤꿈치 영역(145)은 이하의 설명에서 도움을 주기 위해서 물품(100)의 일반적인 상대적인 지역들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물품(100)의 여러 특징부가 물품(100)의 하나의 영역을 넘어서 연장되기 때문에, 전족 영역(105), 중족 영역(125), 및 뒤꿈치 영역(145)이라는 용어는 물품(100)뿐만 아니라 물품(100)의 다양한 특징부에도 적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 목적으로, 물품(100)의 측방향 축(190) 및 물품(100)과 관련된 임의의 구성요소가 발의 내측 측부(165) 및 외측 측부(185)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축(180)은 전족 영역(105)으로부터 뒤꿈치 영역(145)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적 형용사의 각각이, 갑피 및/또는 밑창 부재와 같은, 신발류 물품의 개별적인 구성요소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직 축(170)은 길이방향 축(180) 및 측방향 축(190)에 의해서 형성되는 수평 표면에 수직인 축을 지칭한다.
물품(100)은 갑피(102) 및 밑창 구조물(10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갑피(102)는 임의 유형의 갑피일 수 있다. 특히, 갑피(102)는 임의의 모양, 형상, 크기 및/또는 색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100)이 농구화인 실시예에서, 갑피(102)는, 발목에 큰 지지를 제공하도록 성형된 하이 탑(high top) 갑피일 수 있다. 물품(100)이 육상화인 실시예에서, 갑피(102)는 로우 탑 갑피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02)는,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공극을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재료 요소(예를 들어, 메시, 직물, 발포체, 가죽, 및 합성 가죽)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요소는, 가벼운 중량, 내구성, 공기-투과성, 내마모성, 가요성, 및 편안함과 같은 성질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도록 선택되고 배열될 수 있다. 갑피(102)는 개구부(130)를 형성하고, 그러한 개구부를 통해서 착용자의 발이 내부 공극 내로 수용될 수 있다.
밑창 구조물(104)의 적어도 일부가 (예를 들어, 접착제, 바느질, 용접 또는 다른 적합한 기술로) 갑피(102)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갑피(102)와 지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밑창 구조물(104)은 지면 반력을 완화하기 위한 (즉, 수직 및 수평 부하 중에 발을 완충시키고 안정화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밑창 구조물(104)은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안정성을 부여하도록, 그리고 회내(pronation), 회외(supination), 또는 다른 이동과 같은 다양한 발의 이동을 제어 또는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물(104)은 물품(100)을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견인력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밑창 구조물(104)은, 걷기, 달리기 또는 다른 보행 활동 중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될 때, 지면 반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통상적인 또는 비-통상적인 구조물을 포함하도록,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밑창 구조물(104)의 구성이 상당히 다양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밑창 구조물(104)의 구성은, 밑창 구조물(104)이 이용될 수 있는 지표면의 하나 이상의 유형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된 개념은, 실내 표면 또는 실외 표면을 포함하는, 다양한 표면 중 임의의 표면 상에서의 이용을 위해서 구성된 신발류에 적용될 수 있다. 밑창 구조물(104)의 구성은, 물품(100)의 사용이 예상되는 표면의 성질 및 조건을 기초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밑창 구조물(104)은 표면이 경질 또는 연질인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밑창 구조물(104)은 습한 또는 건조한 조건에서 이용되도록 맞춰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물(104)은 특별한 특성의 표면 또는 조건을 위해서 구성될 수 있다. 제시된 신발류 갑피 구성은, 야구, 축구, 미식축구, 및 다른 운동 활동과 같은, 임의 종류의 신발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물(104)은 (견목과 같은) 경질 실내 표면, 연성, 자연 잔디 표면 상에서, 또는 경질의 인공 잔디 표면 상에서 견인력 및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물(104)은 다수의 상이한 표면들 상에서의 이용을 위해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밑창 구조물(104)은 상이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밑창 구조물(104)은 바닥창, 중창, 쿠션 층, 및/또는 안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경우에, 밑창 구조물(104)은 지표면과의 견인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미끄럼 방지 부재 또는 견인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물(104)은, 지지, 강성도, 가요성, 안정성, 쿠션, 편안함, 중량 감소, 또는 다른 속성과 같은 많은 수의 속성을 가지는 물품(100)을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다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물(104)은 안창/깔창(sockliner), 중창(151), 및 노출된 지면-접촉 하부 표면을 가질 수 있는, 지면과 접촉되는 외부 밑창 부재("바닥창")(16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이러한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물(104)은,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밑창 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안창은 갑피(102)에 의해서 형성된 공극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창은 전족 영역(105), 중족 영역(125), 및 뒤꿈치 영역(145)의 각각을 통해서, 그리고 물품(100)의 외측 측부(185)와 내측 측부(165)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안창은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다른 중합체 발포 재료와 같은 변형 가능(예를 들어, 압축 가능)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창은, 그 압축성으로 인해서, 쿠션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편안함, 지지,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발에 정합될 수 있다.
중창(151)은, 예를 들어, 바느질, 접착 결합, (용접과 같은) 열적 결합, 또는 다른 기술을 통해서, 갑피(102)의 하부 지역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갑피(102)와 일체일 수 있다. 중창(151)은, 의도된 물품(100)의 활동에 따라, 전술한 성질을 가지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창(151)은, 밑창 구조물(104)이 걷기, 달리기, 또는 다른 보행 활동 중에 지면과 접촉될 때 지면 반력을 감소시키도록 동작하는, 폴리우레탄(PU),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EVA),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와 같은, 발포형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중창(151)은 전족 영역(105), 중족 영역(125), 및 뒤꿈치 영역(145)의 각각을 통해서, 그리고 물품(100)의 외측 측부(185)와 내측 측부(165)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151)의 부분이 물품(100)의 주변부 주위에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창(151)은 갑피(102)로부터의 재료 층과 같은 다른 요소에 의해서 완전히 덮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중창(151) 및/또는 갑피(102)의 다른 부분이 부티(bootie)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100)은, 목 개구부(throat opening)(132)를 따라 또는 그 부근에 제공될 수 있는 설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설포(172)는 물품(100)의 발등 영역(instep region)(110) 내에 또는 그 부근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설포(172)가 신발류 물품의 다른 부분을 따라 배치될 수 있거나, 물품이 설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앞서서 주목한 바와 같이, 상이한 실시예에서, 물품(100)은 장력화 시스템(150)을 포함할 수 있다. 장력화 시스템(150)은 내부 공극(도 2 참조)에 이어지는 개구부(130)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그리고 착용자의 발 주위로 갑피(102)를 조이기 위한(또는 느슨해지게 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 및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력화 시스템(150)은 하나 이상의 끈뿐만 아니라, 동력형 장력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끈은, 목 개구부(132)의 연부와 더 연관될 수 있는 다양한 끈조임 안내부(154)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끈조임 안내부(154)는 갑피 상의 통상적인 끈구멍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끈이 당겨지거나 장력화될 때, 목 개구부(132)가 일반적으로 수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갑피(102)가 발 주위로 조여질 수 있다.
도 1의 끈조임 안내부(154)의 배열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실시예가 끈조임 안내부(154)를 위한 특별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끈조임 안내부(154)의 특별한 유형은 또한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실시예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끈조임 안내부 또는 유사한 끈조임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끈이 통상적인 끈구멍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는 끈 안내 기구의 몇몇 예가, 개시 내용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끈 안내부(Lace Guide)"라는 명칭으로 2012년 1월 5일자로 공개된 Cotterman 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2/0000091호에서 개시되어 있다. 부가적인 예가, 개시 내용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릴 기반의 끈조임 시스템(Reel Based Lacing System)"이라는 명칭으로 2011년 11월 3일자로 공개된 Goodman 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1/0266384호에서 개시되어 있다. 끈 안내부의 또 다른 부가적인 예가, 개시 내용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끈조임 시스템용 안내부(Guides For Lacing Systems)"라는 명칭으로 2011년 9월 22일자로 공개된 Kerns 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1/0225843호에서 개시되어 있다.
물품(100)과 함께 이용되는 끈은 당업계에 공지된 끈조임 재료의 유형 중 임의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끈의 예는 큰 인장 강도뿐만 아니라 작은 탄성 계수를 가지는 케이블 또는 섬유를 포함한다. 끈은 재료의 단일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거나, 재료의 다수의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끈을 위한 예시적인 재료로 미국 뉴저지 모리스 타운십에 소재하는 Honeywell에 의해서 제조된 SPECTRATM이 있으나, 다른 종류의 확대 사슬, 고모듈러스(high modulus) 폴리우레탄 섬유 재료가 또한 끈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끈의 또 다른 예시적인 성질은 전술한 '릴 기반의 끈조임 출원'에서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끈이 끈조임 안내부(154)를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끈은, 끈조임 안내부(154) 부근에 있는 채널 개구부(156)에 진입한 후에 갑피(102) 내의 내부 채널(153)을 통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채널(153)은 갑피(102)의 측부 주위로 연장되고 밑창 구조물(104) 내에 배치된 동력형 장력화 장치를 향해서 끈을 안내한다. 일부 경우에, 동력형 장력화 장치가 끈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끈의 단부 부분은 갑피(102)의 내부 채널(153)을 빠져 나갈 수 있고 동력형 장력화 장치를 포함하는 하우징 유닛 내의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력형 장력화 장치는 갑피(102)를 조이거나 느슨해지게 하기 위해서 끈에 장력을 자동적으로 인가하도록 일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동력형 장력화 장치는, 동력형 장력화 장치 내부의 스풀 상으로 끈을 권선하고 그러한 스풀로부터 끈을 풀기 위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기구는, 다양한 입력 또는 제어에 응답하여 스풀을 자동적으로 권선하거나 푸는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물품 내의 동력형 끈조임 시스템 또는 다른 전기식 또는 자동화된 특징부의 제어는 다양한 프로세스 및 장치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앞서서 주목한 바와 같이, 물품(100)의 일부 실시예는 동력형 장력화 또는 끈조임 시스템 또는 다른 메커니즘에 명령을 전송하거나 송신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물품이, 그러한 물품과 연관된 시스템에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상이한 종류의 장치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품은 제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는, 물품(100) 내의 전류, 압력, 또는 다른 성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버튼, 스위치, 메커니즘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는, 힘 또는 인가된 부하의 상대적인 변화를 검출 및 측정할 수 있고, 힘의 변화율을 검출 및 측정할 수 있으며, 힘 문턱값을 식별하고 및/또는 접촉 및/또는 터치를 검출할 수 있는 구성요소 또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실시예에서, 물품은 다른 장치 또는 시스템의 기능을 관리, 명령, 지시, 활성화, 또는 달리 조절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어 장치(200)는 버튼 보드 또는 패널(204)로서 도시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패널(204)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또는 2-차원적인 재료 또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 전반을 통해서 그리고 청구범위 내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2-차원적인" 이라는 용어는, 재료의 두께 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길이 및 폭을 나타내는 임의의 대체로 편평한 재료를 지칭한다. 비록 2-차원적인 재료가 매끄러운 또는 일반적으로 질감을 가지지 않는 표면을 가질 수 있지만, 몇몇 2-차원적인 재료는, 예를 들어, 오목부, 돌출부, 리브(rib), 또는 다양한 패턴과 같은, 질감이나 다른 표면 특성을 나타낼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패널(204)의 기하형태가 다양할 수 있고, 발의 일부, 예를 들어, 발의 발등 영역과 연관된 다양한 윤곽 또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04)은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치수들 및/또는 형상들을 더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 버튼(206)은, 패널(204)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직사각형-형상의 그리고 비교적 좁은 스트립을 따라 배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패널(204)의 치수 및/또는 형상은 상이할 수 있고, 비제한적으로, 길다란 형상, 정사각형 형상, 계란형 형상, 타원형 형상, 또는 다른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패널(204)이 패널 폭(240) 및 패널 길이(242)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패널 길이(242)는 제1 단부(246)로부터 제2 단부(244)까지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단부(244)는 리드 와이어(236)에 결합된 패널(204)의 영역과 연관되는 한편, 제1 단부(246)는 패널(204)의 실질적으로 자유로운(부착되지 않은) 단부와 연관된다.
또한, 패널(204)은 제1 두께(250)를 포함한다. 제1 두께(250)는 패널(204) 전체를 통해서 일반적으로 일정할 수 있거나, 변동될 수 있다. 또한, 패널 폭(240), 패널 길이(242), 및/또는 제1 두께(250)는, 도 3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물품 내의 격실에의 삽입을 위해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200)는 패널(204)을 따라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버튼(206)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206)은 명령을 임의 유형의 시스템 또는 다른 메커니즘에 수동적으로 입력 또는 주입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동력형 장력화 시스템(150)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버튼(206)은, 예를 들어, 점진적인 조임 및 점진적인 느슨해짐 명령의 개시에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버튼은 개방 명령(또는 완전 느슨해짐 명령), 장력 저장 명령 및 저장된 장력으로의 복귀 명령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명령을 개시하기 위해서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끈 조임, 끈 느슨해짐 및/또는 다른 기능의 실시를 위한 버튼이 물품 상에 또는 물품 내에 직접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시 내용을 위해서, 버튼은, 버튼, 스위치, 손잡이, 제어부, 레버, 핸들, 또는 다른 그러한 제어 수단과 같은 메커니즘을 동작시키기 위해서 눌려지거나 달리 취급될 수 있는 재료 또는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버튼의 하단부 측부가, 패널(204) 상에 배치된 상응하는 숫놈형 기계적 연결부를 파지하고 그와 결합되는 암놈형 교합 부분을 가지도록, 버튼(206)이 기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버튼의 내부 표면은, 패널(204) 내에 위치된 압전 또는 솔레노이드 버튼을 누르도록 설계된 작동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버튼(206)은 관련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하거나 이용할 수 있다.
앞서서 주목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패널(204)은 하나 이상의 버튼(20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패널(204)은 제1 버튼(208), 제2 버튼(210), 및 제3 버튼(212)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패널(204)은 임의의 희망 물체 또는 요소, 및/또는 임의 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버튼은 내부 부분(232) 및 외부 부분(234)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부분(232)은, 일반적으로 버튼의 중심에 근접 배치되는 버튼의 일차적인 접촉 또는 반응 부분과 연관될 수 있다. 외부 부분(234)은 내부 부분(232)을 경계 짓거나 달리 둘러쌀 수 있고 안정성 및 탄성을 버튼(206)에 제공할 수 있다.
버튼(206)은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형상들 및/또는 크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206)은 둥근형, 정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른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버튼(206)이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거나, 각각의 버튼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버튼(208)이 둥근 형상일 수 있는 한편, 제2 버튼(210)은 정사각형-형상일 수 있고, 제3 버튼(212)은 삼각형-형상일 수 있다.
도 2에서, 각각의 버튼은 실질적으로 둥근-형상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버튼(206)의 내부 부분(232)은 직경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208)은 제1 직경(252)을 가지고, 제2 버튼(210)은 제2 직경(254)을 가지며, 제3 버튼(212)은 제3 직경(256)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버튼(206)이 패널(204)에 걸쳐 일반적으로 균일한 크기가 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직경(252), 제2 직경(254), 및 제3 직경(256)이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각각의 버튼의 내부 부분(232)은 또한, 외부 부분(234) 위에서 연장되도록 생성되거나 배치되는 버튼의 높이와 연관될 수 있는, 제2 두께(248)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과 연관된 제2 두께(248)는, 도 11 내지 도 13과 관련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버튼이 눌렸을 때 변화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버튼(208), 제2 버튼(210), 및 제3 버튼(212)의 각각은 서로 다른 버튼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특별한 버튼과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1 직경(252), 제2 직경(254), 및 제3 직경(256)이 상이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버튼(206)은 사용자에게 촉각적 또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달리 성형되거나 다른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버튼 형상 및 크기를 달리하는 것의 결과로서 형성될 수 있는 희망하는 모양 또는 미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물품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부분과 정렬되도록, 각각의 버튼 직경 및/또는 두께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패널(204)은 제어 장치(200)를 물품 내에 삽입 또는 통합시키는 것을 돕기 위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패널(204)은 제어 장치(200)가 연계되거나 당겨질 수 있게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패널(204)은 제1 홀(222) 및 제2 홀(224)을 갖는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제1 홀(222) 및/또는 제2 홀(224)은, 제어 장치(200)를 물품(100) 내의 희망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구성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다른 요소를 둘러싸기 위해 파지되거나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 또는 다른 인장 요소를 이용하여 제1 홀(222) 및/또는 제2 홀(224)을 파지함으로써 제어 장치(200)의 설치 중에 격실(302)을 통해서 패널(204)을 당길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그러한 제어 장치(200)가 물품 내에서 결착되거나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204)은, 제1 후크 부분(218) 및 제2 후크 부분(22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후크 부분(216)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부분(216)은 곡선형 또는 굽혀진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장치(200)의 임의 부분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후크 부분(216)은 패널(204)의 제1 단부(246)를 따라서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후크 부분(216)은 다른 요소를 잡아 유지하기 위해서, 및/또는 패널(204)을 물품 내에서 고정 및/또는 결착시키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또한 패널(204)을 다른 요소에 연결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204)과 포트(230)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배치된 연결 부분(228)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228)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케이스화하는 외장(23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패널(204)의 제2 단부(244)는, 외장(238) 내에 케이스화된 리드 와이어(236)에 결합된다. 리드 와이어들(236)(및 외장(238))은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길이가 다를 수 있고, 제어 장치(200)가 내부에 설치된 격실 및/또는 물품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228)은 포트(23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포트(230)는, 물품과 연관된 다양한 기계적 또는 전자적 접촉부와 같은, 부가적인 요소와의 연계부 또는 접촉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패널(204) 및 제어 장치(200)의 다른 구성요소가 다양한 재료 조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패널(204)은 갑피(102) 보다 더 큰 경직도 및 경도와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버튼(206) 및 패널(204)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200)의 부분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 중합체, 및/또는 중합체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0)의 제조에서 이용되는 재료는, 전기적 또는 절연 성질, 가요성, 탄성, 중량, 내구성, 및/또는 에너지-효율이 개선된 구성요소의 제공을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0)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가 장력화 시스템을 포함하지 않는 물품과 함께 이용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제어 장치(200)는 임의 유형 또는 구성의 신발류 및 의류 물품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앞서서 주목한 바와 같이, 상이한 실시예에서, 물품(100)은, 갑피(102) 또는 밑창 구조물(104)과 같은, 신발류 물품 내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양태, 부분, 및/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서, 다른 비-통상적인 양태, 부분 및/또는 구성요소가 또한 물품(100)의 제조 중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러한 비-통상적인 특징부는 물품(100)의 여러 부분 전반을 통해서 배치된 하나 이상의 격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시 내용을 위해서, 격실은 물품(100)의 별개의 또는 구분된 섹션 또는 부분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실은 물품(100) 내에 배치된 슬리브-유사 영역, 터널 또는 배관, 및/또는 물체, 요소, 또는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함몰부, 공동, 포켓, 챔버, 슬롯, 파우치, 또는 다른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물품(100)의 제조 중에, 하나 이상의 격실이 물품(100) 내에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뒤꿈치 영역(145)과 연관된 물품(100)의 부분이 도시되어 있고, 갑피(102) 내의 내부 공극(318)의 장면을 독자에게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갑피(10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격실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102)의 부분 내에 배치되는, 격실(302)의 실시예가 도 3 및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격실(302)은 갑피(102)의 둘 이상의 층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갑피(102)는 2개의 측부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각각의 측부는 갑피(102)의 대향 측부들을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갑피(102)의 외부 표면(321)이 있을 수 있고, 여기에서 외부 표면(321)은 갑피(102)의 외부(외향 대면)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갑피(102)의 내부 표면(320)이 있을 수 있고, 여기에서 내부 표면(320)은 발이 내부 공극(318) 내에 배치될 때 발을 향해서 대면되는 갑피(102)의 표면이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재료의 하나 이상의 층이 외부 표면(321)과 내부 표면(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실(302)은 갑피(102)의 부분을 따라서 배치된 슬리브-유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격실(302)은, 함께 터널(375)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갑피 층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 지어질 수 있다. 격실(302)이, 터널(375)의 내측부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는 슬롯(330)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슬롯(330)은, 도 2의 제어 장치(200)와 같은, 구성요소의 삽입 이후에 고정되거나 실질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터널(375)은 갑피(102)의 제1 층(350)과 제2 층(36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층(350)은 갑피(102)의 최내측 층(즉, 내부 표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층(360)은 갑피(102)의 최외측 층(즉, 외부 표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층(350) 및/또는 제2 층(360)은 갑피(102)의 부가적인 층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층(350)은 갑피(102)의 최내측 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층(360)은 갑피(102)의 최외측 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른 실시예에서, 갑피(102)는, 상이한 영역들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이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격실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물품(100)은, 제어 장치(200)와 함께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 장치, 또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 장치(200)는 장력화 시스템의 일부로서 동작되도록 및/또는 물품(100)과 연관된 부가적인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서 주목한 바와 같이, 물품(100)은 물품(100)의 하나 이상의 영역 전반을 통해서 배치된 다양한 기계적 또는 전자적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200)를 격실(302) 내에 삽입하기 이전에 또는 이후에, 제어 장치(200)는 연결 요소에 결합되거나 부착되거나 달리 연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포트(230)(도 2 참조)가 물품(100) 내의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와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물품(100)의 요소에 대한 임의의 사전 연결 또는 사후 연결이 없이, 제어 장치(200)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갑피(102)의 여러 층을 제거하거나 손상시킬 필요가 없이, 제어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가 갑피(102)의 터널(375) 내로 용이하게 활주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스는, 제어 장치(200)의 일 단부의 진입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슬롯(330)의 통합에 의해서 촉진될 수 있다. 패널(204)이 일단 삽입되면, 패널은 터널(375)의 길이를 통해서 안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를 위한 물품의 편안함을 손상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제어 장치(200)를 수용하도록 및/또는 제어 장치(200)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터널(375)의 길이 또는 다른 치수가 조정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와 관련하여 앞서서 주목한 바와 같이, 제1 홀(222) 및/또는 제2 홀(224)은, 목 개구부(132)에 더 근접한 위치를 향해서 패널(204)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안내 케이블, 루프, 또는 후크와 같은) 다른 요소 또는 구성요소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패널(204)의 희망 위치에 도달하면, 후크 부분(216)(도 2 참조)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200)를 고정 또는 결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후크 부분(218) 및/또는 (도 2에 도시된) 제2 후크 부분(220)이 갑피(102)의 부분과 접촉될 수 있고, 후크 부분(216)의 곡률로 인해서, 갑피(102)의 부분에 걸리거나 달리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패널(204)은 갑피(102)의 내측 측부(165) 또는 외측 측부(185)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패널(204)은 내측 측부(165) 및 외측 측부(185) 모두를 따라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전족 영역(105), 중족 영역(125), 및 뒤꿈치 영역(145) 중 임의의 것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를 독자가 더 잘 이해하게 하기 위해서, 설치 프로세스에 관한 부가적인 도면을 도 5 및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5 및 도 6에서, 갑피(102)의 2개의 등각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갑피(102)는 일련의 점선으로 도시된 반면, 격실(302)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앞서서 주목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200)를 고정하도록 및/또는 딱 맞게 수용하도록, 터널(375)의 치수가 설계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터널(375)은 일반적으로 패널(204)의 패널 폭(240)(도 2 참조) 보다 큰 직경을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널 길이(242)는 터널(375)과 연관된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유지하도록, 터널(375)의 치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터널(375)의 길이는 패널 길이(242) 보다 약간만 더 클 수 있고, 그에 따라 실질적으로 딱 맞는 피팅이 패널(204)과 터널(375) 사이에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200) 또는 격실(302)의 치수는, 하나의 치수가 다른 치수와 실질적으로 상이하도록,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갑피(102) 내로 통합되는 외장(238)의 부분의 길이 및 크기에 따라, 제어 장치(200)와 연관된 배선을 수용하도록 터널(375)이 확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200)가 설치 시에 사용자에 의해서 보다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갑피(102)를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실(302)은, 버튼 또는 제어 장치(200)와 연관된 다른 제어 메커니즘에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예를 들어, 개구(500)가 발등 영역(110)을 따라 갑피(102) 내에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제1 개구(562), 제2 개구(564), 및 제3 개구(566)를 포함하는 개구(500)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200)가 갑피(102) 내에 설치될 때, 제1 개구(562)는 제1 버튼(208)과 정렬될 수 있고, 제2 개구(564)는 제2 버튼(210)과 정렬될 수 있고, 제3 개구(566)는 제3 버튼(212)과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204)이 개구(500)에 상응하도록 배치될 때, 제1 버튼(208)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개구(562)에 의해서 제공된 개구부를 통해서 노출되고, 제2 버튼(210)의 적어도 일부가 제2 개구(564)에 의해서 제공된 개구부를 통해서 노출되며, 제3 버튼(212)의 적어도 일부가 제3 개구(566)에 의해서 제공된 개구부를 통해서 노출된다. 다시 말해서, 격실(302)과 연관된 갑피(102)의 부분이, 설치된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될 수 있게 하는 노출된 지역 또는 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 패널(204)은, 사용자에 의해서 제어 장치(200)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물품(100) 전반을 통해서 포함되는 기구와 양립 가능한 또는 일치되는 방식으로, 격실(30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버튼들(206)의 정렬은, 제어 장치(200)를 따른 부가적인 구성요소 또는 요소의 설치를 도울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갑피(102)의 부분(특히, 격실(302)과 연관된 갑피(102)의 부분) 내의 제어 장치(200)의 부분의 분해 등각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터널(375)을 포함하는 격실(302)의 부분이 제1 층(350) 및 제2 층(360)을 따른 일련의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층(350)과 제2 층(360) 사이에 배치된, 버튼(206)을 가지는 패널(204)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200)는, 증가된 보호, 내구성, 이용성, 편안함, 미감, 및/또는 기능을 제어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는 부가적인 요소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버튼(206)이 코팅, 덮개, 커버, 캡, 차폐부, 단판(veneer), 또는 다른 유형의 층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는 버튼(206) 위에 설치되거나, 결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서, 제1 커버(702), 제2 커버(704), 및 제3 커버(706)를 포함하는 일련의 커버(700)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700)는 버튼(206)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700)는 희망하는 기능 및/또는 외관에 따라 달리 성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개구(500)가 제1 층(350)의 몇몇 지역 내에 형성된다. 커버(700), 개구(500), 및 버튼(206)이 서로 대체로 정렬되도록, 조립에 앞서서, 커버(700), 개구(500), 및 버튼(206)이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제1 버튼(208), 제1 개구(562), 및 제1 커버(702)가 대체로 정렬되고, 제2 버튼(210), 제2 개구(564), 및 제2 커버(704)가 정렬되며, 제3 버튼(212), 제3 개구(566), 및 제3 커버(706)가 정렬된다.
또한, 각각의 정렬된 커버, 개구, 및 버튼의 크기가 일부 실시예에서 상호 관련될 수 있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합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 장치(200), 갑피(102), 및 커버(700)와 같은 요소는, 물품의 설치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제3 버튼(212)은 제3 직경(256)과 연관되고, 제3 개구(566)는 개구 직경(756)과 연관되며, 제3 커버(706)는 커버 직경(766)과 연관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성요소들 사이의 피팅 증가를 가능하게 하도록 및/또는 물품과의 조립 프로세스를 능률화하도록, 각각의 직경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직경(256)은 커버 직경(766) 보다 작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제3 커버(706)는 제3 버튼(212)의 전체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 직경(766)은 개구 직경(756) 보다 작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제3 커버(706)는 제3 개구(566)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 직경(756)이 커버 직경(766) 보다 작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제3 커버(706)가 제3 버튼(212)에 결합될 때, 갑피(102) 내에서 제3 커버(706) 사이에 더 딱 맞게 또는 확실하기 피팅될 수 있게 한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제3 버튼(212)의 제3 직경(256)은 커버 직경(766) 또는 개구 직경(756) 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갑피(102) 내의 패널(204)의 삽입 및/또는 통합 이후에, 커버(700)가 제어 장치(200)에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패널(204)은 격실(302) 내에 설치되어 도시되어 있다. 패널(204)은 터널(375) 내에 삽입되었고, 여기에서 터널(375)은 점선으로 도시된 영역을 따라 함께 결합된 제1 층(350) 및 제2 층(360)의 부분으로 형성된다. 외부 부분(234)과 연관된 몇몇 부분뿐만 아니라, 내부 부분(232)과 연관된 버튼(206)의 부분이 개구(500)를 통해서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버튼(208)은 제1 개구(562)를 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제2 버튼(210)은 제2 개구(564)를 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며, 제3 버튼(212)은 제3 개구(566)를 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또한, 제1 커버(702)는, 제1 개구(562)와 대체로 정렬되어, 패널(204) 위에 도시되어 있고, 제2 커버(704)는, 제2 개구(564)와 대체로 정렬되어, 패널(204) 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3 커버(706)는, 제3 개구(566)와 대체로 정렬되어, 패널(204) 위에 도시되어 있다.
패널(204)을 따른 커버(700)의 설치를 보다 잘 예시하기 위해서, 도 9 및 도 10은 패널(204) 내의 제1 커버(702) 및 제1 버튼(208)의 횡단면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에서, 제1 커버(702)는 설치 전에 제1 버튼(208) 위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커버(702)는 중앙 부분(902) 및 테두리 부분(904)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앙 부분(902)은 테두리 부분(904)에 의해서 경계 지어질 수 있다. 또한, 테두리 부분(904)이 중앙 부분(902) 주위에 배치되어 제1 커버(702) 내에 함몰부(906)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커버(702)는 제1 개구(562) 내로 삽입되고, 테두리 부분(904)은 제1 층(350)과 접촉될 수 있다. 힘(910)이 인가되어 제1 커버(702)를 밀고 제1 커버(702)와 제어 장치(200)를 연결할 때, 테두리 부분(904)은 휘어지거나, 굽혀지거나, 달리 변형되어 제1 개구(562)에 진입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커버(702)가 제1 버튼(208) 위에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두리 부분(904)은 제1 버튼(208)의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테두리 부분(904)은 제1 층(350) 및/또는 제2 층(360)의 일부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제1 커버(702)를 제1 버튼(208)과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합, 접착, 화학적 몰딩, 용접, 바느질,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을 포함하는, 커버를 패널(204)에 설치하거나 그에 결합시키는 임의의 다른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가 미리 설치된 버튼이 제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물품 내로의 제어 장치(200)의 삽입에 앞서서, 커버가 버튼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가 설치된 물품(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서, 물품(100)의 갑피(102) 및 밑창 구조물(104)이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한편, 제어 장치(200) 및 격실(302)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1100)는 물품(100)의 여러 기능을 상호 작용, 결합, 동작 및/또는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제어 장치(200)를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기능은 장력화 시스템(150)의 상이한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패널(204)의 부분과 접촉하고 및/또는 그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도 11에서, 사용자(1100)의 검지가 제2 버튼(210)에 인가되어 있다.
도 12에서, 갑피(102)에 설치된 바와 같은 제어 장치(200)의 패널(204)의 실시예의 횡단면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상응하는 커버(700)를 가지는 버튼(206)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힘(1300)이 제2 커버(704)에 인가될 때, 제2 커버(704)의 표면이 변형될 수 있다. 변형의 결과로서, 제2 커버(704)의 부분이 제2 버튼(210)의 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커버(704)와 제2 버튼(210) 사이의 접촉, 및/또는 힘(1300)에 의해서 가해지는 압력은, 제어 장치(200) 또는 다른 시스템에 의해서 인지되는, 신호를 유도하거나 패널(204)의 요소 내의 변화를 달리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사람이 버튼(206)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200) 및 그러한 제어 장치(200)와 연관된 시스템이 상호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1100)가 제어 장치(200)와 결합될 때, 다양한 상이한 동작들이 활성화되거나 불능화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을 통해서, 장력화 시스템의 다양한 동작 모드, 또는 구성이 예시를 위해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동작 모드는 장력화 시스템 자체의 상태를 지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력화 시스템의 개별적인 부시스템 및/또는 구성요소의 동작 모드를 지칭할 수 있다. 예시적인 모드는 "점진적인 조임 모드", "점진적인 느슨해짐 모드" 및 "완전 느슨해짐" 모드를 포함한다. 마지막 2개의 모드는 또한 "점진적인 해제 모드" 및 "완전 해제 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점진적인 조임 모드에서, 장력화 시스템은, 끈 또는 다른 인장 요소를 점진적으로(또는 점차적으로) 조이거나 그 장력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점진적인 느슨해짐 모드에서, 동력형 조임 장치는, 인장 요소(들)을 점진적으로(또는 점차적으로) 느슨하게 하거나, 장력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완전 해제 모드에서, 장력화 시스템은, 사용자가 그의 발을 물품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준까지, 시스템에 의해서 끈에 인가된 장력이 실질적으로 감소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는 점진적인 해제 모드에 대조적인 것이고, 그러한 점진적인 해제 모드에서, 시스템은 현재 장력에 비해서 더 작은 인장 요소의 장력을 달성하도록, 그러나 반드시 장력을 인장 요소로부터 완전히 제거할 필요 없이, 동작된다. 또한, 완전 해제 모드가 끈 또는 인장 요소 장력을 신속하게 해제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물품을 제거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희망하는 장력량을 찾을 때, 점진적인 해제 모드를 이용하여 끈 장력을 약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다른 동작 모드가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1100)는 제어 명령을 개시하기 위해서 제어 장치(200)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의 몇몇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좌측/우측 신발 선택, 점진적인 조임, 점진적인 느슨함, 개방/완전 느슨함, 장력 저장, 및 장력 소환/저장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1 버튼(208) 및 제2 버튼(210)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그에 응답할 신발류 물품(즉, 좌측 또는 우측)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버튼(208) 또는 제2 버튼(210)을 선택할 수 있으나, 그 모두가 동시에 선택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사용자가 양 물품을 동시에 조임, 느슨함, 개방할 수 있도록, 또는 일부 다른 기능을 개시할 수 있도록, 제1 버튼(208) 및 제2 버튼(210) 모두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3 버튼(212)은 장력화 시스템(150)의 "점진적인 조임" 명령을 개시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200)는 또한 바람직한 장력 설정값을 저장하고 이용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버튼(208)은, 예를 들어, 제1 버튼(208)이 눌려지는 지속시간에 따라, "현재 장력 저장" 명령 및/또는 "저장된 장력으로 복귀" 명령을 개시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다수의 장력 설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포츠를 즐기기 위해서 더 조여진 피팅을 그리고 일상적인 활동을 위해서 더 느슨한 피팅을 선호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끈 장력 선호값에 상응하는 2개 이상의 장력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게 한다.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단일 물품 또는 신발의 쌍과 같은 다수 물품의 일부이든지 간에, 장력화 시스템(150)을 위한 장력의 저장 또는 소환이, 제어 장치(200)에 의해서 생성된 단일 명령 또는 일련의 제어 명령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경우에, 물품(100)의 이러한 점진적인 느슨해짐 또는 조임이 구분된 단계들로 발생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착용자가 버튼(예를 들어, 제1 버튼(208))을 누를 때마다, 인장 요소가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각도를 통해서 동력형 장력화 장치 내의 스풀을 회전시킴으로써) 미리 결정된 양만큼 배출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이러한 점진적인 느슨해짐은, 착용자가 제1 버튼(208)을 계속 터치하는 동안, 연속적인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시스템이 바람직한 조임 수준을 오버슈트하지 않게 하면서도(즉, 시스템이 너무 조여지는 것과 충분히 조여지지 않는 것 사이에서 너무 빨리 이동하지 않으면서), 물품(100)의 완전한 느슨함에 필요한 시간이 과다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정도로 충분히 빠르게, 느슨해짐의 속력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사용자(1100)는, 갑피(102)의 바람직한 조임 수준이 달성될 때까지, (점진적인 조임 모드 및 점진적인 느슨해짐 모드를 이용하여) 물품(100) 전반을 통한 장력을 계속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임의의 구성요소를, 갑피 및/또는 밑창 구조물의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는, 물품의 임의의 다른 부분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리드 와이어 등과 같은) 몇몇 구성요소 부분이 물품의 하나의 부분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패널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 부분이 다른 상이한 부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부분의 위치는 비제한적으로: 크기 제약, 제조 제약, 미적 선호, 최적의 설계 및 기능 배치, 물품의 다른 부분에 대한 용이한 제거 가능성 또는 접근 가능성뿐만 아니라, 가능한 다른 인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 및 특징부는 동력형 장력화 장치 또는 장력화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특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적용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실시예가 임의의 부가적인 제어 버튼, 인터페이스 설계 및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동작 명령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버튼은; 용이한 사용, 설계자의 미적 선호, 소프트웨어 설계 비용, 시스템의 동작 성질뿐만 아니라, 가능한 다른 인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침대 커버, 테이블 커버, 수건, 깃발, 텐트, 돛, 및 낙하산과 같은 다른 유형의 물품, 또는 자동차 및 항공 적용예, 필터 재료, 의료용 직물, 토목용 섬유(geotextile), 농작용 섬유(agrotextile), 및 산업용 의류를 포함하는 산업 목적의 물품뿐만 아니라, 의류(예를 들어, 셔츠, 바지, 신발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제품이, 본원에서 설명된 제어 장치의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본원에서 설명된 제어 장치 그리고 조립 및 설치 방법이 다양한 제품에서 이용될 수 있지만, 이하의 설명은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다른 의류 물품의 예를 제공한다. 즉, 도 14 내지 도 16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제어 장치가 셔츠(1400), 바지(1500), 및 장갑(1600)에 포함될 수 있는 몇몇 예를 기술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예에서, 셔츠(1400)가 도시되어 있다. 셔츠(1400)는 제1 제어 장치(1402), 제2 제어 장치(1404), 제3 제어 장치(1406), 및 제4 제어 장치(1408)를 포함한다. 설명을 위해서, 각각의 제어 장치가 셔츠(1400)의 상이한 영역들 내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도 14에서, 예로서, 제1 제어 장치(1402)는 칼라 영역(1410) 내에 위치되고, 제2 제어 장치(1404)는 견부 영역 부근에 위치되고, 제3 제어 장치(1406)는 슬리브의 연부를 따라서 위치되고, 제4 제어 장치(1408)는 셔츠(1400)의 몸통의 하단부 연부를 따라서 위치된다. 셔츠(1400) 내의 제어 장치의 통합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서, 칼라 영역(1410)의 확대도(1490)를 도시하였다. 칼라 영역(1410) 내에서, 제1 제어 장치(1402)는 칼라 영역(1410)을 포함하는 재료의 층 내에 형성된 제1 격실(1450) 내에 도시되어 있다. 패널(1430)을 따라 배치된 3개의 버튼(1420)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셔츠(1400)의 착용자는 다양한 제어 장치에 접근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버튼(1420)과 용이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셔츠(1400)와 연관된 LED, 온도 제어, 인장 요소, 및/또는 임의의 다른 장치뿐만 아니라, 다른 원격 메커니즘(즉, 셔츠(1400) 내에 배치되지 않는 메커니즘)과 같은, 셔츠(1400) 내의 다양한 기능과 연결될 수 있고 및/또는 다양한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제 도 15를 참조하면, 바지(1500)가 도시되어 있다. 바지(1500)는 제5 제어 장치(1502) 및 제6 제어 장치(1504)를 포함한다. 설명을 위해서, 각각의 제어 장치가 바지(1500)의 상이한 영역들 내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도 15에서, 예로서, 제5 제어 장치(1502)는 벨트 영역(1510) 내에 위치되고, 제6 제어 장치(1504)는 주머니 영역을 따라 위치된다. 바지(1500) 내의 제어 장치의 통합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서, 벨트 영역(1510)의 확대도(1590)를 도시하였다. 벨트 영역(1510) 내에서, 제5 제어 장치(1502)는 벨트 영역(1510)을 포함하는 재료의 층 내에 형성된 제2 격실(1550) 내에 도시되어 있다. 패널(1530)을 따라 배치된 3개의 버튼(1520)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바지(1500)의 착용자는 다양한 제어 장치에 접근할 수 있고 버튼(1520)과 용이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도 14의 셔츠(1400)와 유사하게, 제어 장치는, 바지(1500)와 연관된 LED, 온도 제어, 인장 요소, 및/또는 임의의 다른 장치뿐만 아니라, 다른 원격 메커니즘(즉, 바지(1500) 내에 배치되지 않는 메커니즘)과 같은, 바지(1500)와 연관된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과 연결될 수 있고 및/또는 다양한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는 다른 물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장갑(1600)이 도시되어 있다. 장갑(1600)은 제7 제어 장치(1602)를 포함한다. 도 16에서, 예로서, 제7 제어 장치(1602)는, 상응하는 (반대쪽) 손에 의한 용이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는, 손등(손의 뒤쪽)과 연관된 장갑(1600)의 상부 부분을 따라 위치된다. 장갑(1600) 내의 제어 장치의 통합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서, 장갑(1600)을 포함하는 재료의 층 내에 형성된 제3 격실(1650) 내에 배치된 제7 제어 장치(1602)를 도시하는, 확대도(1690)가 포함되었다. 패널(1630)을 따라 배치된 3개의 버튼(1620)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장갑(1600)의 착용자는 다양한 제어 장치에 접근할 수 있고 버튼(1620)과 용이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도 14의 셔츠(1400) 및 도 15의 바지(1500)와 유사하게, 제어 장치는, 장갑(1600)과 연관된 LED, 온도 제어, 인장 요소, 및/또는 임의의 다른 장치뿐만 아니라, 다른 원격 메커니즘(즉, 장갑(1600) 내에 배치되지 않는 메커니즘)과 같은, 장갑(1600) 내의 다양한 기능과 연결될 수 있고 및/또는 다양한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도시된 제어 장치가 다른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설명을 위해서, 도 17은 신발류 물품 또는 의류 물품 내에 제어 장치를 설치하는 하나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설치 방법은 제어 장치를 물품과 연관시키는 제1 단계(17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물품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격실과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제2 단계(1720)에서, 제어 장치의 패널은 물품의 부분 내에 형성된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3 단계(1730)는, 패널이 물품 내에 형성된 격실 내에 배치되도록, 슬롯을 통해서 패널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단계(1740)에서, 패널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갑피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정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단계는 제어 장치의 포트를 물품 내의 연결 요소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커버가 또한 패널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패널은, 패널을 따라 형성된 후크 부분을 이용하여 격실 내에 결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패널을 슬롯을 통해서 이동시키는 단계는 패널 내에 형성된 홀을 파지하는 단계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인장 요소를 이용하여 격실을 통해서 패널을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또한, 각각의 출원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조립 방법(An Article of Footwear and a Method of Assembly of the Article of Footwear)"(현재 대리인 서류 번호 제 51-4835)이라는 명칭으로, (이전에, 2015년 5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_____호), _____에 공개된 미국 특허 공개 제_____호, "제어 장치용 결속 특징부(A Lockout Feature for a Control Device)"(현재 대리인 서류 번호 제 51-4836)이라는 명칭으로, (이전에, 2015년 5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_____호), _____에 공개된 미국 특허 공개 제_____호, "신발류 물품용 충전 시스템(A Charg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현재 대리인 서류 번호 제 51-4838)이라는 명칭으로, (이전에, 2015년 5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_____호), _____에 공개된 미국 특허 공개 제_____호, 및 "신발류 물품용 밑창 판(A Sole Plate for an Article of Footwear)"(현재 대리인 서류 번호 제 51-4839)이라는 명칭으로, (이전에, 2015년 5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_____호), _____에 공개된 미국 특허 공개 제_____호로부터의 기술, 개념, 특징부, 요소, 방법 및/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인용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설명은 제한적인 것 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고, 당업자는,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는 많은 추가적인 실시예 및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많은 가능한 특징부의 조합이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었지만, 개시된 특징부의 많은 다른 조합이 가능할 것이다. 달리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특징부가 임의의 다른 실시예 내의 임의의 다른 특징부 또는 요소를 포함하거나 그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개시 내용에서 도시 및/또는 설명된 임의의 특징부들이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함께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비추어 보는 것을 제외하고,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수정 및 변화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서, 개시 내용은 이하의 번호가 부여된 문단(paragraphs 또는 "Paras")의 청구 대상까지 확장된다.
문단 1. 신발류 물품이며:
갑피 및 밑창 구조물;
패널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갑피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포함하고, 격실이 제1 표면의 일부와 제2 표면의 일부 사이에 형성되고;
제1 표면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개구는 제1 개구를 포함하며;
패널은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버튼은 제1 버튼을 포함하고;
패널은 격실 내에 배치되고; 그리고
제1 버튼은 제1 개구와 정렬된다.
제1 및 제2 표면이 물품의 층일 수 있다.
문단 2. 제1 문단에 있어서,
제1 표면은 갑피의 최외측 표면이다.
문단 3. 제1 문단 또는 제2 문단에 있어서,
격실은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형성된 터널을 포함한다.
문단 4. 제1 문단 내지 제3 문단 중 어느 한 문단에 있어서,
격실은 슬롯을 더 포함하고, 슬롯은 적어도 패널의 제1 연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문단 5. 제1 문단 내지 제4 문단 중 어느 한 문단에 있어서,
제1 버튼 커버를 더 포함하고, 제1 버튼 커버는 제1 버튼에 인접 배치된다.
문단 6. 제1 문단 내지 제5 문단 중 어느 한 문단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신발류 물품과 연관된 동력형 장력화 시스템에 명령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문단 7. 제1 문단 내지 제6 문단 중 어느 한 문단에 있어서,
격실은 갑피의 발등 영역을 따라 위치된다.
문단 8. 의류 물품이며:
제1 표면 및 제2 표면으로서, 제1 표면이 제2 표면과 별개인 재료의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
패널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형성된 격실을 포함하고;
제1 표면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개구는 제1 개구를 포함하며;
패널은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버튼은 제1 버튼을 포함하고;
패널은 격실 내에 배치되고; 그리고
제1 버튼은 제1 개구를 통해서 노출된다.
문단 9. 제8 문단에 있어서,
패널은 후크 부분을 더 포함하고, 후크 부분은 패널을 격실 내에 고정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다.
후크 부분은 패널을 격실 내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크 부분은 다른 요소를 잡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패널을 물품 내에 고정 및/또는 결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크 부분은 물품의 부분에 걸리거나 달리 연결되도록 곡선화될 수 있다.
문단 10. 제8 문단 또는 제9 문단에 있어서,
패널은 실질적으로 2-차원적인 재료로 이루어진다.
문단 11. 제8 문단 내지 제10 문단 중 어느 한 문단에 있어서,
제1 버튼의 형상 및 제1 개구의 형상이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문단 12. 제8 문단 내지 제11 문단 중 어느 한 문단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포트와 연결 부분을 더 포함하고, 포트는 제어 장치를 물품과 연관된 연결 요소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연결 요소는 물품의 일부일 수 있거나, 물품 및 연결 요소가 2개의 분리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문단 13. 제8 문단 내지 제12 문단 중 어느 한 문단에 있어서,
격실은 터널을 포함하고, 터널은 패널을 딱 맞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문단 14. 제8 문단 내지 제13 문단 중 어느 한 문단에 있어서,
제1 표면은 물품의 최외측 표면이다.
문단 15.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내에 제어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며:
제어 장치를 신발류 물품의 갑피의 내부 공극과 연관시키는 단계;
제어 장치의 패널의 연부를 갑피의 부분 내에 형성된 슬롯 내로 삽입하는 단계;
패널이 갑피 내에 형성된 격실 내에 배치되도록 패널을 슬롯을 통해서 이동시키는 단계; 및
패널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갑피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를 신발류 물품의 갑피의 내부 공극과 연관시키는 단계는 제어 장치를 내부 공극 내에서 물품의 갑피에 결합하는 단계, 또는 제어 장치를 내부 공극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문단 16. 제15 문단에 있어서,
제어 장치의 포트를 신발류 물품 내의 연결 요소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문단 17. 제15 문단 또는 제16 문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커버를 패널 상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문단 18. 제15 문단 내지 제17 문단 중 어느 한 문단에 있어서,
패널을 따라 형성된 후크 부분을 이용하여 패널을 격실 내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문단 19. 제15 문단 내지 제18 문단 중 어느 한 문단에 있어서,
패널을 슬롯을 통해서 이동시키는 단계는 패널 내에 형성된 홀을 파지하는 단계 및 인장 요소를 이용하여 격실을 통해서 패널을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문단 20. 제15 문단 내지 제19 문단 중 어느 한 문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신발류 물품의 발등 영역을 따라 위치되도록,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Claims (10)

  1. 신발류 물품에 있어서,
    갑피와 밑창 구조물;
    패널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갑피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의 일부분과 상기 제2 표면의 일부분 사이에 격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표면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제1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은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은 제1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은 상기 격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제1 개구와 정렬되며,
    상기 격실은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적어도 상기 패널의 제1 연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패널은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격실 내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슬롯은 상기 갑피의 내부 공극으로 개방되어 있어 상기 패널은 상기 내부 공극으로부터 상기 슬롯을 통해 활주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은 후크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 부분은 상기 격실 내에서 상기 패널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후크 부분은 상기 패널의 제1 연부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은 상기 제1 연부가 상기 슬롯에 먼저 들어가도록 상기 슬롯을 통해 활주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후크 부분은 상기 제2 표면 상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갑피의 최외측 표면인 것인, 신발류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은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에 형성된 터널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버튼 커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신발류 물품과 연관된 동력형 장력화 시스템에 명령을 전달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은 상기 갑피의 발등 영역을 따라 위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7. 신발류 물품 내에 제어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발류 물품 내의 갑피의 내부 공극과 상기 제어 장치를 연관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 장치의 패널의 연부를 상기 갑피의 일부분 내에 형성된 슬롯 내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패널이 상기 갑피 내에 형성된 격실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패널을 상기 슬롯을 통해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패널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상기 갑피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정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적어도 상기 패널의 제1 연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패널은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격실 내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슬롯은 상기 갑피의 내부 공극으로 개방되어 있어 상기 패널은 상기 내부 공극으로부터 상기 슬롯을 통해 활주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은 후크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 부분은 상기 격실 내에서 상기 패널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갑피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격실은 상기 제1 표면의 일부분과 상기 제2 표면의 일부분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 부분은 상기 패널의 제1 연부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은 상기 제1 연부가 상기 슬롯에 먼저 들어가도록 상기 슬롯을 통해 활주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후크 부분은 상기 제2 표면 상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내에 제어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의 포트를 상기 신발류 물품 내의 연결 요소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내에 제어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상에 적어도 하나의 버튼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내에 제어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상기 신발류 물품의 발등 영역을 따라 위치되도록 상기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내에 제어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
KR1020237004186A 2015-05-28 2016-05-13 신발류 물품을 위한 제어 장치 KR102621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24,007 US10070681B2 (en) 2015-05-28 2015-05-28 Control devic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4/724,007 2015-05-28
PCT/US2016/032283 WO2016191125A1 (en) 2015-05-28 2016-05-13 A control device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20217023333A KR102497979B1 (ko) 2015-05-28 2016-05-13 신발류 물품을 위한 제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333A Division KR102497979B1 (ko) 2015-05-28 2016-05-13 신발류 물품을 위한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495A true KR20230025495A (ko) 2023-02-21
KR102621465B1 KR102621465B1 (ko) 2024-01-04

Family

ID=5612116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333A KR102497979B1 (ko) 2015-05-28 2016-05-13 신발류 물품을 위한 제어 장치
KR1020237004186A KR102621465B1 (ko) 2015-05-28 2016-05-13 신발류 물품을 위한 제어 장치
KR1020177037072A KR20180015166A (ko) 2015-05-28 2016-05-13 신발류 물품을 위한 제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333A KR102497979B1 (ko) 2015-05-28 2016-05-13 신발류 물품을 위한 제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072A KR20180015166A (ko) 2015-05-28 2016-05-13 신발류 물품을 위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070681B2 (ko)
EP (2) EP4324355A3 (ko)
JP (2) JP7373893B2 (ko)
KR (3) KR102497979B1 (ko)
CN (2) CN114451626A (ko)
WO (1) WO20161911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0681B2 (en) 2015-05-28 2018-09-11 Nike, Inc. Control devic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1103030B2 (en) 2015-10-07 2021-08-3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US11033079B2 (en) 2015-10-07 2021-06-15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US11185130B2 (en) 2015-10-07 2021-11-30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WO2017092775A1 (de) * 2015-12-02 2017-06-08 Puma SE Verfahren zum schnüren eines schuhs, insbesondere eines sportschuhs
US10104937B2 (en) 2016-03-15 2018-10-23 Nike, Inc. Input assembly for an article of manufacture
MX2019005958A (es) 2016-11-22 2019-07-10 Puma SE Procedimiento para poner o quitar una prenda de ropa al portador o del portador de la misma o para cerrar, poner, abrir o quitar una pieza de equipaje portada por una persona.
JP6882472B2 (ja) 2016-11-22 2021-06-02 プーマ エス イーPuma Se 靴、とりわけ、運動靴を締め付けるための方法、および靴、とりわけ、運動靴
EP3598906A1 (en) * 2018-07-24 2020-01-29 Sanko Tekstil Isletmeleri San. Ve Tic. A.S. Fabric and article with led embedded therein and the related production process
IT201800008008A1 (it) * 2018-08-09 2020-02-09 Geox Spa Struttura di calzatura per una calzatura luminosa
EP4193867A1 (en) 2018-12-27 2023-06-14 NIKE Innovate C.V. Closure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D889805S1 (en) 2019-01-30 2020-07-14 Puma SE Shoe
USD906657S1 (en) 2019-01-30 2021-01-05 Puma SE Shoe tensioning device
USD899053S1 (en) 2019-01-30 2020-10-20 Puma SE Shoe
US11484089B2 (en) 2019-10-21 2022-11-0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with integrated sound damping
US20220110401A1 (en) * 2020-10-13 2022-04-1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920U (ko) * 1991-07-24 1993-02-25 박상연 만보계가 부착된 신발
US5530626A (en) * 1992-01-31 1996-06-25 Leonard Bloom Athletic shoe and articles of clothing with replaceable unitary assembly for generating and broadcasting an audible signal
EP1440627A1 (en) * 2003-01-24 2004-07-28 Kun-Chung Liu Automated tightening shoe
US20070209234A1 (en) * 2004-07-20 2007-09-13 Lung-Chiao Chou Automatic tying and loosing shoes
US20100263236A1 (en) * 2009-04-16 2010-10-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for Snowboarding
JP2011519611A (ja) * 2008-05-02 2011-07-14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自動靴紐結びシステム
US20130104429A1 (en) * 2011-10-28 2013-05-02 George Torres Self-tightening shoe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6204A (en) 1981-05-27 1984-08-21 Chyuan Jong Wu Electronic pace and distance counting shoe
IT1186356B (it) * 1985-11-04 1987-11-26 Nordica Spa Scarpone da sci con dispositivo di chiusura e con dispositivo di bloccaggio del piede ad azionamento elettrico
CA1253832A (en) 1988-03-07 1989-05-09 Nicholas A. Rodgers Footwear
US5345700A (en) * 1992-01-31 1994-09-13 Leonard Bloom Athletic shoe with replaceable unitary assembly for generating and broadcasting an audible signal
US5791068A (en) * 1992-07-20 1998-08-11 Bernier; Rejeanne M. Self-tightening shoe
JPH0613502U (ja) * 1992-07-24 1994-02-22 克巳 丹羽 歩数計装着用靴及び歩数計付靴
FR2697729B1 (fr) * 1992-11-06 1995-02-10 Salomon Sa Chaussure avec système de serrage avec mémorisation de tension.
US5592759A (en) 1995-01-26 1997-01-14 Co-Jo Sports, Inc. Vibrating footwear
US5765300A (en) 1995-12-28 1998-06-16 Kianka; Michael Shoe activated sound synthesizer device
US5806960A (en) * 1996-11-08 1998-09-15 Chien; Tseng Lu Universal safety light with EL element
US5836899A (en) * 1996-12-20 1998-11-17 Reilly; Peter C. Vibrating massage system for footwear
JP2000316623A (ja) 1999-05-10 2000-11-21 Kunihiko Sakiyama 携帯電話機ホルダー
AU6405000A (en) 1999-06-18 2001-01-09 Steve Myers Shoe wear indicator
JP2002119498A (ja) 2000-10-17 2002-04-23 Suzuki Sogyo Co Ltd 健康管理機能付運動具
US20030070324A1 (en) 2001-10-17 2003-04-17 Nelson Webb T.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nic display on moving footwear
TW521593U (en) 2002-02-08 2003-02-21 Kuen-Jung Liou Shoes capable of being tightened electrically
US6788200B1 (en) 2002-10-21 2004-09-07 Mitchell W Jamel Footwear with GPS
KR200312676Y1 (ko) * 2002-10-29 2003-05-14 김성열 발목꺽임방지용 골프화
US7225565B2 (en) 2003-03-10 2007-06-05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Intelligent footwear systems
US6694643B1 (en) * 2003-04-07 2004-02-24 Cheng-Hui Hsu Shoelace adjustment mechanism
US7254910B2 (en) 2004-01-08 2007-08-14 Bbc International, Ltd. Footwear with externally activated switch
JP3940138B2 (ja) * 2004-06-01 2007-07-04 治 三宅 低周波治療器
CN2749113Y (zh) * 2004-11-10 2005-12-28 美国莫列斯股份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7254516B2 (en) 2004-12-17 2007-08-07 Nike, Inc. Multi-sensor monitoring of athletic performance
US20060156588A1 (en) 2005-01-19 2006-07-20 Ferrell Patti J Footwear
US7210253B2 (en) 2005-02-08 2007-05-01 Tsung I Yu Massage shoes capable of increasing circulation of blood
DE102005014709C5 (de) 2005-03-31 2011-03-24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
US8028443B2 (en) 2005-06-27 2011-10-04 Nike, Inc. Systems for activating and/or authenticating electronic devices for operation with footwear
US20070113564A1 (en) 2005-11-23 2007-05-24 Whitney David L Mechanically heated and cooled shoes with easy-to-use controls
US20070130803A1 (en) 2005-12-14 2007-06-14 Bernard Levy Step over walking aid
US7607243B2 (en) 2006-05-03 2009-10-27 Nike, Inc. Athletic or other performance sensing systems
KR100702613B1 (ko) 2006-05-30 2007-04-03 주식회사 아이손 콘트롤러를 장착한 인공지능신발과 운동량측정방법
US7789520B2 (en) 2006-09-08 2010-09-07 Kristian Konig Electroluminescent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rticles of apparel and the like
US8128410B2 (en) 2006-09-29 2012-03-06 Nike, Inc. Multi-mode acceleration-based athleticism measurement system
JP2008204380A (ja) * 2007-02-22 2008-09-04 Nozaki Insatsu Shigyo Kk 個人識別用非接触icタグおよび個人識別機能付き靴
US7752774B2 (en) 2007-06-05 2010-07-13 Tim James Ussher Powered shoe tightening with lace cord guiding system
US7941943B2 (en) * 2007-10-22 2011-05-17 Nike, Inc. Ball control insert
US7794101B2 (en) 2008-02-01 2010-09-14 Matthias Joseph Galica Microprocessor enabled article of illuminated footwear with wireless charging
US8058837B2 (en) 2008-05-02 2011-11-15 Nike, Inc. Charg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056269B2 (en) 2008-05-02 2011-11-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lighting system
US20090288317A1 (en) * 2008-05-23 2009-11-26 Forbes Brandon F Footwear device with scrolling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8384551B2 (en) 2008-05-28 2013-02-26 MedHab, LLC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physical stresses placed on a user
DE102008027104A1 (de) 2008-06-06 2009-12-10 Cairos Technologies Ag System und Verfahren zur mobilen Bewertung von Schuhdämpfungseigenschaften
US10070680B2 (en) 2008-06-13 2018-09-11 Nike, Inc. Footwear having sensor system
US8628453B2 (en) 2008-12-05 2014-01-14 Nike, Inc.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in a team sports environment
EP2398383A4 (en) 2009-02-20 2013-07-03 Univ Colorado Regents ARTICLE BASED BODY WEIGHT MONITOR AND POSITIONING INSTRUCTION, CLASSIFICATION OF BODY ACTIVITIES AND ENERGY CONSUMPTION CALCULATOR
US20100223816A1 (en) 2009-03-06 2010-09-09 Dante Barfield Footwear for displaying visual content
FR2945712B1 (fr) 2009-05-19 2011-07-22 Michel Chauveau Chaussure tout terrain.
CN102695432A (zh) * 2009-11-05 2012-09-26 哥伦比亚运动休闲北美公司 鞋袜温度控制方法和装置
CN102821635B (zh) 2010-01-21 2015-10-14 博技术有限公司 用于系带系统的引导装置
JP5628711B2 (ja) 2010-03-16 2014-11-19 大塩 宏三 靴の歩数計測具及び中敷き(インソール)
US9655405B2 (en) 2010-04-22 2017-05-23 Kristan Lisa Hamill Insoles for tracking, data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the inso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9375053B2 (en) * 2012-03-15 2016-06-28 Boa Technology, Inc. Tightening mechanisms and applications including the same
JP5925765B2 (ja) 2010-04-30 2016-05-25 ボア 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紐締めシステムに使用するためのリール、同リールを作る方法、及び同リールと共に使用されるつめ
DE112011102255T5 (de) 2010-07-01 2013-05-16 Boa Technology, Inc. Senkelführung
US8529267B2 (en) 2010-11-01 2013-09-10 Nike, Inc. Integrated training system for articles of footwear
KR101119904B1 (ko) 2010-11-02 2012-02-29 이진욱 보행진단용 밑창 시트, 이를 이용한 보행 진단용 신발 시스템 및 보행자세 진단 서비스 시스템
CN107411215B (zh) 2011-02-17 2020-10-3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带传感器系统的鞋
US20130219754A1 (en) 2012-02-29 2013-08-29 Indicators, LLC Shoe
US10004295B2 (en) * 2012-05-25 2018-06-2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protective member for a control device
EP2871994B8 (en) 2012-08-31 2020-11-04 NIKE Innovate C.V. Motorized tensioning system with sensors
US9248040B2 (en) 2012-08-31 2016-02-02 Boa Technology Inc. Motorized tensioning system for medical braces and devices
JP5964874B2 (ja) 2013-02-22 2016-08-03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活動の監視、追跡および同期
US9279734B2 (en) 2013-03-15 2016-03-08 Nike,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thletic activity
US9060567B2 (en) * 2013-03-22 2015-06-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tensile structure
CN105491948B (zh) 2013-05-31 2019-08-2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动态取样
WO2015034770A1 (en) 2013-09-04 2015-03-12 Solepower Llc Segmented insole for support of embedded systems
WO2015057618A1 (en) 2013-10-14 2015-04-23 Nike Innovate C.V. Fitness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goal motivation
CN203692654U (zh) 2013-12-04 2014-07-09 林庆隆 储物鞋
US10070681B2 (en) 2015-05-28 2018-09-11 Nike, Inc. Control device for an article of footwea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920U (ko) * 1991-07-24 1993-02-25 박상연 만보계가 부착된 신발
US5530626A (en) * 1992-01-31 1996-06-25 Leonard Bloom Athletic shoe and articles of clothing with replaceable unitary assembly for generating and broadcasting an audible signal
EP1440627A1 (en) * 2003-01-24 2004-07-28 Kun-Chung Liu Automated tightening shoe
US20070209234A1 (en) * 2004-07-20 2007-09-13 Lung-Chiao Chou Automatic tying and loosing shoes
JP2011519611A (ja) * 2008-05-02 2011-07-14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自動靴紐結びシステム
US20100263236A1 (en) * 2009-04-16 2010-10-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for Snowboarding
WO2010120860A2 (en) * 2009-04-16 2010-10-21 Nike International Ltd. Article of footwear for snowboarding
US20130104429A1 (en) * 2011-10-28 2013-05-02 George Torres Self-tightening sho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1125A1 (en) 2016-12-01
KR102621465B1 (ko) 2024-01-04
JP7373893B2 (ja) 2023-11-06
CN107920618B (zh) 2022-02-25
CN114451626A (zh) 2022-05-10
EP3302125B1 (en) 2023-10-04
EP3302125A1 (en) 2018-04-11
JP2022133272A (ja) 2022-09-13
KR20180015166A (ko) 2018-02-12
US10070681B2 (en) 2018-09-11
EP4324355A3 (en) 2024-05-15
CN107920618A (zh) 2018-04-17
JP7361160B2 (ja) 2023-10-13
US20160345655A1 (en) 2016-12-01
JP2018516123A (ja) 2018-06-21
KR20210095724A (ko) 2021-08-02
EP4324355A2 (en) 2024-02-21
US20190082772A1 (en) 2019-03-21
KR102497979B1 (ko)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7979B1 (ko) 신발류 물품을 위한 제어 장치
US20230309645A1 (en) Article of footwear and a method of assembly of the article of footwear
EP3302122B1 (en) An article of footwear and a method of assembly of the article of footwear
US10383389B2 (en) Lighting assembly for articles of footwear
US20200221813A1 (en) Standoff unit for a control device in an article of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