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456A -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456A
KR20230025456A KR1020237001776A KR20237001776A KR20230025456A KR 20230025456 A KR20230025456 A KR 20230025456A KR 1020237001776 A KR1020237001776 A KR 1020237001776A KR 20237001776 A KR20237001776 A KR 20237001776A KR 20230025456 A KR20230025456 A KR 20230025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input
display
identifi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싱 첸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5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 분야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해당 방법은 전자 기기에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상기 제 1 어플의 제 2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는 모두 반복 판독 불가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어 있는 단계; 전자 기기가 상기 제 1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기기에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인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본 출원은 2020년 06월 19일에 중국에서 출원된 특허출원번호가 202010564774.2인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모두 본 청구에 원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 기기(예; 스마트폰 등)를 사용하는 빈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전자 기기가 동일한 어플 중의 복수 개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자주 전환해야 하는 사용 환경도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관련 기술에서 동일한 어플에서 전자 기기가 제 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가 전자 기기에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표시하기를 원할 때,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의 조작 트랜잭션(예: 결제 트랜잭션)과 동일하다면 사용자가 조작 트랜잭션을 실행해야 할 때 한 표시 인터페이스를 선택해야 하고 전자 기기는 해당 표시 인터페이스에 들어가 실행 조작을 완료해야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의 동일한 조작 트랜잭션에 대해 조작할 때, 사용자는 오조작하기 쉬워 데이터의 안전성을 저하시켰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고, 사용자가 동일한 어플에서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 중의 동일한 조작 트랜잭션에 대해 동기화 조작할 때, 오동작하기 쉬워 결국 사용자 데이터의 안전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 1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고, 해당 방법은 전자 기기에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상기 제 1 어플의 제 2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는 모두 반복 판독 불가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어 있는 단계; 전자 기기가 상기 제 1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기기에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이다.
제 2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고, 해당 장치는 상기 장치를 포함하고 표시 모듈과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모듈은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상기 제 1 어플 중의 제 2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는 모두 반복 판독 불가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표시 모듈에 표시된 상기 제 1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은 잠금 상태이다.
제 3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고,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되고 해당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측면에서 제공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 4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고,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측면에서 제공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 5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에 관한 것이고,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면서 제 1 측면에서 제공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는 제 1 어플의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전자 기기에서 실행하는 경우,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고, 해당 제 1 식별자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고, 해당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에는 모두 반복 판독 불가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어 있다. 그 후, 전자 기기는 해당 제 1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1 입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은 잠금 상태이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가 동일한 어플에서 동일한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를 저장할 때, 일부 또는 모든 표시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잠그면서 사용자가 동일한 어플에서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조작하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를 도와 오조작 위험을 피할 수 있게 하여 전자 기기 중의 사용자 데이터 보안을 보장하고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능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구조 개략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의 개략도개략도 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2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3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4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5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6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 개략도 1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 개략도 2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이라는 것이 분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창조성 노력이 없는 전제하에서 취득한 기타 모든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나타나는 명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 조작 트랜잭션
조작 트랜잭션이고, 일명 트랜잭션이다.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단독으로 실행하는 유닛(Unit)이고, 트랜잭션은 바로 하나의 데이터 조작 언어(data manipulation language, DML)인 문구로 구성되었고 이 한 조 Unit 중의 DML은 모두 성공하거나 모두 실패하는 하나의 총체이다.
인터넷 쇼핑을 예로 들면, 이에 대응되는 조작 트랜잭션은 해당 거래 조작 트랜잭션이고, 해당 거래 조작 트랜잭션은 완전한 거래 과정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거래 과정은 1) 고객이 구매한 상품의 재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2) 고객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3) 주문 생성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4) 쇼핑 수량 등과 같은 사용자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상적인 상황에서 이러한 거래 조작은 순조롭게 실행되고 최종 거래가 성사되며 거래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베이스 정보도 성공적으로 업데이트되면 거래 조작 트랜잭션이 완료된다. 하지만, 정전 또는 기타 돌발 상황으로 인해 이러한 일련의 거래 과정 중 어느 한 단계에서 오류(예: 상품 재고 정보를 업데이트할 때 이상 현상, 고객 은행 계좌 잔액 부족 등의 현상 발생)가 발생하였다면, 전체 거래 과정이 실패하게 된다. 즉, 거래 조작 트랜잭션이 완료하지 못하였다. 한편, 거래가 실패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모든 정보는 반드시 거래 전의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마지막 단계에서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할 때 실패하여 거래가 실패하였다면, 반드시 이 실패한 거래는 데이터베이스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을 보장하여야 한다. 즉, 기존의 재고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않았고 사용자도 결제하지 않았으며 주문서도 생성되지 않았다.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베이스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더 심각한 예측 불가한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트랜잭션은 반드시 4가지 속성을 만족해야 한다. 즉, 원자성(atomicity), 일치성(consistency), 격리성(isolation), 지속성(durability)인 ACID 4가지 속성이다.
여기서, 격리성은 "독립성"이라고도 하고, 두개 또는 복수 개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실행될 때 데이터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한 트랜잭션 내부의 조작은 트랜잭션의 조작으로부터 격리시키고 그가 실행 중인 다른 트랜잭션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각 트랜잭션의 실행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다시말하면,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 사이에 상대방의 중간 상태를 보여서는 안 되고, 동시에 실행된 트랜잭션 사이에 서로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임의의 한쌍의 트랜잭션 T1과 T2에 있어서 T1에 대해 말하자면 T2는 T1이 시작되기 전에 종료되거나 T1이 완료된 후에 다시 실행된다.
2. 반복 판독 불가
반복 판독 불가란 전자 기기가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트랜잭션 범위 내에서 두 개의 동일한 조회가 서로 다른 데이터를 피드백하였고 이러한 서로 다른 데이터는 백그라운드 데이터베이스 중의 데이터를 잘못 업데이트하거나 수정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복 판독 불가의 조작 트랜잭션을 반복 조작에 적합하지 않은 조작 트랜잭션(예: 장바구니 결산 인터페이스의 결제 조작 트랜잭션)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잭션 T1은 어느 한 데이터를 불러오고 트랜잭션 T2는 해당 데이터를 불러오고 그를 수정했으며, T1은 불러오는 값을 검증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를 다시 불러왔기에 서로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더 쉽게 말하자면, 하나의 트랜잭션 내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 번 불러온다는 것이다. 이 트랜잭션이 종료되지 않을 때, 다른 한 트랜잭션도 해당 동일한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수정하였다. 그러면 첫번째 트랜잭션을 두번 불러오는 사이에, 다른 한 트랜잭션의 수정으로 인해 첫번째 트랜잭션이 두 번 불러오는 데이터가 다를 수 있고, 이렇게 되면 한 트랜잭션 내에서 두 번 불러오는 데이터가 다르기 때문에 반복 판독하기가 불가하다. 즉, 기존 판독은 반복하기가 불가하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현재 모 회사의 급여가 1,000인 직원은 10명이 있다. 1) 트랜잭션 1은 급여가 1,000인 모든 직원을 불러온다. 2) 트랜잭션 2는 도표에 급여가 1,000인 직원 기록 하나를 삽입한다. 3) 트랜잭션 1은 급여가 1,000인 모든 직원을 불러와 총 11개의 기록을 불러왔다. 이런 경우의 해결 방법: 조작 트랜잭션이 데이터 처리를 완료하기 전에 그 어떠한 기타 트랜잭션도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할 수 없다면 해당 문제를 피할 수 있다.
3.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전자 기기에는 조작 트랜잭션의 표시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 있다.
4. 어플에서의 인터페이스 용어
전자 기기에는 어플에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계층이 설정되어 있고, 전자 기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 계층의 표시 인터페이스를 차례로 표시한다. 여기서, 전자 기기가 어플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 후, 기본으로 여는 인터페이스는 시작 인터페이스이고, 일반적으로 어플의 메인 인터페이스이다.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최종으로 표시한 표시 인터페이스가 종점 인터페이스이고, 전자 기기가 여는 종점 인터페이스와 시작 인터페이스 사이의 표시 인터페이스는 중간 인터페이스이다. 종점 인터페이스는 시작 인터페이스와 같을 수 있고, 종점 인터페이스와 시작 인터페이스 사이에 중간 인터페이스가 없을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시작 인터페이스에서 종점 인터페이스까지 달할 때 중간에 열린 인터페이스와 함께 인터페이스 경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시작 인터페이스에서 종점 인터페이스까지 전자 기기와의 인터랙티브 전환하는 횟수를 경로 깊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채팅 어플(Application, APP) 중 사용자 갑과의 대화 상자를 여는 이미지 1을 예로 든다. 사용자가 채팅 APP을 클릭하면 전자 기기는 직접 디스플레이에 채팅 목록을 포함하는 메인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것이고 해당 메인 인터페이스가 바로 시작 인터페이스이다. 이어서 사용자가 해당 메인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갑과의 대화 상자를 찾아 해당 대화 상자를 클릭 입력하면 디스플레이에는 대화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데 해당 대화 인터페이스가 바로 중간 인터페이스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대화 인터페이스에서 슬라이딩 입력하여 이미지 1의 썸네일을 찾아 해당 썸네일을 클릭하면 디스플레이에는 이미지 1이 표시되는데 해당 이미지 1의 표시 인터페이스가 바로 종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사용자가 이미지 1을 여는 과정에서, 인터페이스 경로는 메인 인터페이스 - 대화 인터페이스 - 이미지 1 표시 인터페이스이고, 여기서 사용자는 시작 인터페이스에서 종점 인터페이스까지 전자 기기와 총 두 번 인터랙티브하고 경로 깊이는 2이다.
5. 기타 용어
본 출원에서 "/"는 또는 이라는 뜻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B는 A 또는 B를 나타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결 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일 뿐이고, 모두 세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상황,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상황을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문 중의 "복수 개"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을 말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 또는 "예를 들어"와 같은 단어는 예, 예증 또는 설명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 또는 "예를 들어"라고 설명한 모든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을 기타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보다 더 우수하거나 우세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정확히 말하자면, "예시적" 또는 "예를 들어" 등의 단어를 사용하는 목적은 구체적은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나타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제 2" 등의 단어를 사용하여 기능 또는 작용이 기본적으로 같은 동일한 항목이나 유사한 항목을 구분하였고,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제 1", "제 2" 등의 단어가 수량과 실행 순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과 제 2 입력은 입력의 특정 순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입력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의 실행 주체는 전자 기기일 수 있고 해당 전자 기기에서 해당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 모듈 및/또는 기능 엔티티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따라 확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모바일 단말 장치일 수 있고, 비-모바일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용 단말 장치, 웨어러블, 울트라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 디지털 비서(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고, 비-모바일 단말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인출기 또는 자동판매기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는 구체적으로 운영체제가 있는 전자 기기일 수 있다. 해당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일 수 있고 ios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기타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환경에 대해 소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능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구조 개략도다. 도 1에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구조에는 어플 계층, 어플 프레임워크 계층, 시스템 실행 라이브러리 계층과 커널 계층(구체적으로 Linux 커널 계층일 수 있음) 등과 같은 4개 계층이 포함된다.
여기서, 어플 계층에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여러 어플(시스템 어플및 제 3 자 어플 포함)이 포함된다.
어플 프레임워크 계층은 어플의 프레임워크이고 개발자는 어플 프레임워크의 개발 원칙을 준수하면서 어플 프레임워크 계층을 기반으로 기타 어플을 개발할 수 있다.
시스템 실행 라이브러리 계층에는 라이브러리(시스템 라이브러리라고도 함)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실행 환경이 포함된다. 라이브러리는 주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필요한 각종 리소스를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실행 환경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소프트웨어 환경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커널 계층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운영체제 계층으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계층의 최하층에 속한다. 커널 계층은 Linux 커널을 기반으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핵심 시스템 서비스 및 하드웨어와 관련된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예로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발자는 도 1에 도시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므로 해당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실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또는 단말 장치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사용자가 동일한 어플에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어 있는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일한 어플에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어 있는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환경에 대하여,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기기 중의 쇼핑류 어플을 사용하여 물품 1을 구매할 때 사용자가 메인 인터페이스에서 점포(1)에 들어간 후 먼저 물품을 선택하고 결제 페이지(21)에 들어가 결제할 때 해당 물품 1의 정보를 다시 볼 필요가 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물품 1의 상세정보페이지의 인터페이스 썸네일 1을 클릭하여 표시 인터페이스를 물품 1의 상세정보페이지로 전환하는 동시에 결제 페이지(21)을 인터페이스 썸네일 2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상세정보페이지를 통해 다시 해당 물품 1의 결제 인터페이스로 들어갈 때, 결제 페이지(22)를 위해 사용자가 해당 물품 1을 구매하고 결제한 후 인터페이스 썸네일 2를 다시 한번 클릭하여 표시 인터페이스를 결제 페이지(21)로 전환할 것이고, 사용자는 해당 결제 페이지(21)에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동일한 결제 조작을 반복하여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 즉, 어플 데이터 오류로 인해 물품 1에 대한 대금이 두 번 결제되었지만 물품 1을 1개만 구매하였기에 사용자기 재산 손실을 입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결제 페이지(22)에 제 1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고, 해당 제 1 식별자는 결제 페이지(21)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해당 전자 기기는 제 1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을 수신한 후 결제 페이지(22)를 결제 페이지(21)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해당 결제 페이지(21)는 잠금 상태이기에 사용자는 언제든지 결제 페이지(21)와 결제 페이지(22)를 조회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데이터 보안 및 재산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서 해당 방법은 단계 201 내지 단계 203을 포함한다.
단계 201: 전자 기기가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식별자는 상기 제 1 어플의 제 2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에는 모두 반복 판독 불가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1 식별자는 아이콘 식별자, 제 2 인터페이스 및 컨트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콘 식별자는 제 2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 제 1 어플의 어플 아이콘 및 텍스트 식별자(예: 제 1 어플의 이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가 복수 개의 표시 인터페이스일 때, 해당 제 1 식별자는 한개 제 1 식별자일 수 있고, 복수 개의 제 1 식별자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제 1 식별자와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복수 개의 표시 인터페이스는 일일이 대응되는 지시 관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어플은 어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플은 전자 기기에 조작 트랜잭션을 포함한 임의의 어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식별자의 표시 위치는 사용자가 해당 제 1 식별자의 이동 입력에 따라 해당 제 1 인터페이스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플은 조작 트랜잭션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 트랜잭션은 어플에서 다른 기기(예: 서버)와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조작 트랜잭션을 말하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전송은 단독으로 한번의 효과적인 조작이다. 예시적으로, 이메일 APP에서 메일을 보내는 조작, 쇼핑 APP에서 대금을 결제하는 조작과 같은 어플에서 데이터를 삭제, 수정, 발송, 확인 등 조작은 모두 조작 트랜잭션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 트랜잭션은 전자 기기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자체 정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전자 기기는 데이터 계층에서 타겟 조작 트랜잭션의 권한을 제한하였다. 즉, 전자 기기는 어플 중의 일부 트랜잭션을 타겟 조작 트랜잭션으로 규정하였고, 사용자가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설정할 때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비타겟 조작 트랜잭션으로 설정하려면 전자 기기는 사용자의 설정을 접수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결제류 트랜잭션은 사용자의 재산 데이터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어야 하지만, 메일 발송 트랜잭션은 사용자의 수요에 따라 비타겟 조작 트랜잭션 또는 타겟 조작 트랜잭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타겟 조작 트랜잭션은 예를 들어 동일한 대상에 대한 조작 트랜잭션와 같은 동일한 조작 트랜잭션이다. 예를 들어, 제 1 어플이 쇼핑 APP일 때,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은 모두 물품 1에 대한 결제 트랜잭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어플에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포함한 표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제 1 어플 중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표시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가 제 1 어플 중의 복수 개의 표시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될 때, 상기 복수 개의 표시 인터페이스 중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표시 인터페이스에는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표시 내용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인터페이스가 전자 기기 중의 채팅 APP에 있는 대화 인터페이스일 때, 해당 전자 기기가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전자 기기는 해당 대화 인터페이스를 업데이트한다.
단계 202: 전자 기기는 상기 제 1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입력은 클릭 입력, 슬라이딩 입력 또는 특수 제스처 입력, 음성 입력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03: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기기에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이라는 것은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판독 가능 상태이라는 것을 말한다. 즉, 사용자는 해당 제 1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표시 내용만 액세스하거나 조회할 수 있고, 해당 제 1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해 조작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제 2 인터페이스가 주식 구매 인터페이스이고 제 2 인터페이스가 잠길 때, 사용자는 해당 주식 구매 인터페이스를 위아래로 슬라이딩 액세스만 가능하고 인터페이스에서 주식을 구매할 수는 없다. 또는 제 2 인터페이스가 쇼핑 인터페이스이고 제 2 인터페이스가 잠길 때, 사용자는 해당 쇼핑 인터페이스를 위아래로 슬라이딩 액세스만 가능하고 해당 인터페이스에서 결제 조작을 할 수 없다.
예시적으로, 전자 기기는 제 1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모든 컨트롤을 잠그는 방식으로 제 1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잠금 상태로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가 상기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순간 사용자가 제 1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 2 인터페이스에 업데이트된 표시 내용만 액세스할 수 있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 2 인터페이스에 업데이트된 표시 내용에 대해 조작을 실행할 수 없도록 사용자의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동시에 제 1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 2 인터페이스의 표시 내용을 캡처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일 때, 사용자에게 해당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라는 것을 알리도록 해당 표시 인터페이스에는 잠금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 1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 2 인터페이스를 잠금 상태로 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는 제 1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해 잠금 조작을 실행하여 그가 잠금 상태로 들어가게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 1 어플이 쇼핑 APP이라는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예시 1은 제 1 식별자를 인터페이스를 예로 들면 전자 기기가 물품 1의 결제 인터페이스(31)의 오른쪽 상단에 아이콘 식별자(32)(즉, 상기 제 1 식별자)를 겹쳐 표시하는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 식별자(32)에 대한 클릭 입력을 수신한 후(즉, 상기 제 1 입력),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4)에 아이콘 식별자(32)가 지시한 해당 쇼핑 APP의 물품 1의 결제 인터페이스(33)(즉,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을 표시하고 해당 결제 인터페이스(33)에서의 결제 컨트롤(35)은 잠금 상태이다.
예시 2는 예시 1과 도 4를 결부하여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결제 인터페이스(31)의 오른쪽 상단에 결제 인터페이스(33)(즉,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을 겹쳐 표시하고 결제 인터페이스(33)의 인터페이스 사이즈가 결제 인터페이스(31)의 인터페이스 사이즈보다 작을 경우, 사용자가 결제 인터페이스(33)을 클릭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는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33)와 결제 인터페이스(31)의 표시 위치를 바꾸고, 이때 결제 인터페이스(31)의 인터페이스 사이즈가 축소되면서 결제 인터페이스(33) 위에 겹쳐 표시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203은 다음 단계 203a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3a: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기기에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 3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예시적으로,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에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 기능은 백그라운드 에서 실행되는 걸로 전환하는 동시에 전자 기기는 표시된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2 인터페이스로 업데이트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해당 제 1 인터페이스는 제 1 식별자가 지시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자 기기는 제 1 입력을 수신 후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2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동시에 제 1 식별자를 제 3 식별자로 전환할 수 있고, 해당 제 3 식별자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 3 식별자가 터치 입력한 후 전자 기기는 제 2 인터페이스를 제 1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사용자가 제 1 어플의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를 유연하게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시 1을 결부하여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 인터페이스(31)는 아이콘 식별자(36)를 통해 지시하고 해당 아이콘 식별자(36)과 아이콘 식별자(32)의 표시 위치가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제 1 어플의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 기능이 전자 기기에서 실행하는 경우, 전자 기기에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고, 해당 제 1 식별자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고 해당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에는 모두 반복 판독 불가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어 있다. 그 후, 전자 기기는 해당 제 1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1 입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은 잠금 상태이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가 동일한 어플에서 동일한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를 저장할 때, 일부 또는 모든 표시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잠그면서 사용자가 동일한 어플에서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조작하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를 도와 오조작 위험을 피할 수 있게 하여 전자 기기 중의 사용자 데이터 보안을 보장하고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201에는 다음 단계 A1과 단계 A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A1: 전자 기기가 상기 제 1 어플의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경우,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단계 A2: 상기 제 2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기기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에 대해 버퍼링하고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203은 다음 단계 A3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A3: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기기는 버퍼링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를 기반으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예시적으로, 상기 제 2 입력은 상기 제 1 입력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는 제 2 인터페이스가 지시하거나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자 기기가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에 대해 버퍼링하면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데이터 정보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버퍼링되는 상태로 된다.
예시적으로, 전자 기기가 제 1 입력을 수신한 후 표시 인터페이스에 백그라운드에 버퍼링된 제 2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정보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는 제 1 인터페이스에 있는 제 1 식별자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 인터페이스를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2 인터페이스로 업데이트하고 표시 인터페이스를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제 1 인터페이스로 업데이트하는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2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활성화 상태이고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또한 다음 단계 B1 또는 단계 B2도 포함한다.
단계 B1: 전자 기기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가 닫힌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단계.
단계 B2: 전자 기기가 상기 제 1 식별자에 대한 제 3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식별자의 표시를 취소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단계.
예시적으로, 상기 활성화 상태는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조작 가능한 상태이라는 것을 말한다. 즉, 사용자는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서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조작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가 닫혔다는 것은 전자 기기에 제 2 인터페이스를 더 이상 저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한다.
제 2 인터페이스가 닫혔을 때, 전자 기기는 제 2 인터페이스의 표시 내용만 저장하지 않을 뿐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에 대해 전자 기기는 삭제할 수 있고 전자 기기에 저장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가 닫혔을 때 전자 기기가 자동으로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업데이트하면 사용자는 제 1 인터페이스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해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인터페이스가 닫혔을 때, 전자 기기는 제 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다른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를 또한 제한하지는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3 입력의 설명은 상기 제 1 입력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전자 기기가 제 1 식별자의 표시를 취소한 후 이에 대응되게 제 1 식별자가 지시하는 제 2 인터페이스도 닫았다. 이때 전자 기기는 자동으로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업데이트하고 사용자는 제 1 인터페이스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해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에 제 1 인터페이스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만 포함될 때, 전자 기기는 자동으로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한 잠금 상태를 변경하여 전자 기기의 데이터 안전을 보장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사용하여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해 조작을 편리하게 실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본 설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또한 다음 단계 C1을 포함한다.
단계 C1: 전자 기기가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한 제 4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또한, 상기 단계 C1 후에 또한 다음 단계 C2 또는 단계 C3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C2: 전자 기기는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 4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는 단계.
단계 C3: 전자 기기는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인 경우, 상기 제 4 입력에 응답하지 않는 단계.
예시적으로, 상기 제 4 입력은 상기 제 1 입력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4 입력은 타겟 조작 트랜잭션 데이터를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결제 트랜잭션일 경우, 결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은 결제 데이터를 변경하는 입력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조작은 타겟 조작 트랜잭션 데이터를 임의로 변경하는 조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결제 트랜잭션일 때, 전자 기기가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에 응답하여 결제 조작을 할 수 있다면 결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결제 트랜잭션이고 제 4 입력은 결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예로 든다. 만약 해당 결제 트랜잭션이 활성화 상태이라면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결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수신한 후 입력한 비밀번호에 응답하여 결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만약 해당 결제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이라면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결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수신한 후 입력한 비밀번호에 응답하지 않고 이에 대응되게 후속 결제 조작도 없다.
이와 같이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활성화 상태일 때, 전자 기기는 해당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고 해당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전자 기기는 해당 조작에 응답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는 타겟 조작 트랜잭션의 상태에 따라 해당 조작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데이터 정보 안전을 정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201은 다음 단계 D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D: 전자 기기에 상기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예시적으로, 제 1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이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과 부분적으로 겹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이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보다 크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사이즈는 사용자에 의해 자체 정의할 수 있고 전자 기기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전자 기기는 동일한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표시 내용과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표시 내용을 동시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는 제 1 인터페이스에 겹쳐 표시한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어플에서 필요한 표시 인터페이스를 업데이트하도록 사용자에게 동일한 어플에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의 표시 내용을 더욱 뚜렷하게 보여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설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D 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또한 다음 단계 E1과 단계 E2를 포함한다.
단계 E1: 전자 기기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내용에 대한 사용자의 제 5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단계 E2: 상기 제 5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기기는 상기 타겟 내용에 대응되는 리소스를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에 추가하는 단계.
예시적으로, 상기 단계 203에 다음 단계 E3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E3: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기기에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예시적으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타겟 내용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타겟 내용은 표시 인터페이스 중의 문자, 이미지, 멀티미디어 파일 등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타겟 내용에 대응되는 리소스는 타겟 내용이 전자 기기에서 대응하는 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내용이 문자일 때, 상기 타겟 내용에 대응되는 리소스는 전자 기기에서 해당 문자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 정보이다. 타겟 내용이 이미지일 때, 상기 타겟 내용에 대응되는 리소스는 전자 기기에서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 정보이다. 타겟 내용이 멀티미디어 파일일 때, 상기 타겟 내용에 대응되는 리소스는 전자 기기에서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 정보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는 백그라운드에 버퍼링된 제 2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정보일 수 있고 표시 인터페이스에 직접 표시되는 제 2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5 입력은 예를 들어 클릭 입력, 눌러 입력, 슬라이딩 입력, 드래그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가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한 예시에서, 상기 제 5 입력은 눌러 입력과 드래그 입력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입력은 현재 표시 영역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내용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예: 눌러 입력)과 선택한 내용을 제 2 인터페이스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자 기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타겟 내용에 대응되는 리소스를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에 추가할 수 있다.
한 가지 방법에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조작 초점이 표시되는 경우 전자 기기에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와 상기 타겟 내용을 표시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조작 초점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전자 기기는 자동으로 상기 타겟 내용을 클립보드로 복사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초점은 전자 기기에서 문자, 이미지 등 표시 내용의 입력 위치를 지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커서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한 가지 방법에서 전자 기기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타겟 내용에 대응되는 첨부 파일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해당 첨부 파일은 타겟 내용의 이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내용이 이미지 내용일 때, 해당 첨부 정보는 이미지 내용의 이미지 이름일 수 있고, 타겟 내용이 음악 내용일 때, 해당 첨부 정보는 해당 음악 내용의 음악 이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 2 인터페이스에 복수 개의 표시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 있을 때, 해당 제 1 식별자는 사용자의 제 5 입력을 수신했다면 사용자가 상기 전송 내용을 최종으로 어느 인터페이스로 전송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 1 인터페이스에 자동으로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의 썸네일을 팝업할 수 있다.
예시 3은 상기 예시 2를 결부하여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결제 인터페이스(31)에서의 문자 내용 "50"(즉, 상기 타겟 표시 내용)을 선택하여 입력하고 결제 인터페이스(33)로 드래그한 후(즉, 상기 제 5 입력),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4)에 결제 인터페이스(31)을 결제 인터페이스(33)으로 전환하고 해당 결제 인터페이스(33)에 사용자가 그 전에 전송한 문자 내용 "50"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 5 입력을 통해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내용을 빨리 전송할 수 있어 내용을 전송할 때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를 전환해야 하는 조작 절차를 줄였기에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식별자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 2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 있고 다른 인터페이스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설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상기 단계 203은 다음 단계 F1 내지 단계 F3을 포함한다.
단계 F1: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기기에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예시적으로,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는 각 타겟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이 포함되어 있다.
단계 F2: 전자 기기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에 대한 사용자의 제 6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단계 F3: 상기 제 6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기기에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예시적으로,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는 제 1 인터페이스에 겹쳐 표시된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제 1 인터페이스 이외의 표시 구역에 표시된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또한 제 1 인터페이스가 있는 위치에 표시된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썸네일은 제 2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 1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과 제 2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는 결제 인터페이스(31)의 인터페이스 썸네일과 결제 인터페이스(33)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이 동시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는 또한 결제 인터페이스(31)의 인터페이스 썸네일만 포함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 2 인터페이스의 표시 내용이 동적으로 변화가 발생했을 때, 제 1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 썸네일에 사용자에게 해당 표시 인터페이스 변화를 알려주는 데 사용되는 알림 식별자를 겹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식별자는 문자 식별자일 수 있고 아이콘 식별자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인터페이스는 새 메시지를 수신할 때 해당 표시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썸네일 위에 사용자에게 새 메시지를 수신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숫자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 2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은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순간 제 2 인터페이스의 캡처 이미지이고, 전자 기기는 이 캡처 이미지를 전자 기기가 사전 설정한 인터페이스 썸네일 사이즈와 같은 크기로 축소시켜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형성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6 입력은 상기 제 1 입력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예시 4는 상기 예시 1을 결부하여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는 아이콘 식별자(32)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을 수신한 후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 인터페이스(31)(즉,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위에 설정 인터페이스(71)을 겹쳐 표시하고, 해당 설정 인터페이스(71)에는 결제 인터페이스(31)을 지시하는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썸네일(72)과 결제 인터페이스(33)를 지시하는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썸네일(73)이 포함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 썸네일(73)을 클릭 입력(즉, 상기 제 6 입력)하면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에 결제 인터페이스(33)(즉,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선택함으써, 본인이 필요한 표시 인터페이스를 더욱 직관적으로 볼 수 있기에 본인이 필요한 표시 인터페이스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열 수 있어 사용자의 전자 기기 사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설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는 타겟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단계 F1 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또한 다음 단계 G1와 단계 G2를 포함한다.
단계 G1: 전자 기기가 상기 타겟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 7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단계 G2: 상기 제 7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기기가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추가하는 단계.
예시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썸네일은 제 1 어플의 인터페이스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7 입력은 상기 제 1 입력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타겟 컨트롤은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추가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타겟 컨트롤은 아이콘 형식의 컨트롤일 수 있고, 문자 형식의 컨트롤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리소스는 제 1 어플에서의 인터페이스 데이터 리소스에 대응되는 표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데이터 리소스에 대응되는 표시 인터페이스는 표시 인터페이스에 직접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표시 인터페이스에 직접 표시되지 않지만 해당 표시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리소스가 백그라운드 실행 상태인 표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적으로, 해당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썸네일의 배열 순서는 전자 기기에 의한 기본 설정일 수 있고 상용자에 의해 자체 정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전자 기기가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타겟 컨트롤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추가하는 전제 조건은 사용자가 이전에 해당 표시 인터페이스를 위해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표시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설정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예시 5는 상기 예시 4를 결부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설정 인터페이스(71)의 우측에 더하기 기호와 유사한 "+" 컨트롤(81)(즉, 상기 타겟 컨트롤)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이전에 해당 결제 인터페이스(31)에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설정한 적이 없는 전제하에 사용자가 해당 "+" 컨트롤(즉, 상기 제 7 입력)을 클릭하면 전자 기기는 자동으로 결제 인터페이스(31)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상기 썸인터페이스 썸네일(73)의 뒤에 추가할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어플에서 임의의 표시 인터페이스를 위해 빠르게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해당 표시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제 1 어플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표시 인터페이스를 빠르게 가져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설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201 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또한 다음 단계 H1 내지 단계 H3을 포함한다.
단계 H1: 전자 기기는 상기 제 1 식별자를 제 2 식별자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단계 H2: 전자 기기가 상기 제 2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8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단계 H3: 상기 제 8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기기가 제 3 인터페이스를 닫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 3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다른 인터페이스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2 식별자는 닫기 식별자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2 식별자는 제 1 어플의 표시 인터페이스를 닫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2 식별자는 문자 식별자일 수 있고 아이콘 식별자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닫아야 할 때, 상기 전자 기기는 자동으로 제 1 식별자를 제 2 식별자로 업데이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제 1 식별자를 제 2 식별자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한 예시에서 전자 기기가 제 1 인터페이스에서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감지했을 때,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를 닫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 식별자를 제 2 식별자로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 예시에서 사용자는 전자 기기가 제 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때, 제 1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위치를 더블 클릭하거나 제 1 식별자에 대해 눌러 입력을 진행하여 전자 기기가 제 1 식별자를 업데이트하는 조작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전자 기기에 제 1 식별자를 제 2 식별자로 업데이트하는 특정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식별자는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식별자를 닫는 데만 사용되는 식별자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새로 여는 표시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새로 여는 표시 인터페이스가 아닐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5 입력은 상기 제 1 입력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예시 6은 상기 예시 1을 결부하여 전자 기기가 결제 인터페이스(31)를 표시하고 해당 결제 인터페이스(31)에 아이콘 식별자(32)를 표시할 때, 사용자는 해당 결제 인터페이스(31)를 더블 클릭 입력할 수 있고 아이콘 식별자(32)는 제 2 식별자로 전환되고 해당 제 2 식별자는 제 1 어플에서 현재 결제 인터페이스(31)(즉,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즉, 상기 제 3 인터페이스)를 닫는 데 사용되며, 사용자는 제 2 식별자를 위로 슬라이딩 입력하면 전자 기기는 직접 결제 인터페이스(33)를 닫는 조작을 직접 실행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제 2 식별자가 지시하는 인터페이스가 많을 때, 사용자는 상기 복수 개의 표시 인터페이스를 순차적으로 닫을 필요 없이 제 1 어플에서의 일부 표시 인터페이스를 빠르게 닫을 수 있기에 닫기 조작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하고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내용에 최신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 201 후에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 I1 내지 단계 I3까지 포함된다.
단계 I1: 전자 기기는 상기 제 1 식별자를 제 3 식별자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단계 I2: 전자 기기가 상기 제 3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9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단계 I3: 상기 제 9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기기가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4 인터페이스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 4 인터페이스는 최신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제 4 인터페이스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3 식별자는 상기 제 2 식별자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3 식별자는 업데이트 식별자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3 식별자는 현재 표시 인터페이스를 최신 조작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표시 인터페이스로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9 입력은 상기 제 1 입력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최신 조작 트랜잭션은 사용자가 여는 마지막 하나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예시적으로, 만약 사용자가 제 1 인터페이스를 최신 조작 트랜잭션을 포함하고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다른 인터페이스로 업데이트할 때, 상기 전자 기기는 제 1 식별자를 사용자에 의해 자체 정의할 수 있고 전자 기기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는 제 3 식별자로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한 예시에서 사용자는 전자 기기가 제 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때, 예를 들어 볼륨 증가 키를 더블 클릭하는 입력과 같이 전자 기기가 제 1 식별자를 업데이트하는 조작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전자 기기에 제 1 식별자를 제 3 식별자로 업데이트하는 특정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예시 7은 상기 예시 1을 결부하여 만약 해당 결제 인터페이스(31)에 최신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지 않을 때,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33)에 최신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어 있을 때, 사용자는 해당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서 양쪽에서 가운데로 슬라이딩 입력(즉, 상기 제 9 입력)을 입력할 수 있고, 아이콘 식별자(32)는 제 3 식별자로 전환될 것이며 해당 제 3 식별자는 현재 결제 인터페이스(31)를 제 1 어플에 최신 조작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표시 인터페이스로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되며, 사용자가 제 3 식별자에 대해 클릭 입력을 진행하면 전자 기기는 직접 현재 결제 인터페이스(31)를 결제 인터페이스(33)로 업데이트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제 1 어플에 저장된 표시 인터페이스가 비교적 많을 때, 만약 사용자가 최신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표시 인터페이스를 가져올 때, 사용자는 제 3 식별자를 통해 현재 표시 인터페이스를 직접 업데이트할 수 있기에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각 방법의 도면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의 도면을 예로 들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상기 각 방법의 도면에 도시된 메시지 표시 방법은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다른 결부할 수 있는 임의의 도면을 결부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의 가능한 구조 개략도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600)는 표시 모듈(601)과 수신 모듈(602)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표시 모듈(601)은 상기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상기 제 1 어플의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는 반복하여 판독하기 불가한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수신 모듈(602)은 사용자가 상기 표시 모듈(601)에 표시한 상기 제 1 식별자의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표시 모듈(601)은 또한 상기 수신 모듈(602)이 수신한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도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모듈(6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어플의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경우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표시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602)이 수신한 상기 제 2 입력에 응답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에 대해 버퍼링하여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표시 모듈(601)은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602)이 수신한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고 버퍼링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를 바탕으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600)는 또한 업데이트 모듈(603)도 포함한다. 상기 업데이트 모듈(603)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가 닫힌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상기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데 사용된다. 또는 상기 제 1 식별자에 대한 제 3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식별자의 표시를 취소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상기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600)는 또한 실행 모듈(604)도 포함한다. 상기 수신 모듈(602)은 또한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한 제 4 입력을 수신하는 데도 사용된다. 상기 실행 모듈(604)은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듈(602)이 수신한 제 4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실행 모듈(604)은 또한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 4 입력에 응답하지 않는 데도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설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식별자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표시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이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과 부분적으로 겹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이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600)는 또한 추가 모듈(605)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모듈(602)은 또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내용에 대한 사용자의 제 5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추가 모듈(605)은 상기 수신 모듈(602)이 수신한 상기 제 5 입력에 응답하고 상기 타겟 내용에 대응되는 리소스를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에 추가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표시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602)이 수신한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타겟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식별자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602)이 수신한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고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는 각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모듈(602)은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 모듈에 표시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에 대한 사용자의 제 6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표시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602)이 수신한 상기 제 6 입력에 응답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는 타겟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또한 실행 모듈(604)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602)은 또한 상기 타겟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 7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실행 모듈(604)은 상기 수신 모듈(602)이 수신한 상기 제 7 입력에 응답하고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추가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또한 업데이트 모듈(603)과 닫기 모듈(606)을 포함한다. 상기 업데이트 모듈(603)은 상기 표시 모듈(601)이 표시한 상기 제 1 식별자를 제 2 식별자로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수신 모듈(602)은 또한 상기 업데이트 모듈(603)이 업데이트한 상기 제 2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8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닫기 모듈(606)은 상기 수신 모듈(602)이 수신한 상기 제 8 입력에 응답하고 제 3 인터페이스를 닫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다른 인터페이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에서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는 제 1 어플의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 기능이 전자 기기에서 실행하는 경우,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고, 해당 제 1 식별자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고 해당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에는 모두 반복 판독 불가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어 있다. 그 후, 전자 기기는 해당 제 1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1 입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은 잠금 상태이다.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는 동일한 어플에서 동일한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를 저장할 때, 표시 인터페이스 중의 일부 또는 모든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잠그면서 사용자가 동일한 어플에서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조작하게 하는 동시에 사용자를 도와 오조작 위험을 피할 수 있게 하여 전자 기기 중의 사용자 데이터 보안을 보장하고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에 의해 구현된 여러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601)과 같은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600)에 반드시 포함되는 모듈은 실선으로 표기하였다.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600)는 업데이트 모듈(603)과 같은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는 모듈은 점선으로 표기하였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기기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며, 해당 전자 기기(100)는 무선 주파수 유닛(101), 네트워크 모듈(102), 오디오 출력 유닛(103), 입력 유닛(104), 센서(105), 표시 유닛(106), 사용자 입력 유닛(107), 인터페이스 유닛(108), 메모리(109), 프로세서(110) 및 전원(111) 등 부품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도 10에 도시한 전자 기기(100)의 구조는 전자 기기를 제한하는 요건으로 되지 않고 전자 기기(100)에는 도면보다 많거나 적은 부품을 포함하거나 어떤 부품을 조합하거나 부품을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00)에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용 전자 기기, 웨어러블, 만보기 등이 포함하되 이에 한하지 않는다.
여기서, 표시 유닛(106)은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는 모두 반복 판독 불가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상기 표시 유닛(106)에 표시된 상기 제 1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입력 유닛(107)이 수신한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인 것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해당 전자 기기는 제 1 어플의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 기능이 전자 기기에서 실행하는 경우,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고, 해당 제 1 식별자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고 해당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에는 모두 반복 판독 불가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포함되어 있다. 그 후, 전자 기기는 해당 제 1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1 입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은 잠금 상태이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가 동일한 어플에서 동일한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를 저장할 때, 일부 또는 모든 표시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잠그면서 사용자가 동일한 어플에서 서로 다른 표시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조작하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를 도와 오조작 위험을 피할 수 있게 하여 전자 기기 중의 사용자 데이터 보안을 보장하고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메시지 송수신이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의 수신 및 송신에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기지국에서 송신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10)에서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발송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네트워크 모듈(1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무선 주파수 유닛(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에 의해 수신되거나 메모리(1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전환하여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또한 전자 기기(100)가 실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 호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스피커, 버저와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04)은 음성나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입력 유닛(104)은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1041) 및 마이크로폰(1042)을 포함할 수 있고, 그래픽 처리 장치(1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가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처리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1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1041)로 처리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유닛(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을 통해 발송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042)은 음성을 수신하고 이러한 음성을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을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발송하는 포맷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광센서, 모션센서 및 기타 센서 등과 같은 센서(10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센서는 주변광 센서와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변광센서는 주변 광선의 명암에 따라 표시 패널(106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전자 기기(100)가 귀옆으로 이동할 때 표시 패널(1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닫을 수 있다. 모션 센서의 일종으로 가속도계 센서는 각 방향(일반적으로 세 축)의 가속도 크기를 측정할 수 있고, 정지할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의 자세(예: 가로세로 인터페이스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예: 계보기, 두드리기) 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105)는 또한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팽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표시 유닛(106)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나 사용자에게 제공한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표시 유닛(106)은 표시 패널(1061)을 포함할 수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식으로 표시 패널(1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입력한 숫자나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기기(100)의 사용자 설정과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터치 패널(1071) 및 기타 입력 장치(1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고 사용자가 그 위에 혹은 그 근처에서 터치 조작(예: 손가락, 터치 펜 등 사용하기에 적합한 어떤 물체나 부품으로 터치 패널(1071) 위에 혹은 터치 패널(1071) 근처에서 진행한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등의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점 좌표로 전환하여 프로세서(110)로 전송하고, 프로세서(110)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패시터식, 적외선 및 표면 음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1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을 제외하고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또한 기타 입력 장치(107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1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 볼륨 제어 키, 전원 스위치 키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1071)은 표시 패널(1061) 위에 커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071)은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면 프로세서(110)로 전달하여 해당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하며, 그 다음에 프로세서(1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1061)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1071)과 표시 패널(1061)은 두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 전자 기기(100)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1071)과 표시 패널(1061)을 통합하여 전자 기기(100)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유닛(108)은 주변 장치와 전자 기기(100)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주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인식 모듈이 있는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인터페이스 유닛(108)은 주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전자 기기(100) 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로 전송하거나, 전자 기기(100)와 주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1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어플(예: 음성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 사용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전화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9)는 또한 예들 들어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메모리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 메모리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기기(100)의 제어 센터로 각종 인터페이스와 전기 회로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100) 전체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1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하거나 실행하고 또한 메모리(109)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전자 기기(100)의 각종 기능과 처리 데이터를 실행함으로써 전자 기기(100)를 전체적으로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어플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통합할 수 있고, 여기서 어플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어플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또한 프로세서(110)에 통합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전자 기기(100)는 또한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111)(예: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전원(1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10)에 논리적으로 연결하여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에는 일부 도시되지 않은 기능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고, 프로세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해당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실시예 중의 여러 과정이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실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고,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실시예의 여러 과정이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실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에 관한 것이고,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면서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실시예 중의 여러 과정이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실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어 칩으로 지칭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가리키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더 이상의 제한 사항이 없는 상황에서 "1개...포괄한다"라는 문구로 한정한 요소는 이 요소를 포괄하는 과정, 방법, 물건 또는 장치에서 같은 요소가 별도로 존재하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구현 방식의 설명을 통해 본 분야의 기술자는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상황에서 앞의 방법이 더 좋은 구현 방식이라는 점을 분명히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본질상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 ROM/ RAM, 디스크, 광디스크)에 저장되어 있고, 하나의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이 될 수 있음)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여러 명령을 포함한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위에 설명한 구현 방식은 예시일 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본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출원의 계시에 따라 본 출원의 목적과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Claims (23)

  1.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으로서,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상기 제 1 어플의 제 2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는 모두 반복 판독 불가의(non-repeatable-read) 타겟 조작 트랜잭션(target operation transaction)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 1 식별자(sign)에 대한 사용자의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locked state)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어플의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경우,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resources)에 대해 버퍼링하고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버퍼링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를 기반으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가 닫힌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active state)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 1 식별자에 대한 제 3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식별자의 표시를 취소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한 제 4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 4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인 경우, 상기 제 4 입력에 응답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자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이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과 부분적으로 겹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이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보다 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내용에 대한 사용자의 제 5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5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내용에 대응되는 리소스를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타겟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자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는 각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thumbnail)이 포함되어 있다는 단계;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에 대한 사용자의 제 6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6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는 타겟 컨트롤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타겟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 7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7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식별자를 제 2 식별자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제 2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8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8 입력에 응답하여 제 3 인터페이스를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3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다른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10.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표시 모듈과 수신 모듈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표시 모듈은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상기 제 1 어플의 제 2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는 모두 반복 판독 불가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표시 모듈이 표시한 상기 제 1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더 표시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 1 어플의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경우,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 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에 대해 버퍼링하고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1 식별자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버퍼링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를 기반으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더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가 닫힌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제 1 식별자에 대한 제 3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식별자의 표시를 취소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조작 트랜잭션을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실행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한 제 4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실행 모듈은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 4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실행 모듈은 상기 타겟 조작 트랜잭션이 잠금 상태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 4 입력에 응답하지 않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자가 제 2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표시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어플의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요기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이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과 부분적으로 겹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이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중의 타겟 내용에 대한 사용자의 제 5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추가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 5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내용에 대응되는 리소스를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리소스에 추가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표시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시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타겟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자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는 각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 모듈이 표시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썸네일의 제 6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표시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시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 6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는 타겟 컨트롤이 포함되어 있고, 상지 장치는 실행 모듈을 더 포함하며,
    수신 모듈은 상기 타겟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 7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고;
    실행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 7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 인터페이스 썸네일을 추가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업데이트 모듈과 닫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표시 모듈이 표시한 상기 제 1 식별자를 제 2 식별자로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된고;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업데이트 모듈이 업데이트한 상기 제 2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 8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닫기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 8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인터페이스를 닫는 데 사용되고;
    여기서, 상기 제 3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다른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9. 전자 기기로서, 상기 전자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설명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0.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임의의 한 항에서 설명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21.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고, 상기 프로그램 제품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설명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2.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전자 기기를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설명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3. 칩에 관한 것이고,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면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설명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KR1020237001776A 2020-06-19 2021-06-16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2300254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564774.2 2020-06-19
CN202010564774.2A CN111880675B (zh) 2020-06-19 2020-06-19 界面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PCT/CN2021/100313 WO2021254378A1 (zh) 2020-06-19 2021-06-16 界面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456A true KR20230025456A (ko) 2023-02-21

Family

ID=7315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776A KR20230025456A (ko) 2020-06-19 2021-06-16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18820A1 (ko)
EP (1) EP4170469A4 (ko)
JP (1) JP2023529956A (ko)
KR (1) KR20230025456A (ko)
CN (1) CN111880675B (ko)
WO (1) WO20212543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0675B (zh) * 2020-06-19 2024-03-15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608610B (zh) * 2021-07-14 2022-11-11 荣耀终端有限公司 交互控制方法、电子设备及系统
CN116090032B (zh) * 2022-06-29 2023-10-20 荣耀终端有限公司 显示方法及相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7588A1 (de) * 1993-08-30 1995-03-02 Hewlett Packard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fassen und Weiterleiten von Fensterereignissen zu einer Mehrzahl von bestehenden Anwendungen zur gleichzeitigen Ausführung
US20040158549A1 (en) * 2003-02-07 2004-08-12 Vladimir Matena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US20100153866A1 (en) * 2008-12-11 2010-06-17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the execution of a native application running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161371A1 (en) * 2009-12-29 2011-06-30 Microgen Plc Sql generation
US10318090B2 (en) * 2013-08-13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Interaction sensing
US9830167B2 (en) * 2014-08-12 2017-11-28 Linkedin Corporation Enhancing a multitasking user interface of an operating system
CN104700032B (zh) * 2015-02-09 2018-11-1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679881B (zh) * 2015-03-13 2019-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并发控制方法及装置
CN105404517B (zh) * 2015-11-27 2018-09-28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浏览器和浏览器实现方法
US10929822B2 (en) * 2015-12-03 2021-02-23 Capital One Services, Llc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facilitating end-to-end transactions on computing devices
WO2017219271A1 (zh) * 2016-06-22 2017-12-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支付切换方法及装置
CN106445703A (zh) * 2016-09-22 2017-02-22 济南浪潮高新科技投资发展有限公司 一种解决数据传输中防并发脏读方法
CN107678641A (zh) * 2017-09-08 2018-02-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进入目标显示界面的方法及移动终端
CN108234774A (zh) * 2018-01-30 2018-06-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下载方法及终端
CN111656346B (zh) * 2018-06-07 2023-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终端
US10992621B2 (en) * 2018-08-03 2021-04-27 Flash App, LLC Enhanced data sharing to and between mobile device users
CN111309237A (zh) * 2018-12-11 2020-06-19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切换支付功能方法及电子设备
CN110602565A (zh) * 2019-08-30 2019-12-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1031093A (zh) * 2019-11-05 2020-04-17 徐州恒枫家具有限公司 一种智能餐桌点餐系统
CN111104038B (zh) * 2019-12-16 2021-09-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功能的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1142730B (zh) * 2019-12-26 2021-06-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分屏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1880675B (zh) * 2020-06-19 2024-03-15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4378A1 (zh) 2021-12-23
CN111880675B (zh) 2024-03-15
CN111880675A (zh) 2020-11-03
EP4170469A4 (en) 2023-11-08
JP2023529956A (ja) 2023-07-12
US20230118820A1 (en) 2023-04-20
EP4170469A1 (en)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00303A1 (en) Applica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20181942A1 (zh) 图标控制方法及终端设备
WO2020258929A1 (zh) 文件夹界面切换方法及终端设备
KR20230025456A (ko)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WO2020063091A1 (zh) 一种图片处理方法及终端设备
WO2021083132A1 (zh) 图标移动方法及电子设备
US20210349591A1 (en) Object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21136133A1 (zh) 一种应用程序切换方法及电子设备
JP7247417B2 (ja) アイコン表示方法及び端末機器
US11989391B2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20215957A1 (zh) 界面显示方法及终端设备
WO2020238351A1 (zh) 应用程序下载分类方法及终端设备
WO2020258934A1 (zh) 界面显示方法及终端设备
WO2021136136A1 (zh) 截图方法及电子设备
WO2021017706A1 (zh) 信息处理方法及终端设备
WO2021004327A1 (zh) 应用权限设置方法及终端设备
WO2021104163A1 (zh) 图标整理方法及电子设备
WO2020192299A1 (zh) 信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WO2020199783A1 (zh) 界面显示方法及终端设备
WO2020181945A1 (zh) 标识显示方法及终端设备
WO2020259033A1 (zh) 文件管理方法及终端
WO2020215982A1 (zh) 桌面图标管理方法及终端设备
WO2020215969A1 (zh) 内容输入方法及终端设备
WO2021017738A1 (zh) 界面显示方法及电子设备
WO2021121225A1 (zh) 应用程序安装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