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462A - 위상 결정방법 및 장치, 위상 교정방법, 매체 그리고 안테나 장비 - Google Patents

위상 결정방법 및 장치, 위상 교정방법, 매체 그리고 안테나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462A
KR20230025462A KR1020237001861A KR20237001861A KR20230025462A KR 20230025462 A KR20230025462 A KR 20230025462A KR 1020237001861 A KR1020237001861 A KR 1020237001861A KR 20237001861 A KR20237001861 A KR 20237001861A KR 20230025462 A KR20230025462 A KR 20230025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offset
signal
channel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청웨이 지아
Original Assignee
세인칩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인칩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세인칩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5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04B17/0085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using test signal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4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of other parameters, e.g. DC offset, delay or propagation ti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04B17/12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of transmit antennas, e.g. of the amplitude or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04B17/14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of the who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e.g. self-test loop-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04B17/22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for calibration of the receiver components
    • H04B17/2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for calibration of the receiver components of receiver antennas, e.g. as to amplitude or ph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공개는 교정할 N개의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위상배열 시스템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획득하는 단계; 각기 다른 초기 위상에서의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각각 획득하는 단계, 어느 하나의 초기 위상에 대해,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는 N개의 목표 채널에 테스트 신호를 제공한 후, 위상배열 시스템의 전력합성기 다운스트림의 주파수 혼합기가 출력하는 초기 주파수 혼합 신호의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이며; 각기 다른 초기 위상 조건하에서 N개의 목표 채널의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계산하고,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이 최대값에 도달 시 N개의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을 N개의 목표 채널의 목표 초기 위상으로 삼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공개는 위상 교정방법, 초기 위상 결정장치 및 안테나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상 결정방법 및 장치, 위상 교정방법, 매체 그리고 안테나 장비
본 공개는 통신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위상배열 기술은 빔포밍, 빔스캐닝 등 능력을 지니고 있어, 무선통신시스템의 신호대 잡음비와 감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위상배열 기술을 통해 위상배열 시스템 중 단일한 채널에 대한 전력 및 노이즈 요구를 감소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위상배열 기술이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본 공개는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교정할 N개의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위상배열 시스템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획득하는 단계; 각기 다른 초기 위상에서의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각각 획득하는 단계, 어느 하나의 초기 위상에 대해,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는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에 테스트 신호를 제공한 후, 상기 위상배열 시스템의 전력합성기 다운스트림의 주파수 혼합기가 출력하는 초기 주파수 혼합 신호의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이며; 각기 다른 초기 위상 조건하에서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계산하고, 상기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이 최대값에 도달 시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을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목표 초기 위상으로 삼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이하 공식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계산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Figure pct00002
는 상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이고;
Figure pct00003
는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이며;
Figure pct00004
는 상기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이고; N은 상기 위상배열 시스템의 채널 수량이다.
본 공개는 위상 교정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교정할 N개의 목표 채널에 대응하는 위상배열 시스템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을 조절하여,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을 하나의 위상값으로 조절할 때마다,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에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위상배열 시스템의 전력합성기 다운스트림의 주파수 혼합기에서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출력하는 단계; 본 공개의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목표 초기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각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을 상기 목표 초기 위상으로 각각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공개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본 공개에 따른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을 구현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목표 초기 위상 결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공개는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 시, 상기 프로세서가 본 공개에 따른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공개는 위상배열 시스템; 및 본 공개에 따른 목표 초기 위상 결정장치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비를 제공한다.
첨부도면은 본 공개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며,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방식과 함께 본 공개를 해석하는데 사용되나, 단 본 공개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면 중,
도 1은 관련 기술 중의 위상배열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2는 주파수 혼합기의 원리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공개가 제공하는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의 일 실시방식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공개가 제공하는 위상 교정방법의 일 실시방식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공개가 제공하는 위상 교정방법을 이용하여 수신 채널을 교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공개가 제공하는 위상 교정방법을 이용하여 수신 채널을 교정하는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공개가 제공하는 위상 교정방법을 이용하여 송신 채널을 교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공개가 제공하는 위상 교정방법을 이용하여 송신 채널을 교정하는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공개가 제공하는 위상 교정방법을 이용하여 이중채널의 위상배열 시스템 중 수신 채널을 교정하는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공개가 제공하는 위상 교정방법을 이용하여 이중채널의 위상배열 시스템 중 송신 채널을 교정하는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결합하여 본 공개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 기술하는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단지 본 공개를 설명 및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공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관련 기술 중 위상배열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합성 또는 분배 네트워크는 각 채널에 전력을 분배하고, 각기 다른 채널의 제어 가능한 위상차를 통해 빔 방향을 변경하여 효과적인 빔 합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위상배열 시스템에는 채널 수량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채널마다 제조 가공 편차 및 주변 환경의 불일치로 인해 모든 채널의 초기 위상이 동일하다는 것을 보장하기 어려워 빔 합성 성능의 저하가 초래된다. 따라서, 어떻게 위상배열 시스템 중 각 채널의 위상을 교정할 것인가가 본 분야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과제가 되었다.
본 공개는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을 제공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은 단계 S110 내지 S130을 포함한다.
단계 S110에서, 교정할 N개의 목표 채널에 대응하는 위상배열 시스템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획득한다.
단계 S120에서, 각기 다른 초기 위상에서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각각 획득하며, 어느 하나의 초기 위상에 대하여,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는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에 테스트 신호를 제공한 후, 상기 위상배열 시스템의 전력합성기 다운스트림의 주파수 혼합기가 출력하는 초기 주파수 혼합 신호의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이다.
단계 S130에서, 각기 다른 초기 위상 조건하에서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계산하고, 상기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이 최대치에 도달 시,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위상을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목표 초기 위상으로 삼는다.
이하 공식 (1)을 이용하여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계산한다:
Figure pct00005
여기서,
Figure pct00006
는 상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이고;
Figure pct00007
는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이며;
Figure pct00008
는 상기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이고; N은 위상배열 시스템의 채널 수량이다.
언급해 두어야 할 점으로, 여기서의 "각기 다른 위상에서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각각 획득한다"는 것은, 매번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획득할 때마다, N개의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이 모두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공개가 제공하는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은 주파수 혼합기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이다. 이하 도 3을 결합하여 주파수 혼합기의 원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주파수 혼합기는 아날로그 곱셈기에 해당하며, 주파수 혼합기의 이득(gain)이
Figure pct00009
라고 가정하면, 즉 주파수 혼합기의 출력 신호는 공식(2)와 같다:
Figure pct00010
여기서,
Figure pct00011
는 송신 신호의 전압 진폭이고;
Figure pct00012
은 로컬 발진 신호의 전압 진폭이며;
Figure pct00013
는 송신 신호의 각주파수이고;
Figure pct00014
는 로컬 발진 신호의 각주파수이며;
Figure pct00015
는 송신 신호 위상이고;
Figure pct00016
는 로컬 발진 신호 위상이다.
공식 (2) 중의 첫 번째 등식은 주파수 혼합기로 혼합하는 기본 수학 원리가 2개의 신호를 서로 곱하는 것임을 보여주며, 곱셈 합차 공식을 통해 공식 (2) 중의 두 번째 등식, 즉 주파수영역 가산 또는 감산으로 변환할 수 있다.
주파수 혼합기의 출력단은 일반적으로 로우패스 필터가 설치되어, 공식 (2) 중의 고주파항을 필터링할 수 있으며, 획득되는 출력 신호는 공식 (3)과 같다:
Figure pct00017
공식 (3)은 혼합에 의해 생성된 차등 주파수 신호를 획득하며, 그 주파수는 2개의 혼합 신호의 주파수 감산이고, 초기 위상은 2개의 혼합 신호의 초기 위상 감산임을 나타낸다.
입력 신호 주파수가 로컬 발진 신호 주파수와 동일하다면, 주파수 혼합기가 출력하는 신호는 직류 신호이며, 공식 (4)를 통해 상기 직류 신호의 폭
Figure pct00018
을 계산한다:
Figure pct00019
공식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2개의 혼합 신호의 주파수가 동일하다면, 최종적으로 혼합에 의해 출력되는 것은 직류량이며, 또한 직류량의 크기는 2개의 혼합 신호의 초기 위상과 관련이 있다. 2개의 혼합 신호의 초기 위상이 동일할 때, 주파수 혼합기의 출력 직류량은 최대값에 도달한다.
각 목표 채널이 테스트 신호를 수신한 후, 각 목표 채널은 테스트 신호를 처리(예를 들어 증폭)할 수 있으며, 이후 전력합성기는 복수의 목표 채널이 출력하는 신호를 중첩한다. 채널마다 다른 초기 위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중첩되는 신호 y는 공식 (5)와 같다:
Figure pct00020
여기서, i는 목표 채널의 번호이고, i는 변수이며, 또한 i는 양의 정수이고, 1≤i≤N이며; A i i번째 목표 채널의 이득이고; w*t는 주기함수를 나타내며;
Figure pct00021
i번째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이다.
중첩으로 획득된 신호 y가 주파수 혼합기를 통해 혼합된 후 얻어진 신호는 공식 (6)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22
여기서, B는 로컬 발진 신호의 전압 진폭이고; w는 로컬 발진 신호의 각주파수이며;
Figure pct00023
는 로컬 발진 신호의 위상이다.
로우패스 필터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하며, 나머지 직류 오프셋 신호(즉,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는 공식 (7)과 같다:
Figure pct00024
목표 채널 중 신호의 주파수가 로컬 발진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고,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한 후 나머지 차등 주파수 신호가 하나의 직류량이라면, 즉 모든 코사인 신호 함수 중의 상기 직류량의 각 초기 위상
Figure pct00025
(i=1, 2, 3, ……N)이 모두 로컬 발진 신호의 초기 위상
Figure pct00026
과 동일할 때 최대값을 취득한다.
주파수 혼합기에 의해 혼합된 후 생성된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는 위상배열 시스템의 초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즉, 단계 S110에서 획득한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와 서로 중첩되어 위상배열 시스템의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채널 중 테스트 신호의 혼합 신호에 의해 생성된 직류 오프셋 신호(즉,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를 결정 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출력하여 획득된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를 기초로 초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를 감산해야 하며, 따라서 상기 공식 (1)을 통해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공식 (1) 중의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
Figure pct00027
는 각 채널의 위상을 조절하는 최적화 목표이며,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
Figure pct00028
가 최대값에 도달한 경우, 각 채널의 초기 위상이 모두 동일하고, 모두 로컬 발진 신호의 초기 위상과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관련 기술에서, 통상적으로 위상배열 시스템의 안테나 단부에 커플러를 추가하고 위상을 검출하는 방식과 결합하여 채널의 초기 위상을 교정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각 안테나 포트마다 커플러를 도입해야 하며, 커플러로부터 위상검출기까지 복잡한 신호 라우팅이 존재하고, 방법이 복잡하다. 또한, 커플러와 위상검출기 사이의 다량의 회선의 불일치는 교정 편차를 초래하여 교정 정밀도가 저하된다. 본 공개가 제공하는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에 따르면, 위상배열 시스템 중의 각 채널의 신호가 주파수 혼합기를 통해 자가 혼합됨으로써 각 목표 채널의 목표 초기 위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교정 과정이 간단하다. 또한, 별도의 교정장치를 도입할 필요가 없어 추가적인 교정 편차가 도입되지 않으므로, 교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목표 채널은 수신 채널일 수도 있고, 송신 채널일 수도 있다. 이하 각각 목표 채널이 수신 채널 및 송신 채널인 두 가지 상황에 대하여, 본 공개의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목표 채널이 수신 채널인 경우, 단계 S110 중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은 N개의 수신 채널을 개방하는 단계; 위상배열 시스템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의 출력값을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계 S110 중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은 N개의 수신 채널을 개방한 후, 주파수 혼합기 다운스트림의 ADC가 출력하는 출력값이다.
수신 채널을 개방 시, 위상배열 시스템에 외부 입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N개의 목표 채널을 개방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획득된 초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은 위상배열 시스템의 주파수 혼합기로부터 ADC 사이의 모든 장치(예를 들어,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 필터 등)에서 생성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총합에 대응되는 전압 진폭이자, 위상배열 시스템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이기도 하다.
또한, 본 공개에서는 테스트 신호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목표 채널이 수신 채널인 경우, 선택적 실시방식으로서, 테스트 신호는 교정을 위한 단일 채널의 송신 안테나가 송신하는 단음 신호일 수 있다.
상응하게, 단계 S120에서,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은 N개의 수신 채널을 개방한 후, ADC가 출력하는 출력값이다.
목표 채널이 송신 채널인 경우, 단계 S110 중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은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을 개방한 후, 주파수 혼합기 다운스트림의 ADC에 의해 출력되는 출력값이다.
본 공개에서는 테스트 신호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 실시방식으로서, N개의 목표 채널에 제공되는 테스트 신호는 위상배열 시스템의 다중채널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단음 신호일 수 있다.
상응하게, 단계 S120에서,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은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을 개방한 후, ADC가 출력하는 출력값이다.
본 공개는 위상 교정방법을 제공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상 교정방법은 단계 S210 내지 S240을 포함한다.
단계 S210에서, 교정할 N개의 목표 채널에 대응하는 위상배열 시스템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출력한다.
단계 S220에서,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을 조절하여,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을 하나의 위상값으로 조절할 때마다,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에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위상배열 시스템의 전력합성기 다운스트림의 주파수 혼합기에서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출력하도록 한다.
단계 S230에서, 본 공개의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목표 초기 위상을 결정한다.
단계 S240에서, 각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을 상기 목표 초기 위상으로 각각 조절한다.
본 공개가 제공하는 위상 교정방법에서, 위상배열 시스템 중 각 채널의 신호가 주파수 혼합기를 통해 자가 혼합됨으로써 즉시 각 목표 채널의 목표 초기 위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교정 과정이 간단하다. 또한, 별도의 교정장치를 도입할 필요가 없어 추가적인 교정 편차가 도입되지 않아 교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본 공개에서, 어떻게 단계 S220에서 각 목표 채널의 위상을 조절하는지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위상배열 시스템의 각 채널마다 위상 시프터가 있으며, 위상 시프터를 이용하여 각 목표 채널의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목표 채널은 수신 채널일 수도 있고, 송신 채널일 수도 있다. 이하 목표 채널이 수신 채널인 경우와 목표 채널이 송신 채널인 경우의 위상 교정방법을 각각 소개한다.
목표 채널이 수신 채널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10은 단계 S211a와 S212a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1a에서, N개의 수신 채널을 개방한다.
단계 S212a에서, 위상배열 시스템의 ADC가 출력하는 출력값을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으로 삼는다.
본 공개에서는 테스트 신호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 실시방식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20은 단계 S221a와 S222a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1a에서, 교정을 위한 단일 채널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테스트 신호로 사용되는 단음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222a에서, N개의 수신 채널을 개방하고, 주파수 혼합기 다운스트림의 ADC가 출력하는 출력값을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으로 삼는다.
이하 도 5와 도 6을 결합하여 수신 채널의 교정방법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211a에서, 위상배열 시스템에 외부 입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든 수신 채널을 개방한다.
단계 S212a에서, 이때 ADC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기록하며, 상기 직류 오프셋 신호가 바로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이다. 아래 본문 중의 송신 채널의 교정과 구분의 편의를 위하여, 여기서는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를
Figure pct00029
로 기록하며, 이 직류 오프셋 신호에 대응하는 직류 오프셋은 주파수 혼합기로부터 ADC 사이의 모든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직류 오프셋의 총합이다.
단계 S221a에서, 교정을 위한 단일 채널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단음 신호를 송신하며, 위상배열 시스템의 수신 채널 RX 1 , RX 2 , RX 3 , ……, RX n 은 각각 등폭의 위상이 동일한 단음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222a에서, 각 채널의 증폭을 거쳐 최종적으로 전력합성기에서 중첩을 수행하며, 수신 채널마다 다른 초기 위상을 가지므로, 최종적으로 중첩되는 신호는 상기 공식(5)로 표시할 수 있다.
Figure pct00030
공식 (5)는 전력합성기에서의 신호는 각 수신 채널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채널 증폭 및 초기 위상 조정을 거친 후의 신호의 중첩임을 나타낸다.
주파수 혼합기를 통해 생성된 신호는 본문 중의 공식 (6)으로 표시할 수 있다:
Figure pct00031
공식 (6)은 공식(2)의 주파수 혼합 원리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전력합성기의 출력과 주파수 혼합기의 로컬 발진 신호의 혼합은 복수의 코사인 신호와 로컬 발진 신호를 곱셈한 것임을 나타낸다.
로우패스 필터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하고 남은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은 공식 (7)의 표시 방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32
상기 공식은 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로컬 발진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고, 또한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한 후 남은 차등 주파수 신호임을 나타낸다. 이 경우 이 차등 주파수 신호는 직류량이며, 또한 이 직류량은 모든 코사인 신호의 초기 위상이 모두 로컬 발진 신호의 초기 위상과 동일할 때 최대값에 도달한다.
주파수 혼합기를 거쳐 혼합된 후 생성된 직류 오프셋 신호는 초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과 중첩되며, 이때 ADC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직류 오프셋 신호는
Figure pct00033
로 기록한다. 주파수 혼합에 의해 생성된 직류 오프셋은 이를 기초로 초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을 감산하여야 하므로,
Figure pct00034
이다.
단계 S230에서,
Figure pct00035
를 최적화 목표로 설정하고, 최적화 목표
Figure pct00036
가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수신 채널 RX 1 , RX 2 , RX 3 , ……, RX n 의 위상을 각각 조정한다(수신 채널 중의 위상 시프터 모듈을 통해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Figure pct00037
가 최대값에 도달하는 조건은 공식 (8)과 같다:
Figure pct00038
공식 (8)은 수신 채널의 초기 위상이 모두 로컬 발진 신호의 초기 위상과 동일한 것이 주파수 혼합에 의해 생성된 직류량이 최대값에 도달하는 조건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Figure pct00039
의 관계가 있으며, 즉 위상배열 시스템의 모든 수신채널의 위상 교정을 구현함으로써, 모든 수신 채널의 초기 위상이 동일하도록 보장한다.
단계 S240에서, 각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을 상응하는 목표 초기 위상으로 각각 조절한다.
목표 채널이 송신 채널인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10은 단계 S211b와 S212b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1b에서,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을 개방한다.
단계 S212b에서, 상기 위상배열 시스템의 ADC에 의해 출력된 출력값을 상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으로 삼는다.
본 공개에서, 어떻게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는지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다중채널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단음 신호를 테스트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20은 단계 S221b와 S222b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1b에서, 다중채널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신호로 사용되는 단음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222b에서,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을 개방하고, 주파수 혼합기 다운스트림의 ADC가 출력하는 출력값을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으로 삼는다.
이하 도 7과 도 8을 결합하여 송신 채널의 교정방법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211b에서,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에 외부 입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채널을 개방한다.
단계 S212b에서, 이때 ADC의 출력단이 측정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Figure pct00040
로 기록하며, 이 직류 오프셋 신호에 대응하는 직류 오프셋은 주파수 혼합기로부터 ADC 사이의 모든 장치에서 생성되는 직류 오프셋의 총합이자,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 직류 오프셋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이다.
단계 S221b에서, 위상배열 시스템의 다중채널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단음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222b에서, 채널마다 다른 초기 위상을 가지므로, 최종적으로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의 주파수 혼합기의 입력단에서 중첩되어 나오는 신호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41
.
상기 공식은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 주파수 혼합기 이전의 신호가 교정할 각 송신 채널 신호의 중첩이고, 이러한 중첩된 신호는 다른 폭과 초기 위상을 가질 가능성이 있으나, 단 주파수는 일치함을 나타낸다.
주파수 혼합기의 혼합을 거쳐 생성된 신호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42
.
상기 공식은 공식 (2)의 주파수 혼합 원리를 기반으로 하며,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의 주파수 혼합기의 입력과 주파수 혼합기의 로컬 발진 신호의 혼합이 복수의 코사인 신호와 로컬 발진 신호를 곱셈한 것임을 나타낸다.
로우패스 필터를 거쳐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하고 남은 직류 오프셋 신호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43
.
상기 공식은 송신 신호의 주파수가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의 로컬 발진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고, 또한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에서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한 후 남은 차등 주파수 신호임을 나타낸다. 이 경우 이 차등 주파수 신호는 직류량이며, 또한 이 직류량은 모든 코사인 신호의 초기 위상이 모두 로컬 발진 신호의 초기 위상과 동일할 때 최대값에 도달한다.
주파수 혼합기를 거쳐 혼합된 후 생성된 직류 오프셋 신호는 초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과 중첩될 수 있으며, 이때 ADC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직류 오프셋 신호는
Figure pct00044
로 기록한다. 주파수 혼합에 의해 생성된 직류 오프셋은 이를 기초로 초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을 감산하여야 하므로,
Figure pct00045
이다.
단계 S230에서,
Figure pct00046
를 최적화 목표로 설정하고, 최적화 목표
Figure pct00047
가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수신 채널 TX 1 , TX 2 , TX 3 , ……, TX n 의 위상을 각각 조정한다(송신 채널 중의 위상 시프터 모듈을 통해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Figure pct00048
가 최대값에 도달하는 조건은 공식 (9)과 같다:
Figure pct00049
공식 (9)는 송신 채널의 초기 위상이 모두 로컬 발진 신호의 초기 위상과 동일한 것이 주파수 혼합에 의해 생성된 직류량이 최대값에 도달하는 조건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Figure pct00050
의 관계가 있으며, 즉 위상배열 시스템의 모든 송신 채널의 위상 교정을 구현함으로써, 각 송신 채널의 초기 위상이 동일하도록 보장한다.
단계 S240에서, 각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을 상응하는 목표 초기 위상으로 각각 조절한다.
이하 채널 수 N이 2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공개가 제공하는 위상 교정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도 5와 도 9를 결합하여 수신 채널의 위상 교정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211a에서, 이중채널 위상배열 시스템에 외부 입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모든 수신 채널을 개방한다.
단계 S212a에서, 이때 ADC의 출력단이 측정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Figure pct00051
로 기록하며, 이 직류 오프셋 신호에 대응하는 직류 오프셋은 주파수 혼합기로부터 ADC 사이의 모든 장치에서 생성되는 직류 오프셋의 총합이자,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초기값이다.
단계 S221a에서, 교정을 위한 단일 채널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단음 신호를 송신하며, 위상배열 이중채널 시스템의 수신 채널 RX 1 RX 2 는 각각 등폭의 위상이 동일한 단음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222a에서, 각 채널의 증폭을 거쳐 최종적으로 전력합성기에서 중첩을 수행하며, 채널마다 다른 초기 위상을 가지므로, 최종적으로 중첩되는 신호는 하기 공식과 같다:
Figure pct00052
.
상기 공식은 전력합성기에서의 신호는 각 수신 채널이 수신한 신호가 채널 증폭 및 초기 위상 조정을 거친 후의 신호의 중첩임을 나타낸다.
주파수 혼합기를 통해 생성된 신호는 하기 공식과 같다:
Figure pct00053
.
상기 공식은 공식(2)의 주파수 혼합 원리를 기반으로 하며, 전력합성기의 출력과 주파수 혼합기의 로컬 발진 신호의 혼합은 2개의 코사인 신호와 로컬 발진 신호를 곱셈한 것임을 나타낸다.
로우패스 필터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하고 남은 직류 오프셋값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54
.
상기 공식은 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로컬 발진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고, 또한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한 후 남은 차등 주파수 신호임을 나타낸다. 이 경우 이 차등 주파수 신호는 직류량이며, 또한 이 직류량은 2개의 코사인 신호의 초기 위상이 모두 로컬 발진 신호의 초기 위상과 동일할 때 최대값에 도달한다.
주파수 혼합기를 거쳐 혼합된 후 생성된 직류 오프셋 신호는 초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과 중첩될 수 있으며, 이때 ADC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직류 오프셋 신호는
Figure pct00055
로 기록한다. 주파수 혼합에 의해 생성된 직류 오프셋은 이를 기초로 초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을 감산하여야 하므로,
Figure pct00056
이다.
단계 S230에서,
Figure pct00057
를 최적화 목표로 설정하고, 최적화 목표
Figure pct00058
가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수신 채널 RX 1 RX 2 의 위상을 각각 조정한다(수신 채널 중의 위상 시프터 모듈을 통해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Figure pct00059
가 최대값에 도달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60
공식 (10)은 2개의 수신 채널의 초기 위상이 모두 로컬 발진 신호의 초기 위상과 동일한 것이 주파수 혼합에 의해 생성된 직류량이 최대값에 도달하는 조건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Figure pct00061
의 관계가 있으며, 즉 위상배열 이중채널 시스템의 모든 수신 채널의 위상 교정을 구현함으로써, 각 수신 채널의 초기 위상이 동일하도록 보장한다.
단계 S240에서, 2개 수신 채널의 초기 위상을 단계 S230에서 결정된 위상으로 조절한다.
이하 도 7과 도 10을 결합하여 수신 채널의 위상 교정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211b에서,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에 외부 입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채널을 개방한다.
단계 S212b에서, 이때 ADC의 출력단이 측정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Figure pct00062
로 기록하며, 이 직류 오프셋 신호에 대응하는 직류 오프셋은 주파수 혼합기로부터 ADC 사이의 모든 장치에서 생성되는 직류 오프셋의 총합이자,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 직류 오프셋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이다.
단계 S221b에서, 이중채널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단음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222b에서, 채널마다 다른 초기 위상을 가지므로, 최종적으로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의 주파수 혼합기의 입력단에서 중첩되어 나오는 신호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63
.
상기 공식은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 주파수 혼합기 이전의 신호가 교정할 2개의 송신 채널 신호의 중첩이고, 또한 이 2개의 중첩된 신호는 다른 폭과 초기 위상을 가질 가능성이 있으나, 단 주파수는 일치함을 나타낸다.
주파수 혼합기의 혼합을 통해 생성된 신호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64
.
상기 공식은 공식 (2)의 주파수 혼합 원리를 기반으로 하며,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의 주파수 혼합기의 입력과 주파수 혼합기의 로컬 발진 신호의 혼합은 2개의 코사인 신호와 로컬 발진 신호를 곱셈한 것임을 나타낸다.
로우패스 필터를 거쳐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하고 남은 직류 오프셋 신호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65
.
상기 공식은 2개의 송신 신호의 주파수가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의 로컬 발진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고, 또한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에서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한 후 남은 차등 주파수 신호임을 나타낸다. 이 경우 이 차등 주파수 신호는 직류량이며, 또한 이 직류량은 2개의 코사인 신호의 초기 위상이 모두 로컬 발진 신호의 초기 위상과 동일할 때 최대값에 도달한다.
주파수 혼합기를 거쳐 혼합된 후 생성된 직류 오프셋 신호는 초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과 중첩되며, 이때 ADC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직류 오프셋 신호는
Figure pct00066
로 기록한다. 주파수 혼합에 의해 생성된 직류 오프셋은 이를 기초로 초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을 감산하여야 하므로,
Figure pct00067
이다.
단계 S230에서,
Figure pct00068
를 최적화 목표로 설정하고, 최적화 목표
Figure pct00069
가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수신 채널 TX 1 TX 2 의 위상을 각각 조정한다(송신 채널 중의 위상 시프터 모듈을 통해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Figure pct00070
가 최대값에 도달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71
공식 (11)은 2개의 송신 채널의 초기 위상이 모두 로컬 발진 신호의 초기 위상과 동일한 것이 주파수 혼합에 의해 생성된 직류량이 최대값에 도달하는 조건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Figure pct00072
의 관계가 있으며, 즉 위상배열 이중채널 시스템의 모든 송신 채널의 위상 교정을 구현함으로써, 각 송신 채널의 초기 위상이 동일하도록 보장한다.
단계 S240에서, 2개의 송신 채널의 초기 위상을 단계 S230에서 결정된 위상으로 조절한다.
본 공개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본 공개에 따른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목표 초기 위상 결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표 초기 위상 결정장치는 읽기쓰기(I/O)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I/O 인터페이스는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상기 저장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상기 저장 모듈의 정보 상호작용을 구현한다.
프로세서는 데이터 처리 능력을 지닌 소자로서, 중앙처리장치(CPU)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저장 모듈은 데이터 저장 능력을 지닌 소자로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보다 구체적으로는 SDRAM, DDR 등),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으로 삭제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메모리(FLASH)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O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와 저장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프로세서와 저장 모듈의 정보 상호작용을 구현할 수 있으며, 데이터 버스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 저장 모듈과 I/O 인터페이스는 버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나아가 목표 초기 위상 결정장치의 기타 어셈블리와 연결된다.
본 공개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 시, 상기 프로세서가 본 공개에 따른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문에 공개된 방법 중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 시스템 및 장치 중의 기능 모듈/유닛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이들의 적당한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드웨어 실시방식에서, 이상의 설명에서 언급된 기능 모듈/유닛 간의 구분은 반드시 물리적인 어셈블리의 구분에 대응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하나의 물리 어셈블리는 복수의 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하나의 기능 또는 단계가 복수의 물리 어셈블리의 협력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어떤 물리 어셈블리 또는 모든 물리 어셈블리는 프로세서(예컨대 중앙처리장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실시되거나 하드웨어로 실시되거나, 또는 전용 집적회로와 같은 집적회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분포될 수 있으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매체(또는 비일시적 매체)와 통신매체(또는 일시적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가 공지하는 바와 같이, 컴퓨터 저장 매체라는 용어는 정보(예컨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어떤 방법 또는 기술에서 실시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삭제할 수 있거나 및 삭제할 수 없는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기타 광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기타 자기 스토리지 장치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여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하는 바로는, 통신매체는 통상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변조 데이터 신호 중의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며, 또한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는 위상배열 시스템; 및 본 공개에 따른 목표 초기 위상 결정장치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비를 제공한다.
상기 목표 초기 위상 결정장치를 통해 위상배열 시스템 중 각 채널의 위상 교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테나 장비의 빔합성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방식은 단지 본 공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채택한 예시적인 실시방식일 뿐이며, 본 공개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분야 내의 통상적인 기술자라면, 본 공개의 정신과 실질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각종 변형과 개선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과 개선 역시 본 공개의 보호 범위로 간주된다.

Claims (13)

  1.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으로서,
    교정할 N개의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위상배열 시스템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획득하는 단계;
    각기 다른 초기 위상에서의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각각 획득하는 단계로서, 어느 하나의 초기 위상에 대해,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는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에 테스트 신호를 제공한 후, 상기 위상배열 시스템의 전력합성기 다운스트림의 주파수 혼합기가 출력하는 초기 주파수 혼합 신호의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인, 상기 각기 다른 초기 위상에서의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각각 획득하는 단계;
    각기 다른 초기 위상 조건하에서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계산하고, 상기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이 최대값에 도달 시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을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목표 초기 위상으로 삼는 단계
    를 포함하되, 하기 공식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계산하는,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
    Figure pct00073

    식 중,
    Figure pct00074
    는 상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이고;
    Figure pct00075
    는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이며;
    Figure pct00076
    는 상기 혼합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이고;
    N은 상기 위상배열 시스템의 채널 수량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이 수신 채널인 경우, 교정할 N개의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위상배열 시스템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은 N개의 수신 채널을 개방한 후, 상기 주파수 혼합기 다운스트림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출력하는 출력값인,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에 제공하는 테스트 신호는 교정을 위한 단일 채널의 송신 안테나가 송신하는 단음 신호이며,
    각기 다른 초기 위상에서의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각각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은 N개의 수신 채널을 개방한 후,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출력하는 출력값인,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이 송신 채널인 경우, 교정할 N개의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위상배열 시스템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은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을 개방한 후, 상기 주파수 혼합기 다운스트림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출력하는 출력값인,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에 제공하는 테스트 신호는 상기 위상배열 시스템의 다중채널 송신 안테나가 송신하는 단음 신호이며,
    각기 다른 초기 위상에서의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각각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은 상기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을 개방한 후,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출력하는 출력값인,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
  6. 위상 교정방법으로서,
    교정할 N개의 목표 채널에 대응하는 위상배열 시스템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를 생성하여,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을 조절하여,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을 하나의 위상값으로 조절할 때마다,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에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위상배열 시스템의 전력합성기 다운스트림의 주파수 혼합기에서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출력하는 단계;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의 목표 초기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각 목표 채널의 초기 위상을 상기 목표 초기 위상으로 각각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 교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이 수신 채널인 경우, 교정할 N개의 목표 채널에 대응하는 위상배열 시스템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를 생성하여,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N개의 수신 채널을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배열 시스템의 ADC가 출력하는 출력값을 상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으로 삼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 교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에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위상배열 시스템의 전력합성기 다운스트림의 주파수 혼합기에서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출력하는 단계는,
    교정을 위한 단일 채널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테스트 신호로 사용되는 단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N개의 수신 채널을 개방하고,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출력하는 출력값을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으로 삼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 교정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이 송신 채널인 경우, 교정할 N개의 목표 채널에 대응하는 위상배열 시스템의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를 생성하여,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출력하는 단계는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을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배열 시스템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출력하는 출력값을 상기 시스템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으로 삼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 교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목표 채널에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위상배열 시스템의 전력합성기 다운스트림의 주파수 혼합기에서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을 출력하는 단계는,
    다중 채널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신호로 사용되는 단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교정을 위한 수신 채널을 개방하고, 주파수 혼합기 다운스트림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출력하는 출력값을 상기 전체 직류 오프셋 신호의 전압 진폭으로 삼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 교정방법.
  11. 목표 초기 위상 결정장치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목표 초기 위상 결정장치.
  12.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 시, 상기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목표 초기 위상 결정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13. 안테나 장비로서,
    위상배열 시스템; 및
    제11항에 따른 목표 초기 위상 결정장치
    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비.
KR1020237001861A 2020-06-30 2021-06-21 위상 결정방법 및 장치, 위상 교정방법, 매체 그리고 안테나 장비 KR202300254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18636.8 2020-06-30
CN202010618636.8A CN113872706A (zh) 2020-06-30 2020-06-30 相位确定方法及装置、相位校准方法、介质、天线设备
PCT/CN2021/101208 WO2022001721A1 (zh) 2020-06-30 2021-06-21 相位确定方法及装置、相位校准方法、介质、天线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462A true KR20230025462A (ko) 2023-02-21

Family

ID=7898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861A KR20230025462A (ko) 2020-06-30 2021-06-21 위상 결정방법 및 장치, 위상 교정방법, 매체 그리고 안테나 장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99857A1 (ko)
EP (1) EP4170936A1 (ko)
KR (1) KR20230025462A (ko)
CN (1) CN113872706A (ko)
WO (1) WO2022001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25682B (zh) * 2022-04-19 2023-08-01 广州程星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相控阵波束指向设计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5144649A (zh) * 2022-06-30 2022-10-04 成都通量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功率检测计的自检测电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83274B (zh) * 2009-02-24 2012-06-13 中国航天科技集团公司第五研究院第五○四研究所 一种相位可变功率检测的阵列天线外校准的方法
JP6862670B2 (ja) * 2016-04-01 2021-04-2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回路、レーダ装置、及びレーダの送信チャネルの補正方法
CN108234037B (zh) * 2017-12-29 2021-07-20 鹤壁天海电子信息系统有限公司 一种相位的校准方法和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01721A1 (zh) 2022-01-06
US20230299857A1 (en) 2023-09-21
CN113872706A (zh) 2021-12-31
EP4170936A1 (en)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3906B2 (en) Phase calib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multi-channel radar receiver
US10374838B2 (en) Image distortion correction in a wireless terminal
KR20230025462A (ko) 위상 결정방법 및 장치, 위상 교정방법, 매체 그리고 안테나 장비
JP5336717B2 (ja) Rf受信器
JP6663115B2 (ja) Fmcwレーダー
US10649013B2 (en) Frequency converter, measuring system, and measuring method
US10509106B2 (en) Method for calibrating a radar system
US9537584B2 (en) Phased array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for
JP2013142634A (ja) Vswr検出回路
KR102313253B1 (ko) 무선 주파수 장치 및 대응 방법
US20050152481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iq mismatch calibration
US20070185947A1 (en) Frequency synthesizer
JP5904804B2 (ja) フェーズドアレーアンテナの校正経路測定装置
CN109155611B (zh) 抑制微波芯片中本振泄露的方法及其装置
US10587436B2 (en) Signal transmitter device, detection circuit, and signal detection method thereof
US10230408B2 (en) Measurement receiver harmonic distortion cancellation
US9148103B2 (en) Gain measurement circuit, gain measurement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8929845B2 (en) Instrument LO used as alignment signal source
US20090046814A1 (en) In-phase signal and quadrature signal generator of multi-port network
KR100336068B1 (ko) 송신 위상 잡음 감소 장치
CN109921864B (zh) 信号发送装置、检测电路与其信号检测方法
JP2002181858A (ja) 受信レベルモニタ回路
CN116866140A (zh) 相位差获取及补偿装置、相控阵及控制装置
JP2020170941A (ja) 高周波出力装置および高周波出力安定化方法
JPH07229957A (ja) 無線方向探知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